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089Y1 -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 Google Patents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089Y1
KR200393089Y1 KR20-2005-0015322U KR20050015322U KR200393089Y1 KR 200393089 Y1 KR200393089 Y1 KR 200393089Y1 KR 20050015322 U KR20050015322 U KR 20050015322U KR 200393089 Y1 KR200393089 Y1 KR 200393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door lock
rotary tube
ke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화테크
Priority to KR20-2005-0015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의 외부에서는 열쇠(key)로만 잠그거나 열 수 있고, 내부에서는 외부에서의 잠금상태와 관련없이 도어록의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항상 출입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된 교실(classroom)용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쇠를 이용한 잠금 또는 해정과정에서 열쇠를 90도 왕복 회전하는 것만으로 잠금과 열림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잠금과 열림을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구성의 요지로는 키뭉치(20)의 키레버(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체(40)의 내부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각 45도 각도로 벌어진 형태의 캠요부(41)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작동체(50)의 후단에는 상기 캠요부(41)와 일치하는 형태로 캠돌부(5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classroom door lock}
본 고안은 출입문의 외부에서는 열쇠(key)로만 잠그거나 열 수 있고, 내부에서는 외부에서의 잠금상태와 관련없이 도어록의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항상 출입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된 교실(classroom)용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쇠를 이용한 잠금 또는 해정과정에서 열쇠를 90도 왕복 회전하는 것만으로 잠금과 열림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잠금과 열림을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실용 도어록은 출입문의 외부에서 열쇠(key)를 이용하여 잠금할 때는 열쇠를 삽입한 후 360도를 회전시켜야 잠금작용이 이루어지고, 또한 열림상태로 되게 하려면 잠금시의 반대방향으로 360도 회전시켜야 만이 열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열쇠를 빼낼 수 있었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종래의 교실용 도어록에서는 잠금을 위하여 열쇠를 삽입한 후 키뭉치를 회전시켜 외부측 손잡이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관체와 작동체의 결합구조를 나선형 방식으로 채택하였기 때문인데, 좀 더 구체적으로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체와, 회전관체에 접촉하여 회전관체에 의해 이동하면서 외부측 손잡이의 작동을 방지하는 작동체가 서로간에 부드럽고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완만한 곡선을 이용한 나선형 방식으로 결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교실(classroom)용 도어록에서는 잠그거나 열기 위해서 열쇠를 꽂아 반드시 360도를 회전시켜야 하는 등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회전관체와 작동체를 나선형 결합구조 방식의 복잡한 구성으로 구비하는데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도어록의 원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며, 아울러 고장이 잦은 문제도 중요한 해결과제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키뭉치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외부측 손잡이의 회전을 단속하는 작동편이 완전한 잠금상태 또는 해정상태가 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원가가 절감됨과 동시에 고장이 없는 교실용 도어록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록의 출입문 내부측에 설치되는 키뭉치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관체의 내부에 '>'형으로 된 캠요부를 구성하고, 이러한 회전체와 밀착되어 작동하는 작동체의 선단에도 역시 '>'형으로 된 캠돌부를 구성하여 회전체의 90도 회전만으로 작동편이 최대한 이동 가능토록 함으로써 그에 따라 작동편이 걸림과 해제작용을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열린상태 조립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잠긴상태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교실용 도어록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는데, 출입문의 외부측 스핀들(10) 내부에 설치되는 키뭉치(20)의 작용에 따라 작동편(60)이 이동하면서 외부측 스핀들(10)이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측 스핀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키뭉치(20)의 키레버(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체(40)의 내부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 45도 각도로 벌어진 형태의 캠요부(41)를 형성하였고, 이에 대응하는 작동체(50)의 후단에는 상기 캠요부(41)와 일치하는 형태로 캠돌부(5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50)의 측면에는 스핀들(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홈(11)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52)를 형성하여 회전관체(40)의 작용에 의해 이동할 때 회전은 방지하면서 길이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작동체(50)에는 상기 가이드돌부(52)와 더불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53)을 구성하였고, 회전관체(40)의 일 측면에는 개방된 개방부(42)를 구성하여 회전관체(40)가 작동체(50)와 조립되어 작동시 90도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가능토록 구성하였다.
