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895B1 -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895B1
KR101469895B1 KR1020120134546A KR20120134546A KR101469895B1 KR 101469895 B1 KR101469895 B1 KR 101469895B1 KR 1020120134546 A KR1020120134546 A KR 1020120134546A KR 20120134546 A KR20120134546 A KR 20120134546A KR 101469895 B1 KR101469895 B1 KR 101469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ngle
reflection
change
reflec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388A (ko
Inventor
정지훈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8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제어가 가능한 2개의 미러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제1미러는 주요시야를 제공하며, 제2미러는 차량의 자세에 따라 시야를 가변시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적인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내에 제1미러와 제2미러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아웃 사이드 미러; 주행 상태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자세검출부; 아웃 사이드 미러에 구성되는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미러조절스위치; 자세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가변 조정하는 제어부; 복수개의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셋팅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SYSTEM OF INTELLIGENT OUT SIDE MIRR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out side mirr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제어가 가능한 2개의 미러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제1미러는 주요시야를 제공하며, 제2미러는 차량의 자세에 따라 시야를 가변시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적인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아웃 사이드 미러는 주행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시야를 확보하여 준다.
아웃 사이드 미러는 빛의 반사가 이용되므로 운전자의 시야와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 조절이 매우 중요하므로, 운전자가 자신의 시야에 맞게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운전자의 수동 조작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운전중에 아웃 사이드 미러를 조작하는 행동은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들어 운전석 도어의 암 레스트에 스위치 모듈을 장착하고, 운전석에서 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아웃 사이드 미러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아웃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조절한 고정된 반사각도에서 측면 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므로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주행중에 차선을 변경할 때 옆 차선의 차량이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아 추돌 등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4746호(2012.08.27.)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8262호(2011.04.1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동제어가 가능한 2개의 미러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제1미러는 주요시야를 제공하며 제2미러는 차량의 자세에 따라 시야를 가변시켜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적인 시야각을 제공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하우징내에 제1미러와 제2미러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아웃 사이드 미러; 주행 상태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자세검출부; 아웃 사이드 미러에 구성되는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미러조절스위치; 자세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자세 변화에 따라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가변 조정하는 제어부; 복수개의 모터로 구성되고,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셋팅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 가변 조정 결과를 소정의 형식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1미러와 제2미러 중 어느 하나의 미러는 측후방의 주요시야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미러는 주요시야에서 제공되지 않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1미러와 제2미러는 수평 중심과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의 반사각도 조정이 독립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1미러와 제2미러 중에서 주요시야를 제공하는 미러의 크기가 다른 미러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세검출부는 선회 혹은 차선 변경에 따른 조향각 변화를 검출하는 조향각검출부; 탑승자 혹은 화물 적재량의 증감에 따른 차고 변화를 검출하는 차고검출부; 주행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부;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D 혹은 R레인지)을 검출하는 변속단검출부; 운행되는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각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의 변화, 중량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 차속,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도로 경사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의 변화, 중량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 차속,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도로 경사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 중 어느 하나의 반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의 변화에 따라 제1,2미러의 좌우 반사각도를 조정하고, 차고 변화와 변속단, 도로 경사도에 따라 제1,2미러의 상하 반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제1미러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1모터; 상기 제1미러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2모터; 상기 제2미러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3모터; 상기 제2미러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4모터; 아웃 사이드 미러의 폴딩 및 언폴딩을 조정하는 제5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소자 혹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그니션 스위치 온 상태에서 아웃 사이드 미러가 언 폴딩되면 운전자가 설정한 반사각도로 하나의 하우징내에 구성되는 제1,2미러를 셋팅하는 과정; 주행중에 변화되는 차량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고, 차량의 자세 정보에 따라 제1,2미러의 반사각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반사각도 조정값으로 제1,2미러의 반사각도를 가변하여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주행중에 변화되는 차량의 자세정보는 조향각의 변화, 중량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 차속,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도로 경사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자세에 따라 결정되는 제1미러 혹은 제2미러 중 어느 하나의 반사각도 조정값을 산출한 다음 반사각도를 조정하여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자세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를 구성하는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가 능동적으로 조절되어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적인 시야각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이드 미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이드 미러의 제어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이드 미러의 직진시 반사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이드 미러의 선회시 반사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이드 미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세검출부(110)와 미러조절스위치(120), 제어부(130), 구동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자세검출부(110)는 차량 선회를 위한 조향각 변화, 차량 중량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 차속, 시프트 레버로 선택된 변속단, 운행 도로의 경사각 등을 포함하는 차량 자세를 검출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상기 자세검출부(110)는 스티어링 휠의 작동에 따른 조향각의 변화를 검출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조향각검출부(111), 탑승자의 증감이나 화물 적재량의 증감에 따라 발생되는 차고 변화를 검출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차고검출부(112),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로부터 주행 차속을 검출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차속검출부(113), 시프트 레버(Shift Lever)의 선택이 주행 변속단(D레인지)인지 후진 변속단(R레인지)를 검출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변속단검출부(114), 운행되는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경사각검출부(115)를 포함한다.
