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238B1 - 앰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앰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238B1
KR100553238B1 KR1019980031993A KR19980031993A KR100553238B1 KR 100553238 B1 KR100553238 B1 KR 100553238B1 KR 1019980031993 A KR1019980031993 A KR 1019980031993A KR 19980031993 A KR19980031993 A KR 19980031993A KR 100553238 B1 KR100553238 B1 KR 10055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sensor
rotor
discharg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412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구니히코 가노
야스히로 시게야마
즈요시 고다마
신야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9002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71Movement in one direction, substantially outw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4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7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다수의 앰풀을 무작위로 수납한 앰풀공급장치로부터 배출신호가 있으면 즉시 앰풀을 1개씩 배출할 수 있도록 출구측에 앰풀을 소요수 저장할 수 있는 앰풀공급장치를 갖는다.
앰풀공급장치는 저판(1a)을 한방향에서 경사가 자유롭게 한 앰풀수납용기(1)를 선반(50)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정렬수용부재(2)로 들어 올린 앰풀을 불출 수단(3)의 무단벨트(26)로 보내고, 출구측의 배출수단(40)의 로터(41)의 수용홈(43)에 소요수를 저장하여 대기준비하고, 배출신호에 의해 즉시 필요한 개수의 앰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앰풀공급장치{AMPULE FEEDER}
본 발명은 수납용기내에 무작위로 수납된 앰풀이나 바이알 등의 주사약을 처방전의 지시에 따라서 공급하는 앰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납용기내에 무작위 상태로 앰풀을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서 앰풀을 꺼내 공급하는 앰풀공급장치가, 예컨대 특개평7-300237호 공보, 특개평8-230826호 공보, 특개평8-225140호 공보 등에 공지되어 있다.
제1 공보의 물품격납장치는 무작위상태로 수납용기내에 수납한 앰풀을 저부에 몰입하고 있는 상면이 오목한 면으로 홈을 가지는 헤드를 실린더로드로 밀어 올려 상면에 실려있는 앰풀을 윗쪽으로 들어올리고, 흡인식의 흡착부에 흡착하여 콘베이어에 이송하는 방식의 것이다.
제2 공보의 약제공급용기는 앰풀을 무작위상태로 수납하는 수납용기내에 칸막이 판을 좌우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칸막이 판으로 구획된 2개의 수납실의 용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 방에 상부에 수용부재를 가지는 푸시 로드를 설치하여, 수용부재를 소정높이 들어 올리면 수용부재의 경사로 접속하는 반송라인에 접속되어 수용부재상의 앰풀을 배출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공보의 앰풀 불출은 앰풀수납용기의 저판을 경사진 상태로 하여, 그 일부에 설치한 구멍을 따라서 상하 동작하는 푸셔로 앰풀을 1개만 들어 올리고,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푸셔의 경사가 일치하는 또 하나의 경사저판상에 낙하시키고 이 또 하나의 경사저판의 일부에 설치한 또 하나의 푸셔로 또한 1도 앰풀을 상승시키고 앰풀을 1개만 정확히 파손시키지않고 꺼내 공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무작위수납방식의 앰풀공급장치는 앰풀을 수납용기내에 정연하게 수납유지하는 정렬방식에 비해서 앰풀의 수납조작이 간단하기때문에 최근에는 앰풀공급장치로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무작위수납방식의 경우, 수납용기에 수납된 다수의 앰풀로부터 1개 또는 수개씩 꺼내 정렬시킨 후 1개씩 공급하기까지, 앰풀의 꺼냄, 들어 올림, 불출 등의 중간동작부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불출하고 싶은 순간에 필요한 앰풀을 즉시 불출하지 못하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불출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으로서, 앰풀의 불출신호가 있으면 즉시 불출할수 있도록 미리 복수의 앰풀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1개씩 불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을 앰풀공급장치의 불출구에 접속하여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출수단을 설치한다고 하면 앰풀의 꺼냄, 들어 올림, 불출동작 등과 연동하여 순조롭게,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해야만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앰풀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앰풀을 배출하기까지 내부에서 앰풀을 될 수 있는 한 단시간에 배출하기위한 대기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또, 이러한 앰풀공급장치에서는 앰풀의 배출명령이 있는 경우, 이 명령에서 필요로 하는 앰풀의 배출수가 배출준비를 하고있는 수보다 많은 경우, 배출명령으로 준비되어 있는 전체수를 배출하면 부족분을 보충하여 배출하게 되지만 이 보충, 배출동작에 대해서도 될 수 있는 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무작위수납방식의 앰풀공급장치의 여러가지 문제를 앰풀공급장치의 불출수단에 소정의 개수의 앰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배출수단을 접속하여 대기준비를 하고, 배출신호에 따라서 즉시 앰풀을 1개씩 배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앰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수단으로 앰풀을 배출할 때의 앰풀의 보충, 배출하는 처리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앰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앰풀공급장치로 배출수단에 저장되는 앰풀의 존재를 체크하는 센서를 설치조정을 하지않고 정확하게 작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는 앰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앰풀이 무작위로 수납되는 앰풀수납용기와, 이 수납용기 측방에 앰풀을 정렬상태로 받아들이고 승강이 자유로운 정렬수용부재와, 상기 정렬수용부재상의 앰풀을 수납용기 외부에서 1개씩 불출하는 불출수단과, 불출되는 앰풀을 저장하고 또한 앰풀을 1개씩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불출수단에서 불출되는 앰풀의 유무를 검출하여, 배출수단으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상기 정렬수용부재와 불출수단을 배출수단에 연동하여 작동시키고 배출수단에 저장해야 할 소정의 개수의 앰풀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앰풀공급장치로 한 것이다.
제2의 발명은, 상기 앰풀공급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용부재에 앰풀의 유무를 검출하는 픽업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를 배출수단의 저장앰풀수이상의 배출명령이 있으면 픽업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로 불출수단을 배출수단에 연동하여 작동시키고 배출수단으로부터 앰풀을 배출하면서 배출명령개수에 부족한 수의 앰풀을 불출수단에서 배출수단으로 보내주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제3의 발명은 상기 앰풀공급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센서 리세트 스위치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도록 접속하고, 대기 센서 또는 진입센서에 의한 앰풀의 검출이 정확하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기위한 역치를 각 센서의 빈 상태와 앰풀검출상태로부터 소정의 연산에 의해 각 센서마다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앰풀공급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제어되어 앰풀의 배출이 행해진다. 앰풀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복수조의 것이 원통형으로 다단형 등의 상태로 집합하여 설정되고, 각 공급장치에는 다른 종류의 앰풀이 수납되도록 설치된다. 호스트 컴퓨터에 입력되는 각 환자마다의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서, 앰풀공급장치의 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부에 배출신호가 보내진다.
상기 배출신호가 특정한 앰풀공급장치에 보내지면, 그 지령에 따라서 앰풀공급장치의 제어부가 구동대상부를 제어하여 앰풀의 배출이 행해진다. 상기 앰풀의 배출지령이 입력되었을 때, 즉시 앰풀을 배출하기위해서는 앰풀수납용기로부터 필요한 개수의 앰풀을 취하여 불출하고, 배출수단에 이들을 저장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배출지령이 입력되기 전에 미리 배출수단에서 앰풀을 불출하여 대기준비를 한다.
그러나, 수납용기로부터 앰풀을 1개씩 꺼내는 것은 무작위 수납식의 경우, 반드시 불출 동작마다 매회 확실하게 앰풀이 불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는 정렬수용부재와, 불출수단과 배출수단을 제어할 때에, 배출수단으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그 때마다 정렬수용부재와 불출수단을 되풀이하여 작동시키고 배출수단의 로터의 수용홈에 필요한 개수가 저장되기까지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여 필요한 개수를 저장하는 대기준비를 행한다.
제2의 발명에서는 대기준비가 완료한 상태에서 저장앰풀수이상의 배출명령이 있으면, 정렬수용부재상에 앰풀이 실려 있으면 픽업 센서의 검출신호로 즉시 부족앰풀수를 배출수단에 보내, 효율적으로 가속화하여 앰풀의 보충, 배출처리를 한다.
제3의 발명에서는 배출수단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한 검출동작를 제어부에 의한 역치의 설정에 의해 각 센서마다 다른 기준치로 판단한다.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측면도이다. 이 앰풀공급장치는 앰풀을 수납하는 앰풀수납용기(1)와, 그 한 측벽을 따라 설치되는 앰풀의 정렬수용부재(2)와, 이 정렬수용부재상에 설치된 앰풀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불출수단(3)과, 그 외측에 로터(41)를 가지는 배출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앰풀수납용기(1)는 다수의 앰풀(A)을 무작위상태로 수납하는 용기이다. 앰풀수납용기(1)는 앰풀공급장치의 선반으로부터 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정렬수용부재(2)와 앰풀수납용기(1)의 경계부는 셔터(1S)에서 개폐가 자유롭게 앰풀수납용기(1)는 앰풀공급장치에 설치한 상태로 셔터(1S)가 개방하여, 앰풀수납용기(1)를 슬라이딩시켜 앞으로 인출하여 앰풀공급장치로부터 떼면, 상기 셔터(1S)가 폐쇄하고 수납된 앰풀(A)이 정렬수용부재(2)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앰풀수납용기(1)를 설치하기위한 선반(50)이 정렬수용부재(2) 측방에 설치되고, 그 위에 앰풀수납용기(1)가 그 저부 레그(1c)와 저부 레그플레이트(1c')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뽑아내어져 착탈된다.
