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98B1 -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 Google Patents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98B1
KR102349798B1 KR1020200064722A KR20200064722A KR102349798B1 KR 102349798 B1 KR102349798 B1 KR 102349798B1 KR 1020200064722 A KR1020200064722 A KR 1020200064722A KR 20200064722 A KR20200064722 A KR 20200064722A KR 102349798 B1 KR102349798 B1 KR 10234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ooster seat
rotatably coupled
seat cushion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465A (ko
Inventor
황순현
조동우
손정섭
이승택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7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에 관한 것으로, 미세 높이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다리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부스터 시트의 높이 조절시 전면부 대비 후면부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하여 다리가 짧은 유아의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하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상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부스터 시트쿠션;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일측단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부스터 시트쿠션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상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부스터 시트쿠션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시저스링크; 상기 한 쌍의 시저스링크에서 마주하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단부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시저스링크부가 무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전방에서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전, 후 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의 회전시 탑승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풋레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Vehicle seat with continuously height adjustable child booster device}
본 발명은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어린이용 부스터 시트에 관한 것으로, 무단 미세조정구조에 의해 원하는 높이로의 조절이 가능하고, 유아의 다리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며, 시트의 높이 조절시 전면부 대비 후면부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하되 충돌시 쿠션의 각도가 안정적으로 대퇴부를 지지하는 범위 내에서 조정되도록 구성하여 다리가 짧은 유아의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성인의 평균적인 체격을 기준으로 제작되므로, 차량 시트의 안전벨트도 당연히 성인 기준으로 제작된다. 이로 인해, 유아가 성인 기준의 차량 시트에 착석하여 안전벨트를 매게 되면, 안전벨트가 유아의 어깨를 가로지르게 되는 것이 아니라 목 부분에 걸리게 되므로, 충돌 사고시에는 물론이고 평상시에도 안전벨트에 의해 찰과상을 입을 수 있는 등 대단히 위험하다. 따라서, 차량 운행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유아전용의 안전벨트가 달린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장착하여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시트는 차량시트에 탈부착함에 따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이 번거로워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며, 또한 차량시트로부터 분리된 카시트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로 하여 보관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쿠션의 높이를 높여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는 시트의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됨으로서 다양한 체구를 갖는 유아의 착좌시 미세한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다리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자중에 의해 다리 눌려 혈액순환 저하 등으로 인한 피로도고 상승되어 사용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94347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 높이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다리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부스터 시트의 높이 조절시 전면부 대비 후면부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하되 충돌시 쿠션의 각도가 안정적으로 대퇴부를 지지하는 범위 내에서 조정되도록 하여 다리가 짧은 유아의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상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하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상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부스터 시트쿠션;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일측단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부스터 시트쿠션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상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부스터 시트쿠션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시저스링크; 상기 한 쌍의 시저스링크에서 마주하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단부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시저스링크부가 무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전방에서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전, 후 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의 회전시 탑승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풋레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은 전방의 상승폭보다 후방의 상승폭이 크게 형성되고 시트백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시저스링크의 제1링크의 길이가 제2링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가이드슬롯의 경사각보다 하부가이드슬롯의 경사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분에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제2링크에 연결되어 시저스링크의 상하 작동시 안정적으로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밸런스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풋레스트부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전방에 결합되고 일측 양단으로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패널; 상기 받침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되, 하부 일측단에 구비된 힌지축을 통해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받침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착좌할 경우 전방으로 회전시켜 받침패널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회전쿠션부; 상기 끼움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패널의 힌지축과 탄력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회전쿠션부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회전쿠션부의 힌지축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쿠션부의 회전시 회전하게 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에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회전캠이 회전시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회전캠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회전캠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회전캠 방향으로 전진하여 회전캠과 맞물리게 되는 구동캠; 상기 구동캠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캠을 회전캠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캠이 회전캠에 연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구동캠의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구동캠이 회전하지 않고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로드의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여 로드의 미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속부; 상기 구속부를 통한 로드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 로드의 이동을 통한 부스터 시트쿠션의 작동이 이루어지하며 레버와 연결되는 제1케이블; 상기 구속부와 연결되고 시트백의 폴딩시 로드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폴딩과 연동되어 부스터 시트쿠션이 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하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상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부스터 