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560B1 -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560B1
KR100525560B1 KR10-2002-0070734A KR20020070734A KR100525560B1 KR 100525560 B1 KR100525560 B1 KR 100525560B1 KR 20020070734 A KR20020070734 A KR 20020070734A KR 100525560 B1 KR100525560 B1 KR 100525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storage case
cam
rotary damper
assis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380A (ko
Inventor
시바오마사하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6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8Attachments or mountings with motion-limiting means, e.g. with a full-length guide element or ball joint connections; with protective outer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52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 F16F2230/0064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using a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회동부재에 감쇠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캠부재(11)와 상기 캠부재(11)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2)와 상기 캠부재(11) 및 탄성부재(12)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수납케이스(13)를 구비한 회전댐퍼로서, 상기 캠부재(11)는 상기 수납케이스(13)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삭감과 작업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ROTARY DAMPER AND ASSIST GRIP DEVICE}
본 발명은, 회동운동하는 부재에 탄성부재에 의해서 감쇠력을 부여하는 회전댐퍼, 및 이 회전댐퍼를 사용한 어시스트 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종래의 회전댐퍼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여기서, 회전댐퍼는, 축(1)에 걸어맞춤면을 대향하고 또한 일정 간격을 가지고 고착된 한쌍의 제 1 캠(2,2)과, 이 제 1 캠(2)의 내측에 있어서 제 1 캠과 경사면(3a)에 각각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탄성부재(4)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탄지된 한쌍의 제 2 캠(3, 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회전댐퍼에 있어서, 제 2 캠(3)은 도면 밖의 고정 수단에 의해서 회동 불가능함과 아울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축(1)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하면,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제 2 캠(3, 3)이 서로 탄성부재(4)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가까워진다. 이 스프링력에 의해서 축(1)의 회동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종래의 회전댐퍼는, 부품점수가 많은 동시에 개개의 구성 부품이 유닛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립하는 경우의 작업성이 나쁘고 다대한 공간을 필요로 했다. 또, 조립에 있어서 회전방향에 어긋나서 잘못된 조립이나, 토크전달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케이스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하고, 조립성이 우수한 회전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본 발명은,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수납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한 것에 있어서,상기 수납케이스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이 캠부재는 측단부면에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캠면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또,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캠부재 및 수납케이스는 축 관통용의 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양단부가 개구된 수납케이스를 구비한 회전댐퍼로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양단부에 각각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에 있어서,상기 수납케이스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어시스트 그립을 복귀위치로 탄지하는 어시스트 그립장치로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지지 오목부에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출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복귀방향으로 탄지하는 회전댐퍼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상기 수납케이스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댐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회전댐퍼(10)는 캠부재(11)와 이 캠부재(11)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코일스프링)(12)와 상기 캠부재(11) 및 탄성부재(12)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수납케이스(13)를 구비함과 아울러, 캠부재(11)는 상기 수납케이스(13)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캠부재(11)는 대략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상면에 나선형의 캠면(11a)을 가지고 있다. 캠면(11a)은 A점에서 낮고, B점에서 최고위치가 된다(도 10 참조). 또, 캠면(11a)의 중앙에는 축 관통용의 관통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부재(11)의 측벽에는 걸림편(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11c)은 3방향을 노치해서 형성되어 있고,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돌기(11d)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걸림편(11c)은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측벽은 노치부(11e)를 가지고 있다.
