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762B1 -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762B1
KR100527762B1 KR10-2003-0079721A KR20030079721A KR100527762B1 KR 100527762 B1 KR100527762 B1 KR 100527762B1 KR 20030079721 A KR20030079721 A KR 20030079721A KR 100527762 B1 KR100527762 B1 KR 100527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helf
tailgate
fixed suppor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587A (ko
Inventor
이봉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7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일게이트를 닫을 때 여분의 케이블이 선반에 장착된 하우징의 내부로 팽팽하게 당겨지며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테일게이트가 닫힐 때 선반과 테일게이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꺽임이나 끼임을 방지하여 미관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소음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Apparatus for mounting covering shelf of tail gate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가 닫힐 때 선반과 테일게이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꺽임과 끼임,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외형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비교적 소수의 인원이 탑승하는 승용차와, 다수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합차와,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차 및 대형 장비나 컨테이너 등을 운반하는 트레일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승용차는 그 뒷부분의 형태에 따라, 크게 해치백 스타일과 노치백 스타일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중 노치백(Notch Back)은 제일 흔하게 볼 수 있는 승용차의 스타일로서, 차체 뒤쪽의 유리창이 트렁크 쪽에서 꺾이면서 평평하게 계단형으로 된 스타일이며 차체를 옆에서 보았을 때 엔진룸, 객실, 트렁크의 구분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상기한 해치백(Hatch Back)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의 뒤쪽에 뚜껑을 단 스타일로 테일게이트(1)를 열면 실내와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뒷문은 여러용도로 쓸 수 있지만 편의상 칸막이 즉, 선반(Covering Shelf)(2)을 두어 수화물실(3)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선반(2)은 양측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차체에 장착되며, 선반(2)은 케이블(4)에 의해 테일 게이트(1)에 연결됨으로써, 테일게이트(1)를 열면 케이블(4)에 의해 선반(2)이 들어올려져 수화물실(3)이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 선반(2)에 연결되는 케이블(4)는,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선반(2)의 관통구멍(2a)를 통해 선반(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하고 그 종단에 스토퍼(5)를 부착함으로써, 테일게이트(1)가 닫힌 상태에서는 스토퍼(5)의 무게에 의해 케이블(4)가 수화물실(3)로 하강하고, 테일게이트(1)가 열려 케이블(4)가 상승하면 스토퍼(5)가 선반(2)의 하부에 걸리면서 선반(2)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는, 케이블이 선반의 관통구멍에 잘 걸리기 때문에, 테일게이트가 열린 다음 닫힐 때 케이블이 선반의 관통구멍을 통해 하부로 내려가지 않아 케이블이 꺽이면서 테일게이트와 차체의 사이에 끼이는 등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다른 종래예에 따르면, 스토퍼에 무거운 추를 장착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추가 흔들리면서 화물실의 트림 등에 부딪혀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테일게이트가 닫힐 때 선반과 테일게이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꺽임이나 끼임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는, 수화물실에 양측의 힌지점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테일게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케이블로 연결되되, 상기 케이블의 종단을 상기 선반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에 일정 간격으로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지지점을 갖춘 고정 지지수단과, 상기 고정 지지수단의 고정 지지점 사이마다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부에 얹혀져 하방으로 장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무게점을 갖춘 장력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고정 지지수단이, 상기 선반의 일면에 부착되고 내부에 길게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통로 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고정 지지점을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력 발생수단이, 상기 선반의 일면에 부착되고 내부에 길게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로의 양측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통로 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상부에 얹혀짐으로써 무게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반(10)은 양측의 힌지점(11)을 매개로 차체에 장착되며, 양측의 관통구멍(12, 13)을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20)에 의해 테일 게이트(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상기 관통구멍(12, 13)을 통해 각각 삽입된 케이블(20)는 선반(10)의 양측 하부에 고정된 케이블 수납하우징(30)의 내부로 수용되는데, 이 케이블 수납하우징(30)의 내부에는 길게 통로(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로(31) 내에 복수개의 지지용 롤러(40)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힌지(41)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바, 이 지지용 롤러(40)는 케이블(2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바, 각 지지용 롤러(40)는 각각의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수납하우징(30)의 통로(31) 내부에는 상기 지지용 롤러(40) 사이 마다 1개씩 배치되는 복수개의 무게추용 롤러(5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각 무게추용 롤러(50)는 양측에 가이드돌기(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돌기(51)가 상기 케이블 수납하우징(30) 통로(31)의 양측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2)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각 무게추용 롤러(50)는 케이블(20)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배치하여 케이블(20)의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장력(tension)을 발생하도록 한 것으로, 각 무게추용 롤러(50)는 각각의 무게점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0)의 종단은 케이블 수납하우징(30) 통로(31)의 말단에 고정부재(6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고정부재(60)로는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라면 어떤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지지용 롤러(40)의 하나를 사용하여 케이블(20)의 종단을 지지용 롤러(40)에 묶어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테일게이트(도시되지 않음)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수납하우징(30) 내의 복수의 무게추용 롤러(5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수납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20)이 지지용 롤러(40)의 사이 마다 하방으로 늘어지면서, 상기 케이블(20)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테일게이트가 열리게 되면, 상기 케이블(20)이 장력을 받아 끌어올려지면서 복수의 무게추용 롤러(50)를 가이드홈(32)내에서 상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무게추용 롤러(50)가 최대높이로 상승하여 케이블(20)이 팽팽해지면 상기 선반(10)이 케이블(20)을 매개로 테일게이트에 끌어올려져 수화물실을 개방시키는 상태가 된다.
다음, 다시 테일게이트가 닫히면, 상기 케이블 수납하우징(30) 내의 복수의 무게추용 롤러(5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수납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20)이 지지용 롤러(40)의 사이 마다 하방으로 늘어지면서, 케이블(20)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즉, 케이블 수납하우징(30)의 외부로 이탈하였던 여분의 케이블(20)이 다시 케이블 수납하우징(30)의 내부로 팽팽하게 당겨지며 수용되므로, 케이블(20)이 꺽이거나 테일게이트와 차체의 사이에 끼이는 등의 문제가 없으며,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를 닫을 때 여분의 케이블이 선반에 장착된 하우징의 내부로 팽팽하게 당겨지며 수용되므로, 테일게이트가 닫힐 때 선반과 테일게이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꺽임이나 끼임을 방지하여 미관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소음 발생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테일게이트 선반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선반과 케이블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수납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케이블이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수납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케이블이 승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반 20: 케이블
30: 케이블 수납하우징 31: 통로
32: 가이드홈 40: 지지용 롤러
41: 힌지 50: 무게추용 롤러
51:가이드돌기 60: 고정부재

