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008B1 - 차량용 신호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008B1
KR100541008B1 KR1020030045286A KR20030045286A KR100541008B1 KR 100541008 B1 KR100541008 B1 KR 100541008B1 KR 1020030045286 A KR1020030045286 A KR 1020030045286A KR 20030045286 A KR20030045286 A KR 20030045286A KR 100541008 B1 KR100541008 B1 KR 10054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ineffective
reflector
reflecting portion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614A (ko
Inventor
다테와키다케후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21W2107/1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 F21W2107/1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for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반사경(reflector)(91)을 포물면을 기본으로 한 유효 반사부(94)와, 이 유효 반사부(94)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거의 계단 형상으로 하고 또한 포물면을 기본으로 하지 않는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로 구성하고, 이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보다도 전방에 벌브(64)를 배치함으로써, 벌브(64)로부터 발한 광을,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에 직접 닿도록 하여 반사시키는 동시에, 벌브(64)로부터 발한 광을 렌즈(82)의 내면(82A) 및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에서 순서대로 반사시키도록 한 것으로, 벌브로부터 발한 광을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에서도 반사시킬 수 있고, 윙커(winker)의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으며, 윙커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 주는 인상에 큰 차가 생기지 않아, 윙커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가 광을 각 방향으로 반사하므로, 윙커의 일부를 일루미네이션상으로 발광시켜 신규 인상을 줄 수 있어, 상품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신호등{SIGNAL LAMP FOR MOTORCYCLE }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이륜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윙커의 설명도,
도 5는 도 4(a)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윙커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
도 7은 종래의 신호등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자동 이륜차) 58, 61 : 신호등(윙커)
64 : 벌브(bulb) 81 : 케이스
82 : 렌즈 82A : 내면
91 : 반사경 94 : 유효 반사부
95 :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
본 발명은 점등시와 비점등시에 주는 외관의 인상에 큰 차이를 생기지 않게 하여 상품성을 높인 차량용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신호등, 조명등 등의 차량용 램프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322923 공보 「차량용 전조등 장치」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의 도 1 및 도 5를 이하의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다. 또한, 부호는 다시 할당했다.
도 7은 종래의 신호등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이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스(201)의 전면에 렌즈(202)(도 8 참조)를 부착하고, 케이스(202)의 중앙부에 반사경(203)을 배치하여, 이 반사경(203)의 좌우 단부에 근접하는 케이스(201)에 삼각형상의 내면 영역(205, 205)을 설치한 헤드 라이트(206)가 기재되어 있다.
내면 영역(205)은 반사경(203)의 좌우에 형성한 단(207)과 동일한 단(208)을 형성함으로써, 단(207)과 단(208)이 나타내는 마디 형상 모양의 연속이 외관의 일체감을 눈에 띄게 하고, 또한, 내면 영역(205)과 반사경(203)의 단부와의 간극(G)을 내면 영역(205)의 단(208)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게 함으로써, 외관의 연속성을 높인다.
도 8에서는 케이스(201)의 내면 영역(205)에 다수의 단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다.
