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458A - 푸시·풀 자물쇠 - Google Patents

푸시·풀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458A
KR20050115458A KR1020040040210A KR20040040210A KR20050115458A KR 20050115458 A KR20050115458 A KR 20050115458A KR 1020040040210 A KR1020040040210 A KR 1020040040210A KR 20040040210 A KR20040040210 A KR 20040040210A KR 20050115458 A KR20050115458 A KR 20050115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ush
pull
latch
sli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노시타다쿠오
Original Assignee
미와 로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와 로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와 로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4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458A/ko
Publication of KR2005011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유저가 푸시·풀 사양과, 편면적 사양(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
조작핸들을 풀 또는 푸시하면, 자물쇠박스내에 축지지되고 또한 래치를 걸림고정하고 있는 래치 잠금편이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를 구비한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지지부에 스토퍼부를 가지는 회전운동버튼을 설치하고, 한편, 조작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하는 가압편을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창구멍을 통해 자물쇠박스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며, 이 가압편과 상기 회전운동버튼에 관련되게 제 1 미끄럼운동체와 제 2 미끄럼운동체를 자물쇠박스내에 수평이동자유롭게 설치하여, 회전운동버튼을 소정량 회전운동하면 제 2 미끄럼운동체의 전진이 저지되는 것에 의하여, 본래의 푸시·풀 사양에서 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이라고 하는 편면적 사양 형태로 전환되는 것.

Description

푸시·풀 자물쇠{PUSH-PULL LOCK}
본 발명은 푸시·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을 닫을 때 내외의 조작핸들을 풀 또는 푸시하면, 래치의 걸어멈춤해제기구에 의해 래치용 잠금편이 로크해제방향으로 회전하는 푸시·풀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래치, 문을 닫을 때에 있어서 래치용 잠금편, 잠금편용 걸림고정해제기구를 구비한 푸시·풀 자물쇠는, 일본국 특허청에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11-50707호 공보).
그런데, 현재 유저로부터 건물의 문 설치 장소를 고려하여, 푸시·풀 사양(仕樣)과, 편면적 사양(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푸시·풀 자물쇠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지만, 이 요구를 채울 수 있는 푸시·풀 자물쇠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유저가 문 설치 장소를 고려하여, 푸시·풀 사양과, 편면적 사양(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푸시·풀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 목적은, 자물쇠박스의 앞판에서 보이는 회전운동버튼(40,40A)을 소정량 회전운동시키는 정도의 조작으로, 예컨대 푸시·풀 사양에서 편면적 사양으로, 또는 편면적 사양에서 본래의 푸시·풀 사양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 목적은, 자물쇠박스내에 제 1 미끄럼운동체와 제 2 미끄럼운동체를 합리적으로 조립하는 것이다. 제 4 목적은, 가압편에 의해 미끄럼운동체가 수평이동할 때에 래치용 잠금편이나 작동레버가 원활하게 작동하는 것이다. 제 5 목적은, 부품수(예컨대 스프링, 받침편등)를 줄이는 것이다. 제 6 목적은, 회전운동버튼(40)을 조작할 때에 클릭감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의 목적으로서, 자물쇠박스내에 섬턴(thumb-turn) 자물쇠의 오잠금 방지장치(Y)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푸시·풀 자물쇠는, 조작핸들을 풀 또는 푸시하면, 자물쇠박스내에 축지지되고 또한 래치를 걸림고정하고 있는 래치 잠금편이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를 구비한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지지부에 스토퍼부를 가지는 회전운동버튼(40)을 설치하고, 한편,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하는 가압편을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창구멍을 통해 자물쇠박스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며, 이 가압편과 상기 회전운동버튼에 관련되게 제 1 미끄럼운동체와 제 2 미끄럼운동체를 자물쇠박스내에 수평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운동버튼을 소정량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제 2 미끄럼운동체의 전진이 상기 스토퍼부에 저지되는 것에 의하여, 본래의 푸시·풀 사양으로부터 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과 같은 편면적 사양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미끄럼운동체(46)는, 후방벽(46c)의 내벽면이 가압편에 의해서 자물쇠박스의 후방벽 방향으로 눌려지는 바깥틀형상의 슬라이드편이고, 한편, 제 2 미끄럼운동체는 상기 가압편에 의해서 자물쇠박스의 앞판을 향하여 눌려지는 안틀형상의 슬라이드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풀 자물쇠는, 회전운동버튼(40)의 스토퍼부(42)가, 둘레몸통부(41)의 둘레벽에 날개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풀 자물쇠는, 조작핸들을 풀 또는 푸시하면, 자물쇠박스내에 축지지되고 또한 래치를 걸어멈춤하고 있는 래치 잠금편이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래치의 걸어멈춤해제기구를 구비한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지지부에 스토퍼부를 가지는 회전운동버튼을 설치하고, 또한 자물쇠박스에 상기 회전운동버튼에 접촉하는 클릭스프링을, 스프링지지수단을 통해 설치하며, 한편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에 의해서 이동하는 가압편을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창구멍을 통해 자물쇠박스의 내부공간에 배치하고, 이 가압편과 상기 회전운동버튼에 관련되게 제 1 미끄럼운동체와 제 2 미끄럼운동체를 자물쇠박스내에 수평운동자유롭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운동버튼을 소정량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제 2 미끄럼운동체의 전진이 상기 스토퍼부에 저지되는 것에 의하여, 본래의 푸시·풀 사양에서 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과 같은 편면적 사양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운동버튼(40A)의 스토퍼부(42A)는, 둘레몸통부 (41A)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래치용 잠금편 (60A)은 작동레버(55A)에 연동하도록 가동돌기축(86) 및 걸어맞춤장공(87)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환경부재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면부호 1은 침실, 화장실등의 출입구 문틀, 2는 스트라이크(strike)를 가지는 받침브라켓, 3은 문틀의 가장자리(직접적으로는 스트라이크도 포함된다), 4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예컨대 실내문), 5는 실내 문(4)의 끝에 설치된 자물쇠,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풀 자물쇠(5)이다.
