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666B1 - 엘리베이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666B1
KR100522666B1 KR10-2004-7000094A KR20047000094A KR100522666B1 KR 100522666 B1 KR100522666 B1 KR 100522666B1 KR 20047000094 A KR20047000094 A KR 20047000094A KR 100522666 B1 KR100522666 B1 KR 10052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rope
governor
hoistway
rop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105A (ko
Inventor
고데라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2)와,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조속기(11)와, 승강로(1)의 하부에 설치된 인장풀리와, 조속기(11)와 인장풀리 사이에 순환하도록 환상으로 걸쳐진 조속기(11)로부터 승강로(1)내에 내려져 카(2)에 연결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와,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에 평행하게 인접하는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를 소유하고, 카와 관련되어져 소정의 위치에 표시(13c)가 되어 있는 가버너로프(13)와,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비추는 라이트(17)와, 라이트(17)에 의해 비추어진 부분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13a)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점검창(16)을 구비하고,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 및 라이트(17)는 대략 동일면상에 점검창(16)측에서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 라이트(17),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13a)의 순으로 배치되고, 점검창(16)에서 들여다 보는 시야에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는 라이트(17)로 비추어진 부분이 보이고,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는 그림자 부분이 보인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권양기나 제어반, 조속기 등의 기기가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소위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장치에 있어서 비상시의 구출운전시 등에 가버너로프에 붙인 표시를 보면서 카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할 때에 보다 쉽고, 또 정확하게 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개선한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권양기나 제어반, 조속기 등 여러가지의 기기를 승강로내에 배치하는 소위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예를들면 비상시에 카내의 승객을 구출하기 위해 비상운전으로 카를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키는 경우 카가 개폐문 영역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가버너로프에 표시한 표식을 보면서 카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취해져 있다.
즉, 미리 가버너로프 또는 주로프에 표식을 해두고, 한편 승차장에 점검용 패널을 설치하고, 비상운전시에는 이 점검용 패널내에 설치한 점검창으로부터 가버너로프 또는 주로프에 붙여놓은 표식을 보면서 카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또, 정전시에는 표식을 볼수 있도록 가버너로프 또는 주로프를 비추는 라이트가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장치의 비상운전시에 종래 표식을 볼때 착오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문제점이 있었다. 또, 표식을 본다는 것이 문제였었다. 즉, 승강로내에는 많은 로프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다른 로프와 혼동되거나, 또 점검창이나 라이트가 적절한 위치에 있지 않을 때가 많아 확인하기가 어려운 때가 많았다.
특히, 가버너로프에 표시된 표식을 사용하는 경우, 가버너로프는 두줄이 평행하게 인접해서 내려져 있을 때가 많고, 본래 눈으로 확인할 로프와 반대측의 로프를 잘못보는 일이 있어 문제였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비상구출운전시 등 점검창에서 가버너로프에 표시한 표식을 보면서 카를 이동할 때, 카의 움직임에 동조하는 본래 보아야 할 가버너로프를 쉽게 볼 수가 있고, 보다 쉽게 또 정확하게 카의 이동을 시킬수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조속기와,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 인장활차와, 조속기와 인장활차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환상으로 건내진 조속기로부터 승강로내에 내리고, 카에 연결된 연결측부와 연결측부에 대략 평행하게 인접하는 반 연결측부를 구비하고, 카와 관련되어 소정의 위치에 표식이 되어 있는 가버너로프와, 개략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비추는 조명수단과,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부분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점검창이 구비되고,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및 조명수단은 대략 동일면상에 점검창측에서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조명수단,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의 순으로 배치되고, 점검창에서 보는 시야에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는 조명수단으로 조명된 부분이 보이고,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는 그림자 부분이 보인다.
또, 조명수단은 연결측부의 가버너로프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조명수단은 조속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있다
또, 조명수단은 점검창과 대략 같은 높이로 설정된다.
또, 조명수단은 가이드레일에 돌출설치된 조명수단 부착암에 고정되어 있다.
또, 조명수단의 전원은 비상전원에서 공급되어 있다.
