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160B1 -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160B1
KR101881160B1 KR1020170054961A KR20170054961A KR101881160B1 KR 101881160 B1 KR101881160 B1 KR 101881160B1 KR 1020170054961 A KR1020170054961 A KR 1020170054961A KR 20170054961 A KR20170054961 A KR 20170054961A KR 101881160 B1 KR101881160 B1 KR 10188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mold
guide
unit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2017005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92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 B29D11/00221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using p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D11/0098Inspect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73Convey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92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23Transferring contact lenses
    • B29D11/0024Transferring contact lenses using a vacuum suction gri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콘택트렌즈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며 오차없이 정확하게 비젼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Contact lens separation and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콘택트렌즈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며 오차없이 정확하게 비젼검사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하드렌즈와 소프트렌즈 이외에 산소투과성 렌즈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하드 콘택트렌즈는 일반 근시의 교정뿐 아니라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교정하기 어려운 난시교정도 훌륭하게 해결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어 온 렌즈이며, 최근에는 콘택트렌즈의 이물 및 깨짐을 검사하는 콘택트 렌즈 검사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5790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57906호의 경우, 콘택트렌즈를 양품렌즈와 불량품렌즈로 연속적으로 검사하여 개별취출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콘택트렌즈를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상기 콘택트렌즈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는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콘택트렌즈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며 오차없이 정확하게 비젼검사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57906호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콘택트렌즈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며 오차없이 정확하게 비젼검사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성형면이 형성된 하형과,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성형되는 콘택트렌즈와, 상기 하형에 합형되고 저면에 상기 하형의 성형면과 대응되는 성형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형으로 구성되는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분리 및 검사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를 상형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몰드공급부와; 상기 몰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하형을 분리하는 하형분리부와; 상기 하형분리부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된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성형된 콘택트렌즈의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단하는 링절단부와; 상기 링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콘택트렌즈를 상기 하형의 성형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렌즈분리부와; 상기 렌즈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콘택트렌즈를 비젼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형의 하부에 외경크기가 상기 하형의 외경보다 큰 환형턱이 형성되고,상기 하형분리부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 중 상기 하형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상형의 환형턱이 안착되는 상부가 개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몰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로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몰드이송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로 공급된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 중 상기 상형의 성형면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성형면에 콘택트렌트가 성형된 상기 하형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착홈내로 분리시키는 가압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몰드이송부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의 상형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전측방향에서 후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크부의 삽입홈으로 상기 상형의 상부를 삽입시키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포크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절단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중간부의 간격이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형성된 콘택트렌즈의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중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형성된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단하는 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절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날부의 상측에 상기 날부로부터 절단된 상기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을 흡입하는 흡입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회전판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렌즈분리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링절단부로부터 공급되는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을 회전이동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타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타측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중간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일측가이드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상기 타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타측가이드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가이드부와 타측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되어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가이드부의 타측으로 이동된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으로부터 콘택트렌즈를 진공흡착하여 상기 회전판의 타측 외부로 이송하는 진공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렌즈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콘택트렌즈가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콘택트렌즈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검사를 위해 상기 콘택트렌즈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콘택트렌즈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렌즈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렌즈정렬부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이동암과; 상기 이동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콘택트렌즈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며 오차없이 정확하게 