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029B1 -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 - Google Patents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029B1
KR100524029B1 KR10-2003-0028773A KR20030028773A KR100524029B1 KR 100524029 B1 KR100524029 B1 KR 100524029B1 KR 20030028773 A KR20030028773 A KR 20030028773A KR 100524029 B1 KR100524029 B1 KR 10052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gap
case
musical instrumen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935A (ko
Inventor
시라야나기에이이찌
후루끼후미요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Abstract

상판 구조는 케이스(11)의 상부 위에, 그 사이에 간극을 갖고 서로 근접하도록 배열된 한 쌍의 상판 후방부(13) 및 상판 전방부(14)를 갖는 건반 악기(예를 들어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된다. 여기서, 간극은 상판 전방부가 필요시에 전후방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20)를 이용함으로써 확대되고, 상판 전방부가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위치될 때에만 상판 후방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상판 후방부의 자유 단부를 손쉽게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판 후방부의 개방 운동 또는 폐쇄 운동 동안 손가락 팁이 간극에 끼이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Top Board Structure for Keyboard Instrument}
본 발명은 상판(또는 리드)으로 덮여지고, 폐쇄될 때 상판 내에 연주자의 손가락이 끼이지 않는 그랜드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케이스를 덮기 위한 상판을 갖는 그랜드 피아노가 폭넓게 사용되었는데, 절첩식 그랜드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의 일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고 자유롭게 개폐 가능한 상판 후방부와 상판 후방부의 전방 측에 배열되고 힌지로 상호 연결된 상판 전방부라고 하는 두 부품으로 각각 분할된다. 상판이 개방될 때, 상판 전방부는 상판 후방부에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힌지로 절첩되고, 그 다음에 상판 후방부의 자유단부가 상판 전방부와 함께 상승된다.
그랜드 피아노의 다른 형식은 상판들과 케이스들 사이의 상호연결을 달성하는 데 힌지를 이용하지 않도록 설계되고 상판 후방부는 상판 전방부와 상호 연결되지 않아 독립적으로 개폐된다. 즉, 독립식 상판 구조에서, 상판 전방부가 폐쇄되어있는 동안 상판 후방부는 단독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절첩식 상판의 구조와 비교해서, 상판 전방부의 중량에 의해 작동하는 상판 후방부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즉 상판을 개폐하는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의 예는 일본 무심사 특허 공개 제2001-8396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판 후방부와 상판 전방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독립식 상판 구조에서는, 상판 후방부 및/또는 전방부가 폐쇄될 때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의 내측으로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독립식 상판 구조는 상판 후방부와 상판 전방부 사이의 간극을 극히 감소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연주자(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판 전방부에 근접한 상판 후방부의 전단부를 보유할 때 손가락 팁이 예기치않게 상판 후방부와 상판 전방부 사이의 간극에 끼이게 될 우려가 있다. 손가락 팁이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 사이의 간극 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손가락의 위치를 약간 변화시켜서 상판 후방부의 자유단부를 다시 잡아야 한다. 따라서,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매우 문제가 많은 상판 후방부의 개방/폐쇄 작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작동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고, 개폐할 때 상판 전방부 및 상판 후방부 사이의 간극에 손가락이 끼이게 될 불필요한 걱정이 없는 그랜드 피아노용 상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부 구조는 액션부, 현 등을 포함하는 케이스의 상부 위에, 그 사이에 간극을 갖고 서로 근접하게 배열된 한 쌍의 상판(즉,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을 갖는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된다. 여기에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 사이의 간극은 필요시에 상판 전방부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확대되고, 상판 전방부가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위치될 때에만 상판 후방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상판 후방부의 자유 단부를 손쉽게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판 후방부의 개방 운동 및/또는 폐쇄 운동 동안 손가락 팁이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 사이의 간극에 끼이게 될 우려가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는 상판 전방부가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간극이 확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판 후방부가 개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한번 개방된 상판 후방부는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의 샤프트와 결합되어 직립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지지 로드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게다가, 상판 전방부에 대해 부분적으로 변형 또는 변위됨으로써 간극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 전방부의 후단부에 부착되고 간극 내로 손가락을 삽입함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버퍼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간극이 확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판 전방부의 후단부 위치는 손가락의 삽입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간극을 확대시킨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태양 및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고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제1 상판(예를 들어, 상판 후방부)과 폐쇄될 때 그 말단부가 제1 상판의 말단부와 직접 대면하고 제1 상판에 인접하거나 또는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된 제2 상판(예를 들어, 상판 전방부)을 설치한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된다.