푸시·풀 자물쇠(5)의 자물쇠박스(6)에는, 앞판(7)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운동버튼을 회전운동 조작하면,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의 래치 잠금편의 해제형태가 푸시·풀 사양 또는 풀 사양중 어느 한 쪽으로 전환되는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X)와, 문을 열 때에 부주의에 의해 래치를 잠금상태로 문을 닫을 때에 래치의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잠금해제 상태가 되는 섬턴 자물쇠의 오잠금 방지장치(Y)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서 「섬턴 자물쇠」를 주택내부에 있어서의 핸들 자물쇠 잠금장치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회전운동」의 용어는, 원칙으로 축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요동하는 원운동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지만, 예외적으로 회전운동버튼은, 요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1회 이상 회전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자물쇠박스(6)의 구성을 설명한다. 자물쇠박스(6)는, 케이스몸체(6a)와, 이 케이스몸체(6a)의 일측 개구를 폐쇄하는 사각형상의 케이스뚜껑(6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몸체(6a)는 앞판(7)을 가진다. 여기서,「앞판(7)」이란, 긴 판상의 부착앞판(7a) 또는/및 프론트(7b)를 의미한다. 부착앞판(7a)과 프론트(7b)가 별개체인 경우에는, 양자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구를 통해 합체한다.
도면부호 8은 앞판(7)의 중앙부에 형성한 개구창(9)을 기준으로 하여 케이스몸체(6a)에 형성된 격벽형상의 래치틀부이고, 이 래치틀부(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단면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래치틀부(8)를 간단히 설명한다. 8a는 상부벽, 8b는 하부벽, 8c는 상,하부벽에 교차하는 후벽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벽(8a)에는 래치의 걸림고정 해제기구(X)를 구성하는 제 1 잠금편용의 제 1 안내구멍(10)이 형성되고, 한편, 이 제 1 안내구멍(10)에 대향하는 상기 하부벽(8b)에는, 섬턴 자물쇠의 오잠금 방지장치(Y)를 구성하는 제 2 잠금편용의 제 2 안내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안내구멍(10,11)은,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창(9)측에서 상기 후벽 (8c)을 향해 형성된 수평으로 긴 구멍이다. 또한 래치틀부(8)의 후벽(8c)의 일측벽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몸체(6a)의 폭이 넓은 쪽 측벽]에는, 상하방향의 일부(예컨대 중앙부)에 작동간용 절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14는 앞판(7)의 상부측에 형성된 회전운동버튼용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끼워맞춤구멍이고, 이 끼워맞춤구멍(14)의 후방에는, 앞판(7)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상태의 받침편(1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자물쇠박스(6)에는 자물쇠박스내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미끄럼운동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적정장소에 임의형상의 수평안내부(예컨대 긴 수평구멍, 수평홈등)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안내부에 관해서 설명하면, 16은 상기 받침편(15)을 기준으로 상하에 설치된 제 1 미끄럼운동체용의 윗쪽수평안내부, 한편, 17은 자물쇠박스(6)의 아래쪽 구석에 형성된 섬턴 회전통용 축구멍(18)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및 옵셋상태로 설치된 릴리스 슬라이더(79)용의 아래쪽 수평안내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물쇠는, 푸시·풀 자물쇠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물쇠박스(6)의 상부측 [예컨대 섬턴 회전통용 축구멍(18)의 바로 위]에는, 조작핸들에 연동하는 가압편용의 사각형상 창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자물쇠박스(6)에는 조립되는 각 부재를 요동시키기 위한 고정축이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고정축을 윗쪽으로부터 번호순으로 설명하면, 21은 래치틀부(8)의 후벽(8c)의 상부 부근에 설치된 제 1 고정축, 22는 케이스몸체(6a)의 후벽의 중앙부 부근에 설치된 제 2 고정축, 23은 래치틀부(8)의 후벽(8c)의 하부 부근에 설치된 제 3 고정축, 24는 래치틀부(8)의 하부벽의 후측 부근에 설치된 제 4 고정축, 그리고 25는 자물쇠박스의 저벽 중앙부에 설치된 제 5 고정축이다.
자물쇠박스(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운동버튼용 끼워맞춤구멍(14), 이 끼워맞춤구멍에 위치하는 받침편(15), 각 미끄럼운동체를 안내하는 수평안내부 (16,17), 섬턴 회전통용 축구멍(18), 내외의 조작핸들측 가압편용 창구멍(20), 각 미끄럼운동부재용의 복수개의 고정축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관계없는 부분(예컨대 고정구용 나사부등)은 생략되어 있다.
