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167B1 - 광코넥터 - Google Patents

광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167B1
KR100524167B1 KR10-2002-7006774A KR20027006774A KR100524167B1 KR 100524167 B1 KR100524167 B1 KR 100524167B1 KR 20027006774 A KR20027006774 A KR 20027006774A KR 100524167 B1 KR100524167 B1 KR 10052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or
housing
optical
lock arm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801A (ko
Inventor
니시타나오키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광코넥터는, 광섬유와 광소자를 저접속 손실로 접속할 수 있는 소형의 광코넥터이다. 광코넥터(2)는 플러그 하우징(6)을 가진다. 하우징(6)의 상면(7)의 후단부측에는, 하우징 상면의 양사이드측에서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8)와 상기 브리지 지지부(8)에 양단부측이 지지되어서 하우징(6)의 상면과 간격을 개재한 브리지부(9)를 설치한다. 브리지부(9)의 중앙부에 하우징(6)의 첨단(20) 측을 향하여 돌출한 록 암(5)을 형성한다. 록 암(5)의 첨단 측에는 광코넥터(2)의 어댑터(1)에의 삽입 끼워맞춤시에 어댑터(1)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에 걸리게하는 걸림클로(4)를 위쪽에 돌출 형성한다. 광코넥터(2)를 어댑터(1)로부터 떼날 때는, 브리지부(9)의 중앙부를 위쪽으로부터 눌러 브리지부(9)를 탄성변형시켜, 걸림클로(4)를 아래 쪽으로 이동해 클로끼워맞춤구멍(11)으로부터 떼내어 광코넥터 (2)를 뽑아 낸다.

Description

광코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s)에 이용되는 광코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광코넥터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설치되어서 차량내의 광통신에 사용되거나 FA(Factory Automation), 가정내 LAN(Local Area Network), 오디오, PC(personal Computer)등의 광통신에 사용 되거나 한다.
최근에 있어서는, 차량의 정보화가 비약적으로 진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위치의 지도상표시나, ITS(고속도로 교통시스템)를 이용한 차량의 정체 해소등의 관리를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에 수반해, 차량내에서의 데이터, 화상, 음성등의 통신 정보의 처리량이 증대하고 있다. 이 대용량의 정보 전달 매체로서 광섬유(optica1 fiber)가 사용되도록 되어가고있다.
광섬유를 이용해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현시점에 있어서는, 송신 신호는, 전기신호가 E/O(전기/광) 변환 소자에 의해서 광신호로 변환되고, 이 광신호가 광섬유에 실어서 수신 측에 전송된다. 수신측에서는 광섬유에 의해 전송되어 온 광신호가 O/E(광/전기) 변환 소자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서 꺼내진다. 이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등 , 소망한 신호 처리가 실시된다. 따라서, 광섬유를 이용해 정보 전송을 실시하는 경우, E/O변환 소자를 송신용의 광섬유에 접속해, 광신호가 전송되어 오는 광섬유를 E/O변환 소자에 접속하는 것이 필요하게된다. 광섬유를 E/O변환 소자나 O/E변환 소자등의 광소자에 접속하는 접속 방법의 일예로서 광코넥터를 이용한 접속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7a, 도 7b는, 상기 광코넥터를 이용한 광섬유와 광소자와의 접속 방법의 일예를 단면도에 의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접속 방법은, 코넥터(플러그 코넥터)(2)를 어댑터(리셉터클 코넥터)(1)에 착탈 자재로 접속하는 접속 방법이다. 어댑터(1)에는, E/O변환 소자나 O/E변환 소자등의 광소자(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다. 광코넥터(2)에는, 광섬유(18)가 고정되어 있다.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어댑터(1)은 코넥터 삽입부(10)를 가지는 상자 형상의 리셉터클 하우징(3)을 가지고 있다. 코넥터 삽입부(10)의 단부 개구는 광코넥터의 삽입구(12)로 이루어지고 있다. 코넥터 삽입부(10)의 위쪽에는, 광코넥터의 걸림부로서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광코넥터의 삽입구(12)와 반대 측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기 E/O변환 소자나 O/E변환 소자등의 광소자가 접속된다.
한편, 광코넥터(2)는 상자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6)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6)에 형성된 광섬유 고정부(도시하지 않음)에는 광섬유(18)의 접속 단부면측이 삽입 고정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측에는 플러그 하우징(6)의 첨단(20)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일어서는 암 지지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암 지지부(17)로부터 플러그하우징(6)의 후단부(21)측을 향하여 록 암(5)이 뻗어설치형성되고 있다.