상기에서, 제2 상판은 그 말단부와 제1 상판 말단부 사이의 간극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또는 활주)할 수 있고, 제2 상판이 간극이 확대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될 때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제1 상판의 개방을 시작하거나 또는 제1 상판의 폐쇄를 종료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상판이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이동하지 않을 때, 제1 상판은 개방/폐쇄 작동을 규제한다. 전술한 상판 구조는 간극이 확대될 때에만 연주자(또는 사용자)가 제1 상판의 개방을 시작하거나 또는 제1 상판의 폐쇄를 종료하도록 한다. 따라서, 연주자의 손가락 팁이 제1 및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에 뜻밖에 끼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제2 상판은 간극이 최소화되는 초기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먼지가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 내로 들어가는 것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그랜드 피아노는 케이스 위의 소정의 위치에서 적절하게 개방되는 제1 상판을 보유하는 지지 로드를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판이 간극을 최소화하는 초기 위치로 복구될 때 케이스 위로 개방되는 제1 상판은 지지 로드를 이용하여 전술한 위치에서 보유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방식으로 제1 상판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1 상판이 폐쇄됨에 따라 간극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제2 상판이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이동할 때 연주자가 제1 상판의 개방을 시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랜드 피아노용 상부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상판이 제2 상판과 비교적 작은 간극을 갖고 폐쇄될 때에도, 손가락 팁이 간극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간극은 자동적으로 확대된다.
게다가, 제1 및 제2 상판의 말단부들 사이에 버퍼 부재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버퍼 부재는 그 사이의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버퍼 부재를 수축시킴으로써, 연주자는 문제없이 제1 및 제2 상판 사이의 간극 내로 손쉽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상판은 그 사이의 간극을 확대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영역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발명은 반드시 그랜드 피아노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를 덮는 한 쌍의 상판을 갖는 전자 피아노와 같은 다른 형식의 피아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도1에 도시된 그랜드 피아노(10)는 상부가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으로 설계된다. 특히, 그랜드 피아노(10)는 액션부 등을 갖는 케이스(11), 케이스(11) 상부의 일 단부를 따라 두 위치에 배열된 회전 샤프트(12A)를 갖는 한 쌍의 힌지(12), 힌지(12)에 의해 케이스(11) 상부의 일 단부에 피봇식으로 지지되고 자유 단부는 케이스(11) 위로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제1 상판(즉, 상판 후방부)(13), 상판 후방부(13)의 전방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상판(즉, 상판 전방부)(14), 일단부가 [힌지(12)가 배열된 케이스(11)의 일 단부에 대향한] 케이스(11)의 타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소정의 위치로 개방되도록 상판 후방부(13)의 자유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로드(17) 및 상판 후방부(13)의 자유 단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열되고 지지 로드(17)의 팁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팬(18)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1)는 건반(11A), 건반(11A)을 덮기 위해 피봇 이동 가능한 폴 보드(11B), 케이스(11)의 우측으로 후방 신장된 우측판(11C), 케이스(11)의 좌측으로 후방 신장된 좌측판(11D) 및 후방으로 연장하도록 외향 굴곡되고 우측판(11C) 및 좌측판(11D)의 말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후방 보드(11E)를 갖는다.
도2는 폐쇄될 때의 상판 후방부(13)와 상판 전방부(1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이들은 그 사이에 작은 간극(S)을 갖고 케이스(11)의 상부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는 개폐될 때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되고 케이스(11) 내로 먼지가 들어오지 않도록 감소된 간극(S)으로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와 이격되어 직접 대면한다.
부수적으로, 상판 전방부(14)는 힌지(12)(도5b 참조)에 인접한 후단부(14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4B)를 갖고, 돌출부(14B)는 상부 표면이 경사지고 측면이 대략 삼각형이다.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가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와 대면하도록 배열될 때, 돌출부(14B)는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에 형성된 중공(13B) 내에 수용된다.
양 단부가 간극을 확대시키는 데 이용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20)(도2 참조)를 통해 케이스(11)의 좌측 전방부 단부 및 우측 전방부 단부와 상호 연결되도록 상판 전방부(14)가 케이스(11) 내에 배열된다. 특히, 슬라이더(20)는 우측판(11C)과 좌측판(11D)(도3 참조)의 상단부에 배열되고, 각각의 슬라이더(20)는 우측판(11C)[또는 좌측판(11D)]의 상단부로 연장하는 하부 레일(21)과 상판 전방부(14)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 레일(21)의 양 단부를 보유하기 위해 개구가 하향으로 지시되는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상부 레일(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0)는 상판 전방부(14)가 케이스(11)의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판 후방부(13)와 상판 전방부(14) 사이에 형성된 간극(S)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게다가, 상판 전방부(14)의 원치 않는 좌우측 이동을 규제한다. 부수적으로, 그 사이의 마찰 저항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도록 하부 레일(21)과 상부 레일(22) 사이의 접촉 영역에 적합한 처리가 달성된다. 이는 상판 전방부(14)가 전후방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증한다.
