KR100557906B1 -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906B1
KR100557906B1 KR1020040077126A KR20040077126A KR100557906B1 KR 100557906 B1 KR100557906 B1 KR 100557906B1 KR 1020040077126 A KR1020040077126 A KR 1020040077126A KR 20040077126 A KR20040077126 A KR 20040077126A KR 100557906 B1 KR100557906 B1 KR 10055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oint
contact
moving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187A (ko
Inventor
배진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엔스 filed Critical (주)티엔스
Priority to KR102004007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90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78Detecting defects of the object to be tested, e.g. scratches or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텍트 렌즈의 이물 및 깨짐을 검사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텍트 렌즈 검사를 연속적인 자동시스템으로 검사할 수 있고, 렌즈 검사 시에 렌즈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을 나누어서 검사할 뿐만 아니라, 검사 결과에 따라 양품 렌즈와 불량품 렌즈를 개별적으로 취출가능하며, 렌즈가 올려지는 글래스를 계속해서 청소할 수 있는데 적당하도록 한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검사할 렌즈가 놓여지는 트레이(tray)를 X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와, 상기 트레이(tray)를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로 구성된 렌즈투입수단과, 상기 트레이(tray) 상의 검사할 렌즈를 순차적으로 집어서 180도 회전시키는 제1 렌즈회전수단과,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된 렌즈를 전달받아 렌즈 검사 테이블인 회전인덱스 상에 올려놓는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과, 상기 회전인덱스 상에 놓여있는 렌즈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각각 영상을 획득하는 두개의 카메라와, 상기 획득된 영상을 검사하여 렌즈의 양부를 판별하고 렌즈검사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따라 불량품으로 판정된 렌즈를 배출하기 위한 리젝(reject)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따라 양품으로 판정된 렌즈를 취출하기 위하여 집어서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과,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위치 이동된 양 품 렌즈를 전달받아 180도 회전시켜 트레이(tray)상에 올려놓는 제2 렌즈회전수단과, 상기 양품 렌즈가 놓여지는 트레이(tray)를 X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와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로 구성된 렌즈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Description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Inspection apparatus of contact lens}
도 1은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렌즈투입수단과 렌즈배출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3의 일 구성요소인 Y축 이동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일 구성요소인 제1 렌즈착탈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픽앤플레이스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일 구성요소인 제2 렌즈착탈부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회전인덱스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일 구성요소인 판상테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진공청소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렌즈투입수단 200 : 제1 렌즈회전수단
300 : 제1 픽엔플레이스 400 : 회전인텍스
500 : 카메라 600 : 제2 픽엔플레이스
700 : 제2 렌즈회전수단 800 : 렌즈배출수단
1000 :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본 발명은 콘텍트 렌즈의 이물 및 깨짐을 검사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텍트 렌즈 검사를 연속적인 자동시스템으로 검사할 수 있고, 렌즈 검사 시에 렌즈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을 나누어서 검사할 뿐만 아니라, 검사 결과에 따라 양품 렌즈와 불량품 렌즈를 개별적으로 취출가능하며, 렌즈가 올려지는 글래스를 계속해서 청소할 수 있는데 적당하도록 한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텍트 렌즈는 하드렌즈와 소프트렌즈 외에 산소투과성 렌즈 등으로 분류된다.
하드 콘텍트 렌즈는 일반 근시의 교정뿐 아니라 소프트 콘텍트 렌즈가 교정하기 어려운 난시교정도 훌륭하게 해결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어 온 렌즈이다.
한편 렌즈는 착용 시 렌즈의 상하운동을 마찰력 없이 부드럽게 하여 주고 눈 물 순환이 원활해지며 눈물의 보유능력을 탁월하게 하여 착용감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특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렌즈 내면의 곡률반경부와 주변부 사이에 원형 돌기부를 둠과 아울러 이 원형 돌기부와 주변부 사이에 오목 변위부를 두는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이와 같이 렌즈의 엣지부는 형태와 정밀성이 안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매우 정밀한 가공이 요구되는 부위이다.
한편, 콘텍트 렌즈의 엣지부는 제조처에서 일차적인 품질 검사를 거치도록 되어 있지만 유통과정이나 제조처에서의 품질 검사에서 누락된 불량품이 판매되지 않도록 안경점 등에서는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콘텍트 렌즈 엣지부의 제반 불량요인, 즉 엣지부의 깨짐이나 변형, 거스러미 등의 불량 요소와 외주연의 성형된 형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판매 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목적을 위해 기존에 안경점 등에서 렌즈의 엣지부를 검사하는 방법은 고배율의 확대경 하방에 렌즈를 올려놓고 스탠드 등의 소정 조명을 부여하면서 스크레치가 방지되도록 처리된 핀셋 등으로 렌즈를 돌려가면서 렌즈의 불량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렌즈 검사에 있어 렌즈를 유동시켜 가면서 관찰하게 되어 렌즈와 조명을 위한 광원과의 간격 변동이 초래되는 등 렌즈의 검사 조건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작업자마다 상이한 조건을 통해 관측하게 되는 것이어서 검사의 정밀성과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검사를 위한 광원으로서 일반적인 백혈등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투명한 재질의 렌즈를 검사하는데 있어 빛의 투과로 인해 형태의 인식이 어려워지게 되어 검사의 정밀성을 부여하기 어려워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중복 검사영역이나 미검사 영역의 발생을 초래하여 검사의 비효율성을 통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 작업성의 효율 저하를 초래하였다.
