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201B1 - 라세미화반응에대하여안정화된실란세트론제제 - Google Patents

라세미화반응에대하여안정화된실란세트론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201B1
KR100515201B1 KR10-1998-0028014A KR19980028014A KR100515201B1 KR 100515201 B1 KR100515201 B1 KR 100515201B1 KR 19980028014 A KR19980028014 A KR 19980028014A KR 100515201 B1 KR100515201 B1 KR 10051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ilanesetron
pharmaceutical
physiologically acceptab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194A (ko
Inventor
잉고 본낙커
하르트무트 쾨엔
게르하르트 크리스텐
크리스티네 라이켈
Original Assignee
솔베이 파머슈티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 파머슈티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솔베이 파머슈티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2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5Quinolines; Isoquinolines having an indole ring, e.g. yohimbine, reserpine, strychnine, vinbla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Abstract

활성물질로서 실란세트론 및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실란세트론을 함유하는 안정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양의 생리적으로 적합한 수용성 산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고형 및 액상의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들 첨가제는 제1 PKs 값이 1.1-4.8인 C2∼12의 일염기 또는 다염기 유기산들; 상기 다염기 유기산의 산 염들; 제1 PKs 값이 1.5-7.5인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다염기 무기산의 염들;에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학적 제제에 있어서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실란세트론의 안정화를 위한 이들 산 첨가제들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안정화된 실란세트론 제제
본 발명은 유효물질로서 실란세트론(cilansetron) 및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실란세트론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양의 생리적으로 적합한 수용성 산(acid)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고형 및 액상의 약제학적 제제(製劑;pharmaceutical preparation)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학적 제제에 있어서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실란세트론의 안정화를 위한 이들 산 첨가제들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실란세트론은 EP-B 0 297 651로부터 공지된, R-(-) 5,6,9,10-테트라하이드로-10-[(2-메틸-이미다졸-1-일)메틸]-4H-피리도[3.2.1-jk]카바졸-11(BH)-온을 지칭한다. 이 화합물은 이 특허 또는 이와 유사한 문헌에 나타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순수한 광학이성질체 실란세트론을 얻는 방법이 EP-A 0 768 309에 공지되어 있다. 실란세트론은 5HT-길항성을 가지며 약제학적 유효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소장(lower intestines)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실란세트론의 사용은 EP-B 0 601 345에 공지되어 있다.
실란세트론은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화합물이다. 제제 내에서 실란세트론은 시간경과에 따라서, 특히 개방저장시에는 환경적 영향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라세미화 반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란세트론 이외에도 이것의 광학 광학이성질체가 제제에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약의 제조를 위해서는 제제 내의 유효물질이 일정하고 균일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물질인 실란세트론 또는 이것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산-첨가 염을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안정화시켜 고형 및 액상 제제로 제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유효물질로서 실란세트론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산 첨가염을 통상의 치료적 유효량 포함하는 약제에 관한 것으로서,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실란세트론의 안정화를 위한 적당한 최소한 한 종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수용성 산 첨가제를 일정량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특히 제제에 있어서 실란세트론 또는 이의 산 첨가염들의 라세미화 반응에 대한 안정화를 위하여 산 첨가제들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실란세트론과 이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산-첨가 염들은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안정화된다. 적합한 산 첨가염으로는 실란세트론의 무기산염들, 예를들면 황산 또는 하이드로 할릭산, 특히 염산의 염, 또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유기산의 염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실란세트론 염산염이 산 첨가염으로서 사용되며, 이는 고체형, 통상적으로 일수화물로 존재한다.
고형 또는 액상 제제에서 라세미화 반응에 대한 실란세트론 또는 이의 산-첨가 염들의 안정화에 적합한 수용성 산 첨가제들로서 다음의 물질들이 생리학적으로 적당하다: 제1 PKs 값이 1.1-4.8인 C2∼12의 일염기 또는 다염기 유기산들; 상기 다염기 유기산의 산 염들; 제1 PKs 값이 1.5-7.5인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다염기 무기산의 염들; 및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 고형 제제에는 고체의 수용성 산 첨가제들이, 액상 제제에는 고체 또는 액체 수용성 산 첨가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고체 산 첨가제로는, 예를들면, 말론산, 만델산, 옥살산, 락트산, 락토비온산, 퓨마르산, 말레산, 타타르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이 산들의 염들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무기산들의 산염들은, 예를들면, 인산 또는 황산의 산염과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이수소인산염(dihydrogen phosphates)과 같은 인산의 염들이 고려된다. 액상 제제에 있어서는 상술한 고체의 산 첨가제들 이외에도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액상 유기산, 예를들면 아세트산도 사용가능하다.
