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363B1 - 촬영 화상을 인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화상을 인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363B1
KR100508363B1 KR10-2002-0053857A KR20020053857A KR100508363B1 KR 100508363 B1 KR100508363 B1 KR 100508363B1 KR 20020053857 A KR20020053857 A KR 20020053857A KR 100508363 B1 KR100508363 B1 KR 10050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rrection
shooting condition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072A (ko
Inventor
아끼야마유지
도리고에마꼬또
야마조에마나부
이구찌료스께
후지따다까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7Processing or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5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ill pictu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device, e.g. in a memory or on a display separate from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warding, urgent or confidentia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촬영 화상에 다양한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여 촬영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 처리 방법은 촬영 조건 정보가 부가된 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화상 정보의 특성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된 화상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에 대해 화질을 향상시키는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는 단계; 상기 촬영 화상에 부가된 상기 촬영 조건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촬영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는 단계에서 수행될 화상 보정 처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촬영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고품질의 인쇄 출력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화상을 인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INT PROCESS OF PHOTOGRAPHED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 의한 촬영시 획득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에 의해 프린트 출력하기 위한 화상 정정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확산에 따라, 촬영된 화상의 디지털화는 보편화되었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서의 사진 화상을 처리할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사진 화상인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처리 및 편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풀 컬러(full-color) 하드웨어 카피 기술 또한 급속하게 진척되고 있다. 특히, 잉크젯 시스템에 따른 인쇄 기술에 있어서, 잉크 도트에 의한 입상감(granularity)을 저감시키는 기술의 향상에 의해, 잉크젯 시스템에 의한 인쇄 출력 결과의 화질이 은염 사진법에 의한 인쇄 출력 결과의 화질과 동등하게 된다. 게다가, 잉크젯 시스템에 따른 인쇄 기술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이 시스템은 폭넓게 확산되어 있다.
상술한 기술적 배경에 따르면, 디지탈 스틸 카메라로 촬영하여 취득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손쉽게 인쇄 출력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가 인쇄 출력될 때 수행될 화상 보정 처리에 관련하여, 복잡한 기능을 사용하는 수동 화상 보정 처리 대신에,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보정 처리가 수행된 후, 항상 뛰어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자동 화상 보정 처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뛰어난 인쇄 출력 결과를 얻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보정 처리와 같은 화상 처리를 수행하고나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 출력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촬영 화상의 장면을 해석하여,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화상 보정을 행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촬영 화상을 인쇄 출력할 때, 지나치게 밝거나(지나치게 얇거나), 혹은 지나치게 어둡거나(지나치게 짙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화상 보정인 "농도 보정"에 관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흐림이나 노출 불량(밝기나 콘트라스트 불량), 또는 채도 불량 등에 기인한 바람직하지 못한 화상 및 색흐림 등에 기인한 컬러 밸런스가 무너진 화상을 보정하는 소위 "화상 보정"에 관련된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농도 보정" 및 "화상 보정" 중 어느 하나의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자동 화상 보정을 위한 구성으로서, 처리될 화상(원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신호의 휘도 치마다, 대상 휘도치의 화소 수를 누적한 막대 그래프를 이용하여 원화상을 해석하며, 해당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원화상의 보정을 행하는 구성이 이용되고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으로는,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서,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능은 물론, 촬영시의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해당 기록 매체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는 기능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어진 처리 대상이 되는 화상(대상 화상)의 화상 해석을 행하는 것으로 대상 화상의 장면을 해석하고, 해당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대상 화상의 자동 화상 보정을 행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모든 대상 화상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화상(표준 화상)이 인쇄 출력되는 것 같은 자동 화상 보정을 행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상술한 자동 화상 보정의 경우에, 대상 화상을 취득했을 때(촬영시)의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는 보정이 행하여질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화상을 밝게 혹은 어둡게 하는 노출 조건하에서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에 대하여도, 밝은 화상이면 조금 어둡게 화상 보정되고, 또한, 어두운 화상이면 조금 밝게 화상 보정된다. 즉, 대상 화상이 임의의 종류의 화상인 경우에도, 화상은 표준 밝기 중 하나로서 보정되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를 의도적으로 바꾸어 특수한 효과를 겨냥한 화상에 대하여도, 통상의 촬영시 취해지는 화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적의 컬러 밸런스로 취해진 화상 보정이 수행된다.