비젼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택트렌즈 몰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하형분리부의 가이드레일과 몰드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몰드이송부가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로 콘택트렌즈 몰드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하형분리부의 가압분리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하형분리부의 가압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성형면에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을 공급레일로 이송하기 위한 하형이송부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6은 링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링절단부의 상부에 흡입부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8은 렌즈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렌즈분리부의 진공이송부와 안착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렌즈분리부의 진공이송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렌즈정렬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24는 검사부의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5는 검사부의 카메라부가 안착프레임의 전측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콘택트렌즈 몰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성형면(51a)이 형성된 하형(51)과, 상기 하형(51)의 성형면(51a)에 성형되는 콘택트렌즈(52)와, 상기 하형(51)에 합형되고 저면에 상기 하형(51)의 성형면(51a)과 대응되는 성형면(53a)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형(53)으로 구성되는 콘택트렌즈 몰드(5)로부터 콘택트렌즈(52)를 분리 및 검사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몰드공급부(10), 하형분리부(20), 링절단부(30), 렌즈분리부(40) 및 검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몰드공급부(1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복수의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를 상형(53)이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로 상기 몰드공급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파츠 피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형분리부(20)는 상기 몰드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콘택트렌트 몰드(5)로부터 하형(51)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몰드공급부(10)와 상기 하형분리부(20) 사이에는 상기 몰드공급부(10)에서 상기 하형분리부(20)로 복수의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레일(11)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링절단부(30)는 상기 하형분리부(20)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된 상기 하형(51)의 성형면(51a)에 성형된 콘택트렌즈(52)의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도 1의 b)의 P)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하형분리부(20)와 상기 링절단부(30) 사이에는 상기 하형분리부(20)에서 상기 링절단부(30)로 복수의 상기 하형(51)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레일(15)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분리부(40)는 상기 링절단부(30)에 의해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P)이 절단된 상기 콘택트렌즈(52)를 상기 하형(51)의 성형면(51a)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링절단부(30)와 상기 렌즈분리부(40) 사이에 상기 링절단부(30)에서 상기 렌즈분리부(40)로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P)이 절단된 상기 콘택트렌즈(52)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레일(35)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사부(50)는 상기 렌즈분리부(40)로부터 분리된 상기 콘택트렌즈(52)를 비젼검사하게 된다.
도 4는 하형분리부의 가이드레일과 몰드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의 하부에는 환형턱(5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형(53)의 환형턱(53b)의 외경크기는 상기 하형(51)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형분리부(2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레일(210), 몰드이송부(220) 및 가압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상부 내측에 가이드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11)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가이드홈(211a)와 상부가이드홈(21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홈(211a)내에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 중 상기 하형(51)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홈(211b)은 제 1, 2상부가이드홈(211b1, 211b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상부가이드홈(211b1)은 상기 하부가이드홈(211a)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하부가이드홈(211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부가이드홈(211b2)은 상기 제 1상부가이드홈(211b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상부가이드홈(211b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부가이드홈(211b2)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 1상부가이드홈(211b1)의 내경크기는 상기 제 2상부가이드홈(211b2)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부가이드홈(211b1)내에 상기 상형(53)의 환형턱(53b)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상부가이드홈(211b1)의 바닥면에 상기 상형(53)의 환형턱(53b)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하부 내측에 안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이송부(220)는 상기 몰드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를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특정위치로 간헐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몰드이송부(2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포크부(221), 전후이동부재(222) 및 좌우이동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크부(221)의 후측에는 상기 포크부(221)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수평함몰되는 삽입홈(도 9의 221a)이 상기 포크부(22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크부(221)의 삽입홈(221a)내에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포크부(221)는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직교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222)는 상기 포크부(22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포크부(221)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크부(221)를 상기 포크부(221)의 전측방향에서 후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크부(221)의 삽입홈(221a)으로 상기 상형(53)의 상부를 삽입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223)는 상기 전후이동부재(22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부재(222)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크부(221)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특정위치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222)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또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66539호 등으로 공지된 직선이동부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몰드이송부가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로 콘택트렌즈 몰드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일측부 후측방향에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의 상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감지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13)가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을 