또한 오픈된 상태에서 관측하게 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불량요인으로 오인하여 정상 렌즈를 폐기 할 수 있는 소지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콘텍트 렌즈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렌즈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을 분리하여 검사함으로써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검사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검사할 렌즈가 놓여지는 트레이(tray)를 X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와, 상기 트레이(tray)를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로 구성된 렌즈투입수단과, 상기 트레이(tray) 상의 검사할 렌즈를 순차적으 로 집어서 180도 회전시키는 제1 렌즈회전수단과,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된 렌즈를 전달받아 렌즈 검사 테이블인 회전인덱스 상에 올려놓는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과, 상기 회전인덱스 상에 놓여있는 렌즈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각각 영상을 획득하는 두개의 카메라와, 상기 획득된 영상을 검사하여 렌즈의 양부를 판별하고 렌즈검사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따라 불량품으로 판정된 렌즈를 배출하기 위한 리젝(reject)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따라 양품으로 판정된 렌즈를 취출하기 위하여 집어서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과,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위치 이동된 양품 렌즈를 전달받아 180도 회전시켜 트레이(tray)상에 올려놓는 제2 렌즈회전수단과, 상기 양품 렌즈가 놓여지는 트레이(tray)를 X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와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로 구성된 렌즈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투입수단과 렌즈배출수단의 X축 이동부와 Y축 이동부는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X축 이동부와 Y축 이동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형이되, 그 내곽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홈을 관통하여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사각 판형의 가이드판과, 상기 테이블이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슬라이드될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렌즈투입수단과 상기 렌즈배출수단의 트레이(tray) 상의 렌즈는 오목 형상으로 놓여져야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 길게 형성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관통시키고 상기 스크류와 맞물려서 연동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테이블 하부에 고정 부착되는 스크류연동부재와, 상기 스크류의 양단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스크류지지체와, 상기 스크류지지체에 수용된 스크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테이블의 이동 방향으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두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 연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은, 상기 트레이(tray)로부터 렌즈를 집거나, 상기 트레이(tray)로 렌즈를 내려놓는 제1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1 렌즈 착탈부를 업다운시키는 제1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를 일면에 부착하되,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중심부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축과, 상기 제1 동력전달축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1 동력발생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축이 관통되게 하고,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동력발생부 사이에 마련되는 렌즈회전수단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는 하나씩 마련될 수 있지만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2개씩 마련되되, 상호 180도 틀어져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된 렌즈를 전달받거나,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으로 양품의 렌즈를 전달하는 제2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2 렌즈 착탈부를 업다운시키는 제2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를 일면에 부착하되,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의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중심부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축과, 상기 제2 동력전달축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2 동력발생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축이 관통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동력발생부 사이에 마련되는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는 하나씩 마련될 수 있지만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고 자동 검사의 원활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2개씩 마련되되, 상호 마주보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인덱스는, 다수개의 홀이 외곽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홀 상에 상기 검사할 렌즈가 올려 놓여지는 다수개의 렌즈수용부가 마련되는 원형의 판상테이블과, 상기 판상테이블 중앙 하부에 고정연결되는 테이블회전축과, 상기 테이블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판상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수용부는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검사할 렌즈가 공급되는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판상테이블의 외곽을 따라 12개(제1 렌즈수용부 ~ 제12 렌즈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렌즈수용부는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에 관한 작용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1000)는 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렌즈투입수단(100)과,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렌즈회전수단(200)과,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픽엔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과, 상기 제1 픽엔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의 우측에 설치되는(상기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100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회전인덱스(400)와, 상기 회전인덱스(400) 상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두개의 카메라(500)와, 상기 회전인덱스(400)의 우측에 고정설치되는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과,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제2 렌즈회전수단(700)과, 상기 제2 렌즈회전수단(70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상기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타측에 설치되는) 렌즈배출수단(80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들의 각각에 관한 동작을 제어하고 콘텍트 렌즈 검사에 필요한 제어를 하기 위해 PC 또는 PLC와 같은 제어수단(미도시)이 상기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100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회전인덱스(400) 주변 소정위치에는 불량품의 렌즈를 취출하기 위한 리젝(reject)수단(570)과 불량원인 파악을 위해 불량품 렌즈를 샘플링하는 샘플링수단(580)이 마련되고, 부가적으로 상기 회전인덱스(400) 주변 소정 위치에 렌즈가 올려지는 글래스를 청소하기 위해 진공청소장치(59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1000)를 이용한 콘텍트 렌즈 검사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에 검사할 콘텍트 렌즈가 놓여지면,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이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이 상기 콘텍트 렌즈를 집어서 180도 회전한 다음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에 전달하고,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은 전달받은 콘텍트 렌즈를 위치이동하여 상기 회전인덱스(400) 상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500) 두대가 콘텍트 렌즈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을 촬영하고, 획득된 영상을 제어수단이 분석하여 콘텍트 렌즈의 품질에 대한 양부를 판단한다. 그런 후,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양품의 콘텍트 렌즈는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이 집어가고, 불량품의 콘텍트 렌즈는 리젝트(reject)수단(570)에 의하여 취출된다. 상기 양품의 콘텍트 렌즈는 제2 렌즈회전수단(700)이 전 달받아 180도 회전시켜 렌즈배출수단(800)에 올려놓는다.
도 3은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1000)의 일 구성요소인 렌즈투입수단(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은 검사할 렌즈가 다수개 놓여지는 트레이(tray)(110)를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트레이(tray)(110)가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렌즈투입수단(100) 상에 놓여지면,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렌즈투입수단(100) 상의 트레이(tray)(110)는 소정의 위치만큼 X축과 Y축으로 이동한다.
상기 트레이(110)를 소정의 위치만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후술할 제1 렌즈회전수단(200)의 렌즈착탈부가 상기 트레이(110) 상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를 하나씩 집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트레이(110) 상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 중에 하나를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이 집어간 후,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이 상기 집어간 콘텍트 렌즈의 상, 하, 전, 후에 놓여있는 렌즈를 집어가기 위해서는 상기 트레이(110)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소정 위치만큼 이동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110) 상의 다수개의 콘텍트 렌즈는 오목 형상으로 놓여져야 한다. 상기 트레이(110) 상의 콘텍트 렌즈가 오목 형상으로 놓여져야만 하는 이유는, 상기 렌즈 검사 테이블인 회전인덱스(400) 상에 놓여지는 검사할 콘텍트 렌즈는 카메라(500)에 의한 영상획득을 위해 반드시 볼록 형상으로 놓여져야 하는데, 상기 회전인덱스(400) 상에 검사할 콘텍트 렌즈가 놓여지기 전에 검사 대상인 콘텍트 렌즈가 제1 렌즈회전수단(200)에 의하여 180도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은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레이(tray)(110)를 소정 위치만큼 이동하기 위하여 X축 이동부(100")와 Y축 이동부(10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X축 이동부(100")는 상기 트레이(110)를 X축(예를 들어 도 2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Y축 이동부(100')는 상기 트레이(110)를 Y축(예를 들어 도 2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레이(110)를 X축과 Y축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X축 이동부(100")와 Y축 이동부(100')는 서로 따로 설치되는 것보다 서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축 이동부(100")와 Y축 이동부(100')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상부쪽에 적층되는 이동부에 상기 트레이(110)가 놓여진다.
