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367B1 -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367B1
KR100554367B1 KR1020047019964A KR20047019964A KR100554367B1 KR 100554367 B1 KR100554367 B1 KR 100554367B1 KR 1020047019964 A KR1020047019964 A KR 1020047019964A KR 20047019964 A KR20047019964 A KR 20047019964A KR 100554367 B1 KR100554367 B1 KR 10055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oining
center frame
frame sid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851A (ko
Inventor
우라세고헤이
이시카와히로나오
사와이사오리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좌측 전방 다리부(31)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중간 통형부(31C)를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다. 이 경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l)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은,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한다. 이로써 트랙 프레임(1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각 접합단(31A1, 31B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센터 프레임(12)의 접합 강도,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부 회전체, 센터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전방 및 후방 다리부, 트랙 프레임, 접합부, 중간 통형부, 직경 확대 통형체.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TRACK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shovel), 유압 크레인 등의 하부 주행체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하고, 좌측 및 우측의 크롤러를 구동함으로써 산악지, 진흙탕 등의 고르지 않은 땅을 안정적으로 주행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종래 기술에 따른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는, 상부 회전체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전, 후의 다리부로 구성되는 트랙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142337호 공보 참조).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에는 둥근 동체가 설치되고, 센터 프레임과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 사이는, 둥근 동체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X자 형으로 연장되는 좌측 전방 다리부, 우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로 구성되는 합계 4개의 다리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 전방 다리부는, 센 터 프레임으로부터 좌측 사이드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대면한 상판 및 하판과, 이들 상판과 하판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대면한 전방 측판 및 후방 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박스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우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도, 좌측 전방 다리부와 마찬가지로, 상판, 하판, 전방 측판, 후방 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박스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트랙 프레임에서는, 4개의 다리부가 서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상판, 하판, 전방 측판, 후방 측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리부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는, 상판, 하판, 전방 측판, 후방 측판을 다리부의 형상에 맞추어 강판을 절단하는 절단 작업과, 전방 측판과 후방 측판을 상판과 하판에 용접하는 용접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절단 작업과 용접 작업을 4개의 다리부에 대하여 각각 행함으로써, 트랙 프레임의 제조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4개의 다리부를 사이드 프레임에 용접하는 경우에는, 그 전 작업으로서 다리부의 선단측을 절단함으로써, 해당 다리부의 선단측에 사이드 프레임의 접합면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는 접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절단 작업에 의해 다리부의 선단측에 접합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가공 오차 등에 의해 다리부의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의 맞대기 부분에 간극이 생기고 쉽고,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등의 접합 부분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회전체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양쪽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 다리부로 구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는, 상기 중간 통형부로부터 접합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확대된 통형체로 구성되는 직경 확대 통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합부의 접합단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리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를 직경이 확대된 통형체로서 형성하고, 또한, 이 접합부의 접합단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합단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그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직경 확대 통형체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다리부와 센터 프레임 사이문의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직경 확대 통형체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직경 확대 통형체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양쪽에 설치되어 있고, 각 접합부의 접합단은 각각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의 주위, 및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다리부와 센터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 및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중간 통형부를 단일의 통형체로서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간 통형부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경우라도,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의 접합단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접합단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하고, 그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리부를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트랙 프레임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중간 통형부를 구성하는 중간 통형부재의 3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서 형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 중간 통형부재의 3개의 부재를 사용하여 다리부를 형성한 경우에도,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 부재의 접합단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접합단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하고, 그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형성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개의 부재를 사용하여 다리부를 형성한 경우에도,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 부재의 접합단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 접합단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센터 프레임은, 상기 상부 회전체를 지지하는 회전륜을 장착하기 위한 둥근 동체가 설치된 상판과, 상기 상판과 상하 방향으로 대면하는 하판과, 상기 둥근 동체를 사이에 끼고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좌우 양쪽에 접합된 좌우의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측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다리부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가 접합되는 전방 다리부 접합면과,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후방 다리부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가 접합되는 후방 다리부 접합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터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측판을 구성하는 후방 다리부 접합면을, 전방 다리부 접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 시켰으므로, 상기 후방 다리부 접합면을 둥근 동체의 근방 위치에서 상판과 하판에 접합할 수 있고, 센터 프레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방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의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 향해 경사져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향해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 다리부의 축 중심선이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과 교차하는 각도와, 상기 후방 다리부의 축 중심선이 상기 후방 다리부 접합면과 교차하는 각도가 같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간격을 크게 확보하고, 이들 전방 및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양단 측에 접합할 수 있으므로, 센터 프레임에 대한 사이드 프레임의 장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이 적용된 유압 셔블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트랙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트랙 프레임을 윗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트랙 프레임을 도 3의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좌측 전방 다리부 및 좌측 후방 다리부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을 도 3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6은 좌측 전방 다리부 및 좌측 후방 다리부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을 도 3의 화살표 VI-VI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센터 프레임,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 등을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센터 프레임, 좌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좌측 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좌측 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도 9와 마찬이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도 9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프레임,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 등을 도시한 도 7과 같은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센터 프레임, 좌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좌측 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좌측 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프레임,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 등을 도시한 도 7과 같은 횡단면도이다.