스토퍼(24)는 상판 전방부(14)의 후방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슬라이더(20)에 인접해서 배열되고, 나사에 의해 우측판(11C) 및 좌측판(11D)의 내벽에 각각 고정되고 케이스(11)의 좌우측 방향으로 신장된 수직 표면(25A)을 갖는 앵글 부재(25) 및 상판 전방부(14)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부재(25)의 수직 표면(25A)과 접촉하는 블록 부재(2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판 전방부(14)는 간극(S)을 감소시키도록 도2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가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16)는 폐쇄된 상판 후방부(13)의 개방 운동을 규제하도록 배열된다.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16)는 후단부(14A)에 인접하여 상판 전방부(14)의 하부 표면에 부착된 블록 형상을 갖는 지지 부재(28), 지지 부재(28)에 의해 지지되고 상판 후방부(13) 아래에 후방으로 신장된 샤프트(29) 및 샤프트(29)(도2 참조)의 팁 단부를 수용하도록 전단부(13A)에 인접하여 상판 후방부(13)의 하부 표면에 부착된 반원호형 링 리셉터(30)에 의해 구성된다. 앵글 부재(25)가 블록(26)과 접촉할 때 샤프트(29)의 팁 단부가 링 리셉터(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샤프트(29)의 길이 및 링 리셉터(30)의 부착 위치가 결정된다.
지지 로드(17)의 일단부는 브라켓(31)을 통해 케이스(11)의 내벽에 소정의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로드(17)는 개방되는 상판 후방부(13)를 보유하기 위한 직립 위치와 지지 로드(17)가 케이스(11) 내측에 완전히 눕혀진 눕힌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지지 로드(17)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이한 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로드, 즉 긴 로드(17A)와 짧은 로드(17B)에 의해 구성된다. 게다가, 긴 로드(17A)와 짧은 로드(17B)는 회전축 중심 쪽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17C, 17D)을 갖는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관통 구멍(17C, 17D)은 샤프트(29)의 직경과 사실상 일치하는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는 상판 후방부(13)를 보유하는 직립 위치에서 로드(17A, 17B)가 위치될 때 샤프트(29)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구멍(17C, 17D)이 형성된다.
긴 로드(17A)가 직립 위치로 회전 이동될 때, 짧은 로드(17B)는 긴 로드(17A)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긴 로드(17A)에 독립적으로 짧은 로드(17B)를 작동시킬 수 있고, 즉 연주자는 짧은 로드(17B)를 직접 보유할 수 있고 긴 로드(17A)에 구애받지 않고 직립 위치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1)은 나사에 의해 우측판(11C)의 내벽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형의 고정부(33)와 고정부(33)의 폭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동일한 수직면(도4 참조) 내의 위치에서 오버랩되는 한 쌍의 지지부(34)에 의해 구성되고, 지지부(34)의 각각의 팁 단부는 대략 반원호형이다. 로드(17A, 17B)의 기부를 관통하는 회전축(35)이 브라켓(31)의 지지부(34)들 사이에 브릿지되어 로드(17A, 17B)는 회전 샤프트(35)를 통과하여 브라켓(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용 팬(18)은 전단부(13A)에 인접하여 상판 후방부(13)의 후면의 코너부에 배열된다. 특히, 수용 팬(18)은 한 쌍의 팬(18A, 18B)(도1 참조)에 의해 구성되고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즉, 팬(18A)은 직립 위치로 이동되는 긴 로드(17A)의 팁 단부를 수용하고, 팬(18B)은 직립 위치로 이동되는 짧은 로드(17B)의 팁 단부를 수용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상판 구조의 전체 작동이 상판 후방부(13)의 폐쇄 상태에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판 후방부(13)의 개방 상태로의 변화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우선, 상판 전방부(14)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S)을 확대시키도록 전방으로 이동되어 샤프트(29)의 팁 단부가 상판 후방부(13)가 개방되도록 링 리셉터(30)로부터 완전히 뽑혀지고 상판 후방부(13)는 초기 개방 운동을 수행할 것이다. 즉,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를 보유하기 위해 간극(S) 내로 손가락 팁을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상판 후방부(13)는 크게 개방되고, 그 다음에 긴 로드(17A)는 눕힌 위치에서 직립 위치로 회전 이동된다. 긴 로드(17A)의 팁 단부는 상판 후방부(13)의 후면에 형성된 팬(18A)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개방된 상태로 상판 후방부(13)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상태에서, 상판 전방부(14)는 도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후방 이동되어 샤프트(29)가 관통 구멍(17C, 17D) 내로 삽입된다. 이는 로드(17A, 17B)가 예기치 않게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따라서 두 로드(17A, 17B)가 직립 위치에 맞도록 견고하게 보유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판 후방부(13)가 폐쇄될 때, 관통 구멍(17C, 17D)으로부터 샤프트(29)를 뽑아내도록 상판 전방부(14)가 전방 쪽으로 이동되고, 그 다음에 상판 후방부(13)는 더 개방되도록 약간 이동되어 상판 후방부(13)의 후면의 팬(18A)으로부터 긴 로드(17A)의 팁 단부가 빠져나오도록 한다. 긴 로드(17A)가 케이스(11) 내측으로 눕혀진 후에, 상판 후방부(13)는 폐쇄되고 케이스(11)의 상부에 천천히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간극(S)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되고, 따라서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상판 후방부(13)의 폐쇄 작동을 종결하도록 손으로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를 보유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16)는 상판 후방부(13)의 개방 운동을 규제하고 직립 위치에서 지지 로드(17)를 유지한다. 즉, 간극(S)은 상판 후방부(13)의 개방된 상태뿐만 아니라 상판 후방부(13)의 폐쇄된 상태에서도 자동적으로 확대된다. 