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273A -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273A
KR20200134273A KR1020207029942A KR20207029942A KR20200134273A KR 20200134273 A KR20200134273 A KR 20200134273A KR 1020207029942 A KR1020207029942 A KR 1020207029942A KR 20207029942 A KR20207029942 A KR 20207029942A KR 20200134273 A KR20200134273 A KR 20200134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ackrest
locking
inclination
chil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트 뉴브라이트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3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8Adaptations for seat belts characterised by guiding means for childr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002/28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영역(10), 백레스트(11),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19)를 갖는 헤드레스트(13), 및 백레스트(11)에 대한 헤드레스트(13)의 경사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 경사 조절 장치(23)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장착 가능한 어린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자동차 시트에 장착 가능한 어린이 시트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어린이 시트는 헤드레스트를 가질 수 있고 자동차의 벨트 시스템에 부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어린이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외피 또는 시트 영역과 백레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도 원칙적으로 이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맥락에 있어서, "어린이 시트"라는 용어는 "고전적인(classical)" 어린이 시트 및 유아 캐리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이해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어린이 시트는, 백레스트가 시트 영역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되고, 필요한 경우, 시트 영역에 대하여 그 경사가 변화될 수 있는 (고전적인) 어린이 시트(보다 큰 어린이용, 예를 들면, I/II 및/또는 III 그룹의 어린이 시트)이다. 구조적 설계는 구부러짐(kink)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특정 맥락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어린이 시트는 항상 "어린이 시트, 특히, 유아 캐리어"의 약식 형태로서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어린이 시트에 대해 의도된 특징은 (이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유아 캐리어에도 적용 가능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어린이, 아기 및 유아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도 이해되는 "어린이"라는 용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소위 "유아 캐리어"는 종종 아기 또는 어린이를 유지하기 위해 (단 하나의) 일체형 외피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별도의 벨트 시스템, 헤드레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다른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별개의) 백레스트 대신, 이러한 "유아 캐리어"는 어린이의 둔부가 수용될 수 있는 "시트 영역"에 연결되는 배면 부분(back section)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어린이 시트에서 어린이는 자동차의 3점 벨트 또는 어린이 시트 자체에 구비되는 벨트(예를 들면, 5점 벨트, 가슴 벨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벨트는 시트에 있는 어린이의 골반의 대향측을 향하여 한쪽 어깨에 걸쳐 지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벨트가 제공될 수 있고, 각 벨트는 한쪽 어깨에 걸쳐 지나간다.
또한, 최신 기술은 일반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은, 특히, (성장하는) 어린이의 각각의 크기에 맞게 어린이 시트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알려진 헤드레스트의 적응성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으로 높은 수준의 편안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어린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에 있어서, 시트 영역, 백레스트, 헤드레스트, 및 백레스트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경사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경사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어린이 시트에 의해 해결된다. 이는 헤드레스트의 경사가 그에 따라 조절되도록 한다(특히, 보다 평탄한 위치 또는 휴식 위치 또는 덜 평탄한 위치 또는 어린이가 활동할 수 있는 직립 위치). 특히, 헤드레스트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벨트 가이드를 포함하여야 하며, 백레스트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경사의 가능한 조절은 적어도 하나의(이 경우, 함께 회전하는) 벨트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핵심 아이디어는 백레스트에 대한 경사가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제2 양태는 이러한 경사 조절 가능 헤드레스트가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그런 다음, 헤드레스트의 경사가 변경되면, 벨트 가이드는 헤드레스트의 일부로서 헤드레스트와 함께 선회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의 경사를 변경하면, (예를 들면, 충격 시) 어린이의 신체에 작용하는 힘도 달라지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헤드레스트의 경사의 변화에 따라 벨트 가이드도 선회한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는 발생하는 힘의 변화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비교적으로 높은 안전 요건을 충족시키는 편안한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벨트 가이드는, 예를 들면, 요홈 및/또는 개구(슬릿) 형태의 수용기이며, 이는 안전 벨트의 부분이 수용되거나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벨트 가이드는 스레딩(threa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벨트 가이드의 (의도하지 않은) 풀림은 적어도 더 어려워진다. 대응하는 차단 장치(예를 들면, 특히, 벨트 가이드의 U-형상 단면의 U-레그의 내측에서의 돌기의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벨트 가이드의 단면은 U-형상일 수 있다. U-형상 단면은 하부 레그 및 상부 레그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면, 차단 장치(제공되는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레그 상에 구비된다. U-레그가 U-레그 사이의 거리보다 적어도 두 배가 되도록 U-형상은 비교적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된 공동 회전 벨트 가이드에 대안으로서 또는 이에 추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는 헤드레스트의 경사가 조절될 때(그리고, 헤드레스트가, 예를 들면, 백레스트 상에, 특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장착 요소 상에 구비(또는, 필요한 경우, 이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때) 함께 회전하지 않고, 즉, 회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필요한 경우,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와 함께 회전(선회)하는 벨트 가이드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충격 상황에서 힘이 벨트 가이드를 통하여 헤드레스트의 선회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전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경사의 변화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이동(회전)이다.