도 l8은 도 17의 센터 프레임, 좌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좌측 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좌측 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프레임, 좌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를 단일체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프레임, 좌측 사이드 프레임, 좌측 전방 다리부, 좌측 후방 다리부 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좌측 전방 다리부 및 좌측 후방 다리부의 각 접합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6과 같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의 실시예를, 유압 셔블(shovel)의 하부 주행체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셔블의 트랙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1은 유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로서, 상기 하부 주행체(1)는 후술하는 트랙 프레임(11)과, 상기 트랙 프레임(11)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사이드 프레임(22, 28)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 유동륜(2) 및 구동륜(3)과, 이들 구동륜(3)과 유동륜(2)에 감긴 크롤러(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주행체(1)는, 구동륜(3)에 의해 크롤러(4)를 구동함으로써 산악지, 진흙탕 등의 고르지 않은 땅를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것이다. 또, 하부 주행체(1)의 전방 측에는, 토사 등의 배토 작업, 땅고르기 작업 등을 행하는 배토판(5)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6은 하부 주행체(1) 상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회전체로서, 상기 상부 회전체(6)는, 트랙 프레임(11) 상에 회전륜(7)을 통하여 설치된 회전 프레임(8)과, 상기 회전 프레임(8) 상에 설치되고 운전실을 구획하는 캡(9)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부 회전체(6)의 전방 측에는, 예를 들면 스윙 포스트식의 작업 장치(10)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 장치(10)는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11은 하부 주행체(1)의 트랙 프레임으로, 상기 트랙 프레임(11)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12), 좌측 사이드 프레임(22), 우측 사이드 프레임(28), 좌측 전방 다리부(31), 좌측 후방 다리부(32), 우측 전방 다리부(33), 우측 후방 다리부(3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2는 센터 프레임으로서, 상기 센터 프레임(12)은, 트랙 프레임(11)의 중앙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12)은 상면측 중앙에 회전륜(7)을 장착하기 위한 둥근 동체(13)가 고착된 육각형의 상판(14)과, 상판(14)과 거의 동일한 육각형을 갖고 상기 상판(14)과 상하방향으로 대면한 하판(15)과, 둥근 동체(13)를 사이에 끼고 상판(14) 및 하판(15)의 좌단측에 배치된 좌측판(16)과, 둥근 동체(13)를 사이에 끼고 상판(14) 및 하판(15)의 우측단에 배치된 우측판(17)과, 좌측판(16) 및 우측판(17)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전방판(18)과, 좌측판(16) 및 우측판(17)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전방판(18)보다 좁은 폭으로 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후방판(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판(16)은, 도 7 및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전단부{전방판(18)과의 접합부}를 향해, 후술하는 사이드 프레임(22)과 거의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과,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으로부터 후단부{후방판(19)과의 접합부}로 향해 사이드 프레임(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도 θ만큼 굴곡된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은, 후술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가 접합되고, 후방 다리부 접합면(6B)은, 후술하는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가 접합되는 것이다.
한편, 우측판(17)도, 좌측판(16)으로 향의 중간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해, 후술하는 사이드 프레임(8)과 대략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A와,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으로부터 후단부로 향해 사이드 프레임(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도 θ만큼 굴곡된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리고,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은, 후술하는 우측 전방 다리부(33)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3A)가 접합되고,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은, 후술하는 우측 후방 다리부(34)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4A)가 접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좌측판(16)은, 상판(14)과 하판(15)의 좌단측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좌측으로부터 폐쇄하고 있다. 우측판(17)은, 상판(14)과 하판(15)의 우단측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우측으로부터 폐쇄하고 있다. 또, 전방판(18)은, 상판(14), 하판(15), 좌측 및 우측 측판(16, 17)의 전단측에 용접됨으로써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폐쇄하고 있다. 또한, 후방판(19)은, 상판(14), 하판(15), 좌측 및 우측 측판(16, 17)의 후단측에 용접됨으로써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후방으로부터 폐쇄하고 있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12)은, 상판(14), 하판(15), 좌측판(16), 우측판(17), 전방판(18), 후방판(19)에 의해 둘러싸인 편평한 박스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을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사이드 프레임(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동시에,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을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사이드 프레임(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은, 둥근 동체(13)의 외주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은, 둥근 동체(13)의 외주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과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 (l7B)을, 상부 회전체(6) 등으로부터의 하중이 작용하는 둥근 동체(13)의 근방 위치에서 상판(14)과 하판(15)에 접합시킬 수 있고, 센터 프레임(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0은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전방판(18)의 중앙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장착 브래킷으로서, 상기 장착 브래킷(20)은, 센터 프레임(12)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브래킷(20)은, 도 1에 도시한 배토판(5)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21, 21은 장착 브래킷(20)의 좌측 및 우측 양측에 위치하여 센터 프레임(12)의 전방판(18)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한쌍의 지지 브래킷으로서, 상기 각 지지 브래킷(21)은, 센터 프레임(12)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져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지지 브래킷(2)은, 도 1에 도시한 배토판(5)에 설치한 좌측 및 우측 지지암(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22는 센터 프레임(12)의 좌측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으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22)은, 후술하는 중간 프레임부(23), 전방 접속 플랜지(24), 후방 접속 플랜지(25), 유동륜 브래킷부(26), 모터 브래킷부(2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3은 사이드 프레임(22)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중간 프레임부로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23)은, 예를 들면 강판 등에 절곡 가공, 용접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판(23A), 하판(23B), 좌측판(23C), 우측판(23D)에 의해 둘러싸인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다각형 통형체로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24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전단측을 폐쇄하는 전방 접속 플랜지로서, 상기 전방 접속 플랜지(24)는 강판 등의 평판재로 이루어지고, 중간 프레임부(23)의 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25는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측을 폐쇄하는 후방 접속 플랜지로서, 상기 후방 접속 플랜지(25)도 강판 등의 평판재로 이루어지고,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후방 접속 플랜지(25)는, 후술하는 모터 브래킷부(27), 좌측 후방 다리부(32) 등을 접합하기 위해 전방 접속 플랜지(24)와 