또, 조명수단의 스위치는 점검창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 조명수단의 스위치는 점검창의 커버에 연동하고, 커버를 열면 조명수단이 점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1을 표시하는 승강로의 횡단면도,
도 2는 조속기 및 라이트의 부착모양을 표시하는 승강로의 종단면도,
도 3은 승차장 점검패널의 개략도,
도 4는 라이트와 2개의 가버너로프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점검창으로부터의 시계를 표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2를 표시하는 라이트부착부 부근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3을 표시하는 승강로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4를 표시하는 라이트와 2개의 가버너로프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1을 표시하는 승강로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조속기 및 라이트의 부착모양을 표시하는 승강로의 종단면도, 도 3은 승차장 점검패널의 개략도, 도 4는 라이트와 2개의 가버너로프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점검창으로부터의 시계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장치이다. 이 때문에, 권양기나 제어반, 조속기 등의 여러가지 기기는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승강로(1)의 정상부에는 카운터 추(3)의 상방위치에 권양기(6)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추(3)를 승강시키는 카운터 현가시브(10)가 설치되어 있다. 카(2)의 승강공간을 끼고, 권양기(6)와 반대쪽에 제어반(7)이 설치되어 있다. 카(2)를 승강시키는 카 현가시브(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반 (7)의 승차장측에 조속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최상층의 승차장에 설치되는 승차장 조작반중에는 보수점검이나 비상구출운전에 필요한 스위치류와, 가버너로프(13)를 관찰하기 위한 점검창(16)을 구비한 승차장 점검패널(15)이 설치되어 있다.
승차장 점검패널(15)에는 커버(14)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 이 커버(14)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승차장 점검패널(15)은 감추어져 있다.
카(2)는 승강로(1)내에 승강방향으로 연설된 카용 가이드레일(4)에 의해 가이드된다. 한편, 카운터 추(3)는 카운터측용 가이드레일(5)에 의해 가이드된다.
승차장 점검패널(15)의 점검창(16)에서 가버너로프(13)를 관찰하기 쉽도록 조속기(11)는 승차장 점검패널(15)과 같은쪽에서, 또 카용 가이드레일(4)보다 승차장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정상부에 설치된 조속기(11)와 승강로(1)의 하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인장시브와의 사이에 가버너로프(13)가 걸려있다. 가버너로프(13)는 환상을 이루고 소정의 1개소가 카(2)에 접속되고, 카(2)의 승강에 따라 조속기(11)와 인장시브와의 사이에서 순환한다.
도 2에 잘 표시한 바와 같이 가버너로프(13)는 환의 일단을 조속기(11)의 풀리에 감아서 조속기(11)로부터 아래로 2줄이 내려져 있다.
내려진 2줄의 가버너로프(13)중 한쪽이 카(2)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의 우측의 가버너로프(13)가 카(2)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카(2)에 접속되어 있는 쪽의 가버너로프를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 한편 이에 평행하게 인접하는 카(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가버너로프를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로 한다.
가버너로프(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연결측부와 반 연결측부의 영역이 불명료하나, 이 발명에서는 조속기(11)로부터 아래로 내린 2줄의 로프중 카(2)에 접속되어 있는 쪽의 가버너로프, 즉 승강로(1)의 안쪽(도 2의 우측)의 가버너로프를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로 하고, 한편 조속기(11)로부터 아래로 내린 2줄의 로프중 승강로(1)의 승차장측(도 2의 좌측)의 가버너로프를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로 한다.
가버너로프(13)에는 카(2)가 도어개방존내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13 c)가 되어 있다. 도어오픈존이라는 것은 카(2)와 어느 층에 정지해서 카 도어가 개방 가능한 위치(영역)에 있는 것을 말한다. 표시(13c)는 환상의 가버너로프(13)에 각층상에 대응해서 여러개 표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도 2에서 조속기(11)에서 내려진 우측의 가버너로프(13a)의 상부에 표시(13c)되는 최상층에서 1층 이하의 층상에 정지할 때에 사용되는 표시이다.
또, 좌측에 내려진 가버너로프(13b)의 하부에 표시된 표시(13b)는 최상층에서 2층 이하의 층상에 정지할 때에 사용되는 표시이다.
이 실시예의 점검창(16)은 최상층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최상층에서 정지할 때에 사용되는 표시는 도 2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제로는 도 2의 우측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에 나타나 있지 않은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가버너로프(13)에 표시한 표시(13c)가 보기 쉽도록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13a)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사이에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비추는 조명수단으로서 라이트(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위치관계는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점검창(16)측에서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 라이트(17),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점검창(16)에서 들여다 보는 시야에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13a)는 라이트(17)로 비추어진 부분이 보이고, 한편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는 그림자 부분이 보인다.
