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062B1 -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062B1
KR100524062B1 KR10-1999-0002401A KR19990002401A KR100524062B1 KR 100524062 B1 KR100524062 B1 KR 100524062B1 KR 19990002401 A KR19990002401 A KR 19990002401A KR 100524062 B1 KR100524062 B1 KR 10052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ze roller
squeeze
gear
roller
photosensitiv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781A (ko
Inventor
박우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062B1/ko
Priority to EP00300529A priority patent/EP1024412B1/en
Priority to JP2000016221A priority patent/JP3286290B2/ja
Priority to DE60011316T priority patent/DE60011316T2/de
Priority to CN00102882A priority patent/CN1123803C/zh
Priority to US09/492,283 priority patent/US6198894B1/en
Publication of KR2000005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30Arrangements for tripping, lifting, adjusting, or removing inking rollers; Supports, bearings, or fork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전사면에 전사된 현상액에 포함되어 있는 캐리어를 제거하는 스퀴즈롤러와, 상기 스퀴즈롤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퀴즈롤러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퀴즈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와 맞물려 상기 스퀴즈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스퀴즈롤러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롤러와 상기 감광벨트 사이에 형성되는 드립라인의 제거를 위해 상기 스퀴즈롤러가 인쇄시의 방향과 반대로 역회전되었을 때,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에 작용되는 토크가 하방으로 작용되도록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매체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squeeze roller in a liquid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립라인 모드(drip line mode)시 스퀴즈롤러의 회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의 전사면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소정 색상의 현상액을 현상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가 마련된다. 이 습식 현상기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습식 현상기는 현상액 분사노즐(14)로부터 분사되는 현상액을 감광벨트(10)의 전사면(10a)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전사시키기 위한 현상롤러(11)와, 상기 전사면(10a)에 전사된 현상액에 포함되어 있는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스퀴즈롤러(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퀴즈롤러(12)는 인쇄작업시에 감광벨트(10)를 백업롤러(13)쪽으로 가압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상술한 캐리어를 스퀴징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즉, 인쇄모드시에는 스퀴즈롤러(12)가 감광벨트(10)를 백업롤러(13)쪽으로 강하게 압착시키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인쇄작업이 진행되면 상기 스퀴즈롤러(12)와 감광벨트(10)의 접촉부위에 현상액이 정체된 잔류현상액인 소위 드립라인(D)이 형성된다. 이러한 드립라인(D)은 선명한 화질의 인쇄동작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제거되어야 하며, 이러한 드립라인(D)의 제거를 위해 스퀴즈롤러(12)를 인쇄모드시의 역방향으로 구동시켜야 한다. 이를 드립라인(D)의 제거를 위한 제거모드라고 칭하고, 이 제거모드에서는 스퀴즈롤러(12)의 역방향 구동에 따른 회전부하를 줄이기 위해, 인쇄모드 때보다 감광벨트(10)에 대한 스퀴즈롤러(12)의 압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인쇄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스퀴즈롤러(12)를 감광벨트(10)로부터 완전히 이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습식 현상기에는 감광벨트(10)에 대한 스퀴즈롤러(12)의 압착력 및 위치를 상술한 바와 같은 3단계로 승강된다.
