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654B1 -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654B1
KR100219654B1 KR1019970040712A KR19970040712A KR100219654B1 KR 100219654 B1 KR100219654 B1 KR 100219654B1 KR 1019970040712 A KR1019970040712 A KR 1019970040712A KR 19970040712 A KR19970040712 A KR 19970040712A KR 100219654 B1 KR100219654 B1 KR 10021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ember
shaft
squeeze roller
photosensitive belt
roll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703A (ko
Inventor
김완하
곽진근
장기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654B1/ko
Priority to US09/055,698 priority patent/US5884127A/en
Priority to CN98106289A priority patent/CN1109935C/zh
Publication of KR1999001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는, 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33)와, 샤프트(33)에 고정 설치되며 감광벨트(11)의 전사면(111) 중앙부(111a)에 밀착되어 그 감광벨트(11)의 주행에 피동되어 회전하는 제1롤부재(35)와, 제1롤부재(35)의 양측에 샤프트(33)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부재(40)와, 이 제2롤부재(40)를 제1롤부재(35)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공유하는 제1,2롤부재를 이용하여 감광벨트에 전사된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치공간을 줄임으로써 인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본 발명은 인쇄장치의 감광수단에 전사된 현상액으로부터 액상의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현상기는,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사용하여, 예컨대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수단의 전사면에 원하는 이미지가 현상되도록 그 현상액을 전사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습식 현상기에는, 감광벨트의 전사면을 압착함으로써 그 전사면에 전사된 현상액 중 고체상의 토너를 필름화함과 동시에, 그 현상액에 함유되어 있던 액상의 캐리어를 짜내서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퀴즈롤러 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습식현상기에는 이와 같은 스퀴즈롤러 조립체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의 회전축을 가지는 제1스퀴즈롤러(211) 및 제2스퀴즈롤러(211)(212)가 설치되었다. 상기 제1스퀴즈롤러(211)는 상기 감광벨트(11)의 전사면(111)에 밀착되어 그 감광벨트(11)의 주행에 따른 마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스퀴즈롤러(212)는 상기 감광벨트(11)의 양측 가장자리부(111b)에 밀착되어서 소정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감광벨트(11)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미지 형성을 위한 현상액은 상기 전사면(111)의 중앙부(111a)에 전사되게 된다. 그리고 도면의 참조부호 A는 상기 제1스퀴즈롤러(211)와 감광벨트(11)가 밀착되는 부위로서, 이하에서는 강압부라고 정의하여 기재한다. 또한 참조부호 213은 분사노즐(10)을 통해 공급되는 현상액(I1)을 감광벨트(11)의 전사면(111)에 전사하는 현상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14는 그 현상롤러(213)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스퀴즈롤러(211)는 감광벨트(11)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사면(111)을 압착하여 그곳에 부착된 현상액(I1) 중 고체상의 토너를 필름화하며, 전사된 현상액( I1 )에 함유되어 있던 액상의 캐리어( I2 )를 짜내어 감광벨트(11)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캐리어(I2)는 상기 제1스퀴즈롤러(211)를 타고 흘러내림으로써 현상기 본체(20) 내부로 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거된 캐리어( I2 ) 중 일부(I3)는 상기 제1스퀴즈롤러(211)의 양측으로 밀려나갔다가 그 양단부(211a,도 2)를 타고 감광벨트(11)의 진행방향으로 다시 넘어가서 상기 감광벨트(11)의 전사면(111)에 잔류하려고 한다. 이를 통상 랩 어라운드(wrap-around) 현상이라 하는데, 이 랩 어라운드 현상은 상기 강압부(A)에서 발생되는 일종의 모세관 현상으로서 상기 제1스퀴즈롤러(211)가 상기 감광벨트(11)를 압착하여 그 감광벨트(11)의 주행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됨으로써 발생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스퀴즈롤러(211)의 후단에 설치된 제2스퀴즈롤러(212)를 상기 감광벨트(11)의 주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제1스퀴즈롤러(211)의 양단부(211a)를 타고 넘어온 캐리어( I3 )를 최종적으로 감광벨트(11)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종래 스퀴즈롤러 조립체(210)에 있어서는 상기 제1스퀴즈롤러(211)와 제2스퀴즈롤러(212)를 각각 별도의 회전축상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그 각 스퀴즈롤러(211)(212)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현상기 본체(20)의 외형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회전축상에 제1,2스퀴즈롤러의 기능을 지닌 롤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좁은 공간 내에서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가 채용된 현상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퀴즈 롤러 조립체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 롤러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감광벨트 31...프레임
33...샤프트 35...제1롤부재
40...제2롤부재 41...제1기어부
42...제2기어부 43,44,45...중계기어
50...압축스프링 I1...현상액
I2,I3...캐리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상액이 전사된 감광벨트의 전사면을 압착함으로써 그 현상액 중 액상의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사면과 대향하도록 소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사면의 중앙부를 압착하며 회전되는 제1롤부재와; 상기 샤프트 상에서 상대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롤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압착하는 제2롤부재와; 상기 제2롤부재를 상기 샤프트 상에서 상기 제1롤부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회전수단은, 상기 샤프트에 마련된 제1기어부와, 상기 제2롤부재에 마련된 제2기어부와, 상기 제1,2기어부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어연결하는 중계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롤러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퀴즈롤러 조립체는, 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33)와, 상기 샤프트(33)에 고정 설치되며 감광벨트(11)의 전사면(111) 중앙부(111a)에 밀착되어 그 감광벨트(11)의 주행에 피동되어 회전하는 제1롤부재(35)와, 상기 제1롤부재(35)의 양측에 상기 샤프트(33)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부재(40)와, 이 제2롤부재(40)를 상기 제1롤부재(35)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역회전수단은, 상기 샤프트(33)에 고정되어 그 샤프트(33)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1기어부(41)와, 상기 제2롤부재(40)에 마련된 제2기어부(42)와, 상기 제1,2기어부(41)(4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어연결하는 중계기어(43)(44)(4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롤부재(35)는 상기 샤프트(33)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2롤부재(40)는 상기 제1,2기어부(41)(42) 및 중계기어(43)(44)(45)에 의해 기어연결되어 상기 제1롤부재(3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부(41)와 제2기어부(42) 사이에는 상기 제2롤부재(40)를 상기 