다음에 자물쇠박스에 조립되는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30은 앞판(7)의 프론트(7b)를 기준으로 진퇴운동하는 래치이다. 래치(3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받침브라켓(2)의 스트라이크와 걸어맞춤 한다. 여기서의 래치(30)는, 자물쇠박스(6)의 내부로 그대로 스트레이트로 후퇴하는 것(보통 일반적으로, 「래치」로 불리우고 있다.), 다소 소정각도까지 수평회전하면서 후퇴하는 것(「반전 래치」로 불리우고 있다.)에 관계없이, 문틀(1)측에 돌출하여 받침브라켓(2)에 대하여 걸어맞춤하는 것은 모두 포함된다.
래치(30)의 일례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로서는 반전 래치가 채용되어 있다(반전 래치에 관해서는, 그 일례가 일본 특허공고 평2-55591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래치(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30a는 문틀의 가장자리 내지 스트라이크의 개구가장자리와 미끄럼접촉하는 수직상태의 접촉면 이다. 30b,30b는 래치(30)의 상하면에서 각각 볼록편형상으로 돌출하는 돌기부이고, 이들의 볼록편형상 돌기(30b,30b)는 래치의 회전축으로서의 기능, 후술하는 상하의 잠금편과 각각 걸어맞춤하는 기능을 가진다. 30c,30c는 래치의 뒤끝단부이고, 이 뒤끝단부(30c,30c)에는 래치스프링의 일끝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끝단 수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32는 래치의 작동간(33)의 단면 L형상 앞끝단부(34)에 일끝단부(32a)가 눌려 접촉하고, 한편, 다른 끝단부(32b)가 래치틀부(8)의 후벽(8c) 내면에 눌려 접촉하는 래치스프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래치스프링(32)의 상기 일끝단부(32a)가 작동간(33)의 앞끝단부(34)와 함께 래치(30)의 스프링끝단 수납부(31)에 조립되며, 래치(30)를 항상 돌출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작동간(33)에 대하여 설명한다. 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간(32)의 L형상 앞끝단부이고, 이 앞끝단부(34)는, 래치(30)의 스프링끝단 수납부(31)의 내벽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립되고, 또한, 래치스프링(32)의 스프링력에 의해 해당 내벽면에 눌려 접촉한다. 작동간(33)의 형태에 관해서는 임의로 설계변경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스프링(32)의 일끝단부(32a)를 받치는 스프링끝단 지지벽(34a)을 가지는 앞끝단부(34)와, 상기 지지벽(34a)과 교차하는 앞끝단부 일측벽(34b)에 단차형상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전술한 래치틀부(8)의 절결부(12)에 안내되는 미끄럼운동벽(35)과, 이 미끄럼운동벽(35)에 연이어 형성되는 뒤끝단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끝단 지지벽(34a)의 내벽면과 뒤끝단부의 앞벽면 사이에는, 래치(30)와 래치틀부(8)의 위치를 고려하여 래치스프링(32)을 조립할 수 있는 스프링수납공간(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뒤끝단부(36)에는, 그 뒤벽면의 상단부 근방에서 저벽면을 향해 수직 내지 경사형상의 걸어맞춤면(37a)을 가지는 걸어맞춤 절결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X)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40은 앞판(7)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운동버튼이고, 이 회전운동버튼(40)을 약 90도 돌리면,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의 래치 잠금편의 해제형태가, 푸시·풀 사양 또는 풀 사양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된다. 그림 1 및 도 4를 참조하여 회전운동버튼(40)을 설명한다.
41은 둘레몸통부이고, 이 둘레몸통부(41)는 자물쇠박스(6)의 부착앞판(7a)의 내벽면과 받침편(15)의 공간부에 위치한다. 42는 둘레몸통부(41)의 바깥둘레벽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날개형상의 1 또는 2이상의 스토퍼부이고, 이 스토퍼부(42)는 회전운동버튼(40)의 회전위치 여하에 의하여 후술하는 제 2 미끄럼운동체의 전진을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 43은 둘레몸통부(41)의 앞면에 돌출 형성된 끼워맞춤돌기이고, 이 끼워맞춤돌기(43)는 앞판(7)의 끼워맞춤구멍(14)에 끼워맞춤한다. 끼워맞춤돌기(43)의 앞면은, 프론트(7b)의 앞면과 같은 면이고, 도시하지 않은 작은 드라이버용의 홈(43a)을 가진다. 44는 둘레몸통부(41)의 후면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부이고, 이 스프링지지부(44)는 작은돌기라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45는 스프링지지부(44)와 받침편(15) 사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이고, 이 가압스프링(45)은 둘레몸통부(41)의 앞면을 앞판(7)의 내벽면에 눌러붙임한다.
