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224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224B1
KR100503224B1 KR10-2002-0083551A KR20020083551A KR100503224B1 KR 100503224 B1 KR100503224 B1 KR 100503224B1 KR 20020083551 A KR20020083551 A KR 20020083551A KR 100503224 B1 KR100503224 B1 KR 10050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play
display device
display unit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155A (ko
Inventor
타지마히사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 출원은 표시장치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히, 전면판과 이 전면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배면판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이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설치된 구성에서, 표시부는 지지체에 접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UNIT}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문자 및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기술의 설명>
전자방출소자, 플라즈마방전, 액정 또는 진공형광표시관 등을 사용한 플레이트박형패널형표시장치가, 예를 들면, 텔레비전세트, 컴퓨터의 단자모니터, 광고표시기, 표식기에 사용되었다. 최근, 40인치의 것보다 큰 화면크기를 가진 벽결이형 텔레비전세트가 주목받고 있으며, 텔레비전세트에 있어서 플레이트박형패널형 표시장치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표시장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캐릭터와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를 제어하는 전기회로부를 가진 제어부, 이 표시부 및 제어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표시부, 제어부와 지지부를 덮는 외측 인크로우져(outer enclosure)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방전에 의거한 종래의 표시장치의 표시부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표시부의 배면측을 양면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지지체에 접착시켜서 고정시키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본국 특개평 제11-272182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제2000-321989호에 개시된 구성은 표시장치의 지지구성으로서 제안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면판과 이 전면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배면판을 가진 표시부와;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정면측의 주변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접착시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지지체는, 표시부가 접착되는 부분으로부터 배면판을 넘어서 배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부분을 구비한 구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표시부는 사각형주면을 가지며, 지지체는, 표시부의 주변부의 각각의 측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결합한 구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결합은,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지지부재가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표시부가 서로 분리될 때까지 상대이동하면, 표시장치의 지지부재 이외의 부재와 간섭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표시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표시부보다 표시장치의 배면측에 근접한 위치에 가지며, 표시부의 단부로부터 인출배선이 상기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체는, 배면판보다 표시장치의 배면측에 근접한 표시부의 접착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부분을 갖고, 표시부가 접착된 부분과, 배면판보다 근접한 표시장치의 배면측 방향으로 근접한 접착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배선이 표시부의 접착부분과 배면판을 넘어서 표시장치의 배면측의 방향으로 접착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부분을 통하고, 구동회로와 표시부에 접속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가 접착부분과, 접착부분으로부터 배면판을 넘어서 표시장치의 배면측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각각의 부분이 별도로 형성된 후, 이들 부분이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로부터 명백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표시장치전체의 경량화를 달성하고 동시에 고강성화를 달성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표시부의 배면만을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지지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지지체 및 전체표시장치의 경량화 및 고강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실시예를 특히 실현할 수 있다.
비교적 대형 화면을 가진 표시장치의 경량화와 박형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제조비용과 재생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플레이트패널형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표시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표시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제거한 외측 인크로우져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부분적으로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1, 2 및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는, 캐릭터 및 화상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 표시부(5)를 제어하는 제어기(6); 표시부(5)와 제어기(6)를 지지하는 지지체(7); 표시부(5), 제어기(6) 및 지지체(7)를 덮는 외측 인크로우져를 형성하는 정면덮개(11)와 배면덮개(12)를 구비한다.
표시부(5)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기밀용기로서 진공용기(13)를 가진다. 진공용기(13)는 유리기판위에 형성된 금속백막(metal back film)의 고전압영역과 RGB형광체막으로 구성된 표시스크린을 가진 전면판(15)과; 유리기판위에 형성된 X방향배선, Y방향배선 및 전자방출소자로 구성된 표시스크린을 가진 배면판(16); 전면판(15)과 배면판(16) 사이에 형성된 대략 프레임 형상을 가진 스페이서(17)를 구비하고 있다.