바람직하게는, 헤드레스트는 경사 조절과 함께 회전하는 측면 치크(side cheek)를 포함한다. 특히, 측면 치크는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일체형 부분이다(측면 치크가, 예를 들면, 더 외측으로 또는 더 내측으로 접힐 수 있거나 헤드레스트의 다른 부품에 대하여 적어도 본질적으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 헤드레스트의 경사와 관계없이 측면 치크의 보호 기능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측면 치크의 이러한 공동 회전은 한편으로는 편안함을 개선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적으로 높은 수준의 안전을 확보한다.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백레스트에 대향)는 높이 조절 가능하고/하거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베이스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 베이스 부분은 결국 백레스트 내에서 또는 백레스트에 대하여 (예를 들면,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예를 들면,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3개 또는 적어도 5개)의 상이한 높이 위치를 잠그기 위해 적절한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 및 특히 그 벨트 가이드는, 벨트(안전 벨트), 특히, 차량 벨트에 가해지는 (미리 설정된) 관성력이 초과될 때, 헤드레스트(보다 급격한 경사가 가능한 상태 또는 헤드레스트가 더 상승될 수 있는 경사 위치에 있는 상태)가 보다 급격한, 특히, 가장 급격한 경사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급한 감속으로 인해 결과적인 견인력이 벨트를 통해 헤드레스트에 작용하는 경우, 헤드레스트가 (최대) 직립 위치로 이동되어, 어린이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의해 비교적으로 일찍 붙잡히며, 헤드레스트는, 제동 과정 후 또는 제동 과정 중 (백레스트를 향하여) 다시 후방으로 튕길 때, 최대로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확보한다. 이는 어린이의 머리의 이동 경로를 저감하여, 머리가 후방으로 튕길 때, 부상의 위험을 저감한다. 특히, 이는 어린이 시트의 안전을 증가시킨다. 여기에서의 이동 가능성 및 후술하는 이동 가능성은, 특히, (비가역성)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이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의도적인 약점(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파단점(breaking point) 및/또는 미리 설정된 좌굴점(buckling point))이 제공되어, 특정의 힘 역치가 초과될 때 (가능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가역적이거나 구조 파괴가 연결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헤드레스트는, (보다 급격한 경사가 가능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g(g는 중력 가속도를 나타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g,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12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 g 이하인 미리 설정된 관성력이 초과될 때 (보다 급격한 경사가 가능한 상태에서) 보다 급격한, 특히, 가장 급격한 경사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감속 과정(예를 들면, 충돌 시)에서 발생하거나 한편으로는 헤드레스트가 계속 이동하고(또는 "이동하고자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어린이 시트 전체, 특히, 백레스트가 감속하는 경우 발생하는 관성력이 적어도 비례적으로 보다 급격한 또는 가장 급격한 경사 위치가 계합되도록 하도록, 헤드레스트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힘 역치가 초과될 때) 발생하는 이러한 관성력은 (가능하게는, 벨트 가이드에 작용하는 벨트의 힘과 조합하여) 헤드레스트를 보다 급격한(가장 급격한) 경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에 충분해야 한다. 이는 어린이의 머리가 비교적으로 작은 정도로만(예를 들면, 충돌 시 제동 조작의 경우)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 시트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보하는 다른 유효한 방식이다.
예를 들면, 특정 경사 위치에서의 잠금이 특정 힘이 초과될 때까지만 유지되고 그 힘이 초과되면 잠금이 사라진다(또는 해제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관성력 및/또는 전술한 벨트의 인장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가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술한 힘 역치가 초과될 때까지만 경사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유지 장치의 (다른) 복원력 및/또는 유지력이 설정될 수 있다.