도 4는 상기 X축 이동부와 Y축 이동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 이동부(100")와 Y축 이동부(100')는 내곽을 따라 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판형의 테이블(120)과, 상기 홈(121)에 끼워진 상태로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양 끝단이 지지대(131)에 의하여 고정지지되는 사각판형의 가이드판(130)과, 상기 테이블(120)이 상기 고정된 가이드판(130)을 따라 슬라이딩이 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140)와,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테이블(120)의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150)로 이루 어져 있다.
상기 테이블(1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판(130)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내곽을 따라 상기 가이드판(130) 형상의 홈(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130)은 상기 홈(121)을 관통한 상태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131)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120)은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13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테이블(120)이 가이드판(130)을 따라 슬라이딩되기 위해서는 동력을 발생하는 상기 구동부(140)와,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테이블(120)의 직선운동을 가능하게함과 동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이동부(150)가 필수적이다.
상기 구동부(1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의 측면에 모터를 설치하고, 이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상기 테이블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테이블을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이블(120)의 안정적인 구동과 공간 사용 효율성을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20)의 하측에 길게 형성되는 스크류(141)와, 상기 스크류(141)를 관통시켜 상기 스크류(141)와 연동하고, 그 상부가 상기 테이블(120)의 하부 중앙에 부착고정되는 스크류연동부재(143)와, 상기 스크류(141)의 양단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141)를 지지하는 스크류지지체(145)와, 상기 스크류지지체(145)에 수용된 스크류(141)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14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4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147)가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면 상기 스크류(141)는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141)와 맞물려 있는 상기 스크류연동부재(143)는 상기 스크류(141)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스크류연동부재(143)를 고정부착하고 있는 테이블(120)은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150)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가 달린 이동부재를 상기 테이블 가장자리 하부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력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테이블(12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이블(120)의 안정적인 구동을 고려하여 상기 테이블(120)의 이동 방향으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두개의 가이드 레일(151)과, 상기 가이드 레일(151)에 맞물려 있고, 그 상부가 상기 테이블 가장자리 하부에 고정부착되는 가이드레일연동부(15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테이블(120)이 이동하면, 상기 테이블(120)의 가장자리 하부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연동부(153)는 상기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상기 테이블(120)의 이동을 유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렌즈투입수단(100)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렌즈배출수단(800)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단지,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은 검사할 콘텍트 렌즈를 검사 테이블인 회전인덱스(400) 상에 최종적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렌즈배출수단(800)은 양품으로 판정된 콘텍트 렌즈를 전달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렌즈투입수단(100) 상의 트레이(110)에 놓여있는 콘 텍트 렌즈는 아직 품질 검사를 받지않는 검사 받을 렌즈이고, 상기 렌즈배출수단(800) 상의 트레이(tray)에 놓여있는 렌즈는 양품으로 판정되어 최종적으로 출하될 렌즈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과 제2 렌즈회전수단(700)은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있어서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은 상기 렌즈투입수단(100)으로부터 검사 받을 콘텍트 렌즈를 전달받아 180도 회전시켜 후술할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렌즈회전수단(700)은 후술할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으로부터 전달받은 양품의 콘텍트 렌즈를 전달받아 180도 회전시켜 상기 렌즈배출수단(800) 상의 트레이(tray)에 내려놓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의 구성수단 및 작동을 함께 설명하고,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1000)에서 상이한 설치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상이한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회전수단(200)은 렌즈투입수단(100) 상측에 설치되고, 제2 렌즈회전수단(700)은 렌즈배출수단(800) 상측에 설치됨에 따라 상이한 동작이 존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은 트레이(tray)(110) 상에 오목 형상으로 놓여있는 검사할 콘텍트 렌즈(1)를 순차적으로 집어서 18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이 상기 검사할 콘텍트 렌즈(1)를 집어간 후에는,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이 다음 검사할 콘텍트 렌즈를 집어갈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110)는 전술한 렌즈투입수단(100)의 이동에 따라 소정 위치만큼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2 렌즈회전수단(700)은 후술할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으로부터 양품의 콘텍트 렌즈를 전달받아 180도 회전시켜 전술한 렌즈배출수단(800) 상의 트레이(tray)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제2 렌즈회전수단(700)이 양품의 렌즈를 내려놓는 포인트는 일정하므로, 상기 트레이(tray)를 이동시키는 렌즈배출수단(800)이 X축 또는 Y축으로 소정 위치만큼 이동한다는 것은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 및 제2 렌즈회전수단(700)은 상기 트레이(110) 상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집거나(제1 렌즈회전수단인 경우), 상기 트레이(tray)로 콘텍트 렌즈를 내려놓는(제2 렌즈회전수단인 경우) 제1 렌즈착탈부(210),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를 업다운시키는 제1 업/다운 실린더(220),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220)를 일면에 부착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체(230), 상기 제1 회전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축(미도시), 상기 제1 동력전달축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1 동력발생부(240), 상기 제1 회전체(230)와 상기 제1 동력발생부(24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200, 700)을 지지하는 렌즈회전수단 지지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와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220)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와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220)를 하나씩 마련하여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가 360도(도 5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1회전, 이하 "1 사이클"이라 함) 회전할 때마다 하나씩의 렌즈를 집어서 도 5에 도시된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으로 전달하거나, 더 많은 개수를 설치하여 1 사이클(360도) 회전할 때마다 더 많은 렌즈를 집어서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 속도와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두개씩의 제1 렌즈착탈부(210)와 제1 업/다운 실린더(220)를 채택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개의 제1 렌즈착탈부(210)(제1 업/다운 실린더(220))는 상호 180도(1/2 사이클) 비틀어져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180도 틀어져서 마련되는 이유는, 정확하게 180도(1/2 사이클) 회전시마다 트레이(110) 상에 놓여 있는 콘텍트 렌즈를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에 전달하기 위해서이다(즉, 1 사이클(360도) 회전시마다 두개의 콘텍트 렌즈를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에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는 콘텍트 렌즈를 집거나 내려놓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세부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착탈바디(211)와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와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220)를 고정 연결하는 소정 형상의 제1 결합부(216)와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 주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진공압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을 가지고, 그 일단(212)은 콘텍트 렌즈(1)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에 고정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홀(213)이 형성되어 있고, 콘텍트 렌즈(1)와 접촉하는 일단(212)측의 형상은 볼록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콘텍트 렌즈(1)와 접촉하는 부분이 볼록 형상인 이유는,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가 상기 렌즈투입수단(100) 상의 트레이(110)에 오목 형상으로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를 진공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집어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홀(213)의 시작점(콘텍트 렌즈(1)와 접촉하는 제1 렌즈착탈바디 일단측)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십자형(214)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홀(213)의 시작점인 제1 렌즈착탈바디(211)의 일단(212)측의 형상을 십자형(214)을 하는 이유는, 상기 제1 진공압발생부(미도시)가 발생한 진공압으로 상기 콘텍트 렌즈(1)를 집는 경우 상기 콘텍트 렌즈와 접촉하는 부분을 최대화함으로써, 상기 콘텍트 렌즈(1)의 가운데 부분만이 진공압을 받아 굴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진공압발생부(미도시)는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 주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의 내부에 형성된 홀(213)을 통해 진공압을 걸거나 진공압을 해제한다. 콘텍트 렌즈를 집을 때는 진공압을 걸고, 콘텍트 렌즈를 내려놓을 때에는 걸었던 진공압을 해제한다.