상기 작동체(50)의 작용에 의해 밀려나면서 해정작용을 하거나 스프링(61)의 힘으로 전진하면서 잠금작용을 하는 작동편(60)은, 선단이 작동체(50)의 가이드구멍(54)에 삽입된 상태이면서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부(62) 선단에 걸림부(62')를 구성하여, 작동편(60)이 회전관체(40) 방향으로 전진하여 잠금상태가 되면 걸림부(62')가 스핀들(10)의 개구홈(11) 끝단 및 지지판(15)의 지지홈(16)에 동시에 삽입되므로 스핀들(1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관체(40')의 선단에 캠요부(41')를 구성하고, 작동체(50')에는 캠돌부(51')를 구성하되 작동체(50')를 관체형으로 구성하여 회전관체(40')를 감싸도록 하면서 작동체(50)에 개방부(52')를 구성하고 회전관체(40')에 단턱(43')을 구성한 것을 보여준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70은 래치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고안의 교실용 도어록은 개방된 상태를 도 4 및 도 5에서 살펴보면, 작동체(50)는 회전관체(40)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된 상태가 되는데, 작동체(50)의 캠돌부(51)가 회전관체(40)의 캠요부(41)에 안착되지 아니하고 캠요부(41)의 제일 돌출된 끝단부분까지 최대한 멀리 밀려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작동체(50)에 의해 작동편(60)이 밀려난 상태가 되므로 작동편(60)의 지지부(62)는 스핀들(10)의 개구홈(11) 및 지지편(15)의 지지홈(16)과 이격된 상태가 되는데, 따라서 스핀들(10)이 회전하는데 장애를 받지 아니하므로 외부측손잡이(2)를 회전시키면 스핀들(10)이 회전하고 스핀들(10)에 의해 래치(70)를 작동하여 출입문을 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입문의 외부측에서 키(3;key)를 이용하여 잠그는 상태를 보면, 키(3;key)를 키뭉치(20)에 꽂아 회전시키면 키뭉치(20)의 키레버(21)가 회전을 하면서 회전관체(40)를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관체(40)의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관체(40)의 캠요부(41)와 작동체(50)의 캠돌부(51)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면서 캠돌부(51)가 캠요부(4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작동편(60)이 회전관체(40) 방향으로 밀려들어오게 된다.(도 6 참조)
이러한 작용은 작동편(60)이 스프링(61)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이며, 회전관체(40)의 캠요부(41) 끝단이 캠돌부(51)를 받치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61)의 힘으로 작동편(60)이 작동체(50)를 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작동편(60)의 걸림부(62')가 스핀들(10)의 개구홈(11)과 지지판(15)의 지지홈(16)에 동시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손잡이(2)를 회전시키려고 할 경우 작동편(60)의 걸림부(62')가 스핀들(10)과 지지판(15)을 동시에 잡고 있어서 스핀들(10)이 회전하지 못하므로 출입문을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다시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키(3)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키뭉치(20)의 키레버(21)가 회전하여 회전관체(40)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캠요부(41)와 캠돌부(51)가 마찰되면서 캠요부(41)가 캠돌부(51)를 밀어내는 작용을 하므로 작동체(50)가 밀려나서 캠돌부(51)가 캠요부(41)의 제일 끝단에 걸리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의 작용에서 작동체(50)가 회전하지 않고 일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작동체(50)의 외면에 구성한 가이드돌부(52)가 스핀들(10)의 개구홈(11)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직선으로만 움직이는 것이며, 작동체(50)에는 단턱(53)이 형성되고, 회전관체(40)에는 일정 각도만큼 개방부(42)가 구성되므로 회전관체(40)가 불필요하게 큰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90도의 작동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8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관체(40')와 작동체(50') 간의 서로 감싸는 구성을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것인데, 회전관체(40')의 회전에 의해 캠돌부(41')가 캠요부(51')와 마찰되면서 작동체(50')를 밀어 올리게 되는 작용은 등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고, 회전관체의(40)의 회전정도를 단속하는 개방부(52')와 단턱(43')은 서로 반대위치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키뭉치(2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체(40)의 크기가 작아 안정적인 작동을 이룰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체와 작동체에 구성한 90도 각도의 캠요부 및 캠돌부에 의해 회전관체가 90도만 회전하여도 작동체가 부드럽게 필요한 거리를 이동하여 작동편이 스핀들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자유롭게 해제하게 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교실용 도어록이 요구하는 작용을 구비할 수 있게 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도어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시의 작동 또한 열쇠를 90도 각도를 왕복하는 것만으로 잠금과 해정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열린상태 조립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잠긴상태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 작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도어록의 외부측손잡이 3: 키