정렬수용부재(2)와의 사이에는 선반측판(51)이 설치되고, 이 선반측판(51)에 의해 정렬수용부재(2)와의 사이를 격리시키고 있다. 선반측판(51)의 상단 내측에 앰풀수납용기(1)의 셔터(1S,1S)가 정렬수용부재(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개폐된다. 앰풀공급장치의 선반에는 앰풀수납용기(1)에 구비된 셔터(1S)를 개폐하는 구동기어(1G)를 구동하기위한 수납선반 래크(1R)가 구비되고, 상기 앰풀수납용기(1)를 장착하면 수납선반 래크(1R)에 구동기어(1G)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앰풀수납용기(1)가 장착된다.
이 구동기어(1G)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1G)에 마주 보고 설치한 셔터래크(1SR)가 각각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셔터 래크(1SR)의 이동에 따라, 셔터(1S, 1S)가 서로 떨어져서 개방되고, 앰풀수납용기(1)내의 앰풀이 정렬수용부재(2)로 이송재치가 가능해진다.
저부의 저판(1a)은 한방향에서 경사가 자유롭게 설치된다. 그 상세화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이 저판(1a)을 경사지도록 하였을 때, 그 경사의 아래 쪽 측면에 설치되는 측벽(5)을 따라서 승강하는 정렬수용부재(2)가 설치되고, 측벽(5)의 내측 면은 정렬수용부재의 가이드 역할도 한다. 이 측벽(5)보다 약간 내측 가까이에 설치한 셔터(6) 사이에서 정렬수용부재(2)는 승강한다. 셔터(6)의 상단은 정렬수용부재(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셔터(6)는 정렬수용부재(2)가 상승하였을 때에 그 아래 쪽의 공간에 앰풀(A)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 설치된다.
정렬수용부재(2)는 도시한 것의 예에서는 측벽(5)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적어도 앰풀길이의 1.5배 이상의 길이로 하여, 이 좁고 긴 두꺼운 판을 눕혀 승강시키는 것이고, 상단은 평평한 앰풀의 정렬수용면(7)으로 하고 있다. 정렬수용부재(2)의 두께는 대략 앰풀의 직경과 같은 정도이다.
도 3에 정렬수용부재(2)를 승강시키기 위해서 측벽(5)의 외측에 설치한 구동부의 상세화를 나타낸다. 11은 승강지지판, 12는 승강용 모터이고, 상기 지지판(11)에 불출수단(3)의 반송모터(13)를 직접 지지하고, 또한 모터의 출력축이 연결되는 풀리축(15)으로 구동되는 풀리(16)를 지지암(11x)에서 지지하고 있다. 승강지지판(11)에는 그 양단에 1쌍의 연결 암(17)이, 이 연결 암(17)은 측벽(5)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홈(18)을 관통하고 측벽(5) 내측의 정렬수용부재(2)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지지판(11)의 대략 중앙에는 승강용 로드(19)가 지지판(11)을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밀고 나아가도록 병렬로 설치되고, 이 로드(19)의 일면에 새겨 만든 래크치형(20)에 피니온(21), 기어군(22)으로 구성되는 감속기구가 맞물리고, 이 감속기구에 승강용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하면 승강지지판(11) 전체가 승강하도록 되어있다. 19a, 19b는 로드(19)의 상하단의 지지부재이다.
23은 센서부착판이고, 그 중단, 하단에 설치한 2개의 승강 센서(PHa, PHb)에 대하여 지지 암(11x)의 끝의 검출판(24)이 통과하면 차광되어 정렬수용부재(2)의 승강이 상, 하단위치에서 검출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해 승강이 정지된다. 25는 부착판이다. 불출수단(3)은 풀리(16) 사이에 놓여진 무단벨트(26)로 구성되는 반송장치이고, 전술한 반송모터(13)에 의해 구동되어 정렬수용부재(2)상에서 앰풀(A)을 정렬방향에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앰풀수납용기(1)의 저판(1a)은 수평인지지축(1AX)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1a′는 저판전단 가장자리재이고, 이 가장자리재(1a')에 일체의 배면저판(1b)이 수평으로 수납용기(1)의 아래에 설치된다. 상기 저판(1a)을 경사가 자유롭게 경사각도를 조정하기위한 경사조정기구(60)가 선반(50)의 정상부(50a)과 상기 앰풀수납용기(1)의 배면저판(1b) 사이에 걸쳐 설치된다. 이 경사조정기구(60)는 훅형의 푸셔(61)와 이것을 회전구동하는 모터(62)로 구성된다.
모터(62)는 정상부 판(50a)의 배면에 설치되고, 그 출력축에 설치한 피니온(63)이 푸셔(61)의 반경부내측의 반달형 기어에 맞물리고, 푸셔(61)는 회전축(61x)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푸셔단(61a)에 의해 저판(1a)의 배면을 밀어 올림으로써 저판(1a)이 경사진다. 푸셔(61)의 푸셔단(61a)이 정상부 판(50a)과 배면저판(1b)을 꿰뚫고 나가 돌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상부 판(50a) 배면저판(1b)에는 푸셔(61)가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폭이 좁은 슬릿형상의 개구(50b, 1p)가 설치된다.
또, 1af는 저판(1a)의 선단에 설치되는 커버부재이고, 탄력성이 있는 고무, 직물 등을 사용하여 저판(1a)이 경사졌을 때에 생기는 간극을 채우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판(1a)은 경사각도가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여러 단계의 각도로 경사조정이 행해진다. 또, 저판(1a)의 경사방향을 한방향으로 하였지만 저판(1a)의 폭을 작게 하여 경사방향과 직각방향의 양측 쪽에 별도의 경사가 자유로운 저판을 설치하고, 2방향이상으로 경사가 자유로운 것으로 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수단(40)의 수용홈(43)의 1개가 불출수단(3")의 불출방향과 일직선상이 되도록, 또한 불출수단(3)의 출구측과 수용홈(43)의 경사가 일치하도록 작은 각도(도 6의 예에서는 18。)로 기울어지게 배출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수단(40)에는 수용홈(43)이 5군데 설치되지만 이것은 이 수용홈(43)에 저장시키는 앰풀수를 많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5)을 따라 상하 동작되는 정렬수용부재(2)의 상단에 설치되는 불출수단(3)의 무단벨트(26)는 윗쪽의 주행부분이 소 풀리(16')에서 일부가 들어 올려지고, 소 풀리(16')에서 풀리(16)까지의 사이가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이 기울기가 배출수단(40)의 경사에 가까운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로터 디스크들(41', 41")의 사이에는 일정한 틈을 설치하고 있어, 그 간극에 투광되는 앰풀 진입센서(PR, PRa)가 이 위치에서 본체(40a)에 설치된다. 이 진입 센서는 PR이 발광소자, PRa가 수광소자이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광소자(PRa)는 2개가 소정의 각도 범위내로 설치된다.
수광소자(PRa)를 2개 설치하는 것은 그 중의 어느 하나로 앰풀(A)의 수용홈(43)으로의 진입이 검출되면 앰풀(A)이 있다고 판정하기 위해서이고, 수광소자(PRa)가 1개만으로는 확실하게 앰풀(A)의 진입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PQ는 로터(41)의 정위치 센서이다. 로터(41)의 정위치에 설치한 반응소자 (자성체 등)(t)에 반응하여 정위치가 오면 그 순간에 신호를 발생시켜 정위치를 검출한다.
도 5b에 수용홈(43)으로부터 앰풀(A)이 낙하하는 위치의 1개 앞에서 앰풀(A)이 대기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대기 센서(PW, PWa)가 수용홈(43)의 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에 차광을 부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 대기 센서도 수광측의 센서(PWa)가 2개, 발광측의 센서(PW)가 1개로 구성된다. 진입센서(PR, PRa)와 같이 검출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7에 상기 구성의 앰풀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개략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부(100)에 각종 센서의 신호가 입력신호로서 입력된다. PA는 저판(1)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 PB는 앰풀수납용기(1)가 정규위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위치 센서이다. 정렬수용부재(2)에는 그 상한, 하한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PHa (하한), PHb (상한)가 측벽(5)의 끝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PR, PRa, PW, PWa 에 있어서는 전술한 대로이다.
