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50B1 - 소재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950B1
KR101746950B1 KR1020150139317A KR20150139317A KR101746950B1 KR 101746950 B1 KR101746950 B1 KR 101746950B1 KR 1020150139317 A KR1020150139317 A KR 1020150139317A KR 20150139317 A KR20150139317 A KR 20150139317A KR 101746950 B1 KR101746950 B1 KR 10174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late
spacing
convey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444A (ko
Inventor
최강혁
이성진
남현웅
김원수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3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9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소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소재의 로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소재 로딩장치는 소재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온 소재를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 그리고 상기 이격수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급되는 소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소재의 로딩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소재 절단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절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재 로딩장치{APPARATUS FOR LOADING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소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소재의 로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간 소재인 고온의 슬라브는 압연 시 고객이 요구하는 치수보다 크게 압연된 다음 냉각된다. 압연을 통해 제조된 소재는 선단부 및 후단부가 장고 또는 혀(tongue)모양의 크롭이 형성되고, 소재의 양측단 즉, 에지부는 폭방향 변형에 의해 판재 두께방향으로 벌징(bulging)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렇게 압연된 소재에서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에지부의 일부를 제거하고, 고객이 요구하는 치수대로 제공하기 위하여 원형톱을 이용한 기계적 절단을 통하여 소재를 원하는 치수로 절단하였다.
상기와 같이, 소비자가 원하는 치수로 소재를 정확히 절단하기 위해서는 절단시 소재를 정확히 지지하는 로딩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4843호에서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금속판재 이송 장치는 절단부와 연결되어 소재가 이동하는 프레임에 볼베어링을 구비하여 소재를 이송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볼베어링의 경우 허용지지 하중이 낮아 소재 안착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파손된 볼베어링은 소재 표면을 손상시켜 제품결함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재 이송 장치는 외부장치에서 제공받은 소재를 클램핑하여 절단부로 이송하는 클램핑부가 개시되어, 상기 클램핑부가 절단시 소재를 지지하도록 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상기 클램핑부는 다양한 두께의 소재가 공급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절단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원형톱의 진동에 의하여 절단면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공급되는 소재의 폭방향으로 클램핑부의 간격조절이 되지 않아 소재가 다양한 폭으로 생산되는 공정에서 유연하게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공급된 소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소재의 폭에 대응하여 소재를 로딩할 수 있도록 간격이 조절되며, 소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소재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로딩장치는, 소재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온 소재를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 및 상기 이격수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승하강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배치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을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고, 경사면을 가지는 베이스블록;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블록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의 경사면에 안착되고, 타측면은 상기 지지블록을 지지하는 가동블록; 및 상기 가동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블록의 경사면이 상기 베이스블록의 경사면 상에서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이송수단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 각각에 베이스블록, 가동블록, 지지블록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단은 이웃하는 지지블록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함께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격수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틸팅되고,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소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격수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틸팅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라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과 연통되게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격수단은 소재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이격수단 각각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되는 소재의 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상기 이격수단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이격수단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고, 제1 이격수단과 제1 이송수단이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고, 제2 이격수단과 제2 이송수단이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에 따르면, 공급되는 소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소재의 로딩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소재 절단시 발생하는 원형톱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되는 소재의 폭에 대응하여 소재를 로딩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소재를 로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수단이 틸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소재가 굽어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소재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의 소재 공급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에서 소재 공급시 이격수단의 동작상태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의 소재 로딩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에서 소재 로딩시 이격수단의 동작상태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에서 이격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A-A'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에서 고정수단이 틸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소재 로딩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소재 로딩장치의 소재 공급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상기 소재 로딩장치에서 소재 공급시 이격수단의 동작상태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는 상기 소재 로딩장치의 소재 로딩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상기 소재 로딩장치에서 소재 로딩시 이격수단의 동작상태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소재 로딩장치에서 이격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10)는 소재(M)를 이송하는 이송수단(20)와, 상기 이송수단(20)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송수단(20)에 의해 이송되어온 소재(M)를 상기 이송수단(20)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100), 그리고 상기 이격수단(100)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M)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재(M)를 공급받아 일정 영역까지 이송하도록 마련된다. 