감지할 경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221)의 삽입홈(221a)내에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포크부(221)는 상기 전후이동부재(222)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 및 상기 포크부(221)와 함께 전후이동부재(222)는 상기 좌우이동부재(223)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221)는 상기 전후이동부재(222)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전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크부(221)의 삽입홈(221a)으로부터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의 상부가 이탈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221)와 함께 전후이동부재(222)는 상기 좌우이동부재(223)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타측부에서 일측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하형분리부의 가압분리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분리부(230)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하이동몸체(231), 상하이동축(232) 및 상하이동부재(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231)는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후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14)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232)은 상기 상하이동몸체(231)의 하부에 상기 상하이동몸체(231)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33)는 상기 지지프레임(214)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되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33)의 하부가 상기 상하이동몸체(231)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부재(233)는 상기 상하이동몸체(231)와 함께 상기 상하이동축(232)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분리부(230)의 상하이동축(232)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특정위치, 즉,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공급된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 중 상기 상형(53)의 성형면(53a)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성형면(51a)에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상기 하형(51)을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안착홈(212)내로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형(51)이 분리된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을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상형배출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형배출부(2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배출레일(251)과 배출대(2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레일(251)의 전측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타측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출레일(251)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타측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후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대(252)의 상부는 상기 배출레일(251)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하형(51)이 분리된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5)의 상형(53)은 상기 배출레일(251)내로 밀려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대(252)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하형분리부의 가압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성형면에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을 공급레일로 이송하기 위한 하형이송부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안착홈(212)내로 분리된 성형면(51a)에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상기 하형(51)을 상기 가이드레일(210)에서 상기 하형분리부(20)와 상기 링절단부(30) 사이에 구비되는 공급레일(15)로 이송하기 위한 하형이송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형이송부(24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하이동몸체(241), 상하이동부재(242), 좌우이동프레임(243) 및 좌우이동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타측부 하부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홈(212)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타측부 하부 방향에 상기 공급레일(15)의 일측이 수평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급레일(15)의 일측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241)는 상기 공급레일(15)의 일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타측부 하부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홈(212)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2)으로 분리된 성형면(51a)에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상기 하형(51)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몸체(24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42)는 상기 공급레일(15)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45)의 일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몸체(241)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프레임(243)은 상부좌우이동프레임(243a)과 하부좌우이동프레임(24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좌우이동프레임(243a)은 도 5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타측부 하부와 상기 공급레일(15)의 일측부 상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공급레일(1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성형면(51a)에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상기 하형(51)을 상기 공급레일(15)의 타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하부좌우이동프레임(243b)은 상기 상부좌우이동프레임(243a)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244)는 상기 하부좌우이동프레임(243b)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245)의 타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되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몸체(241)가 상기 공급레일(15)의 일측 내부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244)에 의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프레임(243)을 상기 공급레일(1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은 링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링절단부(3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 회전판(320) 및 가이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310)은 상기 공급레일(15)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310)은 상기 베이스판(310)의 중앙에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3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30)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상기 회전판(310)의 외측으로 일정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안착프레임(311)의 상부에 안착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0)의 일측과 상기 회전판(310)의 일측 사이의 이격거리(D1)와 상기 가이드부(330)의 타측과 상기 회전판(310)의 타측 사이의 이격거리(D2)는 상기 하형(51)의 외경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0)의 중간부와 상기 회전판(310)의 중간부 사이의 이격거리(D3)는 상기 하형(51)의 성형면(51a)에 형성된 콘택트렌즈(52)의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의 직경(D4)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0)의 전측 중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형(51)의 성형면(51a)에 형성된 