다음에 46,47은 자물쇠박스(6)의 윗쪽의 수납공간에 수평상태로 배치된 푸시·풀용 미끄럼운동체이다. 여기서는 바깥틀의 미끄럼운동체를 제 1 미끄럼운동체 (46), 한편, 바깥틀의 미끄럼운동체내에 조립된 틀형상의 미끄럼운동체를 제 2 미끄럼운동체(47)로 한다. 또한, 바깥쪽의 조작핸들에 연동하는 부재를 윗쪽의 가압편(48)으로 하고, 한편 내측의 조작핸들에 연동하는 부재를 아래 쪽의 가압편(49)으로 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바깥틀의 제 1 미끄럼운동체(46)와 내측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를 설명한다. 먼저 바깥틀의 제 1 미끄럼운동체(46)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걸어맞춤돌기를 통해 자물쇠박스(6)의 윗쪽수평안내부(16)에 수평운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46a는 상벽부, 46b는 하벽부, 46c는 상하벽부와 직교하는 후벽부, 46d는 후벽부에 대하여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대향하는 앞벽부이다. 상기 후벽부 (46c)의 내벽면은 전술한 상하의 가압편(48,49)을 받치는 받침판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벽부(46b)의 일부에는 요동레버용 절결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앞벽부(46d)는 미끄럼운동체용 가압스프링(52)의 일끝단부를 받치는 기능과 받침편(15)과 접촉하는 기능을 가진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앞벽부(46d)는 상하벽부(46a,46b)의 앞끝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몸체(6a)의 폭이 넓은쪽 벽측에는, 제 2 미끄럼운동체(47)의 이동을 허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내측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는, 가로길이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버튼(40) 및 상하의 가압편(48,49)에 각각 관련되어 바깥틀 제 1 미끄럼운동체(46)내에 수평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41a은 내측의 상벽부, 47b은 내측의 하벽부, 47c는 상하벽부 (47a, 47b)와 직교하는 내측의 후벽부, 47d는 후벽부와 대항하는 스프링받침용 격벽, 47e는 회전운동버튼(40)의 스토퍼부(42)와 관계하는 앞끝단부 이다.
상기 내측의 상하벽(47a,47b)의 앞끝단부 근방에는, 전술한 앞벽부(46d)에 대한 도피용 절결부(53)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내측의 하벽부(47b)의 일부에는, 요동레버용 절결부(51)와 마찬가지의 내측 절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받침용 격벽(47d)은 전술한 미끄럼운동체용 가압스프링(52)의 다른 끝단(후단)부를 받친다. 따라서, 미끄럼운동체용 가압스프링(52)은 제 1 및 제 2 미끄럼운동체(46,47)내에 조립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요동레버(55)에 대하여 설명한다. 앵글형상(역へ자 형상) 요동레버(55)는 제 2 고정축(22)에 축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고정축(22)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미끄럼운동체(46)에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부(56)는, 제 1 및 제 2 미끄럼운동체(46,47)의 각 절결부(51,54)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한편, 제 2 고정축(22)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연장설치부분에는 스프링받침부(57)가 형성되어 있다.
58은 제 2 고정축(22)에 중앙부가 감겨 장착된 요동레버(55)용 스프링이고, 이 요동레버(55)용 스프링(58)은 요동레버(55)의 아암부(56)가 항상 제 1 및 제 2 미끄럼운동체(46,47)의 각 절결부(51,54)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런데, 요동레버(55)의 아암부(56)의 앞끝단부에는 걸어맞춤돌기(56a)가 설치되고, 이 걸어맞춤돌기(56a)는, 다음에 설명하는 래치용 제 1 잠금편(60)의 상변부분과 항상 걸어맞춤하고 있다.
상기 제 1 잠금편(60)은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고정축(21)에 수평상태로 축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고정축(21)을 기준으로 하여 앞끝단부측에는, 래치틀부(8)의 제 1 삽입구멍(10)에서 넣어져 래치(30)의 돌기부(30b)와 걸림 및 해제하는 폭 넓은 제 1 걸어맞춤부(6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고정축(21)을 기준으로 하여 뒤끝단부측에는, 제 1 미끄럼운동체 (46)의 뒤끝단 하부와 접촉하는 경사형상의 제 2 걸어맞춤부(62)가 형성되어 있다. 63은 제 1 고정축(21)에 중앙부가 감겨 장착된 제 1 잠금편용 스프링이고, 이 제 1 잠금편용 스프링은, 상기 제 1 걸어맞춤부(61)가 래치(30)의 돌기부(30b)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한다.
그리고,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X)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앞판(7)의 앞에서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의 끝을 홈 (43a)에 꽂고, 회전운동버튼(40)을 회전운동조작하면,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의 래치 잠금편(60)의 해제상태가, 푸시·풀 사양 또는 풀 사양(또는 푸시 사양)중 어느 하나로 전환된다.
우선, 도 6은 회전운동버튼(40)의 날개형상 스토퍼부(42,42)가 수평상태의 경우, 해당 조작핸들(내외의 조작핸들 여하를 묻지 않는다)을「풀(당김조작)」또는「푸시(누름조작)」한 경우이다. 이 경우 푸시·풀 자물쇠는 본래의 의미에서의 푸시·풀 사양이다.
즉, 외측의 조작핸들이나, 또는 내측의 조작핸들이나, 손으로 해당 조작핸들을「풀」또는「푸시」하면, 제 1 미끄럼운동체(46)는 후퇴방향으로, 또는 제 2 미끄럼운동체(47)는 전진방향으로 각각 이동한다. 그 결과, 래치 잠금편(60)은 다이렉트로, 또는 요동레버(55)를 통해 걸어맞춤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요동)한다.
여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제 1 미끄럼운동체(46)가 풀용으로서 기능한 경우(풀용 미끄럼운동체), 한편, 제 2 미끄럼운동체(47)가 푸시용으로서 기능한 경우(푸시용 미끄럼운동체)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에 있어서, 회전운동버튼(40)의 날개형상 스토퍼부(42,42)가 수평상태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제 1 미끄럼운동체(46)가 풀용으로서 기능한 경우(풀용 미끄럼운동체), 한편, 제 2 미끄럼운동체(47)가 푸시용으로서 기능한 경우(푸시용 미끄럼운동체)를 그 작용의 일례로서 설명한다.