다염기산들의 염들로서 예를들면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알카리금속염 또는 알카리 토금속염들, 특히 이들의 소듐염, 포타슘염 또는 칼슘염들 또는 이들의 암모늄염들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서 실란세트론의 제제는 통상적으로 약학적 유효량의 실란세트론을 함유한다. 예를들면 고형 제제는 g당 약 10㎎∼250㎎의 실란세트론을 함유할 수 있으며, 액상 제제는 1㎖당 약 1㎎∼10㎎의 실란세트론을 통상적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안정화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실란세트론의 산 첨가염, 특히 실란세트론 염산염을 함유한다. 실란세트론의 산 첨가염 생성을 위하여 필요한 양의 산만으로는 실란세트론을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아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용성 산 성분들로서, 제제에는 실란세트론의 산 첨가염의 생성을 위하여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산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수용성 산 첨가제들을 사용하여 제제화하는 경우에만 라세미화 반응에 대한 실란세트론의 안정화가 만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형의 제제 내에서 산 첨가제로 제1 PKs 값이 1.1-4.8인 유기산을 사용하는 경우, 수용성 산 성분과 실란세트론의 몰비는 약 1.02:1-5.0:1, 바람직하게는 약 1.15:1-3.0:1정도이어야 한다. 실란세트론의 산-첨가 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제내의 산은 산-첨가 염내에 존재하는 산 성분에 의해 공급된다. 실란세트론의 산 첨가염들의 고형의 제제화에 있어서, 첨가된 수용성 산 첨가제와 실란세트론 산-첨가 염의 몰비는 약 0.02:1-4.0:1, 바람직하게는 약 0.15:1-2.0:1이다. 따라서, 예를들면, 실란세트론 염산 일수화물 4.68㎎이 함유된 150㎎ 짜리 통상의 정제에는 구연산이 약 0.05-10.0㎎, 바람직하게는 약 0.3-4.0㎎ 함유되어 있어 실란세트론은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안정화된다. 고형의 제제에는 제1 PKs 값이 1.1-4.8인 고체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아스코르빈산과/또는 구연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4.8-7.5 정도의 큰 PKs 값을 갖는 산 첨가제들이 사용되는 고형의 제제에 있어서, 수용성 산 성분과 실란세트론의 몰비는 약 4:1-10:1, 바람직하게는 약 5:1-8:1이어야 한다. 또한, 실란세트론의 고형 제제에 이들 약산 첨가제들을 사용하면 특히 습기가 들었을 때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유효물질이 현저하게 안정화될 수 있다.
실란세트론의 산 첨가염들을 함유하는 고형 제제에서 실란세트론 산 첨가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실란세트론은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더욱 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고형 제제에서 실란세트론 산-첨가 염의 함량에 대한 함수로서, 지시된 범위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산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함량의 실란세트론 산 첨가염을 함유하는 고형 제제, 예를들면 18.72㎎의 실란세트론 염산염 일수화물을 함유하는 150㎎의 정제에 산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하면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유효물질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들면 압축정제를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산 첨가제들의 비율은 고형 제제중량의 5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고형 제제들이 바람직하며, 고형 제제를 제제 중에 포함된 실란스테론의 중량대비 2500배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pH는 2.5∼4.5, 바람직하게는 3.0∼4.0이다. 따라서 예를들면 표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조성물 1∼4의 실란세트론 4㎎을 함유하는 150㎎의 정제를 분쇄하여 물 10.0㎖에 수용성 성분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하면 pH는 3.8∼4.0의 범위로 된다. 반면에 비-안정화 비교조성물(표 1의 정제 1a∼4a)로 상기와 동일하게 수용액을 제조하여 측정하면 5.0∼5.3 사이의 pH값을 갖는다.