따라서, 손으로 상판 후방부(1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연주자(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를 보유할 때에도, 손가락 팁이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와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 사이의 간극에 예기치 않게 끼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그랜드 피아노에 인가되는 예기치 않은 쇼크나 충격으로 지지 로드(17)가 쉽게 눕혀지지 않기 때문에 상판 후방부(13)가 급격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고 필요시에 설명이 생략된 후술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상판 구조는 도7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제2 실시예는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37)가 상판 후방부(13) 및 상판 전방부(14)의 상부 표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37)는 상판 후방부(13)와 상판 전방부(14)의 상부 표면에 배열된 플레이트 부재(38)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플레이트 부재(38)의 전방부는 상판 전방부(14)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고 간극(S) 위에 위치되고, 후방부는 상판 후방부(13)의 상부 표면에 장착된다. 도9 및 10은 도7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지지 로드(17)가 직립 위치(도10 참조)에 위치될 때 플레이트 부재(38)의 우측 단부가 지지 로드(17)의 기부와 접촉하도록 플레이트 부재(38)는 좌측 방향으로 신장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38)가 상판 전방부(14)의 후방부(14A)의 양측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플레이트 부재들은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를 따라 그 사이에 소정의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도8a 및 8b는 상판 후방부(13) 및 상판 전방부(14)가 플레이트 부재(38)에 의해 그 사이에 간극(S)을 갖고 서로 근접하도록 배열된 평면도이고, 플레이트 부재(38)는 힌지(12)로부터 힌지(12)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간격을 두도록 경사진 경사 에지(38A)를 갖는다. 여기서, 플레이트 부재(38)의 경사진 에지(38A)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레이트 부재들이 배열될 때, 힌지(1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가 이러한 경사 에지를 갖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부재(38)는 도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운동이 제어되는 상판 후방부(13)에 하향 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판 전방부(14)는 전방 이동되어 다음에 초기 개방 운동이 일어나는 상판 후방부(13)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플레이트 부재(38)가 이격된다. 상판 후방부(13)는 개방되고 직립 위치로 회전 이동되는 긴 로드(17A)에 의해 지지된다. 그 후에,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전방부(14)는 초기 위치로 복구되어 플레이트 부재(38)는 지지 로드(17)의 기부와 접촉하고, 로드(17A, 17B)들은 더 이상의 회전이 확실하게 규제된다.
상판 후방부(13)가 폐쇄되기 전에, 상판 전방부(14)는 로드(17A, 17B)들의 회전 규제를 해제하기 위해 전방 이동된다. 로드(17A, 17B)들이 눕혀진 후에, 상판 후방부(13)는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11)에 장착된다. 상판 후방부(13)의 폐쇄 운동 동안 상판 전방부(14)가 간극(S)을 감소시키도록 예기치 않게 후방 이동할 때, 상판 후방부(13)의 하부에 형성된 각도부(13C)(도5b 참조)는 상판 전방부(14)를 자동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플레이트 부재(38)의 경사진 에지(38A)를 따라 활주할 수 있어서 간극(S)을 확대시킨다. 따라서, 연주자의 손가락이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와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 사이의 간극(S) 내에 끼이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바람직한 작동과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상판 후방부(13)와 상판 전방부(14)에 위치한 플레이트 부재(38)의 제공에 의해, 연주자(또는 사용자)는 쉽게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37)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상판 후방부(13)가 개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40)가 상판 후방부(13)와 상판 전방부(14)의 하부 표면 아래에 배열된 플레이트 부재(41)에 의해 구성된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상판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즉, 플레이트 부재(41)의 후방부는 나사에 의해 상판 후방부(13)의 하부 표면에 고정되고 전방부는 상판 전방부(14)의 하부 표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전방부(14)는 상판 후방부(13)의 개방 운동을 규제하도록 플레이트 부재(41)에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게다가, 상판 전방부(14)가 간극(S)을 확대시키도록 전방 쪽으로 이동할 때, 상판 후방부(13)는 개방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전방부가 확실하게 상판 전방부(14)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플레이트 부재(41)는 상판 후방부(13)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또는 위치들)에 상판 후방부(13)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들을 상판 후방부(13)의 자유 단부와 힌지(12)에 각각 인접하게 배열하거나 또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가 이들 중 하나에 인접해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소정의 거리로 상판 후방부(13)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플레이트 부재들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슬로프(또는 슬로프들)(42)는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의 상부 코너부에 형성된다. 