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760B1 -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760B1
KR100533760B1 KR10-2002-0038557A KR20020038557A KR100533760B1 KR 100533760 B1 KR100533760 B1 KR 100533760B1 KR 20020038557 A KR20020038557 A KR 20020038557A KR 100533760 B1 KR100533760 B1 KR 10053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ezoelectric
terminal
diaphragm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021A (ko
Inventor
하마다카주아키
후지노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0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piezoelectric bender, e.g. bimorp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전극을 갖고 있고, 전극사이에 교번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굴곡진동하는 사각형상의 압전형 진동판, 그 측벽 내부에 배치되어 압전형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케이스, 지지부재에 노출된 내부접속부와 케이스의 외부면 상에 노출된 외부접속부를 갖도록 케이스내에 인서트 성형된 단자, 압전형 진동판의 전극을 단자의 내부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접착제, 압전형 진동판의 외주부와 케이스의 내주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탄성밀봉제; 및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단자는 플래쉬 발생면이 그 저면이 되도록 금속판을 천공하여 제조된 프레스단자이고, 내부접속부의 상면이 지지부재의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내부접속부의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그 측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저면을 향해 구부려진다.

Description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실장에 적합한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가전제품,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가 경보음이나 동작음을 발생하는 압전형 부저 또는 압전형 수화기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원형의 금속판의 한쪽면에 부착되어 유니모프형 진동판을 구성하는 원형의 압전형 소자를 포함하고, 금속판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실리콘고무를 사용하여 원형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한편, 케이스의 개구부는 커버로 폐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원형의 진동판을 이용할 때, 생산효율이 낮고, 음향변환효율이 낮으며, 또한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를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사각진동판을 이용함으로써 생산효율의 향상, 음향변환효율의 향상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가 일본 특허공개 제 2000-31099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사각 진동판과, 저벽, 4개의 진동판, 및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벽부 사이의 내부에 배치되어 진동판을 지지하고, 외부접속을 위해 그 내부에 제1 및 제2 도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절연케이스와, 소리를 방출하기 위해 그 윗쪽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진다. 진동판은 케이스 내에 수납되고, 진동판의 대향측은 접착제나 탄성밀봉제에 의해 지지부재에 고정됨과 아울러, 나머지 진동판의 2측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케이스가 탄성밀봉제에 의해 밀봉되고,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진동판과 제1 및 제2 도전성 부품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덮개판이 케이스 측벽부의 개방된 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공보의 도 12∼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의 저면을 따라 단자를 미리 인서트 성형한 후, 단자의 단부를 케이스 장측의 측벽을 따라 위쪽으로 구부리도록 단자를 케이스에 고정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단자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단자를 인서트 성형하기가 어렵고, 케이스의 측면에 노출된 단자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땜납용 필렛(fillet)을 형성하기 곤란하다.
인서트 성형시 단자는 대략 직선으로 형성되고, 인서트 성형 후, 케이스로부터 돌출한 외부접속부가 케이스의 측면을 통하여 저면을 향해 구부려져서, 표면실장에 접합한 단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단자의 형상이 단순하고, 또한 단자의 외부접속이 측면을 통하여 저면을 향해 구부려지기 때문에, 땜납용 필렛의 형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단자의 내부접속부가 케이스의 지지부재에 노출되는 동시에 외부접속부가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외부접속부를 케이스의 측면을 통하여 저면측으로 구부릴 때에, 굽힘응력도 내부접속부로 파급되어, 내부접속부에 풀림부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내부접속부상에 진동판을 접속할 때, 진동판이 안정되지 않고, 음압특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단자의 경우, 금속판으로부터 천공된 프레스단자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프레스단자에는 필연적으로 플래쉬(flash)가 발생하여, 이 플래쉬가 외부접속부의 땜납면상에서 노출되면, 설치시 풀림부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래쉬를 이용함으로써 단자의 내부접속부내의 풀림을 방지하면서 설치시 풀림과 같은 결함을 제거할 수 있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전극을 갖고 전극사이에 교번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굴곡진동하는 대략 사각형의 압전형 진동판; 케이스의 측벽내부에 배치되어 