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023B1 -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023B1
KR100510023B1 KR10-2003-0079375A KR20030079375A KR100510023B1 KR 100510023 B1 KR100510023 B1 KR 100510023B1 KR 20030079375 A KR20030079375 A KR 20030079375A KR 100510023 B1 KR100510023 B1 KR 10051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ump
fuel tank
cover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581A (ko
Inventor
야마구치마사아키
요쿠라야스후미
우메자와히사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7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5/00Fuel tank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7/00Arrangements of fuel supply lines, taps, or the like, on motor 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4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specially adapted for tools or spar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 내에, 이 연료 탱크의 상벽에 장착되는 연료 펌프가 수용되고, 이 연료 탱크의 상방이 승차용 시트로 덮혀지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승차용 시트의 높이 설정의 자유도를 증대하면서, 연료 펌프로의 접속부에 승차용 시트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방으로 오목한 연료 탱크(34)의 상벽에 설치되는 펌프 장착부(119)에 연료 펌프(118)가 장착되고, 이 펌프 장착부(119)가 커버(138)로 상방으로부터 덮혀진다.

Description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FUEL SYSTEM ARRANGEMENT STRUCTURE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 내에, 이 연료 탱크의 상벽에 장착되는 연료 펌프가 수용되고, 이 연료 탱크의 상방이 승차용 시트로 덮혀지는 자동이륜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연료 펌프를 수용한 연료 탱크의 상방이 승차용 시트로 덮혀지는 자동이륜차가, 예컨대 특허문헌 1 등에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평 7-110630호 공보
그런데, 연료 탱크의 상벽에 연료 탱크가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연료 탱크의 상벽 상에 연료 펌프 및 연료 호스의 접속부가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이러한 접속부로의 승차용 시트의 간섭을 피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승차용 시트의 높이를 상기 접속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어, 승차용 시트의 높이 설정의 자유도가 좁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승차용 시트의 높이 설정의 자유도를 증대하면서, 연료 펌프로의 접속부에 승차용 시트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 내에, 이 연료 탱크의 상벽에 장착되는 연료 펌프가 수용되고, 이 연료 탱크의 상방이 승차용 시트로 덮혀지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하방으로 오목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벽에 설치되는 펌프 장착부에 상기 연료 펌프가 장착되고, 이 펌프 장착부가 커버로 상방으로부터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연료 펌프가 장착되는 펌프 장착부가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하여 연료 탱크의 상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로의 접속부가 펌프 장착부 상에 배치되고 있어도, 승차용 시트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차용 시트의 높이 설정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에 의해 펌프 장착부가 상방으로부터 덮혀지기 때문에, 연료 탱크로의 급유 등으로 승차용 시트를 개방한 때에, 상기 접속부에 잘못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도록 하여 연료 펌프로의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연료 펌프를 연료 탱크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이 상기 펌프 장착부에 설치되고, 이 삽입구멍을 상방으로부터 폐쇄하도록 하여 연료 펌프의 상단에 설치되는 덮개판이 상기 펌프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덮개판에 상기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런 구성에 의하면, 커버를 연료 탱크측에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가 불필요하여 부품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연료 펌프에서 이격한 위치에서 상기 커버가, 상기 연료 탱크를 지지하여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테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런 구성에 의하면,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커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후륜의 상방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의 전방에, 상기 승차용 시트로 덮혀지는 수납 박스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측의 앞부분에 상기 펌프 장착부 및 상기 연료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의 전단부 또는 상기 수납 박스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의 후단부에는, 상기 연료 펌프측에서 연장되는 호스를 상기 연료 탱크의 앞부분 및 상기 수납 박스의 뒷부분 사이에 통과하는 절결이 설치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수납 박스의 후방측에서 상기 좌우방향 일측을 개방한 대략 U자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연료 펌프를 연료 탱크의 깊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호스를 매끄럽게 배치할 수 있다. 즉 후륜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연료 탱크의 좌우방향 중앙부가 얕게 되지만, 연료 탱크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료 펌프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연료 탱크의 깊은 위치에 연료 펌프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연료 펌프에서 연장된 호스가, 연료 탱크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의 전단부 또는 수납 박스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의 후단부의 절결을 통과해, 대략 U자형상으로 만곡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전방에 수납 박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호스가 강하게 굽어지는 것을 피해 완만하게 만곡하도록 하여, 상기 호스를 매끄럽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펌프 장착부의 주위의 다수 개소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벽에, 상기 승차용 시트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시트 하중 수납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런 구성에 의하면, 큰 하중의 작용에 의해 승차용 시트가 가라앉어도 펌프 장착부의 주위의 다수 개소에서 연료 탱크의 상벽에 승차용 시트의 하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승차용 시트의 변형을 억제하여, 커버에 승차용 시트측에서의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의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1∼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자동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차체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자동이륜차의 전후방 중앙부의 사시도, 도 3은 엔진 및 흡기계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5 화살표 투시 확대도,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7 화살표 투시 방향에서 본 에어클리너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는 도 3의 9 화살표 투시 도면, 도 10은 흡기관 및 연료분사밸브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 단면도, 도 12는 자동이륜차의 뒷부분 종단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14-14선 단면도, 도 15는 연료탱크, 연료펌프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16-16선 확대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17-17선 단면도, 도 18은 도 13의 18-18선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이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20)은, 프론트 포크(24)를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21)와, 이 헤드 파이프(21)에서 후방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메인 프레임(22)과, 메인 프레임(22)의 뒷부분에 연결 설치되고 후방 윗쪽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23···)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포크(24)의 하단에 전륜(WF)이 축지지되고, 프론트 포크(24)의 상부에는 바아 형상의 조향 핸들(25)이 연결되고, 프론트 포크(24)에는, 전륜(WF)의 상방을 덮는 프론트 휀더(26)가 지지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2)은, 횡단면 사각형의 각(角)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이 메인 프레임(22)의 중간부 양 측면에 행거 플레이트(27,···)가 각각 고착되고, 메인 프레임(22)의 뒷부분 양 측면에 피봇 플레이트(28)가 고착된다.