비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되고, 중간 프레임부(23)로부터 내측{센터 프레임(12)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26은 유동륜(2)를 장착하는 유동륜 브래킷부로서, 상기 유동륜 브래킷부(26)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전단측에 전방 접속 플랜지(24)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동륜 브래킷부(26)는, 예를 들면 동판 등에 절곡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판(26A), 좌측 및 우측 측판(26B) 등을 가지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도 1에 도시한 유동륜(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동륜 가이드(26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유동륜 브래킷부(26)의 상판(26A)에는, 유동륜(2)이 유동륜 가이드(26C)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대략 U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절결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27은 구동륜(3)을 구동하는 주행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브래킷부로서, 상기 모터 브래킷부(27)는,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측에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모터 브래킷부(27)는, 후방 접 속 플랜지(25)의 후면에 고착되고 후방으로 원호형으로 돌출된 장착판(27A)과, 상기 장착판(27A)에 형성된 모터 장착 구멍(27B)과, 장착판(27A)의 외주 에지에 고착된 대략 U자 모양의 플랜지판(27C)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브래킷부(27)의 장착판(27A)에는 주행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고, 상기 주행 모터에는 감속기구 등을 통하여 구동륜(3)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8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우측 사이드 프레임으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28)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22)과 마찬가지로, 중간 프레임부(23), 전방 접속 플랜지(24), 후방 접속 플랜지(25), 유동륜 브래킷부(26), 모터 브래킷부(2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31은 좌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전방 다리부(31)는 후술하는 좌측 후방 다리부(32)와 함께 좌측 사이드 프레임(22)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좌측 전방 다리부(31)는, 일단이 센터 프레임(12){좌측판(16)}의 전방 측에 접합되고, 타단이 좌측으로 경사져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2)을 구성하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 전방 다리부(3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3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 사이드 후레임측 접합부(31B), 중간 통형부(31C)는, 예를 들면 주강재료, 또는 용접 가능한 주철(예를 들면, 탈탄 주철) 재료 등의 철계 금속을 용융하여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형체로서 일체로 성형(주조)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다리부(31)는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2)을 향해 좌측으로 경사져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은, 사이드 프레임(22)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축 중심선을 A-A라고 하면, 이 축 중심선 A-A와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 이 교차하는 후방의 각도 α와, 축 중심선 A-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이 교차하는 전방의 각도 α는, 같게 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는, 대략 원통 모양을 이루는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접합단(31A1){센터 프레임(1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나팔 모양의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단(31A1)은,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그리고, 접합단(31A1)의 상단부는 상판(14)의 근방에 배치되고, 하단부는 하판(15)의 근방에 배치되며, 전단부는 전방판(1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1)을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맞대어 용접했을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단(31A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 W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센터 프레임(12)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단면 형상은,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접합단(31A1)으로 향해 유연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12)과 좌측 전방 다리부(31)를 접합했을 때, 이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도,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접합단(31B1){사이드 프레임(2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나팔 모양의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단(31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우측판(23D)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을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맞대어 용접했을 때, 접합단(31B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 W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사이드 프레임(22)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단면 형상은,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접합단(31B1)으로 향하여 유연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22)과 좌측 전방 다리부(31)를 접합했을 때, 이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2는 좌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후방 다리부(32)는 좌측 전방 다리부(3l)와 함께 좌측 사이드 프레임(22)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좌측 후방 다리부(32)는, 일단이 센터 프레임(12){좌측판(16)}의 후방측에 접합되고, 타단이 좌측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2)을 구성하는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 후방 다리부(32)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와,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3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 중간 통형부(32C)는, 주강재료, 주철 재료 등의 철계 금속을 용융하여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형체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후방 다리부(32)는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2)으로 향해 좌측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은,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대해 각도 θ만큼 사이드 프레임(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축 중심선을 B-B라고 하면, 이 축 중심선 B-B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이 교차하는 전방의 각도는 α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각도 α는, 전술한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축 중심선 A-A와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이 교차하는 후방 의 각도 α와 같게 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는, 대략 원통 모양을 이루는 중간 통형부(32C)로부터 접합단(32A1){센터 프레임(1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단(32A1)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그리고, 접합단(32A1)의 상단부는 상판(14)의 근방에 배치되고, 하단부는 하판(15)의 근방에 배치되고, 후단부는 후방판(19)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단면 형상은, 중간 통형부(32C)로부터 접합단(32A1)을 향해 유연하게 변화하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도, 중간 통형부(32C)로부터 접합단(32B1){사이드 프레임(22)측의 개구단}, 및 접합단(32B2){후방 접속 플랜지(25)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단(32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합단(3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접합단(32B1)과 접합단(32B2)은, 직각으로 절곡된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32B1)은, 우측판(23D)에 틈새 없이 맞대어져 접합되어, 접합단(3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틈새 없이 맞대어져 접합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단면 형상은, 중간 통형부(32C)로부터 접합단(32B1), (32B2)로 향해 유연 하게 변화하고 있다.