탄성부재(12)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캠부재(11)의 관통구멍(11b)보다 큰 권경을 가지고 있다. 수납케이스(13)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하고 있고, 측벽에 회전방지용의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14)는 수납케이스(13)의 길이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수납케이스(13)의 내경은, 상기 캠부재(11)가 관통 가능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13)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11)에 형성된 걸림편(11c)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15)를 가지고 있다. 또 수납케이스(13)는 중앙에 저벽(13a)에서 위로 향하는 소통부(小筒部)(16)를 가지고 있다. 소통부(16)의 외경은 캠부재(11)의 관통구멍(11b)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것과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각 부재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납케이스(13)의 소통부(16)에 개구된 상면으로부터 코일스프링(12)을 관통한다. 다음에, 캠부재(11)를 측벽에 형성된 걸림편(11c)의 위치와 노치부(15)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해서 삽입한다. 걸림편(11c)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11d)는, 삽입시, 수납케이스(13)의 내주면에 맞닿음함으로써, 일단 후퇴하지만 노치부(15)에 이르면 탄성력에 의해서 복귀되어 노치부(15)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돌출에 의해서 캠부재(11)는 수납케이스(13)로부터 빠짐이 방지된다. 또 캠부재(11)의 삽입에 있어서, 코일스프링(12)이 압축되어 위로 밀어 올리는 탄지력을 부여한다. 또한, 캠부재(11)의 종치수는 수납케이스(13)의 종치수보다 짧기 때문에, 캠부재(11)를 더욱 압입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돌기(14)에 의해서 회동되지 않도록 부착된 회전댐퍼(10)는 도면 밖의 지지축이 소통부(16)에 삽입된다. 또 이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회동부재가 캠면(11a)에 맞닿으면서 회전할 때에, 캠면의 A점에서 B점을 향함에 따라서 캠부재(11)를 탄성부재(1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아래로 눌러 내릴 수 있다. 즉, 캠면(11a)에 맞닿으면서 회전하는 회동부재는, 회동함에 따라서 강한 압압력을 받고, 탄성부재에 의한 감쇠력을 받는다. 또, 회전댐퍼는 일체적으로 콤팩트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조립도 용이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회전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댐퍼(20)는 캠부재(21)와 이 캠부재(21)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22)와 상기 캠부재(21) 및 탄성부재(22)를 수납하는 양단부가 개구된 수납케이스(23)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21)는 수납케이스(23)의 양단부에 각각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캠부재(21)는 대략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상면에 나선상의 캠면(21a)을 가지고 있다. 캠면(21a)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A점에서 낮고, B점에서 최고 위치가 된다. 또 캠면(21a)의 중앙에는, 축 관통용의 관통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부재(21)의 측벽에는 걸림편(2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21c)은 주위 3방향을 노치해서 형성되어 있고,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돌기(21d)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림편(21c)은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2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캠부재(21)의 관통구멍(21b)보다 큰 권경을 가지고 있다. 수납케이스(23)는 양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을 하고 있고, 측벽에 회전방지용의 돌기(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케이스(23)의 내경은 상기 캠부재(21)가 관통 가능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23)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21)에 형성된 걸림편(21c)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25)를 가지고 있다. 또, 수납케이스(23)는 중앙에 소통부(26)를 가지고 있고, 지지암(23a)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소통부(26)의 외경은, 캠부재(21)의 관통구멍(21b)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것과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각 부재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납케이스(23)의 일측의 개구부에서 캠부재(21)를 삽입하고, 걸어맞춤 돌기(21d)를 수납케이스(23)의 노치부(25)에 걸어맞춤한다. 다음에, 타측의 개구부에서, 소통부(26) 및 탄성부재(22)를 수납케이스(23) 내에 수납한다. 이때 코일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22)는 그 감김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조립하는 것에 의해 지지암(23a)에 걸리지 않고도 조립 시킬 수 있다.또한, 또 하나의 캠부재(21)를 삽입한다. 삽입시, 수납케이스(23)의 내주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일단 후퇴하지만 노치부(25)에 이르면 탄성력에 의해서 복귀되어, 노치부(25)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돌출에 의해서, 캠부재(21)는 수납케이스(23)로부터 빠짐이 방지된다. 또 캠부재(21)의 삽입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2)이 상하의 캠부재(21)에 의해서 압축되어, 양방향으로 압출하는 탄지력을 부여한다. 또한, 캠부재(21)를 2개 배열한 종치수는 수납케이스(23)의 종치수보다 짧기 때문에, 캠부재(21)를 더욱 압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경우, 수납케이스(23)의 양면에 캠부재(21)를 설치하였으므로, 제동 감쇠를 가하는 부재에 부착할 때의 자유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조립에 있어서, 잘못될 염려가 없다.
도 3(b)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3(a)에 나타낸 예와 거의 동일하나, 소통부가 존재하지 않는 대신에 캠부재(21)의 내측면에 스프링의 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1f)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경우, 스프링을 안내하기 위한 소통부가 필요 없어지고, 부품점수의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댐퍼를 사용한 어시스트 그립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어시스트 그립의 베이스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어시스트 그립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회전댐퍼의 설명도, 도 7은, 상기 어시스트 그립과 회전댐퍼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여기서, 어시스트 그립장치(27)는,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어시스트 그립(27a)을 복귀위치로 탄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27a)의 지지 오목부(28)에 상기한 캠부재(11)와 상기 캠부재(11)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2)와 상기 캠부재(11) 및 탄성부재(12)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13)를 구비하며, 상기 캠부재(11)는 상기 수납케이스(13)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출된 상기 어시스트 그립(27a)을 복귀방향으로 탄지하는 회전댐퍼를 구비하고 있다.