Claims (3)

  1. 수화물실에 양측의 힌지점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테일게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케이블로 연결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종단을 상기 선반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에 일정 간격으로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지지점을 갖춘 고정 지지수단과;
    상기 고정 지지수단의 고정 지지점 사이마다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부에 얹혀져 하방으로 장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무게점을 갖춘 장력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지지수단은 상기 선반의 일면에 부착되고 내부에 길게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수납하우징과, 상기 케이블 수납하우징의 통로 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용 롤러를 갖추고;
    상기 장력 발생수단은 상기 수납하우징의 통로의 양측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상부에 얹혀짐으로써 무게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무게추용 롤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3-0079721A 2003-11-12 2003-11-1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KR100527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721A KR100527762B1 (ko) 2003-11-12 2003-11-1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721A KR100527762B1 (ko) 2003-11-12 2003-11-1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587A KR20050045587A (ko) 2005-05-17
KR100527762B1 true KR100527762B1 (ko) 2005-11-10

Family

ID=3724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721A KR100527762B1 (ko) 2003-11-12 2003-11-1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85B1 (ko) 2005-09-27 2006-11-1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성체를 이용한 커버링선반 고정용 케이블 추소음방지장치
KR20230060822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커버링 쉘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141A (en) * 1985-05-31 1988-03-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tive rear shelf structure
KR19980038025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행거구조
KR19990007645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자동 잠금장치
KR20040004854A (ko) * 2002-07-05 2004-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선반 자동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141A (en) * 1985-05-31 1988-03-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tive rear shelf structure
KR19980038025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행거구조
KR19990007645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자동 잠금장치
KR20040004854A (ko) * 2002-07-05 2004-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선반 자동 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85B1 (ko) 2005-09-27 2006-11-1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성체를 이용한 커버링선반 고정용 케이블 추소음방지장치
KR20230060822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커버링 쉘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587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114973A1 (ja) 車両のドア構造
US9908475B2 (en) Securement system for a storage area of a vehicle
KR100527762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JP2975226B2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KR20070044629A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KR20220095274A (ko) 차량용 루프박스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KR100376443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534338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손잡이 장착구조
KR100376445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821848B1 (ko) 커버링 셀프 조립체
KR100461060B1 (ko) 미드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글라스 개폐장치
KR100376441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872441B1 (ko)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KR200412185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트림의 장착구조
JP2007131145A (ja) 車両のリヤシェルフ構造
KR100376442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JP2006027372A (ja) 給電装置
JP2017007490A (ja) 開閉ルーフ車の整流構造
JP2006027371A (ja) 給電装置
JPH0281772A (ja) 車体側部構造
KR19990026960A (ko) 자동차의 셀프트림 설치구조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KR19980061049U (ko) 해치 백형 차량의 루프 구조
KR19990005714U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드 트림 리테이너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