압전형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케이스; 지지부재에 노출된 내부접속부와 케이스의 외부면 상에서 노출된 외부접속부를 갖도록 케이스내에 인서트 성형된 단자; 압전형 진동판의 전극을 단자의 내부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접착제; 압전형 진동판의 외주부와 케이스의 내주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탄성밀봉제; 및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로서, 상기 단자는 플래쉬 발생면이 그 저면이 되도록 금속판을 천공하여 제조된 프레스단자이고, 내부접속부의 상면이 지지부재의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내부접속부의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그 측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저면을 향해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발명은, 전극을 갖고 전극사이에 교번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굴곡진동하는 대략 사각형의 압전형 진동판을 준비하는 단계; 케이스의 측벽내부에 배치되어 압전형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케이스와 지지부재에 노출된 내부접속부와 케이스의 외부면 상에서 노출된 외부접속부를 갖도록 케이스내에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준비하는 단계; 케이스 내부에 압전형 진동판을 수납함으로써 압전형 진동판의 2개의 대향측을 지지하고,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전형 진동판의 전극을 단자의 내부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압전형 진동판의 외주부와 케이스의 내주부 사이의 간극을 탄성밀봉제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단계; 및 덮개판으로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단자는 플래쉬 발생면이 그 저면이 되도록 금속판을 펀칭하여 제조된 프레스단자이고, 내부접속부의 상면이 지지부재의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내부접속부의 양 가장자리에서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인서트 성형중에는 케이스로부터 측방으로 대략 직선으로 돌출하며, 인서트 성형 후에는 그 측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저면을 향해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대략 사각형의 압전형 진동판과, 단자가 그 내부에 인서트 성형된 수지케이스를 준비한다. 이 압전형 진동판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케이스의 지지부상에 지지하고, 압전형 진동판의 전극과 단자의 내부접속부가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압전형 진동판의 외주부와 케이스의 내주부 사이의 간극을 탄성밀봉제로 밀봉한 후, 케이스의 개구부가 폐쇄된다. 케이스에 단자가 인서트 성형될 때, 그 플래쉬 발생면이 저면측을 향하도록 단자가 향해지고, 단자의 내부접속부의 상면이 케이스의 지지부재의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내부접속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재 내부에 매설된다. 다음으로,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인서트 성형시에는 케이스로부터 측방향으로 대략 직선으로 돌출하고, 인서트 성형 후에는 케이스의 측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저면을 향해 구부려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부접속부를 구부림에 따라 발생된 응력도 내부접속부로 파급된다. 그러나, 내부접속부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재내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접속부의 풀림이 방지되어, 압전형 진동판 접속시 음압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접속부에서는 플래쉬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압전형 진동판에 대한 접속의 안정성도 크게 향상된다.
한편, 단자의 외부접속부는 플래쉬 내부를 향하도록 구부려져서, 플래쉬가 외부접속부의 땜납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설치시 풀림과 같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접속부는 케이스의 측면을 통해 저면을 향하여 구부려지기 때문에, 땜납용 필렛의 형성이 용이하면서, 단자가 땜납비트에 의해 쉽게 가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전형 진동판은 단자의 내부접속부 상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고, 또는 양자가 상호 약간 떨어져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 및 탄성밀봉제 이외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전형 진동판이 케이스의 지지부재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압전형 진동판은 압전형 세라믹판이 금속판의 한쪽면에 접착된 유니모프형 진동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복수의 압전형 세라믹층이 적층된 바이모프형진동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요소, 특징 및 장점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일례인 표면실장형 음향기를 나타낸다.
이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유니모프형 압전형 진동판(1), 케이스(10), 및 덮개판(20)을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판(1)은 그 표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된 박막 또는 박막 전극(2a,2b)을 보유하고, 두께 방향으로 분극된 대략 사각형의 압전판(2)과, 압전판(2)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과 압전판의 길이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갖고 도전성 접착제나 기타 적당한 재료를 통해 압전판(2)의 이면전극(2b)에 도전성 접착제등을 통하여 대면접착된 대략 사각형의 금속판(3)을 포함한다. 또한, 금속판(3)은 도전성 접착제를 통하여 압전판(2)의 이면에 직접적으로 접착되어 이면전극(2b)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압전판(2)이 금속판(3)의 일측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한 변측에 치우쳐진 위치에서 접착되어, 금속판(3)의 길이방향의 타변측에는 금속판(3)이 노출되는 노출부(3a)를 갖는다.
