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472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472B1
KR100369472B1 KR10-1999-0051603A KR19990051603A KR100369472B1 KR 100369472 B1 KR100369472 B1 KR 100369472B1 KR 19990051603 A KR19990051603 A KR 19990051603A KR 100369472 B1 KR100369472 B1 KR 100369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queegee
squeegee roll
friction
photosensitiv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400A (ko
Inventor
신현성
변승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472B1/ko
Priority to US09/643,737 priority patent/US6370347B1/en
Publication of KR2001004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감광매체에 현상된 이미지의 손상없이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감광매체에 가압 밀착하여 피동 회전하면서 이미지영역에 도포된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짜내어 제거하는 스퀴징롤부와 이 스퀴징롤부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감광매체의 비이미지영역에 가압 밀착하여 피동 회전하는 한 쌍의 마찰롤부를 갖는 2중 구조의 스퀴징롤을 포함한다. 스퀴징롤부는 필 포스가 작은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마찰롤부는 건마찰계수가 큰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스퀴징시 스퀴징롤부의 작은 필 포스로 인해 감광매체상의 토너가 끌려오는 일이 없으며, 또 마찰롤부의 큰 마찰력으로 인해 스퀴징롤의 회전시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스퀴징롤의 슬립에 의한 화상 끌림이나 스퀴징 옵셋 불량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퀴징롤부를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함으로써, 드립라인 제거를 위한 스퀴징롤의 역회전시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고, 감광매체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적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Squizing device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er}
본 발명은 분말상의 토너와 용매 역할을 하는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잉크를 현상액으로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상에 기여하고 남은 여분의 현상액 및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를 제거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습식 전사자신방식 칼라 인쇄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형의 감광매체(1)를 구비한다. 이 감광매체(1)는 도시되지 않은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된 롤(2)(3)(4)에 감겨 일정 궤도를 회전 주행한다. 상기 감광매체(1)의 주변에는 대전유니트(10), 노광유니트(도시되지 않음), 현상유니트(20), 드라이유니트(30) 및 전사/정착유니트(40) 등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유니트(20)에 인접하여 이 현상유니트(20)에 일정 농도의 현상액을 공급하여 주는 현상액 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매체(1)에는 노광유니트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그 정전잠상은 현상유니트(20)에 의해 현상되는 바, 현상유니트(20)는 감광매체(1)에 현상액을 분사하는 한편, 그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대부분 분리시키고 현상액 중의 토너만 감광매체(1)의 정전잠상 부위에 잔류시킴으로써 감광매체(1)의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여기서, 현상시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를 제거하는 이유는, 감광매체(1)에형성된 토너에 의한 화상에 다량의 캐리어가 존재하면 전사/정착유니트(40)에서 화상의 전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며, 현상유니트(20)에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캐리어는 상기 드라이유니트(30)를 통과하면서 제거된다.
따라서, 현상유니트(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액분사노즐(22)과, 현상롤(24)과, 현상백업롤(26)과, 현상액회수탱크(28)와,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스퀴징장치(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퀴징장치(60)는 스퀴징롤(62)과 스퀴징백업롤(64)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스퀴징장치(60)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퀴징롤(62)은 감광매체(1)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퀴징백업롤(64)은 감광매체(1)의 이면에 선택적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퀴징롤(62)의 축(61)에는 스퀴징 동작시 스퀴징롤(62)를 스퀴징백업롤(64)에 대하여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가압블록(6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퀴징롤(62)의 양측단에 인접하게 한 쌍의 에어젯노즐(6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젯노즐(68)은 스퀴징롤(62)의 양측단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스퀴징롤(62)에 의해 압착된 현상액이 스퀴징롤(62)의 측면에 묻어 다음 칼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퀴징장치(60)는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상기 스퀴징롤(62)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70)와, 이 구동부(70)에 의해 역회전하는 스퀴징롤(62)에 밀착하여 스퀴징롤(62)로 끌려온 잉크를 제거하는 스퀴즈 블레이드(7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퀴징장치는, 인쇄시 스퀴징롤(62)이 회전하고 있는 감광매체(1)의 표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밀착하여 피동 회전하면서 감광매체(1)의 표면에 도포된 현상액에서 캐리어를 스퀴징한다. 이 때, 상기 스퀴징롤(62)은 약 20kg/f의 압력으로 가압된다.