고형 제제에서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실란세트론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고형 제제의 수용성 산 성분들의 전체 함량은 약 5×10-5∼2.5×10-3몰, 바람직하게는 6×10-5∼8×10-4몰이면 충분하다. 산 첨가제 함량이 그보다 더 증가하더라도 더 이상의 안정효과를 발휘하지는 못한다.
고형 제제로는 정제, 코팅정, 캡슐, 산제(散劑; powder) 또는 과립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 가능한 제제들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형 제제에는 통상 공지의 충진제(fillers), 결합제, 붕해제, 유동조절제, 분리제와 같은 전래의 보조제들과/또는 담체(carrier)가 첨가된다.
충진제로는 락토스와 같은 당, 마니톨 또는 크실리톨과 같은 당알콜, 미세결정 셀루로오스 같은 셀루로오스 또는 셀루로오스유도체들, 임의로 전(前)호화(糊化)된 옥수수 전분과 같은 임의로 변형된 전분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최근에 이용되고 있는 무기 첨가제들이 사용가능하다.
결합제, 붕해제, 유동조절제와/또는 분리제로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보조제들로서는, 크로스 카아멜로스 소듐 같은 교차결합된 전분유도체들의 폴리머, 교차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바람직하게는 크로스-PVP 같은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들,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또는 스테아린산,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같은 장쇄 지방족 유기 화합물들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성적으로 반응하는 보조제와/또는 담체만이 본 발명의 고형 제제에 포함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란세트론 또는 이의 산 첨가염은 최소한 하나의 생리학상으로 적합한 수용성 산 첨가제와 상술한 보조제와/또는 담체들 중의 최소한 한가지와 함께 고형 제제에 포함된다. 유효물질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산 첨가제와 약제 보조제와/또는 담체들과 함께 혼합, 조제될 수 있다. 고형의 약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란세트론은 통상의 방법에서 언급된 또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될 수 있으며, 함수상태나 건조상태로 과립화될 수 있다. PKs값이 4.8-7.5인 산 첨가제가 사용되는 경우 함수상태에서 과립화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과립 또는 산제는 바로 캡슐화하거나 통상적 방법으로 정제코어로 압축가능하다. 필요하다면, 공지된 방법으로 필름-코팅하여 코팅정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보조제와/또는 담체와, 바람직하게는 고형 제제에 필요한 양의 약 5∼50중량%의 보조제와/또는 담체와 함께, 그리고 예비 혼합물로서 최소한 한가지의 산 첨가제와 함께 실란세트론 또는 이의 산 첨가염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먼저 과립화한 다음, 이 예비 혼합물에 나머지 보조제들과/또는 담체들을 각각 또는 사전에 과립으로 혼합하여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결과, 고형 제제 내에서 실란세트론과 산 첨가제들이 직접 혼합·접촉되며, 라세미화 반응에 대한 실란세트론의 안정화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고형 제제, 특히 대체적으로 유효물질 함량이 적은 정제 예를들면, 실란세트론을 2㎎ 함유하는 150㎎ 정제 또는 PKs가 4.8∼7.5인 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제제로서는 실란세트론의 수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은 앰퓰과 같은 기구에 통상적인 액상 투여형태로 충진될 수 있다. 유효물질과 산 성분들은 이들 액상 제제 내에서 자연스럽게 균일하게 분포된다.