또, 점검창(16),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 라이트(17) 및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는 개략 동일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전면이 동일면상이면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의 그림자에 감추어져 보이지 않게 되므로 점검창(16)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와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포함하는 면에서 약간 어긋난 위치,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트(17)와 반대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점검창(16)에서 들여다 보는 시야의 모습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2)와,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조속기(11)와, 승강로(1)의 하부에 설치된 인장시브와, 조속기(11)와 인장시브와의 사이에 순환하도록 환상으로 건너진 조속기(11)로부터 승강로(1)내에 내려져 카(2)에 연결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와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에 평행하게 인접하는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를 소유하고, 카와 관련되고 소정의 위치에 표시(13c)가 되어 있는 가버너로프(13)와,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비추는 라이트(17)와, 라이트(17)에 의해 비추어진 부분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점검창(16)을 구비하고,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 및 라이트 (17)는 대략 동일면상에 점검창(16)측에서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 라이트 (17)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순으로 배치되고, 점검창(16)에서 보는 시야에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는 라이트(17)로 조명된 부분이 보이고,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b)는 그림자의 부분이 보인다.
이런 것으로부터 비상구출운전시 등에 점검창(16)에서 가버너로프(13)를 보면서 카(2)를 이동할 때에 카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13b)의 가버너로프(13)를 혼동해서 오인되는 일이 없고, 카(2)의 움직임에 동조한 측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볼 수가 있고, 보다 쉽게 또 정확하게 카(2)의 이동방향이나 속도 카가 도어개방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고, 카(2)를 안전하게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카(2)를 안전하게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킬수 있으면 되므로 가버너로프(13)에 표시한 표식(13c)은 같은 것이 구별없이 층상의 개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수점검자는 점검창(16)에서 보이는 표시가 있는 표식(13c)을 소정의 위치에 맞추면 카(2)가 어느 것인가의 층의 도어개방존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라이트(17)의 전원은 비상전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전시에서도 라이트(17)를 점등시킬 수가 있다.
또, 라이트(17)의 스위치는 승차장 점검패널(15)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점검창(16)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라이트(17)의 점등, 소등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라이트(17)의 스위치는 점검창(16)의 커버(14)에 연동되어 있고, 커버 (14)를 열면 라이트(17)가 점등한다. 이 때문에, 라이트(17)의 점등, 소등작업을 더욱 쉽게 실시할 수가 있어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실시예 2.
도 6은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2를 표시하는 라이트 부착부 부근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트(17)는 조속기부착대(12)에 라이트부착금 (18)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승강로(1)내의 벽이나 대들보에 라이트(17)를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승강로(1)의 구조나 승강로의 사이즈에 영향되는 일없이 라이트(17)를 쉽게 부착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3을 표시하는 승강로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트(17)는 점검창(16)과 대략 같은 높이가 되고, 가버너로프(13)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수평방향으로부터 비추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가버너로프(13)를 보다 가까운 곳에서 비출수가 있고, 가버너로프 (13)에 붙인 표식(13c) 및 로프의 꼬임을 점검창(16)으로부터 선명하게 볼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또 정확하게 카(2)의 이동방향이나 속도, 카(2)가 도어개방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고, 카(2)를 안전하게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할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실시예 4를 표시하는 라이트와 2개의 가버너로프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트(17)는 카용가이드레일(4)에 부착한 라이트부착금(18)을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승강로(1)의 벽이나, 대들보에 라이트(17)를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부착할 필요가 없고, 승강로(1)의 구조나 승강로의 사이즈에 영향되지 않고 라이트(17)를 쉽게 부착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라이트부착금(18)은 가버너로프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13a)를 볼때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점검창(16)의 높이보다 상하 어느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라이트(17)는 그 위치로부터 비스듬한 상방향 또는 비스듬한 하방향으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13a)를 비추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조속기와,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 인장풀리와, 조속기와 인장풀리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환상으로 걸쳐진 조속기로부터 승강로내에 내려지고, 카에 연결된 연결측부와, 연결측부에 대략 평행하게 인접하는 반 연결측부를 가지고 카와 관련되어 소정의 위치에 표시가 되어 있는 가버너로프와 개략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비추는 조명수단과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부분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점검창을 구비하고,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및 조명수단은 대략 동일면 상에 점검창측에서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조명수단,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의 순으로 배치되고, 점검창으로부터 들여다 보는 시야에서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는 조명수단에 의해 비추어진 부분이 보이고,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는 그림자의 부분이 보인다.
이 때문에, 비상구출운전시 등에 가버너로프에 붙인 표식을 보면서 카를 이동시킬 때 카의 움직임에 동조했을 때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쉽게 착오없이 눈으로 볼 수가 있고, 보다 쉽게 또 정확하게 카의 이동방향이나 속도, 카가 도어개방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서 카를 안전하게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할 수가 있다.
또, 조명수단은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명수단이 확실하게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조명하고, 연결측부 가버너로프가 더욱 보기 쉬워진다.
