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37Y1 -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37Y1
KR0136537Y1 KR2019960042454U KR19960042454U KR0136537Y1 KR 0136537 Y1 KR0136537 Y1 KR 0136537Y1 KR 2019960042454 U KR2019960042454 U KR 2019960042454U KR 19960042454 U KR19960042454 U KR 19960042454U KR 0136537 Y1 KR0136537 Y1 KR 0136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d
support
driver
elastic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391U (ko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2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5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7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등받이와 머리지지대와의 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체위에 맞게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대가 소정 위치로 고정 설치되고, 하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축지지부가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축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선택적으로 이 맞물림 되어, 상기 회동판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판 방향으로 상기 고정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회동판과 이 맞물림 되어 있는 상기 고정판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고정판 후방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조절레버를 구성하여 선택적인 조절레버에 의해 간단히 머리지지대를 전,후로 조절하여 장거리 운행을 운전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충돌 및 추돌사고시에도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등받이와 머리지지대와의 각을 선택적으로 운전자의 체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채용되는 헤드레스트는 장시간 운행에서 오는 피로를 운전자 및 탑승자가 머리를 기대어 휴식하거나 운행할 수 있도록 시트 등받이 상부에 상,하 조절 가능한 머리지지대를 설치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의 충돌사고 및 추돌사고시 반동에 의한 충격으로 머리가 뒤로 제쳐지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등받이(2) 상부에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머리지지대(1)가 상,하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지지대(1)를 지지하는 지지봉(3)은 그 외주면에 다수의 록킹홈(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지지대(1)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3)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시트 등받이(2)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삽입홀(3a)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머리지지대(1)의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기구(5)가 상기 삽입홀(3a)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기구(5)의 구성은, 시트 등받이(2)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3a)에 삽입되는 지지봉(3)의 외주면에 형성된 록킹홈(4)에 록킹시키도록 고정기구(5)의 일측에 고리핀(5a)이 탄성지지되게 설치되는 한편, 일측이 상기 고리핀(5a)의 접촉되고 타측이 고정기구(5)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리핀(5a)을 록킹 해제시키는 조절레버(5b)가 상기 고정기구(5)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기구(5)의 작동상태를 보면, 고정기구(5) 일측의 돌출 형성된 조절레버(5b)를 회전시키면 조절레버(5b)는 힌지핀(5c)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그 단부에 연결된 고리핀(5a)을 밀게 된다. 이때 탄성적으로 지지봉(3)의 록킹홈(4)에 결합된 고리핀(5a)이 이탈되고, 지지봉(3)이 삽입홀(3a)에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원하는 머리지지대(1)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조절레버(5b)를 놓으면 고리핀(5a)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봉(3)의 록킹홈(4)에 고리핀(5a)이 록킹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시트 등받이와 머리지지대가 상,하 수직되게 조절되는 것으로서, 시트를 등받이를 뒤로재쳐 편한 자세로 운전을 하고자 할 때에는 머리지지대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머리를 전혀 받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할 때에는 운전자에게 큰 충격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 및 탑승자가 편안하게 시트 등받이를 재친 상태에서 전방 시야를 볼 수 있도록 머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충돌사고시에도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상단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대가 소정 위치로 고정 설치되고, 하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축지지부가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축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선택적으로 이 맞물림 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회동판과 이 맞물림 되어 있는 상기 고정판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고정판 후방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 를 나타낸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봉 11 : 회동판
20 : 지지레버 21 : 고정판
22 : 탄성스프링 30 : 축지지부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요부발췌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 1 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머리지지대(1)가 일측에 설치되고, 그 타측이 시트 등받이(2) 내측에 축지지하는 축지지부(30)에 지지되어 전, 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봉(10)이 형성된다. 또한 축지지부(30)에 상기 지지봉(10)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되게 소정의 지름을 갖는 회동판(11)이 형성되며, 이 회동판(11)과 이 맞물림 되어 회동판(1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고정판(21)이 축지지부(30)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한편, 고정판(21)의 후면에는 회동판(11) 방향으로 고정판(21)이 이 맞물림 되어 지지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22)이 위치하며, 상기 탄성스프링(2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회동판(11)에 이 맞물림 되어 있는 고정판(21)을 선택적으로 록킹 해제하도록 고정판(21)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레버(20)가 시트 등받이(2)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트 등받이(2) 상측으로 지지봉(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머리지지대(1)를 전,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시트 등받이(2) 상측에 돌출형성된 지지레버(20)를 당기다. 이때 지지레버(20)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21)이 후방에 설치된 탄성스프링(22)을 극복하면서 회동판(11)에 이 맞물림 되어 있는 고정판(21)이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회동판(11)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10)이 축지지부(30)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원하는 머리지지대(1)와 시트 등받이(2)와의 각을 조절한 후, 지지레버(20)를 놓으면 탄성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해 고정판(21)이 회동판(11)을 이 맞물림 하여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후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는 선택적인 조절레버의 의해 간단히 머리지지대를 전,후로 조절하여 장거리 운행을 운전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충돌 및 추돌사고시에도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상단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대(1)가 소정 위치로 고정 설치되고, 하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축지지부(30)가 형성된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의 축지지부(30)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11)과; 상기 회동판(11)과 선택적으로 이 맞물림 되어, 상기 회동판(1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고정판(21)과; 상기 고정판(21)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판(11) 방향으로 상기 고정판(2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22)과; 상기 탄성스프링(2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회동판(11)과 이 맞물림 되어 있는 상기 고정판(21)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고정판 (21)후방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조절레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19960042454U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0136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454U KR0136537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454U KR0136537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391U KR19980029391U (ko) 1998-08-17
KR0136537Y1 true KR0136537Y1 (ko) 1999-03-20

Family

ID=1947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454U KR0136537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5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623B1 (ko) * 2010-08-18 2012-05-11 (주)파랑 넥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391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950B2 (en) Head restraint system
US6550856B1 (en) Vehicle seat
GB2418849A (en) Linear adjustable active head restraint
US6786552B2 (en) Catch hook for a backrest adjustment armature in the seats of motor vehicles
KR0136537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KR101435202B1 (ko) 충돌상해방지를 위한 자동차 시트백용 충격흡수장치
JP2002274240A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31807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200147483Y1 (ko) 자동차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KR0138202Y1 (ko)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0237317Y1 (ko) 자동차용시트백의고정구조
JPS5849868Y2 (ja) 乗用車用ヘツドレスト付後部座席
JPH0154214B2 (ko)
KR100439910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KR200386997Y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KR100199617B1 (ko) 자동차의 시트 체결구조
KR940006895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회전장치
KR200358939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387655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 장치
KR100292865B1 (ko) 자동차용리어시트의쿠션조절장치
KR100410728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틸팅구조
KR0145968B1 (ko) 회동가능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569365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