통상적으로 액상의 제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란세트론의 산 첨가염, 바람직하게는 이의 염산염이 사용된다. 실란세트론이 염기(base)로 사용되는 경우,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유효물질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상응하는 것 보다 더 많은 양의 산 첨가제들이 필요하게 된다. 액상 제제의 pH는 2.5∼4.5, 바람직하게는 3.0∼4.0 사이의 소정의 값으로 고정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pH 2.5∼4.5 범위로 조절가능한 구연산염 완충액, 인산염 완충액과/또는 초산 완충액과 같은 공지된 생리학상으로 적합한 완충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구연산염 완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완충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수용성 산 첨가제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완충액 시스템을 만들기에 충분한 양의 적절한 염기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적절한 염기란 예를들면 유기산들의 약 염기성염들과 같은 약염기들이다.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예컨데, 수산화나트륨) 같은 강 염기들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액상 제제에서 구연산을 산 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적정량의 수산화나트륨 또는 구연산나트륨의 첨가함으로써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완충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액상 제제에서, 산 첨가제들의 전체 함량 및 산 첨가제와 실란세트론의 비율은 대체적으로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산 첨가제들은 제제 ㎖당 약 2.5×10-6∼10.0×10-5몰, 바람직하게는 7.5×10-6∼1.5×10-5몰 포함될 수 있다. 산첨가제와 실란세트론 산 첨가염의 비율은 0.15:1∼8.0:1 사이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액상 제제에서, 용해된 산 성분과 실란세트론의 몰비는 1.15:1∼9.0:1 사이이다. 생리학적 적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산 첨가물과 실란세트론 산 첨가염의 비율이 0.3:1∼2.0:1인 액상 제제가 바람직하다.
액상 제제들은 물, 기름, 유화제와/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현탁제와 같은 통상적인 희석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방부제, 맛조정제 등과 같은 보조제와/또는 첨가제들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액상 제제를 용기에 충진하기 전 또는 후에 살균처리될 수 있다. 액상 제제의 제조시에는 차광(遮光)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좀더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독일약전이 요구하는 정제수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물의 pH값은 미국약전의 규정에 따라서 각각의 실험이 실행되기 전에 측정하였으며, 모든 경우에 그 값은 6.0∼7.0 사이였고 대부분은 6.5였다.
유효물질의 (R)-또는 (S)- 광학이성질체의 함량의 결정은 각각의 경우 비대칭 칼럼(키라덱스, 머크 회사) 물질상에서 HPLC(고성능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표 1
산 첨가제 함유 및 비함유 고형 제제의 조성
실시예 1,2,3,4,5와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들이다. 비교실시예 1a, 2a, 3a, 4a와 7a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조성물들이다.
실시예 1∼4와 6과 비교조성물 1a∼4a : 산 성분이 있는 정제와 산 성분이 없는 정제의 직접 정제화
표 1에서 제시된 정제 1∼4, 1a∼4a와 6은 직접 정제화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를 위하여 유효물질 또는 유효물질과 산 첨가제의 예비 혼합물을 만니톨(펄리톨 300DC, Roquette사), 세분된 락토스, 옥수수전분, 전(前)호화된 옥수수전분(스타치 1500, Colorcon사)와/또는 미세결정 셀루로오스(애비셀 PH201 FMC사) 등의 보조제들과 함께 혼합했다. 그 다음 고도로 분산된 이산화실리콘(에어로실 200, Degussa사), 스테아린산과 교차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폴리플라스돈 XL, GAF 케미컬회사)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회전식 펠렛 프레스에서 압축하여 각각 순수 유효물질 4㎎을 함유하는 150㎎ 중량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와 7a : 과립화 방법에 의한 산 첨가제 함유 및 비함유 정제와 캡슐의 제조