상판 후방부(13)의 폐쇄 운동 동안, 플레이트 부재(41)가 슬로프(42)와 접촉하도록 상판 전방부(14)가 후방 이동될 때에도, 플레이트 부재(41)가 슬로프(42)를 활주하면서 상판 전방부(14)는 자동적으로 전방 이동된다. 그 결과,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와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 사이의 간극(S)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연주자의 손가락이 간극(S) 내에 끼이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폭방향으로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 전체에 슬로프(4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플레이트 부재(41)에 인접한 선택된 위치에서만 슬로프(4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제3 실시예에서, 상판 후방부(13)를 개방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판 후방부(13)가 개방을 시작하기 전에, 상판 전방부(14)는 전방 쪽으로 이동하여 플레이트 부재(41)가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로부터 확실하게 이격되며, 달리 말하면 상판 후방부(13)의 개방 운동 동안 플레이트 부재(41)가 간섭하지 않도록 전방 이동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3 실시예에 따라, 상판 후방부(13)가 개방 및 폐쇄될 때 간극(S)의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
버퍼 부재(44)가 상판 후방부(13)와 상판 전방부(14) 사이의 간극(S)을 확대하도록 배열된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상판 구조가 설명된다. 특히, 버퍼 부재(44)는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와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 사이에 배열되고, 쿠션 특성을 갖는 발포 수지 재료 등으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버퍼 부재(44)는 상판 후방부(13)의 전단부(13a)로부터 간극(S)을 갖고 이격된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에 부착된다. 연주자(또는 사용자)가 간극(S) 내에 손가락을 넣을 때, 버퍼 부재(44)는 연주자의 손가락 팁에 부담이나 부하를 일으키지 않게 간극(S)을 확대시키도록 접촉한다.
제4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4 실시예는 전술한 슬라이더(20) 및 스토퍼(24)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랜드 피아노의 전체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가 변위를 일으키도록 간극 확대 구조체(46)가 배열된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상판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특히, 간극 확대 구조체(46)는 힌지(또는 힌지들)(47)가 배열된 사이에 상판 전방부(14)의 후단부(14A)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서 두 조각으로 분할함으로써 달성된다. 게다가, 단면이 앵글형인 플레이트 스프링(48)은 상판 전방부(14)의 분할 위치에 배열된 힌지(47)의 내벽에 부착된다. 플레이트 스프링(48)은 상판 전방부(14)의 상부 표면을 분할 위치에서 일반적으로 편평하게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연주자의 손가락이 간극(S)에 들어갈 때, 플레이트 스프링(48)은 상판 전방부(14)의 "분할" 후단부(예를 들어, 도면 부호 14A)를 도13의 방향(R)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판 전방부(14)가 간극(S)을 확대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변형된다.
제5 실시예에 따라,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는 것이 다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한 쌍의 상판 후방부(13) 및 상판 전방부(14)를 갖는 그랜드 피아노에 대해 모두 설명된다. 물론,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11)의 상부를 덮는 상판들의 수는 두 개로 제한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상판들의 수를 3개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 위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제1 및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도5b에 도시된 상판 구조에서, 상판 후방부(13)의 중공(13B)과 상판 전방부(14)의 돌출부(14B)의 형상과 크기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상판 후방부(13)의 슬로프가 형성된 전단부(13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중공은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판 후방부(14)의 후단부(14A)에 형성된다. 즉, 상판 후방부(13)와 상판 전방부(14) 사이의 결합 관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되더라도, 유사한 효과 및 작동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3B) 및 돌출부(14B)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제공으로, 긴 로드(17A)가 눕혀진 후에 상판 전방부(14)가 예기치 않게 후방 이동하더라도 상판 후방부(13)의 폐쇄 운동에 따라 간극(S)을 확실하게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랜드 피아노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지만 이러한 응용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은 키이 침하 속도 및 해머 충격 강도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에 따라 음악 톤을 생성하는 일본 무심사 특허 공개 평8-101687호 및 일본 무심사 특허 공개 평5-313656호에 개시된 예와 같은 다른 형식의 건반 악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은 상판 구조를 갖고 제어 유닛(49A)이 건반(11A) 아래에 배열된 그랜드 피아노형 전자 건반 악기(또는 전자 피아노)(49)를 도시하는 도14를 참조하여 전술한 건반 악기의 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어 유닛(49A)은 버스(50), CPU(51), ROM(52), 해머 센서 인터페이스(56), 패널 스위치(57), 패널 인터페이스(58), 음원 회로(59), 타이머(61) 및 RAM(62)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뿐만 아니라 전자 음원을 포함한다.