한편, 디지탈 스틸 카메라가 촬영될 장면에 대하여 최적의 촬영 조건을 취하는 촬영 모드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해당 촬영 모드에 기초한 화상 보정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만일 촬영 장면의 정보가 이미 인식되었다면, 즉, 풍경, 사람 등의 촬영 장면이 미리 인식하고 있다면, 보다 정밀하고 바람직한 화상에의 보정이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촬영하여 얻어진 대상 화상의 해석 결과로부터, 촬영 장면이 어떠한 종류의 장면에 해당하는지를 확실하게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자동 화상 보정에 따른 보정 효과를 약하게 하여 화상 폐해가 생기지 않도록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
최근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에 대하여, 채도를 높이거나 콘트라스트 또는 밝기를 가변하는 특수 효과 기능이 설치된 카메라가 있다. 그러나, 만일 해당 특수 효과 기능을 사용함과 함께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하면, 이중 보정에 의해, 해당 특수 효과 기능에의한 특수 효과가 상실되거나 특수 효과의 보정이 강해져서, 처리된 화상의 품질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자가 의도한 품질의 화상 인쇄를 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화상에 부가된 촬영 상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인쇄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 인쇄시 자동 보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초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인쇄 시스템(100)에 적용된다. 화상 인쇄 시스템(100)은 특히,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로 촬영하여 얻어진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부가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의 화상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고정밀도인 자동 화상 보정을 실현하여, 촬영시의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반영한 고품질의 사진 화상 인쇄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 인쇄 시스템(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상 인쇄 시스템(100)의 구성>
화상 인쇄 시스템(100)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 화상 처리 장치(108), 및 프린터(1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는 촬영 동작에 의해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취득함과 함께, 해당 촬영 동작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 데이터(106)(부가 정보) 및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105)를 화상 처리 장치(108)에 출력하는 것으로, 촬영 조건 설정부(102), 촬영 조건 기록부(103), 및 촬영 화상 기록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 조건 설정부(102)는 촬영 동작에 필요한 각종의 촬영 조건의 설정을 행한다. 촬영 조건 기록부(103)는 촬영 조건 설정부(102)에 의해 설정된 촬영 조건의 데이터(106)를 화상 데이터(105)(화상 처리 장치(108)에 출력될 데이터)에 기록한다.
촬영 화상 기록부(104)는 촬영 조건 설정부(102)에 의해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촬영된 화상 데이터(107)를 화상 데이터(105)에 기록한다.
화상 데이터(105)를 화상 처리 장치(108)에 공급하는 공급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통신 회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 기록 매체를 전달하는 방법 등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108)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프린터 드라이버의 구동에 따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105)의 촬영 화상 데이터(107)에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여 프린터(115)로 인쇄 출력한다.
이 때문에, 화상 처리 장치(108)는 판독부(109), 촬영 조건 해석부(111) 및 촬영 화상 해석부(112)를 포함하는 데이터 해석부(110), 화상 보정 처리부(113), 및 인쇄 데이터 변환부(114)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부(109)∼(114)의 각 기능은 상기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프린터 드라이버의 구동에 의해 실현된다.
판독부(109)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한다.
데이터 해석부(110)는 촬영 조건 해석부(1l1)를 이용하여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105)에 포함되는 촬영 조건 데이터(106)를 해석함과 함께, 촬영 화상 해석부(112)를 이용하여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해석하여, 해당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화상 보정 처리부(113)는 데이터 해석부(110)에서 선택된 화상 보정 알고리즘에 따른 촬영 화상 데이터(107)에 대하여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한다.
화상 보정 알고리즘의 선택(결정)에 대하여, 예를 들면, 촬영 화상 해석부(112)가 촬영 화상 데이터(107)의 신호치로부터 휘도치나 휘도 분포를 해석하는 경우, 해당 해석 결과에 의해, 촬영 화상 데이터(107)의 특성을 인식하여, 이 인식된 결과에 해당하는 최적의 보정 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나서, 해당 결정 조건에 기초한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즉, 최종적인 화상 보정 알고리즘의 선택은 촬영 조건 해석부(111)에 의한 촬영 조건 데이터(106)의 해석 결과로부터 결정된 알고리즘과 촬영 화상 해석부(112)에 의해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의 특성 인식으로부터 결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화상 보정 처리로서는, 밝기 보정 처리, 콘트라스트 보정 처리, 색 보정 처리, 채도 보정 처리, 평활화 처리, 윤곽 강조 처리, 및 노이즈 저감 처리 등이 들 수 있다. 그러나, 화상 보정 처리는 상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쇄 데이터 변환부(114)는 화상 보정 처리부(113)에서 보정된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프린터(115)로 인쇄 가능한 적절한 형식의 데이터(예를 들면, C, M, Y 및 K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린터(115)에 전송한다.
그리고나서, 프린터(115)는 화상 처리 장치(108)의 인쇄 데이터 변환부(11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쇄 출력한다.
프린터(115)로서, 시리얼 주사 형식의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 등이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8)에 포함된 구성부들(109)∼(114)의 기능들은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기능들의 구현은 상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들은 프린터(115)의 드라이버의 형태로 실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8)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경우, 화상 데이터(105)는 화상 처리 장치(108)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거나, 화상 처리 장치(108)에 접속된 다른 퍼스널 컴퓨터(서버 등을 포함)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고, 이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장치(108) 내에서 처리될 수도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로부터 화상 처리 장치(108)(화상 처리 장치(108)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내부의 기억 매체 등)로의 화상 데이터(105)의 전송에 관련하여, 임의의 통신 회선이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드 판독기, 케이블 접속,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는 케이블 접속,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108)와 접속하여, 화상 처리 장치(108)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 보유된 메모리 카드나 내장 메모리 등으로부터, 직접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화상 인쇄 시스템(100)의 시스템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프린터(115)내에 화상 처리 장치(108)의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상 인쇄 시스템(100)으로서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프린터(115)에서, 화상 데이터(105)를, 프린터(115)에 설치된 카드 판독기 등의 데이터 판독 수단(판독부(109)의 기능에 상당)에 의해,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를 통해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밖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는 유선 케이블,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프린터(115)와 접속되며, 프린터(115)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 보유된 메모리 카드나 내장 메모리 등으로부터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화상 데이터(105)의 포맷>.
