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994B1 - 축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축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994B1
KR0158994B1 KR1019960035083A KR19960035083A KR0158994B1 KR 0158994 B1 KR0158994 B1 KR 0158994B1 KR 1019960035083 A KR1019960035083 A KR 1019960035083A KR 19960035083 A KR19960035083 A KR 19960035083A KR 0158994 B1 KR0158994 B1 KR 015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leeve
locking pin
barri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241A (ko
Inventor
도모아끼 사또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7006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8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with sliding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소형으로 사용위치에 제약받지 않고, 부착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축래치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수용오목부(12)가 형성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탄성편(23)을 가지는 슬리브(21)와, 수용오목부(12)내에 수용되며 슬리브(21)를 수용오목부(12)에서 돌출하게 하는 코일스프링(31)과, 수용오목부(12)를 제1원기둥부(42A)가 닫힌 상태에서 제2원기둥부(42B)가 슬리브(21)내로 삽입되는 회전가능한 캠축(41)과, 탄성편(23)에 형성된 제1잠금핀(25A), 슬리브(21)에 형성된 제2잠금핀(25B),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 캠축(41)의 제2원기둥부(42B)에 형성되며 제1 또는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이 타고 따라가는 제1 및 제2캠홈(46A,46B), 제1 또는 제2맞붙임벽(26A,26B)이 맞붙는 제1 및 제2장벽(47A,47B)으로 이루어지는 래치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축래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축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슬리브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슬리브의 각 잠금핀 및 각 맞붙임벽의 형태 및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캠축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캠축의 각 캠홈 및 각 장벽의 형태 및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조립한 상태에서 하우징 및 슬리브를 파단한 정면도.
제8a~b도는 축래치장치를 부착한 수납박스의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 및 수납박스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9a~f도는 각 잠금핀과 각 캠홈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래치장치 11 : 하우징
12 : 수용오목부 13 : 위치결정원통
14 : 안내홈 15 : 걸어맞춤편
16 : 관통구멍 17 : 통부
18 : 개구 21 : 슬리브
22 : 돌기 23 : 탄성편
24 : 받이편 25A : 제1잠금핀
25B : 제2잠금핀 26A : 제1맞붙임벽
26B : 제2맞붙임벽 31 : 코일스프링
41 : 캠축 42A : 제1원기둥부
42B : 제2원기둥부 42C : 제3원기둥부
42f : 측면 43 : 삽입구멍
44 : 끼움절결 45 : 걸림돌기
46A : 제1캠홈 46B : 제2캠홈
47A : 제1장벽 47B : 제2장벽
48 : 부착편 D : 댐퍼장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푸쉬푸쉬식의 축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예를 들어 뚜껑을 걸어고정하는 래치장치는, 뚜껑을 개방시키켰을 때에 스트라이커와 같은 돌출부분을 없애기 위해 회전체의 측면에 형성된 하트형의 부분을 가지는 캠홈과, 일단측이 케이스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타단측의 선단이 캠홈을 타고 따라가는 잠금핀으로 구성되는 축래치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축래치장치는, 회전체의 측면에 캠홈을 형성하고 있어서 회전체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스페이스의 여유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고, 따라서 사용위치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케이스측에 잠금핀을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며 잠금핀을 부착하는 데에는 손이 많이 간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으로 사용위치에 제약받지 않으며 부착 또한 간단히 이루어지는 축래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된 축래치장치는, 수용오목부가 축방향으로 설치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반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탄성편을 가지는 슬리브와, 수용오목부에 수용되며 슬리브를 수용오목부에서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수용오목부를 닫은 상태에서 일부가 슬리브내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되는 축체와, 이 축체와 슬리브를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탄지부재와, 탄성편의 변위단측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잠금핀, 슬리브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맞붙임벽, 축체의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제1잠금핀의 선단이 타고 따라가는 제1캠홈, 및 제1잠금핀이 걸어맞춰지는 제1장벽으로 이루어지는 래치기구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회전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리브와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양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제1잠금핀이 제1캠홈의 측벽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제1맞붙임벽이 제1장벽에 걸어맞춰지므로써 잠금상태가 되고, 또한 슬리브와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맞붙임벽이 제1장벽과 비맞붙임상태가 되면 양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제1맞붙임벽이 제1장벽의 옆을 관통하여 잠금해제상태가 된다.