상기와 같이 진공압을 걸거나 해제하는 것을 반복하면,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와 콘텍트 렌즈는 계속해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211)는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피크(peek)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제1 회전체(23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를 고정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220)를 부착하고 있는 상기 제1 회전체(230)는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유지하고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제1 회전체(230)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체적인 이유는,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착탈부(210)에 의하여 집어지는 콘텍트 렌즈(1)가 180도 회전하여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회전체(230)의 중심부와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제1 동력발생부(24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상기 제1 회전체(230)에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축(미도시)이 마련된다. 즉, 일단은 상기 제1 회전체(230) 중심부에 고정 부착되고 타단은 제1 동력발생부(240)와 고정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동력발생부(240)로부터 발생하여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제1 회전체(23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200, 700)을 전체적으로 지 지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지지체들이 필요하다. 즉, 상기 제1 동력발생부(240)가 고정되도록 소정 형상의 지지체가 마련될 것이고, 상기 제1 회전체(230)에 부착되어 있는 제1 업/다운 실린더(220)와 제1 렌즈착탈부(210)가 정해진 괘적만을 그리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동력전달축(미도시)이 관통되게 하고 상기 제1 회전체(230)와 상기 제1 동력발생부(240) 사이에 설치되는 소정 형상의 렌즈회전수단 지지체(250)가 마련된다. 도 5에 도시된 렌즈회전수단 지지체(25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형이지만, 이것은 지지체(250)의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 상기 제1 동력전달축은 상기 지지체(25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체(23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동력전달축은 상기 고정된 지지체(250)의 관통홀에 끼워져 부드럽게 회전할 것이다.
상기 제1 동력전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체(230)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할 제1 동력발생부(240)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단히 상기 제1 동력전달축의 타단에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제1 회전체(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안정적인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동력전달축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풀리(pulley)(241), 상기 제1 풀리(pulley)(241)와 벨트(243)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 풀리(pulley)(242)와 상기 제2 풀리(pulley)(242)를 구동하는 제1 모터(244)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동력발생부(24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모터(244)를 구동하면 상기 제2 풀리(242)가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2 풀리(242)와 벨트(243)에 의하여 연동되는 제1 풀리(241)가 회전하고, 이 제1 풀리(241)와 타단이 결합되는 제1 동력전달축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1 동력전달축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체(230)가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제1 렌즈착탈부(210)가 도 5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제1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 600)의 정면도이다.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과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은 세부구성요소와 이들의 기본적인 동작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은 전술한 제1 렌즈회전수단(200)으로부터 회전된 콘텍트 렌즈를 전달받아 위치이동시켜(평면상에서 180도 회전) 후술할 콘텍트 렌즈 검사 테이블인 회전인덱스(400) 상에 올려놓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은 후술할 회전인텍스(400)에서 양품의 콘텍트 렌즈를 취출하기 위하여 양품으로 판정된 콘텍트 렌즈를 집어 위치이동시켜(평면상에서 180도 회전) 전술한 제2 렌즈회전수단(700)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 600)의 구성수단 및 작동을 함께 설명하고,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1000)에서 상이한 설치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상이한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은 회전인덱 스(400) 좌측에 설치되고,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은 회전인덱스(400) 우측에 설치됨에 따라 상이한 동작이 존재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은 제1 렌즈회전수단(200)의 제1 렌즈착탈부(210) 상에 볼록 형상으로 놓여있는 검사할 콘텍트 렌즈(2)를 순차적으로 집어서 위치 이동시킨다(평면상에서 180도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은 후술할 회전인덱스(400)에서 양품의 콘텍트 렌즈를 집어서 위치이동시켜(평면상에서 180도 회전) 전술한 제2 렌즈회전수단(700)의 제1 렌즈착탈부(210)에 전달한다.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은 상기 트레이(110) 상의 콘텍트 렌즈를 집은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에 의하여 180도 회전시킨(트레이 상의 오목 형상으로 놓여있는 렌즈를 수직상에서 180도 회전시켜 볼록 형상으로 놓여있도록 회전시킨) 콘텍트 렌즈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전달받아서 위치이동시켜(수평상에서 180도 회전) 후술할 회전인덱스(400) 상에 내려놓거나(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인 경우), 회전인덱스(400) 상의 양품의 콘텍트 렌즈를 집어서 위치이동시켜(수평상에서 180도 회전) 전술한 제2 렌즈회전수단(700)으로 콘텍트 렌즈를 전달하는(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인 경우) 제2 렌즈착탈부(310),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를 업다운시키는 제2 업/다운 실린더(320),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320)를 일면에 부착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체(330), 상기 제2 회전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축(340), 상기 제2 동력전달축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하 는 제2 동력발생부(360), 상기 제2 회전체(330)와 상기 제2 동력발생부(36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 600)을 지지하는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 지지체(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와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320)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와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320)를 하나씩 마련하여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가 360도(도 7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1회전, 이하 "1 사이클"이라 함)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으로부터 하나씩의 렌즈를 전달받아서 후술할 회전인덱스(400)로 전달하거나, 더 많은 개수를 설치하여 1 사이클(360도) 회전할 때마다 더 많은 렌즈를 전달받아서 회전인덱스(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 속도와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두개씩의 제2 렌즈착탈부(310)와 제2 업/다운 실린더(320)를 채택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두개의 제2 렌즈착탈부(310)(제2 업/다운 실린더(320))는 상호 180도 각도를 유지하여 마주보고 형성된다. 이와 같이 180도 각도를 유지하여 마주보고 마련되는 이유는, 정확하게 180도(1/2 사이클) 회전시마다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의 제1 렌즈착탈부(210)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를 전달받아서 후술할 회전인덱스(400)의 소정 포인트에 내려놓기 위해서이다(즉, 1 사이클(360도) 회전시마다 두개의 콘텍트 렌즈를 회전인덱스(400)상에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는 콘텍트 렌즈를 집거나 내려놓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세부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착탈바디(311)와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와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320)를 고정 연결하는 소정 형상의 제2 결합부(316)와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 주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진공압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을 가지고, 그 일단(312)은 콘텍트 렌즈(2)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타단은 상기 제2 결합부(316)에 고정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홀(313)이 형성되어 있고, 콘텍트 렌즈(2)와 접촉하는 일단(312)측의 형상은 오목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콘텍트 렌즈(2)와 접촉하는 부분이 오목 형상인 이유는,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가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200)의 제1 렌즈착탈부(210)에 볼록 형상으로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를 진공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집어서 전달받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홀(313)의 시작점(콘텍트 렌즈(2)와 접촉하는 제2 렌즈착탈바디 일단측)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십자형(314)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홀(313)의 시작점인 제2 렌즈착탈바디(311)의 일단(312)측의 형상을 십자형(314)을 하는 이유는, 상기 제2 진공압발생부(미도시)가 발생한 진공압으로 상기 콘텍트 렌즈(2)를 집는 경우 상기 콘텍트 렌즈(2)와 접촉하는 부분을 최대화함으로써, 상기 콘텍트 렌즈(2)의 가운데 부분만이 진공압을 받아 굴곡이 발생 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진공압발생부(미도시)는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 주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의 내부에 형성된 홀(313)을 통해 진공압을 걸거나 진공압을 해제한다. 콘텍트 렌즈를 집을 때는 진공압을 걸고, 콘텍트 렌즈를 내려놓을 때에는 걸었던 진공압을 해제한다.