한편, 상기 스퀴즈롤러(12)의 구동은 스퀴즈롤러(12)의 일단부에 설치된 스퀴즈기어(21)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스퀴즈기어(21)는 이 스퀴즈기어(21)의 왼쪽에 맞물려 설치되어 스퀴즈기어(2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퀴즈롤러 구동기어(22)에 의해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립라인(D)의 제거를 위한 제거모드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즈롤러(12) 및 스퀴즈기어(21)는 역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스퀴즈기어(21)와 스퀴즈롤러 구동기어(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화살표)으로 토오크(T)가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드립라인(D)의 제거모드시에 스퀴즈롤러(12)가 역회전(시계방향)할 때 잠깐동안 스퀴즈롤러(12)가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는 스퀴즈기어(21)와 스퀴즈롤러 구동기어(22)의 토오크(T)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이들 두 기어(21, 22)는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고 멈추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퀴즈롤러(12)가 회전을 하지 않으므로 즉, 스퀴즈롤러(12)의 역할이 정지되므로 상기 감광벨트(10)로부터 캐리어가 제거되지 못하고 드립라인(D)의 끝단에 캐리어가 약 0.005g 이상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에는 캐리어가 잔존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상기 스퀴즈롤러(12)가 멈추었을 때 감광벨트(10)의 상면을 종이에 찍어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결국 인쇄매체에 묻게 되어 인쇄매체의 인쇄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개선으로 스퀴즈롤러가 회전이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매체의 인쇄품질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전사면에 전사된 현상액에 포함되어 있는 캐리어를 제거하는 스퀴즈롤러와, 상기 스퀴즈롤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퀴즈롤러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퀴즈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와 맞물려 상기 스퀴즈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스퀴즈롤러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롤러와 상기 감광벨트 사이에 형성되는 드립라인의 제거를 위해 상기 스퀴즈롤러가 인쇄시의 방향과 반대로 역회전되었을 때,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에 작용되는 토크가 하방으로 작용되도록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의 중심축이 수평선을 이루며 설치되고, 상기 수평선에 대하여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의 중심축의 수직선이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의 구동장치가 채용된 현상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감광벨트(31)의 전사면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액을 전사시키기 위한 현상롤러(32)의 제1회전축(321)이 설치되는 제1프레임(33)과, 상기 감광벨트(31)에 접촉 및 분리되어 상기 전사면에 전사된 현상액에 포함되어 있는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스퀴즈롤러(34)의 제2회전축(341)이 설치되는 제2프레임(35)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롤러와 스퀴즈롤러의 상부 쪽에는 상기 감광벨트(31)에 밀착되게 백업롤러(320, 340)가 각각 설치된다.
우선, 도 4에는 프린터가 운전되지 않는 정지모드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정지모드에서는 각각의 백업롤러(320, 340)가 감광벨트(31)의 상면에 가압되어 설치되고, 상기 감광벨트(31)의 하면으로부터 현상롤러(32)와 스퀴즈롤러(34)가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장치들도 정지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정지모드시에는 감광벨트(31)에 스퀴즈롤러(34)가 압착하는 압착력은 없으며, 스퀴즈 블레이드(342)는 오프(off)상태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프린터의 인쇄모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프린터가 이 인쇄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현상롤러(32)와 스퀴즈롤러(34)가 감광벨트(31)에 밀착된다. 특히 이러한 인쇄모드시에는 스퀴즈롤러(34)가 감광벨트(31)를 백업롤러(340)쪽으로 강하게 압착시키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 2프레임(33, 35)이 상승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현상롤러(32)와 스퀴즈롤러(34)의 상승에 필요한 구동수단은 별도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퀴즈롤러(34)는 인쇄작업시에 감광벨트(31)를 백업롤러(340)쪽으로 가압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캐리어를 스퀴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인쇄작업이 진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퀴즈롤러(34)와 감광벨트(31)의 접촉부위에 현상액이 정체된 잔류현상액인 드립라인(D)의 제거를 위해 스퀴즈롤러(34)를 인쇄모드시의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한편 이러한 인쇄모드에서는 상술한 정지모드시와 마찬가지로 스퀴즈 블레이드(342)는 오프 상태인 반면, 상기 감광벨트(31)에 스퀴즈롤러(34)가 압착하는 압착력은 약 20㎏f 정도이다.
이와 같이 드립라인(D)의 제거를 위한 제거모드의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제거모드에서는 상기 스퀴즈롤러(34)가 감광벨트(31)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즉, 시계방향으로 잠시동안 역회전을 하게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장치들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32)가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제거모드에서는 스퀴즈롤러(34)의 역방향 구동에 따른 회전부하를 줄이기 위해, 인쇄모드 때보다 감광벨트(31)에 대한 스퀴즈롤러(34)의 압착력을 약 2㎏f 정도로 감소시킨다. 그리고 스퀴즈 블레이드(342)는 온(on)상태이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35) 및 스퀴즈롤러(34)가 바닥 쪽으로 4mm 정도 하강하게 되어 드립라인 모드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동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번호 98-25899호의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롤러 승강장치의 근거로 설명된 것이다.