헤드 라이트(206)가 점등되지 않을 때는, 반사경(203)과 내면 영역(205, 205)이 연속적으로 보여 가로로 긴 헤드 라이트(206)라는 인상을 받지만, 헤드 라이트(206)가 점등되었을 때는, 내면 영역(205, 205)이 발광하지 않으므로, 헤드 라이트(206)의 가로 폭이 작게 변화한 것처럼 보인다. 이 때문에, 점등시와 비점등시에 주는 인상에 큰 차이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신호등을 개량함으로써, 점등시와 비점등시에 주는 외관의 인상에 큰 차가 생기지 않게 하여, 상품성을 높이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은, 벌브를 설치한 반사경을 지지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된 렌즈를 갖는 차량용 신호등에 있어서, 반사경을 포물면을 기본으로 한 유효 반사부와, 이 유효 반사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거의 계단 형상으로 하고, 또한 포물면을 기본으로 하지 않는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로 구성하고, 이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보다도 전방에 벌브를 배치함으로써, 벌브로부터 발한 광을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에 직접 닿도록 하여 반사시키는 동시에, 벌브로부터 발한 광을, 렌즈의 내면 및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로 순서대로 반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벌브로부터 발한 광을 반사경의 유효 반사부에 부가하여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에서도 반사시킬 수 있고, 신호등의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호등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 주는 인상에 큰 차이가 생기지 않아, 신호등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가 광을 각 방향으로 반사하므로, 신호등의 일부를 일루미네이션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고, 신규 인상을 줄 수 있어, 상품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고, 차량으로서의 자동 이륜차(10)는 헤드 파이프(11)를 전방단에 부착한 차체 프레임(12)과, 헤드 파이프(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핸들 축(13)과, 이 핸들 축(13)의 하부에 부착한 프론트 포크(l4)와, 이 프론트 포크(14)의 하단에 설치한 전륜(16)과, 이 전륜(16)을 조타(操舵)하기 위해서 핸들 축(13)의 상부에 부착한 핸들(17)과, 핸들 축(13), 헤드 파이프(11) 및 프론트 포크(14)의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8)와, 이 프론트 커버(18)의 후방부에 부착한 프론트 인너 커버(21)와, 전술한 차체 프레임(12)의 후부 상부에 부착한 러기지(luggage) 박스(22)와, 이 러기지 박스(22)의 상측방에 개폐 자유롭게 배치한 텐뎀 시트(tandem seat)(23)와, 차체 프레임(12)의 후부 하부에 부착한 파워 유닛(24)과, 이 파워 유닛(24)의 후단부에 부착한 후륜(2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23A, 23B는 텐뎀 시트(23)의 운전자용 시트 및 동승자용 시트, 31은 전륜(16)의 상측방을 덮는 프론트 펜더, 32는 핸들(17)의 전방을 덮는 핸들 커버, 33은 핸들 커버(32)에 부착한 윈드 스크린, 34는 핸들 커버(32)의 후부에 부착한 핸들 인너 커버, 36은 백 미러, 37, 37(앞측의 부호 37만 도시)은 플로어 스텝, 38, 38(앞측의 부호 38만 도시)은 플로어 스텝(37, 37)을 지지하는 스텝 지지 프레임, 41, 42는 파워 유닛(24)을 구성하는 엔진 및 동력전달기구, 43은 스탠드, 44는 파워 유닛(24)의 후단과 차체 프레임(12)의 후단에 걸친 리어 쿠션 유닛, 46은 차체 커버, 47은 후륜(26)의 상측방을 덮는 리어 펜더이다.
또한, 48, 48(앞측 부호 48만 도시)은 리어용의 윙커, 51은 차체측에 텐뎀 시트(23)를 개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한 시트 힌지, 52는 텐뎀 시트(23)를 닫았을 때에 텐뎀 시트(23)를 차체측에 걸어맞춤 하는 시트 캐처, 53은 차체측에 부착한 시트 캐처(52)와 걸어맞춤 하기 위해 텐뎀 시트(23)의 바닥판에 부착한 시트 후크이다.
자동 이륜차(10)는 후술하는 프론트용 신호등으로서의 윙커를 세로로 길게 하여, 이 윙커 전체를 발광시키는 동시에, 윙커의 상반분을 일루미네이션적으로 반짝 반짝 발광시키는 구조에 특징이 있으며, 이 구조에 대해 이하에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정면도로, 차체의 전방부 중앙에 정면에서 보면 거의 삼각형상의 헤드 램프(56)를 부착하고, 이 헤드 램프(56)의 양측방 및 하측방을 V자 형상의 프론트 서브 커버(57)로 덮고, 이 프론트 서브 커버(57)의 좌우로 신호등으로서의 윙커(58, 61)를 배치한 것을 도시한다. 또한, 63은 미터바이저, 64, 64는 윙커(58, 61)용의 벌브, 65는 프론트 커버(l8)의 개구부이다.
윙커(58, 61)는 세로로 길고 거의 삼각형상으로 하며, 벌브(64, 64)를 배치한 하부뿐만 아니라, 상부도 발광시키도록 하여 상품성을 높임과 동시에 일루미네이션적인 효과도 발휘시키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로, 리어 프레임(12A)을 좌우 한쌍의 좌측 프레임(67) 및 우측 프레임(68)으로 구성하고, 좌측 프레임(67)에 시트 캐처(52)를 부착하고, 우측 프레임(68)에 시트 힌지(51)를 부착한 것을 도시한다. 또, 71은 좌측 프레임(67) 및 우측 프레임(68)의 각 후단에 걸친 크로스 파이프, 72, 72는 동승자가 발을 얹기 위해 스텝 지지 프레임(38)(도 1 참조)에 접을 수 있게 부착한 동승자용 스텝(도면에서는 접어넣은 상태임)이다.
윙커(58, 61)는 이들 내측부(58A, 61A)를 평면에서 보면 프론트 펜더(31)의 좌우의 측부(31A, 31B)와 연속시키도록 배치하여 디자인의 일체감을 얻도록 한 것이다.
