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221B1 - 도어 미러 - Google Patents

도어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221B1
KR100535221B1 KR10-2003-0038178A KR20030038178A KR100535221B1 KR 100535221 B1 KR100535221 B1 KR 100535221B1 KR 20030038178 A KR20030038178 A KR 20030038178A KR 100535221 B1 KR100535221 B1 KR 10053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ivided
door mirror
mirror surfa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325A (ko
Inventor
야마베히데야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스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스오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스오토
Publication of KR2004004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차체후방을 비추기 위해서 차체측방으로 돌출된 도어 미러의 경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분할되고, 분할된 경면에는 각각 반사각조정기구가 부설되어 분할 경면의 반사각이 독립적으로 임의로 가변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에 위치하는 분할 경면이 도어 미러의 측면방향으로 경면을 외측으로 하여 회전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어 미러{DOOR MIRROR}
본 발명은 도어 미러에 관한 것이며, 자세하게는, 차체후방을 비추기 위해서 운전석 양측의 도어측면에 차체측방으로 돌출되어 부착되는 도어 미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의 양측에는 안전 장치의 일종으로서 차체후방을 비추는 도어 미러가 부착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도어 미러에는 후방을 비출 수 없는 사각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이 사각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경면의 반사각을 변화시키면, 이번에는 그때까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던 부분이 사각이 되어 확인할 수 없게 된다는 이율배반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어 미러에 의해 후방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경면의 반사각을 차체후방의 먼 곳을 확인하도록 조정하고 있으면, 내륜차에 의한 갓길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후륜부분의 확인이 어려워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좁은 도로에서 스쳐 지나갈 때나, 좁은 차고 내에 차량을 수납할 때에, 도어 미러를 접어서 조금이라도 차폭을 작게 하려고 하는 일이 자주 행해지지만, 이렇게 도어 미러를 접어버리면, 그때까지 도어 미러로 확인할 수 있었던 후방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되어, 후방의 안전 확인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차체후방의 먼 곳을 확인하도록 조정하면, 후진할 때의 후륜의 주위의 확인이 역시 곤란해져, 탈륜 등의 사고를 일으키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JP2000-272419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 미러의 외측부분의 경면을 볼록하게 만곡시켜, 시야를 넓힘으로써 사각을 가능한 한 적게 하거나, 또는 JP2000-10878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 미러의 측면에 다른 경면을 붙여서, 도어 미러를 접었을 때에 그 경면으로 차체후방의 안전확인을 행하도록 한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도어 미러의 외측부분의 경면을 볼록하게 만곡시켜서 시야를 넓힌 것은, 차체후방의 먼 곳을 보기 위한 평탄한 주(主)부분 경면에 볼록만곡 경면이 연속되어 있으므로, 비춰지는 영상이 상기 주부분의 영상으로부터 부자연스럽게 왜곡된 상태로 변화되어 가는 것처럼 보여서, 영상의 판독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는 것 외에, 주행 중 왜곡되도록 변화되는 영상에 환혹되어서 전방 주의를 소홀히 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갓길주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미러를 후방의 차륜주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사각을 조정하면, 차체후방의 먼 곳의 확인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또, 후자의 도어 미러 측면에 다른 작은 거울을 붙이는 발명은, 도어 미러를 넓혀서 사용하고 있을 때는, 측면의 작은 거울은 안전확인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있을 뿐만아니라, 태양광이나 대향차의 헤드라이트광이 생각하지 않는 방향으로 반사되어, 다른 차의 안전운전에 장해가 될 우려가 있다. 