메인 프레임(22)의 하방에는, 예컨대 실린더 축선을 약간 앞 상방으로 한 엔진(E)이 배치되어 있고, 이 엔진(E)은, 상기 행거 플레이트(27···) 및 피봇 플레이트(28)로 지지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20)에 현가된다.
상기 피봇 플레이트(28)에는, 리어 포크(29)의 전단부가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리어 포크(29)의 후단에 후륜(WR)이 축지지된다. 또 차체 프레임(20)에 있어서 리어 프레임(23···) 및 리어 포크(29) 사이에는 리어 쿠션(30)이 설치된다.
상기 엔진(E)은, 변속기(M)와 함께 파워 유니트(P)를 구성하는 것으로, 변속기(M)의 출력은 체인(31)을 통해 후륜(WR)에 전달된다.
또한 엔진(E)의 상방에는, 스로틀 보디(32)와, 이 스로틀 보디(32)보다도 전방에 에어클리너(33)가 배치되어 있고, 후륜(WR)의 상방에는, 연료 탱크(34A)가 배치되어, 이 연료 탱크(34A)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5A) 및 상기 연료 탱크(34A)의 상방이, 예를들면 탠덤(tandem)형인 승차용 시트(36)로 개폐가능하게 덮혀진다.
차체 프레임(20)에는, 이 차체 프레임(20), 상기 엔진(E)의 일부, 스로틀 보디(32), 에어클리너(33), 연료 탱크(34A) 및 수납 박스(35A)를 덮는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38)가 부착되어 있고, 이 차체 커버(38)는, 메인 프레임(2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프론트 사이드 커버(39···)와, 승차자의 레그부를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39···)의 앞부분에 연결하는 레그 시일드(40···)와, 헤드 파이프(21)를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양 레그 시일드(40···)에 연속하는 프론트 톱 커버(41)와, 헤드 파이프(21)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는 동시에 메인 프레임(22)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프론트 톱 커버(41)에 연속하는 메인 프레임 톱 커버(42)와, 상기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39···)의 하부에 연속하는 언더 커버(43···)와, 연료 탱크(34A) 및 수납 박스(35A)를 양측에서 덮는 리어 사이드 커버(44)로 구성된다.
상기 승차용 시트(36)은, 수납 박스(35A)로의 물품의 수납 및 취출, 및 연료 탱크(34A)로의 급유를 가능하게 하고, 개폐가능하게 하여 리어 사이드 커버(44)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륜(WR)의 뒷부분 상방을 덮는 리어 휀더(45)가 리어 사이드 커버(44)에 연결 설치된다.
도 4에 있어서, 스로틀 보디(32)는, 엔진(E)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버터플라이(butterfly)형의 스로틀 밸브(46)가 보디(4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스로틀 밸브(46)에 연속하여 보디(47)의 측방에 배치되는 스로틀 드럼(48)에 스로틀 와이어(49)가 감겨지고,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디(47)는, 자동이륜차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흡기도(吸氣道)(50)를 갖는 것으로, 흡기도(50)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스로틀 밸브(46)는, 흡기도(50)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보디(4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축(51)에 고정된다. 또 스로틀 드럼(48)은, 자동이륜차의 진행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보디(47)의 좌측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 스로틀 드럼(48)이 상기 밸브축(51)의 일단에 고정된다. 또한 스로틀 드럼(48) 및 보디(47) 사이에는, 상기 스로틀 밸브(46)를 닫힌 측으로 가압하는 리턴스프링(52)이 형성되고, 자동이륜차의 승차자가 상기 리턴스프링(5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로틀 와이어(49)를 견인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로틀 밸브(46)가 개방측으로 회전 구동된다.
상기 보디(47)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드럼(48)과는 반대측의 측면 즉 우측면에는, 컨트롤 유니트(53)를 수용하는 하우징(55)이 부착된다. 이 하우징(55)은, 보디(47)에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56)와, 이 하우징 본체(56)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덮개판(5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 유니트(53)는, 하우징 본체(56) 및 덮개판(57) 사이에 끼워 지지되는 회로기판(54) 상에 도시하지 않은 전자회로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54)에는, 스로틀 밸브(46)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센서(58)가 접속된다. 이 스로틀 센서(58)는, 하우징 본체(56)에 회전가능하게 넉넉하게 끼워지는 회전자(59)와, 이 회전자(59)로부터 회로기판(54)측을 향해서 돌출시킨 도전 브러시(60, 60)와, 이들의 도전 브러시(60, 60)를 슬라이드시키도록 하여 회로기판(54)에 프린트되는 저항체(6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자(59)는, 밸브축(51)의 타단에 상대회전을 불능으로 하는 동시에 거터(gutter) 없이 결합된다. 또한 회전자(59)는, 밸브축(51)과 동축상에서 회로기판(54)을 관통하여 덮개판(57)에 돌출 설치된 지지축(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스로틀 센서(58)에 의하면, 스로틀 밸브(46)의 개도가 저항체(61)의 양단간 전압으로서 상기 컨트롤 유니트(53)측에서 검출된다.
또한 스로틀 밸브(46)보다도 상류측에서 보디(47)에는, 흡기도(50)에 개구하는 투과구멍(6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투과구멍(63)을 관통하여 흡기도(50)에 선단 폐색부를 향하게 하는 얇은 두께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인 검출통(64)이, 하우징 본체(56)에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검출통(64)의 선단 폐색부 내면에 밀착하는 서미스터(thermistor)(65)와, 검출통(64) 내에서 상기 서미스터(65)로부터 연장되어 회로기판(54)에 접속되는 단자(66)에서, 흡기온 센서(67)가 구성되어 있고, 컨트롤 유니트(53)는, 흡기온의 변화에 따라 서미스터(65)의 저항치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한 전압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상기 검출통(64) 내에는 흡기온 센서(67)의 수용후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결합제(68)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스로틀 보디(47)에 설치되고 있는 콘트롤 유니트(53)의 회로기판(54)에 스로틀 센서(58) 및 흡기온 센서(67)가 접속되기 때문에, 컨트롤 유니트(53)에, 스로틀 센서(58) 및 흡기온 센서(67)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5)의 상부는, 보디(47)의 상부를 타서 넘어 스로틀 드럼(48)측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고, 스로틀 드럼(48)과 동일측에 개구하는 커플러(69)가 상기 하우징(55)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56)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주목하여, 에어클리너(33)가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클리너 케이스(70)는, 메인 프레임(22)에 지지되는 사발 형상의 케이스 주체(71)와, 이 케이스 주체(71)에 대향하여 개구한 사발 형상의 커버(72)가, 그들(71, 72)의 원주테두리부 사이에 여과 유니트(73)를 끼워 지지하여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클리너 케이스(70) 내는, 커버(72)측에 미정화실(74)과, 케이스 주체(71)측에 정화실(75)로 구획된다.