압전판(2)은, 예컨대, 대략 10mm ×8mm ×50㎛의 크기의 PZT 세라믹판이 사용된다. 또한, 금속판(3)의 재료는 도전성 및 용수철탄성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고, 따라서, 예컨대 10mm ×10mm ×50㎛ 의 치수를 갖는 인청동 및 42Ni 등의 금속판이 사용되어도 좋다.
LCP(액정폴리머), SPS(규칙배열 폴리스티렌),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에폭시수지 등의 내열성 수지로 제조된 케이스(10)는 저벽(10a)과 4개의 측벽(10b∼10e)을 가지는 대략 사각 상자형을 갖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4개의 측벽(10b∼10e)의 내주부에는 단차부(10f)가 환형구조로 설치되고, 이 단차부(10f)의 내주부에는 환형 지지부재(10g)가 한층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대향하는 2개의 측벽(10b,10d)의 내부의 단차부(10f)의 상부에는, 한 쌍의 단자(11,12)의 내부접속부(11a,12a)가 각각 노출되어 있다. 단자(11,12)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케이스(10)에 형성되고,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된 외부접속부(11b,12b)가 측벽(10b,10d)의 외면을 따라 케이스(10)의 저벽(10a)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단자(11,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래쉬 발생면이 저면측을 향하도록 금속판의 천공에 의해 제조된 프레스단자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부접속부(11a,12a)의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다. 따라서, 내부접속부(11a,12a)의 상면이 케이스(10)의 지지부재(10g)의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단자(11,12)가 인서트 성형되면, 내부접속부(11a,12a)의 양측 모두의 플래쉬(11a1,12a1: 11a1은 도시되지 않음)들이 지지부재(10g)의 내부에 매설되고, 그 앵커효과에 의해 내부접속부(11a,12a)의 풀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케이스(10)의 저면에는 단자(11,12)의 외부접속부(11b,12b)가 끼워지는 홈(10h)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저면은 땜납면인 외부접속부(11b,12b)의 저면과 대략 동일평면으로 된다. 또한, 접혀진 상태에서 단자(11,12)의 플래쉬 발생면은 내부에 배치되어, 플래쉬는 외부접속부(11b,12b)의 땜납면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게다가, 케이스(10)의 저벽(10a)상에는 제동구멍(10i)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10e)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제2 방음구멍으로 되는 절취부(10j)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도 3 참조).
진동판(1)은 압전판(2)이 케이스(10)의 저벽(10a)을 마주보도록 케이스(10)내에 수납되어, 그 짧은 두 변이 단자(11,12)가 노출되는 지지부재(10g) 상에 놓여진다. 단자(11,12)의 내부접속부(11a,12a)의 표면은 도전성 접착제(13,14)로 미리 도포되어, 단자(11,12)의 내부접속부(11a,123a)가 압전판(2)의 표면전극(2a)과, 금속판(3)의 노출부(3a)에 각각 접속되어 고정된다. 도전성 접착제(13,14)로서, 잘 알려진 에폭시 및 우레탄 페이스트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판(2)이 케이스(10)의 저벽(10a)을 향하도록 진동판(1)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금속판(3)이 케이스(10)의 저벽(10a)을 향하도록 진동판을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진동판(1)을 지지부재(10g) 상에 배치한 후 도전성 접착제(13,14)가 도포될 수도 있다.