콘택트렌즈(52)의 가장자리(P)부분을 절단하는 날부(331)가 상기 회전판(3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부(33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특히, 상기 날부(331)가 상기 콘택트렌즈(52)의 가장자리(P)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날부(331)는 상기 날부(331)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부(330)의 내측면이 직각(α)을 이루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3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하형(5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판(310)의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 과정 중에 상기 날부(331)가 상기 하형(51)의 성형면(51a)에 형성된 콘택트렌즈(52)의 가장자리(P)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도 17은 링절단부의 상부에 흡입부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링절단부(30)의 가이드부(330)의 전측 상부에는 고정프레임(332)의 하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2)의 상부 중간부에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날부(331)의 상측방향에 위치하도록 관통구(3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2)의 상부 중간부에는 도 1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관통구(333)와 연통되는 흡입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날부(331)로부터 절단된 상기 콘택트렌즈(52)의 가장자리(P)부분을 흡입하는 석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형(51)의 외경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330)와 상기 회전판(310) 사이의 이격거리(D1, D2, D3)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10)과 상기 가이드부(330) 사이의 이격거리(D1, D2, D3)를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 조절부(60)는 상기 가이드부(330)를 상기 안착프레임(311)의 전후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 조절부(6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는 상기 가이드부(330)의 후측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프레임(31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격거리 조절부(60)는 리드스크류(610)와 손잡이(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10)의 전측은 상기 가이드부(330)의 후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20)는 상기 리드스크류(610)의 후측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안착프레임(311)의 후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2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610)가 정역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330)가 상기 안착프레임(311)의 전후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분리부(40)를 통해 상기 하형(51)으로부터 콘택트렌즈(52)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상기 링절단부(30)와 상기 렌즈분리부(4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공급레일(35)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공급레일(35)을 통해 상기 렌즈분리부(40)로 공급되는 상기 하형(51)으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열선 등의 열발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렌즈분리부(40)를 통해 상기 하형(51)으로부터 콘택트렌즈(52)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공급레일(35) 내측의 상기 하형(51)이 상기 렌즈분리부(40) 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형(51)을 밀어주는 열풍분사노즐(36)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레일(35)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상기 공급레일(3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레일(35)의 상부 일측 내면 또는 상부 타측 내면에는 상기 열풍분사노즐(36)과 연통되는 열풍분사구(351)가 상기 공급레일(3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분사구(35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열풍분사구(351)는 상기 공급레일(35)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18은 렌즈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렌즈분리부의 진공이송부와 안착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분리부(40)는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판(410), 회전판(420), 가이드부(430), 고압공기공급부 및 진공이송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은 상기 공급레일(35)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은 상기 베이스판(410)의 중앙에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제자리에서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레일(35)을 통해 상기 링절단부(30)로부터 공급되는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하형(51)을 상기 회전판(4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30)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4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411)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안착프레임(411a)과 타측안착프레임(4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안착프레임(411a)은 상기 베이스판(410)의 일측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안착프레임(411b)은 상기 베이스판(410)의 타측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는 일측가이드부(431), 타측가이드부(432) 및 중간가이드부(4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부(431)는 상기 회전판(4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420)의 일측부 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안착프레임(411a)의 상부에 안착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부(432)는 상기 회전판(4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부 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안착프레임(411b)의 타측 상부에 안착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가이드부(433)는 상기 회전판(4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일측가이드부(431)와 상기 타측가이드부(432) 사이의 상기 회전판(420)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안착프레임(411b)의 일측 상부에 안착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하형(51)이 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형(51)이 상기 하형(51)의 내측으로 점차 가압되어 상기 하형(51)으로부터 콘택트렌즈(52)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가이드부(431)와 상기 회전판(420) 사이의 이격거리(D5)가 상기 일측가이드부(4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가이드부(432)와 상기 회전판(420) 사이의 이격거리(D6)가 상기 타측가이드부(43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중간가이드부(433)와 상기 회전판(420) 사이의 이격거리(D7)는 상기 하형(51)의 하부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형(51)의 하부 외경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430)와 상기 회전판(420) 사이의 이격거리(D5, D6, D7)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이격거리 조절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 조절부(70)는 상기 일측가이드부(431), 상기 중간가이드부(433) 및 상기 타측가이드부(432)를 상기 일측안측프레임(411a)의 전후방향 및 상기 타측안착프레임(411b)의 전후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 조절부(7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는 상기 일측가이드부(43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기 중간가이드부(43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및 상기 타측가이드부(43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연결된 상태로 각각 상기 일측안착프레임(411a)의 