상기와 같이 진공압을 걸거나 해제하는 것을 반복하면,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와 콘텍트 렌즈(2)는 계속해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311)는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피크(peek)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제2 회전체(33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를 고정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320)를 부착하고 있는 상기 제2 회전체(330)는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유지하고 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제2 회전체(330)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체적인 이유는,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렌즈착탈부(310)에 의하여 집어지는 콘텍트 렌즈(2)가 수평상에서 위치이동하여(180도 회전하여) 후술할 회전인덱스(4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7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회전체(330)의 중심부와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제2 동력발생부(36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상기 제 2 회전체(330)에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축(340)이 마련된다. 즉, 일단은 상기 제2 회전체(330) 중심부에 고정 부착되고 타단은 제2 동력발생부(360)와 고정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동력발생부(360)로부터 발생하여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제2 회전체(33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 600)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지지체들이 필요하다. 즉, 상기 제2 동력발생부(360)가 고정되도록 소정 형상의 지지체가 마련될 것이고, 상기 제2 회전체(330)에 부착되어 있는 제2 업/다운 실린더(320)와 제2 렌즈착탈부(310)가 정해진 괘적만을 그리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동력전달축(340)이 관통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체(330)와 상기 제2 동력발생부(360) 사이에 설치되는 소정 형상의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 지지체(350)가 마련된다. 실제 상기 제2 동력전달축(340)은 상기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 지지체(35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회전체(33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동력전달축(340)은 상기 고정된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 지지체(350)의 관통홀에 끼워져 부드럽게 회전할 것이다.
상기 제2 동력전달축(34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체(330)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할 제2 동력발생부(360)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단히 상기 제2 동력전달축(340)의 타단에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제2 회전체(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안정적인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동력전달축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3 풀리 (pulley)(361), 상기 제3 풀리(pulley)(361)와 벨트(362)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4 풀리(pulley)(363)와 상기 제4 풀리(pulley)(363)를 구동하는 제2 모터(364)를 포함하여 상기 제2 동력발생부(36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모터(364)를 구동하면 상기 제4 풀리(363)가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4 풀리(363)와 벨트(362)에 의하여 연동되는 제3 풀리(361)가 회전하고, 이 제3 풀리(361)와 타단이 결합되는 제2 동력전달축(340)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2 동력전달축(34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2 회전체(330)가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제2 렌즈착탈부(310)가 도 7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일 구성수단인 회전인덱스(400)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상기 회전인덱스(400)는 전술한 제1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 사이에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인덱스(400)는 전술한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으로부터 전달받은 검사할 렌즈가 올려놓여지는 다수개의 렌즈수용부(411)가 마련되는 판상테이블(410)과 상기 판상테이블(410)의 중앙 하부에 고정연결되는 테이블회전축(430)과 상기 테이블회전축(430)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소정 형상을 가지는 지지체(470)가 모터(450)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상테이블(410)은 외곽을 따라 다수개의 홀(41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홀(412) 상에 렌즈가 올려놓여지는 렌즈수용부(411)가 마련된다. 상기 렌즈수용부(4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412)을 덮어 씌우는 AR 글래스(glass)(413)와 상기 AR 글래스(413)의 외곽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AR 글래스(413)의 중심부분과 단차를 형성시키는 기역자 모양의 글래스가이드(glass guide)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된 AR 글래스(413) 상의 내부 공간에 콘텍트 렌즈(415)가 놓여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모터(450)가 구동되고, 구동되는 모터(450)에서 발생하는 회전동력에 따라 상기 테이블회전축(430)이 연동한다. 그러면, 상기 테이블회전축(430)과 고정연결되어 있는 판상테이블(410)은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판상테이블(410) 상에 마련되는 렌즈수용부(411)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목적(콘텍트 렌즈의 분리검사, 불량품의 렌즈 취출, AR 글래스 청소 등의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12개를 마련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의 제2 렌즈착탈부(310)로부터 검사할 렌즈가 공급되는 포인트(#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동일 거리차를 가지는 지점(#1 ~ #12)에 상기 판상테이블(410)의 외곽을 따라 12개의 렌즈수용부(411)(제1 렌즈수용부 ~ 제12 렌즈수용부)가 형성된다.