33은 우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우측 전방 다리부(33)는 후술하는 우측 후방 다리부(34)와 함께 우측 사이드 프레임(28)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우측 전방 다리부(33)는, 좌측 전방 다리부(31)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우측판(17)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3A)와, 사이드 프레임(28){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3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3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3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3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전방 다리부(33)도 좌측 전방 다리부(31)와 마찬가지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형체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 다리부(33)는 우측판(17)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8)을 향해 우측으로 경사져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전방 다리부(33)의 축 중심선을 A-A라고 하면, 이 축 중심선 A-A와 우측판(17)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이 교차하는 후방의 각도 α와, 축 중심선 A-A와 사이드 프레임(28)의 좌측판(23C)이 교차하는 전방의 각도 α는 같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3A)는, 중간 통형부(33C)로부터 접합단(33A1){센터 프레임(1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33A1)은, 우측판(17)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전 방 다리부 접합면(17A)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 접합부(33B)도, 중간 통형부(33C)로부터 접합단(33B1){사이드 프레임(28)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33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좌측판(23C)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34는 우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우측 후방 다리부(34)는 우측 전방 다리부(33)와 함께 우측 사이드 프레임(28)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우측 후방 다리부(34)는, 좌측 후방 다리부(32)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4A)와, 사이드 프레임(28){중간 프레임부(23)}의 좌측판(23C)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4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4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4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3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후방 다리부(34)도 좌측 후방 다리부(32)와 마찬가지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형체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후방 다리부(34)는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8)을 향해 우측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은,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에 대해 각도 θ만큼 사이드 프레임(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여기에서, 우측 후방 다리부(34)의 축 중심선을 B-B라고 하면, 이 축 중심선 B-B와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l7B)이 교차하는 전방의 각도는 α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4A)는, 중간 통형부(34C)로부터 접합단(34A1){센터 프레임(1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34A1)은,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우측판(17)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4B)도, 중간 통형부(34C)로부터 접합단(34B1){사이드 프레임(28)측의 개구단}과 접합단(34B2){후방 접속 플랜지(25)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34B1)과 접합단(34B2)은, 직각으로 절곡된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좌측판(23C)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셔블의 트랙 프레임(1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하여 보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22)을 센터 프레임(12)에 연결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31), 좌측 후방 다리부(32)는, 주강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의 통형체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 의한 트랙 프레임과 같이, 서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상판, 하판, 전방 측판, 후방 측판 등을 사용하여 다리부를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판체의 절단 작업이나 용접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트랙 프레임(1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좌측 전방 다리부(31)에 대하여 보면, 이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l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주조에 의해 성형하고 있으므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정밀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를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틈새 없이 맞댄 상태에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사이드 프레임(22)의 중간 프레임부(23)에 틈새 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는,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1)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은, 각각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용접 작업을 행할 때에는, 접합단(31A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 W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 W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센터 프레임(12) 사이, 및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사이드 프레임(22)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는,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유연하게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센터 프레임(12)과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 및 사이드 프레임(22)과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1)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을 각각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용접 작업을 행할 때에는, 이들 접합단(31A1, 31B1)의 주위를 따라 용접봉, 용접 토치 등을 직선적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용접시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1)은, 그 상단부를 상판(14)의 근방에 배치하고, 하단부를 하판(15)의 근방에 배치하고, 전단부를 전방판(18)의 근방에 배치 한 상태로,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 중, 상판(14), 하판(15), 전방판(18)이 접합된 강도가 높은 부위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를 접합할 수 있고, 그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좌측 후방 다리부(32)에 대하여 보면, 이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를 주조에 의해 성형하고 있으므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를 정밀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를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틈새 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를 사이드 프레임(22)의 중간 프레임부(23)와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틈새 없이 맞댄 상태로 견고하게 접 합할 수 있다.