이상의 각종 센서의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100)로부터 제어신호를 구동회로(101)에 출력하고, 이에 따라 각 구동대상부를 구동제어한다. 구동대상부는 전술한 모터(12,13,42,62)의 4개의 모터이다. 또, 환자의 처방전에 근거하는 약제 데이터가 입력수단(111)으로 호스트 컴퓨터(110)에 입력되면, 그 정보에 따라서 필요한 때에 앰풀 불출신호가 특정한 앰풀공급장치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에 주된 동작내용을 그 동작순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의 동작내용은 후에 설명하는 상세한 플로우 챠트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앰풀공급장치의 동작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특정한 앰풀공급장치에 앰풀의 불출신호가 오기까지 불출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앰풀을 불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대기준비동작과, 불출신호에 따라서 로터를 동작시키고 앰풀을 불출하는 동작으로 대별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에서는 우선 로터(41)의 수용홈에 앰풀이 충전되어 있는지가 우선 체크된다. S2에서는 정렬수용부재(2) (도면상에서는 이것을 픽업이라고 약칭한다)를 승강시키고 앰풀을 정렬하여 들어 올린다. S3에서는 불출수단(3)을 구동하여 앰풀을 배출수단(40)으로 불출한다.
배출수단(40)에서는 S4에서 앰풀이 정확히 1개만 대기하고 있는 위치의 수용홈(43)에 진입했는지 아닌지의 체크 (도면상에서는 이것을 진입 체크라고 약칭한다)를 하고, 앰풀의 진입이 없을(공진(空振)일)때는 NO로 하여 S5에서 저판을 상하 동작시키고 앰풀의 교반을 행한다.
앰풀의 진입이 있으면, 로터의 다음 수용홈(43)에 상기 동작을 되풀이하여 또 앰풀을 충전하고, 필요한 개수를 저장하여 그 필요한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S6에서 체크하고, 저장되어 있으면 거기서 대기한다. S7에서 불출신호에 따라 불출이 행해진다. 또, 필요한 개수의 앰풀이 불출된 후 비게 된 수용홈에 다시 상기 동작이 되풀이되어 다음 불출신호까지 앰풀의 충전이 행해져 대기준비동작이 행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의 동작내용을 도 9, 도 10의 상세한 플로우 챠트에 따라서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의 블럭도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N : 저판카운터, M : 로터 피치카운터, P : 픽업카운터(공진)가 하드구성부재로서, 또는 제어부(100)내의 소프트 프로그램 내에 구비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저판카운터(N)에서 설정되는 변수 N는 후에 설명하듯이, 저판(1a)을 상하 동작시켰을 때의 각각의 경사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변수이다.
충전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각 카운터(N, M, P)의 변수N, M, P가 0으로 클리어된다. 또한, 저판(1a)은 장치전원을 투입하면 즉시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이것을 원점위치로 하여, 정렬수용부재(2)는 상한위치로 유지되는 것으로 한다.
스텝(S11)에서는 진입 센서(PR, PRa)에서 로터(41)의 앰풀수납위치에 있는 수용홈(43)내에 앰풀이 들어가 있는지 진입체크가 우선 행해진다. 예컨대 도 5a의 앰풀(A1)의 위치에 앰풀이 없을 때는 S12에서 로터(41)를 1피치 역회전시킨다. 정회전은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방향이고, 따라서 역회전시에는 앰풀(A2)의 위치의 수용홈(43)이 앰풀(A1)의 위치에 온다.
S13에서 로터 피치 카운터(M)의 변수를 1 증가시키고, S14에서 M= 3? 의 판정을 한다. M = 1이므로, 판정은 NO이고, 선두로 되돌아가 S11 에서 다시 앰풀의 진입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앰풀(A2)이 A1의 위치에 온 수용홈(43)내에 앰풀이 없으면, 다시 S12로 진행하고 또 로터(41)를 1피치 역회전한다. 이에 따라 A3의 위치가 A1의 위치에 온다. S13에서 M을 증가시키면 M = 2이므로, S14에서의 판정은 다시 NO가 되어 선두로 되돌아간다.
또, A3가 A1의 위치에 왔을 때 그 위치에 진입센서(PR, PRa)에 의해 앰풀이 진입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면, S12에서 로터를 또 1피치역회전시키고 M을 증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M = 3이 되므로 스텝 S15로 진행한다. 상기 로터의 역회전은 A3가 A1의 위치에 왔을 때에 기어의 백래시 등에 의한 약간의 위치 어긋남을 다음 S15에서 1피치 로터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없애기 위해서이다.
S15에서 로터(41)를 1피치 정회전시키고 A3가 A1 위치에 되돌아갔을 때, 다음 S16에서 정렬수용부재(2)를 하강시킨다. S17에서 하한위치 센서에 의해 정렬수용부재(2)가 하한위치까지 하강한 것을 검지하면, S18에서 정렬수용부재(2)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S19에서 불출수단(3)의 무단벨트(26)를 역회전시킨다.
정렬수용부재(2)가 하한위치까지 하강하면, 수납용기(1)내에 들어 있는 앰풀이 정렬수용부재(2)상에 무질서하게 서로 겹쳐 실리기 때문에 정렬수용부재(2)를 상한위치까지 상승시켰을 때에 앰풀이 서로 겹쳐진 채로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무단벨트(26)를 역회전시키는 것이다.
S20에서 상기 정렬수용부재(2)의 상승을 상한위치 센서로 검출하고, 상한위치에 달하면 S21에서 정렬수용부재(2)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S22에서 무단벨트(26)를 정회전시키고 정렬수용부재(2)상에 실려 있는 앰풀을 배출수단(40)의 로터(41)에 보내줌과 동시에, S23에서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시킨다. 또, 도 9의 A는 도 10의 A에 계속된다.
S24에서 로터(41)로의 앰풀의 진입이 검지된다. 앰풀의 진입은 무단벨트(26)의 어느 위치에서 올지 모르므로 최장거리에서 앰풀의 진입이 있을 수 있는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고, 이렇게 해서 설정되는 일정시간이 경과해도 진입검지 센서에 의해 앰풀의 진입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는 S25에서 타임아웃으로 하여 S26에서 무단벨트(26)를 정지시킨다.
S27에서 저판카운터(N)의 변수 N= 6인지를 판정하고, NO이면 S28으로 진행한다. 저판카운터(N)의 변수 N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저판(1a)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경사가 자유롭게 설정되어 있고, 수납용기내의 앰풀의 수납량이 적어짐에 따라서 저판(1a)을 단계적으로 경사지게 하여 될 수 있는 한 순조롭게 전량을 픽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저판(1a)의 수평, 또는 경사상태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H1: 로크해제
H2 : 저판수평
H3 : 저판저각도위치
H4: 저판고각도위치
상술한 바와 같이, 저판(1a)은 이 앰풀공급장치가 기동한 후 즉시 경사조정수단(60)의 푸셔(61)가 움직여서 로크해제상태로부터 저판수평상태(H2)로 세트되기 때문에 H2가 기준상태이다.
앰풀수납용기(1)내에 저장되어 있는 앰풀이 가득한지, 반 또는 빈 것에 가까운지의 저장상태를 검지하는 것은 이 장치에서는 행하고 있지 않기때문에 앰풀의 로터(41)로의 진입이 없는 것이 검출된 경우, 앰풀의 저장상태가 어떠한 상황이든 원칙으로서 다음 순서로 저판을 상하 동작시키고 앰풀을 교반하는 것으로 한다.
N 0 1 2 3 4 5 6
저판(1a) H2(원점)→ H3 → H2 → H3 → H4 → H3 → H4
변수(N)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판(1a)의 경사상태에 따르는 상태변수이다. 단, 앰풀의 로터(41)로의 진입이 저각도위치이면, 고각도위치까지 저판(1a)을 기울일 필요는 없으므로 어떤 저장상태이더라도 상기 저판(1a)의 모든 상하 동작이 반드시 행해진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변수 N에 대하여, 상술한 S27에서의 판정은 저판(1a)이 최초에는 기준위치 H2(N=0)에 있으므로 NO가 되고, 다음 스텝 S28로 진행한다. S28에서는 정렬수용부재(2)의 동작이 1회째 이므로 P=1은 성립하지 않고, S28'에서 P를 1 증가시키고,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16으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S16에서 S24로 진행하여 2회째의 앰풀의 로터(41)에서의 진입검출이 행해지고, 정렬수용부재(2)를 하강, 상승시키고 무단벨트(26)에 의한 앰풀의 이송을 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또 앰풀의 진입이 검출되지 않을 때는 S25로부터 S28로 다시 진행한다.