백레스트의 경사가 시트 영역 및/또는 시트 베이스(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시트 영역 및/또는 베이스에 대한) 백레스트의 경사의 변화가 (백레스트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경사의 변화를 (자동으로) 일으키고/일으키거나 그 반대도 경우가 되도록 백레스트가 헤드레스트에 결합된다. 이는, 비교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어린이가 쉴 수 있는 (백레스트의 배향이 보다 평탄하고 백레스트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배향이 보다 평탄한) 휴식 위치와, 어린이, 예를 들면, 깨어 있는 상태인 경우, 백레스트가 비교적으로 급격하게 설정되고 헤드레스트도 백레스트에 대하여 비교적으로 급격하게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체적으로 어린이 시트의 작동을 단순화한다.
(백레스트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경사는 적어도(또는 정확히) 2개 또는 적어도(또는 정확히) 3개 또는 적어도(또는 정확히) 4개 또는 적어도(또는 정확히) 5개 또는 훨씬 더 많은 상이한 경사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경사 조절의 가능한 각도 범위(즉, 머리 받이의 가장 급격한 위치에서의 각도 및 가장 평탄한 위치에서의 각도 사이의 차이)는 적어도 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및/또는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일 수 있다.
(헤드레스트 또는 머리-백레스트의) 각도는 최대 평탄 경사 위치에서 (최대 직립 백레스트의 경우, 백레스트의 경사가 그 자체로 조절 가능하다면; (시트의 사용 위치에서) 수직에 대해) 적어도 1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4° 및/또는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일 수 있다. 최대 직립 위치에서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에 대해) 적어도 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및/또는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최대 평탄 경사 위치에서,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사용 위치에서) 수직에 대해 (적어도) 후방으로 경사진다. 이는 최대 직립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어, 일반적으로(특정 위치에 관계없이), 헤드레스트는 수직에 대해 항상 (다소) 후방으로 경사진다. 헤드레스트가 여러 가지의(특히 셋 이상의) 경사 설정에서 조정(잠금)될 수 있는 경우, 개별 위치 사이의 각도 거리는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 및/또는 16°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일 수 있다.
헤드레스트를 백레스트에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경사 위치를 잠그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연결 장치는 (특히,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자유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설계에 의하면, 특히, 각각의 경우에서 서로 연결된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특히, 회동)될 수 있지만, 이러한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장치,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 등에 의해) 특히 제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3 연결 장치는 (고정형 또는 정지형) 선회 베어링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잠금 장치 및/또는 제1 연결 장치는 제3 연결 장치(선회 베어링)의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근"에 배치된다는 것은, 특히, 각각의 장치가 12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8 cm 미만의 거리 내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리가 결정된다면, 연결 또는 잠금 장치를 구현하는 대응하는 표면 부분 사이의 거리가 특히 중요하다. 고려되는 각각의 표면 사이의 최소 거리가 거리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제1 잠금 장치 및/또는 제1 연결 장치가 선회 베어링의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 대응하는 (추가적인) 연결 또는 잠금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해당 장치가 비교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면, (선회 이동의 경우) 자유 이동이 비교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제2 연결 장치는 제3 연결 장치(선회 베어링)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잠금 장치도 제3 연결 장치(선회 베어링)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특히, 원격 배치는 각각의 장치 사이의 거리가 6 cm, 바람직하게는, 10 cm 초과하는 배치이다. 이러한 (원격) 배치에서, 경사의 위치는 특히 정밀하게 설정된다.
제1 잠금 장치 및/또는 제1 연결 장치는 헤드레스트 및/또는 측면 치크의 최대의 절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잠금 장치 및/또는 제2 연결 장치는 헤드레스트 및/또는 측면 치크의 높이의 적어도 절반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잠금 장치 및/또는 제2 연결 장치는 헤드레스트 및/또는 측면 치크의 높이의 적어도 3/4에 배치될 수 있다.
백레스트에 대한 선회 베어링의 상대 선회 위치는 경사가 변화될 때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선회 베어링은 (그 자체로) 백레스트에 대하여 선회 이동 가능하지 않다(그러나, 예를 들면, 대응하는 이동 가능 베어링 요소에 의해 병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잠금 장치 및/또는 제2 잠금 장치 및/또는 제1 연결 장치 및/또는 제2 연결 장치는 (선회 베어링의) 제3 연결 장치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가이드를 갖는다.
제1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홈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기를 갖는다.