시트쿠션;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일측단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부스터 시트쿠션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상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부스터 시트쿠션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시저스링크; 상기 한 쌍의 시저스링크에서 마주하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단부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시저스링크부가 무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전방에서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전, 후 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의 회전시 탑승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풋레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시저스링크의 높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해주는 모터와,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저스링크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스터 시트쿠션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안락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스터 시트쿠션의 상승시 후방측의 상승각도가 전방층 상승각도보다 크게 형성하여 다리가 짧은 유아의 착좌 안락성이 향상되고, 상승되는 부스터 시트쿠션과 시트백과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끼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풋레스트부의 작동을 통해 탑승자의 다리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탑승자의 피로도를 최소화시켜주고, 회전쿠션부를 언폴딩하는 과정에서 탄성조절부를 통해 회전쿠션부의 급격한 회전을 막고 최대각도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부드럽게 회전하게 됨으로써 구동 감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폴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폴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터 시트쿠션의 대퇴부 지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가 설치된 유아용 부스터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조절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폴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폴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터 시트쿠션의 대퇴부 지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착좌하는 부스터 시트쿠션(200)과,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부스터 시트쿠션(200)을 연결하여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한 쌍의 시저스링크(300)와, 상기 한 쌍의 시저스링크(300)를 연결하여 일체로 작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400)와, 상기 연결부재(4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시저스링크(300)가 무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부(500)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전방에서 베이스패널(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전, 후 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의 회전시 탑승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풋레스트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패널(100)은 상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 전, 후 방향을 향해 하부가이드슬롯(110)이 형성된다.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200)은 도 5 에서와 같이 쿠션지지패널(220)과 상기 쿠션지지패널(220)의 상부에 설치되고 탑승자가 착좌하는 쿠션부(230)와, 상기 쿠션지지패널(2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가이드슬롯(110)에 대응되도록 하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슬롯(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쿠션지지패널(220)은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221)는 차량이 전방충돌 등과 같은 상황에서 탑승자의 대퇴부 지지해주게 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충돌시 탑승자가 전방으로 밀리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221)에 의해 대퇴부가 지지됨으로서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후술되는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작동시 후방측 상승폭을 전방측 상승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탑승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충돌시 연결부재(400)가 경사부(221)에 지지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시저스링크(300)는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하부가이드슬롯(110)을 따라 일측단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310)와, 상기 제1링크(310)와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에 힌지(330)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측단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상부가이드슬롯(21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32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00)는 한 쌍의 시저스링크(300)에서 마주하는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의 단부를 연결해줌으로서 한 쌍의 시저스링크(330)가 일체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저스링크(300)는 상기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를 연결하는 힌지(330)부분에 끼워지고 제2링크(320)에 단부가 연결되어 시저스링크(300)의 상하 작동시 안정적으로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밸런스 스프링(3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링크에(320)는 상기 밸런스 스프링(340)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321)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저스링크(300)는 제1링크(310)의 길이가 제2링크(3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전방 상승폭보다 후방의 상승폭이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상승시 전방보다 후방의 상승폭이 더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다리가 짧은 어린 유아가 탑승할 경우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상승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데 이때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후방측 상승폭을 전방측 상승폭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다리가 짧은 어린 유아의 착좌 자세가 보다 편하게 유지되어 안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 에서와 같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가이드슬롯(210)의 경사각(A)보다 하부가이드슬롯(110) 경사각(B)을 더 크게 형성하여 부스터 시트쿠션(20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시트백(10)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의 길이 차이에 의해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전방측 상승폭 보다 후방측 상승폭이 클 경우 부스터 시트쿠션(200)과 시트백(10)과의 이격공간이 증가되어 유아가 끼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부가이드슬롯(210)의 경사각(A)보다 하부가이드슬롯(110)의 경사각(B)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서 부스터 시트쿠션(200)과 시트백(10)과의 이격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 부스터 시트쿠션(200)이 작동되어 유아가 이격공간으로 끼게 되는 방지하면서 안락성을 향상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풋레스트부(600)는,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전방에 결합되고 일측 양단으로 끼움부(611)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패널(610)과, 상기 받침패널(610)의 상부에 설치되되, 하부 일측단에 구비된 힌지축(621)을 통해 상기 끼움부(611)에 끼워져 받침패널(6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착좌할 경우 전방으로 회전시켜 받침패널(610)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회전쿠션부(620)와, 상기 끼움부(6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쿠션부(620)의 힌지축(621)과 탄력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회전쿠션부(620)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조절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쿠션부(620)는 성인이 탑승하는 조건에서는 받침패널(610)의 상부에 폴딩 되도록 구성되고 유아가 탑승할 경우에는 전방으로 언폴딩 하게 됨으로써 받침패널(610)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유아의 다리가 놓여 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유아는 언폴딩된 회전쿠션부(620)의 배면까지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발을 받쳐주기 위한 공간이 확대되도록 한다.