즉, 여기서는 바깥틀의 제 1 미끄럼운동체(46)(한쪽)를, 내외의 조작핸들을「풀(당김조작)」한 때에 수평이동하는 풀용 미끄럼운동체로 하고, 내측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다른쪽)를, 내외의 조작핸들을「푸시(누름조작)」한 때에 수평이동하는 푸시용 미끄럼운동체로 한다.
또한, 자물쇠박스(6)의 창구멍(20)으로부터는, 내외의 조작핸들의 작동아암을 통해 상하의 가압편(48,49)이 수평상태로 들어가 있지만,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위의 가압편(48)이 후퇴(자물쇠박스의 후벽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는「풀 시(時)」로 하고, 한편,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의 가압편(49)이 전진(자물쇠박스의 앞판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는「푸시 시(時)」로 한다.
이러한 전제로서, 예컨대 외측 조작핸들의 풀 시(혹은 내측 조작핸들의 풀 시)에는, 바깥틀의 제 1 미끄럼운동체(46)는 윗쪽의 가압편(48)에 눌리어 도 6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래치 잠금편(60)은 제 1 미끄럼운동체(46)의 후벽(46c) 하부에 눌리기 때문에, 제 1 고정축(21)을 지지점으로 스프링(6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걸어맞춤해제의 방향으로 다이렉트로 회전운동한다.
한편, 내측 조작핸들의 푸시 시에는, 이번은 내측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가 아래쪽의 가압편(49)에 눌려 도 6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래치 잠금편(60)은, 요동레버(55)가 그 스프링(5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요동)하게 되므로, 제 1 고정축(21)을 지지점으로 걸어맞춤해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도 6의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내측 조작핸들의 풀 시에는, 바깥틀의 제 1 미끄럼운동체(46)는 위쪽의 가압편(48)에 눌려 도 6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내외 조작핸들의 푸시 시에는, 내측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의 상하벽 (47a,47b)의 앞끝단부는, 회전운동버튼(40)의 날개형상 스토퍼부(42,42)의 상하로 각각 들어간다.
이것에 대하여, 도 7은 회전운동버튼(40)의 날개형상 스토퍼부(42,42)가 수직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의 래치 잠금편(60)의 해제형태가, 푸시·풀 사양에서 어느 한쪽의 사양(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으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외의 조작핸들의 풀 시에 상하의 가압편(48,49)이 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제조건의 경우에는, 푸시조작시, 내측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의 전진은, 회전운동버튼(40)의 날개형상 스토퍼부(42,42)에 저지되기 때문에, 푸시조작에서의 래치 잠금편(60)의 걸어맞춤해제는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풀 조작시, 외측의 제 1 미끄럼운동체(46)는 상하 어느 하나의 가압편 (48,49)에 의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래치 잠금편(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해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7의 사양은, 본래 푸시·풀 사양이 아니므로, 편면적 사양(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이라고 하는 것이 된다.
다음에 섬턴 자물쇠의 오잠금 방지장치(Y)(이하, 「오잠금 방지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 오잠금 방지장치(Y)는,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X)(독립항의 발명)에 대한 종속 발명이므로, 여기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오잠금 방지장치(Y)는, 자물쇠박스(6)의 래치틀부(8)를 기준으로,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X)를 설치한 반대측의 내부공간,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쪽 수납공간 (70)에 조립되어 있다. 오잠금 방지장치(Y)는, 문을 닫을 때에 제 2 래치용 잠금편 (71)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는 릴리스구성부재를 가진다.
도 1을 참조하여 오잠금 방지장치(Y)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71은 잠금시에 이 래치(30)의 이동(회전운동과 후퇴)을 저지하는 제 2 래치용 잠금편이고, 이 제 2 래치용 잠금편(71)은 제 4 고정축(24)에 축지지되고, 또한, 잠금편용의 스프링(72)의 스프링력에 의해, 래치의 걸어맞춤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한편, 73은 구동아암(74)을 가지는 섬턴회전통이고, 이 섬턴회전통(73)은 축구멍(18)에 회전운동자유롭게 끼워맞춤하고 있다. 75는 제 5 고정축(25)에 감아 장착된 회전통용 스프링이고, 이 스프링(75)은 섬턴 회전통(73)의 산형상 스프링받침부를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77이 전술한 작동간(33), 제 2 래치용 잠금편(71) 및 섬턴회전통 (73)에 각각 관련된 릴리스구성부재이다. 이 릴리스구성부재(77)는, 작동간(33)의 걸어맞춤절결부(37)의 걸어맞춤면(37a)에 앞끝단부의 걸어맞춤돌출부가 걸어맞춤하도록 제 3 고정축(23)에 축지지된 릴리스레버(78)와, 이 릴리스레버(78)의 하단부에 앞끝단부측이 걸어맞춤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슬라이더(79)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79)의 후단부에 형성한 수직안내장공에는, 섬턴회전통(73)의 구동아암(74)에 돌출형성한 걸어맞춤돌기가 걸어맞춤하고 있다.
그리고, 문(4)의 폐문시, 상기 래치(30)가 문틀(1)의 가장자리(3)에 접촉하여 후퇴하면, 릴리스구성부재(77)의 릴리스레버(78)가 제 3 고정축(23)을 지지점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이것에 연동하는 슬라이더(79)가 앞판(7)방향으로 미끄럼운동 한다.