즉,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재(M)를 상기 소재 로딩장치(1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수단(20)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복수의 가이드롤 등 공지의 어떠한 이송수단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20)는 상기 소재(M)의 양측단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이송수단(20)가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이송수단(20)의 사이에 이격수단(100)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격수단(100)이 한쌍의 상기 이송수단(20)의 바깥쪽에 위치하거나, 상기 이격수단(100)과 상기 이송수단(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격수단(100)은 상기 이송수단(20)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송수단(20)에 의하여 소재(M)가 상기 이격수단(100)의 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이격수단(100)이 동작하여 상기 이격수단(100)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수단(200)을 상승시켜 상기 소재(M)의 하측면을 밀어 올리며 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수단(100)은 상기 이송수단(20)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11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에 승하강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200)이 배치되는 지지블록(120),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120)을 이동시키는 가동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13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에 배치되고 경사면(131a)을 가지는 베이스블록(131)과,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블록(131)의 경사면(131a)에 대응되는 경사면(132a)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131)의 경사면(131a)에 안착되고 타측면은 상기 지지블록(120)을 지지하는 가동블록(132), 그리고 상기 가동블록(132)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블록(132)의 경사면(132a)이 상기 베이스블록(131)의 경사면(131a) 상에서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액츄에이터(133)가 상기 가동블록(132)을 전진 이동 시키면, 상기 가동블록(132)의 경사면(132a)이 상기 베이스블록(131)의 경사면(131a)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동블록(132)의 경사면(132a)과 상기 베이스블록(131)의 경사면(131a)에 의하여 상기 가동블록(132)이 전진 이동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은 상기 이송수단(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 각각에 베이스블록(131), 가동블록(132), 지지블록(120)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블록(120)의 일측단은 이웃하는 지지블록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33)의 구동에 의해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이격수단(100)을 복수로 마련하여 상기 이송수단(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복수의 상기 이격수단(100)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수단(200)을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동블록(132)의 일측단이 이웃하는 가동블록의 타측단과 체결되도록 연결하고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가동블록(132)에 액츄에이터(133)를 연결하여 하나의 가동블록(132)을 이동시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동블럭 모두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가동블록(132)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지지블록(120)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수단(200)이 시간차 없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이송수단(20)를 통하여 소재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수단(20) 상에 이동하는 소재에 상기 고정수단(200)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33)가 상기 가동블록(132)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수단(2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20)를 통하여 소재가 이송된 후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133)가 상기 가동블록(13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수단(200)이 상기 이송수단(20)보다 높이 돌출되게 이동시켜 상기 소재를 상기 이송수단(20)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소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가동블록(132)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수단(200)의 상승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수단(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소재 로딩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A-A'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소재 로딩장치에서 고정수단이 틸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이격수단(100)에 배치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어 틸팅되고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20),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과 상기 플레이트(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220)를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재(M)를 고정하도록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인 자석(2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이격수단(100)의 지지블록(120)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블록(12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은 일측이 관통되게 중공부(211)를 가지고, 내측에 단턱(212)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220)가 상기 단턱(212)에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중공부(211)에 삽입되고,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단턱(212)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면과 상기 플레이트(220) 사이에 탄성부재(230)가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220)를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한다.