정면판(20)은 표시부(5)의 표시스크린인 정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정면판(20)는, 투명한 유리재 등의 광투광성재로 이루어졌고, 볼 수 있는 표시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필터기능, 내부 전기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억제하는 기능, 및 내부를 먼지나 물체의 충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정면판(20)의 전자기파억제기능은, 배면에 형성된 약 103Ω·cm의 저항치를 가진 도전층을 구비한 기능성막(도시하지 않음)을 표시부(5)에 대향하여 첨부시켜서 확보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5)는 정면판과 배면판을 포함하는 기밀용기와 정면판을 별도로 준비하고, 기밀용기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판의 정면주변은 접착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되고, 정면판은 끼워져서 지지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기밀용기와 정면판의 결합집합을 표시부로서 사용하고, 기밀용기와 정면판의 정면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정면으로서 기능하는 정면판의 정면주변은 지지체에 접착될 수 있다.
정면덮개(11)는 강성 및 알루미늄합금 등의 도전성재을 사용하여 밀어내서 가공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한다. 정면덮개(11)는 표시부(5)와 제어부(6)의 다양한 전기회로부품을 먼지 또는 습도로부터 보호한다. 정면판(20)을 노출시키는 개구(14)는 정면덮개(11)에 설치되어 있다.
정면덮개(11)의 내주부에 관하여, 정면덮개(11)와 지지체(7) 사이의 주변부의 정면판(20)을 지지하는 지지체(11a)는, 개구(14)에 근접한 위치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가 정면판(20)과 접촉하는 지지체(11a)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는 정면판(20)의 주변부의 지지를 확실하게 하고 위치전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면덮개(11)의 내주부에 있어서, 지지체(11a)에 근접한 위치에, 지지체(7)와 결합하는 대략 단면의 L자형상을 가진 결합클로(engaging claw)(11b)가 밀어내기 가공에 의해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7)와 배면덮개(12)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지지체(26)는, 정면덮개(11)위의 표시장치(1)의 배면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덮개(12)는 합금 등의 강성금속재를 사용하여 프레스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배면덮개(12)는 표시장치(1)로 먼지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유지하는 동안 나사(28)(후술함)를 고정시킴으로써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장치(1)의 지지체(7)는, 진공용기(13)의 정면측을 지지하는 프레임형상의 정면측지지체(21)와 이 정면측지지체(21)에 대향하는 위치에 진공용기(13)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배면측 지지체(22)를 구비한다. 진공용기(13)는 지지체(7)의 배면측지지체(22)와 정면측지지체(21)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측지지체(21)는 도전성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압출성형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하고, 주변의 정면측으로부터 측면을 거쳐서 진공용기(13)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면측지지체(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정면측지지부재(21a)를 가진다. 이들 정면측지지부재(21a)는 네 개의 금속접합부재(21b)를 개재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정면측부재(21a)의 인접단부는, 고정나사(21c)에 의해 각각의 접합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나사(21c)를 제거함으로써, 정면측지지체(21)는 표시부의 측면에 대응하는 네 개의 정면측 지지부재(21a)로 분리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측지지체(21)는, 진공용기(13)의 정면측에 대향하는 위치에 진공용기(13)의 정면측이 접착된 부분으로서 확보된 지지체(23)를 갖는다. 지지체(23)의 배면은, 표시부(5)에 대향하는 면이다. 상기 면에는, 표시부(5)를 고정하는 접착부재인 양면접착테이프(19)가 부착되어 있으며 평평하다. 양면접착테이프(19)는 아크릴 또는 폴리오레핀계 발포기판의 양면위에 아크릴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구성된다. 표시부(5)의 정면을 형성하는 전면판(15)의 주변은 양면접착테이프를 개재하여 지지체(23)의 배면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접착결과, 표시부(5)는 지지체(7)를 형성하는 정면측 지지체(21)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5)의 4개 측면 모두가 지지체에 접착된다. 그러나, 접착은 1개 이상 3개이하의 측면에서 행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에 대하여, 접착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전체길이를 따라서 행하지만, 부분적인 접착을 행해도 된다.