진동판(1)의 전체 둘레부와 케이스(10)의 내주부 사이의 간극은 탄성밀봉제(15)로 밀봉되어, 진동판(1)의 표리면 사이의 공기누설이 방지된다. 탄성밀봉제(15)로는 진동판(1)의 굴곡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실리콘 접착제와 같이 경화 후의 영률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판(11)을 케이스(10)에 밀봉고정시킨 후, 덮개판이 접착제(21)에 의해 케이스(10)의 상부 개구부에 접착된다. 덮개판(20)은 케이스(10)와 동일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덮개판을 접착함으로써, 덮개판(20)과 진동판(1) 사이에는 공명공간(22 : 도 2 참조)이 형성된다.
삭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가 완성된다.
상술한 구조의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는 회로기판 등에 표면실장된다. 소정의 교번신호(교류신호 또는 구형파신호)가 케이스(10)에 형성된 단자(11,12) 사이에 인가되면, 신호는 진동판(1)의 압전판(2)의 표면전극(2a,2b) 사이에 공급되어, 압전판(2)이 평면방향으로 확장·수축하게 되어, 진동판(1)은 교번신호에 따라 굴곡진동을 하게 되어 음파를 생성한다. 생성된 음파는 공명공간(22)에서 증폭되고, 덮개판(20)과 케이스(10)의 절취부(10j) 사이에 형성된 방음구멍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의 제조방법을 도 6의 (A)∼도 7의 (C)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의 (A)는 프레스금형을 사용하여 한장의 금속판으로부터 리드프레임(30)을 천공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1은 캐리어, 32는 타이바(tie bar), 33는 파일럿구멍이며, 캐리어(31)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단자의 구성품(11,1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드프레임(30)은 플래쉬 발생면이 그 저면으로 되도록 눌려진다.
도 6의 (B)는 케이스(10)를 리드프레임(30)내에 인서트 성형한 상태를 나타낸다. 단자(11,12)의 내부접속부(11a,12a)는 케이스(10)의 지지부재(10g)내에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접속부(11a,12a)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의 플래쉬가 지지부재(10g)의 내부에 매설된다.
도 7의 (A)는 리드프레임(30)의 캐리어(31)로부터 단자(11,12)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단자(11,12)는 케이스(10)의 양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고 있다. 이 때, 단자(11,12)의 플래쉬 발생면은 하측을 향하게 된다.
도 7의 (B)는 케이스(10)로부터 돌출한 단자(11,12)의 부분(중간지점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2등분 부분)이 하방으로 구부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굽힘각도는 90°보다 약간 큰 것이 좋다.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로부터 돌출한 단자(11,12)의 부분은 그 루트부에서 구부려진 후, 단자(11,12)의 내측면을 케이스(10)의 측면에 따라 안내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B)에 나타낸 굽힘부분이 케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된 홈(10h)에 끼워지고,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90°이상으로 구부림으로써 단자(11,12)의 끝에 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11,12)의 플래쉬 발생면이 케이스(10)의 저면과 대면하기 때문에, 땜납면에서 플래쉬가 노출되지 않는다.
단일 케이스(10)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도 6의 (A)∼도 7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제 제조공정에서는, 케이스(10)를 리드프레임(10)에 연결한 상태로 압전형 진동판(1)을 조립하고, 탄성밀봉제(15)를 도포하며, 덮개판(20)을 접착하고 난 후, 단자(11,12)가 리드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되어, 단자(11,12)를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케이스(10)가 리드프레임(10)의 파일럿구멍(33)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케이스(10)의 제조공정은 인서트 성형으로부터 덮개판(20)의 접착까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금속판의 한쪽면에 압전판이 부착되는 유니모프형의 진동판(1)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진동판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1-9509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진동판은 2개 또는 3개의 압전세라믹층을 적층하여, 이 적층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외부전극과, 세라믹층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전극을 갖는 적층구조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라믹층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세라믹층이 동일방향으로 분극되고, 외부전극과 내부전극 사이에 교번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적층구조가 굴곡진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판이 금속판을 보유하지 않는 세라믹스의 적층구조이며, 두께 방향으로 순차로 배치된 2개의 진동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동하여, 유니모프형 진동판과 비교하여 큰 변위량, 즉 큰 음압을 얻을 수 있다.