또, 주행중, 다른 물건과 접촉하기 쉽고, 접촉하면 간단히 파괴되어 버려, 이후의 이용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보통 주행 중에 있어서의 도어 미러의 상하 또는 좌우에 생기는 사각을 간단히 해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 미러를 접은 상태에서의 후진시의 후방확인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 미러를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도어 미러는 차체후방을 비추기 위해서 차체측방으로 돌출된 경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분할되고, 각각의 분할 경면에 반사각 조정기구가 부설되어, 상기 분할 경면의 반사각이 독립적으로 임의로 가변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분할된 경면의 반사각을 각각 임의로 원격조작함으로써, 한쪽의 분할부분에서 주된 반사 영상을 확인하고, 다른쪽의 분할부분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 예를 들면 측방 등을 관찰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그만큼 사각을 적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에 있어서의 분할선은 수평방향으로 하여, 경면을 상하로 분리하는 선으로 해도 좋고, 또, 분할선을 수직방향으로 하여, 경면을 좌우로 분리하는 선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자의 하방의 분할 경면에 의해서 차체후방의 하부를, 또, 상방의 분할 경면에 의해서 차체후방의 먼 곳을 확인할 수 있어, 차체의 원근 양쪽의 후방시야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는, 내측의 분할 경면으로, 차체의 먼 곳 후방을, 외측의 분할 경면에서 차체측방의 부근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외측 도어 미러를 경면을 외측으로 하여 회전 돌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차체후방의 사각을 없애도록 경면의 반사각을 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 미러를 접었을 때에도, 도어 미러의 측면에 회전시켜 돌출시킨 경면에 의해 차체후방을 관찰할 수 있어,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의 도어 미러에 있어서, 둘로 분할된 경면이 공통의 베이스로 지지되고, 이 베이스가 제1각도조절기구로 임의의 각도로 반사각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어느 한쪽의 분할 경면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2각도조절기구로 독자적으로 반사각조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할된 경면이 전체에서 일체적으로 각도조절할 수 있으므로, 분할되어 있어도 경면전체를 1장으로 연결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분할된 경면을 독자적인 각도마다 변화시킬 수도 있어, 적응성이 넓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어 미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에 나타내는 도어 미러(1)는 후방을 비추기 위한 경면(4)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에 가까운 내측과 차체로부터 먼 외측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분할 경면(4a, 4b)이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분할 경면(4a, 4b)의 이면에 설치된 반사각조절기구(2, 3)에 의해 반사각이 임의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각도조정을 행하는 기구 그 자체는 종래와 같은 것이 사용되지만, 그 구조를 반사각조절기구(2)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수직축(2a)과 수평축(2b)이 교차한 십자형상을 이루는 축의 수직축(2a)이 도어 미러의 케이싱(1c)측의 베어링(2c)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십자형상을 이루는 축의 다른 축인 수평축(2b)이 경면(4a) 또는 경면(4b)의 이면측의 베어링(2d)에 지지되고, 각각의 축에는 스프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1c)측에, 십자형상을 이루는 축의 수직축(2a), 수평축(2b)의 연장선 상에 돌기(2e, 2f)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기(2e, 2f)가 상기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경면(4a)의 이면을 밀면서 경면(4a)방향으로 출몰함으로써, 3차원방향으로 경면의 반사 각도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도어 미러(1)에 의하면 반사각조절기구(2, 3)에 의해 경면(4a, 4b)의 반사각을 각각 독자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한쪽의 경면(4a)의 사각부분을 다른쪽의 경면(4b)에서 보충할 수 있고, 또한, 그 각도조절은 운전자가 각각의 경면(4a, 4b)을 관찰하면서 반사각조절기구(2, 3)를 원격조종함으로써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도어 미러(1)의 사각을 가능한 한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의 실시예로서, 경면을 좌우로 분할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경면(4c, 4d)을 독자적으로 반사각조절기구(2, 3)로 각도조절할 수 있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상부의 분할 경면(4c)으로 후방 먼 곳, 하부의 분할 경면(4d)으로 후방하부를 볼 수 있으므로, 후방의 장해물을 원근 양쪽 모두 관찰할 수 있고, 전진 운전시에서는 내륜차에 의한 갓길주행을 방지, 후진 운전시는 탈륜방지 등이 도모된다.