후측, 상기 타측안착프레임(411b)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격거리 조절부(70)는 리드스크류(710)와 손잡이(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710)의 전측은 상기 일측가이드부(431)의 후측, 상기 중간가이드부(433)의 후측 및 상기 타측가이드부(432)의 후측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20)는 상기 리드스크류(710)의 후측과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안착프레임(411a)의 후측, 상기 타측안착프레임(411b)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20)를 통해 상기 리드스크류(710)가 정역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일측가이드부(431), 상기 중간가이드부(433) 및 상기 타측가이드부(432)가 상기 일측안측프레임(411a)의 전후방향 및 상기 타측안착프레임(411b)의 전후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공급부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판(4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430)의 일측가이드부(431)와 타측가이드부(43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가이드부(432)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상기 하형(51)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하형(51)으로부터 먼지 또는 상기 흡입부로 흡입되지 못한 일부 절단된 콘택트렌즈(52)의 가장자리(P)부분을 분리시키면서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이송부(450)는 상기 가이드부(430)의 타측가이드부(432)의 타측으로 이동된 콘택트렌즈(52)가 성형된 상기 하형(51)으로부터 상기 콘택트렌즈(52)를 진공흡착하여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 외부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진공이송부(450)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흡착유닛(451)과 좌우이동부재(4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유닛(451)의 일측과 타측에는 진공방식에 의해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기 하형(51)으로부터 콘택트렌즈(52)를 진공흡착하는 제 1, 2흡착부(451a, 451b)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452)는 상기 흡착유닛(45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흡착유닛(451)을 상기 흡착유닛(45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공지된 직선이동부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공이송부(450)의 흡착유닛(451)에 의해 상기 콘택트렌즈(52)가 분리된 상기 하형(51)은 상기 회전판(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에서 상기 회전판(420)의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의 전측에는 상기 콘택트렌즈(52)가 분리된 상기 하형(51)을 상기 회전판(42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하형배출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형배출부(80)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배출대(810)와 고압공기공급라인(8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대(810)는 상기 회전판(420)의 전측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대(810)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대(810)의 하부로 갈수록 상기 배출대(810)는 상기 회전판(420)의 전방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820)은 상기 배출대(8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820)은 컴프레셔 등의 고압공기발생원(미도시)으로부터 고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에서 상기 회전판(420)의 전측 중간부로 이동된 상기 하형(51)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배출대(810)의 내측으로 상기 하형(51)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대(81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판(420)의 전측 중간부로 이동된 상기 하형(51)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부(미도시)가 상기 하형(51)을 감지한 경우, 상기 고압공기발생원(미도시)이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어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820)이 상기 회전판(420)의 전측 중간부로 이동된 상기 하형(51)으로 고압공기를 일정시간동안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미도시)가 상기 하형(51)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고압공기 발생원(미도시)의 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820)이 고압공기를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렌즈분리부의 진공이송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흡착유닛(451)의 제 1흡착부(451a)가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기 하형(51)으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이동부재(452)에 의해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착유닛(451)이 상기 검사부(50)의 후술할 안착프레임(510)에서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흡착유닛(451)의 제 1흡착부(451a)가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으로 ld동된 상기 하형(51)으로부터 상기 콘택트렌즈(52)를 진공흡착한 후 상기 좌우이동부재(452)에 의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착유닛(451)이 상기 검사부(50)의 안착프레임(51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흡착부(451a)의 진공흡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상부 일측에 콘택트렌즈(52)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452)에 의해 상기 흡착유닛(451)이 상기 회전판(42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여 상기 제 1흡착부(451a)가 상기 하형(51)으로부터 콘택트렌즈(52)를 진공흡착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제 2흡착부(451a)가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상부 일측에 안착된 콘택트렌즈(52)를 진공흡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452)에 의해 상기 흡착유닛(451)이 상기 검사부(50)의 안착프레임(510)의 상부방향으로 다시 이동한 후, 상기 제 1, 2흡착부(451a, 451b)의 진공흡착상태가 각각 해제됨에 따라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콘택트렌즈(52)가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사부(50)는 안착프레임(510), 발광부재 및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전측 상부 일측과 전측 상부 타측에는 상기 콘택트렌즈(52)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안착판(51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511)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안착판(511)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투명재질의 돌출부재(5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후측 상부 일측과 후측 상부 타측에는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전측 상부 일측과 전측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안착판(511)의 돌출부재(511a)로 상기 콘택트렌즈(52)를 이동시켜 상기 콘택트렌즈(52)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렌즈정렬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3은 렌즈정렬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상기 렌즈정렬부(512)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이동암(512a)과 간격조절부재(5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암(512a)은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안착판(51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암(512a)은 상기 콘택트렌즈(52)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상기 콘택트렌즈(52)를 상기 돌출부재(511a)로 밀어 상기 콘택트렌즈(52)의 내측에 상기 돌출부재(511a)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재(512b)는 상기 이동암(512a)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암(512a)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는 양축모터 또는 