화상 데이터(105)의 포맷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서, 화상 데이터(105)를 임의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의 기록 포맷, 또는 화상 처리 장치(108)에 전송할 때의 포맷을 의미한다.
화상 데이터(105)는 예를 들면, 촬영 조건 데이터(106)의 기록 영역인 태그 영역(106a), 및 촬영 화상 데이터(107)의 기록 영역인 촬영 화상 데이터 영역(107a)으로 구성된다.
화상 데이터(105)로서는, 압축된 상태의 데이터이거나 비압축된 형식의 데이터일 수도 있다. 화상 데이터(105)를 압축하는 경우에, 촬영 조건 데이터(106)는 압축되지 않고 촬영 화상 데이터(107)는 압축되는 방식으로 부분적인 압축을 행할 수도 있다. 촬영 화상 데이터(107)의 컬러 공간으로서, RGB 데이터나 YCC(휘도 색차)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촬영 화상 데이터(107)로서 YCC 데이터가 사용되는 경우, 화상 처리 장치(108)의 판독부(109)에서는, YCC 데이터로부터 RGB 데이터로의 변환을 행한다.
화상 데이터(105)의 태그 영역(106a)에서, 촬영 조건 데이터(106)는 영역의 헤드(head)에서 소정의 데이터량을 오프셋한 부분에 기록된다. 촬영 조건 데이터(106)(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의 촬영 조건 정보)는 노출, 스트로보스코프, 화이트 밸런스, 및 촬영 모드 등에 관한 데이터에 해당하며, 데이터의 포맷은 데이터 입력측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10l)와 데이터 출력측인 프린터(115)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되어 있다.
촬영 조건 데이터(106)로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D = 0∼3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ID = 0 (offset = n)의 정보는 노출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서, 자동 노출 모드에 따라 촬영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진 경우,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서, ID = 0에 대하여 파라미터 "0"을 설정한다. 한편, 수동 노출 모드에 따라 촬영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진 경우, 해당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서는, ID = 0에 대하여 파라미터 "1"을 설정한다.
ID = 1(offset = n + 1)의 정보는 스트로보스코프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서, 스트로보스코프가 발광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진 경우, 해당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서, ID = 1에 대하여 파라미터 "0"을 설정한다. 한편, 스트로보스코프가 발광되는 상태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지는 경우, 해당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서는, ID = 1에 대하여, 파라미터 "1"을 설정한다.
ID = 2(offset = n + 2)의 정보는 화이트 밸런스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 있어서, 자동 화이트 밸런스 모드의 상태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진 경우, 해당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서는, ID = 2에 대하여, 파라미터 "0"을 설정한다. 한편, 수동 화이트 밸런스 모드의 상태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진 경우, 해당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서는, ID= 2에 대하여, 파라미터“1"을 설정한다.
ID = 3 (offset = n + 3)의 정보는 촬영 모드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8)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인쇄 출력할 경우의 화상 보정 처리가 금지되는 경우, ID = 3에 대하여, "효과 금지(effect inhibition"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0"을 설정한다. 이 파라미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서 화상 편집 처리를 수행할 때 설정된다. 한편, 화상 처리 장치(108)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인쇄 출력할 경우의 화상 보정 처리를 유효로 하는 경우, ID = 3에 대하여, "표준"을 가리키는 파라미터 "1"를 설정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서, "풍경" 모드로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진 경우, ID = 3에 대하여, 파라미터“2"를 설정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에 있어서, "인물" 모드로 촬영 화상 데이터(107)가 얻어진 경우, ID= 3에 대하여, 파라미터 "3"를 설정한다.
<화상 처리 장치(108)의 동작>
도 3은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S201:
판독부(109)는 인쇄될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한다.