2회째의 앰풀의 진입 검출에서 앰풀이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때는 P = 1이 되고, S29에서 저판(1a)의 상태변수 N을 1 증가시키고, 그 변수 즉 N = 1에 대응하는 상태(H3)로 저판(1a)을 S30에서 동작시킨다. S31에서 변수(P)를 클리어하여 S16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정렬수용부재(2)를 하강, 상승시키고 앰풀의 로터(41)로의 진입을 체크하고, 진입이 없으면 저판(1a)을 상태(H3)에 기울여 다시 정렬수용부재(2)를 하강, 상승시키고 앰풀의 진입을 다시 체크한다. 저판(1a)을 상태(H3)로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앰풀의 진입을 확인할 수 없으면, 이 상태(H3)대로 2회째의 정렬수용부재(2)를 동작시키고 앰풀의 진입을 확인한다.
상기한 상태(H3)에서 2회의 정렬수용부재(2)의 하강, 상승동작에서도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다시 N을 증가(N= 2)시키고, S30에서 이번에는 저판(1a)을 수평으로 되돌리고, S31에서 P를 클리어한 후 S16으로 되돌아가고 다시 정렬수용부재(2)를 동작시킨다. 이렇게 하여 변수(N)를 변화시키고 거기에 대응하여 저판(1a)을 상하 동작시키면서 앰풀의 진입을 체크하고, 어느 쪽의 경사상태에서도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N = 6이 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되풀이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S29에서 N = 6이 되어 대응하는 상태(H4)로 된 후는 S27에서의 YES의 판정으로 S32로 진행하고, 그래서 또 P=0, P=1, P=2의 3회의 앰풀 진입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S33으로 진행하고 결품표시를 하여 S34에서 이 공급장치를 정지시킨다.
이상에서는 앰풀수납용기(1)가 빈 것 또는 빈 것에 가까운 상태인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로 수납용기(1)에는 앰풀을 가득히 저장하여 동작이 시작된다. 그리고, 그 저장량이 앰풀을 배출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각각의 저장상태에 따라서 상술한 앰풀 진입이 없는 각 체크단계중 어느 것에서 앰풀의 진입이 S24에서 검출된다.
S24에서 앰풀의 진입이 검출되면, S35로 진행하고 무단벨트(26)를 0.5초 역회전시키고 정지한다. 이 벨트의 역회전은 벨트상에 2개의 앰풀이 실려 있는 경우가 있고, S22에서 벨트를 정회전시키고 로터에 앰풀의 진입이 있었을 때에 그 뒷 쪽의 앰풀을 충분히 뒷 쪽으로 되돌리기 위해서이고, 앰풀이 2중으로 로터(41)의 같은 수용홈(43)에 들어 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S38에서는 로터(41)를 얼마안되는 회전각도로 정회전, 역회전시키고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로터(41)의 수용홈의 바닥까지 앰풀이 완전히 들어가고 도중에 앰풀의 일부 단이 수용홈에서 돌출한 채로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앰풀의 외주에 시일 등이 붙여져 있는 경우가 있고, 앰풀의 미끄러짐이 나쁘면 수용홈 내에 좀처럼 완전히 들어 가지 않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다.
그 후 S37에서 대기 센서에 의해 대기상태의 확인이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입 센서에 의해 로터(41)의 수용홈(43)내에서의 앰풀의 진입상태가 S11로 부터 S15의 스텝에서 확인되고, 앰풀의 진입이 없는 경우는 도 5의 A1로부터 A3까지의 위치에 앰풀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앰풀이 보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상기 로터(41)에 보내진 앰풀이 A3의 위치에 들어 간다.
그러나, 이 때 A3의 위치는 도 5a의 A1의 위치에 있고, 도 5a의 A3의 위치에는 아직 앰풀이 장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38에서 A3의 위치를 1피치 로터를 회전시키고 A2의 위치로 이송하고, 다음 A2가 A1의 위치로 오면 거기서 다음 앰풀이 보내지는 것을 기다린다. 또, S38에서 1피치 로터를 정회전시키고 처리동작이 선두의 S11로 되돌아갔을 때는 변수(N)를 0으로 하여 클리어하고 저판(1a)을 기준상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한다.
상기 대기상태에서 앰풀의 픽업을 상술한 플로우에 따라서 행하고 2번째의 앰풀이 A2의 위치에 보내지면, 또 로터(41)를 1피치 회전시킨다. 그리고 A1의 위치에 3번째의 앰풀이 보내지면 A3 위치의 앰풀이 S37에서 대기 센서(PW, PWa)에 의해 검지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로터(41)에서의 앰풀의 충전작업이 끝나고, S39에서 변수 N을 클리어하고 S40에서 저판(1a)을 원점위치로 되돌려 대기준비동작이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수단(40)의 로터(41)에 앰풀이 충전되어 대기하고 있는 앰풀공급장치에 배출지령의 신호가 입력되면, 로터(41)가 소요피치 회전하여 필요한 개수의 앰풀이 배출되면, 다음 배출지령신호가 오기까지 상술한 대기준비동작이 즉시 개시된다.
상기 대기준비동작이 개시되었을 때, 그 전에 배출된 앰풀이 1개인지, 2개인지, 3개인지에 의해서 로터의 수용홈에서의 앰풀충전수가 변하기때문에 그 상태에 따라서 상술한 준비동작의 도중에서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앰풀의 배출수가 많아져 수납용기(1)내의 앰풀수량이 감소하면, 로터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는 경우가 생기고, 그 경우 앰풀수량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서 상술한 N = 0∼6에 대응하는 저판(1a)의 상하 동작을 모두 행하는 가능성이 일반적으로 점점 증가하는 것은 새삼스레 설명할 필요도 없다.
도 11에 제2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앰풀수납용기(1), 정렬수용부재(2), 불출수단(3) 등의 주요부재는 같지만, 도시한 바와같이 정렬수용부재(2)의 정렬수용면(7)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여러개의 픽업 센서(Ps)가 매설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픽업 센서(Ps)는 앰풀의 길이치수보다도 짧은 간격으로 같은 간격에 매설되고, 이것에 의해서 정렬수용부재(2)에 진입한 앰풀을 검출한다.
또, 상기 픽업 센서(Ps)는 반사식의 빔 센서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접촉식 센서나 투과식 센서 등 앰풀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식은 어떤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 픽업 센서는 불출수단(3)으로부터 배출수단(40)으로 앰풀을 불출하는 처리를 단시간에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 설정되어 있고, 앰풀이 정렬수용부재(2)상에 실려 있는 것을 직접 검출함으로써 불출동작의 효율화, 가속화가 도모된다.
도 12는 이 실시형태에서의 대기준비동작의 효율화, 가속화를 꾀하기위한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작 플로우는 도 9의 동작 플로우와는 픽업 센서 (Ps)에 의한 판단스텝이 더해져 있는 점이 다르다. 같은 동작 플로우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도 9와 다른 동작 플로우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대기준비동작이 개시되면 스텝 S11∼S21까지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진행하고, S21'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해 정렬수용부재(2)상에 앰풀이 실려 있는지에 대한 검지가 행해진다.
이 픽업 센서(Ps)에 있어서의 앰풀의 체크에서 앰풀이 검출되면 그 검지신호에 의해 벨트를 정회전시키고 앰풀을 로터에 보내고, S24에서 진입센서(PR)에 의해 앰풀의 충전상태를 체크하고, 그 후 S37에서 대기 센서(PW)에 의해 앰풀의 준비상황을 확인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S21'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하여 앰풀이 검지되지 않을 때, 또는 앰풀은 검지되어 있지만, S24에서 앰풀의 진입이 검지되지 않고 앰풀이 정렬수용부재(2)상에서 앰풀끼리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이른바 브리지현상(bridge phenomenon)이 생겼을 때에 제1실시형태보다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점에서 효율화, 고속화가 도모되고 있다.
우선, S21'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해 앰풀이 검출되지 않을 때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텝 S27이후의 저판의 경사조작과 같은 조작이 즉시 행해진다. 이 저판의 경사조작은 제1실시형태의 S27∼S34의 조작과 같기때문에 SS에 같은 번호를 붙인 SS27∼SS34로서 나타내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저판경사조작은 S21′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한 검지 결과 타이머의 설정을 하지않고 행해지기때문에 저판경사조작은 제1실시형태의 경우보다 훨씬 신속히 행해진다.
한편, S21'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한 앰풀의 검출은 행해졌지만, 앰풀의 브리지현상때문에 앰풀이 S24에서 진입 센서에 의해 검지되지 않는 경우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25에서 브리지타이머가 타임 아웃이 됨으로써 이것을 검출하고, S26에서 벨트를 일정시간 역회전시킨 후 즉시 S16로 되돌아가 정렬수용부재(2)를 하강, 상승시키고 브리지현상을 해소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정렬수용부재(2)가 상한으로 상승하면 정지시키고 거기서 다시 픽업 센서(Ps)에 의한 앰풀 검지를 행하여 앰풀이 실려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브리지현상이 생겼기 때문에 로터로의 앰풀의 이송이 순조롭게 행해질 때라도 S27 이하의 저판조작을 한 후가 아니면 정렬수용부재(2)에서의 앰풀의 브리지현상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데 대하여,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저판조작하지않고 정렬수용부재(2)를 승강시킴으로써 브리지현상을 해소시키도록 하고 있기때문에 작동의 효율화, 가속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4, 도 15에 상기 제2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한 제3실시형태의 제어 프로그램인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이 플로우 챠트는 도 12, 도 13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스텝 S38의 1피치 정회전의 작동과 S39의 픽업 센서검지를 더하여, 그 판단결과에 의해 되돌아가는 B, D의 기호로 나타내는 공정위치가 도시한 바와같이 변경되어 있다.