실린더부재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4는 검사부의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5는 검사부의 카메라부가 안착프레임의 전측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발광부재(520)는 상기 안착프레임(510)에 안착된 상기 콘택트렌즈(52)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520)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발광부재(521)와 타측발광부재(5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발광부재(521)와 상기 타측발광부재(522)는 복수의 LED가 동심원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발광모듈 또는 백라이트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발광부재(521)는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발광부재(522)는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530)는 일측카메라부(531)와 타측카메라부(5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카메라부(531)는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발광부재(521)가 빛을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콘택트렌즈(52)의 1차 검사를 위해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콘택트렌즈(52)의 상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타측카메라부(532)는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발광부재(522)가 빛을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타측 상부에 안착된 콘택트렌즈(52)의 2차 검사를 위해 상기 안착프레임(510)의 타측 상부에 안착된 콘택트렌즈(52)의 하부를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이송부(450)의 전측에는 상기 발광부재(520)와 상기 카메라부(53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40)는 도 24 및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가이드프레임(541), 타측가이드프레임(542) 및 보조가이드프레임(5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541)의 상부에는 상기 일측카메라부(531)가 일정높이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541)의 하부에는 상기 일측발광부재(521)가 일정높이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542)의 상부에는 상기 타측발광부재(522)가 일정높이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프레임(543)은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542)과 상기 진공이송부(4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프레임(543)의 상부에는 상기 타측카메라부(532)가 일정높이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부(540)에는 상기 발광부재(520)와 상기 카메라부(530)를 상하이동시켜 위치조절하기 위한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40)에 상기 발광부재(520)와 상기 카메라부(530)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일측카메라부(531) 및 상기 일측발광부재(521)와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541)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일측카메라부(531) 및 상기 일측발광부재(521)를 각각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타측발광부재(52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542)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타측발광부재(522)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타측카메라부(53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보조가이드프레임(543)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타측카메라부(532)를 상하이동킬 수 있다.
불량품 또는 양품으로 판정된 콘택트렌즈(52)는 각각 작업자에 의해 불량품적재용 트레이, 양품 적재용 트레이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불량품으로 판정된 콘택트렌즈(52)를 취출하기 위한 리젝수단과, 양품으로 판정된 콘택트렌즈(52)를 진공흡착하여 트레이(도 2의 7)로 이송하는 진공흡착이송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몰드(5)로부터 콘택트렌즈(52)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콘택트렌즈(52)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며 오차없이 정확하게 비젼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콘택트렌즈 몰드, 10; 몰드공급부,
20; 하형분리부, 30; 링절단부,
40; 렌즈분리부, 50; 검사부.

Claims (13)

  1.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성형면이 형성된 하형과,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성형되는 콘택트렌즈와, 상기 하형에 합형되고 저면에 상기 하형의 성형면과 대응되는 성형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형으로 구성되는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분리 및 검사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를 상형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몰드공급부와;
    상기 몰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로부터 하형을 분리하는 하형분리부와;
    상기 하형분리부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된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성형된 콘택트렌즈의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단하는 링절단부와;
    상기 링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콘택트렌즈를 상기 하형의 성형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렌즈분리부와;
    상기 렌즈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콘택트렌즈가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콘택트렌즈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검사를 위해 상기 콘택트렌즈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로 구성되어 상기 렌즈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콘택트렌즈를 비젼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상하이동시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부와;
    상기 상형의 하부에 외경크기가 상기 하형의 외경보다 큰 환형턱이 형성되고,상기 하형분리부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 중 상기 하형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상형의 환형턱이 안착되는 상부가 개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몰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로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몰드이송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로 공급된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 중 상기 상형의 성형면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성형면에 콘택트렌트가 성형된 상기 하형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착홈내로 분리시키는 가압분리부와;
    성형면에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상기 하형을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하형분리부와 상기 링절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급레일로 이송하는 하형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형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착홈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성형면에 상기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상기 하형이 상부에 안착되는 상하이동몸체와;
    상기 공급레일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몸체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공급레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성형면에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상기 하형을 상기 공급레일의 타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이동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몸체가 상기 공급레일의 일측 내부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을 상기 공급레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카메라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하이동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를 상하이동시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일측발광부재와;