이후, 소정의 인쇄작업이 종료되면, 드립라인 제거 모드가 진행되는 바, 이 때에는 스퀴징롤(62)에 인쇄모드보다 낮은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스퀴즈 블레이드(72)가 스퀴징롤(62)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퀴징롤(62)이 구동부(70)에 의해 인쇄시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광매체(1)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잉크를 끌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끌려온 잉크는 스퀴징롤(62)의 외주면에 접촉된 스퀴즈 블레이드(72)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에서, 스퀴징롤(62)은 감광매체(1)와 접촉하여 피동 회전될 때, 슬립이 발생하지 않아아 한다. 슬립이 발생되면, 감광매체(1)의 이미지 영역에 형성된 화상이 끌리게 되므로 인쇄불량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퀴징롤(62)은 감광매체(1)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통상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스퀴징롤(62)을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슬립은 방지할 수 있으나, 스퀴징롤(62)의 필 포스가 증가하게 된다. 스퀴징롤(62)의 필 포스가 크면, 스퀴징시 감광매체(1)의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가 스퀴징 되면서 일부의 토너가 스퀴징롤(62)로 끌려와 스퀴징 옵셋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스퀴징롤(62)의 마찰계수가 크면, 드립라인 제거을 위한 스퀴징롤(62)의역회전시 큰 마찰력으로 인해 감광매체(1)의 이미지 영역이 손상되게 된다.
따라서, 스퀴징롤(62)은 감광매체(1)에 의해 피동될 때 슬립이 일어나지 않음과 동시에 적당한 필 포스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스퀴징롤(62)의 표면에 테프론이나 실리콘 등을 코팅함으로써 스퀴징롤의 필 포스를 낮춤과 동시에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하고 있었다. 즉, 낮은 필 포스를 유지하면서도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보유하는 재질로 스퀴징롤을 형성함으로써, 화상 끌림이나 스퀴징 옵셋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퀴징장치에 있어서는, 감광매체와 스퀴징롤과의 접촉면 전체에 잉크가 존재하는 상태로 스퀴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비록 20kg/f의 압력이 작용하고는 있으나, 닙(NIP)이 형성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롤 변형에 따른 자체부하, 가압력에 의한 지지구조물과 롤 샤프트간의 부하, 그리고, 드립라인 제거 모드를 위해 연결된 구동부의 피동부하 등이 작용하여 아주 작은 미소량의 상대속도 차이가 발생되고 있다. 실험결과 칼라별로 차이는 있으나, 최대 150㎛/sec 정도의 상대속도 차이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상 끌림 현상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한 바와 같은 스퀴징롤의 구조, 즉, 낮은 필 포스와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스퀴징롤을 형성하는 구조는 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연속 인쇄시, 주변의 인쇄 환경 등에 의해 스퀴징롤의 필 포스가 증가하거나 스퀴징롤의 슬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스퀴징롤의 필 포스 증가에 의한 스퀴징 옵셋 문제 및 슬립에 의한 화상 끌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립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적절한(예컨대, 작은) 필 포스를 유지함으로써 감광매체에 현상된 이미지의 손상없이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매체의 이미지 영역에 밀착되는 스퀴징롤의 마찰계수를 보다 작게 함으로써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징롤에 의한 감광매체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쇄기에서 하나의 현상유니트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3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3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매체 62;스퀴징롤
62a;스퀴징롤부 62b;마찰롤부
64;스퀴징백업롤 66;가압블록
68;에어젯노즐 70;구동부
72;스퀴즈 블레이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는, 감광매체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피동 회전하면서 감광매체의 이미지 영역에 도포된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짜내어 제거하는 스퀴징롤을 구비한다.