B에 의해 플로우가 S16의 앞으로 되돌아감으로써 픽업의 하강동작을 즉시 개시한다. S39의 픽업 센서검지에 의해 그 전의 동작으로 로터(41)에 앰풀이 보내진 후 또한 픽업상에 다시 앰풀이 남아 있는 경우에, D의 기호로 S22의 앞으로 플로우를 되돌리고, S22에서 벨트를 정회전시키고 즉시 다음 앰풀도 로터(41)에 보낼 수 있고, 제2실시형태의 경우보다 더욱 효율화, 가속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대기준비가 완료한 앰풀공급장치에 있어서 앰풀배출명령에 따라서 앰풀을 배출하는 동작이라도 그 동작의 효율화, 가속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제4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앰풀배출명령이 지시되어 앰풀을 배출하는 경우, 앰풀배출명령에 의한 배출개수가 배출수단(40)에 저장되어 있는 최대앰풀저장수(도시의 예에서는 3개)와 같거나 또는 그 이하의 경우는 제1, 제2, 제3실시형태와 변화는 없지만, 최대앰풀저장수 이상의 개수의 배출명령일 때는 아래의 프로그램에 의해 배출동작이 다르다.
제1 ∼ 3실시형태의 경우는 명확히 설명하지않고 있지만, 배출명령개수가 최대앰풀저장수이상일 때는 우선 배출수단(40)에 저장되어 있는 앰풀전량을 배출하면, 배출수단(40)이 비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대기준비동작을 기동시키고 배출수단(40)에 앰풀을 보충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저장수가 최대앰풀저장수가 되면, 배출명령으로 최초에 배출한 앰풀수로서는 역시 부족한 앰풀수를 배출하고 배출명령개수를 완전히 배출하도록 되어있다.
이 배출방법에서는 앰풀을 보충할 때에, 그 전의 대기준비동작에서 정렬수용부재(2)상에는 앰풀을 실은 채임에도 불구하고 그 때마다 다시 정렬수용부재(2)를 하강, 상승시키고 앰풀을 싣는 동작을 하기때문에 쓸데없는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고, 이 제3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시간의 손실을 없애고 효율화, 가속화를 다음과 같이 하여 꾀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앰풀배출카운터가 사용되고 있지만,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럭도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하드구성부재 또는 제어부(100)의 소프트 프로그램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배출제어 플로우에 있어서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앰풀배출카운터(γ)가 스텝 ST1에서 클리어되고 0으로 설정된다. 단, 이 제어 플로우에서는 전술한 제2실시형태의 대기준비동작이 완료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3의 대기 센서검지의 스텝 S37에 의해 대기준비완료한 후의 동작으로서 설명한다.
다음에, ST2에서 배출신호의 유무를 확인한 후, ST3에서 앰풀의 배출명령개수(α)가 배출수단(40)의 로터(41)내의 앰풀수용개수(β)와 비교되고, 그 결과α≤β임에 한하여 ST4에서 로터(41)가 α의 개수분을 배출하도록 연속적으로 정회전하고 앰풀이 배출된다. 이 동작에 있어서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그러나, α≤β 가 아닌 즉 α>β의 경우는 ST5 이하의 스텝으로 진행하고, 보충동작을 한다. 예컨대, 명령개수α= 5에 대하여 수용개수β = 3이면 α>β이고, 이러한 경우에 보충동작이 행해진다.
스텝 ST5에서는 로터(41)를 1피치 정회전시키고 앰풀을 1개 배출하고, ST6에서 배출카운터(γ)를 1 증가시킨다. ST7에서는 이 증가시키는 동작이 끝남으로써 픽업 불출신호를 발생시키고, ST8에서 정렬수용부재(2)에서의 앰풀 불출동작이 행해진다. 이 ST8에서의 동작은 그 상세화를 도 17에 나타내고 있다.
우선, 스텝 ST81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한 검지가 행해진다. 이 검지시, 정렬수용부재(2)상에 대기준비동작시에 앰풀이 실린 채이면 픽업 센서(Ps)에 의한 검지는 즉시 YES가 되고, ST82에서 픽업 불출신호의 유무를 확인한 후 ST83에서 정렬수용부재(2)의 벨트를 정회전하여 앰풀을 로터(41)로 보내준다. ST84에서는 벨트정회전 직후에 브리지 타이머를 개시시킨다. 로터(41)로의 진입 도중에 앰풀이 브리지 고착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앰풀의 브리지에 의한 타이머시간은 예컨대 1.5초라는 긴 시간이기 때문에 ST85에서 타임 아웃이 아닌 한 ST86에서 진입센서(PR)에 의한 앰풀의 로터(41)로의 진입이 체크되고, 진입이 있으면 타이머를 ST87에서 리세트하고, ST88에서 벨트를 0.5초간 역회전시킨 후 정지시키고, ST89에서 로터(41)를 정회전 역회전시켜 진동시킨다. 이상에 의해 정렬수용부재(2)상에 앰풀이 실린 채이면, 도중 브리지가 생기지 않는 한 벨트를 정회전함으로써 즉시 앰풀의 보충이 행해진다.
스텝 ST8의 처리가 끝나면, 다음의 ST9로 진행하고, 여기서 α와 β+γ의 비교가 행해지지만, α= 5, β=3이면 γ=1이 ST6에서 설정되어 있어도 α(= 5) >β+γ= 3 + 1 =4 이기 때문에 No가 되어 ST5로 되돌아가고, 또 1피치 로터(41)가 회전되고 ST6에서 γ= 2가 되고, ST8에서 같은 동작이 되풀이된다. 그리고, ST8에서 정렬수용부재(2)로부터 로터(41)로 앰풀이 보내지면, ST9에서 다시 α와 β+γ의 비교를 한다.
ST9에서의 비교는 이번에는 γ= 2이고 α(= 5)= β +γ(= 3 + 2)이기 때문에 YES가 되어, ST10에서 로터에 수용되어 있는 전체 수용개수의 앰풀을 배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ST5에서의 2회의 로터정회전에 의한 앰풀배출수와, 로터에 수용되어 있는 3개의 앰풀을 ST10에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명령개수(α)의 앰풀을 배출하게 된다.
이상은 일반적으로 대기준비동작 완료시에 정렬수용부재(2)상에는 아직 앰풀이 복수개 실린 채인 것이 많은 것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가속화하여 앰풀을 배출하는 것에 관한 설명이지만, 상기 각 스텝 ST81 또는 ST85중 어느 것인가가 상기와 다른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ST81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한 검지시에, 정렬수용부재(2)상에 앰풀이 실려 있지 않는 경우, 또는 ST85에서 정렬수용부재(2)상에 앰풀이 실려는 있지만 브리지고착하여 브리지 타이머의 설정시간내에 로터(41)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81'∼ST87'의 각 스텝에서 정렬수용부재(2)의 하강, 상승동작을 시켜, 앰풀을 정렬수용부재(2)상에 싣든지 또는 브리지고착상태를 해소시키도록 한다.
상기 ST81'∼ ST87'의 각 동작은 도 12의 스텝 S16∼S21까지의 동작과 완전히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단, ST87'은 ST81에 되돌아갔을 때에 픽업 센서(Ps)에 의한 앰풀의 검출을 하기위해서 벨트정지를 시키고 둘 필요에서 추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4실시형태에서는 저장앰풀수이상의 앰풀수의 배출명령이 있으면, 배출수단으로부터의 배출동작에 있어서 정렬수용부재상에 앰풀이 실려있으면 픽업 센서의 검출신호로 즉시 부족한 앰풀수를 불출 수단에 의해 배출수단으로 보내 배출할 수 있고, 효율화, 가속화하여 앰풀의 보충, 배출처리를 할 수 있다.
도 18에 제5실시형태의 제어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이 제5실시형태도 제4실시형태와 같이 정렬수용부재(2)상에 몇개의 앰풀이 실려있는 것을 이용하여 신속히 앰풀을 로터(41)에 보내 앰풀의 배출동작을 효율화, 가속화하는 것을 꾀하는 것이다. 도면중의 스텝 ST1∼ST4까지의 동작은 도 16의 경우와 같아지지만, ST3에서의 판단이 NO인 경우 이하의 처리가 도 16의 경우와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스텝 SST5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제3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대기준비동작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전제이다.