또, 경면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좌우 분할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하 분할을 조합하여,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경면(4a)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분할하고, 각각을 독자적으로 반사각조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부분을 만곡시킨 경면를 좌우로 분할하여, 각각의 경면(4a, 4b)을 독자적으로 반사각조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만곡한 경면은 분할선(4e)으로 시각적으로도 명료하게 구분되므로, 평면에서 곡면으로 연속된 반사상에 의해 환혹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도어 미러에 의하면, 분할된 경면의 각각의 반사각이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경면의 사각을 다른쪽의 경면에서 보충할 수 있어, 도어 미러에 비추는 후방의 확인성이 좋아진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는, 도 4에 단면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경면의 각각이 각도조절기구(2, 3)에 의해 임의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또 외측의 경면(4b)이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링크기구를 갖는 회전기구(7)에 의해, 각도조절기구(3)마다 도어 미러(1)측면(1a)으로 전개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기구(7)는 경면(4b)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케이싱(1c) 내면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7a)과, 이 가이드 레일(7a)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는 슬라이더(7b)와, 이 슬라이더(7b)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에 축지지된 피니언기어(8) 및, 슬라이더(7b)의 행정말단부에 설치한 랙(9)과, 상기 기어(8)의 축과 동축에 축지지되고, 선단부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J자형상으로 구부러진 회동암(10)과, 이 회동암(10)의 역J자형상의 선단부에,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각도조절기구(3)를 통해서 부착된 경면(4b)과, 가이드 레일(7a)을 따라 슬라이더(7b)를 슬라이딩구동하는 크랭크암(11)이, 슬라이더(7b)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회전축(12)에 축지지되어, 선단의 긴 홈(1la)을 슬라이더(7b)에 설치한 핀(7c)에 끼워맞추고, 크랭크암(11)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7b)를 슬라이딩이동시키도록 되어있다. 회전축(12)에는 백 미러(1) 본체의 회동에 따라서 회전축(12)을 회동시키는 크랭크(13) 및 로드(14)가 연접되고, 로드(14)는 차체(5)에 설치한 베어링(15)에 축지지한 축(16)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17은 도어 미러(1)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나타내고, 그 축에는 기어(18)가 설치되고, 모터(17)를 원격조종에 의해 회동시킴으로써 도어 미러측 종동기어(19)를 종동구동하고, 도어 미러(1)를 차체측면을 따르도록 접거나 반대로 전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 도어 미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통의 주행 사용시에는, 분할된 경면(4a, 4b)의 수평, 수직축선주위의 회전 각을 조절하여 각각의 반사각을 조정해서 후방을 비추도록 사용한다.
그리고, 좁은 길에서 스쳐지나갈 때나 입고시 등 도어 미러를 접을 때는, 수동 또는 모터(17)의 원격조작에 의해 도어 미러를 접는다.
이 때, 도어 미러(1)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12)과 차체측 지지축(16)(도 4)의 상대간격이 점차 멀어지고, 이 때문에 크랭크(13)가 로드(14)에 인장되고, 이것에 의해 축(12)이 회전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크랭크암(11)에 밀려 핀(7c)을 통해서 슬라이더(7b)가 경면(4b)의 전면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7b)와 분할 경면(4b)은 회동암(10)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7b)의 이동에 의해 분할 경면(4b)은, 도 7의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면의 정면측으로 평행하게 밀려나오게 된다.
그리고, 역J자형상의 회동암(1O)의 내포 공간(1Oa)이 케이싱(1c)의 개구단과 간섭하는 일없이 회전가능한 위치까지 밀려나오면, 피니언(8)이 랙(9)에 맞물리기 시작하여, 피니언(8)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회동암(10)이 도 7의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분할된 경면(4b)을 외측으로 하여 돌출시킨 후, 도 7의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해서 정지한다.
또, 도 7에 있어서 돌출시킨 분할 경면(4b)의 돌출거리는 회동암(10)의 내포 공간(1Oa)의 폭에 의해 조정된다.
이 시점에서, 도어 미러(1)의 전체는 차체측면으로 접히고, 한편, 돌출된 경면(4b)은 도어 미러(1)의 측면, 즉 차체후방을 비출 수 있는 위치에 돌출된 상태가 되고, 도어 미러(1)를 접은 상태라도 후방확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분할 도어 미러(4b)는 회동암(10)에 각도조절기구(3)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어 미러(1)측면에 회전하여 돌출된 상태로 한 뒤라도 경면(4b)의 반사각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접은 도어 미러(1)를 다시 펼칠 경우는, 상기와 반대로 로드(14)에 밀려서 회동하는 축(12)의 이동에 따라서, 크랭크암(11)에 끌려서 슬라이더(7b)가 복귀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것에 따라 랙(9)과 맞물리는 피니언(8)의 회동에 의해, 암(10)이 복귀 방향으로 회동하고, 계속해서 슬라이더(7b)의 복귀이동에 의해 분할 경면(4b)은 평행이동하여 케이싱(1c) 내로 포함되어 가고, 당초의 분할 경면(4a)과 동일평면이 된다. 이 상태에서 필요하다면 다시 각각의 반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에 의하면, 분할된 경면(4a, 4b)의 각각이 임의로 반사각의 조정을 할 수 있고, 서로의 사각을 보충함과 아울러, 차체를 따르도록 도어 미러(1)를 접었을 때는, 그 이동에 맞춰서 자동적으로 분할 경면(4b)이 도어 미러(1)의 외측면으로 전개해서 돌출해 오기 때문에, 도어 미러(1)를 접은 상태라도 후방확인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 상기의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1)로서, 분할 경면(4b)의 밀어냄을 링크기구에 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12)과 기어회전축(19)에 각각 풀리(22, 23)를 설치하여 이들 사이에 전동벨트(24)를 감아걸고, 도어 미러(1)의 펼침, 접음의 회전동작이 벨트에 의해 축(12)에 전동되도록 해도 된다. 