록 암(5)은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과 간격을 개재해서 설치되어 있다. 록 암(5)에는 상기 어댑터(1)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에 끼워맞춤 하는 걸림클로(4)가 위쪽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클로(4)는 경사면(14)을 가지고 있으며, 후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코넥터(2)를 도 7a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해서 어댑터(1)의 광코커터 삽입부(10)에 삽입하면, 도 7b에 표시한바와같이, 광코넥터(2)의 걸림클로(4)가 어댑터(1)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에 끼워맞춘다. 이 끼워맞춤에 의해, 광코넥터(2)가 어댑터(1)에 이탈방지 상태가 된다. 또, 플러그 하우징(6)의 후단부(21)측과 록 암(5)의 단부측(15)은 어댑터(1)의 코넥터 삽입구(12)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7b의 파선으로 표시한바와같이, 록 암(5)의 단부측(15)을 플러그하우징(6)의 상면(7)측으로 끌어 당기면 록 암(5)은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해서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에 접근해 간다. 그리고, 걸림클로(4)는 화살표 B에 나타내는 것 같은 궤도를 지나서 플러그 하우징(6) 측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걸림클로(4)가 어댑터(1)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으로부터 벗겨진다. 그래서, 이 상태로 광코넥터(2)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광코넥터(2)가 어댑터(1)로부터 빠진다.
또한,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록 암(5)의 단부측(15)을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 측에 끌어 당겼을 때의, 걸림클로(4)의 화살표 B에 나타내는 궤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구성은, 걸림클로(4)의 후단부측이 클로끼워맞춤구멍(11)의 벽면에 걸리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도 7a에 나타내는 클로끼워맞춤구멍(11)의 길이 L2는 걸림클로(4)의 길이 L1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길이 설정에 의해, 도 7b에 표시한바와같이, 광코넥터(2)와 어댑터(1)의 끼워맞춤시에, 클로끼워맞춤구멍(11)과 걸림클로(4)의 후단부와의 사이에 예를 들면 0.3mm정도의 틈새R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광코넥터(2)를 이용한 광섬유(18)와 광소자와의 접속 정밀도는, 광코넥터(2)를 어댑터(1)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코넥터(2)와 어댑터(1)와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러나, 도 7a, 도 7b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는, 광코넥터(2)를 어댑터(1)에 끼워맞춤하면, 클로끼워맞춤구멍(11)과 걸림클로(4)의 후단부와의 사이에 틈새 R이 형성되어 이 틈새 R분의 여유가 생겨버린다. 그 때문에, 상기 접속 방법을 이용한 광섬유(18)와 광소자와의 접속은, 상기 틈새 R분의 여유에 의한 광섬유(18)와 광소자와의 접속 손실 발생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광코넥터(2)와는 다른 구성의 광코넥터(2)를 어댑터(1)에 접속함으로써, 광섬유(18)와 광소자를 접속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제안에 있어서의 광코넥터(2)는,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의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광코넥터(2)가 접속되는 어댑터(1)의 구성은 도 7a, 도 7b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 한다.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광코넥터(2)는, 도 7a, 도 7b에 나타낸 광코넥터(2)와 마찬가지로, 광섬유(18)가 삽입 고정된 플러그 하우징(6)을 가지고 있다. 다만, 플러그하우징(6)의 상면(7)에는, 그 후단부(21)측으로부터 위쪽으로일어서는 암 지지부(17)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암 지지부(17)로부터 플러그 하우징(6)의 첨단(20) 측을 향하여 록 암(5)이 신장설비 형성되어 있다. 록 암(5)은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과 간격을 개재해서 설치되어 있다. 록 암(5)의 첨단에는 도 7a, 도 7b에 나타낸 광코넥터(2)와 마찬가지로 걸림클로(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안의 광코넥터(2)의 어댑터(1)에의 끼워맞춤은, 도 8a에 표시한 바와같은, 광코넥터(2)의 화살표 A방향의 이동에 의해 행해진다. 이 이동에 의해, 코넥터 삽입부(10)에의 삽입끼워맞춤과 도 8b에 나타내는 것 같은, 광코넥터(2)의 걸림클로(4)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에의 끼워맞춤이 행해진다.