그렇게 하면, 릴리스레버(78)의 뒤끝단부의 걸어맞춤돌기가 제 2 래치용 잠금편(71)의 호형상 뒤끝단부를 밀어 올리도록 슬라이드 걸어맞춤하고, 이에 따라 제 2 래치용 잠금편(71)은, 제 4 고정축(70)을 지지점으로 스프링(7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문을 열 때에 부주의에 의해 래치를 잠근 상태에서 문(4)을 닫은 때에, 래치의 잠금상태가 항상 자동적으로 잠금해제상태가 되므로, 소위 오잠금 방지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의 회전운동버튼(40)은, 자물쇠박스(6)의 앞판(7)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14)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지만, 끼워맞춤구멍(14)은 회전운동버튼용의 지지부의 일례이다.
따라서, 회전운동버튼(40)의 형태를 설계변경한 경우[예컨대 끼워맞춤돌기 (43)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물쇠박스(6)의 앞판(7)의 내벽면에 끼워맞춤구멍(14)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의 돌출벽을 형성하고, 이 고리형상 돌출벽내에 회전운동버튼(40)의 둘레몸통부(41)의 앞끝단부측을 끼워맞춤하여도 좋다. 요는 자물쇠박스(6)에 제 2 미끄럼운동체에 대한 전진을 거부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부재를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하면 좋다.
다음에, 이 란에서는, 도 8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이 제 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또는 마찬가지(기능이 동일)인 부분에는,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예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1)제 1 실시예의 회전운동버튼(40)의 형태를 일부 설계변경한 것. 즉,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회전운동버튼(40)의 둘레몸통부(41)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제 2 실시예의 회전운동버튼(40A)의 둘레몸통부(41A)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회전운동버튼(40)의 날개형상의 스토퍼부(42)는 원주형상 둘레몸통부(41)로부터 상하로 돌출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회전운동버튼(40A)의 스토퍼부(42A)는 상기 둘레몸통부(41A)의 이면에 돌출형성된 작은 동전형상의 돌기부인 점, 더욱이, 도 10 또는 도 11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작은 동전형상의 돌기부의 상하 측벽에는, 도 12에서 나타내는 제 2 미끄럼운동체 (47A)의 상하 앞끝단부(47e,47e)가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쌍의 도피용 절결부(42a,42a)를 형성한 점, 또한 상기 둘레몸통부(41A)의 앞면에 클릭스프링(81)의 좌우 막대형상 접촉부(82,82)가 각각 눌려 접하는 각형 혹은 사각형판 형상의 스프링받침부(44A)를 돌출 형성한 점, 그리고 이 각형 스프링받침부(44A)의 앞면에 자물쇠박스의 앞판(7)의 지지부(끼워맞춤구멍)(14)에 끼워맞춤하고, 또한 마이너스홈(43b)을 가지는 끼워맞춤돌기(43A)를 설치한 점이 다르다.
(2)제 2 실시예에서는, 회전운동버튼(40A)용의 클릭스프링(81)을 부가한 것. 즉, 제 1 실시예의 회전운동버튼(40)에서는, 회전운동 조작하더라도 클릭감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의 회전운동버튼(40A)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물쇠박스(6)의 앞판(14) 내벽면에 클릭스프링(81)을 따르도록 설치하고, 이 클릭스프링(81)의 좌우 세워올림형상 접촉부(82,82)를 전술한 각형 스프링받침부(44A)의 좌우측벽에 대하여 복수개의 스프링지지수단(83,84,84)을 통해 접촉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클릭스프링(81)의 중앙부는 상기 앞판(14)에 고정한 스프링지지수단(83)에 지지되고, 또한, 클릭스프링(81)의 좌우 세워올림형상 접촉부 (82,82)는 앞판(14)에 고정한 좌우 한 쌍의 돌기형상 스프링지지수단(84,84)에 지지되어 있다.
(3)제 1 미끄럼운동체(46A) 및 제 2 미끄럼운동체(47A)의 형태를 일부 변경하고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도피용 절결부(53)를 제 2 미끄럼운동체(47)에 형성하고 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미끄럼운동체(46A)의 앞벽부(46d)에 제 2 미끄럼운동체(47A)의 앞끝단부(47e,47e)용의 도피용 절결부(53A,53A)를 형성하고 있는 점, 제 2 실시예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A)의 스프링받침용의 격벽(47d)은, 상하벽부(47a,47b)의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4)제 1 실시예에서는 가압스프링(45), 받침편(15)등을 가지고 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이들의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 즉, 제 2 실시예에서는 회전운동버튼(40A)의 후방의 스토퍼부(42A)가 제 1 미끄럼운동체(46A)의 앞벽부(46d)의 앞면에 접촉 가능한 것이므로, 가압스프링(45)이나 받침편(15)을 설치하고 있지 않다. 또, 세부적 사항이기는 하지만,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자물쇠박스(6)에서는, 돌기형상 스프링지지수단(84) 부근에 잠금편용의 스프링 일끝단부를 받치는 스프링받침(85)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하의 수평안내부 (16A,16A)의 크기 등도 다르다.