또한, 다른 발명에 관련된 축래치장치는 수용오목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반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탄성편을 가지는 슬리브와, 수용오목부내에 수용되며 슬리브를 수용오목부에서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수용오목부를 닫은 상태에서 일부가 슬리브내로 삽입되며 회전가능한 축체와, 탄성편의 변위단측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잠금핀, 슬리브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맞붙임벽, 축체의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내측둘레에 형성되며 제1잠금핀의 선단이 타고 따라가는 제1캠홈, 및 제1맞붙임벽이 맞붙는 제1장벽으로 이루어지는 래치기구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슬리브와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1맞붙임벽이 제1장벽에 맞붙고 제1잠금핀이 제1캠홈의 측벽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잠금상태로 되며, 또한 슬리브와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맞붙임벽이 제1장벽과 비맞붙임 상태로 되면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제1맞붙임벽이 제1장벽의 옆을 관통하여 잠금해제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한, 래치기구는 슬리브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2잠금핀 및 제2맞붙임벽, 축체의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제2잠금핀의 선단이 타고 따라가는 제2캠홈, 및 제2맞붙임벽이 맞붙는 제2장벽을 가지며, 슬리브와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제2맞붙임벽이 제2장벽에 맞붙고 제2잠금핀이 제2캠홈의 장벽에 맞붙는 것에 의해 잠금상태가 되며, 또한 슬리브와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제2맞붙임벽이 제2장벽과 비맞붙임상태로 되면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제2맞붙임벽이 제2장벽의 옆을 관통하여 잠금해제상태가 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축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슬리브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슬리브의 각 잠금핀 및 각 맞붙임벽의 형태 및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캠축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캠축의 각 캠홈 및 각 장벽의 형태 및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조립한 상태에서 하우징 및 슬리브를 파단한 정단면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a)는 상측반분을 파단한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a)는 파단한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a)는 제3b도의 A-A선으로 파단하여 전개한 측면도, (b)는 (a)를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제5도에 있어서, (a)는 상측반분을 파단한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좌측면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a)는 제2원기둥부의 둘레면을 전개한 측면도, (b)는 (a)를 상측에서 본 도면, (c)는 (b)의 C-C선으로 파단하여 제1캠홈을 나타낸 설명도, (d)는 (b)의 D-D선으로 파단하여 제2캠홈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로 나타낸 축래치장치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하우징(11)과, 합성수지로 성형한 슬리브(21)와, 탄지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31)과, 합성수지로 성형한 축체로서의 캠축(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11)에는 일단이 트인 성형기둥형의 수용오목부(12)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수용오목부(1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바닥에 캠축(41)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원통(13)이 형성되며, 수용오목부(12)의 내측둘레의 180도의 위치에 슬리브(21)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2개의 안내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에는 개방단의 일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걸어맞춤편(15)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는 위치결정원통(13)의 중심으로 하여 위치결정원통(13)의 내측지름보다 지름이 작은 원형의 관통구멍(16)이 형성되며, 바닥의 외측에는 대향하는 외측둘레의 일부가 절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위치결정원통(13)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측지름이 관통구멍(16)보다 큰 타원형의 통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슬리브(21)의 탄성편(23)이 반경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수용하는 직사각형의 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수용오목부(12)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슬리브(21)에는 외측둘레의 180도의 위치에 축방향으로 안내홈(14)에 의해 안내되는 2개의 돌기(22)가 형성되며, 둘레벽의 일부에 반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탄성편(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21)에는, 그 내측둘레에 코일스프링(31)의 일단이 맞닿는 원호형상을 한 2개의 받이편(24)이 형성되며, 탄성편(23)의 변위단측의 내측둘레에는 제1잠금핀(25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제1잠금핀(25A)과 축대칭하는 내측둘레에는 제2잠금핀(2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21)에는, 받이편(23)과 제1잠금핀(25A) 사이의 내측둘레에 있어서 제1잠금핀(25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각도 비켜난 위치에 제1맞붙임벽(26A)이 형성되며, 받이편(23)과 