클리너 케이스(70)의 케이스 주체(71)에는, 에어클리너(33)로부터의 정화공기를 스로틀 보디(32)에 안내하기 위한 커넥팅 튜브(76)가, 그 상류단을 정화실(75) 내에 돌입시키도록 하여 고정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커넥팅 튜브(76)의 하류 단부에는, 스로틀 보디(32)의 보디(47)에 일체로 형성된 상류측 접속통(47a)(도 4 참조)이 결합된다. 더구나 커넥팅 튜브(76)의 스로틀 보디(32)로의 접속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용 밴드(77)가 커넥팅 튜브(76)의 하류단부에 감겨 있고, 나사 부재(78)에 의해 고정용 밴드(77)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커넥팅 튜브(76)의 스로틀 보디(32)로의 접속 상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5 ∼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에어클리너(33)의 클리너 케이스(70)에 있어서 케이스 주체(71)의 하부에는, 이 에어클리너(33)의 후방 경사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스로틀 보디(32) 중 적어도 스로틀 드럼(48)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차폐판(79)이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스로틀 보디(32)에 있어서 하우징(55)이 구비하는 커플러(69)도 스로틀 드럼(48)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커플러(69)도 상기 차폐판(79)으로 전방으로부터 덮혀진다.
상기 고정용 밴드(77)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차폐판(79)에는, 예를들면 원형의 조작용 개구부(80)가 설치되어 있고, 차폐판(79)에는, 조작용 개구부(80)를 개폐가능하게 하여 차폐판(79)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뚜껑(81)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용 개구부(8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차폐판(79)에는 지지구멍(82)이 형성되고, 고무로 이루어지는 뚜껑(81)에는, 상기 지지구멍(82)에 삽입 관통되는 지지축(83)이, 지지구멍(82)으로 삽입 관통시에는 선단측을 직경 축소가능하게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지지축(83)의 선단에는 지지구멍(82)의 주위에서 차폐판(79)의 배면에 탄발적으로 맞물림하는 다수의 맞물림 갈고리(83a···)가 일체로 설치된다. 즉 뚜껑(81)은,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용 개구부(80)를 폐쇄하는 위치와, 도 5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용 개구부(80)를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구멍(82)의 축선 주위에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차폐판(79)에 장착된다.
또한 뚜껑(81)에는, 조작용 개구부(80)의 폐쇄상태에서 조작용 개구부(80) 내에 탄발적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원주방향 다수로 분할된 결합통(84)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통(84)의 선단에 형성된 다수의 맞물림 갈고리(84a···)가 조작용 개구부(80)의 주위에서 차폐판(79)의 배면에 탄발적으로 맞물리는 것에 의해, 뚜껑(81)에 의한 조작용 개구부(80)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엔진(E)에서 헤드 커버(87)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기 차폐판(79)의 하단에는, 헤드 커버(87)를 분리하여 엔진 (E)에 있어서 밸브이동장치의 탭핏(tappet) 조정 등을 행하는 때에, 렌치 등의 공구(86)를 헤드 커버(87)에 삽입하기 위한 절결(79a)이 설치된다.
또한 스로틀 보디(32)의 스로틀 드럼(48)을 측방, 이 실시예에서는 좌측방에서 덮는 합성수지제의 스로틀 드럼 가드(161)가, 상기 에어클리너(33)에 장착된다. 즉 에어클리너(33)의 클리너 케이스(70)에서 케이스 주체(71)의 배면 좌측에는 상기 스로틀 드럼 가드(161)의 상부를 나사부재(162)로 체결하기 위한 장착 보스(71a)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차폐판(79)의 좌측 하부에는, 상기 스로틀 드럼 가드(161)의 하부에 형성된 대략 L자형의 맞물림 갈고리(161a)를 맞물림하는 직사각형의 맞물림구멍(163)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맞물림 갈고리(161a)를 맞물림 구멍(163)에 맞물림하면서 상기 차폐판(79)의 배면에 하부를 접촉시킨 스로틀 드럼 가드(161)의 상부를 나사부재(162)로 상기 장착 보스(71a)에 체결하는 것으로, 스로틀 드럼 가드(161)가 에어클리너(33)에 설치된다.
또한 엔진(E)에서 실린더 헤드(88)의 하부에는, 실린더 헤드(88)의 배기 포트(도시 생략)에 연속하는 배기관(164)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배기 포트로부터 배기관(164)에 흐르는 배기 가스중에 신선한 2차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165)의 하류단이 헤드 커버(87)에 접속되어 있고, 이 관로(165)의 상류단은 엔진(E)에 지지되는 2차공기 제어밸브(166)에 접속된다. 또한 2차공기 제어밸브(166)는 메인 프레임(22)에 지지된 필터(167)에 접속된다.
상기 필터(167)에는, 이 필터(167)로부터 메인 프레임(22)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하는 공기공급 튜브(168)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이 공기공급 튜브(16)의 상류단은 커버 에어클리너(33)의 윗쪽까지 연장되어 있고, 차체 커버(38) 내에서 대기에 개방된다.