도 7에는 상술한 현상장치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은 드립라인(D)의 제거모드시의 스퀴즈롤러(34)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는, 스퀴즈롤러(34)와, 상기 스퀴즈롤러(34)의 일단부에 설치된 스퀴즈기어(61)와, 소정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스퀴즈기어(61)와 맞물려 스퀴즈기어(61)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회전하는 스퀴즈롤러 구동기어(6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62)는 스퀴즈기어(61)의 오른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스퀴즈기어(61)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62)와 스퀴즈기어(61)는 평행선을 이루며 설치되고, 상기의 평행선에 대하여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62)와 스퀴즈기어(61)의 중심축의 수직선의 각도(α)가 직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는, 드립라인(D)의 제거모드시 상기 스퀴즈롤러(34)가 감광벨트(31)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즉, 시계방향으로 잠시동안 역회전을 하게 되고 순간적으로 멈춘다. 그러나 이때, 상기 스퀴즈기어(61)와 맞물려 이 스퀴즈기어(6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퀴즈롤러 구동기어(62)는 스퀴즈기어(61)의 오른쪽에 설치되므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즈기어(61)와 스퀴즈롤러 구동기어(62)는 하방으로 토오크(T)가 작용되면서 회전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기어(61, 62)에서 작용되는 토오크(T)가 하방으로 작용되고 특히, 이들 두 기어(61, 62)의 중심축이 평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퀴즈기어(61)와 스퀴즈롤러 구동기어(62)는 드립라인 (D)의 제거모드 때에도 멈추지 않고 두 기어(61, 62)의 치(齒)가 완전히 이탈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스퀴즈기어(61)가 계속 동작하므로 스퀴즈롤러(34)도 계속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퀴즈롤러(34)가 스퀴징 동작을 계속 수행하므로 감광벨트(31)의 캐리어 잔여량도 0.002g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도 9에는 이때의 감광벨트(31) 상면을 종이에 찍어본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과 비교해 보면 감광벨트(31) 상의 캐리어의 잔여량이 많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드립라인(D)의 제거모드시에도 상기 스퀴즈롤러(34)가 스퀴징을 계속 수행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다. 이로써, 인쇄매체의 인쇄품질도 향상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롤러 승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드립라인 제거모드시 스퀴즈롤러의 회전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동작될 수 있으므로 스퀴즈롤러가 스퀴징을 계속하므로 감광벨트 상의 캐리어 잔여량이 드립라인 제거모드시에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매체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프린터의 현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장치가 채용되었을 때 감광벨트 상의 상태를 인쇄용지에 찍어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가 채용된 현상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그 일부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두 기어의 동작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9는 도 7의 장치가 채용되었을 때 감광벨트 상의 상태를 인쇄용지에 찍어 나타내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감광벨트32. 현상롤러
33. 제1프레임34. 스퀴즈롤러
35. 제2프레임61. 스퀴즈기어
62. 스퀴즈롤러 구동기어342. 스퀴즈 블레이드

Claims (2)

  1.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전사면에 전사된 현상액에 포함되어 있는 캐리어를 제거하는 스퀴즈롤러와, 상기 스퀴즈롤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퀴즈롤러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퀴즈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와 맞물려 상기 스퀴즈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스퀴즈롤러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롤러와 상기 감광벨트 사이에 형성되는 드립라인의 제거를 위해 상기 스퀴즈롤러가 인쇄시의 방향과 반대로 역회전되었을 때,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에 작용되는 토크가 하방으로 작용되도록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의 중심축이 수평선을 이루며 설치되고, 상기 수평선에 대하여 상기 스퀴즈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스퀴즈기어의 중심축의 수직선이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KR10-1999-0002401A 1999-01-26 1999-01-26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KR10052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401A KR100524062B1 (ko) 1999-01-26 1999-01-26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EP00300529A EP1024412B1 (en) 1999-01-26 2000-01-25 Apparatus for driving squeegee roller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0016221A JP3286290B2 (ja) 1999-01-26 2000-01-25 湿式転写写真方式印刷機のスキーズローラー駆動装置
DE60011316T DE60011316T2 (de) 1999-01-26 2000-01-25 Gerät zum Antrieb der Abstreifrolle eines elektrophotographischen Druckers mit Flüssigentwicklung
CN00102882A CN1123803C (zh) 1999-01-26 2000-01-26 用于液体静电照相印制机的挤压辊的驱动装置
US09/492,283 US6198894B1 (en) 1999-01-26 2000-01-27 Apparatus for driving squeegee roller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401A KR100524062B1 (ko) 1999-01-26 1999-01-26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81A KR20000051781A (ko) 2000-08-16
KR100524062B1 true KR100524062B1 (ko) 2005-10-26

Family

ID=1957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401A KR100524062B1 (ko) 1999-01-26 1999-01-26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98894B1 (ko)
EP (1) EP1024412B1 (ko)
JP (1) JP3286290B2 (ko)
KR (1) KR100524062B1 (ko)
CN (1) CN1123803C (ko)