단계 S202:
데이터 해석부(110)는 촬영 조건 해석부(111)를 이용함으로써,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105)의 촬영 조건 데이터(106) 중 ID = 0의 정보(노출 정보)를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화상 보정하기 위한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ID = 0의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가 "자동 노출"을 가리키는 경우, 노출 부족 혹은 노출 과다를 보정하기 위한, 밝기를 보정하는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한편, 파라미터가 "수동 노출"을 가리키는 경우, 밝기에 관하여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촬영 시의 의도에 반하여 촬영 화상의 밝기가 보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203:
데이터 해석부(110)는, 촬영 조건 해석부(111)를 이용함으로써,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105)의 촬영 조건 데이터(106) 중의 ID = 1의 정보(스트로보스코프 정보)를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화상 보정하기 위한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ID = 1의 정보에 대한 파라미터가 "스트로보스코프 발광"을 가리키는 경우,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한편, 파라미터가 "스트로보스코프 비발광"을 가리키는 경우, 콘트라스트에 관한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따라서, 스트로보스코프의 발광 혹은 비발광의 촬영에 의해 얻어진 촬영 화상에 대하여 최적의 화상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단계 S204:
데이터 해석부(110)는, 촬영 조건 해석부(111)를 이용함으로써,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105)의 촬영 조건 데이터(106) 중의 ID = 2의 정보(화이트 밸런스 정보)를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화상 보정하기 위한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ID = 2의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가 "자동 화이트 밸런스"를 가리키는 경우, 적절한 화이트 밸런스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조정하기 위한 컬러 밸런스 보정을 실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한편, 파라미터가 "수동 화이트 밸런스"를 가리키는 경우, 컬러 밸런스에 관한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촬영 시의 의도에 반하여 컬러 밸런스가 보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205:
데이터 해석부(110)는 촬영 조건 해석부(111)를 이용하여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105)내의 촬영 조건 데이터(106) 중의 ID = 3의 정보(촬영 모드 정보)를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화상 보정하기 위한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ID = 3의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가 "표준"을 가리키는 경우, 표준 설정의 자동 화상 보정을 실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ID = 3의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가 "효과 금지"를 가리키는 경우, 특별한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ID = 3의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가 "풍경"을 가리키는 경우, "표준"의 경우보다 채도가 강하게 증가한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ID = 3의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가 "인물"을 가리키는 경우, 화상 중의 피부색이 바람직하게 인쇄되는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상술한 처리에 따르면, 촬영 대상이 되는 장면에 대응하는 최적의 화상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측에서 이미 특수 효과가 실시되고 있는 경우("효과 금지"의 경우)에, 만일 인쇄시에 화상 보정을 행하면, 이중 처리에 의해 오히려 화상 품질이 더 악화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단계 S206:
데이터 해석부(110)는 촬영 화상 해석부(112)를 이용하여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105)의 촬영 화상 데이터(107) 그 자체를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인쇄 출력할 때에 최적 조건을 구현하는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여기서, 알고리즘의 선택은 단계 S202 ∼ 단계 S205의 각 스텝에서 선택된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고려하여 실행된다.
단계 S207:
화상 보정 처리부(113)는 각각의 단계 S202 ∼ 단계 S206에서 데이터 해석부(110)에 의해 선택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의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08:
인쇄 데이터 변환부(114)는 화상 보정 처리부(113)에서 처리된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프린터(115)로 인쇄 가능하게 하는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단계 S209:
프린터(115)는 상술된 바와 같이 하여 화상 처리 장치(108)로 처리된 촬영 화상 데이터(107)(인쇄 데이터 변환부(114)로 변환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 출력한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인쇄 출력할 때에, 촬영 화상 데이터(107) 및 그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촬영 조건 데이터(106)를 이용한 고정밀 자동 화상 보정 처리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촬영 시의 의도를 반영한 고품질의 인쇄 출력 결과(촬영 화상의 인쇄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종 정보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촬영시의 의도나, 촬영 장면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촬영 화상 취득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촬영 조건 데이터(106)로서 활용될 수 있다.
촬영 조건 데이터(106)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실행된 화상 보정 처리의 내용에 관련해서는, 인쇄 출력시 이용하는 프린터(115)의 특성 등에 대응하는 최적의 화상 보정 처리이며, 상술한 처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노출 모드에 과한 촬영 조건 정보가 "수동 노출"을 가리키는 경우, 휘도에 대한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대용적으로, "자동 노출"의 경우에 비해 휘도에 대한 화상 보정 처리의 효과를 약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나머지 파라미터들에 대해서도 유사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도 1의 화상 인쇄 시스템(100)에서, 화상 데이터(105)의 포맷 데이터를 도 4에 나타난 포맷 데이터로 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만,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화상 데이터(10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조건 데이터(106)의 기록 영역인 태그 영역(106a), 및 촬영 화상 데이터(107)의 기록 영역인 촬영 화상 데이터 영역(107a)으로 구성된다.
촬영 조건 데이터(106)는 화상 데이터(105)의 태그 영역(106a)에서, 그 헤드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오프셋한 부분에 기록된다. 촬영 조건 데이터(106)(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의 촬영 조건 정보)는 노출, 스트로보스코프, 화이트 밸런스, 및 촬영 모드 외에, 보정 효과 기능을 설정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에 해당하고, 데이터 입력측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와, 데이터 출력측인 프린터(115)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 대하여, 보정 효과 기능을 설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보정 효과 기능을 설정하는 정보는 ID = 0(offset= n)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8)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인쇄 출력할 경우의 화상 보정 처리를 금지하는 경우, ID = 0의 정보에 대하여, "금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0"를 설정한다. 한편, 화상 처리 장치(108)에서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인쇄 출력할 경우의 화상 보정 처리를 유효로 하는 경우, ID = 0의 정보에 대하여, "유효"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1"를 설정한다.