제2 연결 장치 및/또는 제2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신 가능하고 접힘 가능한 부분, 특히, 관절 부분, 바람직하게는, 토글 레버 부분을 갖는다. 연신 가능하고 접힘 가능한 부분은, 특히, 헤드레스트의 최대 직립 위치에서 최대로 신장되고 헤드레스트의 최대 평탄 위치에서 최대로 접히도록 구성된다. 연신 가능하고 접힘 가능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관절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강성) 로드를 포함하며, 로드의 각각의 원위단은 한 쪽이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이 백레스트에 연결된다. 그러면, 연장된 구성으로부터 적게 연장된(접힌) 구성으로의 전환은 관절(또는 그 부품)이 접히도록 (예를 들면, 대응하는 작동 장치를 통해)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관절의 영역에 가해지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경사 위치의 변화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신장 위치는, 예를 들면, 토글 레버 구성에 의해 잠길 수 있다. 이는 연결 및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히 용이하게 한다.
제1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제1 이동 가능 연결 장치에 (또는 적어도 그 부근에) 배치되고/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이동 가능 연결 장치에 통합된다. "부근"에 배치된다는 것은, 특히, 제1 잠금 장치가 제1 (이동 가능) 연결 장치로부터 3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cm 미만으로 위치되는 배치를 의미한다. 연결 장치로의 잠금 장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의) 통합은 제1 잠금 장치 및 제1 연결 장치가 동일한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동일한 요소(부품)는 이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 장치 및 제2 잠금 장치는 공통의 연결 및 잠금 장치, 특히, 전술한 연신 가능하고 접힘 가능한 부분, 특히, 관절 부분, 바람직하게는 토글 레버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대응하는 토글 관절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수동의 작동력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는 후방 헤드레스트부 및 전방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헤드레스트부 및 후방 헤드레스트부는, 상이한 (구조적으로 획정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조적 획정은, 바람직하게는, 단계 또는 다른 불연속적 엔벨로프 및/또는 비일체형 연결 또는 재료 및/또는 형태 및/또는 2개의 부분의 힘 연결에 의한 기하학적 획정으로 이해된다.
제1 연결 장치 및/또는 제2 연결 장치 및/또는 제3 연결 장치 및/또는 제1 잠금 장치 및/또는 잠금 장치는 후방 헤드레스트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전방 헤드레스트부는 측면 치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쌀 수 있고, 적절한 경우, (어린이의 머리의 후방 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후방 머리-백레스트를 둘러쌀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후방 헤드레스트부는 후방 머리-백레스트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형성할 수 있다.
전방 헤드레스트부의 높이는 후방 헤드레스트부의 높이의 적어도 1.2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배일 수 있다. 후방 헤드레스트부는 적어도 3 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cm 및/또는 10 cm 이하로 (가장 급격한 경사 위치에서) 백레스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각각의) 측면 치크의 하방에 배치된다. 특히, 하나의 벨트 가이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의 측면 치크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경사 조절의 잠금은, 특히, 복원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대항하는 헤드레스트의 변위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이는 잠금 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계합되는 것을 확보하는 간단한 방식이다.
적어도 하나의 경사 조절의 잠금은, 바람직하게는, 헤드레스트 또는 헤드레스트의 일부(예를 들면, 드로우 바(drawbar))의 변위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품 별로 상방으로, 해제될 수 있다. 가능하게는 백레스트에 구비되거나 백레스트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요홈은,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개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헤드레스트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변위는 힘, 특히, 핸들을 통해 가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방을 향하는 인장력 및/또는 (예를 들면, 갑작스러운 제동의 경우) 벨트 가이드 내에 안내되는 벨트의 관성력 및/또는 견인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는 전술한 유형의 어린이 시트와 안전 벨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는 전술한 유형의 어린이 시트 또는 전술한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는, 전술한 유형의 어린이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경사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동 작동식 작동 장치 및/또는 헤드레스트의 관성력 및/또는 벨트 가이드 내의 벨트의 인장력을 사용하여, 헤드레스트의 경사가 백레스트에 대하여 변화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추가적인 절차적 특징은 어린이 시트 또는 시스템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기인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좌석 영역 및/또는 백레스트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특히, 백레스트를 따르는 이동 및/또는 좌석 영역을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변(조절 가능)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축을 중심으로 헤드레스트가 회전하도록 하는 선회 베어링에 의해 백레스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장치는 백레스트 및/또는 헤드레스트 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2개의(또는 셋 이상의) 회전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고정할(잠글) 수 있다. 각각의 잠금 장치는 선회 베어링에 통합될 수 있거나 선회 베어링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 선회 베어링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잠금 장치는 하나 이상의 수용기(요홈)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예를 들면, 돌기, 특히, 핀, 또는 로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래치 결합 요소가 대응하는 장치, 예를 들면, 치형(특히, 여러 개의 치형을 포함)과 계합되도록 구성되는 로드 또는 바의 형태일 수 있다.
