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169B1 -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169B1
KR100519169B1 KR10-2003-0029258A KR20030029258A KR100519169B1 KR 100519169 B1 KR100519169 B1 KR 100519169B1 KR 20030029258 A KR20030029258 A KR 20030029258A KR 100519169 B1 KR100519169 B1 KR 10051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tal
copper
interlayer insulat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322A (ko
Inventor
조일현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169B1/ko
Priority to JP2003411984A priority patent/JP2004335998A/ja
Priority to US10/748,721 priority patent/US20040224500A1/en
Publication of KR2004009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01L21/76849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the layer being positioned on top of the main fill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5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characterized by particular after-treatment steps
    • H01L21/76861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not introducing additional chemical elements into the layer
    • H01L21/76864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금속배선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배선 모양의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단차를 따라 확산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확산방지막 상에 구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의 상기 구리막 및 상기 확산방지막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구리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리 금속배선 상에만 선택적으로루테늄 금속을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흡착된 루테늄 금속에 대하여 어닐링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Method of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s}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자의 집적도 증가와 배선 구조가 다층화됨에 따라 금속배선으로 알루미늄(Al)보다는 구리(Cu)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금속배선은 다마신(damascene) 공정을 주로 적용하고 있다.
다마신 공정이라 함은 절연막을 사진 공정 및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트렌치(trench)를 형성하고, 이 트렌치에 구리(Cu) 등의 도전 물질을 채워 넣고 필요한 배선 이외의 도전 물질은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처음에 형성한 트렌치 모양으로 배선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다마신 공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반도체 기판 상에 제1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층간절연막에 하부의 도전 영역을 개구하는 콘택홀을 형성한 후 텅스텐(W)을 증착한 다음,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상기 콘택홀 내에 텅스텐(W)이 매립된 형태의 콘택 플러그를 형성한다. 이어서, 콘택 플러그가 형성된 결과물 상에 제2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금속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콘택 플러그를 개구하는 트렌치를 형성한다. 다음에, 확산방지막으로 TaN막을 증착한 후, 구리 씨드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전기도금법으로 구리(Cu)막을 트렌치 내에 매립한 다음,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제2 층간절연막 상부의 배리어막 및 구리(Cu)막을 제거하여 금속배선을 형성한다. 이어서, 금속배선 상에 캡핑막으로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한다.
그러나, 구리(Cu)와 캡핑막의 계면이 전자이동(electromigration)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리와 캡핑막과의 계면은 구리(Cu)와 확산방지막으로 되어 있는 계면보다 접착력(adhesion) 등이 좋지 않으며, 따라서 구리(Cu)의 확산도(diffusivity)가 상부 표면, 즉 캡핑막쪽이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이동에 취약한 구리(Cu) 금속배선과 캡핑막의 계면에 선택적으로 구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루테늄 금속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금속배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금속배선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배선 모양의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단차를 따라 확산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확산방지막 상에 구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의 상기 구리막 및 상기 확산방지막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구리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리 금속배선 상에만 선택적으로 루테늄 금속을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흡착된 루테늄 금속에 대하여 어닐링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층이 다른 층의 위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게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루테늄(Ru)을 층간절연막 위에는 흡착되지 않고 노출된 구리(Cu) 표면에만 흡착되도록 하여 전자이동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무전해 금속 증착(electroless metal deposition)을 이용하여 구리 표면 상에만 선택적으로 루테늄 금속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루테늄 클로라이드(RuCl3) 용액에 구리(Cu) 금속막을 담가두면 아래 반응식 1과 같이 구리(Cu) 표면에 루테늄(Ru) 금속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Cu + Ru2+ →Cu2+ + Ru
루테늄(Ru) 클러스터 또는 루테늄(Ru) 나노금속 입자(nanometallic particle)가 구리(Cu) 표면에만 쌓이게 되며, 층간절연막 상에는 흡착되지 않는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정의 도전층(미도시)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1 층간절연막(102)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층은 반도체 기판(100)에 형성된 불순물 도핑 영역이거나 금속배선층일 수 있다. 제1 층간절연막(102)은 예를 들면, SiOC막, PSG(phosphorous silicate glass)막, BPSG(boron phosphorous silicate glass)막, USG(undoped silicate glass)막, FSG(fluorine doped silicate glass)막, HDP(high density plasma)막, PE-TEOS(plasma enhanced-tetra ethyl ortho silicate)막 또는 SOG(spin on glass)막과 같은 저유전율을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사진식각 공정 및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층간절연막(102)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도전 물질로 매립하여 콘택 플러그(104)를 형성한다. 상기 도전 물질은 알루미늄(Al)막, 텅스텐(W)막, 구리(Cu)막 등일 수 있다.