도 10은 상기 판상테이블(410) 상의 렌즈수용부(411)들과 관련 구성수단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수용부(411)는 12개로 구성되어 있다. 기준 포인트(#1)인 제1 렌즈수용부로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제2 렌즈수용부(#2 포인트), 제3 렌즈수용부(#3 포인트), 제4 렌즈수용부(#4 포인트), 제5 렌즈수용부(#5 포인트), 제6 렌즈수용부(#6 포인트), 제7 렌즈수용부(#7 포인트), 제8 렌즈수용부(#8 포인트), 제9 렌즈수용부(#9 포인트), 제10 렌즈수용부(#10 포인트), 제11 렌즈수용부(#11 포인트), 제12 렌즈수용부(#12 포인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해당 포인트에 위치하는 렌즈수용부(411)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가 최초 동작하는 시점에서의 위치이다. 따라서, 상기 각 포인트에 위치하는 렌즈수용부(411)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작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경된다.
상기 제1 렌즈수용부는 전술한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의 제2 렌즈착탈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콘텍트 렌즈가 최초로 놓여지는 포인트(#1)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300)의 제2 렌즈착탈부(310)는 상기 제1 렌즈수용부가 위치하는 포인트(#1)에 최초의 콘텍트 렌즈를 내려놓는다. 즉, 상기 판상테이블(4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제1 렌즈수용부, 제12 렌즈수용부, 제11 렌즈수용부, 제10 렌즈수용부 순으로 계속해서 포인트 #1에 위치하기 때문에 판상테이블(410)로 전달되는 검사할 콘텍트 렌즈는 순차적으로 제1 렌즈수용부, 제12 렌즈수용부, 제11 렌즈수용부, 제10 렌즈수용부에 놓여진다.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포인트 #1에 위치하는 렌즈수용부 상의 놓여지는 콘텍트 렌즈는 볼록 형상으로 놓여진다는 것을 전술한 바에 의할 때 당연하다.
도 10에서 포인트 #3과 포인트 #5는 두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두개의 카메라는 상기 포인트 #3과 포인트 #5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를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인트 #3은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의 동작 중에 포인트 #3에 위치한 렌즈수용부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의 중심 부분이 상기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하여 촬영되는 포인트이고, 상기 포인트 #5는 중심부분이 촬영된 콘텍트 렌즈이면서 상기 포인트 #5에 위치한 렌즈수용부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카메라 중 나머지에 의하여 촬영되는 포인트이다.
도 10에서 포인트 #7은 양품의 콘텍트 렌즈를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가 취출해가는 포인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600)의 제2 렌즈착탈부(310)는 양품의 콘텍트 렌즈를 계속해서 집어가기 위해서 포인트 #7 지점을 반복적으로 거쳐가야 한다.
도 10에서 포인트 #8과 포인트 #9는 불량품의 콘텍트 렌즈를 취출해가는 지점이다. 따라서, 도 10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 지점에는 리젝(reject)수단(570)이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인트 #10는 샘플링을 위한 포인트인데, 불량품의 렌즈를 샘플링하여 불량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필요한 포인트이다. 상기 불량품 렌즈를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진공청소기와 같은 샘플링 장치가 상기 포인트 #10 지점에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도 10에서 포인트 #2, #4, #6은 상기 판상테이블(410) 상에서 회전하는 렌즈수용부(411)에 놓여있는 렌즈를 일시 수용하여 대기시키는 포인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포인트 #10에서 불량품 렌즈를 취출하여 불량원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젝수단(570)에 의하여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서 불량품 렌즈를 취출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작업자가 제어수단(미도시)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샘플링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수단(미도시)이 각각의 구성수단들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기 리젝수단(570)은 불량품의 렌즈를 취출하는 작동을 수행할뿐 아니라, 상기 불량품의 렌즈가 놓여있는 AR 글래스(413) 상에 남아있는 먼지, 렌즈잔재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리젝수단(570)은 불량품의 렌즈와 이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제1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의 불량품 렌즈와 접촉하는 제1 흡입부와, 상기 제1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제1 흡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의 불량품 렌즈와 이물질의 흡입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진공압형성부는 가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와 같은 것으로, 진공압을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진공압 형성부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에 존재하는 불량품의 렌즈와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하여 소정의 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1 진공압형성부에 동작에 따라 포인트 #8 및 포인 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에 존재하는 불량품의 렌즈 및 이물질이 제1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상기 제1 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1 흡입부(571)와 결합하기 위하여 일측에 제1 개구부(57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57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개구부(57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원통관(57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원통관(573)의 외면 소정위치에 상기 제1 진공압형성부와 결합하는 제2 개구부(574)가 마련된다. 그리고, 외곽을 따라 다수개의 구멍(579)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1 원형판상부재(575)와 상기 두개의 제1 원형판상부재(575)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원형밸브(576)가 상기 제1 원통관(573)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1 원형판상부재(575)와 제1 원형밸브(576)는 제1 연결축(577)에 의하여 나란히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축(577)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원형판상부재(575)와 제1 원형밸브(576)를 상기 제1 원통관(573) 내부에서 이동하게 하는 제1 실린더(578)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제1 진공압형성부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1 흡입부(571)를 통해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에 존재하는 불량품의 렌즈와 이물질이 상기 제1 진공압형성부로 빨려간다. 이 때, 포인트 #10에서 불량품 렌즈를 샘플링한다는 이유 등으로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에 존재하는 불량품의 렌즈를 빨아들이지 않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제1 원형밸브(576)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원통관(573)을 폐쇄하여야 한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제1 원형밸브(576)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원통관(573)을 폐쇄하기 위해서, 제어수단(미도시)은 상기 제1 실린더(578)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실린더(578)의 구동에 따라 제1 연결축(577)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원형판상부재(575)와 제1 원형밸브(576)가 상기 제1 원통관(573) 내부를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 원형밸브(576)가 상기 제1 원통관(573)을 폐쇄할 수 있다. 만약, 다시 상기 제1 원통관(573)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원형밸브(576)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렌즈수용부(411) 상에 존재하는 먼지, 렌즈잔재 등의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 지점에 진공청소장치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청소장치는 상기 회전인덱스(400) 주변 소정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공청소장치는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리젝수단(570)과 구성과 동작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상술한 리젝수단(570)을 참조하여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진공청소장치는 이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제2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의 글 래스와 접촉하는 제2 흡입부와, 상기 제2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제2 흡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의 이물질의 흡입을 개폐하는 제2 개폐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 진공압형성부는 가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와 같은 것으로, 진공압을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진공압 형성부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의 글래스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하여 소정의 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2 진공압형성부에 동작에 따라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2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상기 제2 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2 흡입부(571)와 결합하기 위하여 일측에 제3 개구부(572)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개구부(57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 개구부(57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원통관(57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원통관(573)의 외면 소정위치에 상기 제2 진공압형성부와 결합하는 제4 개구부(574)가 마련된다. 