제1롤부재(35)에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로서 압축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축스프링(50)은 상기 제2롤부재(40)가 회전될 때 그 제2롤부재(40)와 상기 제1롤부재(35)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스퀴즈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먼저 상기 제1롤부재(35)는 상기 감광벨트(11)의 주행에 피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전사면(111) 중앙부(111a)를 압착하여, 그 중앙부(111a)에 부착된 현상액(I1)중 고체상의 토너를 필름화함과 동시에, 그 현상액(I1)에 함유되어 있던 캐리어를 짜냄으로써 감광벨트(11)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캐리어는 제1롤부재(35)의 하방으로 떨어지며, 그 중 일부(I3)는 강압부(A)를 따라 제1롤부재(35)의 양측방향 즉, 상기 제2롤부재(40)측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한편 이 제2롤부재(40)는 상기 제1롤부재(35)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41)와 중계기어들(43)(44)(45) 및 제2기어부(42)의 동력 연결에 의해 제1롤부재(35)와 반대방향 즉, 상기 감광벨트(11)의 진행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강압부(A)를 따라 밀려나온 캐리어(I3)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롤부재(40)에 부딪혀서 감광벨트(11)의 진행방향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롤부재(35)가 전사면(111)에 부착된 현상액(I1)을 압착하여 캐리어를 짜내고, 상기 제2롤부재(40)는 랩 어라운드 현상에 의해 감광벨트(11)의 진행방향으로 다시 넘어가려는 캐리어를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는, 하나의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공유하는 제1,2롤부재를 이용하여 현상액 중의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스퀴즈롤러를 직렬로 배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현상기 내부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그 설치공간을 줄임으로써 인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현상액이 전사된 감광벨트의 전사면을 압착함으로써 그 현상액 중 액상의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사면과 대향하도록 소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사면의 중앙부를 압착하며 회전되는 제1롤부재와;
    상기 샤프트 상에서 상대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롤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압착하는 제2롤부재와;
    상기 제2롤부재를 상기 샤프트 상에서 상기 제1롤부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수단은,
    상기 샤프트에 마련된 제1기어부와,
    상기 제2롤부재에 마련된 제2기어부와,
    상기 제1,2기어부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어연결하는 중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부재를 상기 제1롤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
KR1019970040712A 1997-08-25 1997-08-25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KR100219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12A KR100219654B1 (ko) 1997-08-25 1997-08-25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US09/055,698 US5884127A (en) 1997-08-25 1998-04-07 Squeeze roller assembly of wet type developer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N98106289A CN1109935C (zh) 1997-08-25 1998-04-10 用于电子照相印刷机的湿型显影器的挤压辊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12A KR100219654B1 (ko) 1997-08-25 1997-08-25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03A KR19990017703A (ko) 1999-03-15
KR100219654B1 true KR100219654B1 (ko) 1999-09-01

Family

ID=1951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12A KR100219654B1 (ko) 1997-08-25 1997-08-25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4127A (ko)
KR (1) KR100219654B1 (ko)
CN (1) CN110993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759B1 (ko) * 1999-08-20 2002-05-30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유니트 결합장치
KR100369472B1 (ko) * 1999-11-19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스퀴징장치
CA2485354C (en) 2000-06-27 2008-06-03 United Testing Corp. A resilient seal
MX350950B (es) 2011-11-22 2017-09-26 Procter & Gamble Cepillo dental que tiene una cavidad interna.
US9756931B2 (en) 2011-11-22 2017-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20877B2 (en) 2011-11-22 2016-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8522A (en) * 1979-05-21 1981-02-03 Nashua Corporation Solid metering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9573A (zh) 1999-03-03
US5884127A (en) 1999-03-16
KR19990017703A (ko) 1999-03-15
CN1109935C (zh)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861A (ko)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KR100219654B1 (ko)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US4205622A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and refreshing rollers for liquid developers
KR19990063858A (ko)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US5130755A (en) Cleaning device
KR10036947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스퀴징장치
US6215973B1 (en) Squeegee roller cleaning apparatu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200168980Y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장치
KR100524062B1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KR200160901Y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
JPH0527653A (ja) 余剰現像液除去装置
JPH05289528A (ja) 湿式現像装置
JP200217495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13865B1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 롤러 승강장치
EP0899628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34918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de of a developing station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as development roller driving apparatus therefor
KR100354755B1 (ko) 인쇄기용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KR100311002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기구동장치
KR100261092B1 (ko) 습식현상기의스퀴즈장치
KR10030461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261091B1 (ko) 습식현상기의액체캐리어제거장치
KR100230324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3348803B2 (ja) 感光体支持装置
KR19990063859A (ko) 현상기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KR100230335B1 (ko)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