콘택 플러그(104)가 형성된 결과물 상에 식각 정지막(106)을 형성한다. 식각 정지막(106)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층간절연막(104)과의 식각 선택비가 큰 물질, 예컨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막(SiC)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식각 정지막(106) 상에 제2 층간절연막(108)을 형성한다. 제2 층간절연막(108)은 예를 들면, SiOC막, PSG(phosphorous silicate glass)막, BPSG(boron phosphorous silicate glass)막, USG(undoped silicate glass)막, FSG(fluorine doped silicate glass)막, HDP(high density plasma)막, PE-TEOS(plasma enhanced-tetra ethyl ortho silicate)막 또는 SOG(spin on glass)막과 같은 저유전율을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사진식각 공정 및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제2 층간절연막(108) 및 식각 정지막(106)을 식각하여 금속배선이 형성될 영역인 트렌치(110)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렌치(110)가 형성된 결과물 상에 단차를 따라 확산방지막(112)을 증착한다. 확산방지막(112)은 제1 층간절연막(102) 및 금속막(114)에 대하여 접착성이 좋고 금속막(114)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막, 예컨대 Ti막, TiN막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확산방지막(112)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100∼3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방지막(112) 상에 금속 씨드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을 이용하여 금속막(114)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막(114)은 구리(Cu)막 등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속막(114)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금속 배선(114a)을 형성한다.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제2 층간절연막(108)이 노출될 때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하여 제2 층간절연막(108) 상부의 확산방지막(112) 및 금속막(114)이 제거된다.
이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테늄 클로라이드(RuCl3; ruthenium chloride) 용액을 사용하여 무전해 전기도금(116)을 실시한다. 즉, 루테늄 클로라이드(RuCl3) 용액에 구리(Cu) 금속배선을 담가서 구리(Cu) 금속배선(114a) 표면에 루테늄(Ru) 금속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전해 전기도금에 의하여 루테늄(Ru) 금속이 선택적으로 금속막, 예컨대 구리(Cu) 표면에만 선택적으로 증착된다. 이와 같이 화학 기계적 연마 후 노출된 구리(Cu) 표면에만 루테늄(Ru)을 선택적으로 흡착시켜 전자이동을 줄여서 구리 배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리(Cu) 표면을 루테늄(Ru) 등으로 코팅함에 의해 루테늄(Ru)/구리(Cu) 층이 형성되어 전자이동의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루테늄(Ru) 금속(118)을 금속막(114a) 상에만 선택적으로 흡착한 후, 질소(N2), 수소(H2) 또는 아르곤(Ar) 가스 분위기에서 200∼400℃ 정도의 온도에서 1∼3시간 정도 어닐링을 실시한다.
루테늄(Ru) 금속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결과물 상에 캡핑막(120)을 형성한다. 캡핑막(120)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막(SiC)으로 형성한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00)에 도전층(202)을 형성한다. 도전층(202)은 반도체 기판(200) 상에 형성된 금속 배선일 수도 있고, 반도체 기판(200) 내에 형성된 소오스/드레인과 같은 활성영역일 수도 있다.
도전층(20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200) 상에 층간절연막(204)을 형성한다. 층간절연막(204)은 예를 들면, SiOC막, PSG(phosphorous silicate glass)막, BPSG(boron phosphorous silicate glass)막, USG(undoped silicate glass)막, FSG(fluorine doped silicate glass)막, HDP(high density plasma)막, PE-TEOS(plasma enhanced-tetra ethyl ortho silicate)막 또는 SOG(spin on glass)막과 같은 저유전율을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절연막(204) 상에 비아 홀(via hole)(205)을 정의하는 제1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층간 절연막(204)을 식각하여 비아 홀(205)을 형성한다. 다음에, 회전 도포 방식을 이용하여 유기 반사방지막(Organic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미도시)을 도포하여 비아 홀(205)을 매립한다. 이어서, 반도체 기판(200) 상에 트렌치(210)를 정의하는 제2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층간 절연막(204)의 일부를 식각하여 트렌치(210)를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제2 감광막 패턴과 잔류하는 상기 반사 방지막을 제거하여 듀얼 다마신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비아 홀(205)과 트렌치(210)로 구성된 듀얼 다마신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200) 상에 단차를 따라 구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확산방지막(212)을 증착한다. 확산방지막(212)은 층간절연막(204) 및 금속막(214)에 대하여 접착성이 좋고 금속막(214)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막, 예컨대 Ti막, TiN막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확산방지막(212)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100∼3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방지막(212) 상에 금속 씨드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을 이용하여 금속막(214)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막(214)은 구리(Cu)막 등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금속막(214)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금속 배선(214a)을 형성한다.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층간절연막(204)이 노출될 때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하여 층간절연막(204) 상부의 확산방지막(212) 및 금속막(214)이 제거된다.