미러조절스위치(120)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사이드 미러(200)의 반사각도 조절을 위한 수동조정 신호를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미러조절스위치(120)에서 제공되는 수동조정 신호에 따라 좌측 아웃 사이드 미러 혹은 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에 대하여 반사각도 조절을 인에이블시킨 다음 미러조절스위치(120)에서 입력되는 수동조정 신호에 따라 구동부(140)를 통해 사이드 미러(20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반사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시프트 레버로 선택된 변속단, 스티어링 휠의 작동에 따른 조향각 변화,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로부터 연산되는 주행 차속, 탑승자의 증감이나 화물의 증감에 따른 차고 변화 등을 포함하는 차량 자세를 검출하여 차량의 자세 변화가 판정되면 아웃 사이드 미러(200)를 사각이 발생되지 않는 반사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조정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연산된 조정값으로 구동부(140)를 작동시켜 사이드 미러(200)를 상하좌우 이동시킴으로써, 반사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직진 주행에서는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제1미러(220)에 대한 반사각도를 측후방의 주요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제2미러(230)에 대한 반사각도는 제1미러(220)의 반사각도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반사각도의 시야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측후방의 시야에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직진 주행중 차선 변경이나 선회가 발생되는 경우 조향각 변화와 차고 변화, 차속, 주행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제2미러(230)에 대한 반사각도 조정값을 연산하여 구동부(140)를 통해 제2미러(230)의 반사각도를 조정한다.
따라서, 차량의 차선 변경이나 선회, 차고 변화, 경사도 등에 따라 발생되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안정되게 확보하여 준다.
상기 제어부(130)는 조향각의 변화에 따라 구동부(140)를 통해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좌우 반사각도를 조정하고, 차고 변화와 변속단, 도로 경사도에 따라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상하 반사각도를 조정한다.
상기 구동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이드 미러(200)를 상하좌우로 작동시켜 반사각도로를 조절시킨다.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210)에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미러(220)는 제2미러(230)에 비하여 크게 구성될 수 있으며, 측후방에 대한 주요시야를 제공하는 반사각도가 조절되고, 제2미러(230)는 제1미러(220)의 반사각도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측후방의 시야에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는 상하좌우의 반사각도 조정이 독립되어 작동된다.
상기 구동부(140)는 복수개의 모터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제1모터(141)는 제1미러(220)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반사각도 조정을 담당하고, 제2모터(142)는 제1미러(220)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반사각도 조정을 담당하며, 제3모터(143)는 제2미러(230)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반사각도 조정을 담당하고, 제4모터(144)는 제2미러(230)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반사각도 조정을 담당하며, 제5모터(145)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폴딩(folding) 및 언폴딩(unfolding)의 조정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141) 내지 제5모터(145)의 담당 기능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설계에 따라 담당하는 기능이 변화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3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반사각도 조절 상태를 설정된 소정의 형식으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소자 디스플레이(LCD) 혹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 HUD)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에 위치하면(S101) 제어부(130)는 미러조절스위치(120)로부터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언 폴딩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102).
상기 S102에서 제어부(130)는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언 폴딩이 선택되면 구동부(140)에 구성되는 제5모터(145)를 작동시켜 아웃 사이드 미러(200)를 언 폴딩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미러조절스위치(120)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조정시킨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설정 각도를 로딩시킨 다음(S103) 구동부(140)의 제1모터(141) 내지 제4모터(144)의 작동시켜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초기 반사각도를 셋팅한다(S104).
상기 S104에서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반사각도가 셋팅된 상태에서 미러조절스위치(120)로부터 반사각도를 다시 조정하고자 하는 수동 조절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에서 제어부(130)는 미러조절스위치(120)로부터 수동 조절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제1모터(141) 내지 제4모터(144)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미러(220) 및 제2미러(230)를 각각 독립되게 반사각도를 조정한다(S106).
그러나 상기 S105에서 제어부(130)는 미러조절스위치(120)로부터 수동 조절이 입력되지 않으면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화되는 차량의 자세 정보를 검출한다(S107).
상기 S107에서 차량의 자세 정보는 시프트 레버의 선택이 주행 변속단(D레인지)인지 혹은 후진 변속단(R레인지)인지의 정보, 차선 변경이나 선회에 따른 조향각 변화,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로부터 연산되는 주행 차속, 탑승자의 증감이나 화물의 증감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되는 도로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경사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30)는 운행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화되는 차량의 자세정보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반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값을 연산한다(S108).
상기 S108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의 자세정보에 따른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반사각도 조정값이 연산되면 구동부(140)의 제1모터(141) 내지 제4모터(144)를 제어하여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를 독립되게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반사각도를 조절한다(S109).