제2잠금핀(25B) 사이의 내측둘레에 있어서 제2잠금핀(25B)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각도 비켜난 제1맞붙임벽(26A)과의 축대칭하는 위치에 제2맞붙임벽(2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잠금핀(25A,26B)의 높이는 제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상기한 코일스프링(31)은, 수용오목부(12)내에 수용되어 슬리브(21)를 수용오목부(12)로부터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캠축(41)은, 수용오목부(12)를 닫는 제1원기둥부(42A)와, 이 제1원기둥부(42A)와 동축이면서 제1원기둥부(42A)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슬리브(21)내에 들어가는 제2원기둥부(42B)와, 제1 및 제2원기둥부(42A,42B)와 동축이면서 제2원기둥부(42B)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2개의 받이편(24) 사이를 관통하여 위치결정원통(1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하우징(11)의 바닥에 일단이 맞닿는 제3원기둥부(42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축(41)에는, 일단이 제1원기둥부(42A)의 측면으로 트인 삽입구멍(43)이 축방향으로 원기둥부(42C)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원기둥부(42A)에는 삽입구멍(43)과 연이어 통하는 끼움절결(44)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둘레에는 걸어맞춤편(15)과 맞붙혀져 하우징(11)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걸림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원기둥부(42B)의 외측둘레에는 제1잠금핀(25A)이 안내되는 제1캠홈(46A)이 형성되고, 제1캠홈(46A)의 내측부분에는 제1맞붙임벽(26A)이 맞붙는 제1장벽(47A)이 형성되며, 제1캠홈(46A)과 축대칭하며 제2잠금핀(25B)이 안내되는 제2캠홈(46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1장벽(47A)과 축대칭하며 제2맞붙임벽(26B)이 맞붙는 제2장벽(47B)이 제2캠홈(46B)의 내측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의 바닥에 일단이 맞닿는 제3원기둥부(42C)의 맞닿음면에 관통구멍(16)을 관통하여 바닥의 외측에 걸어맞추는 2개의 부착편(48)이 형성되어 있다.
42f로 나타낸 제2원기둥부(42B)의 측면은,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을 제1또는 제2캠홈(46A,46B)의 입구부분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캠홈(46A)은 제6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분에서 출구 바로 앞까지는 바닥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출구 바로 앞에서부터 바닥이 경사를 이루면서 제2원기둥부(42B)의 둘레면까지 상승하여 출구로 되어, 출구부분으로 제1잠금핀(25A)이 진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2캠홈(46B)은 제6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분에서 출구부분까지 바닥이 일정한 높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기구는 제1 및 제2잠금핀(25A,25B)과,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과, 제1 및 제2캠홈(46A,46B)과, 제1 및 제2장벽(47A,4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조립에 관하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1)의 수용오목부(12)내로 코일스프링(31)을 삽입하고, 탄성편(23)을 수용오목부(12)의 입구측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탄성편(23)을 개구(18)에 대응시켜서 2개의 돌기(22)를 각 안내홈(14)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걸어맞춤(15)과 걸림돌기(45)를 반경방향으로 비키어 놓고, 캠축(41)의 부착편(48)을 수용오목부((12)내에 위치하는 받이편(24) 사이로 삽입하여 부착편(48)이 관통구멍(16)의 가장자리에 맞닿았을 때 캠축(41)을 누르면, 2개의 부착편(48)은 탄성변형하여 축소폐쇄되어 관통구멍(16)을 관통하고 관통후에 확대개방되므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이 조립상태에 있어서는, 코일스프링(31)은 하우징(11)의 바닥과 슬리브(21)의 받이편(24)과의 사이에 장진되며, 슬리브(21)를 수용오목부(12)에서 돌출되도록 탄지하여 제1및 제2잠금핀(25A,25B)을 제2원기둥부(42B)의 측면(42f)에 맞붙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제3원기둥부(42C)의 일단은 하우징(11)의 바닥에 맞닿고 위치결정원통(1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제8도의 (a),(b)는 축래치장치를 부착한 수납박스의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 및 수납박스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B로 나타낸 수납박스는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t)와, 이 본체(t)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가능하도록 본체(t)에 부착된 뚜껑(i)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i)의 일단측은 본체(t)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며, 뚜껑(i)의 타단측은 본체(t)에 부착된 댐퍼장치(D)의 회동부분과 이 댐퍼장치(D)의 걸어맞춤부가 삽입구멍(43) 및 끼움절결(44)에 끼워진 축래치장치(1)의 통부(17)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댐퍼장치(D)는, 슬리브(21)와 캠축(41)을 상대적으로 일방향 즉 뚜껑(i)을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회전탄지부재이며,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7-2389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댐퍼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제9도의 (a)~(f)는 각 잠금핀과 각 캠홈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i)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7도 및 제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이 캠축(41)을 구성하는 제2원기둥부(42B)의 측면(42f)에 코일스프링(31)의 탄지력에 의해 맞붙어 있다.