스퀴징롤은 감광매체의 이미지영역에 접촉하는 필 포스가 작은 재질로 형성된 스퀴징롤부와, 이 스퀴징롤부의 양측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감광매체의 비이미지영역에 접촉하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마찰롤부의 2중 구조로구성된다.
상기 스퀴징롤부는 실리콘 등과 같은 필 포스가 아주작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롤부는 우레탄 등과 같은 건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퀴징롤은 상기 마찰롤부에 의해 감광매체와 큰 마찰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피동 회전하게 되므로, 슬립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 감광매체의 이미지영역에는 필 포스가 작은 스퀴징롤부가 접촉하여 이미지의 손상없이 캐리어만을 짜내어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퀴징롤의 슬립 현상이나 감광매체의 토너가 스퀴징롤에 묻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슬립 현상에 의한 화상 끌림 및 스퀴징롤에 토너가 묻음으로써 발생되는 스퀴징 옵셋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퀴징롤부는 그 표면에 테프론을 코팅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는 등,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 포스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마찰롤부도 우레탄으로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건마찰계수가 큰 재질이면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퀴징장치는, 스퀴징롤부의 양측에 마찰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며, 이에 의해 스퀴징롤부와 마찰롤부의 사이에는 일정 갭이 형성된다. 현상액은 스퀴징롤부에만 묻혀지며, 상기 갭은 스퀴징롤부에 도포된 현상액이 마찰롤부에 묻지 않도록 해주는 오일펜스 기능을 한다. 이에 의해 마찰롤부는 감광매체의 비이미지영역과 항상 건마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스퀴징롤의 슬립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퀴징장치는, 스퀴징롤부와 마찰롤부 사이의 갭 부위에 한 쌍의 에어젯노즐이 각각 설치되어, 스퀴징롤부의 측면으로 현상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퀴징롤의 축에는 양측에 한 쌍의 가압블록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는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징롤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징롤부로 끌려온 잉크를 제거하기 위한 스퀴즈 블레이드가 상기 스퀴징롤부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퀴징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는, 스퀴징롤(62)과 스퀴징백업롤(64)을 포함한다.
상기 스퀴징롤(62)은 감광매체(1)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퀴징백업롤(64)은 감광매체(1)의 이면에 선택적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스퀴징롤(62)은 스퀴징롤부(62a)와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마찰롤부(62b)를 갖는 2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퀴징롤부(62a)는 필 포스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며, 감광매체(1)의 이미지영역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피동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매체(1)의 이미지영역에 도포된 현상액중의 캐리어를 짜내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롤부(62b)는 건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며, 감광매체(1)의 비이미지영역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피동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스퀴징롤부(62a)는 실리콘 등과 같은 필 포스가 아주 작은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퀴징롤부를 실리콘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질, 예컨대 테프론을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는 등 필 포스가 작은 재질이면 어떤것 또한 어떤 방법으로 형성된 것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롤부(62b)는 우레탄 등과 같은 건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나, 이 역시 그 재질을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큰 건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한 쌍의 마찰롤부(62b)는 스퀴징롤부(62a)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스퀴징롤부(62a)와 한 쌍의 마찰롤부(62b)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된다. 