ST3에서의 판단이 NO인 경우, 즉 앰풀의 배출명령개수α가 로터(41)내의 앰풀수용개수(β)보다 큰 경우에는 SST5에서 로터(41)를 β 피치 정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미리 로터(41)에 수납되어 있는 앰풀(이 예에서는 3개)을 전수 우선 배출하고, SST6에서 앰풀배출카운터(γ)에 β의 값 (= 3)이 설정된다.
다음에, SST7에서 픽업으로부터의 앰풀 1개 불출 동작이 개시된다. 이 불출 동작은 제3실시형태의 도 17에 나타내는 동작이고, 이 실시형태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불출 동작이 개시되어 진입센서(PR)의 검출에 의해 픽업으로부터 로터(41)에 앰풀이 1개 충전된 시점에서 SST8에 의해 γ의 값이 1 증가되고, SST9에서 이 값(γ(= 4))과 배출명령개수(α)가 같은지가 판단된다.
최초는 γ= 4이고, 배출명령개수(α)가 예컨대 5이면 아직 γ은 α보다 작기 (γ≠α)때문에 판단은 NO가 되고, SST10에서 픽업 센서(Ps)에 의해 픽업상에 앰풀이 실려 있는지를 체크하고, 픽업상에 앰풀이 실려 있으면 SST11에서 로터(41)를 1피치 정회전시키고 SST7의 앞으로 되돌아가고, 다시 한번 픽업상의 앰풀을 로터(41)에 보내준다. SST8에서 γ가 1 증가되면, 이번에는 γ= 5 이기때문에 γ=α 가 되어 SST12로 진행하고 로터(41)를 β 피치 정회전시키고 로터(41)내의 앰풀이 배출되어 배출동작이 완료한다.
이상은 픽업상에 복수개의 앰풀(예컨대 2 또는 3개)이 실려있는 경우, 그 앰풀을 필요에 따라서 즉시 로터(41)에 보내줌으로써 앰풀의 배출동작의 효율화, 가속화를 꾀한 것이지만, 상기 동작에 있어서 픽업상의 앰풀이 로터(41)에 보내져 없어지면 SST10에서는 픽업 센서(Ps)의 검출결과는 NO가 되고, 이 때는 SST13에서 로터(41)를 β 피치 정회전시키고 SST9의 앞으로 되돌아간다. 로터(41)내의 앰풀을 배출명령개수(α)에는 부족하더라도 먼저 배출하고 놓기 위해서이다.
SST7에 되돌아가면 도 17의 불출 동작을 되풀이하지만, 이 경우 픽업상에 앰풀이 실려있지 않는 것이 SST10에서 검지되어 있기 때문에 ST81에서의 픽업 센서(Ps)에 의한 검지라도 앰풀의 검지는 없고, 따라서 ST81' 이하의 픽업승강동작이 행해지고 앰풀이 검지되면 SST8이후의 조작이 진행한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픽업상에 복수의 앰풀이 실려있는 것을 전제로서 설명하였지만 픽업상에 앰풀이 없을 때는 SST7에서 도 17의 픽업승강동작으로 즉시 진행하고, 앰풀이 픽업상에 실리도록 한다.
도 19, 도 20에 제6실시형태의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의 동작을 주 프로그램으로 하여(도 19), 픽업의 동작을 서브 프로그램으로서 분리하고, 또한 픽업의 하강동작에 저판의 경사동작을 연동시키고, 또한 저판의 작동각도의 크기를 앰풀수납용기내의 앰풀의 양에 의해서 조절하지않고 픽업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공진회수의 대소에 따라서 설정하여 저판을 움직이도록 한 점이 다른 실시형태와 크게 다르다.
그리고, 이 제어 프로그램은 픽업의 상기 저판과의 연동 및 픽업의 상기와 같은 승강제어에 의해 픽업으로의 앰풀의 진입률을 향상시켜 신속한 대기준비동작을 할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프로그램의 S11∼S15의 각 스텝은 제1∼제3실시형태중 어느것인가와 완전히 같기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S15의 로터 1피치 정회전에 의하여 진입 센서위치의 로터(41)는 수용홈에 앰풀의 없는 상태가 되고, 그 위치에서 정지하여 앰풀의 진입을 대기한다. SP16에서는 호출하여 동작이 행해지고, 도 20의 서브 프로그램이 호출되면 그 처리가 우선하여 행해진다.
서브 프로그램이 동작개시하면 스텝 SQ1에서 픽업을 상한위치에 상승시킨다 (정위치 취함). 이것은 동작개시 시에 픽업이 하한위치 또는 중간레벨위치 등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이것을 반드시 정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SQ2에서는 픽업상에 앰풀이 실려 있는지를 검지하여, 앰풀이 실려있으면 SQ3에서 진입센서에 의한 체크를 하고, 진입 센서에 의한 앰풀의 검출이 없으면 SQ4에서 픽업카운터(P)를 리세트하여 SQ5로 진행한다. 진입 센서에 의한 체크는 후에 설명하는 것 같이 SP20에 의한 호출동작에 의해 픽업상의 앰풀의 유무를 체크한 후 SP20에 되돌리기 위해서이다.
SQ5에서는 픽업의 벨트를 정회전시키고 앰풀을 로터(41)에 이송함과 동시에 SQ6에서 브리지 타이머를 개시시킨다. 그리고 SQ7에서 진입 센서에 의해 로터(41)로의 앰풀의 이송을 체크하여, 앰풀이 검출되면 SQ8에서 타이머를 리세트하여 SQ9에서 주 프로그램의 SP16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이송의 체크로 일정시간내에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SQ10에서 타임 아웃으로 하여 후에 설명하는 픽업의 하강동작 플로우에 옮긴다 .
로터(41)로의 앰풀의 진입이 SQ7에서 검지되어 주 프로그램의 SP16으로 되돌아가면, 다음 SP17로 진행하고, 거기서 벨트를 0.5초 역회전시킨 후 정지시키고, SP18에서는 로터를 정회전 역회전시키고 진동을 가한다. SP17, SP18에서의 동작의 의미는 제1∼제3실시형태의 경우와 같다.
로터(41)로의 앰풀의 진입이 진동에 의해 확실하게 되면 SP19에서 대기 센서에 의한 앰풀의 체크가 행해진다. 이 대기 센서에 의한 체크로 앰풀이 아직 대기 센서의 위치까지 전수 충전되어 있지 않으면 S15에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되풀이한다.
이상에서는 서브 프로그램으로 픽업이 상한위치에 상승한 처음부터 앰풀이 픽업상에 실려있는 것을 전제로 하였지만, 이것은 후에 설명하듯이 로터로의 앰풀의 충전대기동작 후에 픽업상에 앰풀을 싣는 동작을 함으로써 대기준비가 종료하였다고 하듯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했기 때문이다.
상기 픽업을 상한위치로 상승시킨 초기에 픽업상에 앰풀이 실려있지 않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 경우는 SQ2에서의 판단은 NO이고, SQ12로 진행하여 픽업의 공진을 계수하는 픽업카운터(P) (동작개시시에 0으로 리세트되어 있다)를 1 증가하여, SQ13에서 P= 10인지가 판단된다. P=10, 즉 공진회수가 10회 이상이면 앰풀수납용기내에 앰풀이 없다고 하여, SQ23에서 결품표시하고 동작을 정지한다.
공진회수가 10이하이면 SQ14로 진행하고, 픽업을 하강하도록 제어신호를 모터로 이송하여 픽업을 하강시킨다. SQ15에서는 픽업의 공진회수(P)가 5이하인지를 판단하여, 5이하이면 SQ16에서 저판을 수평위치로부터 저각도위치로 기울인다.
또, 저판은 전원이 투입되면 즉시 수평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하여, 저각도위치는 제1∼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H3의 상태이다. SQ15의 판단으로 P가 5이상 (10이하)이면 SQ17로 진행하고, 저판은 수평위치로부터 고각도위치로 기울어진다. 고각도위치는 상기 H4의 상태이다.
상기 SQ16 또는 SQ17의 어느 쪽의 동작으로 저판을 경사지게 한 후에는 SQ18에서 픽업의 하한위치로의 강하를 체크하여, 하한위치에 픽업이 강하된 것을 검지하면, SQ19에서는 반대로 픽업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벨트를 역회전동작시킨다. 그리고 이 픽업의 상승과 함께 SQ20에서 저판을 저각도위치 또는 고각도위치로부터 수평상태로 되돌린다.
SQ21에서 픽업이 상한위치를 향하여 상승하면 SQ22에서 벨트를 정지시키고 SQ2의 앞으로 되돌아가고, 다시 SQ2에서 픽업상에 앰풀이 실려 있는지를 검지한다. 상기 1회의 픽업의 하강, 상승동작에서는 앰풀이 픽업상에 실려있지 않는 경우는 SQ12이하의 동작을 되풀이하여 앰풀을 픽업상에 싣는다.