상기 자석(240)은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22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이격수단(100)의 지지블록(120)이 상승하면 상기 고정수단(200)의 자석(240)이 소재의 하측면에 접촉하여 소재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수단(2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자석(240)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에 의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고정수단(200)에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0)의 돌기부(221)는 반원형태로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20)의 양측면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면과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 내에서 틸팅될 수 있도록 구성됩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소재가 폭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220)가 틸팅될 수 있어 상기 소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상기 고정수단(200)이 상기 소재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석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소재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300)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격수단(100)에 배치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배치되어 틸팅되고 복수의 관통홀(322)이 형성된 플레이트(320)와, 상기 플레이트(320)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320)의 관통홀(322)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라인(350),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플레이트(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320)를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20)에는 소재와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소재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패드(340)를 더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340)에는 상기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322)과 연통되게 복수의 관통홀(34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320)의 탄성패드(340)에 소재가 지지되면, 외부의 펌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라인(350)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소재를 상기 고정수단(300)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라인(350)은 상기 플레이트(320)가 틸팅될 경우 이를 구속하지 않도록 고무 등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마련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재 로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소재 로딩장치(11)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소재 로딩장치(10)와 동일하게 이격수단(100)이 소재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이송수단(20)도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이격수단(100) 각각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이송되는 소재의 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상기 이격수단(1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이격수단(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30)과, 상기 가이드레일(430) 상에 배치되고 제1 이격수단(101)과 제1 이송수단(21)가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상기 가이드레일(430)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고 제2 이격수단(102)과 제2 이송수단(22)가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 그리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4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440)를 동작시켜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 측으로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이송수단(21)와 상기 제2 이송수단(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폭으로 공급되는 소재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상기 가이드레일(430) 상에서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 모두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간격 조절 범위를 두 배로 확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M : 소재 10, 11 : 소재 로딩장치
20 : 이송수단 100 : 이격수단
110 : 가이드 프레임 120 : 지지블록
130 : 가동부 131 : 베이스블록
132 : 가동블록 133 : 액츄에이터
200, 300 : 고정수단 210, 310 : 하우징
220, 320 : 플레이트 230, 330 : 탄성부재
240 : 자석 340 : 탄성패드
350 : 흡입라인 410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420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430 : 가이드레일
440 : 구동부

Claims (12)

  1. 소재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온 상기 소재를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 및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격수단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경사면을 가지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을 이동시키는 가동블록;
    상기 가동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가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동블록과 상기 고정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블록과 함께 이동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이송수단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 각각에 상기 베이스블록, 상기 가동블록, 상기 지지블록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단은 이웃하는 지지블록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격수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틸팅되고,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소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격수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틸팅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라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과 연통되게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탄성패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소재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이격수단 각각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이송되는 소재의 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상기 이격수단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이격수단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고, 제1 이격수단과 제1 이송수단이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고, 제2 이격수단과 제2 이송수단이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로딩장치.
KR1020150139317A 2015-10-02 2015-10-02 소재 로딩장치 KR10174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17A KR101746950B1 (ko) 2015-10-02 2015-10-02 소재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17A KR101746950B1 (ko) 2015-10-02 2015-10-02 소재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44A KR20170040444A (ko) 2017-04-13
KR101746950B1 true KR101746950B1 (ko) 2017-06-14

Family

ID=5858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317A KR101746950B1 (ko) 2015-10-02 2015-10-02 소재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201B1 (ko) * 2017-08-01 2018-02-28 황호식 공급 안정성 및 절단치수 정밀성을 갖춘 장척 금속판재의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018B1 (ko) * 2017-12-21 2019-11-11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클램핑장치 및, 소재절단장치
KR101882826B1 (ko) * 2018-02-12 2018-07-27 변정옥 양측에서의 순차적 절단기능을 갖는 장척 금속판재의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KR102383612B1 (ko) 2018-09-19 2022-04-19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시트 및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201B1 (ko) * 2017-08-01 2018-02-28 황호식 공급 안정성 및 절단치수 정밀성을 갖춘 장척 금속판재의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44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950B1 (ko) 소재 로딩장치
JP5786091B2 (ja) 薄板ガラス材の分断装置
KR102032439B1 (ko) 도금행거설비
JP6086628B2 (ja) 基板クランプ装置
JP6622500B2 (ja) 搬送装置
US9393776B2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JP5001633B2 (ja) プリント基板保持方法および装置
CN210972999U (zh) 玻璃板的制造装置
CN107466197B (zh) 部件安装装置以及部件安装方法
EP2189400A1 (en) System for clamping sheets being machined, in particular flat sheets of glass,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moving and clamping sheets being machined
JP2006297521A (ja) 板材の溝加工装置
JP4953956B2 (ja) 回路基板搬送・保持装置
KR101656815B1 (ko) 스크린프린터용 인쇄회로기판 분리장치
KR101502571B1 (ko) 섬유원단 이송용 클램프
KR101493913B1 (ko) 시트 커팅 장치
JP4363332B2 (ja) ワーク分離機能を備えたワーク搬送装置
JP5031675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6169045A (ja) 板ガラス切断機における切線加工済み板ガラスの搬送装置。
JP4478955B2 (ja) ワーク搬送方法及びワーク搬送装置
TW201925060A (zh) 基板搬送裝置及基板加工裝置
JP2020001965A (ja) 基板加工装置における基板位置決め機構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JPWO2020152766A1 (ja) 搬送装置
JP4361832B2 (ja) 表面実装機
JP7133041B2 (ja) 搬送装置
WO2022059178A1 (ja) 基板保持装置およびはんだ印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