    상기 안착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타측발광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발광부재가 빛을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1차 검사를 위해 상기 안착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콘택트렌즈의 상부를 촬영하는 일측카메라부와;
    상기 안착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발광부재가 빛을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2차 검사를 위해 상기 안착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안착된 콘택트렌즈의 하부를 촬영하는 타측카메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이송부는 상기 콘택트렌즈 몰드의 상형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전측방향에서 후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크부의 삽입홈으로 상기 상형의 상부를 삽입시키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포크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특정위치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절단부와 상기 렌즈분리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급레일의 상부에 열풍분사노즐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레일의 내면에 상기 열풍분사노즐과 연통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공급레일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열풍분사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절단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중간부의 간격이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형성된 콘택트렌즈의 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중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형성된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단하는 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절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날부의 상측에 상기 날부로부터 절단된 상기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을 흡입하는 흡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분리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링절단부로부터 공급되는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을 회전이동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타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타측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중간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일측가이드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상기 타측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타측가이드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가이드부와 타측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되어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으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가이드부의 타측으로 이동된 콘택트렌즈가 성형된 하형으로부터 콘택트렌즈를 진공흡착하여 상기 회전판의 타측 외부로 이송하는 진공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콘택트렌즈가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안착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투명재질의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안착판의 돌출부재로 상기 콘택트렌즈를 이동시켜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측에 상기 돌출부재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콘택트렌즈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렌즈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정렬부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이동암과;
    상기 이동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54961A 2017-04-28 2017-04-28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KR10188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61A KR101881160B1 (ko) 2017-04-28 2017-04-28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61A KR101881160B1 (ko) 2017-04-28 2017-04-28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160B1 true KR101881160B1 (ko) 2018-07-23

Family

ID=6310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961A KR101881160B1 (ko) 2017-04-28 2017-04-28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1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377A (ko) 2018-09-04 2020-03-12 박근창 콘텍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2163336B1 (ko) * 2019-07-23 2020-10-08 박근창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KR102431515B1 (ko) * 2022-05-26 2022-08-10 최동철 콘택트렌즈 제조용 렌즈몰드 자동 정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187A (ko) * 2004-09-24 2004-11-26 (주)티엔스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KR20130015919A (ko) * 2011-08-05 2013-02-14 (주)지오메디칼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KR101718145B1 (ko) * 2016-01-04 2017-03-20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187A (ko) * 2004-09-24 2004-11-26 (주)티엔스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KR100557906B1 (ko) 2004-09-24 2006-03-10 (주)티엔스 콘텍트 렌즈 검사 장치
KR20130015919A (ko) * 2011-08-05 2013-02-14 (주)지오메디칼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KR101718145B1 (ko) * 2016-01-04 2017-03-20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377A (ko) 2018-09-04 2020-03-12 박근창 콘텍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2163336B1 (ko) * 2019-07-23 2020-10-08 박근창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WO2021015322A1 (ko) * 2019-07-23 2021-01-28 박근창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KR102431515B1 (ko) * 2022-05-26 2022-08-10 최동철 콘택트렌즈 제조용 렌즈몰드 자동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160B1 (ko) 콘택트렌즈 분리 및 검사시스템
KR101809483B1 (ko)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CN108773082B (zh) 曲面产品高精度贴合机
CN113663933B (zh) 工件视觉分拣系统
EP3128313A1 (en) Automatic pill inspection apparatus
KR101700130B1 (ko) 서스펜션 베어링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
KR101067641B1 (ko) 부품 선별 시스템
CN210486789U (zh) 表面检测装置
CN103454284A (zh) 一种纸容器品检机及其检测方法
JP4361216B2 (ja) 元の物体から複数のスライス状の物体を切り離す方法及び装置
KR101790270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 자동 결합장치
KR101746950B1 (ko) 소재 로딩장치
KR101700129B1 (ko) 이중 사출 시스템
CN210504612U (zh) 分片装置
KR102329257B1 (ko) 의료용 진단키트 자동화 조립장치
CN210876330U (zh) 一种自动分选设备
CN207170640U (zh) 一种弹性体自动冲孔设备
KR20190019735A (ko) 반도체 칩 분리 장치 및 반도체 칩 분리 방법
KR101725643B1 (ko) 사출물 커팅 방법 및 그 장치
CN217075808U (zh) 一种适用于药片的双通道吸风视觉检测装置
CN116352435B (zh) 工件组装系统及组装方法
WO2022054393A1 (ja) コレット検出装置、コレット調整装置、ボンディング装置、コレット検出方法、コレット調整方法
CN112404975B (zh) 一种网纱组装设备
CN220795003U (zh) 用光学检测植物纤维器物的检测设备
CN115353281B (zh) 一种多孔玻璃锅盖的成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