더구나 에어클리너(33)의 클리너 케이스(70)에서 케이스 주체(71)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공기공급튜브(168)의 상류단 부근의 부분을 결합하는 결합 홈(169)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결합 홈(169)에 결합된 부분의 공기공급튜브(168)에 윗쪽으로부터 접촉, 맞물림하는 맞물림 핀(170)이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즉 공기공급튜브(168)의 상류단 부근의 부분은, 결합 홈(169)에 결합하는 동시에 윗쪽으로부터 맞물림 핀(170)이 접촉, 맞물림하는 것으로 케이스 주체(71)의 배면 상부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공기공급 튜브(168)를 유지하기 위한 전용의 클램퍼를 메인 프레임(22)에 장착할 필요가 없다.
스로틀 보디(32)의 보디(47)가 일체로 구비되는 하류측 접속통(47b)(도 4 참조)은, 엔진(E)에서 실린더 헤드(88)의 상부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흡기관(89)의 상류단에 접속된다.
도 9 ∼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흡기관(89)은, 스로틀 보디(32)와, 이 스로틀 보디(32)의 후방 경사 아래에 있는 실린더 헤드(88)를 연결하도록 하여 대략 C자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흡기관(89)은, 그 표면을 달구어 늘어 붙도록 고무로 이루어지는 피복재(90)로 피복되어 있고, 이 피복재(9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속통부(90a)에 상기 스로틀 보디(32)의 하류측 접속통(47b)을 긴밀하게 결합하는 것에 의해, 스로틀 보디(32)가 흡기관(89)에 접속된다.
흡기관(89)에는, 실린더 헤드(88) 내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밸브(91)가 장착되고, 이 연료분사밸브(91)의 개폐작동은, 상기 스로틀 보디(32)의 보디(47)에 장착된 하우징(55) 내에 수납, 고정되는 컨트롤 유니트(53)에 의해서 제어된다.
흡기관(89)에는 실린더 헤드(88)측을 향하여 개구한 장착구멍(92)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을 흡기관(89) 내에 향하도록 연료분사밸브(91)의 선단부가 장착구멍(92)에 기밀(氣密)로 결합된다. 또한 연료분사밸브(91)의 후단부는 캡(93)에 액밀(液密)로 결합되어 있고, 이 캡(93)이 흡기관(89)에 체결된다. 즉 연료분사밸브(91)는, 흡기관(89) 및 캡(93)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흡기관(89)에 장착된다.
상기 캡(93)에는, 하류단을 상기 연료분사밸브(91)의 후단부 내에 연통시키도록 하여 연료공급로(9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료공급로(94)의 상류단에 통과하는 입구측 접속관(95)이 캡(93)에 플랜지 결합된다.
상기 캡(93)에는, 상기 연료공급로(94)의 도중에서 분기한 복귀로(9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복귀로(96)에는 압력조정밸브(97)가 접속된다.
이 압력조정밸브(97)의 밸브 하우징(98)은, 상기 연료분사밸브(91)에 인접한 위치에서 이 연료분사밸브(91)와 평행히 배치되는 것으로, 밸브 하우징(98)의 상단부가, 상기 복귀로(96)에 액밀로 통과하는 접속관(99)을 캡(93)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이 캡(93)에 장착된다. 즉 압력조정밸브(97)는, 캡(93)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캡(93)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98)의 하부에는, 밸브 하우징(98)과의 사이에 다이어프램(100)의 원주 테두리부를 끼워 지지하도록 하여 커버(101)가 결합되어 있고, 밸브 하우징(98) 및 다이어프램(100) 사이에는, 상기 복귀로(96)에 통과하는 밸브실(102)이 형성되고, 다이어프램(100) 및 커버(101) 사이에는 스프링실(103)이 형성된다.
또한 밸브 하우징(98)에는, 캡(93)에 플랜지 결합된 입구 접속관(95)의 하방에서 이 입구 접속관(95)과 동일측으로 연장하는 복귀측 접속관부(10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복귀측 접속관부(104)를 통과하는 원통형상의 밸브 시트 부재(105)가, 밸브실(102)의 중앙부를 향하여 다이어프램(100)측에 일부를 돌출시키도록 하여 결합,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 부재(105)의 밸브실(102)측의 단부에 착석가능한 밸브체(106)가 다소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여 유지되어 있고, 스프링실(103)에는, 상기 밸브실(102)측에 다이어프램(100)을 변형하는 측의 스프링력을 발휘하도록 하여 커버(101) 및 다이어프램(100) 사이에 수축 설치되는 스프링(107)이 수용된다.
이러한 압력조정밸브(97)에서는, 다이어프램(100)을 스프링실(103)측으로 가압하는 밸브실(102)측의 액압력이, 다이어프램(100)을 밸브실(102)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실(103)측의 스프링력을 초과하면, 다이어프램(100)이 스프링실(103)측으로 변형하여 밸브체(106)가 밸브 시트 부재(105)로부터 이격하여, 밸브실(102)에 복귀로(106)를 통해 통과하는 연료공급로(94)의 액압 즉 연료분사밸브(91)로의 연료공급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조정된다.
또한 압력조정밸브(9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분사밸브(91)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분사밸브(91) 및 압력조정밸브(97) 사이를 연결하는 연료공급로(94)의 길이를 짧게 하여, 그 연료공급로(94)를 유통하는 연료가 고온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도 14에 있어서, 연료 탱크(34A)는, 하부 탱크 반체(110) 및 상부 탱크 반체(111)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양 탱크 반체(110, 111)의 결합부 전체 원주에는 외측방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연료 탱크(34A)는, 차체 프레임(20)에 있어서의 양 리어 프레임(23···)에 지지되는 것으로, 리어 프레임(23···)에는, 상기 연료 탱크(34A)의 앞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스테이(113···)와, 상기 연료 탱크(34A)의 뒷부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보스(11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테이(113···) 상에 올려진 상기 플랜지부(112)가 볼트(115···) 및 웰드 너트(weld nut)(116···)에 의해서 스테이(113···)에 체결되고, 지지보스(114···) 상에 올려진 상기 플랜지부(112)가 볼트(117…)에 의해서 지지보스(114···)에 체결된다.