단자(11,12)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일정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내부접속부를 2-포크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케이스에 의한 단자유지력이 증가되도록 케이스내에 매설된 중간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의 내부접속부가 케이스의 지지부상에 노출되고, 그 위에 진동판이 배치된다. 또한, 진동판 지지부가 지지부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진동판이 내부접속부와 떨어져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일어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에 단자가 그 플래쉬 발생면이 저면으로 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고, 내부접속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인서트 성형중에는 케이스로부터 측방향으로 대략 직선으로 돌출되고, 인서트 성형 후에는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케이스의 측면을 통하여 저면을 향해 구부려져서, 내부접속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압전형 진동판을 접속하였을 경우의 음압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접속부에서 플래쉬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압전형 진동판의 접속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분(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조립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B)의 방향에서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에 사용되는 압전형 진동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의 (A)와 (B)는 케이스 제조공정의 전반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및
도 7의 (A)∼(C)는 케이스 제조공정의 후반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Claims (20)

  1. 전극을 갖고, 전극사이에 교번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굴곡진동하는 사각형상의 압전형 진동판;
    그 측벽 내부에 배치되어 압전형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케이스;
    지지부재에 노출된 내부접속부와 케이스의 외부면 상에 노출된 외부접속부를 갖도록 케이스내에 인서트 성형된 단자;
    압전형 진동판의 전극을 단자의 내부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접착제;
    압전형 진동판의 외주부와 케이스의 내주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탄성밀봉제; 및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로서,
    상기 단자는 플래쉬 발생면이 저면측을 향하도록 금속판을 천공하여 제조된 프레스 단자이고, 내부접속부의 상면이 지지부재의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내부접속부의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재의 내부에 매설되며,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그 측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저면을 향해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압전형 진동판은 유니모프형 압전형 진동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형 진동판은 사각형상의 압전판을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사각형상의 압전판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사각형상의 압전판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형 진동판에 설치된 금속판을 더 포함하고, 둘 이상의 사각형상의 압전판 중 하나가 금속판의 일측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위치에서 금속판에 접착되어 금속판의 노출부를 제공하도록 금속판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사각형상의 압전판 중 하나는 PZT 세라믹판이고, 상기 금속판은 인청동 및 42Ni 중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벽의 내주부에는 환형배열의 단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내주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한층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단자의 상기 외부접속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11. 전극을 갖고, 전극사이에 교번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굴곡진동하는 사각형상의 압전형 진동판을 준비하는 단계;
    케이스의 측벽 내부에 배치되어 압전형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케이스와 지지부재에 노출된 내부접속부와 케이스의 외부면상에 노출된 외부접속부를 갖도록 케이스내에 인서트 성형된 단자를 준비하는 단계;
    케이스 내부에 압전형 진동판을 수납함으로써 압전형 진동판의 2개의 대향측을 지지부재상에 지지하는 단계;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전형 진동판의 전극을 단자의 내부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압전형 진동판의 외주부와 케이스의 내주부 사이의 간극을 탄성밀봉제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단계; 및
    덮개판으로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단자는 플래쉬 발생면이 저면측을 향하도록 금속판을 천공하여 제조된 프레스 단자이고, 내부접속부의 상면이 지지부재의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내부접속부의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의 플래쉬가 케이스의 지지부재의 내부에 매설되며, 단자의 외부접속부가 인서트 성형중에는 케이스로부터 측방으로 직선으로 돌출하며, 인서트 성형 후에는 그 측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저면을 향해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형 진동판은 유니모프형 압전형 진동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형 진동판은 사각형상의 압전판을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사각형상의 압전판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사각형상의 압전판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형 진동판에 설치된 금속판을 더 포함하고, 둘 이상의 사각형상의 압전판 중 하나가 금속판의 일측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위치에서 금속판에 접착되어 금속판의 노출부를 제공하도록 금속판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사각형상의 압전판 중 하나는 PZT 세라믹판이고, 금속판은 인청동 및 42Ni 중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벽의 내주부에는 환형배열의 단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내주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한층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단자의 상기 외부접속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2-0038557A 2001-07-11 2002-07-04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533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0233A JP3770114B2 (ja) 2001-07-11 2001-07-11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210233 2001-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021A KR20030007021A (ko) 2003-01-23