또, 도면 중 도면부호 25는 아이들러를 나타내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4)를 꽉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로드(14), 크랭크(13), 축(16) 대신에 풀리(22, 23) 및 전동 벨트(24)를 설치한 점이 다를 뿐 그 외는 같으므로 동일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이외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축(12)에 대해서도 구동 모터(20)를 설치하고, 원격조종에 의해 구동 모터(20)를 구동함으로써 기어(20a, 12a)를 통해서 분할 경면(4b)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돌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로드(14), 크랭크(13), 축(16) 대신에 구동모터(20)를 설치한 점이 다를 뿐 그 외는 같으므로 동일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의 도어 미러(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된 경면(4a, 4b)은, 각각 제1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각도조절기구(2, 3)에 의해 반사각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의 분할 경면(4b)이, 케이싱(1c)의 외측측벽(1d)과 함께 도어 미러(1)의 외측면으로 전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제3실시예의 도어 미러(1)의 분할 경면(4b)은, 축(12)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연장설치된 만곡암(10b)에 각도조절기구(3)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분할 경면(4b)의 외측부분에 도어 미러(1)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측면부재(1d)가 일체로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12)에는 풀리(22)가 설치되고, 도어 미러(1)의 기어회전축(19)과 동축에 구동 풀리(23)가 설치되고, 그들 풀리(22, 23)사이에 전동 벨트(24)가 감아걸리고, 도면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미러(1)의 회동과 함께 분할 경면(4b)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도면부호 25는 아이들러를 나타내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4)를 꽉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회전축에 구동 모터(17, 20)를 설치해도 된다. 또, 도 13에 나타낸 것은 전동 벨트(24), 풀리(22, 23)가 없는 점 이외는 도 10에 나타낸 도어 미러와 같으므로 동일부호를 붙일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차체와 연결된 로드와 크랭크에 의해 축(12)을 회전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 제3실시예의 도어 미러는, 분할 경면(4b)을 도어 미러(1) 본체의 측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기구가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1)에 비해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도어 미러(1)는 차체측면을 따르도록 접었을 때, 분할된 경면이 바깥쪽으로 밀려 나온다. 따라서, 이 분할된 경면으로 차체후방을 확인할 수 있고, 좁은 길에서 스쳐지나갈 때나 입고시 등 도어 미러를 접은 상태로 운전하지 안으면 안될 때의 후방확인이 가능해진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의 도어 미러(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된 경면(4a, 4b)은 각각 각도조절기구(2, 3)에 의해 반사각의 조정을 할 수 있게 되고, 또, 도어 미러(1)의 케이싱(1c)도 마찬가지로 외측(31)과 내측(32)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의 분할 경면(4b)이 케이싱(1c)의 분할 부분(31)과 일체로 되어서 도어 미러(1)의 외측면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4실시예의 도어 미러(1)는 케이싱(1c)의 외측의 분할 부분(31)이, 내측부분(32)과 분리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분할 부분(31)은 내측부분(32)으로부터 연장된 베이스(33)에 세워진 축(34)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축(34)과, 도어 미러(1)의 회동축(19) 사이에 전동 벨트(24)가 감아걸려 있다. 이 전동 벨트(24)에 아이들러(25)가 설치되어,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전동을 확실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4실시예의 경우, 분할된 외측의 경면(4b)은, 상시 도어 미러(1)의 케이싱(1c) 내에 포함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도,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부분(31)의 회전을 독립한 구동모터(20)에 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도어 미러(1)는 전동 벨트(24), 풀리(22, 23)가 없는 점 이외는 도 13에 나타내는 도어 미러와 같으므로 동일부호를 붙일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차체와 연결된 로드와 크랭크에 의해 축(34)을 회전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의 도어 미러(1)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된 경면(4a, 4b)은, 각각 제1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의 각도조절기구(2, 3)에 의해 반사각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외측의 분할 경면(4b)이, 최종적으로 도어 미러(1)의 외측(1a)으로 전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제5실시예의 도어 미러(1)의 분할 경면(4b)은, 경면(4b)의 각도조절기구(3)와 함께, 기본프레임(26)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프레임(26)은 축(12)에 피벗된 암(27)의 선단에 연접되어 있다. 기본프레임(26)은 암(27) 선단과 케이싱(1c) 내면 사이에 탄발적으로 끼워지도록 연접부의 피벗축(28)에 조립된 메인 스프링(도시 생략) 등으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 가압되어 있다.