또 어시스트 그립(27a)은 지지 오목부(28)에 고정홈(29)을 가지고 있고, 이 고정홈(29)에 회전댐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4)를 걸어맞추어서, 수납케이스(13)를 어시스트 그립(27a)과 일체적으로 회동하게 한다. 또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측에 고정되는 베이스(30)에는, 회전댐퍼(10)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관통하는 축구멍(30a)을 지님과 아울러, 이 축구멍(30a)의 주위에 돌기(3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댐퍼(10)는, 베이스(30)의 암(30d) 사이에 얹어놓여지고, 캠면(11a)이 베이스(30)의 돌기(30b)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30)는 그 기단부(30c)에 의해서 차체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8은 어시스트 그립 미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어시스트 그립 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캠부재의 전개도, 도 11은 어시스트 그립 미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Ⅹ방향 시시도, 도 12는 어시스트 그립 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Y방향 시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어시스트 그립(27a)은 미사용의 상태로서, 베이스(30)의 암(30d)에 형성된 돌기(30b)가 캠면(11a)의 가장 낮은 A위치에 있다. 이것은, 도 11에 대응된다. 이 상태에서는, 어시스트 그립(27a)은 대부분 캠면(11a)으로부터 탄지력을 받을 일은 없다.
다음에, 어시스트 그립(27a)을 순차적으로 인출해 가면, 회전댐퍼(10)가 어시스트 그립과 함께 회동되어, 베이스의 돌기(30b)가 캠면의 높은 위치와 맞닿게 되어, 서서히 강한 탄지력을 받는다. 도 9에 나타낸 상태는 베이스의 돌기(30b)가 캠면의 가장 높은 위치와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어시스트 그립(27a)은, 가장 개방된 상태로서 도 12에 해당된다. 어시스트 그립(27a)은 약 120∼130°의 각도로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손을 어시스트 그립에서 떼면, 회전댐퍼(10)의 탄지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어시스트 그립장치는, 자동차내의 어시스트 그립에 스프링에 의한 감쇠력을 부여할 수 있다. 결국, 부품점수의 삭감에 따르는 제조비용의 저감과 작업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댐퍼를 자동차내의 어시스트 그립장치에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른 개폐운동을 하는 부재의 댐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수납케이스를 구비한 회전댐퍼로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서 캠면이 압압되고, 탄성부재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캠부재는 측단부면에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캠면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었기 때문에, 회동부재의 회전운동을 탄성부재를 수축시키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납되었기 때문에, 회동부재의 회전운동을 탄성부재를 수축시키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 상기 캠부재 및 수납케이스는 축 관통용의 구멍을 지니므로, 이 축 관통용의 구멍에 지지축을 관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양단부가 개구된 수납케이스를 구비한 회전댐퍼로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양단부에 각각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었기 때문에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한층 더 강력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어시스트 그립을 복귀위치로 탄지하는 어시스트 그립장치로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지지 오목부에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출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복귀방향으로 탄지하는 회전댐퍼를 구비하였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 및 조립 공정수의 대폭적인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일체적으로 콤팩트하게 구성되었으므로, 조립시에 부재가 회전방향에 어긋나거나 해서, 토크전달불량 등의 불편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회전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회전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b)는 기타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댐퍼를 사용한 어시스트 그립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베이스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
도 6은 상기 어시스트 그립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회전댐퍼의 설명도
도 7은 상기 어시스트 그립과 회전댐퍼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어시스트 그립 미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어시스트 그립 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캠부재의 전개도
도 11은 어시스트 그립 미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Ⅹ방향 시시도
도 12는 어시스트 그립 사용시의 회전댐퍼의 상태를 나타낸 Y방향 시시도
도 13은 종래의 회전댐퍼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댐퍼 11 - 캠부재
11a - 캠면 11b - 관통구멍
11c - 걸림편 11d - 걸어맞춤 돌기
11e - 노치부 12 - 탄성부재(코일스프링)
13 - 수납케이스 13a - 저벽
14 - 돌기 15 - 노치부
16 - 소통부 20 - 회전댐퍼
21 - 캠부재 21a - 캠면
21b - 관통구멍 21c - 걸림편
21d - 걸어맞춤 돌기 21f - 가이드부
22 - 탄성부재 23 - 수납케이스
23a - 지지암 25 - 노치부
26 - 소통부 27 - 어시스트 그립장치
27a - 어시스트 그립 28 - 지지 오목부
29 - 고정홈 30 - 베이스
30a - 축구멍 30b - 돌기
30c - 기단부 30d - 암

Claims (6)

  1. 삭제
  2.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수납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캠부재의 측단부면에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캠면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 및 수납케이스는, 축 관통용 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5.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양단부가 개구된 수납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양단부에 각각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6.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어시스트 그립을 복귀위치로 탄지하는 어시스트 그립장치로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지지 오목부에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축선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출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복귀방향으로 탄지하는 회전댐퍼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측벽에 상기 캠부재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그립장치.