헤드레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연결 장치에 의해 백레스트(또한, 선회 베어링)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연결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회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자유도(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이동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연결 장치는 가이드 장치(예를 들면, 홈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돌기, 특히, 핀) 또는 레일 기구 또는 관절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는 추가적인 연결 장치에 통합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연결 장치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아래에서,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면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어린이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세부 사항이다.
도 3은 헤드레스트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세부 사항이다.
도 4는 헤드레스트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도 2 및 도 3에 따른 세부 사항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다른 형태의 도 2와 유사한 세부 사항이다.
도 6은 헤드레스트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도 5에 따른 세부 사항이다.
도 7은 헤드레스트의 일탈 위치에서의 도 5 및 도 6에 따른 세부 사항이다.
도 8은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갖는 도 5로부터의 헤드레스트의 세부 사항이다.
도 9는 어린이 시트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도 2와 유사한 세부 사항이다.
도 10은 헤드레스트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도 9에 따른 세부 사항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고 동일하게 보이는 부분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어린이 시트는 시트부(10), 백레스트(11), (선택적으로) 베이스(12) 및 헤드레스트(13)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13)는 백레스트(11)에 연결된다. 백레스트(11)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예를 들면, 접이식) 측면 충격 보호 요소(14)와, 적어도 하나의 백레스트 벨트 가이드(15)를 갖는다. 시트 영역(10)은 적어도 하나의 시트 영역 벨트 가이드(16)를 갖는다.
도 2는 어린이 시트의 제1 디자인에 따른 헤드레스트(13)와 헤드레스트(13)에 인접한 백레스트(11)의 부분을 도시한다. 헤드레스트(13)는 전방 헤드레스트부(17), 후방 헤드레스트부(18) 및 헤드레스트 벨트 가이드(19)(개별적인 부분 또는 전방부(17)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전방 헤드레스트부(17)는 측면 치크(side cheek)(17a)(도 2에는 하나만 도시됨)를 갖는다. 측면 치크(17a)의 하방에는, 이와 대응하여 (2개의) 헤드레스트 벨트 가이드(19)가 있다(이에 따라, 도면 평면에 대하여 전방 벨트 가이드가 도면에서 생략됨).
이동 가능 지지 요소(20)가 백레스트(11)에 배치되는데, 이는 백레스트의 본체(21)에 대하여 (높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 요소(20)는 가요성(탄성)으로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요소(20)는 본체(21)에 대하여 (백레스트 내측에서 또는 백레스트 상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헤드레스트(13)가 백레스트(11)의 본체(21)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헤드레스트(13)는 선회 베어링(22)(= 제3 연결 장치)을 통하여 지지 요소(20)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헤드레스트 전체가 선회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 경사 조절 장치(23)의 적어도 하나의 선회 요소(23a)가 선회 베어링(22)의 선회 축(22a)을 중심으로 선회(회전)될 수 있다.
이는 도 3 및 도 4에 더 도시된다. 도 2에서 헤드레스트(13)의 머리-백레스트(24)는 (대략적으로) 백레스트(11)와 평행하다. 도 3에서 머리-백레스트(24)(그리고 이에 따른 헤드레스트(13) 전체)는 (백레스트(11)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진다. 도 4에서 머리-백레스트(24) 또는 헤드레스트(13)는 훨씬 더 후방으로 경사진다. 도 2에 따른 구성은, 예를 들면, 어린이가 깨어 있을 때, 선택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구성은, 특히, 어린이가 쉬고 있을 때, 선택될 수 있다. 도 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쉬고 있거나 활동적인 어린이에 대한 적용에 대한 절충안을 나타내는 중간 위치이다.
선회 베어링(22) 상에는 그리고/또는 선회 베어링(22) 내에는, 볼트(특히, 돌기 또는 핀) 등의 잠금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백레스트의 하나 이상의 홈 및/또는 요홈과 연동하여 상이한(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또는 정확히 3개의) 경사 위치에서 잠금을 허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기본적으로 대응하지만, 특히, 전술한 잠금 장치(도 2 내지 도 4는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지 않으며(단, 구비될 수 있음), (선회 베어링(22) 이외에도) 추가적인 연결 장치, 즉, 제1 연결 장치(25)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연결 장치(25)는 일단(26)(고정 위치)에서 백레스트(11)에 연결된다. 단부(26)에 대향하는 단부(27)에서, 제1 연결 장치(25)(또한 도 8 참조)는 잠금 치형(29)에 의해 규정되는 잠금 위치(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 요홈으로서 형성됨)(28)를 갖는다. 제1 연결 장치(25)는 대응하는 제1 잠금 장치(또는 그 일부)를 형성한다. 잠금 위치(28)는 잠금 로드의 수용을 허용한다.