그리고, 외곽을 따라 다수개의 구멍(579)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2 원형판상부재(575)와 상기 두개의 제2 원형판상부재(575)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원형밸브(576)가 상기 제2 원통관(573)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2 원형판상부재(575)와 제2 원형밸브(576)는 제2 연결축(577)에 의하여 나란히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축(577)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원형판상부재(575)와 제2 원형밸브(576)를 상기 제2 원통관(573) 내부에서 이동하게 하는 제2 실린더(578)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제2 진공압형성부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2 흡입부(571)를 통해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의 글래스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제2 진공압형성부로 빨려간다. 이 때, 렌즈수용부(411) 상에 발생하는 이물질의 정도 및 종류를 분석하거나 전기를 절약한다는 이유 등으로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한 렌즈수용부(411)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빨아들이지 않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제2 원형밸브(576)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원통관(573)을 폐쇄하여야 한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제2 원형밸브(576)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원통관(573)을 폐쇄하기 위해서, 제어수단(미도시)은 상기 제2 실린더(578)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 실린더(578)의 구동에 따라 제2 연결축(577)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원형판상부재(575)와 제2 원형밸브(576)가 상기 제2 원통관(573) 내부를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2 원형밸브(576)가 상기 제2 원통관(573)을 폐쇄할 수 있다. 만약, 다시 상기 제2 원통관(573)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원형밸브(576)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에 의하면, 콘텍트 렌즈 검사를 작업자에 의해 손수 이루어지지 않고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텍트 렌즈 검사를 위한 카메라를 두개 마련하여 렌즈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을 나뉘어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토대로 제어수단이 렌즈의 양부를 판별함으로써, 더 정확한 렌즈의 양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 검사가 계속되는 동안 렌즈가 올려지는 글래스를 지속적으로 청소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불량품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2)

  1. 검사할 렌즈가 놓여지는 트레이(tray)를 X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와, 상기 트레이(tray)를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로 구성된 렌즈투입수단과;
    상기 트레이(tray) 상의 검사할 렌즈를 순차적으로 집어서 180도 회전시키는 제1 렌즈회전수단과;
    상기 제1 렌즈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된 렌즈를 전달받아 렌즈 검사 테이블인 회전인덱스 상에 올려놓는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과;
    상기 회전인덱스 상에 놓여있는 렌즈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각각 영상을 획득하는 두개의 카메라와;
    상기 획득된 영상을 검사하여 렌즈의 양부를 판별하고 렌즈검사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따라 불량품으로 판정된 렌즈를 배출하기 위한 리젝(reject)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따라 양품으로 판정된 렌즈를 취출하기 위하여 집어서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과;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위치 이동된 양품 렌즈를 전달받아 180도 회전시켜 트레이(tray)상에 올려놓는 제2 렌즈회전수단과;
    상기 양품 렌즈가 놓여지는 트레이(tray)를 X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 동부와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로 구성된 렌즈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투입수단과 상기 렌즈배출수단의 트레이(tray) 상의 렌즈는 오목 형상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투입수단과 렌즈배출수단의 X축 이동부와 Y축 이동부는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부와 Y축 이동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형이되, 그 내곽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홈을 관통하여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사각판형의 가이드판과, 상기 테이블이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슬라이드될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 길게 형성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관통시키고 상기 스크류와 맞물려서 연동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테이블 하부에 고정부착되는 스크류연동부재와, 상기 스크류의 양단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스크류지지체와, 상기 스크류지지체에 수용된 스크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테이블의 이동 방향으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두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있고, 그 상부가 상기 테이블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 연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렌즈 검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은,
    상기 트레이(tray)로부터 렌즈를 집거나, 상기 트레이(tray)로 렌즈를 내려놓는 제1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1 렌즈 착탈부를 업다운시키는 제1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를 일면에 부착하되,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중심부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축과, 상기 제1 동력전달축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1 동력발생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축이 관통되게 하고,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동력발생부 사이에 마련되는 렌즈회전수단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는 2개씩 마련되되, 상호 180도 틀어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착탈부는 일단이 렌즈와 접촉하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제1 렌즈착탈바디와,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의 타단과 상기 제1 업/다운 실린더를 연결하는 소정형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의 홀을 통해 진공압을 걸거나 해제하기 위한 제1 진공압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접촉하는 제1 렌즈착탈바디의 일단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은,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 일단측의 형상이 십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착탈바디는 피크(peek)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1 동력전달축과 연결되는 제1 풀리(pulley)와 상기 제1 풀리(pulley) 와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 풀리(pulley)와 상기 제2 풀리(pulley)를 구동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된 렌즈를 전달받거나, 상기 제1 및 제2 렌즈회전수단으로 양품의 렌즈를 전달하는 제2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2 렌즈 착탈부를 업다운시키는 제2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를 일면에 부착하되,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의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중심부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축과, 상기 제2 동력전달축에 전달할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2 동력발생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축이 관통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동력발생부 사이에 마련되는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착탈부와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는 2개씩 마련되되, 상호 마주보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착탈부는 일단이 렌즈와 접촉하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제2 렌즈착탈바디와,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의 타단과 상기 제2 업/다운 실린더를 연결하는 소정 형상의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의 홀을 통해 진공압을 걸거나 해제하기 위한 제2 진공압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접촉하는 제2 렌즈착탈바디의 일단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은,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 일단측의 형상이 십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착탈바디는 피크(peek)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2 동력전달축과 연결되는 제3 풀리(pulley)와 상기 제3 풀리(pulley)와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4 풀리(pulley)와 상기 제4 풀리(pulley)를 구동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인덱스는,