ID = 0의 정보에 대한 파라미터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측에서 촬영시에 이미 특수 효과 보정이 실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115)로 인쇄 출력할 때에 화상 처리 장치(108)에서 화상 보정을 행하면, 이중처리에 의해 화상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D = 1의 정보로부터 연속된 정보에 관련하여, ID = 1(offset = n + 1)는 노출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ID = 2(offset = n + 2)는 스트로보스코프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ID = 3(offset = n + 3)은 화이트 밸런스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ID = 4(offset = n + 4)는 촬영 모드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D = 1 내지 ID = 4로부터의 정보의 상세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08)의 동작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난 흐름도에서, 도 3에 나타난 흐름도(제1 실시예에서 화상 처리 장치(108)의 동작을 가리키는 흐름도)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의 동작에, 단계 S300에서 수행될 처리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계 S300:
우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판독(109)에 의해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할 때(단계 S201), 데이터 해석부(110)는 촬영 조건 해석부(111)를 이용하여 판독부(109)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105)의 촬영 조건 데이터(106) 중의 ID = 0(효과 기능 설정 정보)를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파라미터가 "유효"한지 "금지"인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의 결과로서, 파라미터가 "유효"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계 S202∼S207에 의한 화상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인쇄 처리는 단계 S208 및 S209에서 수행된다. 한편, 파라미터가 "금지"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계 S202∼S207에 의한 화상 보정 처리는 실행되지 않으며, 인쇄 처리는 그대로 단계 S208 및 S209에서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조건 데이터(106) 중의 ID = 0의 정보(효과 기능 설정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가 "무효(ineffective)"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전체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그대로 화상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촬영 화상 데이터(107)를 인쇄 출력할 때에, 촬영 화상 데이터(107) 및 그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인 촬영 조건 데이터(106)를 이용한 고정밀 자동 화상 보정 처리가 실현 가능하다. 그 결과, 사용자의 촬영시의 의도를 반영한 고품질의 인쇄 출력 결과(사진 화상의 인쇄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인쇄 시스템(400)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인쇄 시스템(400)은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화상 보정 처리를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그 화상 보정 처리에 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 인쇄 시스템(400)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 표시부(406)를 갖는 프린터(404), 및 표시부(403) 및 프린터(405)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4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와 퍼스널 컴퓨터(402) 사이, 그리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와 프린터(404) 사이의 데이터의 통신은 기억 매체(40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화상 인쇄 시스템(400)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는 도 1에 나타난 디지털 스틸 카메라(101)와 동일한 기능을 지니고, 사용자에 의한 촬영 동작에 의해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난 화상 데이터(105)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이 화상 데이터(105)는 기억 매체(401)에 기억시킨다.
기억 매체(401)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에 보유된 메모리 카드나 내장 메모리, 탈착가능한 메모리 카드, 퍼스널 컴퓨터(402) 내의 하드디스크등이 적용가능하다.
프린터(404)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화상 보정 기능(도 1에 나타난 화상 처리 장치(108)의 기능)을 갖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07)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프린터(404)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07)(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판독부(109)에 대응함)에 의해, 기억 매체(401)로부터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하거나, 유선 케이블,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에 보유된 메모리 카드나 내장 메모리로부터 직접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한다.
프린터(404)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407)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105)를 표시부(406) 상에 확인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화상 처리 장치(108)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402)는 기억 매체(40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105)를 처리하여 프린터(405)로 인쇄 출력한다.
퍼스널 컴퓨터(402)가 처리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105)는 기억 매체(40 1)에 기억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402) 내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 또는 퍼스널 컴퓨터(402)에 접속된 다른 퍼스널 컴퓨터(서버 등을 포함)내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것에 적용 가능하다. 화상 데이터(105)의 전송 방법으로서는 기억 매체(401)를 이용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카드 판독기, 케이블 접속,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한 방법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가 케이블 접속,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402)에 접속되어, 퍼스널 컴퓨터(402)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408)에 보유된 메모리 카드나 내장 메모리로부터 직접 화상 데이터(105)를 판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퍼스널 컴퓨터(402)는 처리된 화상 데이터(105)를 표시부(403) 상에 확인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프린터(404)의 표시부(406) 또는 퍼스널 컴퓨터(402)의 표시부(403) 상의 표시 화면(500)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시 화면(500) 상에는 노출, 스트로보스코프, 화이트 밸런스, 및 촬영 모드 등의 촬영 조건 정보(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난 촬영 조건 데이터(106)에 상당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특히, 표시 화면(500)은 프린터(404) 또는 퍼스널 컴퓨터(402)에서 화상 데이터(105)의 인쇄 처리를 위한 화상 보정 처리가 실행될 때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떠한 종류의 촬영 조건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보정이 행하여지고 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 조건 정보를 화상 보정용으로 올바르게 활용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촬영 조건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램프의 점등/소등 등에 의해, 촬영 조건 정보가 올바르게 활용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취득 수단)으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일례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수단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나, 이미지 스캐너, 혹은 필름 스캐너 등의 입력 기기를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호스트 및 단말기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기억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여,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 