후방 헤드레스트부(18)는 제1 연결 장치(25)의 요홈(링크)(32)(도 8 참조)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핀(31)을 갖는다. 슬라이딩 핀(31)은, 바람직하게는, 요홈(32)의 외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핀(31)을 고정하는(또한, 이에 따라, 백레스트 및 헤드레스트 사이의 연결을 더 고정하는) 헤드(31a)를 갖는다. 요홈(32)(링크)은 홈 또는 슬롯일 수 있다. 또한, 요홈(링크)(33)(예를 들면, 홈 또는 슬롯)이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후방 헤드레스트부(18)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요홈(링크)(33)에서, 예를 들면, 핀 또는 로드(34)(도 8에 파선으로 나타냄)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이동 가능하며 더 견고한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머리-백레스트(24)(도 5 및 도 8 참조)의 영역에는 작동 장치(35)가 구비되며, 작동 장치(35)는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잠금 로드(30)가 대응하는 잠금 위치(28)로부터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헤드레스트(13)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동 장치(35)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핸들(36)(돌기 형태)을 갖는다. 작동 장치(35)를 당기는(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잠금 로드(3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어, 제1 연결 장치(25)가 헤드레스트(13)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요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후방 헤드레스트부(18)에 구비될 수 있고, 요홈에서 잠금 로드(30)가 이동될 수 있으며, 요홈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잠금 위치(28)와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장치(35)는 작동 장치의 작동 없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취해지도록 하는 복귀 장치(특히, 복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태는 (정확히) 하나의 잠금 치형(29)(백레스트에 대한 잠금 로드(30)의 이동을 차단함) 및 요홈(32)(도 8 참조; 슬라이딩 핀(31)이 백레스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의 전단에 의해 잠길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2개의 잠금 치형(29) 사이에서 정확히 하나(즉, 최후방)의 잠금 치형 잠금 로드(30)에 의해 잠길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어린이 시트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헤드레스트(13)는 도 2 내지 도 4 및/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 전부를 가질 수 있다(적용 가능하다면, 도 2 내지 도 4와 연관되어 설명되지만 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잠금 장치가 구비되지 않고/않거나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연결 장치를 구비하지 않음). 또한, 도 9 및 도 10에 따른 헤드레스트(13)는 헤드레스트(13) 및 백레스트(11)를 관절 연결로서 연결하는 제2 연결 장치(37)를 가질 수 있으며, (2개의 관절 요소(39a, 39b)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관절(38)을 갖는다. 제2 연결 장치(37)는 도 9에 따른 상태 및/또는 도 10에 따른 상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상태를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연결 장치(37)는, 예를 들면, 토글 레버 기구를 가질 수 있다.