우선,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이 제9a도에 나타낸 실선상태에서는 제8a도와 같이 뚜껑(i)이 열려 있으므로 댐퍼장치(D)의 탄지력에 의해 뚜껑(i)이 닫히도록 회동하고,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이 제9a도의 실선위치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제1 및 제2캠홈(46A,46B)의 출구부분까지 전진하면 제2잠금핀(25B)은 제2캠홈(46B)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상태가 되나, 제1잠금핀(25A)의 선단이 측면(42f)에 맞붙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은 제1 및 제2캠홈(46A,46B)으로 들어갈 수 없고, 좀더 화살표방향으로 전진하여 제9b도에 나타낸 제1 및 제2캠홈(46A,46B)의 입구부분까지 전진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이 제1 및 제2캠홈(46A,46B)의 입구부분까지 전진하면 코일스프링(31)의 탄지력에 의해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이 제1 및 제2캠홈(46A,46B)내로 들어가므로, 뚜껑(i)을 회동시키는 누름력을 해제하면 뚜껑(i)이 댐퍼장치(D)의 탄지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이 제1 및 제2캠홈(46A,46B)에서 안내됨과 아울러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이 제1 및 제2장벽(47A,47B)에 맞붙게 되므로써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이 제1 및 제2캠홈(46A,46B)의 측벽에 맞붙어서 제9c도에 나타낸 잠금상태가 되며 뚜껑(i)은 제8b도에 나타낸 닫힘상태를 유지한다.
제8b도에 나타낸 닫힘상태의 뚜껑(i)을 개방시키기 위해 댐퍼장치(D)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뚜껑(i)을 압입하며 회동시키고 제9d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이 제1 및 제2장벽(47A,47B)에 맞붙지 않게되면,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은 코일스프링(31)의 탄지력에 의해 제1 및 제2장벽(47A,47B)의 옆을 관통하여 제9d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즉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이 제1 및 제2캠홈(46A,46B)의 측벽에 맞붙는 위치까지 전진하므로써 잠금해제상태가 된다.
이 잠금해제상태에서 뚜껑(i)에 대한 누름력을 해제하면 뚜껑(i)이 댐퍼장치(D)의 탄지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고, 제9e도에 실선 및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이 제1 및 제2캠홈(46A,46B)의 측벽에서 안내되므로써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은 제1 및 제2장벽(47A,47B)의 옆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장벽(47A,47B)에 맞붙는 상태가 된다.