(5)래치용 잠금편(60A)과 작동레버(55A)의 조합이 다르다. 잠금편(60A) 및 작동레버(55A)의 구체적인 구성형태의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하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작동레버(55A)용 가압스프링을 줄이기 위해서, 래치용 잠금편(60A)의 뒤끝단부에 가동돌기축(86)을 설치하고, 한편, 작동레버(55A)의 앞끝단부에 상기 가동돌기축(86)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장공(87)을 형성한 점이 주로 다르다. 바꾸어 말하면, 래치용 잠금편(60A)은 작동레버(55A)에 연동하도록 가동돌기축(86) 및 걸어맞춤장공(87)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6)도 8 및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용 잠금편(60A)의 수직형상 제 2 걸어맞춤부(62)는 제 1 미끄럼운동체(46A)의 후벽이 아니라,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벽부(46b)의 절결부(51)의 절결끝단면에 걸어맞춤 한다.
(7)회전운동버튼(40A)의 스토퍼부(42A)는, 푸시·풀 사양시에는,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가 되고, 한편 편면적 사양(예컨대 풀 사양)시는,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상태가 된다. 회전운동버튼(40A)을 회전운동조작한 경우에 있어서, 래치 잠금편(60A)의 해제형태가, 푸시·풀 사양에서, 어느 한 쪽의 사양(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으로 전환되는 작용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을 설계변경하여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작용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에 관해서는, 상하의 가압편(48,49)에 의해 미끄럼운동체(46A,47A)가 수평이동한 때에 래치용 잠금편(60A)이나 작동레버(55A)가 원활하게 작동하고, 부품수(예컨대 스프링, 받침편 등)가 적어지게 되며, 회전운동버튼 (40A)을 조작한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등 부가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1)유저가 건물의 문 부착 장소를 고려하여, 푸시·풀 사양과, 편면적 사양(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다.
(2)상기 (1)에 있어서, 자물쇠박스의 앞판으로 보이는 회전운동버튼(40)을 소정량 회전운동하는 정도의 조작으로, 예컨대 푸시·풀 사양에서 편면적 사양으로, 또는 편면적 사양에서 본래의 푸시·풀 사양으로 전환할 수 있다.
(3)자물쇠박스내에 제 1 미끄럼운동체와 제 2 미끄럼운동체를 합리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4)그 외, 자물쇠박스내에 섬턴 자물쇠의 오잠금 방지장치(Y)를 조립할 수 있다.
(5)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운동버튼(40A)을 조작한 때에 클릭감을 더욱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 설명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 설명도.
도 1은 문을 닫을 때에 있어서의 본래의 푸시·풀 사양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케이스몸체를 주로 한 자물쇠박스의 설명도.
도 3은 래치, 래치틀부, 작동간 등의 설명도.
도 4는 회전운동버튼 등의 설명도.
도 5는 제 1, 제 2 미끄럼운동체 등의 설명도.
도 6은 푸시·풀 사양시의 작동상태 설명도.
도 7은 편면적 사양(예컨대 풀 사양)시의 작동상태 설명도.
도 8은 제 2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9는 자물쇠박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회전운동버튼의 사시도.
도 11은 회전운동버튼과 관련한 부재의 설명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각 미끄럼운동체의 설명도(또한, 제 2 미끄럼운동체는 중앙부를 종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회전운동버튼 이 외의 주된 구성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푸시·풀 사양시의 회전운동버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편면적 사양(예컨대 풀 사양)시의 회전운동버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X : 자물쇠의 걸림고정해제기구
Y : 섬턴(thumb-turn) 자물쇠의 오잠금 방지기구
1 : 문틀 2 : 받침브라켓
3 : 가장자리 4 : 문
5 : 자물쇠 6 : 자물쇠박스
7 : 앞판 8 : 래치틀부
9 : 개구창 14 : 끼워맞춤구멍
15 : 받침편 20 : 창구멍
21∼25 : 고정축 30 : 래치
32 : 래치스프링 33 : 작동간
37 : 걸어맞춤절결부 37a : 걸어맞춤면
40,40A : 회전운동버튼 41,41A : 둘레몸통부
42,42A : 스토퍼부 43,43A : 끼워맞춤돌기
44 : 스프링지지부 44A : 스프링받침부
45 : 가압스프링 46,46A : 제 1 미끄럼운동체
47,47A : 제 2 미끄럼운동체 51,54 : 요동레버용 절결부
55 : 요동레버 55A : 작동레버
56 : 아암부
58 : 요동레버용 스프링 60,60A : 잠금편
61 : 제 1 걸어맞춤부 62 : 제 2 걸어맞춤부
63 : 잠금편용 스프링 70 : 아래쪽 수납공간
71 : 제 2 래치용 잠금편 73 : 섬턴회전통
77 : 릴리스구성부재 78 : 릴리스레버
79 : 슬라이더 81 : 클릭스프링
82 : 접촉부 83,84 : 스프링지지부
86 : 가동돌기축 87 : 걸어맞춤장공

Claims (11)

  1. 조작핸들을 풀 또는 푸시하면, 자물쇠박스내에 축지지되고 또한 래치를 걸림고정하고 있는 래치 잠금편이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래치의 걸림고정해제기구를 구비한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지지부에 스토퍼부를 가지는 회전운동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에 의해서 이동하는 가압편을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창구멍을 통해 자물쇠박스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며, 이 가압편과 상기 회전운동버튼에 관련되게 제 1 미끄럼운동체와 제 2 미끄럼운동체를 자물쇠박스내에 수평이동 자유롭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운동버튼을 소정량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제 2 미끄럼운동체의 전진이 상기 스토퍼부에 저지되는 것에 의하여, 본래의 푸시·풀 사양으로부터 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과 같은 편면적 사양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미끄럼운동체(46)는, 