도 4(a), (b)는 본 발명에 관한 윙커의 설명도로, (a)는 렌즈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b)는 렌즈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a)에 있어서, 윙커(58)는 케이스(81)의 전면에 렌즈(82)를 부착한 신호등이고, 렌즈(82)의 렌즈 커트를 내측부(58A)에 거의 평행하게 설치한 것이다. 또, 84 내지 87은 윙커(58)를 프론트 커버(18)(도 2 참조)에 부착하기 위한 커버측 부착부이다. 또한, 윙커(61)(도 2 참조)에 대해서는, 윙커(58)와 좌우 대칭으로 기본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에 있어서, 윙커(58)는 다중 반사경(다반사면) 구조이고 또한 케이스(81)에 일체로 성형한 반사경(91)을 구비하고, 벌브(64)를 내측부(58A)에 부착한 것이다. 또한, 81A는 케이스(81)에 설치한 벌브 부착부이다.
도 5는 도 4(a)의 5-5선 단면도로, 반사경(91)을 기본형상이 벌브(64)의 광 원(93)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을 이루는 유효 반사부(94)와, 이 유효 반사부(94)보다 상측방에 유효 반사부(94)와 일체로 한 계단 형상의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다. 또한, H1은 유효 반사부(94)의 높이, H2는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의 높이이다.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는 신호등 배광 성능에 직접 기여하지 않는 부분이다.
유효 반사부(94)는 볼록형상의 원호면으로 한 반사부(97)…(…는 복수개를 표시함. 이하 동일)를 구비하고,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는 벌브(64)보다 상측방의 반사경(91)에 설치한 부분으로서 단부(101 내지 109)로 이루어진다.
단부(101 내지 109)는 각각에 수평으로 한 수평 반사면(111 내지 119)과, 이들 수평 반사면(111 내지 119)의 후단으로부터 상승시킴과 동시에 비포물면의 띠 형상 반사면(121 내지 129)을 구비한다.
즉, 단부(101)는 수평 반사면(111) 및 띠 형상 반사면(121)으로 이루어지고, 단부(102)는 수평 반사면(112) 및 띠 형상 반사면(122)으로 이루어지며, 단부(103)는 수평 반사면(113) 및 띠 형상 반사면(123)으로 이루어지고, 단부(104)는 수평 반사면(114) 및 띠 형상 반사면(124)으로 이루어지며, 단부(105)는 수평 반사면(115) 및 띠 형상 반사면(125)으로 이루어지고, 단부(106)는 수평 반사면(116) 및 띠 형상 반사면(126)으로 이루어지며, 단부(107)는 수평 반사면(117) 및 띠 형상 반사면(127)으로 이루어지고, 단부(108)는 수평 반사면(118) 및 띠 형상 반사면(128)으로 이루어지며, 단부(109)는 수평 반사면(119) 및 띠 형상 반사면(129)으로 이루어진다.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는 벌브(64)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단부(101 내지 109)의 띠 형상 반사면(121 내지 129)을, 벌브(64)로부터 발한 광이 직접 닿도록 배치한 부분이다.
즉, 벌브(64)의 광원(93)으로부터 단부(101)의 수평 반사면(111)의 전방단(132)을 통과하는 직선(133)을 그었을 때, 띠 형상 반사면(121 내지 129)의 어느 반사면이나 그 적어도 일부를 직선(133)보다 상측방에 배치했다.
띠 형상 반사면(121 내지 129)은 도 4(b)에 있어서, 유효 반사부(94)의 각 반사면(97…)의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한 것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함으로써, 윙커(58)의 비점등시에 유효 반사부(94)와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에서 렌즈(82)를 통한 외관성의 차를 적게 하여 위화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보면 띠 형상 반사면(121 내지 129)과 반사면(97…)의 각 반사면마다의 상하폭을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윙커(58)의 점등시에, 밝은 부분 중에 수평이고 평행한 다수의 마디로서 보이는 어두운 부분이 자연스러운 인상을 준다.
이상에서 기술한 윙커(58)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6(a), (b)는 본 발명에 관한 윙커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이고, (a)는 광의 반사를 도시하는 작용도, (b)는 광의 다른 반사를 도시하는 작용도이다.
(a)에 있어서, 광원(93)이 발한 광은 예를 들면 단부(103)의 띠 형상 반사면(123)에 직접 도달하고, 이 띠 형상 반사면(123)에서 반사하여 전방으로 진 행되고, 렌즈(82)를 통과한다. 다른 띠 형상 반사면(121, 122) 및 띠 형상 반사면(124 내지 129)에서도 마찬가지로 반사한다. 이와 같이,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의 최상단의 띠 형상 반사면(129)에서도 반사시켜, 세로로 긴 윙커(58)의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다.