상기 S108에서 제어부(130)는 차량의 자세정보에 따라 주요시야를 제공하는 제1미러(220)의 반사각도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2미러(230)의 반사각도를 조절하거나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반사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미러(220)가 주요시야를 확보하고, 제2미러(230)가 추가적인 시야를 확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계에 따라 제2미러(230)로 주요시야를 확보하고, 제1미러(220)로 추가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절차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200)의 반사각도 조절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은 표시부(150)를 통해 소정의 방식으로 출력하여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진 주행 상태에서 제1미러(220)는 측후방의 주요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반사각도(A)로 조정되고, 제2미러(230)는 제1미러(220)의 반사각도(A)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시야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반사각도(B)가 조정되어 보다 넓은 측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도 4와 같이 제1미러(220)와 제2미러(230)의 반사각도가 조정되어 운행되는 상태에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선 변경이나 선회에 따른 조향각 변화, 탑승자 혹은 화물의 증감에 따른 차고 변화, 차속, 주행 도로의 경사도 변화 등에 따른 자세 변화가 발생되면 제2미러(230)에 대한 반사각도를 화살표(→)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서, 차량의 차선 변경이나 선회, 차고 변화, 경사도 등에 따라 발생되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안정되게 확보하여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자세검출부 120 : 미러조절스위치
130 : 제어부 140 : 구동부
150 : 표시부 200 : 아웃 사이드 미러

Claims (15)

  1. 하우징내에 제1미러와 제2미러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아웃 사이드 미러;
    주행 상태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자세검출부;
    아웃 사이드 미러에 구성되는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미러조절스위치;
    상기 자세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가변 조정하는 제어부;
    복수개의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셋팅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아웃 사이드 미러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 가변 조정 결과를 소정의 형식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1미러와 제2미러 중 어느 하나의 미러는 측후방의 주요시야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미러는 주요시야에서 제공되지 않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1미러와 제2미러는 수평 중심과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의 반사각도 조정이 독립되어 구동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1미러와 제2미러 중에서 주요시야를 제공하는 미러의 크기가 다른 미러 보다 크게 구성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검출부는 선회 혹은 차선 변경에 따른 조향각 변화를 검출하는 조향각검출부;
    탑승자 혹은 화물 적재량의 증감에 따른 차고 변화를 검출하는 차고검출부;
    주행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부;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D 혹은 R레인지)을 검출하는 변속단검출부;
    운행되는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각검출부;
    를 포함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의 변화, 중량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 차속,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도로 경사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의 변화, 중량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 차속,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도로 경사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제1미러와 제2미러 중 어느 하나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의 변화에 따라 제1,2미러의 좌우 반사각도를 조정하고, 차고 변화와 변속단, 도로 경사도에 따라 제1,2미러의 상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제1미러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1모터;
    상기 제1미러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2모터;
    상기 제2미러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3모터;
    상기 제2미러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4모터;
    아웃 사이드 미러의 폴딩 및 언폴딩을 조정하는 제5모터;
    를 포함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소자 혹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12. 이그니션 스위치 온 상태에서 아웃 사이드 미러가 언 폴딩되면 운전자가 설정한 반사각도로 하나의 하우징내에 구성되는 제1,2미러를 셋팅하는 과정;
    주행중에 변화되는 차량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고, 차량의 자세 정보에 따라 제1,2미러의 반사각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반사각도 조정값으로 제1,2미러의 반사각도를 가변하여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자세에 따라 결정되는 제1미러 혹은 제2미러 중 어느 하나의 반사각도 조정값을 산출한 다음 반사각도를 조정하여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고, 상기 주행중에 변화되는 차량의 자세정보는 조향각의 변화, 중량에 따른 차고 변화, 주행 차속,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도로 경사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134546A 2012-11-26 2012-11-26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46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46A KR101469895B1 (ko) 2012-11-26 2012-11-26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46A KR101469895B1 (ko) 2012-11-26 2012-11-26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88A KR20140067388A (ko) 2014-06-05
KR101469895B1 true KR101469895B1 (ko) 2014-12-05

Family

ID=5112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546A KR101469895B1 (ko) 2012-11-26 2012-11-26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8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460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차량용 자동 아웃사이드미러
KR20040040325A (ko) * 2002-11-01 2004-05-12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스오토 도어 미러
JP2004244002A (ja) * 2002-12-20 2004-09-02 Murakami Corp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におけるミラーの角度調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460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차량용 자동 아웃사이드미러
KR20040040325A (ko) * 2002-11-01 2004-05-12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스오토 도어 미러
JP2004244002A (ja) * 2002-12-20 2004-09-02 Murakami Corp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におけるミラーの角度調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88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4263B (zh) 车辆用显示装置
EP2068189B1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87022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vehicle mirrors automatically based on driver head position
US20190193644A1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US201303252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teering tilt position
JP6026011B2 (ja) 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
JP5288037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190217783A1 (en) Electron mirror apparatus
EP3000659A1 (en) Interior rear view mirror assembly
US11124117B2 (en) Imag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KR101480914B1 (ko) 차량용 실외 후사경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2018052281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0247645A (ja) 車載カメラ
CN101500853B (zh) 具有自动盲区和眩光消除功能的后视系统
JP2006015941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469895B1 (ko) 지능형 아웃 사이드 미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240101042A1 (en)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display units in a vehicle
JP2010143343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機構
KR20140131760A (ko) 차량 영상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91946B1 (ko) 자동차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6644576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7885743B2 (en) Electric mirror control device and electric mirror control method
JP6361987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1051490A (ja) 運転姿勢維持システム
KR10256099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미러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