후방벽(46c)의 내벽면이 가압편에 의해서 자물쇠박스의 후방벽방향으로 눌려지는 바깥틀형상의 슬라이드편이고, 한편, 제 2 미끄럼운동체는 상기 가압편에 의해서 자물쇠박스의 앞판을 향하여 눌려지는 안틀형상의 슬라이드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운동버튼(40)의 스토퍼부(42)는, 둘레몸통부(41)의 둘레벽에 날개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미끄럼운동체(46)가 자물쇠박스의 후방벽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 잠금편(60)은, 제 1 미끄럼운동체(46)에 눌려지고, 잠금편용 스프링(6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바로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2 미끄럼운동체(47)가 자물쇠박스의 앞판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래치 잠금편(60)은, 자물쇠박스내에 축지지되고, 또한, 스프링(5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회전운동하는 요동레버(55)를 통해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바깥틀의 제 1 미끄럼운동체(46)에 안틀의 제 2 미끄럼운동체(47)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및 제 2 미끄럼운동체(46,47)의 수평벽부에는, 요동레버(55)의 아암부(56)가 걸어맞춤하는 절결부(51,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래치틀부(8)를 기준으로 하여, 자물쇠의 걸어멈춤 해제기구(X)를 설치한 반대측의 내부공간에는, 문을 닫을 때에 제 2 래치용 잠금편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는 릴리스구성부재를 가지는 섬턴 자물쇠의 오잠금 방지장치(Y)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8. 조작핸들을 풀 또는 푸시하면, 자물쇠박스내에 축지지되고 또한 래치를 걸어멈춤하고 있는 래치 잠금편이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래치의 걸어멈춤해제기구를 구비한 푸시·풀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지지부에 스토퍼부를 가지는 회전운동버튼을 설치하고, 자물쇠박스에 상기 회전운동버튼에 접촉하는 클릭스프링을, 스프링지지수단을 통해 설치하며,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에 의해서 이동하는 가압편을 자물쇠박스에 형성한 창구멍을 통해 자물쇠박스의 내부공간에 배치하고, 이 가압편과 상기 회전운동버튼에 관련되게 제 1 미끄럼운동체와 제 2 미끄럼운동체를 자물쇠박스내에 수평운동자유롭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운동버튼을 소정량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제 2 미끄럼운동체의 전진이 상기 스토퍼부에 저지되는 것에 의하여, 본래의 푸시·풀 사양에서 풀 사양 또는 푸시 사양과 같은 편면적 사양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9. 청구항 8에 있어서, 회전운동버튼(40A)의 스토퍼부(42A)는, 둘레몸통부(41A)의 이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돌기부의 측벽에, 다른쪽의 미끄럼운동체 (47A)의 선단부(47e)가 들어갈 수 있도록 도피용 절결부(42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래치용 잠금편(60A)은 작동레버(55A)에 연동하도록 가동돌기축(86) 및 걸어맞춤장공(87)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자물쇠.
KR1020040040210A 2004-06-03 2004-06-03 푸시·풀 자물쇠 KR20050115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10A KR20050115458A (ko) 2004-06-03 2004-06-03 푸시·풀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10A KR20050115458A (ko) 2004-06-03 2004-06-03 푸시·풀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58A true KR20050115458A (ko) 2005-12-08

Family

ID=3728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210A KR20050115458A (ko) 2004-06-03 2004-06-03 푸시·풀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401B1 (ko) *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KR100940861B1 (ko) * 2009-04-22 2010-02-09 윤병만 현관문용 도어록 장치
KR101320584B1 (ko) * 2010-05-18 2013-10-23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401B1 (ko) *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KR100940861B1 (ko) * 2009-04-22 2010-02-09 윤병만 현관문용 도어록 장치
KR101320584B1 (ko) * 2010-05-18 2013-10-23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6169A1 (en) Slam Latch with Pop-Up Knob
KR101842834B1 (ko)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JP4741927B2 (ja) 扉用錠前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CN110397349B (zh) 一种延迟双锁舌回弹的静音智能锁锁体
JP5341418B2 (ja) 扉のラッチ錠
KR20050115458A (ko) 푸시·풀 자물쇠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4368565B2 (ja) 錠前の反転ラッチ用ストッパー機構
JP2006029032A (ja) 施錠装置付アシストハンドル
JP4424924B2 (ja) プシュ・プル錠
CN110397350B (zh) 一种延迟单锁舌回弹的静音智能锁锁体
JP4757570B2 (ja) 扉のハンドル装置及びラッチ錠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200393089Y1 (ko)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JP2007169880A (ja) プシュ・プル錠
JP2006328882A (ja) 扉用錠前
JP4546034B2 (ja) 扉錠のラッチ引き戻し装置
JPH11107604A (ja) ドア錠装置
JP2004225384A (ja) プッシュ・プル錠
JP4206255B2 (ja) 扉の錠前
KR200316172Y1 (ko) 냉장고 도어용 록킹장치
JP2007032188A (ja) プシュ・プル錠
JP2003239586A (ja) 電気錠の切換えレバーと支持枠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