KR100533760B1 true KR100533760B1 (ko) 2005-12-06

Family

ID=1904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557A KR100533760B1 (ko) 2001-07-11 2002-07-04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20295B2 (ko)
JP (1) JP3770114B2 (ko)
KR (1) KR100533760B1 (ko)
CN (1) CN1218550C (ko)
DE (1) DE10229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5768A (ja) * 2002-06-12 2004-01-15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EP1644639B1 (en) * 2003-06-30 2009-02-11 Nxp B.V.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means of a medium stream generated
US7462317B2 (en) * 2004-11-10 2008-12-09 Enpirio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capsulated package for a magnetic device
US7426780B2 (en) * 2004-11-10 2008-09-23 Enpirio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ower module
US8631560B2 (en) * 2005-10-05 2014-01-21 Enpirion, Inc. Method of forming a magnetic device having a conductive clip
US8701272B2 (en) * 2005-10-05 2014-04-22 Enpirion, Inc. Method of forming a power module with a magnetic device having a conductive clip
US7688172B2 (en) * 2005-10-05 2010-03-30 Enpirion, Inc. Magnetic device having a conductive clip
US8139362B2 (en) * 2005-10-05 2012-03-20 Enpirion, Inc. Power module with a magnetic device having a conductive clip
JP4704257B2 (ja) * 2006-03-20 2011-06-15 アンデン株式会社 圧電ブザー
DE112007003042B4 (de) * 2006-12-27 2011-11-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ktrisches Ventil
US8018315B2 (en) 2007-09-10 2011-09-13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employing a micromagnetic device
US7955868B2 (en) * 2007-09-10 2011-06-07 Enpirion, Inc. Method of forming a micromagnetic device
US7920042B2 (en) * 2007-09-10 2011-04-05 Enpirion, Inc. Micromagnet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133529B2 (en) 2007-09-10 2012-03-13 Enpirion, Inc. Method of forming a micromagnetic device
US7952459B2 (en) * 2007-09-10 2011-05-31 Enpirion, Inc. Micromagnet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544995B2 (en) * 2007-09-10 2009-06-09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employing a micromagnetic device
US8541991B2 (en) 2008-04-16 2013-09-24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9246390B2 (en) 2008-04-16 2016-01-26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8692532B2 (en) 2008-04-16 2014-04-08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8686698B2 (en) 2008-04-16 2014-04-01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9054086B2 (en) * 2008-10-02 2015-06-09 Enpirion, Inc. Module having a stacked passive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153473B2 (en) * 2008-10-02 2012-04-10 Empirion, Inc. Module having a stacked passive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266793B2 (en) 2008-10-02 2012-09-18 Enpirion, Inc. Module having a stacked magnetic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339802B2 (en) * 2008-10-02 2012-12-25 Enpirion, Inc. Module having a stacked magnetic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9548714B2 (en) 2008-12-29 2017-01-17 Altera Corporation Power converter with a dynamically configurable controller and output filter
US8698463B2 (en) * 2008-12-29 2014-04-15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a dynamically configurable controller based on a power conversion mode
KR101609270B1 (ko) * 2009-08-12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형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GB201001004D0 (en) * 2010-01-22 2010-03-10 Reckitt Benckiser Inc Toilet flush detection system utilizing transducer with piezoelectric sounder element
TW201133469A (en) * 2010-03-24 2011-10-01 You-Ping Kang Buzzer alarm driving circuit without booster transformer
WO2012060046A1 (ja) * 2010-11-01 2012-05-1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US8867295B2 (en) 2010-12-17 2014-10-21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for a memory module