    다수개의 홀이 외곽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홀 상에 상기 검사할 렌즈가 올려놓여지는 다수개의 렌즈수용부가 마련되는 원형의 판상테이블과, 상기 판상테이블 중앙 하부에 고정연결되는 테이블회전축과, 상기 테이블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판상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렌즈수용부는 상기 판상테이블의 외곽을 따라 12개(제1 렌즈수용부 ~ 제12 렌즈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검사할 렌즈가 공급되는 포인트(#1)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동일 거리차로 배열되는 12개의 포인트(#1 ~ #1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렌즈수용부는,
    상기 홀을 덮는 원형의 AR 글래스(glass)와, 상기 AR 글래스의 외곽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AR 글래스의 중심부분과 단차를 형성시키는 글래스가이드(glass guid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1은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렌즈가 놓여지는 포인트이고, 상기 포인트 #3 및 포인트 #5는 상기 두개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포인트이고, 상기 포인트 #7은 상기 제2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이 양품 렌즈를 집어가는 포인트이고, 상기 포인트 #10는 불량품 렌즈가 샘플링되는 포인트이고, 상기 포인트 #2 및 포인트 #4 및 포인트 #6은 회전하는 렌즈를 일시 수용하는 버퍼 포인트이고,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는 상기 리젝(reject)수단에 의하여 불량품 렌즈와 글래스 상의 이물질이 취출되는 포인트로 사 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수단으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포인트 #1에 위치하는 렌즈수용부 상의 놓여지는 렌즈는 볼록 형상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3은 해당 렌즈수용부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의 중심 부분이 상기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하여 촬영되는 포인트이고, 상기 포인트 #5는 해당 렌즈수용부에 놓여있는 콘텍트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카메라 중 나머지에 의하여 촬영되는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10에서 불량품 렌즈를 샘플링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리젝(reject)수단이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하는 렌즈수용부로부터 불량품 렌즈를 취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 사 장치.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리젝(reject)수단은,
    상기 렌즈를 검사하는 동안 상기 불량품 렌즈와 이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해 계속 작동하는 제1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 상의 불량품 렌즈와 접촉하는 제1 흡입부와, 상기 제1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제1 흡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포인트 #8 및 포인트 #9에 위치한 렌즈수용부 상의 불량품 렌즈와 이물질의 흡입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개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1 흡입부와 결합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개구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원통관과, 상기 제1 원통관의 외면 소정위치에 상기 제1 진공압형성부와 결합하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제1 원통관에 삽입되되, 외곽을 따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1 원형판상부재와, 상기 두개의 제1 원형판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원형밸브와, 상기 제1 원형판상부재와 제1 원형밸브를 나란히 연결하는 제1 연결축과, 상기 제1 연결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원형판상부재와 제1 원형밸 브를 상기 제1 원통관 내부에서 이동하게 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30.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를 지나가는 각각의 렌즈수용부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상기 회전인덱스 주변 소정 위치에 진공청소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장치는,
    상기 렌즈를 검사하는 동안 상기 이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해 계속 작동하는 제2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하는 렌즈수용부의 글래스와 접촉하는 제2 흡입부와, 상기 제2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제2 흡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포인트 #11 및 포인트 #12에 위치한 렌즈수용부의 글래스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흡입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2 흡입부와 결합하는 제3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 개구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원통관과, 상기 제2 원통관의 외면 소정위치에 상기 제2 진공압형성부와 결합하는 제4 개구부와, 상기 제2 원통관에 삽입되되, 외곽을 따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2 원형판상부재와, 상기 두개의 제2 원형판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원형밸브와, 상기 제2 원형판상부재와 제2 원형밸브를 나란히 연결하는 제2 연결축과, 상기 제2 연결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원형판상부재와 제2 원형밸브를 상기 제2 원통관 내부에서 이동하게 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KR1020040077126A 2004-09-24 2004-09-24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KR10055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126A KR100557906B1 (ko) 2004-09-24 2004-09-24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126A KR100557906B1 (ko) 2004-09-24 2004-09-24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87A KR20040099187A (ko) 2004-11-26
KR100557906B1 true KR100557906B1 (ko) 2006-03-10

Family

ID=3737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126A KR100557906B1 (ko) 2004-09-24 2004-09-24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9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144B1 (ko) 2015-10-06 2017-03-20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비젼 검사장치
KR101732460B1 (ko) 2016-10-13 2017-05-04 다래비젼주식회사 콘택트 렌즈 검사장치
KR101881160B1 (ko) 2017-04-28 2018-07-23 김태수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KR20200031814A (ko) 2018-09-17 2020-03-25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자동화 비젼 검사장치
KR20200094398A (ko) 2019-01-30 2020-08-07 (주) 디엠지 픽킹 구조 개선형 콘택트렌즈 픽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40B1 (ko) * 2016-11-18 2018-08-10 (주)비엠지 콘텍트렌즈 자동세척장치
CN114789157B (zh) * 2022-01-20 2024-01-23 东莞市创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镜片镀ar膜设备及镀ar膜方法
CN116297542B (zh) * 2022-12-09 2023-10-31 海口迅景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隐形眼镜缺陷的自动检测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144B1 (ko) 2015-10-06 2017-03-20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비젼 검사장치
KR101732460B1 (ko) 2016-10-13 2017-05-04 다래비젼주식회사 콘택트 렌즈 검사장치
KR101881160B1 (ko) 2017-04-28 2018-07-23 김태수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KR20200031814A (ko) 2018-09-17 2020-03-25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자동화 비젼 검사장치
KR20200094398A (ko) 2019-01-30 2020-08-07 (주) 디엠지 픽킹 구조 개선형 콘택트렌즈 픽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87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1863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wafers
US80896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defects in the edge area of a wafer and use of the device in inspection system for wafers
CN104597055B (zh) 多工位并行的产品外观检测系统
KR100557906B1 (ko)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CN108152005B (zh) 一种自动取放测量装置
KR101499462B1 (ko) 백라이트 유닛의 소형 비전 검사장치
KR100279260B1 (ko) 액정 셀의 액정 주입 및 액정 주입구 봉입검사 시스템
KR102048971B1 (ko)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
KR101202301B1 (ko) 카메라모듈 연속 검사 및 초점 조정 장치
JP5784815B1 (ja) 外観検査装置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3382741B2 (ja) 樹脂ペレットの検査方法及び装置
JP7218340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70138096A (ko) 렌즈유닛 검사장치
CN115350950A (zh) 一种光纤插芯端面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JP2002243654A (ja) 製品検査装置及び該製品検査装置を用いた製品検査方法
CN220508804U (zh) 一种外观检测设备
CN218098924U (zh) 一种角度调整装置和检测设备
JP4981703B2 (ja) 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CN218071592U (zh) 一种屏幕压接装置
CN215263168U (zh) 一种检测设备
CN217237796U (zh) 一种透明产品检测设备
CN217505622U (zh) 外观检测装置
KR102163813B1 (ko) 피씨비 자동검사방법 및 장치
CN218014257U (zh) 一种光纤插芯端面检测设备
CN215866447U (zh) 镜片检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