한편 탄성조절부(630)는, 도 7 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쿠션부(620)의 힌지축(621)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쿠션부(620)의 회전시 축 회전하게 되는 회전캠(631)과, 상기 회전캠(631)에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회전캠(631)이 회전시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회전캠(631)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회전캠(631)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회전캠(631) 방향으로 전진하여 회전캠(631)과 맞물리게 되는 구동캠(632)과, 상기 구동캠(632)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캠(632)을 회전캠(631)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캠(632)이 회전캠(631)에 지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633)과, 상기 구동캠(632)의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구동캠(632)이 회전하지 않고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커버(6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캠(632)의 외면에는 다수의 가이드홈(63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커버(634)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632a)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634a)가 형성되어 구동캠(632)가 가이드커버(634)에 가이드된 상태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조절부(630)는 회전쿠션부(6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쿠션부(620)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해주게 된다.
한편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부(500)는, 시저스링크(200)의 높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해주는 모터(510)와, 상기 연결부재(40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모터(510)의 작동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저스링크(200)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드 스크류(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부(500)는 도 8,9에서와 같이 연결부재(400)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로드(540)와, 상기 로드(5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로드(540)의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여 로드(540)의 미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속부(530)와, 상기 구속부(530)를 통한 로드(540)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 로드의 이동을 통한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레버(도시없음)와 연결되는 제1케이블(550)과, 상기 구속부(530)와 연결되고 시트백(10)의 폴딩시 로드(540)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10)의 폴딩과 연동되어 부스터시트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케이블(5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속부(530)는 로드(540)의 외면을 감싸 조여줌으로써 로드(540)와의 마찰력을 통해 로드를 구속해주는 코일스프링(531)과, 상기 코일스프링(531)과 로드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블(550)과 제2케이블(560)에 연결되어 제1케이블(550)과 제2케이블(5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531)의 조임력을 조절해주는 커버부(5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에에 의한 작동부(500)는 시저스링크(200)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트백(10)과 연동되도록 하여 시트백(10)의 작동시 부스터 시트쿠션이 연동되어 폴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의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부스터 시트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풋레스트부(600)의 받침패널(610) 상부에 폴딩되어 있는 회전쿠션부(620)를 언폴딩시켜 펼쳐준다.
이후 작동부(500)를 작동시켜 시저스링크(300)의 구동을 통한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적절히 조절해주게 된다.
이때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높이를 조절해 주는 과정에서 유아의 신체 크기에 맞도록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해주게 됨으로써 사용 및 작동성이 뛰어나다.
한편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시저스링크(300)는 제1링크(310)의 길이가 제2링크(3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부가이드슬롯(110)의 경사각(A)보다 하부가이드슬롯(210)의 경사각(B)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부스터 시트쿠션(200)의 후방측 상승폭이 전방측 상승폭보다 크게 상승함과 동시에 시트백(10)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시키면서 상승하게 됨으로서 다리가 짧은 어린 유아의 안락성이 향상되고 시트백과의 이격공간으로 끼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쿠션부(620)를 언폴딩하는 과정에서 탄성조절부(630)를 통해 회전쿠션부(630)의 급격한 회전을 막고 최대각도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부드럽게 회전하게 됨으로써 구동 감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시트백 (100) : 베이스패널
(110) : 하부가이드슬롯 (200) : 부스터 시트쿠션
(210) : 상부가이드슬롯 (220) : 쿠션지지패널
(221) : 경사부 (230) : 쿠션부
(300) : 시저스링크 (310) : 제1링크
(320) : 제2링크 (321) : 걸림턱
(330) : 힌지 (340) : 밸런스 스프링
(400) : 연결부재 (500) : 작동부
(510) : 모터 (520) : 리드 스크류
(530) : 구속부 (531) : 코일스프링
(532) : 커버부 (540) : 로드
(550) : 제1케이블 (560) : 제2케이블
(600) : 풋레스트부 (610) : 받침패널
(611) : 끼움부 (620) : 회전쿠션부
(621) : 힌지축 (630) : 탄성조절부
(631) : 회전캠 (632) : 구동캠
(633) : 탄성스프링 (634) : 가이드커버

Claims (7)

  1. 상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하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상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부스터 시트쿠션;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일측단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부스터 시트쿠션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상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부스터 시트쿠션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시저스링크;
    상기 한 쌍의 시저스링크에서 마주하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단부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시저스링크부가 무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전방에서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전, 후 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의 회전시 탑승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풋레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로드의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여 로드의 미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를 통한 로드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 로드의 이동을 통한 부스터 시트쿠션의 작동이 이루어지하며 레버와 연결되는 제1케이블과, 상기 구속부와 연결되고 시트백의 폴딩시 로드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폴딩과 연동되어 부스터 시트쿠션이 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은 전방의 상승폭보다 후방의 상승폭이 크게 형성되고 시트백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시저스링크의 제1링크의 길이가 제2링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가이드슬롯의 경사각보다 하부가이드슬롯의 경사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분에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제2링크에 연결되어 시저스링크의 상하 작동시 안정적으로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밸런스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부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전방에 결합되고 일측 양단으로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패널;