기본프레임(26)의 케이싱(1c) 내면과 접하는 끝면에는, 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1c) 내면에는, 케이싱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진 슬로프(1f)가 설치되어 있어서, 암(27)이 회동하면 기본프레임(26)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행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27)의 축(12)의 반대측(27a)에는 스프링(29a)에 의해 축방향으로 축소되는 방향으로 가압된 신축 로드(29)가 연접되어 있다. 이 신축 로드(29)는 일정 이상은 연장되지 않도록 외측의 실린더에 설치된 긴 홈(29b)에, 로드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 핀(29c)을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 로드(29)의 타단은 차체(5)측면의 베어링(5a)에 지지된 회전축(29d)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5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어 미러(1)를 구동 모터(17)에 의해 구동하여 접음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신축 로드(29)가 점차로 확대되어, 스프링에 의한 수축력의 증가와 함께, 암(27)의 타단측(27a)이 인장되어, 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암(27)을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발생한다. 따라서, 암(27)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프레임(26)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기본프레임(26)은 케이싱(1c)이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진 슬로프(1f) 내면에 롤러(30)를 압접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압접력과 피벗축(28)의 화살표방향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기본프레임(26)은 슬로프(1f)를 따라서 미끄러지기 시작하고, 롤러(30)가 개구단(1g)을 넘으면, 기본프레임(26)은 암(27)과의 연접축(28)부분에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가압되어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케이스 바깥쪽으로 변이하고, 최종적으로는 케이스 외면을 따르도록 정지한다. 따라서, 도어 미러(1)를 접은 상태일 때에 분할 경면(4b)이 도어 미러(1) 외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어 미러(1)를 확개하는 경우는, 구동 모터(17)의 회전에 의해, 연장되어 있던 신축 로드(29)가 줄어들고, 결국 스토퍼 핀(29b)에 의해 신축 로드(29)의 신축이 제한되고, 이 힘을 받아서 암(27)이, 분할 경면(4b)을 끌어 들이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분할 경면(4b)을 케이싱(1c) 내로 끌어 들여, 최종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이다.
또, 이 제5실시예의 경우도 축(12)에 암(27)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고, 독자적으로 원격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차체에 연접한 로드와 크랭크에 의해 축(12)을 회전 구동할 수도 있다.
(제6실시예)
이 제6실시예의 도어 미러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된 외측의 경면(4b)이 다른 내측의 경면(4a)과 공통의 기본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고, 이 기본프레임(40)에 제1각도조절기구(2)가 설치되어, 양쪽 경면(4a, 4b)이 제1각도조절기구(2)에 의해 동시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의 경면(4b)이, 기본프레임(40) 상에 지지한 제2각도조절기기구(3)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경면의 반사각을 일정하게 설정한 뒤에는 제1각도조절기구(2)의 조절만으로 양쪽의 경면(4a, 4b)의 반사각조절이 동시에 가능해진다.
또, 기본프레임(40) 상에 제2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분할 경면(4b)을 도어 미러(1)의 측방으로 돌출시키는 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분할 경면(4b)을 돌출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이 경우는, 전동 모터(42)가 되고, 가이드 레일(7a), 슬라이더(7b)는 기본프레임(40) 상에 설치된다. 또, 이들 구조는 기본프레임(40) 상에 설치하는 것 이외는, 제2실시예와 같으므로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는, 도어 미러(1)를 전개한 뒤, 양 경면은 제1각도조절기구(2)로 동시에 각도변경할 수 있으므로, 일단 양자의 관계를 설정한 뒤에는 그 관계를 유지한 채로 양 경면의 각도변경이 일체적으로 가능해지므로, 조정이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도어 미러는 차체측면을 따르도록 접었을 때, 분할된 경면이 바깥쪽으로 밀려 나오므로, 이 분할된 경면으로 차체후방을 확인할 수 있고, 좁은 길에서 스쳐지나갈 때나 입고시 등 도어 미러를 접은 상태로 운전하지 않으면 안될 때의 후방확인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정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다른 구성예의 정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기구를 설명하는 요부 정면도.