한편, 광코넥터(2)를 어댑터(1)로부터 뗄때는, 도 8b의 화살표 B'에 나타내도록, 록 암(5)의 기단부측(25)을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 측을 향하여 누르므로써 행해진다. 이 조작에 의해, 록 암(5)은,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해서 도면의 파선으로 표시한바와같이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 측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자, 걸림클로(4)가 화살표 B에 표시한바와같은 궤도를 지나 플러그하우징(6) 측으로 이동해서 어댑터(1)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으로부터 벗겨진다. 이 상태로 광코넥터(2)를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광코넥터(2)가 어댑터(1)로부터 벗어난다.
도 8a, 도 8b에 있어서는, 록 암(5)의 기단부측(25)를 플러그하우징(6)의 상면(7) 측을 향하여 눌렀을 때에, 광코넥터(2)의 걸림클로(4)는, 도 8b의 화살표 B에 나타낸 것 같은 궤도를 지나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이 걸림클로(4)가 클로끼워맞춤구멍(11)의 내벽에 걸리는 일은 없다. 이러한일로,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걸림클로(4)의 길이 L1과 클로끼워맞춤구멍(11)의 길이 L2는 거의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구성은, 도 7a, 도 7b에 나타낸 광코넥터 (2)의 어댑터(1)에의 끼워맞춤시와 같은, 걸림클로(4)와 클로끼워맞춤구멍(11)과의 틈새 R분의 여유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 8a, 도 8b에 나타낸 광코넥터(2)에 있어서, 광코넥터(2)를 어댑터(1)으로부터 떼낼때에는 ,록 암(5)의 기단부측(25)을 플러그하우징(6)의 상면(7) 측을 향하여 눌러서 걸림클로(4)를 클로끼워맞춤구멍(11)으로부터 뗀다. 그래서, 예를 들면 사람의 손가락으로 록 암(5)의 기단부측(25)을 눌러 록 암(5)을 넘어뜨릴 수 있도록, 록 암(5)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한다. 따라서,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광코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6)을 길게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어, 광코넥터(2)가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겼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코넥터의 제 1실시예를 접속 상대측의 어댑터와 함께 표시하는 주요부 구성도이며, 도 2a는, 상기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상기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의 동작을 사시도에 의해 가리키는 설명도이며, 도 4는, 상기 실시 예의 광코넥터의 동작을 접속 상대측의 어댑터와 함께 단면도에 의해 가리키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코넥터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제 2실시예의 광코넥터의 평면도이며, 도 5c는, 제 2실시예의 광코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코넥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리지부와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설명도이며, 도 6b, 도 6c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코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리지부와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7a는, 종래 제안되고 있는 광코넥터와 어댑터와의 접속 방법의 일예에 있어서, 접속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광코넥터와 어댑터와의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며, 도 8a는, 종래 제안되고 있는 광코넥터와 어댑터와의 접속 방법이 다른 예에 있어서, 접속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광코넥터와 어댑터와의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코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후단부측에 설치되어 하우징 상면의 양 사이드측에서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와;
상기 브리지 지지부에 양단부측이 지지되어서 하우징 상면과 간격을 개재하여 형성된 브리지부와;
상기 브리지부의 도중 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첨단측을 향하여 돌출한 록 암과;
상기 록암의 첨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위쪽에 돌출 형성되고, 광코넥터의 접속 상대측에의 삽입끼워맞춤시에 접속 상대측의 걸림부에 걸림하는 걸림클로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록 암의 첨단측은 걸림클로의 형성부보다 앞쪽으로 신장설치되어, 그 첨단이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면 후단부 측에 형성된 브리지부의 도중 부에는, 첨단 측에 걸림클로를 갖춘 록 암이 하우징의 첨단부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있다. 그 때문에, 광코넥터를 그 첨단측으로부터 접속 상대 측에 삽입하면, 광코넥터의 삽입끼워맞춤시에는 상기 걸림클로가 접속 상대측의 걸림부에 걸리고, 이탈방지 상태가 된다.