및 해당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는 예를 들면, ROM,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 -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상에서 구동되고 있는 0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제공된 메모리에 기입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따라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제공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8은 상기 컴퓨터의 기능(6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컴퓨터 기능(600)은 CPU(601), ROM(602), RAM(603), 키보드(KB)(609)용 키보드 제어기(KBC), 표시부로서의 CRT 디스플레이(CRT)(610)용 CRT 제어기(CRTC)(606), 하드디스크(HD)(611) 및 플렉서블 디스크(FD)(612)용 디스크 제어기(DKC)(607), 및 네트워크(620)와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608)가 시스템 버스(604)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통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CPU(601)는 ROM(602) 혹은 HD(611)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또는 FD(612)로부터 공급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버스(604)에 접속된 각 구성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즉, CPU(601)는 소정의 처리 시퀀스에 따른 처리 프로그램을 ROM(602), HD(611), 또는 FD(612)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수행될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RAM(603)은 CPU(601)의 주 메모리 또는 작업 영역 등으로서 기능한다. KBC(605)는 KB(609)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등으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제어한다. CRTC(606)는 CRT(610)의 표시를 제어한다. DKC(607)는 부팅 프로그램, 여러가지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편집 파일, 사용자 파일,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 및 본 실시예의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HD(611) 및 FD(612)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NIC(608)는 네트워크(620) 상의 장치 또는 시스템과 쌍방향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처리 대상의 화상 정보(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정보 등)에 대하여 부가된 조건 정보(촬영 조건 정보 등)을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화상 정보에 대하여 화상 처리(화상 보정 처리 등)을 실시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화상 취득 시의 상황에 따른 화상 처리를 행하는 수 있어, 사용자가 의도하는 양호한 처리 후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정보의 취득 시의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고정밀도인 자동 화상 보정을 실현할 수가 있어, 사용자의 촬영시의 의도를 반영한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화상 인쇄 시스템에서 처리될 화상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화상 인쇄 시스템의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화상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제3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화상 인쇄 시스템에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화상 인쇄 시스템의 기능을 컴퓨터에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해당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 인쇄 시스템
101 : 디지탈 스틸 카메라
102 : 촬영 조건 설정부
103 : 촬영 조건 기록부
104 : 촬영 화상 기록부
105 : 화상 데이터
106 : 촬영 조건 데이터
107 : 촬영 화상 데이터
108 : 화상 처리 장치
109 : 판독부
110 : 데이터 해석부
111 : 촬영 조건 해석부
112 : 촬영 화상 해석부
113 : 화상 보정 처리부
l14 : 인쇄 데이터 변환부
115 : 프린터

Claims (20)

  1. 촬영 화상에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여 인쇄 처리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촬영 조건 정보와 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상기 촬영 조건 정보를 해석하는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
    상기 화상 정보를 해석하는 화상 정보 해석 단계;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의 해석 결과와, 상기 화상 정보 해석 단계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는 보정 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보정 처리 조건으로 상기 화상 정보에 보정 처리를 행하는 보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에서, 상기 촬영 화상의 노출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가 자동 노출인지 또는 수동 노출인지를 해석하되,
    자동 노출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 단계에서 휘도에 관한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고,
    수동 노출인 것으로 해석되면, 휘도에 관한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에서 상기 촬영 화상의 스트로보스코프 발광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가 스트로보스코프 발광 또는 스트로보스코프 비발광인지를 해석하되,
    스트로보스코프 발광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 단계에서 콘트라스트를 보정 처리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고,
    스트로보스코프 비발광인 것으로 해석되면, 콘트라스트를 보정 처리하지 않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에서 상기 촬영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가 자동 화이트 밸런스 또는 수동 화이트 밸런스인지를 해석하되,
    자동 화이트 밸런스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 단계에서 컬러 밸런스 보정을 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고,
    수동 화이트 밸런스인 것으로 해석되면, 컬러 밸런스 보정을 행하지 않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에서 상기 촬영 화상의 촬영 모드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를 해석하되,
    표준 모드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 단계에서 표준 설정에 대한 자동 화상 보정을 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고,
    풍경 모드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표준 모드의 경우보다 더 강하게 채도를 증가시키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고,
    인물 모드인 것으로 해석되면, 피부색을 최적화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에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화상 보정 처리 조건으로 보정 처리를 행하는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단계에서 보정된 상기 촬영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의 휘도치 및 휘도 분포는 상기 화상 정보 해석 단계에서 해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촬영 조건 정보와 화상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촬영 조건 정보를 해석하는 촬영 조건 정보 해석부;
    상기 화상 정보를 해석하는 화상 정보 해석부;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부의 해석 결과와, 상기 화상 정보 해석부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는 보정 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보정 처리 조건으로 상기 화상 정보에 보정 처리를 행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부가 상기 촬영 화상의 노출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가 자동 노출인지 또는 수동 노출인지를 해석하되,
    자동 노출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부는 휘도에 관한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수동 노출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부는 휘도에 관한 화상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부가 상기 촬영 화상의 스트로보스코프 발광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가 스트로보스코프 발광인지 또는 스트로보스코프 비발광인지를 해석하되,