10: 스핀들 11: 개구홈
15: 지지판 16: 지지홈
20: 키뭉치 21: 키레버
40: 회전관체 41: 캠요부
42: 개방부 50: 작동체
51: 캠돌부 52: 가이드돌부
53: 단턱 54: 가이드구멍
60: 작동편 61: 스프링
62: 지지부 62': 걸림부

Claims (3)

  1. 출입문의 외부측 스핀들(10) 내부에 설치되는 키뭉치(20)의 작용에 따라 작동편(60)이 이동하면서 외부측 스핀들(10)이 회전가능하거나 또는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교실용 도어록에 있어서,
    키뭉치(20)의 키레버(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체(40)의 내부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각 45도 각도로 벌어진 형태의 캠요부(41)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작동체(50)의 후단에는 상기 캠요부(41)와 일치하는 형태로 캠돌부(51)를 형성하며,
    작동편(60)은, 선단이 작동체(50)의 가이드구멍(54)에 삽입된 상태이면서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부(62) 선단에 걸림부(62')를 구성하여, 작동편(60)이 회전관체(40) 방향으로 전진하여 잠금상태가 되면 걸림부(62')가 스핀들(10)의 개구홈(11) 끝단 및 지지판(15)의 지지홈(16)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체(50)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단턱(53)을 구성하고, 회전관체(40)의 측면에는 일정 각도로 개방된 개방부(42)를 구성하여 회전관체(40)가 개방부(42)의 90도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회전관체(40')의 선단에 캠요부(41')를 구성하고, 작동체(50')에는 캠돌부(51')를 구성하되 작동체(50')를 관체형으로 구성하여 회전관체(40')를 감싸도록 하면서 작동체(50)에 개방부(52')를 구성하고 회전관체(40')에 단턱(43')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KR20-2005-0015322U 2005-05-30 2005-05-30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KR200393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22U KR200393089Y1 (ko) 2005-05-30 2005-05-30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22U KR200393089Y1 (ko) 2005-05-30 2005-05-30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089Y1 true KR200393089Y1 (ko) 2005-08-17

Family

ID=4369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322U KR200393089Y1 (ko) 2005-05-30 2005-05-30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0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57B1 (ko) * 2013-05-15 2014-11-12 주식회사 정화테크 교실용 도어록
KR20210101495A (ko)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정화테크 안전기능을 강화한 교실용 도어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57B1 (ko) * 2013-05-15 2014-11-12 주식회사 정화테크 교실용 도어록
KR20210101495A (ko)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정화테크 안전기능을 강화한 교실용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3689B2 (en) Flush mounted latch
US6351976B1 (en) Door lock assembly
RU2728397C2 (ru) Ручка для универсальной сборки
JP2009215740A (ja) 開閉ロック装置
KR100297034B1 (ko) 잠금장치
US20040144143A1 (en) Lock engaging-and-disengaging mechanism
KR200393089Y1 (ko)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KR101805053B1 (ko) 레버형 손잡이
JP2003013647A (ja) 収納体のサイドロック装置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941662B1 (ko)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JP5921455B2 (ja) ラッチ装置
JP3842065B2 (ja) ドア開閉用錠付ハンドル装置
JP5296576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JP4550637B2 (ja) サムターン装置
JP2006288487A (ja) キー変換式錠
JP3791984B2 (ja) ドア錠
JPH102134A (ja) シリンダー錠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0319587Y1 (ko) 냉장고 도어용 록킹장치
KR101517160B1 (ko) 스핀식 래치를 구비한 래치볼트
JP2003035059A (ja) ドア、引き戸用面付鎌錠
JP2007332672A (ja) 扉錠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JP6121880B2 (ja) キー変換式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