표 1에 나타난 정제 5와 과립 7a는 과립법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이를 위해, 유효물질을 만니톨 및 옥수수 전분과 함께 혼합기 내에서 혼합하고, 실시예 5의 경우에서는 최종적으로 얻은 혼합물을 구연산으로 완전히 적시고, 20% 폴리비닐피롤리돈(콜리돈 25, BASF사) 정제수 수용액 필요량에 용해시켰다. 필요하면, 실시예 5와 7a 모두에 정제수를 첨가하였다. 습기있는 혼합물을 고속 혼합기(Diosna 회사제)에서 과립화하고 여기서 얻은 1차과립을 40℃의 트레이에서 건조하고 망체를 통과시켰다. 그 다음, 고도로 분산된 이산화실리콘, 스테아린산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혼합하였다. 그 후에 조제법에 따라 완성된 과립을 자동캡슐기로 400㎎ 씩 O-사이즈의 경화 제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 당 순수유효물질 4㎎을 포함하거나 (7a) 또는 회전식 조립프레스에서 압축시켜서 각각 실란세트론 4㎎을 함유하는 150㎎의 정제(정제 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액상 제제(앰퓰)의 제조
산 첨가제로서 구연산염 완충액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의 실란세트론의 액상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란세트론·HCl·H2O 234㎎
구연산 일수화물 60㎎
NaCl 900㎎
NaOH 5㎎
정제수 99.296g
이 용액의 pH값은 약 3.6이었고, 유효물질과 보조제들을 차광되고 연속적으로 질소기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물에 용해시켰다. 그 후에 용액을 기공크기 0.2㎛의 막 필터로 여과하고, 자동 앰퓰-충진장치로 2㎖ 용량의 앰퓰에 2㎖씩 충진하여 앰퓰 당 실란세트론 염기 4㎎을 함유하는 앰퓰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산 첨가제 함유 및 비함유 고형 제제의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pH 비교
위의 표 1에서 제시된 본 발명의 고형 제제 1-6과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1a∼4a와 7a의 비교조성물들을 실온에서 물(pH=6.5) 10.0㎖에 각각 가하였다. 실시예 7a의 제제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물 25.0㎖에 가하였다. 제제가 붕괴되어 수용성 성분들이 완전히 용해된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pH값을 유리전극에 의해 각각 측정하여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상술한 제제의 유효물질량에 상응하는 실란세트론 염산염 일수화물 4.68㎎을 상술한 조건하에서 물 10.0㎖에 용해했다. 여기서 얻은 용액의 pH값은 5.45 였다.
안정성조사Ⅰ : 산 성분 함유 및 비함유 정제에서 실란세트론의 라세미화 반응속도의 비교
표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산 첨가제가 있는 것(실시예 1∼4의 정제)과 산첨가제가 없는 것(비교실시예 1a∼4a의 정제)에 대해 저장테스트를 수행하였다. 4주일 후에 각 제제에서 라세미화 반응을 통해 결과적으로 생긴 실란세트론의 S-(+)- 광학이성질체의 함량 증가를 측정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
4주일 저장후 산 성분 함유 및 비함유 정제에서 실란세트론의 S-(+)- 광학이성질체의 함량증가
표 3에 기재된 측정치로부터 알 수 있듯이 4주일간의 저장만으로도 라세미화 반응으로 생긴 실란세트론의 S-(+)- 광학이성질체의 함량의 차이가 두드러지는데 특히 공기 및 습기가 침투할 수 있고 비교적 높은 온도상태인 개방저장의 경우에 함량차이가 현저하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화된 제제들에서 S-(+) 경상광학이성질체의 함량증가는 비-안정화된 비교제제들에서 보다 상당히 낮다.
안정성조사 Ⅱ : 여러 가지의 pH 값을 갖는 액상 제제에서 실란세트론의 라세미화 반응속도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실란세트론의 수용성, 구연산염 완충모액(buffered stock solution)을 제조하였다:
실란세트론·HCl·H2O 6.684g
구연산일수화물 30.2g
NaCl 9.0g
NaOH 11.5g
1N HCl 1566.0g
이 모액에 적정량의 1N HCl을 첨가하여 pH가 각각 2.9, 3.3, 3.6, 3.8과 4.0을 갖는 시료용액을 제조하였다. 시료용액들을 26℃와 41℃에서 저장하고 8주(저장온도 26℃) 또는 12주와 12개월(저장온도 41℃) 경과후에 유효물질의 라세미화 반응으로 생성된 S-(+)- 광학이성질체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 저장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설명된다.
표 4 : 액상 제제에서 pH와 온도의 함수인 실란세트론의 라세미화 반응속도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란세트론은 액상 제제의 pH가 3.6-4.0일 때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안정성 조사 Ⅲ : 액상 제제에서 실란세트론의 라세미화 반응 속도에 관한 온도와 pH값의 영향
0.065몰 인산염 완충액에 실란세트론 염산염 일수화물을 1% 농도로 용해하였다. 이 모액에 적정량의 1/15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pH가 각각 2, 3, 4, 5와 6인 시료용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용액을 61℃에서 1, 7, 14와 28일간 저장하고 실란세트론의 라세미화 반응을 1차수의 반응으로 가정하여 공지방법으로 속도상수를 결정했다. 이 테스트 결과는 표 5에 기재된다.