또,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는, 중간 통형부(32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접합단(32A1)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접합단(32B1)은, 각각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용접 작업을 행할 때에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접합단(32A1)의 주위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접합단(32B1, 32B2)의 주위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 W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센터 프레임(12) 사이, 및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와 사이드 프레임(22) 및 후방 접속 플랜지(25) 사이의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는,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유연하게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센터 프레임(12)과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 및 사이드 프레임(22)과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접합단(32A1)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접합단(32B1, 32B2)을 각각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용접 작업을 행할 때에는, 이들 접합단(32A1, 32B1, 32B2)의 주위를 따라 용접봉, 용접 토치 등을 직선적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용접시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접합단(32A1)은, 그 상단부를 상판(14)의 근방에 배치하고, 하단부를 하판(15)의 근방에 배치하며, 후단부를 후방판(19)의 근방에 배치한 상태로,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 중, 상판(14), 하판(15), 후방판(19)이 접합된 강도가 높은 부위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를 접합할 수 있고, 그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프레임(12)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을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사이드 프레임(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동시에,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을 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사이드 프레임(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과,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은, 둥근 동체(13)의 외주를 따르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로써,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과, 우측판(17)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을, 상부 회전체(6) 등으로부터의 하중이 작용하는 둥근 동체(13)의 근방 위치에서 상판(14)과 하판(15)에 접합할 수 있고, 센터 프레임(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를, 둥근 동체(13)에 근접한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접합함으로써, 상부 회전체(6)으로부터 둥근 동체(13)를 통해서 센터 프레임(12)에 작용한 하중을, 좌측 후방 다리부(32)를 통해서 원활하게 사이드 프레임(22)으로 보낼 수 있으므로, 하중에 대한 트랙 프레임(11)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좌측 전방 다리부(31)를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2)으로 향해 좌측으로 경사져 전방으로 연장시키고, 좌측 후방 다리부(32)를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2)으로 향해 좌측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와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 사이는, 간격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전단측에 접합하는 동시에,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를 중간 프레임부(23)의 후단측에 접합할 수 있으므로, 센터 프레임(12)에 대한 사이드 프레임(22)의 장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28)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우측 전방 다리부(33)와 우측 후방 다리부(3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좌측 전방 다리부(31)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 양쪽을, 중간 통형부(3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도 9참조).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31')와 같이,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만, 접합단(31A1)이 직사각형으로 된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를, 중간 통형부(3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 후방 다리부(32), 우측 전방 다리부(33), 우측 후방 다리부(3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또,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제2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31")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만, 접합단(31B1)이 직사각형으로 된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를, 중간 통형부(3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 후방 다리부(32), 우측 전방 다리부(33), 우측 후방 다리부(3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중간 통형부재의 3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중, 4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11)에 대신하여 제2 실시예에 사용한 트랙 프레임을 도시하고, 상기 트랙 프레임(4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것과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 좌측 사이드 프레임(22), 우측 사이드 프레임(28), 후술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51), 좌측 후방 다리부(52), 우측 전방 다리부(53), 우측 후방 다리부(5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41)은, 각각의 다리부(51~54)의 구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다리부 (31~34)와는 상이한 것이다.
51은 제2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전방 다리부(51)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재(51C)로 구성되는 별개의 3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전방 다리부(5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와, 중간 통형부재(51C)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는, 주강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중간 통형부재(51C)는, 원통 모양의 강관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lA)는, 중간 통형부재(51C)로부터 접합단(51A1){센터 프레임(1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51A1)은,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도, 중간 통형부재(51C)로부터 접합단(51B1){사이드 프레임(2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 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51B1)은, 사이드 프레임(22)의 중간 프레임부(23)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52는 제2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후방 다리부(52)는, 도 14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22){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재(52C)로 구성되는 별개의 3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후방 다리부(5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와, 중간 통형부재(52C)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는, 주강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중간 통형부재(52C)는, 원통 모양의 강관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2A)는, 중간 통형부재(52C)로부터 접합단(52A1){센터 프레임(12)측의 개구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52A1)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후 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틈새 없이 맞대어지고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2B)도, 중간 통형부재(52C)로부터 접합단(52B1){사이드 프레임(22)측의 개구단}, 및 접합단(52B2){후방 접속 플랜지(25)측의 개구단}을를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단(52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합단(5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52B1)과 접합단(52B2)은, 직각으로 절곡된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52B1)은, 우측판(23D)에 틈새 없이 맞대어져 접합되고, 접합단(5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틈새 없이 맞대어져 접합되어 있다.