그런데, 연료 탱크(34A)는 후륜(WR)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후륜(WR)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연료 탱크(34A)의 밑바닥부 즉 하부 탱크 반체(110)의 밑바닥부는, 그 좌우방향 중앙부가 상방으로 부풀어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연료 탱크(34A)는, 그 좌우방향 양 측부(34L, 34R)가 중앙부(34C)보다도 깊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연료 탱크(34A) 내에는, 연료 펌프(118)가 수용되는 것으로, 이 연료 펌프(118)는 연료 탱크(34A)의 상벽 즉 상부 탱크 반체(111)에 장착된다.
연료 탱크(34A)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방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부(34L))의 상벽 앞부분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평탄한 펌프 장착부(119)가 설치되고, 연료 탱크(34A)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방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부(34R))의 상벽 앞부분에는 전방 아래쪽으로 경사진 호스 배치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 장착부(119)에는, 연료 펌프(118)를 연료 탱크(34A)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 예컨대 타원형상의 삽입구멍(L121)이 형성된다. 즉 연료 펌프(118)는, 연료 탱크(34A)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방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부(34L))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연료 펌프(118)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가 접속되어 있고, 이 필터를 덮는 필터 챔버(122)가, 이 필터 챔버(122) 내에 소정의 액면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여 연료 펌프(118)의 하부에 지지되고, 연료 탱크(34A) 내의 연료 액면을 검출하기 위한 플로트(123)가, 연료 펌프(118)에 지지된다.
상기 펌프 장착부(119)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구멍(121)을 둘러싸도록 하여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판(124)이 용접된다. 이 설치판(124)은, 펌프 장착부(119)에 용접되는 다수 개 예컨대 6개의 저위부(124a···)와, 사다리꼴형상으로 융기한 다수 개 예를들면 6개의 고위부(124 b···)가, 원주방향으로 교대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저위부(124a···)가 펌프 장착부(119)의 상면에 각각 용접된다.
도 16 및 도 1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각 고위부(124b···)의 하면에는, 그들 고위부(124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볼트(125···)가 용접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멍(121)을 상방으로부터 폐쇄하도록 하여 연료 펌프(118)의 상단에 형성된 타원형 평판형상의 덮개판(126)의 외주부에 상기 각 볼트(125···)가 관통 삽입되어, 그들 볼트(125···)에 나사 결합한 너트(127···)를 체결하는 것으로 덮개판(126) 즉 연료 펌프(118)가 펌프 장착부(119)에 설치되는 것으로 된다.
더구나 펌프 장착부(119) 및 상기 덮개판(126) 사이에는, 고무제의 가스켓(128)이 끼워지는 것으로, 이 가스켓(128)은, 상기 설치판(124)의 고위부(124b···)를 각각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129···)를 갖고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볼트(125···)에 나사 결합한 너트(127···)의 체결에 의해, 설치판(124)의 저위부(124a···) 및 덮개판(126) 사이에서 끼워져 가압되는 동시에 설치판(124)의 안, 밖에서 펌프 장착부(119) 및 상기 덮개판(126) 사이에 끼워져 가압된다.
상기 연료 펌프(118)의 상단에는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된 토출관(130)이 접속되어 있고, 연료 펌프(118)는 토출관(130)으로부터 연료를 토출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126)에는, 이 덮개판(126)을 액밀로 관통하는 동시에 연료 펌프(118)의 측방에서 연료 탱크(34A) 내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복귀관(131)이 고정 장착되어 있고, 덮개판(126)의 상방에서 복귀관(131)은, 상기 토출관(130)과 동일하게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된다.
더구나 덮개판(126)의 상방에서 상기 토출관(130) 및 복귀관(131)은, 오른쪽 경사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토출관(130)에는, 연료 호스(132)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복귀관(131)에는, 상류단을 상기 압력조정밸브(97)의 복귀측 접속관부(104)에 접속한 복귀호스(133)의 하류단이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 토출관(130) 및 복귀관(131)의 지향방향을 따라 연료 탱크(34A)의 앞단, 즉 좌측 앞부분에 연료 펌프(118)가 배치되는 연료 탱크(34A)의 오른쪽 앞단의 플랜지부(112)에는, 연료 탱크(34A)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납박스(35A)와의 사이에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를 통과하는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135)이 형성되고 있고,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는, 토출관(130) 및 복귀관(131)으로부터 호스배치부(120) 위를 지나서 상기 절결(13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수납박스(35A)의 후방에서 이 수납박스(35A)의 좌측으로 연장하도록 굴곡된다. 즉 토출관(130) 및 복귀관(131)에 접속되는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는, 수납박스(35A)의 후방에서는 좌측으로 개방한 대략 U자형상으로 만곡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수납박스(35A)의 좌측에는,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는 병행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연료 호스(132)의 하류단은, 수납박스(35A)의 앞부분 좌측에서 한쪽 리어 프레임(23)의 앞부분에 지지부재(134)로 지지되는 고압 필터(136)에 접속되어, 고압 필터(136)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연료 호스(137)가, 연료분사밸브(91)에 연료를 공급하는 캡(93)의 입구측 접속관(95)에 접속된다. 더구나 상기 고압 필터(136)는, 메인 프레임 상부 커버(42)를 분리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134)에 의해서 리어 프레임(23)에 지지되어 있다.
이처럼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는, 캡(93) 및 압력조정밸브(97)에 접속되는 것으로, 연료펌프(118)로부터의 연료는 연료, 분사밸브(191)의 근방의 압력조정밸브(97)까지 왕복하여 순환하기 때문에,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의 하방에 엔진(E)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장착부(119) 및 호스배치부(120)는, 연료 펌프(118)의 상단,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를 덮는 커버(138)로 상방으로부터 덮혀지는 것으로, 이 커버(138)는, 상기 연료 펌프(118)의 덮개판(126)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39, 139)에 체결된다. 즉 커버(138)는 덮개판(126)에 지지부재(139, 139)를 통해 설치된다.