KR10-2002-0070734A 2002-02-14 2002-11-14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KR100525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6248 2002-02-14
JP2002036248A JP4166986B2 (ja) 2002-02-14 2002-02-14 回転ダンパ及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380A KR20030068380A (ko) 2003-08-21
KR100525560B1 true KR100525560B1 (ko) 2005-10-31

Family

ID=1919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734A KR100525560B1 (ko) 2002-02-14 2002-11-14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66986B2 (ko)
KR (1) KR100525560B1 (ko)
DE (1) DE10306014A1 (ko)
GB (1) GB2385653B (ko)
TW (1) TW5721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4218B4 (de) * 2004-07-14 2009-10-08 Stabilus Gmbh Dämpfeinrichtung
KR200446048Y1 (ko) 2007-09-10 2009-09-21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복귀형 댐퍼
CN102991559B (zh) * 2011-09-15 2016-04-27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推车的脚轮装置
KR200481025Y1 (ko) * 2015-04-02 2016-08-04 주식회사 동일 헤드라이닝 어시스트 핸들의 오일 댐퍼 2중 걸림 장치
KR200480599Y1 (ko) 2015-04-02 2016-06-13 주식회사 동일 댐퍼 작동 이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헤드라이닝 어시스트 핸들
CN106379212B (zh) * 2016-11-03 2019-02-0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用于车辆的扶手及扶手的控制方法
JP2019127956A (ja) * 2018-01-22 2019-08-01 クミ化成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ダンパー
CN109319373B (zh) * 2018-01-25 2023-12-26 深圳市建艺装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人工板材搬运夹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404A (ko) * 1997-05-07 1998-12-0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회전댐퍼
KR19990006311A (ko) * 1997-06-04 1999-01-25 오가사와라 도시아키 댐퍼
KR20020003816A (ko) * 2000-07-05 2002-01-1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1543B (en) * 1993-09-04 1996-10-02 Raydyot Ltd Mirror mechanisms
GB2374578A (en) * 2001-04-17 2002-10-23 Emmanuel Courbon A parking mechanism for a vehicle mirr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404A (ko) * 1997-05-07 1998-12-0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회전댐퍼
KR19990006311A (ko) * 1997-06-04 1999-01-25 오가사와라 도시아키 댐퍼
KR20020003816A (ko) * 2000-07-05 2002-01-1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37447A (ja) 2003-08-27
GB2385653B (en) 2005-05-18
GB2385653A (en) 2003-08-27
TW572150U (en) 2004-01-11
GB0302920D0 (en) 2003-03-12
DE10306014A1 (de) 2003-08-21
KR20030068380A (ko) 2003-08-21
JP4166986B2 (ja)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37259A1 (en) Hinge assembly
KR100525560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JP4774464B1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H072625U (ja) ナス環
JP2010107044A (ja) ヒンジ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る携帯電子装置
KR100291570B1 (ko) 다방향 입력장치
US7070246B2 (en) Wheel device with quick-releasing mechanism
KR101341304B1 (ko) 회동체의 제동 구조
JP3587721B2 (ja) クリック付き回転型電気部品
KR100803959B1 (ko) 회전형 전기 부품
WO2001033699A1 (fr) Moteur de petite taille
JP200517849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321234B1 (ko) 노이즈흡수장치
JPWO2002037517A1 (ja) 小型スイッチ
JP2011010740A (ja) 装身具用止め具
KR0158994B1 (ko) 축래치장치
KR100577730B1 (ko) 래치 조립체
KR200200769Y1 (ko) 집게
WO2022255387A1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1223479A (ja) ヒンジユニット
JPS6350755Y2 (ko)
JP3341558B2 (ja) 片口金蛍光灯ソケット
KR101601526B1 (ko) 차량용 케이블 소켓
JPS6125748Y2 (ko)
JPH10197759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