(b)에 있어서, 광원(93)이 발한 광은 예를 들면, 렌즈(82)의 내면(82A)에서 반사하고, 이 반사한 광은 단부(102)의 수평 반사면(112)에서 반사하고, 또한, 단부(102)의 띠 형상 반사면(122)에서 반사하여 전방측으로 진행하여, 렌즈(82)를 통과한다. 다른 단부(101, 103 내지 109)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의 (a)에서는 띠 형상 반사면(121 내지 129)의 각각의 일부에서 광을 반사시키는데, (b)에서는 광원(93)으로부터 발하는 광의 각도, 예를 들면, 수평선(135)으로부터의 각도(θ)가 다르면, 광은 렌즈(82), 단부(102)의 수평 반사면(112)에 다른 입사각으로 입사하므로, 띠 형상 반사면(122)의 전체에서 모든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킨다.(다른 단부(101, 103 내지 109)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a)와 (b)의 양쪽에서 광이 반사한 반사면은 밝게 발광하는 것으로 보이고, (a)에서 반사하지 않은 부분은 어둡게 보인다. 이에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의 난반사가 가해지고, 외부에서 윙커(58)를 보는 각도에 따라 밝게 발광하여 보이는 부분이 변화하고, 반짝 반짝 빛나는 일루미네이션(illumination)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의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벌브(64)를 설치한 반사경(91)을 지지하는 케이스(81)와, 이 케이스(81)의 전면에 부착된 렌즈(82)를 갖 는 차량용 신호등으로서의 자동 이륜차(10)(도 1 참조)의 윙커(58, 61)(윙커(61)에 대해서는 도 2 참조.)에 있어서, 반사경(91)을 포물면을 기본으로 한 유효 반사부(94)와, 이 유효 반사부(94)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거의 계단 형상으로 하고, 또한 포물면을 기본으로 하지 않는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로 구성하고, 이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보다 전방에 벌브(64)를 배치함으로써 벌브(64)로부터 발한 광을,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에 직접 닿도록 하여 반사시킴과 동시에, 벌브(64)로부터 발한 광을, 렌즈(82)의 내면(82A) 및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에서 순서대로 반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윙커(58, 61)와 같이 디자인상, 세로로 길게 하면, 반사경(91)의 상부에서는 유효 반사부(94)에 연결시킨 포물면을 형성하기 어렵고, 종래의 기술에서는 반사경(91)의 상부를 비반사면으로 할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사경(91)의 상부를 계단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다수로 분할함과 동시에 포물면을 기본으로 하지 않는 비유효 반사면(즉, 수평 반사면(111 내지 119) 및 띠 형상 반사면(121 내지 129)임.)을 갖는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를 형성했다.
벌브(64)로부터 발한 광을 반사경(91)의 유효 반사부(94)에 가하여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에서도 반사시킬 수 있어, 윙커(58, 61)의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윙커(58, 61)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 주는 인상에 큰 차가 생기지 않아, 윙커(58, 61)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95)가 광을 각 방향으로 반사하므로, 윙커(58, 61)의 일부를 일루미네이션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고, 신규 인상을 줄 수 있어 상품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경 형상은 리어용의 윙커, 스톱 램프 등의 신호등에 채용해도 된다. 또한, 신호등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 램프 등의 조명등에 채용해도 된다. 또한, 세로로 긴 신호등, 조명등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로 긴 것으로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한 수평 반사부(111 내지 l19)를 설치했지만, 이들 수평 반사면(111 내지 119) 대신에, 수평이 아니라 경사지게 한 반사면을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의 차량용 신호등은, 반사경을 포물면을 기본으로 한 유효 반사부와, 이 유효 반사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거의 계단 형상으로 하고, 또한 포물면을 기본으로 하지 않는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로 구성하고, 이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보다도 전방으로 벌브를 배치함으로써, 벌브로부터 발한 광을,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에 직접 닿도록 하여 반사시키는 동시에, 벌브로 부터 발한 광을 렌즈의 내면 및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에서 순서대로 반사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벌브로부터 발한 광을 반사경의 유효 반사부에 부가하여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에서도 반사시킬 수 있어, 신호등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호등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 주는 인상에 큰 차이가 생기지 않아, 신호등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가 광을 각 방향으로 반사하기 때문에, 신호등의 일부를 일루미네이션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고, 신규 인상을 줄 수 있어 상품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벌브(bulb)를 설치한 반사경(reflector)을 지지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된 렌즈를 갖는, 세로로 길게 형성된 차량용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포물면을 기본으로 한 유효 반사부와,
    상기 유효 반사부의 상측부에서 상기 유효 반사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신호등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으로 경사진 복수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비유효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유효 반사부의 각각의 계단 형상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반사면과 상기 수평 반사면의 후단으로부터 상승시킨 비포물면의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 형상 비유효 반사부보다도 전방으로 상기 벌브를 배치하고,
    상기 벌브로부터 발한 광이, 상기 비유효 반사부의 비포물면에 직접 닿도록 하여 반사시키는 동시에, 상기 렌즈의 내면에서 반사된 벌브의 광은, 상기 비유효 반사부의 수평 반사면에서 반사된 후, 상기 비포물면의 반사면에서 반사되도록 상기 비유효 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비유효 반사부 전반에 걸쳐 난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등.