표 5 : 다양한 pH의 액상 제제에서 온도가 61℃일 때 실란세트론의 라세미화 반응 속도상수
다른 pH값에서 보다 pH가 2-5, 바람직하게는 3-4에서 실란세트론의 라세미화 반응속도가 현저히 낮음을 표 5로부터 알 수 있다.
안정성 조사 Ⅳ : 액상 제제에서 실란세트론의 저장안정성
실시예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연산 완충액을 사용하여 유효물질 함량이 2㎎/㎖이고 pH가 3.7인 실란세트론 액상 제제를 제조하여 각각 2㎖와 4㎖ 용량의 앰퓰에 충진하였다. 상기 앰퓰을 각각 6개월 및 24개월 저장한 후 앰퓰내의 S-(+)-광학이성질체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 본 발명에 의하여 안정화된 실란세트론 액상 제제의 저장안정성
계산된 속도상수 k로부터, 평균 저장온도가 25℃일 때 앰퓰내 유효물질 중 S-(+)-광학이성질체의 비율은 약 3년이 경과하여도 5%를 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9)

  1. 활성물질로서 실란세트론 또는 이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첨가 염을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에 있어서,
    라세미화 반응에 대하여 실란세트론의 안정화를 위해 최소한 한 종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용성 산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에서, 상기 수용성 산 첨가제는 제1 PKs 값이 1.1-4.8인 C2∼12의 일염기 또는 다염기 유기산들; 상기 다염기 유기산의 산 염들; 제1 PKs 값이 1.5-7.5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염기 무기산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산 첨가제로서 아스코르빈산, 구연산, 퓨마르산, 락토비온산, 말레산, 말론산, 만델산, 락트산, 옥살산, 타타르산 및/또는 상기 다염기 유기산의 산 염들 및/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수소인산염들 및/또는 황산염들 또는, 액상 제제인 경우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 유기산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3.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실란세트론의 산 첨가염은 실란세트론·H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산 첨가제와 실란세트론의 몰비는 1.02:1-10:1이며, 수용성 산 첨가제는 제제중량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산 첨가제들로서 제1 PKs 값이 1.1-4.8이고 C2∼12인 고형 일염기 또는 다염기 유기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수용성 산 첨가제와 실란세트론의 몰비는 1.02:1-5.0:1이며, 수용성 산 첨가제는 제제중량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고형 제제를 제제 중에 포함된 실란스테론의 중량대비 2500배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pH가 2.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실란세트론·HCl 1몰당 아스코르빈산 및/또는 구연산 0.15-2.0몰과 통상의 약학적 보조제 및/또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제제의 pH가 2.5~4.5가 되도록 하는 양의 수용성 산 첨가제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액상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제제의 pH가 2.5~4.5가 되도록 하는 양의 수용성 산 첨가제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액인 약학적 액상 제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완충범위가 pH 2.5~4.5인 완충 시스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액상 제제.
  12. 제11항에 있어서, 구연산염 완충액, 인산염 완충액 및 초산염 완충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완충시스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액상 제제.
  13. 제9항에 있어서, 수용성 산 첨가제와 실란세트론의 몰비는 1.15:1~9.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액상 제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실란세트론·HCl 1몰당 아스코르빈산 및/또는 구연산 및/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3~2.0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액상 제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실란세트론·HCl 1몰당 아스코르빈산 및/또는 구연산 및/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3~2.0몰 및 추가적으로 통상의 약학적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액상 제제.
  16. 제1 PKs 값이 1.1-4.8인 C2∼12의 일염기 또는 다염기 유기산들; 상기 다염기 유기산의 산 염들; 제1 PKs 값이 1.5~7.5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염기 무기산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용성 산 첨가제를 실란세트론의 안정화를 위해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제제 내에서 실란세트론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17. 활성물질로서 실란세트론 또는 이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첨가 염과 제1 PKs 값이 1.1~4.8인 C2∼12의 일염기 또는 다염기 유기산들; 상기 다염기 유기산의 산 염들; 제1 PKs 값이 1.5~7.5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염기 무기산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한 종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용성 산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실란세트론 또는 이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첨가 염과 한 종류 이상의 수용성 산 첨가제와 고형 제제에 필요한 양의 5~50중량%에 해당하는 보조제 및/또는 담체를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을 만들고;
    나머지 보조제 및/또는 담체를 첨가하여 산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얻어진 예비 혼합물을 과립화한 다음, 나머지 보조제 및/또는 담체를 첨가하여 과립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의 제조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제조된 과립 또는 산제를 압축하여 정제 또는 통상적인 투여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고형 제제의 제조방법.