도15를 참조하여 건반 악기(49)에 이용되는 전자 회로의 세부가 설명될 것이며, CPU(51)는 버스(50)를 통해 상호 연결된 다양한 블록에 대해서 ROM(5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다양한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ROM(52)은 제2 광학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 현 충격 속도를 속도로 변환시키기 위한 다른 테이블뿐만 아니라 제1 광학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 키이 침하 속도를 현 충격 강도(즉, 속도)로 변환하기 위해 이용되는 α 및 β의 두 가지 형식의 테이블을 갖고, 이들 테이블을 참조하여 광학 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속도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 광학 센서에 대해 배열된 테이블 α는 키이 침하 속도를 정상 속도로 변환하는데 이용되는 제1 광학 센서에 따라 준비되고, 테이블 내용은 정상 키이 침하 작동에 따라 준비된다. 테이블 β는 키이 침하 속도를 비교적 낮은 속도로 변환하는데 이용되고, 테이블 내용은 (깊게 키이를 침하시키기 위한) 강한 키이 침하 작동 및/또는 저속 키이 해제 작동 후에 수행되는 고속 키이 침하 및 해제 작동을 모의하도록 준비된다.
도15에서, 도면 부호 53은 집합적인 키이 센서들, 예를 들어 각각 88개의 키이용으로 배열된 제1 광학 센서를 지시한다. 즉, 건반(11A)은 88개의 광학 센서들을 갖춘 88개의 키이를 포함한다. 키이 센서(53)들로부터의 출력값은 키이 센서 인터페이스(54) 및 버스(50)를 통해 CPU(51)로 공급된다.
도면 부호 55는 집합적인 해머 센서들, 예를 들어 건반(11A)의 88개의 키이들과 연결된 해머 기계장치(도시되지 않음)용으로 배열된 제2 광학 센서들을 지시한다. 즉, 건반(11A)의 88개의 키이는 88개의 제2 광학 센서들을 갖는 해머 액션부들과 상호 체결된다. 해머 센서(55)들로부터의 출력값은 해머 센서 인터페이스(56) 및 버스(50)를 통해 CPU(51)로 공급된다.
도면 부호 57은 연주자(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이들 중 몇몇은 디스플레이에 상호 연결된 패널 스위치를 지시하고, 패널 스위치는 건반 악기(49)의 작동 패널에 배열된다. 패널 스위치(57)의 셋업 정보는 패널 인터페이스(58) 및 버스(50)를 통해 CPU(51)에 공급된다. 패널 스위치(57)를 작동함으로써, 건반 악기(49)는 연주자(또는 사용자)가 정상 연주 또는 뮤트(또는 침묵) 연주 중에 하나를 임의대로 선택하도록 한다. 선택함으로써, 해머 액션부는 적절하게 제어된다.
도면 부호 59는 CPU(51)로부터 공급되는 연주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 톤 신호를 합성하고 생성하는 음원 회로를 지시한다. 특히, 건반 악기(49)는 톤 피치를 나타내는 키 코드 및 키이가 침하될 때 톤 볼륨(또는 소리 강도)을 나타내는 속도를 공급하는 노트-온(또는 톤 발생 지시)을 수용함에 따라 음악 톤을 생성하기 위해 음원 회로(59)를 활성화한다. 그 다음에, 키이가 오프될 때(예를 들어, K2 오프 상태) 노트 오프(또는 뮤트 지시)를 수용함에 따라 음악 톤을 정지시키도록 음원 회로(59)를 제어한다.
음원 회로(59)에 의해 생성된 음악 톤 신호는 연주자의 귀에 적용되는 헤드폰 세트(60)로 재생된다. 도면 부호 61은 각각의 소정의 시간에 CPU(51)에 주기적으로 차단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머를 지시한다. 따라서, CPU(51)는 이러한 차단 신호를 수용함에 따라 차단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다양한 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음)가 필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도면 부호 62는 다양한 레지스터가 생성되고 CPU(51)에 의해 적절하게 액세스되는 RAM을 지시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술하는 다양한 효과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1)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된 본 발명의 상판 구조는 케이스 위에 서로 근접하게 배열된 제1 및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이 필요시에 확대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제1 및 제2 상판들 사이의 공간 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충분히 큰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상판(예를 들어, 상판 후방부)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 동안 연주자(또는 사용자)가 손가락 팁이 제1 및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에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제1 상판의 자유 단부를 보유하면서 확실하게 개방 운동을 시작하거나 또는 폐쇄 운동을 종결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연주자는 손가락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제1 상판의 자유 단부를 다시 보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주자가 제1 상판에 대해 부드럽게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상기에서, 제1 및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은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된 소정의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제어되고, 제2 상판(예를 들어, 상판 전방부)는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손쉽게 또는 자동적으로 전방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상판에 부분적인 변형 또는 변위를 도입함으로써 간극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버퍼 부재가 간극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연주자가 손가락을 간극에 넣을 때 제2 상판이 부분적인 변형 또는 변위를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1 상판의 개방 운동 및/또는 폐쇄 운동하는 동안 연주자의 손가락이 상해를 입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사상 및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없이 몇 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가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모든 변화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고 이러한 범위의 동등물은 청구항에 포함되기 때문에,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한하지 않는다.