KR101597560B1 (ko) * 2012-02-23 2016-02-2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초음파 발생 장치
US9326074B2 (en) * 2013-09-24 2016-04-26 Knowles Electronics, Llc Increased compliance flat reed transducer
TWI527471B (zh) * 2014-03-14 2016-03-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壓電電聲換能器
CN106573274B (zh) * 2014-07-11 2021-02-05 微创医学科技有限公司 多胞元换能器
KR20160021516A (ko) * 2014-08-18 2016-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9888322B2 (en) 2014-12-05 2018-02-06 Knowles Electronics, Llc Receiver with coil wound on a stationary ferromagnetic core
US9509217B2 (en) 2015-04-20 2016-11-29 Altera Corporation Asymmetric power flow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867975B1 (ja) * 2015-06-11 2016-02-24 株式会社メイ スピーカ及びイヤホン
JP6222185B2 (ja) * 2015-08-11 2017-11-01 Tdk株式会社 圧電発音体
DE102015224763A1 (de) * 2015-12-10 2017-06-14 Robert Bosch Gmbh Schallwandl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allwandleranordnung
DE102015224767A1 (de) * 2015-12-10 2017-06-14 Robert Bosch Gmbh Schallwandl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allwandleranordnung
CN105933477B (zh) * 2016-06-15 2019-03-05 东莞市蓝光塑胶模具有限公司 一种手机电池盖板与支架精准定位粘贴工艺
US10896601B2 (en) 2016-09-21 2021-01-19 Drive Safe Enforcement, Llc Mobile traffic violation detection, recording and evidence processing system
CN108141675B (zh) * 2016-09-28 2020-05-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压电发声部件
CN108140373B (zh) * 2016-09-28 2021-10-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压电发声部件及其制造方法
US10286908B1 (en) * 2018-11-01 2019-05-14 Eric John Wengre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CN111054615B (zh) * 2019-11-22 2021-02-02 武汉大学 一种具有喇叭结构的mems压电超声换能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580A (ko) * 1999-02-22 2000-10-25 무라타 야스타카 전기음향 변환기
JP2001036993A (ja) * 1999-07-22 2001-02-09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1095094A (ja) * 1999-07-22 2001-04-06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10062423A (ko) * 1999-12-16 2001-07-07 무라타 야스타카 압전음향부품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010098701A (ko) * 2000-04-19 2001-11-08 무라타 야스타카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815A (ja) 1988-11-30 1990-06-07 Hitachi Condenser Co Ltd モールド型チップ電子部品
JPH06342864A (ja) 1993-06-01 1994-12-13 Rohm Co Ltd リード端子付き面実装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3248404B2 (ja) * 1995-07-31 2002-01-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部品用端子
JP3360558B2 (ja) * 1997-01-06 2002-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3436205B2 (ja) 1999-02-22 2003-08-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音響部品
US6445108B1 (en) 1999-02-19 2002-09-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acoustic component
JP3700616B2 (ja) * 2001-06-26 2005-09-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580A (ko) * 1999-02-22 2000-10-25 무라타 야스타카 전기음향 변환기
JP2001036993A (ja) * 1999-07-22 2001-02-09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1095094A (ja) * 1999-07-22 2001-04-06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10062423A (ko) * 1999-12-16 2001-07-07 무라타 야스타카 압전음향부품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010098701A (ko) * 2000-04-19 2001-11-08 무라타 야스타카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8550C (zh) 2005-09-07
US20030021458A1 (en) 2003-01-30
KR20030007021A (ko) 2003-01-23
US7020295B2 (en) 2006-03-28
DE10229667A1 (de) 2003-03-13
JP3770114B2 (ja) 2006-04-26
CN1396753A (zh) 2003-02-12
JP2003023697A (ja)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760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383877B1 (ko) 압전음향부품 및 이것의 제조방법
JP3489509B2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451560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88619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US6445108B1 (en) Piezoelectric acoustic component
US20070108874A1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0488335B1 (ko)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US6744180B2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436205B2 (ja) 圧電音響部品
KR100529768B1 (ko)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JP2004343684A (ja) 表面実装型電子部品の筐体構造
WO2005015951A1 (ja) インサート端子付きケースおよびこのケースを用いた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インサート端子付きケースの製造方法
JP3669431B2 (ja)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4015767A (ja) 圧電発音体およびこの圧電発音体を用いた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3446685B2 (ja) 圧電音響部品
JP2002238094A (ja) 圧電音響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