이런 후, 제9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잠금핀(25A,25B)의 선단은 제1 및 제2캠홈(46A,46B)의 측벽에서 안내되고, 코일스프링(3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1 및 제2캠홈(46A,46B)에서 나와 측면(42f)에서 안내되어 제9a도에 나타낸 상태가 되므로써 뚜껑(i)은 제8a도에 나타낸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잠금핀(25A)의 선단이 제1캠홈(46A)의 측벽에서 안내되어 제1캠홈(46A)에서 나올 때는, 제1잠금핀(25A)이 탄성편(2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편(23)이 휘는 것에 의해 제6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잠금핀(25A)은 제1캠홈(46A)의 출구부분을 관통할 수 있고, 제1캠홈(46A)의 출구부분을 넘어선 후에는 탄성편(23)의 탄성에 의해 측면(42f)에 맞붙는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리브(21)와 이 슬리브(21)내에 들어가는 캠축(41)과의 사이에 래치기구를 형성했기 때문에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등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하우징(11), 캠축(41)을 부착할 수 있으면 되며 잠금핀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다른 노력 없이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잠금상태에서의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과 제1 및 제2장벽(47A,47B)이 수행하고 있으므로, 확실한 작동과 아울러 잠금해제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축대칭으로 제1 및 제2잠금핀(25A,25B),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 제1 및 제2캠홈(46A,46B), 제1 및 제2장벽(47A,47B)을 배치하여 래치기구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편하중이 걸리지 않으며, 또한 일측의 조를 메인잠금용으로 하고 타측의 조를 보조잠금용으로 하므로써 잠금 및 잠금해제가 확실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캠축(41)을 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였기 때문에 조립한 상태에서 처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루기 쉬움과 동시에 부착 또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1)에 탄성편(23)을 수용하는 개구(18)를 형성하였지만 변위하는 탄성편(23)을 수용할 수 있으면 되므로 오목부라도 좋다. 또한, 슬리브(21)에 제1 및 제2잠금핀(25A,25B), 제1 및 제2맞붙임벽(26A,26B)을 형성하고, 캠축(41)에 제1 및 제2캠홈(46A,46B), 제1 및 제2장벽(47A,47B)을 형성하였는데, 슬리브에 제1 및 제2잠금핀, 제1 및 제2맞붙임벽을 형성하고 캠축에 제1 및 제2캠홈, 제1 및 제2장벽을 형성하여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잠금핀(25A), 제1맞붙임벽(26A), 제1캠홈(46A) 및 제1장벽(47A)으로 제1래치기구를 구성하고, 제2잠금핀(25B), 제2맞붙임벽(26B), 제2캠홈(46B) 및 제2장벽(47B)으로 제2래치기구를 구성하여 전체적인 래치기구로 하였지만 제1래치기구만이더라도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3개 이상의 래치기구로 전체적인 래치기구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1캠홈(46A)의 바닥을 출구 바로 앞쪽에서부터 경사지게 하여 제2원기둥부(42B)의 둘레면까지 상승시켰는데, 제1캠홈(46A)의 출구부분으로 제1잠금핀(25A)이 진입할 수 없는 높이이면 된다. 또한, 제1및 제2캠홈(46A,46B)을 입구 및 출구가 있는 'C'자 형상으로 하였지만, 하트형과 같이 무단(無端)형상으로 연결된 캠홈이어도 된다. 또한, 댐퍼장치(D)에서 슬리브(21)와 캠축(41)을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켰는데, 다른 회전탄지부재로 슬리브(21)와 캠축(41)을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와 이 슬리브 내에 들어가는 축체와의 사이에 래치기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등 사용장소에 제약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하우징, 축체를 부착할 수 있으면 되며, 잠금핀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다른 노력 없이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잠금상태에서의 스토퍼의 기능을 제1 및 제2맞붙임벽과 제1 및 제2장벽으로 수행하고 있으므로 확실한 작동과 아울러 잠금해제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잠금핀, 제1 및 제2맞붙임벽, 제1 및 제2캠홈, 제1 및 제2장벽으로 래치기구를 구성하였으므로 편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일측의 조를 메인잠금용으로 하고 타측의 조를 보조잠금용으로 하므로써 잠금 및 잠금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수용오목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반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탄성편을 가지는 슬리브와, 상기 수용오목부에 수용되며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용오목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수용오목부를 닫은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슬리브내로 삽입되며 회전 가능한 축체와, 이 축체와 상기 슬리브를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탄지부재와, 상기 탄성편의 변위단측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잠금핀, 상기 슬리브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맞붙임벽, 상기 축체의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핀의 선단이 타고 따라가는 제1캠홈, 및 상기 제1맞붙임벽이 맞붙는 제1장벽으로 이루어지는 래치기구를 구비하는 축래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리브와 상기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양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제1잠금핀이 상기 제1캠홈의 측벽에 맞붙음과 아울러 상기 제1맞붙임벽이 상기 제1장벽에 맞붙는 것에 의해 잠금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맞붙임벽이 상기 제1장벽과 비맞붙인 상태로 되면, 상기 양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제1맞붙임벽이 상기 제1장벽의 옆을 관통하여 잠금해제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래치장치.