도1은 상판이 개방되는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의 상부 위의 사이에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 서로 폐쇄된 배열된 상판 후방부와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3은 도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4는 도6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5a는 비교적 큰 간극을 갖고 서로 이격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5b는 도5a에 도시된 상판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6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전방부에 인접하게 초기 배열된 상판 후방부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의 상부 위의 사이에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8a는 힌지에 인접하여 경사진 선형 에지를 갖는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그 사이의 간극을 갖고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8b는 힌지에 인접하여 경사진 곡선 에지를 갖는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그 사이의 간극을 갖고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도7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0은 상판 후방부가 개방되고 직립위치로 지지 로드에 의해 지지된 도7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의 상부 위에 그 사이에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의 상부 위에 그 사이에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의 상부 위에 그 사이에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판 후방부 및 상판 전방부를 도시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14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상판 구조에 적용 가능한 그랜드 피아노형 전자 건반 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도14에 도시된 전자 건반 악기에 설치된 회로의 전자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케이스
12: 힌지
13: 상판 후방부
14: 상판 전방부
20: 슬라이더

Claims (13)

  1. 개폐되도록 건반 악기의 케이스(11)의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1 상판(13)과,
    건반 악기의 케이스 위에 제1 상판과 근접하게 배열된 제2 상판(14)과,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확대시키기 위한 간극 확대 구조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상판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제2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방 단부를 직접 마주보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2. 개폐되도록 건반 악기의 케이스(11)의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1 상판(13)과,
    건반 악기의 케이스 위에 제1 상판과 근접하게 배열된 제2 상판(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판은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확대시키기 위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상판은 제2 상판이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이동될 때에만 개폐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상판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제2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방 단부를 직접 마주보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3. 개폐되도록 건반 악기의 케이스(11)의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1 상판(13)과,
    건반 악기의 케이스 위에 제1 상판과 근접하게 배열된 제2 상판(14)과,
    직립 위치에서 개방된 제1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로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판은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확대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상판은 제2 상판이 간극을 확대하도록 이동될 때에만 개폐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지지 로드는 제2 상판이 초기 위치로 복구될 때 제1 상판을 직립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확실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상판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제2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방 단부를 직접 마주보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4. 개폐되도록 건반 악기의 케이스(11)의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1 상판(13)과,
    건반 악기의 케이스 위에 제1 상판과 근접하게 배열된 제2 상판(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판은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확대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상판은 제2 상판이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이동할 때에만 개방되고,
    상기 간극은 제1 상판이 폐쇄될 때 자동적으로 확대되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상판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제2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방 단부를 직접 마주보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5. 개폐되도록 건반 악기의 케이스(11)의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1 상판(13)과,
    건반 악기의 케이스 위에 제1 상판과 근접하게 배열된 제2 상판(14)과,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에 배열된 버퍼 부재(44)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부재는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상판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제2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방 단부를 직접 마주보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6. 개폐되도록 건반 악기의 케이스(11)의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1 상판(13)과,
    건반 악기의 케이스 위에 제1 상판과 근접하게 배열된 제2 상판(1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제2 상판은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변형되거나 변위될 수 있는 영역(47, 48)을 갖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상판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제2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방 단부를 직접 마주보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7. 개폐되도록 건반 악기의 케이스(11)의 일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1 상판(13)과,
    건반 악기의 케이스 위에 제1 상판과 근접하게 배열된 제2 상판(14)과,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확대시키기 위한 간극 확대 구조체(20, 44, 47, 48)와,
    개방되는 제1 상판을 직립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 로드(17)와,
    개방되는 제1 상판의 회전을 규제하고 개방되는 제1 상판을 직립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로드를 유지하기 위한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1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상판의 전방 단부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제2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방 단부를 직접 마주보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확대 구조체는 간극을 확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전후방으로 제2 상판을 활주시키는 슬라이더(20)로 구성되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확대 구조체는 간극을 확대시키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버퍼 부재(44)로 구성되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확대 구조체는 제2 상판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후단부(14A)를 분할함으로써 실현되어, 간극을 갖고 제1 상판과 대면하는 후단부가 간극을 확대시키도록 변형 또는 변위될 수 있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는 간극 확대 구조체가 제1 상판과 제2 상판 사이의 간극을 확대시키지 않으면 제1 상판이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제2 상판에 적용된 간극 확대 구조체에 상호 체결되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는 제1 상판이 개방되고 지지 로드에 의해 지지될 때 지지 로드가 개방 운동 레귤레이터의 샤프트(29)와 결합함으로써 직립 위치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지지 로드에 상호 체결되는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 악기는 그랜드 피아노인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상판 구조.