KR10-1998-0028014A 1997-08-01 1998-07-11 라세미화반응에대하여안정화된실란세트론제제 KR100515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3271 1997-08-01
DE19733271.4 1997-08-01
DE19813661A DE19813661A1 (de) 1997-08-01 1998-03-27 Gegen Racemisierung stabilisierte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von Cilansetron
DE19813661.7 199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94A KR19990023194A (ko) 1999-03-25
KR100515201B1 true KR100515201B1 (ko) 2005-12-09

Family

ID=783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014A KR100515201B1 (ko) 1997-08-01 1998-07-11 라세미화반응에대하여안정화된실란세트론제제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5977127A (ko)
EP (1) EP0895782B1 (ko)
JP (1) JP4324260B2 (ko)
KR (1) KR100515201B1 (ko)
CN (1) CN1117565C (ko)
AR (1) AR010178A1 (ko)
AT (1) ATE283706T1 (ko)
AU (1) AU743043B2 (ko)
BR (1) BR9803730A (ko)
CA (1) CA2244389C (ko)
CZ (1) CZ295072B6 (ko)
DE (2) DE19813661A1 (ko)
DK (1) DK0895782T3 (ko)
DZ (1) DZ2560A1 (ko)
ES (1) ES2234051T3 (ko)
HK (1) HK1017611A1 (ko)
HU (1) HUP9801712A3 (ko)
ID (1) ID20685A (ko)
IL (1) IL125403A (ko)
NO (1) NO323229B1 (ko)
NZ (1) NZ331083A (ko)
PL (1) PL191767B1 (ko)
PT (1) PT895782E (ko)
RU (1) RU2199318C2 (ko)
SK (1) SK284916B6 (ko)
TR (1) TR199801432A3 (ko)
TW (1) TW509570B (ko)
UA (1) UA62924C2 (ko)
ZA (1) ZA986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2545B2 (en) * 2001-11-13 2008-11-18 Yu Ruey J Oligosaccharide aldonic acids and their topical use
US20040077232A1 (en) * 2001-03-26 2004-04-22 Andreas Ebne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0216027D0 (en) * 2002-07-10 2002-08-21 Arachnova Therapeutics Ltd New therapeutic use
US20040048874A1 (en) * 2001-05-22 2004-03-11 Bardsley Hazel Judith New therapeutic use of 4-(2-fluorophenyl)-6-methyl-2-(1-piperazinyl)thieno[2,3-D]pyrimidine
BRPI0406749A (pt) * 2003-01-13 2005-12-20 Dynogen Pharmaceuticals Inc Métodos relacionados ao tratamento de distúrbios fincionais do intestino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ATE359079T1 (de) * 2003-01-13 2007-05-15 Dynogen Pharmaceuticals Inc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übelkeit, erbrechen, würgereiz oder jede kombination daraus
ATE365554T1 (de) * 2003-04-04 2007-07-15 Dynogen Pharmaceuticals Inc Methode zur behandlung von erkrankungen der unteren harnwege
US7820690B2 (en) * 2004-03-19 2010-10-26 Solvay Pharmaceuticals Gmbh Method of treating or inhibiting a non-digestive tract derived abdominal disorder associated with pain using a 5-HT, receptor antagonist
US20060293309A1 (en) * 2005-03-28 2006-12-28 Dynogen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disorders and conditions using peripherally-restricted antagonists and inhibitors
JPWO2010018866A1 (ja) * 2008-08-14 2012-01-26 杏林製薬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医薬組成物
EP4062973A4 (en) 2019-11-20 2023-11-29 Shionogi & Co., Ltd SOLID FORMULATION CONTAINING 6,7-UNSATURATED-7-CARBAMOYL MORPHINAND DERIVATI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7651B1 (en) * 1987-06-29 1993-11-03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Anellated indole derivatives