    상기 받침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되, 하부 일측단에 구비된 힌지축을 통해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받침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착좌할 경우 전방으로 회전시켜 받침패널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회전쿠션부;
    상기 끼움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쿠션부의 힌지축과 탄력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회전쿠션부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회전쿠션부의 힌지축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쿠션부의 회전시 회전하게 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에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회전캠이 회전시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회전캠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회전캠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회전캠 방향으로 전진하여 회전캠과 맞물리게 되는 구동캠;
    상기 구동캠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캠을 회전캠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캠이 회전캠에 지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구동캠의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구동캠이 회전하지 않고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6. 삭제
  7. 상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하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면 전방의 좌, 우 양측에서 전, 후방향을 향해 상부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부스터 시트쿠션;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일측단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부스터 시트쿠션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상부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부스터 시트쿠션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시저스링크;
    상기 한 쌍의 시저스링크에서 마주하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단부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시저스링크부가 무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부;
    상기 부스터 시트쿠션의 전방에서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전, 후 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의 회전시 탑승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풋레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시저스링크의 높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해주는 모터와,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저스링크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KR1020200064722A 2020-05-29 2020-05-29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KR10234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22A KR102349798B1 (ko) 2020-05-29 2020-05-29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22A KR102349798B1 (ko) 2020-05-29 2020-05-29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65A KR20210147465A (ko) 2021-12-07
KR102349798B1 true KR102349798B1 (ko) 2022-01-11

Family

ID=7886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722A KR102349798B1 (ko) 2020-05-29 2020-05-29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677B1 (ko) * 2022-01-11 2024-01-15 대원강업주식회사 어린이용 부스터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88Y1 (ko) 2016-06-03 2016-12-28 최기흠 유아용 발받침기구
KR101819451B1 (ko) 2016-09-21 2018-01-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차일드 부스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5743B (en) * 1994-01-21 1997-06-04 Kab Seating Ltd Seat adjustment mechanisms
JPH09254691A (ja) * 1996-03-21 1997-09-30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支持装置
JP3858307B2 (ja) * 1996-08-20 2006-12-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座面高さ可変の車両用シート
KR19980031560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KR101943476B1 (ko) 2017-07-25 2019-01-30 대일공업 주식회사 유아용 차량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88Y1 (ko) 2016-06-03 2016-12-28 최기흠 유아용 발받침기구
KR101819451B1 (ko) 2016-09-21 2018-01-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차일드 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65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629B1 (en) Vehicular child safety seat
US6779843B2 (en) Harness-control panel adjuster for child-restraint seat
US7533933B2 (en)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AU2014340935B2 (en) Footrest for car seat
US5277472A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US7344192B2 (en) Child car seat
GB2362094A (en) Child car seat with adjustable seating area to cope with child growth
CA2189925A1 (en) Reclining mechanism and latch for child safety seat
US20100156160A1 (en) Seat structure
US20160221480A1 (en) Multi-position rear-facing child seat
KR20180046742A (ko) 헤드레스트
KR102349798B1 (ko)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JP5167359B2 (ja) 自動車シート用子供保護システム
EP3600955B1 (en) Child safety seat for a vehicle
JP5584035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704281B1 (ko) 유아시트용 발 받침장치
JP726108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21518306A (ja) 自動車シートに取り付け可能なチャイルドシート
CN111565968B (zh) 婴儿座椅装置
KR200141434Y1 (ko) 거리조절이 가능한 보호대를 구비한 유아용 차량안전의자
KR102044613B1 (ko)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JP202405771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2405771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WO2022263637A1 (en) Child safety seat
JP2022114582A (ja) 子供用育児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