KR10-2003-0028773A 2002-05-10 2003-05-07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 KR100524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5508 2002-05-10
JPJP-P-2002-00135508 2002-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935A KR20030087935A (ko) 2003-11-15
KR100524029B1 true KR100524029B1 (ko) 2005-10-26

Family

ID=2924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73A KR100524029B1 (ko) 2002-05-10 2003-05-07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68644B2 (ko)
EP (1) EP1361564B1 (ko)
KR (1) KR100524029B1 (ko)
CN (1) CN100463046C (ko)
DE (1) DE6031169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8644B2 (en) 2002-05-10 2008-05-06 Yamaha Corporation Top board structure for keyboard instrument
JP3838205B2 (ja) 2003-02-20 2006-10-2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屋根構造
US7825312B2 (en) * 2008-02-27 2010-11-02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10332490B2 (en) * 2012-09-25 2019-06-25 William Frederick Moyer Piano systems and methods for the enhanced display of the hands of a pianis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644C (de) 1922-11-29 Luzian David Dr Fluegel mit Deckelverriegelung
US1498955A (en) 1922-07-19 1924-06-24 American Piano Co Piano-desk support
US1682767A (en) 1926-11-23 1928-09-04 Opelt Joseph John Piano case
US1690549A (en) 1928-04-09 1928-11-06 Paley Herman Piano construction
US1794816A (en) 1930-08-04 1931-03-03 Baldwin Co Grand-piano case
US1960126A (en) 1932-06-03 1934-05-22 William E Sharp Covering for pianos
GB480966A (en) 1936-09-10 1938-03-03 Triumph Auto Pianos 1930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rand pianos
US2178214A (en) * 1938-02-02 1939-10-31 Story & Clark Piano Company Grand piano casing construction
US5175386A (en) * 1990-03-20 1992-12-29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with keyboard cover mechanism
JPH05313656A (ja) 1992-05-08 1993-11-26 Yamaha Corp 鍵盤楽器
JP3684610B2 (ja) 1994-08-01 2005-08-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情報出力装置
JP3832155B2 (ja) 1999-09-10 2006-10-11 ヤマハ株式会社 グランドピアノ
US6288313B1 (en) * 1999-09-10 2001-09-11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split rear top board and/or visual display unit
JP2001337671A (ja) 2000-05-29 2001-12-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の大屋根前開閉装置
JP2002108329A (ja) 2000-09-27 2002-04-1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大屋根の誤開放防止装置
US7368644B2 (en) 2002-05-10 2008-05-06 Yamaha Corporation Top board structure for keyboard instrument
JP3838205B2 (ja) * 2003-02-20 2006-10-2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屋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1698D1 (de) 2007-03-29
KR20030087935A (ko) 2003-11-15
US20030209127A1 (en) 2003-11-13
CN1460988A (zh) 2003-12-10
EP1361564A2 (en) 2003-11-12
DE60311698T2 (de) 2007-06-14
EP1361564B1 (en) 2007-02-14
CN100463046C (zh) 2009-02-18
US7368644B2 (en) 2008-05-06
EP1361564A3 (en)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9592B2 (ja) 電子鍵盤楽器
JP4650308B2 (ja) 鍵盤蓋の開閉機構
US9430993B2 (en) Keyboard li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keyboard instrument
KR100524029B1 (ko) 건반 악기용 상판 구조
JP3812387B2 (ja) 楽音制御装置
US4601361A (en) Structure for mounting loudspeaker 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6409860B2 (ja) 鍵盤楽器
KR20060044860A (ko) 직립형 건반악기
JPH10240257A (ja) 鍵盤装置
JP4207742B2 (ja) 電子鍵盤楽器
JP3912322B2 (ja) 鍵盤楽器の屋根構造
JP2934361B2 (ja) 鍵盤楽器の蓋機構
JP6252109B2 (ja) 鍵盤楽器
JP2004302426A (ja) 電子楽器
JPH0339825Y2 (ko)
JP2007017566A (ja) 鍵盤楽器
JP2000276130A (ja) 鍵盤楽器の鍵盤蓋装置
JP4587056B2 (ja) 電子鍵盤楽器
JPH0944144A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装置
JP6507475B2 (ja) 鍵盤楽器
JP6066364B2 (ja) 鍵盤楽器
JP4470531B2 (ja) 楽器
KR960006234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악보받침대
JP3071087B2 (ja) 鍵盤楽器
JPS6022394Y2 (ja) 電子楽器のペダ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