DE4238553A1 (de) * 1992-11-14 1994-05-19 Kali Chemie Pharma Gmbh Neue Imidazol-1-yl-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AU702594B2 (en) * 1995-10-13 1999-02-25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nantiomerically pure imidazolyl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92369A (ja) 1999-04-06
KR19990023194A (ko) 1999-03-25
TR199801432A2 (xx) 1999-02-22
DE19813661A1 (de) 1999-02-04
HK1017611A1 (en) 1999-11-26
IL125403A0 (en) 1999-03-12
NO983540D0 (no) 1998-07-31
TR199801432A3 (tr) 1999-02-22
JP4324260B2 (ja) 2009-09-02
EP0895782A2 (de) 1999-02-10
HUP9801712A2 (hu) 1999-04-28
DE59812317D1 (de) 2005-01-05
ATE283706T1 (de) 2004-12-15
NZ331083A (en) 2000-01-28
AU743043B2 (en) 2002-01-17
SK100998A3 (en) 1999-02-11
AU7863098A (en) 1999-02-11
CZ236798A3 (cs) 1999-02-17
AR010178A1 (es) 2000-05-17
SK284916B6 (sk) 2006-02-02
ID20685A (id) 1999-02-18
ES2234051T3 (es) 2005-06-16
CN1117565C (zh) 2003-08-13
CA2244389C (en) 2008-01-15
CZ295072B6 (cs) 2005-05-18
NO983540L (no) 1999-02-02
ZA986715B (en) 1999-02-04
DZ2560A1 (fr) 2003-02-15
HU9801712D0 (en) 1998-09-28
CN1207292A (zh) 1999-02-10
UA62924C2 (en) 2004-01-15
NO323229B1 (no) 2007-02-05
HUP9801712A3 (en) 2001-08-28
CA2244389A1 (en) 1999-02-01
RU2199318C2 (ru) 2003-02-27
EP0895782B1 (de) 2004-12-01
BR9803730A (pt) 2000-03-28
PL191767B1 (pl) 2006-06-30
EP0895782A3 (de) 2001-01-31
DK0895782T3 (da) 2005-01-03
IL125403A (en) 2001-11-25
US5977127A (en) 1999-11-02
TW509570B (en) 2002-11-11
PL327786A1 (en) 1999-02-15
PT895782E (pt) 200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279B1 (ko) 일정수분을 함유하는 서방형 제제
KR100348842B1 (ko) 염기성물질로안정화된약제학적조성물
CA2085037C (en) Stabil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n hmg-coa reductase inhibitor compound
US5445827A (en) Effervescent ibuprofen preparations
IE883505L (en) Stabilized medicinal substanc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stable medicinal formulations
FI96274B (fi) Menetelmä valmistaa pimobendaanin oraalisia lääkeainemuotoja
KR100515201B1 (ko) 라세미화반응에대하여안정화된실란세트론제제
KR920006909B1 (ko) 니트렌디핀을 함유하는 고상 약제의 제조 방법
US5368864A (en) Formulation of oxypurinol and/or its alkali and alkaline earth salts
KR910002670B1 (ko) 아모술랄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지속성 제제의 제조방법
JP3110794B2 (ja)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を含有する製剤
US532269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tablet or dragee composition containing a heat-, light- and moisture-sensitive active ingredient having monoclinic crystal structure
KR100988233B1 (ko) 클로피도그렐 1,5-나프탈렌 다이술폰산 염 또는 이의수화물의 약학 조성물 및 제제
EP210174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lopidogrel hydrogenesulphate of polymorph 1 form
EP1300160B1 (en) Method of stabilizing preparation
US509119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dissolution property
EP2117534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atorvastatin active ingredient
KR920008161B1 (ko) 오메프라졸 경구용 약제의 제조방법
RU2287328C2 (ru) Твердый препарат с высоким всасыванием
JPH0466846B2 (ko)
MXPA98006166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cilansetron stabilized against the racemizac
JP2003095939A (ja) 安定なプラバスタチンナトリウム錠
NZ270729A (en) Fluvastatin sodium in an alkaline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