    스트로보스코프 발광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부는 콘트라스트를 보정 처리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스트로보스코프 비발광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부는 콘트라스트를 보정 처리하지 않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부가 상기 촬영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가 자동 화이트 밸런스인지 또는 수동 화이트 밸런스인지를 해석하되,
    자동 화이트 밸런스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부는 컬러 밸런스 보정을 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수동 화이트 밸런스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결정부는 컬러 밸런스 보정을 행하지 않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부는 상기 촬영 화상의 촬영 모드에 관한 상기 촬영 조건 정보를 해석하되,
    상기 결정부는 표준 모드인 것으로 해석되면, 표준 설정에 대한 자동 화상 보정을 행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결정부는 풍경 모드인 것으로 해석되면, 상기 표준 모드의 경우보다 더 강하게 채도를 증가시키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결정부는 인물 모드인 것으로 해석되면, 피부색을 최적화하는 화상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에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화상 보정 처리 조건으로 보정 처리를 행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상기 촬영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해석부는 상기 촬영 화상의 휘도치 및 휘도 분포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7.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시 노출인지 아닌지 또는 화이트 밸런스인지 아닌지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촬영 조건 데이터와, 촬영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조건 데이터와 상기 촬영 화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촬영 화상 데이타에 보정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노출 또는 상기 화이트 밸런스가 자동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촬영 조건 데이터가 가리킬 경우 화상의 휘도 또는 컬러 밸런스에 관한 보정을 행하지 않는 보정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8.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시 노출인지 아닌지 또는 화이트 밸런스인지 아닌지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촬영 조건 데이터와, 촬영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 및
    상기 촬영 조건 데이터와 상기 촬영 화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촬영 화상 데이타에 보정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보정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 처리부는, 상기 노출 또는 상기 화이트 밸런스가 자동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촬영 조건 데이터가 나타낼 경우, 화상의 휘도 또는 컬러 밸런스에 관한 보정을 행하지 않는 보정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9. 화상 처리 장치로 하여금 다음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촬영 조건 정보와 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상기 촬영 조건 정보를 해석하는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
    상기 화상 정보를 해석하는 화상 정보 해석 단계;
    상기 촬영 조건 정보 해석 단계의 해석 결과와, 상기 화상 정보 해석 단계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는 보정 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보정 처리 조건으로 상기 화상 정보에 보정 처리를 행하는 보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20. 화상 처리 장치로 하여금 다음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시 노출인지 아닌지 또는 화이트 밸런스인지 아닌지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촬영 조건 데이터와, 촬영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조건 데이터와 상기 촬영 화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촬영 화상 데이타에 보정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노출 또는 상기 화이트 밸런스가 자동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촬영 조건 데이터가 나타낼 경우, 화상의 휘도 또는 컬러 밸런스에 관한 보정을 행하지 않는 보정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KR10-2002-0053857A 2001-09-06 2002-09-06 촬영 화상을 인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KR100508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0976 2001-09-06
JP2001270976A JP4095265B2 (ja) 2001-09-06 2001-09-06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072A KR20030022072A (ko) 2003-03-15
KR100508363B1 true KR100508363B1 (ko) 2005-08-17

Family

ID=1909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857A KR100508363B1 (ko) 2001-09-06 2002-09-06 촬영 화상을 인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167205B2 (ko)
EP (1) EP1292108B1 (ko)
JP (1) JP4095265B2 (ko)
KR (1) KR100508363B1 (ko)
CN (2) CN100389592C (ko)
AT (1) ATE395784T1 (ko)
AU (1) AU2002300864B2 (ko)
CA (1) CA2401921C (ko)
DE (1) DE60226553D1 (ko)
ES (1) ES230441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7816T1 (de) 2001-02-09 2011-10-15 Seiko Epson Corp Gerät und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ausgangsbildes auf der basis von bilddaten
US7133070B2 (en) * 2001-09-20 2006-11-07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when to correct image-specific defects based on camera, scene, display and demographic data
JP2003219176A (ja) * 2002-01-25 2003-07-3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3274427A (ja) * 2002-03-15 2003-09-2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782366B2 (en) 2002-09-20 2010-08-24 Seiko Epson Corporation Backlight adjustment processing of image using image generation record information
JP4151387B2 (ja) * 2002-11-15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写体の明るさに応じた画質の自動調整
US7327390B2 (en) * 2003-02-04 2008-02-0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correction parameters
CN100505838C (zh) * 2003-05-01 2009-06-2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数据处理装置及图像数据处理方法
US20040252217A1 (en) * 2003-06-12 2004-12-16 Battles Amy E.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digital image
JP2006303899A (ja) * 2005-04-20 2006-11-0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000104B2 (ja) * 2005-06-22 2012-08-1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不良解析装置、不良解析方法、不良解析プログラム、及び不良解析システム
US7792355B2 (en) * 2006-03-30 2010-09-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US8175532B2 (en) * 2006-06-06 2012-05-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via at least one of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 antennas