이 갭은 스퀴징롤(62a)의 현상액이 마찰롤부(62b)에 묻지 않도록 브로킹 역할을 해주는 오일 펜스 기능을 한다. 이에 의해 마찰롤부(62b)는 건마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퀴징롤의 슬립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퀴징장치는, 스퀴징 동작시 스퀴징롤(62)를 스퀴징백업롤(64)에 대하여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가압블록(66)을 구비한다. 이 가압블록(66)은 스퀴징롤(62)의 축(61)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퀴징장치는, 상기 스퀴징롤부(62a)와 한 쌍의 마찰롤부(62b) 사이의 갭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에어젯노즐(68)을 구비한다. 이 에어젯노즐(68)은 스퀴징롤부(62a)의 양측단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스퀴징롤부(62a)에 의해 압착된 현상액이 스퀴징롤부(62a)의 측면에 묻어 다음 칼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퀴징장치는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상기 스퀴징롤(62)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70)와, 이 구동부(70)에 의해 역회전하는 스퀴징롤(62)에 밀착하여 스퀴징롤(62)로 끌려온 잉크를 제거하는 스퀴즈 블레이드(7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스퀴징장치는, 인쇄시 스퀴징롤(62)이 회전하고 있는 감광매체(1)의 표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밀착하여 피동 회전하면서 감광매체(1)의 표면에 도포된 현상액에서 캐리어를 스퀴징한다. 이 때, 상기 스퀴징롤(62)의 스퀴징롤부(62a)가 감광매체(1)의 이미지영역에 접촉하면서 캐리어를 제거하며, 스퀴징롤(62)의 한 쌍의 마찰롤부(62b)는 감광매체(1)의 양측 비이미지영역에 접촉하면서 피동 회전하는, 스퀴징롤의 피동 회전 구동원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스퀴징롤(62)은 스퀴징 동작을 수행하는 낮은 필 포스를 갖는 스퀴징롤부와, 높은 건마찰계수를 갖는, 스퀴징롤의 피동 회전을 위한 구동부로써의 마찰롤부로 분리 형성되고 있고, 현상액은 상기 스퀴징롤부와 감광매체의이미지영역과의 사이에만 존재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스퀴징롤의 슬립이나, 옵셋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인쇄작업이 종료되면, 드립라인 제거 모드가 진행되는 바, 이 때에는 스퀴징롤(62)에 인쇄모드 때보다 낮은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스퀴즈 블레이드(72)가 스퀴징롤(62)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퀴징롤(62)이 구동부(70)에 의해 인쇄시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광매체(1)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잉크를 끌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끌려온 잉크는 스퀴징롤(62)의 외주면에 접촉된 스퀴즈 블레이드(72)에 의해 제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마찰계수가 큰 한 쌍의 마찰롤부가 감광매체의 비이미지영역에 밀착되어 피동 회전되며, 이 때, 필 포스가 낮은 스퀴징롤부가 감광매체의 이미지영역에 접촉되어, 이 곳에 도포된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짜내어 제거하기 때문에, 감광매체와 스퀴징롤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또 필 포스가 낮은 스퀴징롤부에 의해 감광매체의 화상이 스퀴징롤로 끌려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스퀴징롤의 슬립에 의한 화상 끌림 현상이나, 감광매체의 화상이 스퀴징롤로 끌려옴으로써 발생되는 스퀴징 옵셋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퀴징롤의 스퀴징롤부를 마찰계수가 적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드립라인 제거 모드를 위한 구동부의 부하를 대폭 줄일 수있고, 감광매체의 손상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된다.