이상에서 픽업상에 최초에 앰풀이 실려있지 않을 때라도 픽업의 하강, 상승에 의해 앰풀이 실리면, 그 이후는 전술한 SQ3∼SQ9의 스텝으로 진행하고, 주 프로그램의 스텝 SP16에 되돌아가게 된다.
상술한 스텝 SP19에서의 대기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 대기 센서로 앰풀이 검지되면, 로터(41)내에 수납할 수 있는 앰풀이 전량 충전되어 있으므로, SP20에 진행하고 거기서 다시 서브 프로그램의 호출을 한다.
이 서브 프로그램의 호출이 있으면, 다시 SQ1로부터 SQ2로 진행하고 픽업 센서에 의한 검지가 행해지지만, 이 서브 프로그램의 호출에 의한 동작은 다음 경우에 유효하다. 즉, 주 프로그램의 SP19로의 공정의 진행에 있어서 대기 센서가 앰풀을 검지하고, SP20에 진행하였을 때는 로터로의 앰풀의 충전은 전수 충전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정으로 진행할 때에 픽업상에 앰풀이 이미 남아 있지 않는 채로 로터를 정지하여 대기하면, 로터로부터 앰풀을 배출하는 명령으로 앰풀을 배출한 후 로터에 다시 앰풀을 충전할 때에 그 충전동작이 늦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SQ12 이하의 픽업의 하강, 상승에 의해 픽업상에 앰풀을 실은 상태에서 대기상태로 하는 것이다.
픽업상에 앰풀이 실리면 SQ2의 판단결과에 의하여 SQ3에 진행하고, 이 때는 진입 센서에서는 물론 앰풀이 검출되기때문에 SQ11으로 진행하고 주프로그램으로 리턴한다. 이 주프로그램으로의 복귀는 이 경우는 SP20에 되돌아가 그 상태로 동작은 종료하여,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해 이 실시형태의 프로그램에 의하면, 항상 픽업상에 앰풀을 몇개인가 실은 상태로 대기하기때문에 앰풀이 로터로부터 배출된 후에 앰풀을 로터에 다시 충전하는 동작이 신속히 가속화하여 행해진다.
또한, 픽업하강시에 저판을 경사시키고 상승시에 저판이 대략 수평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있으므로, 픽업이 하한위치로 저판이 경사지고, 이 때문에 앰풀의 픽업으로의 진입률이 각별히 향상하고, 저판의 회동에 의해서 수납용기내의 앰풀이 교반되어 브리지의 발생을 없애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앰풀의 수납용기내로 저판을 경사시킬 때에 제1∼5실시형태와 달리 픽업카운터의 공진회수에 따라서 저각도위치 또는 고각도위치로 저판의 경사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저판을 동작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픽업상으로의 앰풀의 진입률은 더욱 향상하고 있다.
또, 도 21에 표시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터(41)의 앰풀 진입센서(SR)와 대기 센서(SW)의 각각에 의한 검지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특별한 제어 플로우를 가지는 제7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 플로우도 도 7에 나타내는 제어부(100)내에 설치한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처리된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센서 리세트 스위치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이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2개의 센서의 동작조정 모드에 들어가 다른 제어를 그 사이 중지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1∼제6실시형태의 어느 것인가를 사용한 경우이고 배출수단(40)으로의 앰풀의 충전이 행해지고, 대기준비동작이 완료한 상태를 전제로 설명하지만, 대기준비동작을 반드시 자동설정할 필요는 없고, 진입 센서 (PR), 대기 센서(PW)의 각 위치에 앰풀이 있으면 이하의 체크동작은 가능하기때문에 손작업으로 이들 센서위치에 앰풀을 충전하여 이하의 동작을 개시하더라도 좋다.
스텝 SA1에서 센서 리세트 스위치신호가 입력되면, 진입 센서(PR)와 대기 센서(PW)에 의하여 SA2에서 각각의 위치에 앰풀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압치를 검출하고, 그 전압치를 기억부에 기억한다. 스텝 SA3에서 로터(41)를 1피치 회전시키면 진입 센서(PR)의 위치는 앰풀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빈 상태가 된다. 그래서, SA4에서 우선 진입 센서(PR)의 빈 상태에서의 전압치를 기억한다. 다음에, SA5에서 로터를 1피치 역회전시키면, 앰풀이 배출된 수용홈이 빈 상태에서 대기 센서의 위치로 되돌아가므로 그 상태로 SA6에서 대기 센서(PW)의 빈 상태의 전압치를 기억한다.
그런데, 진입 센서(PR), 대기 센서(PW) 모두 수광소자는 2개의 센서중 어느 것인가에 의해 앰풀의 존재가 확인되면 앰풀이 충전되어 있다고 해서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앰풀의 존재 확인은 수광소자(PRa, PWa)에 의한 수광상태에 대응하는 전압변동에 의해서 행해지지만, 실제로는 이들 센서의 설치 정밀도나 센서 자체의 부품정밀도, 또는 기온의 영향에 의해 발광소자(PR, PW)와 수광소자 (PRa, PWa)사이에서 미묘한 광축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이 때문에 개개의 센서의 앰풀검출에 있어서의 전압은 조금씩 다르다.
예컨대, 각 실시형태에서의 앰풀검출시의 각 센서의 평균전압치는 5V, 빈 상태일 때의 평균전압치는 0V이지만, 각 개개의 센서의 앰풀검출시의 전압치는 4V, 또는 3.8V 인 경우가 있다. 이들 센서에 의한 앰풀검출동작이 옳은 것으로서 취급하기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절대기준전압치를 설정하여 예컨대 4V 이상이면 앰풀검출이 정확하게 행해졌다고 하면 좋다.
그러나, 이러한 절대기준전압을 앰풀검출동작의 기준이라고 하면, 상술하였던것 같은 센서의 설치정밀도 등에 의한 앰풀검출시의 전압변동으로 절대기준전압이하가 되지 않도록 센서의 설치정밀도 등을 수정할 필요가 있어, 이러한 센서의 설치 및 전압조절에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개개의 센서마다 그 검출전압치로서 앰풀이 충전되어 있을때와 빈 상태의 값을 사용하여 개별로 다른 역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개개의 센서마다 설치조정을 하지않고 확실하게 앰풀의 충전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SA7에서는 상술한 앰풀의 검출전압의 경계치로서, 다음 식에 의한 역치를 산출한다.
(앰풀검출시전압치 + 빈 상태 전압치) / 2 = 역치
이 역치를 설정하고, 이후 이 역치를 사용하여 앰풀검출시의 전압값을 체크하고, 이 역치를 넘고 있으면 앰풀의 충전이 있다고 한다. 예컨대 앰풀검출시의 전압치가 4V 또는 3.8V, 빈 상태전압치가 모두 0이면, 각각의 역치는 2V 또는 1.9V 가 된다. 이 역치를 사용하면 상기 2개의 경우는 모두 정확하게 앰풀의 충전을 검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SA7에서 각 개별의 역치를 설정하면, SA8에서 로터(41)를 1피치 정회전시키고 선두로 되돌아가 대기상태로 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설정된 각 센서의 역치는 제어부(100)에 기억되고, 각 센서에서 앰풀검출시는 검출신호가 그 역치와 비교되어 앰풀의 검출이 체크된다.