지지부재(139, 139)는, 연료 탱크(34A)의 삽입구멍(119)을 끼워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연료 펌프(118)의 덮개판(126)을 설치판(124)에 체결하기 위한 6세트의 볼트(125···) 및 너트(127···) 중 한 쌍씩 2세트의 볼트(125···) 및 너트(127···)에 의해서 덮개판(126)에 체결되어, 덮개판(126)으로부터 상방으로 융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 지지부재(139, 139)의 상부 내면에는, 웰드 너트(140, 140)가 고정 장착되어 있고, 지지부재(139, 139) 상에 배치된 커버(138) 및 지지부재(139, 139)에 삽입 관통되는 나사부재(141, 141)가 웰드 너트(140, 140)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연료 펌프(118)로부터 이격한 위치인 커버(138)의 우단부는, 연료 탱크(34A)의 오른쪽 앞부분을 지지하도록 하여 오른쪽의 리어 프레임(23)에 고착된 스테이(113)에 지지되는 것으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34A)의 오른쪽 앞부분의 플랜지부(112)와 함께, 볼트(115) 및 웰드 너트(116)에 의해서 스테이(113)에도 체결된다.
그런데, 수납박스(35A)의 하부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리어 프레임(23···)의 앞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판(142) 상에 한 쌍의 마운트 부재(143···)를 통해 지지되고, 수납박스(35A)의 뒷부분의 좌우 상단부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운트부재(144···)를 통해 스테이(113···)의 앞부분에 지지된다.
수납박스(35A)의 뒷부분의 좌우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플랜지(35a···) 및 스테이(113···)의 앞부분 사이에 마운트부재(144···)가 각각 끼워지고, 지지 플랜지(35a···), 이 지지 플랜지(35a)의 상면에 접촉하는 합성수지제의 와셔(149···) 및 마운트부재(144···)에 금속제 원통형상의 칼라(145···)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와셔(149···) 및 칼라(145)의 상단에 금속제 와셔(148···)가 접촉된다. 이와 같이 와셔(148···)에 맞물림하는 맞물림 헤드부(147a···)를 갖는 볼트(147···)가, 와셔(148···) 및 칼라(145···)에 삽입 관통되어, 스테이(113···)의 앞부분 하면에 고착되는 웰드 너트(146···)에 나사 결합하는 상기 볼트(147···)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납박스(35A)의 뒷부분 좌우 상단이 스테이(113···)에 지지된다.
승차용 시트(36)의 앞단은, 수납박스(35A)의 앞단 중앙 상부에 힌지(150)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승차용 시트(36)를 닫을 때에, 이 승차용 시트(36)의 뒷부분를 수납하는 수납판(151)이 양 리어 프레임(23···)의 뒷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승차용 시트(36)의 밑바닥판(36a)의 하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재(153‥·)가 수납판(151)에 접촉된다. 또한 수납판(151)에는, 글러브 레일(152)의 양단이 설치된다.
그런데, 닫힌 상태에 있는 승차용 시트(36)에 걸리는 하중이 비교적 작을 때에는, 승차용 시트(36)의 전후방향 중간부가 연료 탱크(34A)에 접촉하는 것은 아니지만, 하중이 커져 승차용 시트(36)가 하방으로 변형할 때에, 승차용 시트(36)의 하중을 받기 위한 시트 하중 수납 위치가 상기 펌프 장착부(119)의 주위의 다수 개소, 이 실시예에서는 3개소에서 연료 탱크(34A)의 상벽에 설정되어 있고, 승차용 시트(36)의 밑바닥판(36a)의 하면에 고정되는 3개의 탄성재(154A, 154B, 154C)가 상기 각 시트 하중 수납 위치에서 연료 탱크(34A)의 상벽에 접촉가능하다. 또, 상기 탄성재(154C)를 생략하여, 한 쌍의 시트 하중 수납 위치에서 탄성재(154A, 154B)가 연료 탱크(34A)의 상벽에 접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연료 탱크(34A)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주입구(도시생략)가 연료 탱크(34A)의 상벽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있고, 이 연료 주입구를 닫는 연료주입 캡(155)이 연료 탱크(34A)의 상벽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에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에어클리너(33)의 클리너 케이스(70)에, 스로틀 보디(32) 중 적어도 스로틀 드럼(48)을 전방에서 덮는 차폐판(79)이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 수가 증대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전륜(WR)에서 뛰어 올려지는 물이나 진흙이 스로틀 드럼(48)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로틀 보디(32)의 보디(47)에는, 엔진(E)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분사밸브(9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니트(53)가 장착되어 있고, 이 컨트롤 유니트(53)도 차폐판(79)으로 전방으로부터 덮혀지기 때문에, 컨트롤 유니트(53)의 방수 및 진흙 방지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로틀 보디(32)의 스로틀 드럼(48)을 측방(이 실시예에서는 좌측방)으로부터 덮는 스로틀 드럼 가드(161)가 에어클리너(33)의 클리너 케이스(70)에 설치되기 때문에, 스로틀 보디(32)의 측방으로부터 물이나 진흙이 스로틀 드럼(48)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에어클리너(33)로부터의 정화공기를 안내하는 커넥팅 튜브(76)를 스로틀 보디(32)에 접속하기 위한 고정용 밴드(7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폐판(79)에 조작용 개구부(80)가 형성되고, 조작용 개구부(80)를 개폐가능하게 한 뚜껑(81)이 차폐판(79)에 장착되고 있기 때문에, 차폐판(79)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작용 개구부(80)를 통해서 전방에서 손가락을 삽입하여 고정용 밴드(77)를 눌러, 차폐판(79)의 측방으로부터 고정용 밴드(77)의 체결 및 완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시나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34A) 내에 수용되는 연료 펌프(118)를 설치하기 위한 펌프 장착부(119)가, 하방으로 오목하게 연료 탱크(34A)의 상벽에 형성되고, 그 펌프 장착부(119)가 커버(138)로 상방으로부터 덮혀지기 때문에, 연료 펌프(118)로의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 등의 접속부가 펌프 장착부(119) 상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승차용 시트(36)의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승차용 시트(36)의 높이 설정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더구나 커버(36)에 의해서 펌프 설치부(119)가 상방으로부터 덮어지기 때문에, 연료 탱크(34A)로의 급유 등으로 승차용 시트(36)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접속부에 잘못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도록 