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233B1 -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233B1
KR100519233B1 KR10-2003-0063701A KR20030063701A KR100519233B1 KR 100519233 B1 KR100519233 B1 KR 100519233B1 KR 20030063701 A KR20030063701 A KR 20030063701A KR 100519233 B1 KR100519233 B1 KR 10051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uxiliary lever
backrest
lever
co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429A (ko
Inventor
임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23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는 후방 충돌시 관성력을 이용하여 제1걸림돌기를 톱니바퀴로부터 탈거시켜 시트의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지게 하고,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가 뒤로 일정 각 젖혀지고 나면 제2걸림돌기가 톱니바퀴에 걸림되어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후방충돌시 탑승자의 머리 또는 목 부위에 충격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상해가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Safety apparatus of automobile in the state of back-crashed}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관성력을 이용하여 시트의 등받이부가 뒤로 일정각도 젖혀지면서 충격이 분산되게 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가 일부 절개되어 도시된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앉게되는 좌석부(12)와, 상기 좌석부(12)의 일측에 설치된 등받이부(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석부(12)는 승객의 등을 받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운전시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승객의 취향에 맞쳐 등받이부(15)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좌석부(12)와 등받이부(15)의 연결부에 각도조절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15)의 상단에는 탑승객의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 레스트(17)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장치(20)는 상기 등받이부(15)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좌석부(12)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22)와, 상기 힌지(22)의 일단에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돌출된 톱니상(24a)이 형성된 톱니바퀴(24)와, 상기 톱니바퀴(24)가 로킹되도록 일단에 걸림돌기(28)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10)의 일측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레버(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시트(10)는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26)를 올려 중심부의 연결점을 축으로 피벗시키면, 상기 톱니바퀴(24)에 걸림된 걸림돌기(28)의 로킹이 풀리면서 상기 시트(10)의 등받이부(15)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탑승자의 체형에 맞도록 등받이부(15)의 각도를 조정한 후 상기 작동레버(26)를 내려 상기 등받이부(15)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는 후방으로부터 충돌시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가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량의 운전시 탑승객의 머리는 상기 헤드 레스트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운행되는데 후방으로부터 충돌될 경우 탑승객의 목이 후방으로 꺽이며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충돌시 시트를 고정시키는 각도조절장치가 소정각도 풀림되며 시트가 일정각도 후방으로 젖혀진 후 고정되도록 하여 탑승객의 상체를 뉘이며 충격이 목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 후방 상측에 전후 회전 가능토록 힌지 결합된 등받이부로 이루어진 시트와; 상기 시트의 힌지에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된 톱니바퀴와; 상기 시트 일측에 상하 회전 가능토록 피봇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 후단에 피봇 결합된 보조레버와; 상기 보조레버의 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레버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톱니바퀴에 걸림되어 상기 시트의 등받이 회전을 제한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보조레버의 전단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에 연결되어, 후방 충돌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레버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걸림돌기가 톱니바퀴로부터 탈거되면서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지게 하는 관성추와; 상기 보조레버의 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레버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레버가 상기 관성추에 의해 회전시 상기 톱니바퀴에 걸림되어, 상기 뒤로 젖혀진 시트의 등받이부 회전을 제한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의 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한 각도조절장치가 확대되어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시트(50)에 구비되어 후방 충돌시 관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50)의 등받이부(55)가 뒤로 일정각 젖혀지면서 충격이 분산되게 하는 장치이다.상기 시트(50)는 탑승객의 키높이에 맞춰 앉을 수 있도록 좌석부(52)가 마련되고, 상기 좌석부(52)의 후방 상측에는 탑승객의 등을 받혀 피로를 저감시키는 등받이부(55)가 회전 가능토록 힌지(62)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55)와 상기 좌석부(5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일측에는 상기 듣받이부의 각도를 탑승객의 신체특징에 따라 조절하고 후방충돌시 충격이 분산되도록 상기 등받이부(55)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조절장치(6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장치(60)는 상기 시트(50)의 힌지(62)에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외주면에 톱니상(64a)이 형성된 톱니바퀴(64)와, 상기 시트(50)의 일측에 그 중심부가 피벗(66a) 결합되어 상하 회전될 수 있는 작동레버(66)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66)의 후단에는 보조레버(67)가 상하 회전 가능토록 피벗(67a) 결합되고, 상기 보조레버(67)의 피봇(67a)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레버(67)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각각 상측을 향해 제 1걸림돌기(68)와 제 2걸림돌기(69)가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걸림돌기(68)는 상기 작동레버(66)가 내려지면 상기 보조레버(67)가 상측으로 올려지기 때문에 상기 톱니바퀴(64)의 톱니상(64a)에 걸림되어 상기 시트(50)의 등받이부(55)가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시킨다.또는 상기 제1걸림돌기(68)는 상기 작동레버(66)가 올려지면 상기 작동레버(66)의 후단에 결합된 보조레버(67)가 하측으로 내려지기 때문에 상기 톱니바퀴(64)와 떨어져서 상기 시트(50)의 등받이부(55)가 상기 힌지(6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해준다.
상기 제2걸림돌기(69)는 상기 보조레버(67)가 상기 보조레버(67)의 피봇(67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톱니바퀴(64)에 걸림되어 상기 시트(50)의 등받이부(55)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레버(67)의 전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부(67b)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67b)에는 후방충돌시 상기 보조레버(67)를 회전시키는 관성추(70)가 연결된다. 상기 관성추(70)는 상기 연장부(67b)와 케이블(72)로 연결되어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시트(50)에 착석한 탑승객은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50)의 등받이부(55)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레버(66)를 위로 당기면, 상기 톱니바퀴(64)에 걸림된 제 1걸림돌기(68)가 떨어지면서 상기 톱니바퀴(64) 및 힌지(62)의 회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부(55)를 회전시켜 각도 조절할 수 있다.상기 등받이부(55)가 원하는 각도에 위치될 때 상기 작동레버(66)를 내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톱니바퀴(64)가 상기 제 1걸림돌기(68)에 걸림되어 상기 톱니바퀴(54) 및 힌지(62)의 회전이 구속되어 상기 등받이부(55)의 회전각이 유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후방으로부터 자동차에 충돌이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량으로 인해 자동차가 전방으로 급격하게 전진하게되고, 보조레버(67)의 일측에 연결된 관성추(70)는 계속 정지하려고 하는 관성에 의해 고정될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레버(67)가 상기 보조레버(67)의 피봇(67a)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1걸림돌기(68)가 상기 톱니바퀴(64)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상기 톱니바퀴(64) 및 힌지(62)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상기 보조레버(6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탑승객의 무게의 의해 시트(50)의 등받이부(55)가 뒤로 일정각 젖혀진다.상기 시트(50)의 등받이부(55)가 뒤로 일정각 젖혀지고 나면, 상기 제2걸림돌기(69)가 상기 톱니바퀴(64)에 걸림되어 상기 톱니바퀴(64) 및 힌지(62)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시트(50)의 등받이부(55) 회전이 멈춘다.
상기와 같이, 후방 충돌시 시트(50)의 등받이부(55)가 순간적으로 뒤로 일정각 젖혀지면서 후방 충돌에 의한 관성력을 분산시켜 탑승객의 머리 또는 목 부위에 큰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재질을 포함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는 후방 충돌시 관성력을 이용하여 제1걸림돌기를 톱니바퀴로부터 탈거시켜 시트의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지게 하고,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가 뒤로 일정 각 젖혀지고 나면 제2걸림돌기가 톱니바퀴에 걸림되어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후방충돌시 탑승자의 머리 또는 목 부위에 충격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상해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가 일부 절개되어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의 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시트 52 : 좌석부
55 : 등받이부 60 : 각도조절장치
62 : 힌지 64 : 톱니바퀴
64a : 톱니상 66 : 작동레버
67 : 보조레버 68 : 제 1걸림돌기
69 : 제 2걸림돌기 70 : 관성추