또, 상기 브리지부는, 하우징 상면의 양사이드측에서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에 양단부측이 지지되어서 하우징 상면과 간격을 개재하여 형성되고 있다. 그 때문에, 브리지부의 도중 부를 위쪽으로부터 누르면 브리지부가 브리지 지지부를 지점으로해서 탄성변형 해, 브리지부의 도중 부가 하우징 상면에 접근한다. 그러자, 상기 록 암이 브리지부와 함께 하우징 상면에 접근하여, 록 암의 첨단 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클로가 접속 상대측의 걸림부로부터 빗나간다. 이 상태로 하우징을 후단부 측에 끌어당기면, 광코넥터가 접속 상대측에서 벗어난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의 후단부측의 하우징 상면 양사이드측으로부터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를 지점으로해서 록 암 첨단부측의 걸림클로를 하우징 상면에 접근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브리지부의 폭(광코넥터의 삽입 방향의 길이)이 작아도 걸림클로를 하우징 상면에 접근할 수가 있어 록 암이나 하우징의 길이를 광코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길게 형성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소형의 광코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하우징의 후단부측의 브리지 지지부를 지점으로해서 록 암을 하우징 상면에 접근하므로, 걸림클로와 접속 상대측의 걸림부(예를 들면 걸림클로를 끼워맞춤 하는 구멍)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그 틈새에 의해 여유가 생겨, 광소자와 광코넥터에 삽입되는 광섬유와의 접속 손실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록 암의 첨단측은 걸림클로의 형성부보다도 앞쪽으로 뻗어설치 되어, 그 첨단이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광코넥터는, 더 한층 신뢰성의 높은 광코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 구성의 광코넥터에 있어서는, 광코넥터에 삽입되는 광섬유나 광코넥터 주변에 설치되는 전기 배선등이 록 암의 아래 쪽으로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 각 실시의 형태에 의거하여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예와 동일 명칭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 1실시예)
도 1에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코넥터의 제 1실시예가, 접속 상대측의 어댑터와 함께 사시도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또, 도 2a에는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의 평면도가, 도 2b에는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의 단면도가 각각 나타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플러그 코넥터) (2)는, 하우징으로서의 플러그 하우징(6)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의 후단부 측에는,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의 양사이드측에서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8)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의 후단부 측에는, 브리지 지지부(8)에 양단부측이 지지되어서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과 간격을 개재해서 형성된 브리지부(9)가 설치되어 있다.
브리지부(9)의 긴쪽방향은 광코넥터(2)의 삽입 방향과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리지부(9)의 도중 부(여기에서는 중앙부)에는 플러그 하우징(6)의 첨단(20) 측을 향하여 돌출한 록 암(5)이 형성되어 있다. 록 암(5)의 첨단 측에는 광코넥터(2)의 접속 상대측에의 끼워맞춤시에 접속 상대측의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클로(4)가 위쪽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상대측은 어댑터(1)이다. 어댑터(1)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코넥터 삽입부(10)을 갖춘 리셉터클 하우징(3)을 가지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3)에는 걸림부로서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어댑터(1)에는, 광코넥터(2)의 삽입부(12)와 반대 측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E/O변환 소자와 O/E 변환 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코넥터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설정되는 것이지만, 제 1실시 예의 광코넥터(2)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성형해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6)에는 광섬유의 삽입부(13a, 13b)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3a,13b)에는, 예를 들면 페룰(19)에 고정된 광섬유(플라스틱 광섬유)(18a,18b)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제 1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의 화살표 A에 나타낸바와같이, 광코넥터(2)를 어댑터(1)의 코넥터 삽입부(10)에 삽입한다. 그러자, 록 암(5)의 첨단측의 걸림클로(4)가 어댑터(1)의 걸림부인 클로끼워맞춤구멍(11)에 걸리고, 이탈방지상태가 된다. 그리고, 어댑터(1)에 접속되고 있는 E/O변환 소자와 O/E변환 소자가 광코넥터(2)의 광파이버(18a,18b)와 광접속된다.
또,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2)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부(9)는,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의 양사이드측에서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8)에 양단부측이 지지되어서,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과 간격을 개재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낸바와같이, 브리지부(9)의 중앙부를 위쪽으로부터 누르면, 브리지부(9)가 브리지 지지부(8)을 지점으로해서 탄성변형 해, 브리지부(9)의 중앙부가 플러그하우징(6)의 상면(7)에 접근한다.
그러자, 록 암(5)이 브리지부(9)와 함께 플러그하우징(6)의 상면(7)에 접근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바와같이, 록 암(5)의 첨단 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클로(4)가 화살표 B에 나타내는 궤도에서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 측에 접근해 간다. 그리고, 걸림클로(4)가 어댑터(1)의 클로끼워맞춤구멍(11)으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로 플러그 하우징(6)을 후단부(21) 측으로 끌어당기면, 광코넥터(2)가 어댑터(1)로부터 벗어난다. 그러자, 상기 E/O변환 소자 및 O/E변환 소자와 광섬유(18a,18b)와의 광접속은 해제된다.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2)는, 상기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6)의 후단부(21)측의 하우징 상면 양사이드측에서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8)를 지점으로해서 록 암(5) 첨단측의 걸림클로(4)를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에 접근해 걸림클로(4)를 클로끼워맞춤구멍(11)으로부터 빼내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2)는, 브리지부(9)의 폭W가 작아도 걸림클로(4)를 하우징 상면에 접근할 수가 있다. 즉,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2)는, 록 암(5)이나 플러그 하우징(6)의 길이를 광코넥터(2)의 삽입 방향으로 길게 형성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 1실시 예의 광코넥터(2)는, 소형의 광코넥터(2)가 된다.