상기 제7실시형태에서는 배출수단에 설치되는 앰풀을 검출하기위한 센서의 검출동작을 제어부에서 앰풀의 빈 상태와 검출상태에서 역치를 각 센서 별로 설정하여 이 기준치에 의해 체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센서 마다의 설치 조정을 하지않고 정확한 앰풀의 검출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앰풀공급장치는 무작위 수납방식의 앰풀수납용기에 정렬수용부재와 불출 수단을 설치하여, 이것에 접속한 배출수단을 연동시키고 불출 수단에 의해 불출하는 앰풀을 로터의 수용홈에 저장하여 배출신호에 따라서 배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무작위로 수납용기에 받아들인 앰풀을 1개씩 불출하여 배출수단에 소정의 개수의 앰풀을 저장하고, 배출신호가 있으면 즉시 필요한 개수의 앰풀을 배출할 수 있어, 대단히 효율적으로 신속히 앰풀을 1개씩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앰풀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2는 위와 동일한 것의 평면도,
도 3은 위와 동일한 것의 측면도,
도 4는 배출수단부근의 단면도,
도 5a는 도 4의 화살표시 V-V에서 본 단면도,
도 5b는 도 5a 의 B-B선 종단면도,
도 6은 작용의 개략설명도,
도 7은 제어회로의 개략블럭도,
도 8은 작동의 대략적 흐름의 설명도,
도 9는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10은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11은 픽업 센서를 가지는 제2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제2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13은 제2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14는 제3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15는 제3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16은 제4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배출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 17은 제4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배출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 18은 제5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배출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 19는 제6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20은 제6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작동의 플로우 챠트,
도 21은 제7실시형태의 앰풀공급장치의 역치 설정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앰풀수납용기 1a:저판
1G:피니온 1R:래크
1S:셔터 2:정렬수용부재
3:불출 수단 5:측벽
6:셔터 7:정렬수용면
12,13:모터 26: 무단벨트
40: 배출수단 41: 로터
42,62: 모터 43: 수용홈
44: 배출구 50: 선반
60: 경사 조정기구 61: 푸셔

Claims (12)

  1. 다수의 앰풀이 무작위로 수납되는 앰풀수납용기와, 이 수납용기 측방에 앰풀을 정렬상태로 받아들이고 승강이 자유로운 정렬수용부재와, 상기 정렬수용부재상의 앰풀을 수납용기외부로 불출하는 불출수단과, 불출하는 앰풀을 저장하고 또한 처방전 데이타에 기초한 배출신호에 따라서 앰풀을 1개씩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불출수단에서 불출되는 앰풀의 유무를 검출하여, 배출수단으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상기 정렬수용부재와 불출수단을 배출수단에 연동하여 작동시키고 저장해야 할 소정의 개수의 앰풀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앰풀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풀수납용기의 저판을 적어도 한방향에서 경사가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이 로터의 수용홈에 앰풀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로터에서의 소정의 개수의 앰풀의 저장상태를 대기 센서로 검출하여, 앰풀의 저장이 소정의 개수 이하에서는 로터를 역회전시키고 빈 수용홈을 앰풀의 수납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로터의 수납위치에서 로터내로 앰풀을 소정의 개수 저장하도록 로터를 정회전시켜 대기준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로터로의 앰풀의 진입을 진입 센서로 검출하여, 정렬수용부재의 승강과 불출수단에 의한 불출동작을 소정의 회수이상 되풀이하더라도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저판의 경사도 배출수단에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수단에 무단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를 로터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정렬수용부재를 하강시키고 하한위치보다 상승할 때에 불출수단의 무단벨트를 역회전시키고 정렬수용부재상에 중합되는 앰풀을 배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센서, 또는 진입 센서가, 1개의 발광소자와 복수의 수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수광소자중 어느 것이 앰풀을 검출하면 앰풀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 것으로 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용부재에 앰풀의 유무를 검출하는 픽업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를 불출수단으로부터의 앰풀의 유무 검출에서 배출수단으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상기 픽업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로 정렬수용부재와 불출수단을 배출수단에 연동하여 작동시키고 배출수단에 저장해야 할 소정의 개수의 앰풀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용부재에 앰풀의 유무를 검출하는 픽업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를 배출수단의 저장앰풀수이상의 배출명령이 있으면 픽업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로 불출수단을 배출수단에 연동하여 작동시키고 배출수단으로부터 앰풀을 배출하면서 배출명령개수에 부족한 수의 앰풀을 불출수단에서 배출수단으로 보내주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센서 리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도록 접속하여, 대기 센서 또는 진입 센서에 의한 앰풀의 검출이 정확하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역치를 각 센서의 빈 상태와 앰풀검출상태로부터 소정의 연산에 의해 각 센서마다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수단에 무단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를 로터로의 앰풀의 진입이 없으면 정렬수용부재를 하강시키고 하한위치보다 상승할 때에 불출수단의 무단벨트를 역회전시키고 정렬수용부재상에 중합되는 앰풀을 배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센서, 또는 진입 센서가, 1개의 발광소자와 복수의 수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수광소자중 어느 것이 앰풀을 검출하면 앰풀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 것으로 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풀공급장치.
KR1019980031993A 1997-08-06 1998-08-06 앰풀공급장치 KR100553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10297 1997-08-06
JP97-212102 1997-08-06
JP9900198 1998-04-10
JP98-99001 1998-04-10
JP98-149489 1998-05-29
JP14948998A JP4018240B2 (ja) 1997-08-06 1998-05-29 アンプル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412A KR19990023412A (ko) 1999-03-25
KR100553238B1 true KR100553238B1 (ko) 2006-04-21

Family

ID=2730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993A KR100553238B1 (ko) 1997-08-06 1998-08-06 앰풀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89728B1 (ko)
JP (1) JP4018240B2 (ko)
KR (1) KR100553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8240B2 (ja) * 1997-08-06 2007-12-0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アンプル供給装置
TW541274B (en) * 2000-02-16 2003-07-11 Sanyo Electric Co Chemical feeding device
EP2319480A1 (en) 2000-03-28 2011-05-11 Yuyama Mfg. Co., Ltd. Injection drug feeding device
JP2003190256A (ja) * 2001-10-19 2003-07-0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複連アンプル払出装置
JP3721357B2 (ja) * 2002-12-02 2005-11-30 照明 伊藤 チューブ型検体容器自動供給装置
JP3684227B2 (ja) * 2002-12-02 2005-08-17 照明 伊藤 分注チップ自動供給装置
KR100503000B1 (ko) * 2003-09-25 2005-07-21 (주)제이브이엠 정제 자동분배장치의 정제 감지 장치와 제어방법
EP2384640B1 (en) * 2010-05-06 2016-03-02 Poly-clip System GmbH & Co. KG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US10445970B2 (en) * 2016-09-23 2019-10-15 Jvm Co., Ltd.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US10179705B2 (en) * 2016-11-16 2019-01-15 Sensata Technologies, Inc. Feeder and method for feeding components into an assembly line
CN113456501B (zh) * 2021-06-29 2022-06-17 重庆医科大学 原发性高血压的监测给药装置及预测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287A (ja) * 1991-12-16 1993-07-09 Eisai Co Ltd 容器類の供給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ー機構
JPH08198434A (ja) * 1995-01-30 1996-08-06 Yuyama Seisakusho:Kk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08024A (ja) * 1995-02-02 1996-08-13 Yuyama Seisakusho:Kk 薬剤の払出し装置
JPH08225140A (ja) * 1994-12-20 1996-09-03 Yuyama Seisakusho:Kk アンプル払出し装置
KR19990013762A (ko) * 1997-07-31 1999-02-25 유야마쇼지 앰플공급장치
JPH11349127A (ja) * 1997-08-06 1999-12-21 Yuyama Seisakusho:Kk アンプル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4605B2 (ja) 1994-04-28 1996-07-10 株式会社セントラルユニ 物品格納容器
JPH08230826A (ja) 1995-02-27 1996-09-10 Yuyama Seisakusho:Kk 薬剤供給容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287A (ja) * 1991-12-16 1993-07-09 Eisai Co Ltd 容器類の供給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ー機構
JPH08225140A (ja) * 1994-12-20 1996-09-03 Yuyama Seisakusho:Kk アンプル払出し装置
JPH08198434A (ja) * 1995-01-30 1996-08-06 Yuyama Seisakusho:Kk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08024A (ja) * 1995-02-02 1996-08-13 Yuyama Seisakusho:Kk 薬剤の払出し装置
KR19990013762A (ko) * 1997-07-31 1999-02-25 유야마쇼지 앰플공급장치
JPH11349127A (ja) * 1997-08-06 1999-12-21 Yuyama Seisakusho:Kk アンプル供給装置
US6189728B1 (en) * 1997-08-06 2001-02-20 Kabushiki Kaisha Yuyama Seisakusho Ampule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89728B1 (en) 2001-02-20
KR19990023412A (ko) 1999-03-25
JPH11349127A (ja) 1999-12-21
JP4018240B2 (ja)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238B1 (ko) 앰풀공급장치
JP3989597B2 (ja) アンプル供給装置
KR101743412B1 (ko) 약제 불출 장치
US6119737A (en) Tablet packing apparatus
JP4861297B2 (ja) 水薬調剤装置
JP2005535525A (ja) 真空式錠剤分配カセット及びカウンタ
JP5040027B2 (ja) 水薬調剤装置
KR20140141277A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JP2007117708A (ja) 薬剤払出装置
US20070169437A1 (en) Vial supply apparatus
JP3939802B2 (ja) アンプル供給装置
JP4964199B2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JPH02188329A (ja) 基板供給装置
JPH08225140A (ja) アンプル払出し装置
JP2012184037A (ja) 水薬調剤装置
KR20210007751A (ko) 액상앰플자동공급기
JP4587835B2 (ja) Ptp払出装置
KR100631588B1 (ko) 앰플공급장치
JP4913708B2 (ja) 水薬調剤装置
JP3370309B2 (ja) 注射薬払出装置
KR102664319B1 (ko) 정제 연속 공급장치
US20240139070A1 (en) Medicine feeder
KR102664320B1 (ko) 정제 자동 공급장치용 정제로딩모듈 제어방법
JP4386760B2 (ja) 薬品払出装置
KR102674834B1 (ko)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