  3. 수용오목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탄성편을 가지는 슬리브와, 상기 수용오목부에 수용되며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용오목부로 부터 돌출시키도록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수용오목부를 닫은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슬리브내로 삽입되며 회전 가능한 축체와, 상기 탄성편의 변위단측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잠금핀, 상기 슬리브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1맞붙임벽, 상기 축체의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핀의 선단이 타고 따라가는 제1캠홈, 및 상기 제1맞붙임벽이 맞붙는 제1장벽으로 이루어지는 래치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와 상기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제1맞붙임벽이 상기 제1장벽에 맞붙고 상기 제1잠금핀이 상기 제1캠홈의 측벽에 맞붙는 것에 의해 잠금상태로 되며, 또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맞붙임벽이 상기 제1장벽과 비맞붙임상태가 되면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제1맞붙임벽이 상기 제1장벽의 옆을 관통하여 잠금해제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래치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구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제2잠금핀 및 제2맞붙임벽, 상기 축체의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핀의 선단이 타고 따라가는 제2캠홈, 및 상기 제2맞붙임벽이 맞붙는 제2장벽을 가지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제2맞붙임벽이 상기 제2장벽에 맞붙고 상기 제2잠금핀이 상기 제2캠홈의 측벽에 맞붙는 것에 의해 잠금상태로 되며, 또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축체를 상대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2맞붙임벽이 상기 제2장벽과 비맞붙임상태로 되면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제2맞붙임벽이 상기 제2장벽의 옆을 관통하여 잠금해제상태로 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래치장치.
KR1019960035083A 1996-02-21 1996-08-23 축래치장치 KR0158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704196A JP3618161B2 (ja) 1996-02-21 1996-02-21 軸ラッチ装置
JP96-57041 1996-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241A KR970062241A (ko) 1997-09-12
KR0158994B1 true KR0158994B1 (ko) 1999-01-15

Family

ID=1304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083A KR0158994B1 (ko) 1996-02-21 1996-08-23 축래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18161B2 (ko)
KR (1) KR0158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495B2 (ja) * 2001-06-19 2010-03-24 株式会社ニフコ 回動装置
CN106274452B (zh) * 2015-05-20 2019-01-04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开关装置及其使用方法
US11952812B2 (en) * 2019-06-20 2024-04-09 Nikolaos Zafeirakis Contact-minimiz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CA3151144A1 (en) * 2019-09-23 2021-04-01 Oscar Romero Lockset for interior sliding door
WO2023223361A1 (en) * 2022-05-20 2023-11-23 Aryabhatta Motors Private Limited A multi-purpose self-latch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28715A (ja) 1997-09-02
JP3618161B2 (ja) 2005-02-09
KR970062241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602B2 (en) Flush mounted latch
US9074389B2 (en) Lock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member
KR20080025352A (ko) 2진 코드식 키 및 내템퍼링성 래치
KR20030094092A (ko) 사이드 록크 장치
JPH0237990Y2 (ko)
JP2009520137A (ja) 緊急用キーを位置決めし、保持するための装置
KR950013359B1 (ko)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0158994B1 (ko) 축래치장치
US4193276A (en) Lock for railroad switch
JP2001098805A (ja) シリンダ錠
US5349835A (en) Cylindrical lock
KR101805053B1 (ko) 레버형 손잡이
KR200393089Y1 (ko)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JPH09235921A (ja) 可変コード型シリンダ錠
KR20200142334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H10131554A (ja) ドア錠
KR200319587Y1 (ko) 냉장고 도어용 록킹장치
JPH0544457Y2 (ko)
JP3058343U (ja) シャックル錠
JPH1096351A (ja) 揺動式施錠装置
JP2020157913A (ja) 固定具
KR940006486Y1 (ko) 도어 록(door lock)
CN115467590A (zh) 工具箱锁具结构和工具箱
KR20240046945A (ko) 푸쉬래치
JP3058132U (ja) シャックル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