이 점에서, 전술한 부분 전부는, 그 자체 및 임의의 조합으로 볼 때, 본 발명, 특히, 도면에 도시된 세부 사항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부분의 수정은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10 시트 영역
11 백레스트
12 베이스
13 헤드레스트
14 측면 충격 보호 요소
15 백레스트 벨트 가이드
16 시트 벨트 가이드
17 전방 헤드레스트부
17a 측면 치크
18 후방 헤드레스트부
19 (헤드레스트) 벨트 가이드
20 지지 요소
21 본체
22 선회 베어링
23 헤드레스트 경사 조절 장치
23a 선회 요소
24 머리-백레스트
25 제1 연결 장치
26 단부
27 단부
28 잠금 위치
29 잠금 치형
30 잠금 로드
31 슬라이딩 핀
32 요홈
33 요홈
34 핀 또는 로드
35 작동 장치
36 작동 핸들
37 제2 연결 장치
38 관절
39a 관절 요소
39b 관절 요소

Claims (14)

  1. 시트 영역(10),
    백레스트(1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19)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13), 및
    상기 백레스트(11)에 대한 상기 헤드레스트(13)의 경사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 경사 조절 장치(23)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는 상기 경사가 조절될 때 상기 헤드레스트(13)와 함께 회전하는 측면 치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는 높이 조절 가능하거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 특히, 그 벨트 가이드(19)는, 벨트에 가해지는 미리 설정된 인장력이 초과되는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13)가 (보다 급격한 경사가 가능한 상태에서) 보다 급격한, 특히, 가장 급격한 경사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는, (보다 급격한 경사가 가능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관성력이 초과되는 경우 보다 급격한, 특히, 가장 급격한 경사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스트(11)의 경사는 상기 시트 영역(10) 및/또는 베이스(12)에 대하여 조절 가능하고,
    상기 백레스트(1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레스트(11)의 경사의 변화가 상기 헤드레스트(13)의 경사의 변화를 일으키고/일으키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1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의 적어도 세가지의 상이한 경사가 조절 가능하고/하거나, 경사 조절의 각도 범위는 적어도 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및/또는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자유도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장치(25) 및/또는 제2 연결 장치(37), 및/또는 제3 연결 장치(22), 특히, 헤드레스트 및 백레스트를 연결하는 선회 베어링, 및/또는 헤드레스트(13) 및 백레스트(11)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장치(28, 29) 및/또는 제2 잠금 장치(38, 39a, 39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잠금 장치(28, 29) 및/또는 상기 제1 연결 장치(25)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연결 장치(22)의 부근에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제2 잠금 장치(38, 39a, 39b) 및/또는 상기 제2 연결 장치(37)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연결 장치(22)으로부터 멀리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제1 잠금 장치(28, 29) 및/또는 상기 제1 연결 장치(25)는 상기 헤드레스트(13) 및/또는 상기 측면 치크(17a)의 최대의 절반 높이에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제2 잠금 장치(38, 39a, 39b) 및/또는 상기 제2 연결 장치(37)는 상기 헤드레스트(13) 및/또는 상기 측면 치크(17a)의 높이의 적어도 절반에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백레스트(11)에 대한 상기 제3 연결 장치(22)의 상대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가 변경되는 경우 동일하게 유지되고/되거나,
    상기 제1 잠금 장치(28, 29) 및/또는 제2 잠금 장치(38, 39a, 39b) 및/또는 상기 제1 연결 장치(25) 및/또는 제2 연결 장치(37)는 상기 제3 연결 장치(22)의 상방에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제1 연결 장치(22)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가이드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제1 잠금 장치(28, 29)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홈(28)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기(29)를 갖고/갖거나,
    상기 제2 연결 장치(37) 및/또는 상기 제2 잠금 장치(38, 39a, 39b)는 적어도 하나의 연신 가능하고 접힘 가능한 부분, 특히, 관절 부분, 바람직하게는, 토글 레버 부분을 갖고/갖거나,
    상기 제1 잠금 장치(28, 29)는 상기 제1 연결 장치(25)에 또는 상기 제1 연결 장치(25)의 부근에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제1 연결 장치(2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고/되거나,
    상기 제2 연결 수단(37) 및 제2 잠금 수단은 공통 연결 및 잠금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는 후방 헤드레스트부(18) 및 전방 헤드레스트부(17)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헤드레스트부(17) 및 상기 후방 헤드레스트부(18)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상이한 구조적으로 획정된 요소로 형성되고/되거나,
    상기 제1 연결 장치(25) 및/또는 제2 연결 장치(27) 및/또는 제3 연결 장치(22) 및/또는 상기 제1 잠금 장치(28, 29) 및/또는 제2 잠금 장치(38, 39a, 39b)는 상기 후방 헤드레스트부(18) 상에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전방 헤드레스트부(17)는 상기 측면 치크(17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1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면 치크(17a)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 조절의 잠금은, 특히, 복원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대항하는 상기 헤드레스트(13)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3)의 일부의 변위에 의해 해제 가능하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경사 설정의 잠금은 상기 헤드레스트(13)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3)의 일부의 변위에 의해 적어도 부품 별로 상방으로 해제 가능하고, 가능하게는 상기 백레스트(11) 상에 구비되거나 상기 백레스트(11)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요홈(28)이,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개방되고/되거나, 가능하게는 상기 헤드레스트(13) 상에 구비되거나 상기 헤드레스트(13)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개구가, 바람직하게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변위는, 바람직하게는, 핸들(36)을 통하여 