이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테늄 클로라이드(RuCl3; ruthenium chloride) 용액을 사용하여 무전해 전기도금(216)을 실시한다. 즉, 루테늄 클로라이드(RuCl3) 용액에 구리(Cu) 금속배선을 담가서 구리(Cu) 금속배선(214a) 표면에 루테늄(Ru) 금속 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무전해 전기도금에 의하여 루테늄(Ru) 금속(218)이 선택적으로 금속막, 예컨대 구리(Cu) 표면에만 선택적으로 증착된다. 이와 같이 화학 기계적 연마 후 노출된 구리(Cu) 표면에만 루테늄(Ru)을 선택적으로 흡착시켜 전자이동을 줄여서 구리 배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리(Cu) 표면을 또는 루테늄(Ru) 등으로 코팅함에 의해 루테늄(Ru)/구리(Cu) 층이 형성되어 전자이동의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루테늄(Ru) 금속(218)을 금속막(214a) 상에만 선택적으로 흡착한 후, 질소(N2), 수소(H2) 또는 아르곤(Ar) 가스 분위기에서 200∼400℃ 정도의 온도에서 1∼3시간 정도 어닐링을 실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루테늄(Ru) 금속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결과물 상에 캡핑막(220)을 형성한다. 캡핑막(220)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막(SiC)으로 형성한다.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 듀얼 다마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중에서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듀얼 다마신 패턴을 형성하여 트렌치 모양의 금속배선을 형성한 후 금속배선 상에 선택적으로 루테늄(Ru) 금속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에 의하면, 화학 기계적 연마 후 노출된 구리 금속배선 표면에만 루테늄(Ru) 금속을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리 금속배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00, 200: 반도체 기판 102: 제1 층간절연막
104: 콘택 플러그 106: 식각 정지막
108: 제2 층간절연막 110, 210: 트렌치
112, 212: 확산방지막 114, 214: 금속막
114a, 214a: 금속배선 116, 216: 무전해 전기도금
118, 218: 루테늄 금속
120, 220: 캡핑막 204: 층간절연막
205: 비아 홀

Claims (6)

  1. 반도체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금속배선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배선 모양의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단차를 따라 확산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확산방지막 상에 구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의 상기 구리막 및 상기 확산방지막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구리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리 금속배선 상에만 선택적으로 루테늄 금속을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흡착된 루테늄 금속에 대하여 200~400℃에서 어닐링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테늄 금속의 흡착 단계는 루테늄 클로라이드(RuCl3) 용액에 상기 구리 금속배선을 담가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은 질소(N2), 수소(H2) 또는 아르곤(Ar) 가스 분위기에서 1~3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단계 후,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막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막(SiC)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2003-0029258A 2003-05-09 2003-05-09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51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258A KR100519169B1 (ko) 2003-05-09 2003-05-09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JP2003411984A JP2004335998A (ja) 2003-05-09 2003-12-10 半導体素子の金属配線形成方法
US10/748,721 US20040224500A1 (en) 2003-05-09 2003-12-30 Method of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258A KR100519169B1 (ko) 2003-05-09 2003-05-09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22A KR20040096322A (ko) 2004-11-16
KR100519169B1 true KR100519169B1 (ko) 2005-10-06

Family

ID=3341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258A KR100519169B1 (ko) 2003-05-09 2003-05-09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224500A1 (ko)
JP (1) JP2004335998A (ko)
KR (1) KR100519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522B1 (ko) 2008-08-08 2011-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및 그의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1785B2 (ja) * 2003-09-26 2008-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265048B2 (en) 2005-03-01 2007-09-04 Applied Materials, Inc. Reduction of copper dewetting by transition metal deposition
KR100652317B1 (ko) * 2005-08-11 2006-11-29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드 제조 방법
KR20070071020A (ko) * 2005-12-29 2007-07-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캐핑 금속층에 의해 보호된 구리 금속 배선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855B1 (ko) * 2005-12-29 2007-11-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구리 금속 배선의 힐락 방지 방법
KR100832704B1 (ko) * 2006-12-21 2008-05-28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0076B1 (ko) * 2006-12-21 2008-08-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부식 방지를 위한 구리배선 구조
KR100853798B1 (ko) * 2007-07-23 2008-08-2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875656B1 (ko) * 2007-08-14 2008-12-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998864B2 (en) * 2008-01-29 2011-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ble metal cap for interconnect structures