US8718336B2 (en) * 2007-03-30 2014-05-06 Fujifilm Corporation Image correction apparatus, image correction method, skin diagnosi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032911B2 (ja) 2007-07-31 2012-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335501B2 (ja) * 2009-03-18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83568B2 (ja) * 2009-05-21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5328505B2 (ja) * 2009-06-18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8751693B2 (en) * 2009-12-25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JP5737880B2 (ja) * 2010-08-20 2015-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03458173B (zh) * 2012-06-01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相关数据处理的装置、方法和终端
JP6039942B2 (ja) 2012-07-09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56860B2 (ja) 2012-07-09 2016-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9088753B2 (en) 2013-01-11 2015-07-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luminance corr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6386841B2 (ja) 2014-09-12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6322099B2 (ja) 2014-09-12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6063324A (ja) 2014-09-16 2016-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7284B2 (ja) 2014-09-16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284091B (zh) * 2014-09-28 2018-03-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198976B2 (en) 2015-07-31 2019-02-0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set and display method
JP6902860B2 (ja) 2016-12-09 2021-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42464B2 (ja) 2016-12-09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2886B2 (ja) 2017-03-14 2021-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46957B2 (ja) * 2017-11-15 2021-10-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846440B1 (en) * 2019-12-30 2021-12-15 Axis AB A low-light imaging method, unit and system
CN111222617B (zh) * 2019-12-30 2023-09-19 深圳深汕特别合作区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超高频rfid电子标签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9536A (ja) * 1988-03-22 1989-09-25 Canon Inc 撮像装置
JPH0229727A (ja) * 1988-07-20 1990-01-31 Nikon Corp カメラ
JPH089245A (ja) * 1994-06-17 1996-01-12 Canon Inc 撮像装置
JPH11355784A (ja) * 1998-06-09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2156711A (ja) * 2000-11-16 2002-05-31 Olympus Optical Co Ltd プリンタ装置及び電子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5231T2 (de) * 1988-05-07 1996-05-15 Nikon Corp Kamerasystem
DE69232412T2 (de) * 1991-09-12 2002-06-06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photographischer Kopien
JPH07159904A (ja) * 1993-12-09 1995-06-23 Minolta Co Ltd 写真画像プリント装置
JP3356537B2 (ja) * 1994-04-15 2002-12-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画像ファイルシステム
US6574010B1 (en) 1995-07-31 2003-06-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693731B1 (en) 1995-07-31 2004-02-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786242B2 (ja) * 1997-07-14 2006-06-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方法に使用する画像確認装置
JPH11305341A (ja) * 1998-04-16 1999-11-05 Konica Corp プリント作成装置及びプリント作成システム
US6280874B1 (en) * 1998-12-11 2001-08-2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 Annular pack
JP2001186365A (ja) 1999-12-27 2001-07-06 Canon Inc 画像処理方法、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7006668B2 (en) 1999-12-28 2006-02-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738510B2 (en) * 2000-02-22 2004-05-18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7092029B1 (en) * 2000-03-24 2006-08-15 Ess Technology, Inc. Strobe lighting system for digital images
JP2001350170A (ja) * 2000-06-09 2001-12-21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20020130959A1 (en) * 2001-01-12 2002-09-19 Mcgarvey James E. Venue customizable white balance digital camera system
US7259784B2 (en) * 2002-06-21 2007-08-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color calibration and image stitching
JP2005045497A (ja) * 2003-07-28 2005-02-17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9536A (ja) * 1988-03-22 1989-09-25 Canon Inc 撮像装置
JPH0229727A (ja) * 1988-07-20 1990-01-31 Nikon Corp カメラ
JPH089245A (ja) * 1994-06-17 1996-01-12 Canon Inc 撮像装置
JPH11355784A (ja) * 1998-06-09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2156711A (ja) * 2000-11-16 2002-05-31 Olympus Optical Co Ltd プリンタ装置及び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2108B1 (en) 2008-05-14
EP1292108A2 (en) 2003-03-12
JP2003087717A (ja) 2003-03-20
KR20030022072A (ko) 2003-03-15
US7738030B2 (en) 2010-06-15
US20030076420A1 (en) 2003-04-24
JP4095265B2 (ja) 2008-06-04
CN100389592C (zh) 2008-05-21
CN1404013A (zh) 2003-03-19
DE60226553D1 (de) 2008-06-26
EP1292108A3 (en) 2003-07-30
US20070248279A1 (en) 2007-10-25
CA2401921C (en) 2008-04-01
US7167205B2 (en) 2007-01-23
AU2002300864B2 (en) 2008-10-02
CN1735131A (zh) 2006-02-15
ATE395784T1 (de) 2008-05-15
ES2304419T3 (es) 2008-10-16
CN1221925C (zh) 2005-10-05
CA2401921A1 (en)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363B1 (ko) 촬영 화상을 인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US7884863B2 (en) Image noise reduction device and image noise reduction method
JP3725454B2 (ja) 画像ファイルの出力画像調整
JP400634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312824B2 (en) Image-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US839164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at performs image quality adjustment and resize processing on image data
US20090263046A1 (en) Determination of portrait against back light
US20040041926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imager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JP401207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646405B2 (en) Output image adjustment of image data
US7576781B2 (en) Image processing of image data
US7609425B2 (en)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4232854B2 (ja) 画像ファイルの出力画像調整
JP4665802B2 (ja) 明度補正処理装置および明度補正判別方法
JP467334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320640A (ja) 画像処理装置
JP200704191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1061069A (ja) デジタル画像のカラー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JP2005175687A (ja) 画像処理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5064838A (ja) 画像データの出力画像調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