53은 제2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우측 전방 다리부(53)는, 좌측 전방 다리부(51)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3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3B)와, 중간 통형부재(53C)로 구성되는 별개의 3개의 부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3A)의 접합단(53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전각부 접합면(17A)}에 접합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3B)의 접합단(53B1)은, 사이드 프레임(28)의 좌측판(23C)에 접합되어 있다.
54는 제2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우측 후방 다리부(54)는, 좌측 후방 다리부(52)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4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4B)와, 중간 통형부재(54C)로 구성되는 별개의 3개의 부 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4A)의 접합단(54Al)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에 접합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4B)의 접합단(54B1)은, 사이드 프레임(28)의 좌측판(23C)에 접합되고, 접합단(54B2)는,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접합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4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11)과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측 전방 다리부(51)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를 주조 수단에 의해 성형하는 동시에, 중간 통형부재(51C)를 시판 중인 강관재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이들 3개의 부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좌측 전방 다리부(51)를 일체의 통형체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는, 별개의 단일체로서 작게 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5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51B)를 주조하기 위한 주형은, 염가로 형성할 수 있고, 좌측 전방 다리부(5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좌측 후방 다리부(52), 우측 전방 다리부(53), 우측 후방 다리부(5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 시예의 특징은,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구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 중간 통형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중, 6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11)에 대신하여 제3 실시예에 사용한 트랙 프레임을 도시하고, 상기 트랙 프레임(6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것과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12), 좌측 사이드 프레임(22), 우측 사이드 프레임(28), 후술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71), 좌측 후방 다리부(72), 우측 전방 다리부(73), 우측 후방 다리부(7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61)은, 각 다리부(71~74)의 구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다리부(31~34)와는 상이한 것이다.
71은, 제3 실시예에 이용되는 좌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전방 다리부(71)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로 구성되는 별개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전방 다리부(7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71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는, 주강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71C)로부터 접합단(71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71A1)은,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는, 주강재료 주철재판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 모양의 중간 통형부(71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통형부(71C)로부터 접합단(71B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71B1)은, 사이드 프레임(22)의 중간 프레임부(23)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의 중간 통형부(71C)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에 접합되어 있다.
72는 제3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후방 다리부(72)는, 도 18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2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과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2B)로 구성되는 별개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후방 다리부(7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2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부위가 중간 통형부(72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2A)는, 주강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72C)로부터 접합단(72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72A1)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2B)는, 주강재료, 주철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 모양의 중간 통형부(72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통형부(72C)로부터 접합단(72Bl, 72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단(72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합단(7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72B1)과 접합단(72B2)은, 직각으로 절곡된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73은 제3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우측 전방 다리부(73)는, 좌측 전방 다리부(71)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3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재(73B)의 2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73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3A)의 접합단(73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전방 다리부 접합면(17A)}에 접합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3B)의 접합단(73B1)은, 사이드 프레임(28)의 좌측판(23C)에 접합되어 있다.
74는 제3 실시예에 사용하는 우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우측 후방 다리부 (74)는, 좌측 후방 다리부(72)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4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4B)의 2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74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4A)의 접합단(74A1)은, 센터 프레임(12)의 우측판(17){후방 다리부 접합면(17B)}에 접합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4B)의 접합단(74B1)은, 사이드 프레임(28)의 좌측판(23C)에 접합되고, 접합단(74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에 접합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6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l1)과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주조 수단에 의해 각각 별개의 부재로서 성형하고,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접합함으로써, 좌측 전방 다리부(71)를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는, 별개의 단일체로서 작게 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주조하기 위한 주형은, 염가로 형성할 수 있고, 좌측 전방 다리부(7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좌측 후방 다리부(72), 우측 전방 다리부(73), 우측 후방 다리부(7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좌측 전방 다리부(71)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의 양쪽을, 중간 통형부(7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도 19참조).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제3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71')와 같이,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71A) 만, 접합단(71A1)가 직사각형으로 된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71B')를 중간 통형부(7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 후방 다리부(72), 우측 전방 다리부(73), 우측 후방 다리부(7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구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재에 중간 통형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중, 8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을 도시하고, 상기 트랙 프레임(81)은, 센터 프레임(12), 좌측 사이드 프레임(22), 우측 사이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후술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91), 좌측 후방 다리부(92),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91은 제4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전방 다리부 (91)는,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로 구성되는 별개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전방 다리부(9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91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 모양의 중간 통형부(91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통형부(91C)로부터 접합단(91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91A1)은,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91C)로부터 접합단(91B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91B1)은, 사이드 프레임(22)의 중간 프레임부(23)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92는 제4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후방 다리부(92)는,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2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2B)로 구성되는 별개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 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후방 다리부(9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2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92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2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원통 모양의 중간 통형부(92C)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통형부(92C)로부터 접합단(92A1)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92A1)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재(92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92C)로부터 접합단(92B1, 92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단(92B1)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합단(92B2)은,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92B1)과 접합단(92B2)은, 직각으로 절곡된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는, 전술한 좌측 전방 다리부(91), 좌측 후방 다리부(9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8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61)과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4 실시예에서는, 좌측 전방 다리부(91)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의 양쪽을, 중간 통형부(91C)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한 제4 변형예에 따른 좌측 전방 다리부(91')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91B)만, 접합단(91B1)이 직사각형으로 된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91A')를 중간 통형부(91C)와 대략 같은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것은, 좌측 후방 다리부(92),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의 통형체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구성하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중간 통형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통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에는 중간 통형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통형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10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을 도시하고, 상기 트랙 프레임(101)은, 센터 프레임(12), 좌측 사이드 프레임(22), 우측 사이드 프레임(도시하 지 않음), 후술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111), 좌측 후방 다리부(112),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11은 제5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 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전방 다리부(ll1)는, 센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A)와, 사이드 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B)로 구성되는 별개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전방 다리부(111)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부재로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111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111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 모양의 센터 프레임측 통형부(111A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간 통형부(111C)로부터 접합단(111A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111A2)은, 좌측판(16)의 전방 다리부 접합면(16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111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 모양의 사이드 프레임측 통형부(111B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간 통형부(111C)로부터 접합단(111B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111B2)는, 사이드 프레임 (22)의 중간 프레임(2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A)의 센터 프레임측 통형부(111A1)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lB)의 사이드 프레임측 통형부(111B1)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111C)로 된 좌측 전방 다리부(111)가 구성되어 있다.