Claims (2)

  1.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 후방 상측에 전후 회전 가능토록 힌지 결합된 등받이부로 이루어진 시트와;
    상기 시트의 힌지에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된 톱니바퀴와;
    상기 시트 일측에 상하 회전 가능토록 피봇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 후단에 피봇 결합된 보조레버와;
    상기 보조레버의 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레버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톱니바퀴에 걸림되어 상기 시트의 등받이 회전을 제한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보조레버의 전단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에 연결되어, 후방 충돌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레버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걸림돌기가 톱니바퀴로부터 탈거되면서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지게 하는 관성추와;
    상기 보조레버의 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레버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레버가 상기 관성추에 의해 회전시 상기 톱니바퀴에 걸림되어, 상기 뒤로 젖혀진 시트의 등받이부 회전을 제한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2. 삭제
KR10-2003-0063701A 2003-09-15 2003-09-15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KR10051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01A KR100519233B1 (ko) 2003-09-15 2003-09-15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01A KR100519233B1 (ko) 2003-09-15 2003-09-15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429A KR20050027429A (ko) 2005-03-21
KR100519233B1 true KR100519233B1 (ko) 2005-10-06

Family

ID=3738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701A KR100519233B1 (ko) 2003-09-15 2003-09-15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2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429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579B2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JP376097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8783782B2 (en) Safety belt for a vehicle
KR101252201B1 (ko)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EP1368210B1 (en) Safety headrest for a motor vehicle
JP3619041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317464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풀 플로우팅 장치
KR100519233B1 (ko)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JP3673480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706440B1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KR20120001742U (ko) 넥레스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0786007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183742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200134273A (ko)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KR10074787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해제 방지구조
EP2162314A1 (en)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KR10053495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작동 구조
KR10180612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KR100217990B1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JP2004189097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0222048Y1 (ko) 차량용 안전의자
KR0136537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50115108A (ko) 차량 시트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