하여 연료 펌프(118)로의 접속부를 보호할 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가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여 뛰어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료 펌프(118)를 연료 탱크(34A) 내에 삽입하도록 하여 펌프 장착부(119)에 형성된 삽입구멍(121)을 상방으로부터 폐쇄하도록 하여 연료 펌프(118)의 상단에 설치되는 덮개판(126)이 펌프 장착부(119)에 설치되고, 덮개판(126)에 지지부재(139, 139)를 통해 커버(138)가 설치되기 때문에, 커버(138)를 연료 탱크(34A)측에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가 불필요하여 부품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연료 펌프(118)로부터 이격한 커버(138)의 우측 앞부분은, 연료 탱크(34A)를 지지하여 차체 프레임(20)의 리어 프레임(23)에 형성되는 스테이(113)에, 연료 탱크(34A)와의 공동 체결로 설치되기 때문에, 커버(138)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의 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커버(138)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후륜(WR)의 상방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4A)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부(34L))의 앞부분에 상기 펌프 장착부(119) 및 상기 연료 펌프(118)가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118)를 연료 탱크(34A)의 깊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즉 후륜(WR)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연료 탱크(34A)의 좌우방향 중앙부(34C)가 얕게 되는 것인데, 연료 탱크(34A)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료 펌프(118)를 배치함으로써 연료 탱크(34A)의 깊은 위치에 연료 펌프(118)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연료 탱크(34A)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부(34R))의 앞단부에, 연료 펌프(118)측에서 연장되는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를, 연료 탱크(34A)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납박스(35A)의 뒷부분와의 사이에 통과시키는 절결(135)이 설치되고 있고,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는, 수납박스(35A)의 후방측에서 상기 좌우방향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을 개방한 대략 U자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료 탱크(34A)의 전방에 수납박스(35A)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가 강하게 굽혀지는 것을 피하여 느슨하게 만곡하도록 하여,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를 매끄럽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장착부(119)의 주위의 다수 개소에서 연료 탱크(34A)의 상벽에, 승차용 시트(36)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시트 하중 수납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큰 하중의 작용에 의해서 승차용 시트(36)가 가라앉더라도 펌프 장착부(119)의 주위의 다수 개소에서 연료 탱크(34A)의 상벽에 승차용 시트(36)의 하중이 받아지도록 되기 때문에, 승차용 시트(36)의 변형을 억제하여, 커버(138)에 승차용 시트(36)측에서의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연료 탱크(34B)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앞부분에 펌프 장착부(119) 및 연료 펌프(118)가 배치되고, 연료 탱크(34B)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5B)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의 후단부에, 연료 펌프(118)측에서 연장되는 호스(132, 132)를 연료 탱크(34B)의 앞부분 및 수납 박스(35B)의 뒷부분 사이에 통과하는 절결(157)이 설치되어도 좋다.
이 제2 실시예에 의해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에를 도시하는 것으로, 수납 박스(35C)의 전방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4C)에 있어서 좌우방향 중앙부의 뒷부분 상벽에 설치되는 펌프 장착부(119')에, 연료 탱크(34C) 내에 수용되는 연료 펌프(118)의 상단이 장착되고, 펌프 장착부(119')가 커버(138')로 상방으로부터 덮혀진다.
또한 수납 박스(35C)에 있어서 좌우방향 어느 한쪽의 일방측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료 펌프(118)측에서 연장하는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를 연료 탱크(34C)의 뒷부분와의 사이에 통과하는 절결(158)이 설치되고, 연료 호스(132) 및 복귀호스(133)는 연료 탱크(34C)의 후방측에서 좌우방향 타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을 개방한 대략 U자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연료 펌프로의 접속부가 펌프 장착부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승차용 시트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차용 시트의 높이 설정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승차용 시트를 개방한 때에 연료 펌프로의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우수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를 연료 탱크측에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가 불필요하여 부품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커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연료 펌프를 연료 탱크의 깊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호스를 매끄럽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승차용 시트의 변형을 억제하여, 커버에 승차용 시트측에서의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자동이륜차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차체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자동이륜차의 전후방향 중앙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엔진 및 흡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5 화살표 투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7 화살표 투시 방향에서 본 에어클리너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9 화살표 투시도이다.