112는 제5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측 후방 다리부로서, 상기 좌측 후방 다리부(l12)는, 센터 프레임(12)의 좌측판(16)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와, 사이드 프레임(22)의 우측판(23D)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B)로 구성되는 별개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후방 다리부(112)는, 이들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B)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112C)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112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 모양의 센터 프레임측 통형부(112A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간 통형부(112C)로부터 접합단(112A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단(112A2)은, 좌측판(16)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16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B)는, 주조 수단에 의해 중간 통형부 (112C)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 모양의 사이드 프레임측 통형부(112B1)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간 통형부(112C)로부터 접합단(112B2, 112B3)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직경 확대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단(112B2)은, 중간 프레임부(23)의 우측판(23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합단(112B3)은, 후방 접속 플랜지(25)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단(112B2)과 접합단(112B3)은, 직각으로 절곡된 직사각형의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112A)의 센터 프레임측 통형부(112A1)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l12B)의 사이드 프레임측 통형부(112B1)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중간 통형부(112C)로 된 좌측 후방 다리부(112)가 구성되어 있다.
또,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하는 우측 전방 다리부, 우측 후방 다리부는, 전술한 좌측 전방 다리부(111), 좌측 후방 다리부(11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10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랙 프레임(61)과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좌측 전방 다리부(31)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1A)의 접합단(31A1)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1B)의 접합단(31B1)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좌측 후방 다리부(32)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32A)의 접합단(32A1)과,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32B)의 접합단(32B1, 32B2)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도 6참조).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한 변형예와 같이, 좌측 전방 다리부(31)의 각 접합단(31A1', 31B1')과, 좌측 후방 다리부(32)의 각 접합단(32A1', 32B1', 32B2')을, 각각 타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것은, 우측 전방 다리부(33), 우측 후방 다리부(34)에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동일하게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다리부(51~54), 제3 실시예에 따른 각 다리부(71~74), 제4 실시예에 따른 각 다리부(91, 92), 제5 실시예에 따른 각 다리부(111, 112)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상부 회전체(6)에 캡(9)을 구비한 캡 식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운전석의 윗쪽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한 캐노피(canopy) 형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에 적용하는 트랙 프레임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의 하부 주행체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에 적용하는 트랙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의 하부 주행체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의하면,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다리부와 사이드 프레임 등의 접합 부분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상부 회전체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양쪽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 다리부로 구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용접에 의해 상기 센터 프레임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용접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통형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접합부는, 상기 중간 통형부로부터 접합단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확대된 통형체로 구성되는 직경 확대 통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합부의 접합단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확대 통형체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확대 통형체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의 접합단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확대 통형체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 양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접합부의 접합단은 각각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중간 통형부로부터 단일의 통형체로서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중간 통형부를 구성하는 중간 통형 부재의 3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일체 의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 부재의 2개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가 상기 중간 통형부로 된 일체의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은, 상기 상부 회전체를 지지하는 회전륜을 장착하기 위한 둥근 동체가 설치된 상판과, 상기 상판과 상하 방향으로 대면하는 하판과, 상기 둥근 동체를 사이에 끼고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좌우 양쪽에 접합된 좌우의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측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다리부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가 접합되는 전방 다리부 접합면과,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후방 다리부의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가 접합되는 후방 다리부 접합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의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향해 경사져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의 후방 다리부 접합면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향해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 다리부의 축 중심선이 상기 전방 다리부 접합면과 교차하는 각도와, 상기 후방 다리부의 축 중심선이 상기 후방 다리부 접합면과 교차하는 각도가 같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KR1020047019964A 2002-11-28 2003-11-21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KR100554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5933 2002-11-28