도 6은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기구를 설명하는 요부 측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작동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다른 구성예의 단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또 다른 구성예의 단면도.
도 10은 제3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단면도.
도 11은 제3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측면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제4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단면도.
도 14는 제4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제5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단면도.
도 16은 제6실시예의 도어 미러의 단면도.

Claims (8)

  1. 차체후방을 비추기 위해서 차체측방으로 돌출된 경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좌우로 분할되고, 각각의 분할 경면에 반사각조정기구가 부설되어, 상기 분할 경면의 반사각이 독립적으로 임의로 가변되게 되어 있고, 분할경면 중 외측에 위치하는 분할 경면이, 도어 미러의 측면방향으로 경면을 외측으로 하여 회전 돌출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도어 미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둘로 분할된 경면이 공통의 베이스 상에 지지되고, 이 베이스가 제1반사각조정기구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반사각을 변경 가능하게 되고, 외측의 분할 경면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2반사각조정기구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반사각을 변경 가능하게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분할경면은 차체측방으로 돌출되는 것과 함께 차체측면으로 접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측에 위치한 분할경면은 케이싱의 위치를 피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8. 제 7항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분할 경면을 케이싱으로부터 앞으로 밀어내는 동작과, 앞으로 밀어내어진 분할경면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KR10-2003-0038178A 2002-11-01 2003-06-13 도어 미러 KR100535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9405 2002-11-01
JP2002319405A JP3781714B2 (ja) 2002-11-01 2002-11-01 ドアミラ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325A KR20040040325A (ko) 2004-05-12
KR100535221B1 true KR100535221B1 (ko) 2005-12-09

Family

ID=3208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178A KR100535221B1 (ko) 2002-11-01 2003-06-13 도어 미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84048B2 (ko)
EP (1) EP1415858B1 (ko)
JP (1) JP3781714B2 (ko)
KR (1) KR100535221B1 (ko)
CN (1) CN1263631C (ko)
AT (1) ATE353291T1 (ko)
DE (1) DE60311624T2 (ko)
ES (1) ES228161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13B1 (ko) 2008-11-22 2010-07-27 한지흠 광시계 자동차 측면거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668301A0 (en) * 2001-07-30 2001-08-23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Foldable vehicle external mirror having auxiliary mirror
US7420756B2 (en) 2003-05-20 2008-09-02 Donnelly Corporation Mirror reflective element
JP3955006B2 (ja) * 2003-10-15 2007-08-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US7474203B2 (en) * 2003-11-10 2009-01-06 Urick Kirk B System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vehicle mirrors
US20060279864A1 (en) * 2005-06-14 2006-12-14 Wei-Pin Lee On structure of a side mirror
WO2007005942A2 (en) * 2005-07-06 2007-01-11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exterior mirror assembly with blind spot indicator
US20070146912A1 (en) * 2005-12-27 2007-06-28 Juska Michael A Blind spot reduction system
ES2325238B1 (es) * 2006-03-22 2010-09-06 Universitat Politecnica De Catalunya Dispositivo de control del campo de vision de los espejos retrovisores exteriores de un vehiculo automovil.