도 10은 흡기관 및 연료분사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1-11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자동이륜차의 뒷부분 종단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13-13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14-14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연료 탱크, 연료 펌프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16-16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17-17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18-18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의 도 13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 탱크 및 수납 박스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차체 프레임 34A, 34B, 34C : 연료 탱크
35A, 35B : 수납 박스 36 : 승차용 시트
113 : 스테이 118 : 연료 펌프
119, 119' : 펌프 장착부 132 : 연료 호스
133 : 복귀 호스 135, 157 : 절결
138, 138' : 커버 WR : 후륜

Claims (5)

  1. 차체 프레임(20)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34A, 34B, 34C) 내에, 이 연료 탱크(34A~34C)의 상벽에 장착되는 연료 펌프(118)가 수용되고, 이 연료 탱크(34A~34C)의 상방이 승차용 시트(36)로 덮혀지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하방으로 오목한 상기 연료 탱크(34A~34C)의 상벽에 설치되는 펌프 장착부(119, 119')에 상기 연료 펌프(118)가 장착되고, 이 펌프 장착부(119, 119')가 커버(138, 138')로 상방으로부터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118)를 연료 탱크(34A~34C)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121)이 상기 펌프 장착부(119, 119')에 설치되고, 이 삽입구멍(121)을 상방으로부터 폐쇄하도록 하여 연료 펌프(118)의 상단에 설치되는 덮개판(126)이 상기 펌프 장착부(119, 119')에 장착되고, 상기 덮개판(126)에 상기 커버(138, 13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118)에서 이격한 위치에서 상기 커버(138)가, 상기 연료 탱크(34A~34C)를 지지하여 차체 프레임(20)에 설치되는 스테이(1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후륜(WR)의 상방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4A, 34B)의 전방에, 상기 승차용 시트(36)로 덮혀지는 수납 박스(35A, 35B)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34A, 34B)의 좌우 어느 하나 일측의 앞부분에 상기 펌프 장착부(119) 및 상기 연료 펌프(118)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34A, 34B)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의 전단부 또는 상기 수납 박스(35A, 35B)의 좌우 어느 하나의 타측의 후단부에는, 상기 연료 펌프(118)측에서 연장되는 호스(132, 133)를 상기 연료 탱크(34A, 34B)의 앞부분 및 상기 수납 박스(35A, 35B)의 뒷부분 사이에 통과하는 절결(135, 157)이 설치되고, 상기 호스(132, 133)는, 상기 수납 박스(35A, 35B)의 후방측에서 상기 좌우방향 일측을 개방한 대략 U자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착부(119, 119')의 주위의 다수 개소에서 상기 연료 탱크(34A~34C)의 상벽에, 상기 승차용 시트(36)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시트 하중 수납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KR10-2003-0079375A 2002-11-29 2003-11-11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KR100510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8628A JP4176456B2 (ja) 2002-11-29 2002-11-29 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系配置構造
JPJP-P-2002-00348628 2002-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581A KR20040047581A (ko) 2004-06-05
KR100510023B1 true KR100510023B1 (ko) 2005-08-24

Family

ID=3275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375A KR100510023B1 (ko) 2002-11-29 2003-11-11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76456B2 (ko)
KR (1) KR100510023B1 (ko)
CN (1) CN1260089C (ko)
MX (1) MXPA03010544A (ko)
TW (1) TWI228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7913B2 (ja) * 2003-09-30 2009-1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構造
JP4295065B2 (ja) * 2003-10-02 2009-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取付構造
JP4673562B2 (ja) * 2004-03-01 2011-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収納ボックス及び燃料タンク構造
JP4529642B2 (ja) * 2004-11-02 2010-08-25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ー型自動二輪車
BRPI0608984A2 (pt) * 2005-05-11 2010-01-12 Honda Motor Co Ltd motocicleta
JP2007118627A (ja) 2005-10-24 2007-05-17 Yamah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アセンブリ及び当該燃料タンクアセンブリを備えた鞍乗型車両
JP2007118628A (ja) 2005-10-24 2007-05-1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EP1787900A1 (en) * 2005-11-17 2007-05-23 Keihin Corporation Fuel supply unit in fuel tank for motorcycle
JP4755554B2 (ja) * 2005-11-22 2011-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燃料ポンプ配置構造
JP5144283B2 (ja) * 2007-02-01 2013-02-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JP5142556B2 (ja) * 2007-03-02 2013-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ポンプ配置構造
JP4999517B2 (ja) * 2007-03-29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5046992B2 (ja) * 2008-02-22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燃料ポンプカバー構造
JP5331520B2 (ja) * 2009-03-09 2013-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JP5409208B2 (ja) * 2009-08-31 2014-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シート下カバー構造
JP5560059B2 (ja) * 2010-01-29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5520623B2 (ja) * 2010-01-29 2014-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5604152B2 (ja) * 2010-03-31 2014-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683195B2 (ja) * 2010-09-30 2015-03-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支持構造
JP2012111417A (ja) * 2010-11-26 2012-06-14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5766446B2 (ja) * 2011-01-18 2015-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カバー構造
JP5782280B2 (ja) * 2011-03-29 2015-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5891786B2 (ja) * 2011-12-28 2016-03-23 スズ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5819202B2 (ja) * 2012-01-11 2015-1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2013193482A (ja) 2012-03-15 2013-09-3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6155858B2 (ja) * 2013-06-04 2017-07-05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WO2016052020A1 (ja) * 2014-09-29 2016-04-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燃料タンク構造
JP6207488B2 (ja) * 2014-09-29 2017-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および燃料供給装置を搭載した小型車両
JP6086889B2 (ja) * 2014-09-30 2017-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燃料タンク
WO2018182542A1 (en) * 2017-03-29 2018-10-04 Honda Motor Company Limited Fuel tank structure for motorcycle
US10738745B2 (en) * 2018-07-12 2020-08-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fuel pump cover assembly and method
US11437258B2 (en) * 2018-08-30 2022-09-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Workpiece storage system, method of storing workpiece, and method of transferring workpiece using the same
JP7198796B2 (ja) * 2020-09-23 2023-0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ユニット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4377A (zh) 2004-06-16
TW200415059A (en) 2004-08-16
MXPA03010544A (es) 2005-04-19
KR20040047581A (ko) 2004-06-05
CN1260089C (zh) 2006-06-21
TWI228093B (en) 2005-02-21
JP2004182018A (ja) 2004-07-02
JP4176456B2 (ja)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023B1 (ko)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연료계 배치 구조
KR100566495B1 (ko) 자동이륜차
US8690192B2 (en) Saddle riding vehicle
EP1510673B1 (en) Exhaust control system for motorcycle
JP2004183538A (ja) 小型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への燃料供給構造
US8292045B2 (en) Brake system for a motorcycle including vibration-damping support structur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JP4564083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系配置構造
JP5975680B2 (ja) 鞍乗型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2008247389A5 (ko)
AU2008200500B2 (en) Fuel supply system for small vehicle
KR100715177B1 (ko) 자동 이륜차의 연료 공급 장치
KR20040048303A (ko) 소형차량
JP4615780B2 (ja) 小型車両
JP4344423B2 (ja) 自動二輪車
JP4319216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排ガスセンサ取付け構造
US11703019B2 (en) Intake device
CN110506157B (zh) 内燃机的燃料供给装置
AU2008200561B2 (en) Fuel supply system for small vehicle
JP2003072640A (ja) 鞍乗型車両
JP2007270707A (ja) スクーター型車両の二次空気供給装置
JP2007076509A (ja) 自動二輪車
JPH04166484A (ja) 自動二輪車のリアーフェ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