또, 조명수단은 조속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 벽이나 대들보등에 조명수단 부착용 브래킷등을 고정할 필요가 없고, 승강로의 구조에 의하지 않고 조명수단을 부착할 수가 있다.
또, 조명수단은 점검창과 대략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명수단은 가버너로프를 보다 가까이에서 비추게 되어 가버너로프에 붙인 표식 및 로프의 꼬임을 점검창에서 보다 선명하게 볼 수가 있다.
또, 조명수단은 가이드레일에 돌출설치된 조명수단 부착암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 벽이나 대들보등에 조명수단 부착용 브래킷등에 고정할 필요가 없고, 승강로의 구조에 의하지 않고 조명수단을 쉽게 부착할 수가 있다.
또, 조명수단의 전원은 비상전원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전시에도 조명수단을 점등시킬 수가 있다.
또, 조명수단의 스위치는 점검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명수단의 소등 및 점등작업을 쉽게 할 수가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조명수단의 스위치는 점검창의 커버에 연동하고, 커버를 열면 조명수단이 점등한다. 이 때문에, 조명수단의 소등 및 점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어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3)

  1.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조속기와, 상기 승강로 하부에 설치된 인장풀리와, 상기 조속기와 상기 인장풀리와의 사이에 순환 하도록 환상으로 걸려있고, 상기 조속기로부터 상기 승강로내에 내려지고, 상기 카에 연결된 연결측부와, 이 연결측부에 대략 평행하게 인접하는 반 연결측부를 소유하고, 상기 카와 관련되어져 소정의 위치에 표시가 되어 있는 가버너로프와, 개략 상기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 상기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비추는 조명수단과,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부분의 상기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점검창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상기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및 조명수단은 대략 동일면상에 상기 점검창측에서 상기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점검창에서 들여다 보는 시야에서 상기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는 상기 조명수단으로 조명된 부분이 보이고, 상기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는 그림자 부분이 보이는 것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 상기 반 연결측부 가버너로프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조속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KR10-2004-7000094A 2002-04-10 2002-04-10 엘리베이터장치 KR100522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3578 WO2003084853A1 (fr) 2002-04-10 2002-04-10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105A KR20040013105A (ko) 2004-02-11
KR100522666B1 true KR100522666B1 (ko) 2005-10-19

Family

ID=2869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094A KR100522666B1 (ko) 2002-04-10 2002-04-10 엘리베이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93706B1 (ko)
JP (1) JP4161073B2 (ko)
KR (1) KR100522666B1 (ko)
CN (1) CN1301893C (ko)
WO (1) WO2003084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900A (ja) * 2005-08-30 2007-03-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294246B2 (ja) * 2015-01-21 2018-03-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主ロープ点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871U (ko) * 1986-09-24 1988-04-09
JPH06127861A (ja) * 1992-10-15 1994-05-10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ピット点検灯装置
JP2790615B2 (ja) * 1994-10-20 1998-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CA2161291C (en) * 1994-11-18 2006-01-10 Christian Arpagaus Excess speed detector with multiple light barrier
JP2001002338A (ja) * 1999-06-25 2001-01-0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かごの位置検出装置
US6526368B1 (en) * 2000-03-16 2003-02-2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position sensing system
JP2008012338A (ja) * 2007-09-28 2008-01-24 Koji Matsumoto 遊技機釘角度測定ゲ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1893C (zh) 2007-02-28
KR20040013105A (ko) 2004-02-11
EP1493706A1 (en) 2005-01-05
EP1493706A4 (en) 2010-12-29
CN1527791A (zh) 2004-09-08
WO2003084853A1 (fr) 2003-10-16
EP1493706B1 (en) 2012-09-26
JPWO2003084853A1 (ja) 2005-08-11
JP4161073B2 (ja)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84126C (zh) 电梯控制系统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5036340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KR100522666B1 (ko) 엘리베이터장치
JP2007031109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300209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8934115B (zh) 用于控制电梯照明设备的方法和电梯
EP1319626B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inspecting the elevator system
KR20010022972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18879B2 (ja) エレベータ照明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05334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264821A (ja)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装置の照明装置制御方法
EP1329410B1 (en) Elevator and car position confirmation device for the elevator
JP2001080834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JPH063015Y2 (ja) かご或いはカウンターウエートの上部確認装置
JPH07206320A (ja) 移動ケーブル点検装置
JP2019119593A (ja) 二方向ドアエレベータ
JP202307602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942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主ロープ点検方法
EP3511279A1 (en) Elevator passenger assistance systems
JP202311819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ロープ点検方法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SU52777A1 (ru) Сиг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 подъемнику
JPH06107389A (ja) エレベータ点検用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