JP2002345933 2002-11-28
PCT/JP2003/014934 WO2004048182A1 (ja) 2002-11-28 2003-11-21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851A KR20050014851A (ko) 2005-02-07
KR100554367B1 true KR100554367B1 (ko) 2006-02-24

Family

ID=3237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964A KR100554367B1 (ko) 2002-11-28 2003-11-21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38081B2 (ko)
EP (1) EP1566326B1 (ko)
JP (1) JP4113185B2 (ko)
KR (1) KR100554367B1 (ko)
CN (1) CN100357147C (ko)
AT (1) ATE388881T1 (ko)
DE (1) DE60319731T2 (ko)
WO (1) WO2004048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003A (ja) * 2002-12-06 2004-07-08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クローラフレーム
JP4617096B2 (ja) * 2003-05-20 2011-0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GB2430657B (en) 2004-09-14 2007-09-19 Komatsu Mfg Co Ltd Crawler Frame Mounting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5041747B2 (ja) 2006-07-11 2012-10-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センターフレーム及びセンター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7997619B2 (en) * 2006-09-28 2011-08-16 Kubota Corporation Track frame for work machine
CA2846662C (en) 2011-08-31 2018-05-22 Snowgrolic S.A R.L. Tracked vehicle
CN104816118A (zh) * 2015-04-29 2015-08-05 柳州金茂机械有限公司 小型挖掘机履带架通用焊接工装
CA3070510A1 (en) * 2017-07-20 2019-01-24 Camso Inc. Standard component of a vehicle with a connector dedicated to connecting a track system to the vehicle
US11692328B2 (en) * 2019-07-29 2023-07-04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 Compact utility load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4760A (en) * 1937-01-11 1939-01-24 Harnischfeger Corp Excavator base and frame
US2991132A (en) * 1959-06-05 1961-07-04 Eimco Corp Vehicle track frame construction
JPS4835138B1 (ko) * 1970-07-22 1973-10-26
FR2151500A5 (ko) 1971-08-31 1973-04-20 Saint Andre Filature
JPS5430417U (ko) * 1977-08-03 1979-02-28
JPS5430417A (en) 1977-08-11 1979-03-06 Shibaura Eng Works Ltd Power supply for controlling dc motor
US4231699A (en) * 1979-01-24 1980-11-04 Dresser Industries, Inc. Lower and crawler frame construction for crawler propelled machines
JPS55134091U (ko) * 1979-03-14 1980-09-24
JPS55134091A (en) 1979-04-02 1980-10-18 Tokyo Tatsuno Kk Oiler
US4266679A (en) * 1979-04-09 1981-05-12 Harnischfeger Corporation Convertible boom machine having modular bottom portion
JPH0615426B2 (ja) 1985-09-06 1994-03-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iC又はSi▲下3▼N▲下4▼基材とMo又はW基材との接合体
JPS6259577U (ko) * 1985-10-02 1987-04-13
JPH01181972A (ja) * 1988-01-14 1989-07-19 Mitsubishi Heavy Ind Ltd 小径管台溶接方法
JP3136773B2 (ja) * 1992-06-23 2001-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ロスメンバ継手部の成形方法
JP3495163B2 (ja) * 1995-11-20 2004-02-09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配管経路を備えたカーボディ脚部
SE511491C2 (sv) * 1998-02-26 1999-10-04 Scania Cv Ab Balkanordning
JP3399829B2 (ja) * 1998-03-25 2003-04-2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3479491B2 (ja) * 2000-03-23 2003-12-15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2002146831A (ja) * 2000-11-17 2002-05-2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ロワーフレーム
JP4526852B2 (ja) * 2003-05-20 2010-08-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4394503B2 (ja) * 2003-05-20 2010-0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48182A1 (ja) 2006-03-23
EP1566326A4 (en) 2006-08-16
ATE388881T1 (de) 2008-03-15
EP1566326B1 (en) 2008-03-12
EP1566326A1 (en) 2005-08-24
DE60319731T2 (de) 2009-04-02
JP4113185B2 (ja) 2008-07-09
CN1692053A (zh) 2005-11-02
DE60319731D1 (de) 2008-04-24
US20050225069A1 (en) 2005-10-13
WO2004048182A1 (ja) 2004-06-10
CN100357147C (zh) 2007-12-26
KR20050014851A (ko) 2005-02-07
US7338081B2 (en) 200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18194A1 (en) Boom
US8079636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060041816A (ko) 크롤러 프레임
JP4060796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KR100621479B1 (ko)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JP5041747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センターフレーム及びセンターフレームの製造方法
KR100554367B1 (ko)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JP4809206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4617096B2 (ja) 建設機械
JP2003129522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094940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4949963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430316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H09209402A (ja) 旋回式作業車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468987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KR101605902B1 (ko) 건설 기계의 배토 장치
JP4430550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4763631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5336920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1317084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S634693Y2 (ko)
JP2008057177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1323496A (ja) 建設機械の缶組構造物の板継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