또, 제1 실시 예의 광코넥터(2)에 있어서, 걸림클로(4)는 도 4의 화살표B에 나타내는 궤도에서 플러그하우징(6)의 상면(7)에 접근한다. 그 때문에, 제 1실시 예의 광코넥터(2)와 어댑터(1)의 접속에 있어서, 걸림클로(4)와 클로끼워맞춤구멍(11)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이 틈새에 의한 여유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제 1실시예의 광코넥터(2)는, 어댑터(1)에의 접속에 의해, 광섬유 (18a,18b)를 저접속 손실로 광소자에 접속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5a, 도 5b, 도 5c에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코넥터의 제2 실시예가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제 2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 명칭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제 2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실시예가 상기 제 1실시예와 다른 특징적인 것은, 록 암(5)의 첨단측이 걸림클로(4)의 형성부보다도 앞쪽으로 뻗어설치 되어서, 그 첨단이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에 고정되고 있는 것이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클로(4)의 형성부보다도 앞쪽으로 뻗어설치된 록 암(5)은, 완만한 경사를 가진 보호부(5a)이다. 보호부(5a)는, 광섬유(18a,18b)나 전기 배선(도시하지 않음) 등이 록 암(5)의 아래 쪽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록 암(5)을 플러그 하우징(6)의 상면(7)과 간격을 개재해서 배설하는 구성의 광코넥터(2)의 경우, 이하에 설명하는 고안이 필요하게 된다. 즉, 광코넥터(2)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록 암(5)의 첨단측이 설계 위치보다 아래 쪽에 경사지는 것을 막기 위해, 그 경사분만큼 록 암(5)의 첨단측을 위를 향해서 성형한다고 하는 고안이 필요하게된다. 그러나, 제 2실시예와 같이 록 암(5)의 첨단 측에 보호부(5a)를 형성하면, 상기와 같은 고안을 실시하지 않아도, 록 암(5)을 설계 위치에 형성할 수가 있다.
제 2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 제 2실시예도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같은 효과를 이룰 수가 있다.
또, 제 2실시예는, 상기 보호부(5a)를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광코넥터(2)의 성형을 행하기 쉽다. 또한, 제 2실시예는, 광섬유(18a,18b)나 전기 배선등이 록 암(5)의 아래 쪽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로 한정될 것은 없고, 여러가지 실시의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 광섬유(18a,18b)나 전기 배선등이 록 암(5)의 아래 쪽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록 암(5)의 양사이드 측에벽부분을 세워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브리지 지지부(8)는 플러그 코넥터(6)의 상면(7)으로부터 비스듬히 위쪽으로 일어서는 구성으로 해, 브리지부(9)는 플러그 코넥터(6)의 상면(7)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형성했다. 그러나, 광코넥터(2)는, 예를 들면 도 6a에 표시한바와같이, 브리지 지지부(8)과 브리지부(9)와의 연결 구성을 아치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브리지부(9)와 록 암(5)과의 연결 구성부가 T자형의 평면 구성이 되도록 했다. 그러나, 광코넥터(2)는, 브리지부(9)로 록 암(5)과의 연결 구성부가 도 6b, 도 6c에 나타내는 것 같은 평면 구성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예에서는, 본 발명의 광코넥터를, 차량내의 광통신에 사용하는 용도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코넥터는, 상기 이외에, FA, 가정내 LAN, 오디오, PC등의, 여러가지 광통신의 용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예에서는, 광섬유로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했지만, 유리 광섬유를 이용해도 되고, 광섬유의 종류는 불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코넥터는, 차량용을 위시하여, 여러가지의 광통신에 있어서, 광섬유를 광소자와 저접속 손실, 또한, 공간절약으로 접속하는 것에 적합하다.