KR1020030045286A 2002-07-10 2003-07-04 차량용 신호등 KR100541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01786 2002-07-10
JP2002201786A JP3996001B2 (ja) 2002-07-10 2002-07-10 車両用信号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14A KR20040005614A (ko) 2004-01-16
KR100541008B1 true KR100541008B1 (ko) 2006-01-10

Family

ID=3170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286A KR100541008B1 (ko) 2002-07-10 2003-07-04 차량용 신호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996001B2 (ko)
KR (1) KR100541008B1 (ko)
CN (1) CN1285854C (ko)
ES (1) ES2246647B1 (ko)
IT (1) ITTO20030514A1 (ko)
MY (1) MY130627A (ko)
TW (1) TWI2407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2646C (zh) * 2004-05-08 2008-08-20 凛宜股份有限公司 光源装置
JP4425764B2 (ja) * 2004-11-05 2010-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構造
CN101097052B (zh) * 2006-06-27 2010-09-1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照明装置及其组合结构
JP5534677B2 (ja) * 2009-01-16 2014-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ポジションライトおよび灯火装置
CZ306862B6 (cs) * 2011-06-23 2017-08-16 Varroc Lighting Systems, s.r.o. Reflektorová signální svítilna se skrytým zdrojem světla
CN103204199B (zh) * 2013-04-28 2016-01-20 宁波市龙嘉摩托车有限公司 一种led摩托车尾灯
DE102015216746A1 (de) * 2015-09-02 2017-03-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Lichtfunktion mittels einer Fahrzeugleuchte
JP6793519B2 (ja) * 2016-10-24 2020-12-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6695925B2 (ja) * 2018-04-16 2020-05-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用灯火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9754A1 (de) * 1982-10-27 1984-05-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ignalleuchte, insbesondere vordere blinkleuchte, fuer kraftfahrzeuge
DE19727982A1 (de) * 1997-07-01 1999-01-07 Hella Kg Hueck & Co Leuchte für Fahrzeuge
DE10019559A1 (de) * 2000-04-20 2001-10-25 Hella Kg Hueck & Co Fahrzeugleuch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030514A1 (it) 2004-01-11
CN1480679A (zh) 2004-03-10
JP2004047235A (ja) 2004-02-12
MY130627A (en) 2007-07-31
KR20040005614A (ko) 2004-01-16
TW200401091A (en) 2004-01-16
ES2246647A1 (es) 2006-02-16
JP3996001B2 (ja) 2007-10-24
CN1285854C (zh) 2006-11-22
TWI240787B (en) 2005-10-01
ES2246647B1 (es)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9811B (zh) Locomotive position lights and lighting fixtures
US8118460B2 (en) Motorcycle headlamp
JP4535331B2 (ja) テールランプ構造体
TW470714B (en) Headlight of motorcycle
JP2007030592A (ja) 車両用ライト装置及び該ライト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KR100541008B1 (ko) 차량용 신호등
JP5301295B2 (ja) 車両の尾灯装置
JP5856523B2 (ja) 自動二輪車の灯火装置
JP6309567B2 (ja) 車両用前照灯
CN112577017A (zh) 前照灯装置
JP6356358B2 (ja) 自動二輪車用のポジションライト構造
CN101357654A (zh) 跨乘式车辆
JP200416497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6192238B2 (ja) 自動二輪車
JP5504016B2 (ja) ヘッドライト装置
JP2980280B2 (ja) 自動二輪車のストップランプ配置構造
JP3221588U (ja) 拡散補助光型を有する遮光ユニット及びその車両用ライト
JP5903297B2 (ja)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イト
JP5564011B2 (ja) 車両の後部構造
JP7377648B2 (ja) ヘッドランプユニット
JP3671841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JP5069145B2 (ja) 車両の灯火器構造
US10627068B2 (en) Headlight device for saddled vehicle
JP2980279B2 (ja) 自動二輪車のストップランプ配置構造
US10619819B2 (en) Vehicular lam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