작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방을 향하는, 힘, 특히, 인장력 및/또는 관성력 및/또는 상기 벨트 가이드(19)에 안내되는 벨트의 인장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린이 시트와, 안전 벨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린이 시트를 구비하거나 제11항에 따른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헤드레스트(13)의 경사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의 경사는 백레스트(11)에 대하여 변화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장치(35, 36) 및/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3)의 관성력 및/또는 벨트 가이드(19) 내의 벨트의 인장력이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KR1020207029942A 2018-03-21 2019-03-19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KR20200134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1575.3 2018-03-21
DE202018101575.3U DE202018101575U1 (de) 2018-03-21 2018-03-21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CT/EP2019/056752 WO2019179968A1 (de) 2018-03-21 2019-03-19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273A true KR20200134273A (ko) 2020-12-01

Family

ID=6595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942A KR20200134273A (ko) 2018-03-21 2019-03-19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85259B2 (ko)
EP (1) EP3768552A1 (ko)
JP (1) JP7490562B2 (ko)
KR (1) KR20200134273A (ko)
CN (1) CN112074434B (ko)
DE (1) DE202018101575U1 (ko)
WO (1) WO2019179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101575U1 (de) 2018-03-21 2019-06-24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5141A (de) * 1971-03-08 1973-03-31 Radioelectrique Comp Ind Nackenstütze
DE2206329C2 (de) * 1972-02-10 1984-06-14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sitze
JP2001191825A (ja) * 2000-01-12 2001-07-17 Araco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US6655702B2 (en) * 2002-01-15 2003-12-02 Patent Holding Company Combination vehicle passenger seat/child stroller
DE10329924B3 (de) 2003-07-02 2005-02-10 Concord Kinderautositze Gmbh & Co. Kg Kindersitz
DE102004046163A1 (de) * 2004-08-12 2006-02-23 Columbus Trading-Partners Pos und Brendel GbR (vertretungsberechtigte Gesellschafter Karin Brendel, 95503 Hummeltal und Bohumila Pos, 95445 Bayreuth) Kindersitz für Kraftfahrzeuge
GB0605100D0 (en) * 2006-03-14 2006-04-26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headrest
GB0605499D0 (en) * 2006-03-17 2006-04-26 Britax Roemer Kindersicherheit Gmbh Belt guide
CN200960864Y (zh) * 2006-04-04 2007-10-17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设有侧翼的座椅
CN102815234B (zh) * 2011-06-07 2015-06-0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GB2549669B (en) * 2011-09-08 2018-04-11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CN203601063U (zh) * 2012-11-02 2014-05-2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座椅
US20160114705A1 (en) * 2014-10-26 2016-04-2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afety seat
DE202016104181U1 (de) 2016-07-29 2016-08-10 Cybex Gmbh Kindersitz zum Anbringen auf einem Kraftfahrzeug
CN206141377U (zh) * 2016-08-31 2017-05-03 宁波源元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座椅的头枕调节机构
CN206690926U (zh) * 2017-03-15 2017-12-01 常州安宝宝儿童座椅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DE202018101575U1 (de) 2018-03-21 2019-06-24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9968A1 (de) 2019-09-26
US11485259B2 (en) 2022-11-01
DE202018101575U1 (de) 2019-06-24
JP2021518306A (ja) 2021-08-02
CN112074434A (zh) 2020-12-11
EP3768552A1 (de) 2021-01-27
CN112074434B (zh) 2024-03-15
US20210016691A1 (en) 2021-01-21
JP7490562B2 (ja) 202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531B1 (en) Vehicle seat for reversible occupant travel
US4655503A (en) Vehicular seat
US8540308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20070296260A1 (en) Head Rest Assembly
US7137667B2 (en) Vehicle seat and its application to a rear seat
CA3023122C (en) Multi-position anti-rebound bar
EP2527228B1 (en) Foldable stroller
JP2004509001A (ja) 折り畳み位置を備えた車両用座席
KR19980070368A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KR102351817B1 (ko) 어린이 안전 시트
US10604034B2 (en) Child safety seat
US20140077545A1 (en) Child seat, particularly a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KR100461102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200134273A (ko)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US20100060056A1 (en) Safety device for a child seat in a vehicle
CN112203921B (zh) 婴儿车
KR102349798B1 (ko)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AU2007226389A1 (en) Child safety seat headrest
GB2338181A (en) Child and baby seat for a vehicle
TWI835171B (zh) 兒童安全座椅
KR10074787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해제 방지구조
CN215971213U (zh) 儿童安全座椅
AU2020201572B2 (en) Child safety seat
TW202300358A (zh) 兒童安全座椅
KR200477677Y1 (ko)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