Claims (2)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후단부측에 설치되어서 하우징 상면의 양사이드측에서 일어선 브리지 지지부와;
    상기 브리지 지지부에 양단부측이 지지되어서 하우징 상면과 간격을 개재해서 형성된 브리지부와;
    상기 브리지부의 도중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첨단측을 향하여 돌출한 록 암과;
    상기 록 암의 첨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광코넥터의 접속 상대측에의 삽입끼워맞춤시에 접속 상대측의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클로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코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록 암의 첨단측은 걸림클로의 형성부보다도 앞쪽으로 뻗어설치되어서, 그 첨단이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코넥터.
KR10-2002-7006774A 2000-09-27 2001-09-26 광코넥터 KR100524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4252A JP2002107571A (ja) 2000-09-27 2000-09-27 光コネクタ
JPJP-P-2000-00294252 2000-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801A KR20020059801A (ko) 2002-07-13
KR100524167B1 true KR100524167B1 (ko) 2005-10-25

Family

ID=1877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774A KR100524167B1 (ko) 2000-09-27 2001-09-26 광코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27459B2 (ko)
EP (1) EP1321788A4 (ko)
JP (1) JP2002107571A (ko)
KR (1) KR100524167B1 (ko)
WO (1) WO2002027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2288B2 (ja) * 2002-12-19 2011-02-0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5018859B2 (ja) * 2002-12-19 2012-09-0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N2667511Y (zh) * 2003-11-06 2004-12-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纤连接器
US7004614B2 (en) * 2004-02-20 2006-02-28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JP5705791B2 (ja) * 2012-06-11 2015-04-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DE102012025107A1 (de) 2012-12-21 2014-06-26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JP2015180914A (ja) * 2014-03-04 2015-10-15 株式会社東芝 光リンク装置
US9618702B2 (en) 2014-06-09 2017-04-1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Reduced-profile data transmission element connectors, adapters, and connection assemblies thereof
EP3155465B1 (en) 2014-06-16 2020-02-19 Finisar Corporation Pluggable connector
CN112505839B (zh) * 2020-12-08 2022-05-03 武汉邮埃服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14A (ja) * 1985-06-28 1987-01-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コ−ド接続器
JP2516511Y2 (ja) * 1991-01-25 1996-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2514458Y2 (ja) * 1991-03-11 1996-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H04342973A (ja) * 1991-05-20 1992-11-30 Fujikura Ltd コネクタ
JPH05224092A (ja) * 1992-02-17 1993-09-0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FR2709884B1 (fr) * 1993-09-10 1995-10-13 Cinch Connecteurs Sa Perfectionnements aux boîtiers de connecteurs électriques.
EP0777140A1 (en) * 1995-12-01 1997-06-0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connector structure, optical fiber cord assembly and process of producing optical fiber cord assembly
US6017153A (en) * 1998-05-29 2000-01-25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auxiliary spring
JP2001074987A (ja) * 1999-09-08 2001-03-23 Yazaki Corp レセプタクルの製造方法、レセプタクル、及び光コネクタ
JP3405954B2 (ja) * 2000-03-13 2003-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27459B2 (en) 2003-03-04
WO2002027375A1 (fr) 2002-04-04
US20020106167A1 (en) 2002-08-08
JP2002107571A (ja) 2002-04-10
EP1321788A1 (en) 2003-06-25
EP1321788A4 (en) 2005-05-25
KR20020059801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4487B2 (en) Fiber optic connectors
JP3735011B2 (ja)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
JP3256901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組立体
JP3801464B2 (ja)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EP2548062B1 (en) Fiber optic interface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JP3885988B2 (ja)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KR100524167B1 (ko) 광코넥터
US7234879B2 (en) Optical connector
EP0938002B1 (en) Optical connector
JP2004037512A (ja) 光コネクタ
US6435728B2 (en) Optical connector housing, optical connector using the opt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n opt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optical connector housing and an optical component
US20020028055A1 (en) Optical cable adapter or connector
US6206580B1 (en) Optical connector
KR100288724B1 (ko) 전기 커넥터용 자체 정렬식 커넥터 시스템
JP2007519964A (ja) 光コネクタシステム
US6554494B2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light waveguides
JP2002353471A (ja) 光トランシーバ及び光トランシーバの製造方法
EP1257012A2 (en) Optical junction connector
JP4593388B2 (ja) 光コネクタユニット
JPH1138278A (ja) 多心光コネクタ
US7021834B2 (en) Package module
JPH01506A (ja) 光コネクタプラグ
JP2601813B2 (ja) 光コネクタ
JP2002023027A (ja) 光コネクタ
JP3778719B2 (ja) 光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