US8823176B2 (en) * 2008-10-08 2014-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ontinuous/non-uniform metal cap structure and process for interconnect integration
US20110045171A1 (en) * 2009-08-19 2011-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Step Method to Selectively Deposit Ruthenium Layers of Arbitrary Thickness on Copper
JP5384269B2 (ja) * 2009-09-18 2014-01-0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u配線の形成方法
JP2011216867A (ja) * 2010-03-17 2011-10-27 Tokyo Electron Ltd 薄膜の形成方法
KR101588524B1 (ko) * 2014-06-10 2016-01-26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배선 사이에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157781B2 (en) * 2016-12-14 2018-12-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structure using polishing proce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087A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20000027291A (ko) * 1998-10-27 2000-05-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20034373A (ko) * 2000-11-01 2002-05-09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20055316A (ko) * 2000-12-28 2002-07-08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KR20030003331A (ko)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822B1 (en) * 2000-12-06 2002-07-09 Angstrom Systems, Inc. Continuous method for depositing a film by modulated ion-induced atomic layer deposition (MII-ALD)
US6428859B1 (en) * 2000-12-06 2002-08-06 Angstron Systems, Inc. Sequential method for depositing a film by modulated ion-induced atomic layer deposition (MII-ALD)
US20020197402A1 (en) * 2000-12-06 2002-12-26 Chiang Tony P. System for depositing a film by modulated ion-induced atomic layer deposition (MII-ALD)
US7348042B2 (en) * 2001-03-19 2008-03-25 Novellus Systems, Inc. Continuous method for depositing a film by modulated ion-induced atomic layer deposition (MII-ALD)
US7279423B2 (en) * 2002-10-31 2007-10-09 Intel Corporation Forming a copper diffusion barrier
KR100603311B1 (ko) * 2003-11-22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087A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20000027291A (ko) * 1998-10-27 2000-05-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20034373A (ko) * 2000-11-01 2002-05-09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20055316A (ko) * 2000-12-28 2002-07-08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KR20030003331A (ko)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522B1 (ko) 2008-08-08 2011-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및 그의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22A (ko) 2004-11-16
US20040224500A1 (en) 2004-11-11
JP2004335998A (ja)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9727B (zh) 内连线结构
KR100519169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US9219036B2 (en) Interconnect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US7871923B2 (en) Self-aligned air-gap in interconnect structures
US20040232552A1 (en) Air gap dual damascene process and structure
US6472231B1 (en) Dielectric layer with treated top surface forming an etch stop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50044734A (ko) 개선된 장벽층접착을 가진 배선들
US7056826B2 (en) Method of forming copper interconnects
WO2005022628A1 (en) Sealed pores in low-k material damascene structures
US20080188074A1 (en) Peeling-free porous capping material
JP2004505447A (ja) 界面および接着性が改良された銅配線キャップ層を形成する方法
US7199043B2 (en) Method of forming copper wiring in semiconductor device
US6713874B1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dual nature capping/arc layers on organic-doped silica glass inter-layer dielectrics
US6576545B1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dual nature capping/ARC layers on fluorine doped silica glass inter-layer dielectrics and method of forming capping/ARC layers
US8110498B2 (en) Method for passivating exposed copper surfaces in a metallization layer of a semiconductor device
KR10047671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50114784A (ko) 반도체 소자의 구리배선 형성방법
JP520043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025637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94550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US8742587B1 (en) Metal interconnection structure
KR100617046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US7662714B2 (en) Method for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93519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및 그의 형성방법
KR10109892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