DE (1) DE600113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062B1 (ko) * 1999-01-26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JP2002108107A (ja) * 2000-09-27 2002-04-10 Toshiba Corp 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627310B2 (en) * 2005-03-31 2009-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 P.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distance-based discounting
US7877046B2 (en) * 2007-12-07 2011-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ard imaging devices and hard imaging methods
CN111149065B (zh) * 2017-11-29 2022-06-1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显影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533A (en) * 1972-09-27 1976-05-11 Smith Ian E Squeegee roller system for removing excess developer liquid from photoconductive surfaces
US4181094A (en) * 1977-02-07 1980-01-01 Savin Corporation Excess developer removal apparatus
JPS6011316A (ja) * 1983-06-02 1985-01-21 シヤ−プ・ダイ・アンド・モウルド・カンパニ− 早替え位置決めクランプ組立体
JPH03286290A (ja) * 1990-03-30 1991-12-17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コイン回収装置
JPH0527653A (ja) * 1991-07-22 1993-02-05 Brother Ind Ltd 余剰現像液除去装置
JPH07253722A (ja) * 1994-02-07 1995-10-03 Hewlett Packard Co <Hp> 現像剤装置
EP1024412A2 (en) * 1999-01-26 2000-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squeegee roller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1123803B1 (ko) * 2010-05-14 2012-03-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택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4541B2 (ko) * 1972-12-22 1979-10-27
JPS5813908B2 (ja) * 1975-01-14 1983-03-16 株式会社リコー カンコウタイドラムダツチヤクジニオケル スクイズロ−ラ−タイヒキコウ
WO1997012290A1 (en) * 1995-09-29 1997-04-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veloper liquid from an imaging substrate
JPH11512837A (ja) * 1995-09-29 1999-11-02 ミネソタ・マイニング・アンド・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カンパニー 画像形成支持体から現像液を除去する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533A (en) * 1972-09-27 1976-05-11 Smith Ian E Squeegee roller system for removing excess developer liquid from photoconductive surfaces
US4181094A (en) * 1977-02-07 1980-01-01 Savin Corporation Excess developer removal apparatus
JPS6011316A (ja) * 1983-06-02 1985-01-21 シヤ−プ・ダイ・アンド・モウルド・カンパニ− 早替え位置決めクランプ組立体
JPH03286290A (ja) * 1990-03-30 1991-12-17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コイン回収装置
JPH0527653A (ja) * 1991-07-22 1993-02-05 Brother Ind Ltd 余剰現像液除去装置
JPH07253722A (ja) * 1994-02-07 1995-10-03 Hewlett Packard Co <Hp> 現像剤装置
EP1024412A2 (en) * 1999-01-26 2000-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squeegee roller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198894B1 (en) * 1999-01-26 2001-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squeegee roller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1123803B1 (ko) * 2010-05-14 2012-03-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택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86290B2 (ja) 2002-05-27
DE60011316D1 (de) 2004-07-15
EP1024412A2 (en) 2000-08-02
CN1264064A (zh) 2000-08-23
EP1024412B1 (en) 2004-06-09
KR20000051781A (ko) 2000-08-16
EP1024412A3 (en) 2001-07-04
JP2000221793A (ja) 2000-08-11
DE60011316T2 (de) 2005-06-16
US6198894B1 (en) 2001-03-06
CN1123803C (zh)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983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KR100524062B1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JP3046300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スキ―ズロ―ラ―昇降装置
US6305860B1 (en) Squeezing apparatus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9990017425A (ko) 화상형성장치
KR100304636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 롤러 작동장치
KR10036947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KR100346697B1 (ko) 습식인쇄기의 스퀴즈롤러 지지구조체 및 현상액 크리닝방법
US634918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de of a developing station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as development roller driving apparatus therefor
KR100382643B1 (ko)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KR20000040176A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 롤러 구동장치
KR10032256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H03243977A (ja) 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00031482A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 롤러 승강장치
KR100304630B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10033872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드립라인제거방법
JP3009188B2 (ja) 液体現像装置
KR100346706B1 (ko) 습식 인쇄기의 스퀴즈롤러 지지 구조체
KR10031665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100304620B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200165268Y1 (ko) 전자 사진 인쇄 기기의 배지 장치
KR100385972B1 (ko) 프린터의 전사유닛 클리닝장치
JPH11167306A (ja) 定着装置
KR20000056900A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롤러 승강장치
KR2001005865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