US20080158701A1 (en) * 2006-12-28 2008-07-03 William Joseph Hanks Extensible and pivoting mirror to aid in vehicle backing
DE102009046174A1 (de) * 2009-10-29 2011-05-05 Mekra Lang Gmbh & Co. Kg Spiegelkopf mit überlappendem Sichtfeld
KR101469895B1 (ko) * 2012-11-26 2014-12-0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DE102013204490A1 (de) * 2013-03-14 2014-09-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utomatischen Verstellung eines Außenspiegels
TWM480489U (zh) * 2013-12-24 2014-06-21 Wen-Bin Zeng 後視鏡改良結構
DE102014018839B4 (de) * 2014-12-15 2019-05-16 Cuma Kilic Außenspiegel
DE102017200381A1 (de) * 2017-01-11 2018-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iegelvorrichtung
GB2570309B (en) * 2018-01-18 2020-03-18 Ford Global Tech Llc A wing mirror with an auxiliary mirror surface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6967A (en) * 1954-09-29 1959-12-15 Alexander J Husak Dual rear view mirror having anti rattling means for motor vehicles
US4022520A (en) * 1975-09-04 1977-05-10 Scifres Robert D Outside rear view mirror attachment for automotive vehicle
JPS6058054B2 (ja) * 1981-02-24 1985-12-18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電動式ミラ−駆動装置
DE3204791C1 (de) * 1982-02-11 1983-10-06 Daimler Benz Ag Servomotorisch einstellbarer Aussenspiegel fuer Fahrzeuge
GB2200609B (en) * 1987-01-24 1990-08-29 Jaguar Cars Rear view mirrors
GB2223724A (en) * 1988-09-24 1990-04-18 Benjamin Peter Corrigan Dual angle rear view mirror
DE3839322A1 (de) * 1988-11-22 1990-05-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aussenspiegel
US6193377B1 (en) * 1993-12-10 2001-02-27 Gary W. Spigner Dual rear view mirrors for trucks and other vehicles
JPH0858473A (ja) * 1994-08-23 1996-03-05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ドアミラー
JPH08198010A (ja) * 1995-01-23 1996-08-06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ドアミラー
US6398376B2 (en) * 1996-01-16 2002-06-04 Rosco Inc. Side break-away rear view mirror assembly with telescopic support brace
JPH09301072A (ja) * 1996-05-09 1997-11-25 Keiji Shiina 自動車用ドアミラー
US5760978A (en) * 1996-05-15 1998-06-02 Smith; Ronnie P. Dual rear view mirror system
JP3518287B2 (ja) * 1997-10-08 2004-04-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格納ミラー装置
JP2000052862A (ja) * 1998-08-10 2000-02-22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二重ドアミラー
JP2000108786A (ja) * 1998-09-30 2000-04-18 Kichiji Yanagawa 折り畳んだときに後方が見えるドアーミラー
US20020015241A1 (en) * 2000-04-12 2002-02-07 Belaire Arthur J. Dual rear vision mirror
AUPR668301A0 (en) * 2001-07-30 2001-08-23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Foldable vehicle external mirror having auxiliary mirror
JP2003040037A (ja) * 2001-08-01 2003-02-13 Haruo Orihara 自動車用バックミラーの補助ミ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13B1 (ko) 2008-11-22 2010-07-27 한지흠 광시계 자동차 측면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5858A3 (en) 2005-04-27
JP2004149083A (ja) 2004-05-27
CN1263631C (zh) 2006-07-12
JP3781714B2 (ja) 2006-05-31
ES2281619T3 (es) 2007-10-01
US6984048B2 (en) 2006-01-10
CN1493480A (zh) 2004-05-05
DE60311624T2 (de) 2007-05-24
KR20040040325A (ko) 2004-05-12
EP1415858A2 (en) 2004-05-06
DE60311624D1 (de) 2007-03-22
US20040090689A1 (en) 2004-05-13
EP1415858B1 (en) 2007-02-07
ATE353291T1 (de)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221B1 (ko) 도어 미러
CN1138998C (zh) 可延伸和可枢转的后视镜组件
US7316485B2 (en) Flip-up convex mirror attachment
NL9101035A (nl) Verstelinrichting voor een bed of stoel.
US5226034A (en) Electrically remote-controlled type mirror assembly
EP3215398B1 (en) Full display mirror actuator
US4469405A (en) Back view mirror assembly
JP2008531372A (ja) ヒンジ構造と自動車外部のミラーユニット
KR20050039512A (ko)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N105539294B (zh) 车辆的车内后视镜组件
US5940230A (en) Power folding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2452806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009664A1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ctuator
JP2006347510A (ja) 車両用表示器
KR10052428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BE1005958A6 (fr) Dispositif pour elargir le champ optique d'un miroir de retroviseur pour vehicule.
CN112298044A (zh) 一种基于楔形镜片的全自动防眩内后视镜的传动和执行结构
KR940001903Y1 (ko) 전자동 빽미러
FR2574032A1 (fr) Dispositif de reglage de l'orientation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JPH09142215A (ja) 車両用外部バックミラー
KR19980030418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950002751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KR200191817Y1 (ko) 시계확보용 자동차 엠블럼의 작동구조
KR19980063404U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거울각도 조절장치
KR2004007293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