Claims (6)

  1. 일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감광매체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피동 회전하면서 감광매체의 이미지 영역에 도포된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짜내어 제거하는 스퀴징롤을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롤은, 상기 감광매체의 이미지영역에 접촉하는 필 포스가 작은 재질로 형성된 스퀴징롤부와 이 스퀴징롤부의 양측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감광매체의 비이미지영역에 접촉하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마찰롤부를 갖는 2중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마찰롤부는 스퀴징롤부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상기 스퀴징롤부와 한 쌍의 마찰롤부의 사이에 상기 마찰롤부에 현상액이 묻지 않도록 오일 펜스 기능을 하는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롤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롤부는 우레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롤부는 그 외주면에 실리콘 또는 테프론이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마찰롤부는 그 외주면에 우레탄이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4. 삭제
  5. 일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감광매체의 이미지영역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하여 피동 회전하면서 이미지영역에 도포된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짜내어 제거하는 작은 필 포스를 갖는 스퀴징롤부와, 이 스퀴징롤부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비이미지영역에 가압 밀착하여 피동 회전되는 큰 건마찰계수를 갖는 한 쌍의 마찰롤부를 구비하는 2중 구조의 스퀴징롤;
    상기 감광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퀴징롤과 대향되게 배치된 스퀴징백업롤;
    상기 스퀴징롤을 상기 스퀴징백업롤에 대하여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스퀴징롤부와 한 쌍의 마찰롤부 사이의 갭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현상액이 스퀴징롤부의 측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에어젯노즐; 및
    드립라인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라인 제거수단은,
    상기 스퀴징롤의 축에 연결되어 스퀴징롤을 역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역회전 하는 스퀴징롤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퀴징롤로 끌려와 묻은 잉크를 제거하는 스퀴즈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KR10-1999-0051603A 1999-11-19 1999-11-19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KR100369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03A KR100369472B1 (ko) 1999-11-19 1999-11-19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US09/643,737 US6370347B1 (en) 1999-11-19 2000-08-23 Squeezing apparatus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03A KR100369472B1 (ko) 1999-11-19 1999-11-19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400A KR20010047400A (ko) 2001-06-15
KR100369472B1 true KR100369472B1 (ko) 2003-01-24

Family

ID=1962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603A KR100369472B1 (ko) 1999-11-19 1999-11-19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70347B1 (ko)
KR (1) KR100369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0073B2 (en) * 2001-01-23 2003-10-28 Ricoh Company, Ltd. Liquid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liquid developing device
JP2006145592A (ja) * 2004-11-16 2006-06-08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620287B1 (ko) 2004-11-3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리어 제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캐리어 제거방법
US7437104B2 (en) * 2005-01-07 2008-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 cleaning
JP2007033468A (ja) * 2005-06-20 2007-02-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314Y2 (ko) * 1974-06-29 1979-11-09
JPS5188230A (ko) * 1975-01-31 1976-08-02
US4390268A (en) * 1979-09-14 1983-06-28 Copyer Co., Ltd. Cleaning device for transferring system wet type copying machine
US4325627A (en) * 1979-12-19 1982-04-20 Sav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DE3021050A1 (de) * 1980-06-04 1981-12-10 Hoechst Ag,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m abtragen von entwicklerfluessigkeit von einem aufzeichnungsmaterial
US4990962A (en) * 1989-04-11 1991-02-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et type developing device providing controlled amount of developing liquid
KR950004444B1 (ko) * 1991-11-25 1995-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동력전달장치
JP3408071B2 (ja) * 1996-07-31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219654B1 (ko) * 1997-08-25 1999-09-01 윤종용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JP2000112246A (ja) * 1998-09-30 2000-04-2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369473B1 (ko) * 1999-11-22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스퀴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0347B1 (en) 2002-04-09
KR20010047400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858A (ko)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36947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US58059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veloper liquid from an imaging substrate
EP0837375B1 (en) Prevention of excess liquid toner contamination in the formation of electrophotographic images
US3839071A (en) Printing method
KR10035476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
KR10036947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스퀴징장치
US5999778A (en) Developing device of wet type printer
JPH05289528A (ja) 湿式現像装置
US8503912B2 (en) Device for preparing a recording medium for transfer printing toner images in an electro-phoretic printing system
KR100311003B1 (ko) 습식현상기의스퀴즈롤러
KR10025565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스퀴징장치
JPH11344870A (ja) 湿式印刷機用現像液除去装置
US57818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veloper liquid from an imaging substrate
JPH10312113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561456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크리닝방법
KR10029776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346697B1 (ko) 습식인쇄기의 스퀴즈롤러 지지구조체 및 현상액 크리닝방법
KR10041247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비화상영역 잉크오염 방지장치
KR200343515Y1 (ko) 습식 인쇄기용 스퀴징장치
KR19990079816A (ko) 습식 인쇄기용 현상장치
JPH09269666A (ja) 液体現像装置
KR10030461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JPH06255205A (ja) 記録装置
JP2002296914A (ja) 湿式電子写真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