정면판(20)의 파손을 방지하고 정면판(20)을 접지하기 위한 도전성완충부재(27)는, 정면판(20)의 주변부에 대향하는 지지체(23)의 정면에 배치된다. 도전성완충부재(27)를 위치결정하고 수납하는 수납부(23a)가 정면측지지체(21)의 지지부(23)의 정면에 형성된다.
도전성완충부재(27)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고, 발포수지에 의해 채워진 도전성금속 메시(mesh)로 이루어지고, 정면판의 전체주변에 걸쳐서 형성된다. 도전성완충부재(27)는 발포수지의 탄성에 의해 초래되는 전면판(20)의 주변의 융기부에 있어서 칩 등을 포함한 파손을 방지하고, 정면판(20)에 부착된 기능성막의 도전층과 금속 정면측 지지체(2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정면판(20)을 대지전위로 하기 위해서 전기적경로로 작용한다.
정면판(20)의 주변은, 정면덮개(11)의 지지체(11a)와 지지체(23) 사이의 도전성완충부재(27)를 개재하여 유지되고, 따라서 정면판은 협지되어 고정된다.
정면판(20)은, 구성요소 사이에, 협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닌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면판(20)은, 정면덮개(11)의 지지부(11a)의 배면에, 접착부재(양면접착테이프 또는 액체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성요소 사이의 협지는, 접착력에 의해 보조하여도 된다. 접착이 지나치게 딱딱하면, 정면덮개(11)와 정면판(20)의 분리공정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면판(20)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가능한 최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클로(11b)에 의해 대략 L형상결합을 가진 결합클로(23b)는, 정면측 지지체(21)의 지지체(23)위의 정면덮개(11)의 결합클로(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를 압출돌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정면측지지체(21)의 지지체(23)의 결합클로(23b)는 정면덮개(11)의 결합클로(11b)에 의해 결합된다.
배면측지지체(22)위에 형성된 접촉조각(36)(후술함)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24)는, 정면측지지체(21)의 내주변위의 돌출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결합부(24)는 배면측지지체(22)의 외주변에 위치하는 접촉조각(36)에 의해 접촉한다.
표시부가 접착되는 부분인 지지부(23)로부터 표시부의 배면판을 넘어서 배면측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측면을 가진다. 상기 설명한 결합부(24)는 상기 측면의 중간에 설치된다. 배면덮개(12)의 주변이 부착되는 부착부(25)는 표시장치(1)의 뒤에 대향하는 상기 측면의 뒤의 단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배면덮개(12)를 고정나사(28)에 의해 고정하는 복수의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은 부착부(25)에 설치된다. 고정나사(28)가 고정되는 나사홀(도시되지 않음)은 부착부(25)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면덮개(11)의 지지체(26)에 설치된다. 정면측지지체(21)의 부착부(25)는 배면덮개(12)의 주변과 정면덮개(11)의 지지체(26) 사이에서 협지된다. 정면덮개(11)의 지지체(26), 정면측지지체(21)의 부착부(25), 및 배면덮개(12)의 주변은 고정나사(28)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정면측지지체(21)는 나사(31)에 의해 배면측지지체(22)에 접속되고, 지지체를 형성한다. 나사(31)는 배면측지지체(22)의 접촉조각(36)을 개재하여 설치된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 삽입되고 정면측지지체(21)의 결합부(24)에 설치된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 조여진다. 나사(31)에 의하여 배면측지지체(22)와 정면측지지체(21)의 고정은 진공용기(13)를 따르는 복수의 위치에서 행한다.
프레싱에 의해 형성된, 약 2mm의 두께를 가진 알루미늄합금의 플레이트부재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측지지체(22)로서 사용된다. 제어기(6)의 다양한 전기회로부품를 장착하는 복수의 전기회로부품-장착부(34)는 배면덮개(12)를 향하는 배면측지지체(22)의 뒤에 형성된다. 나사를 고정함으로써 다양한 전기회로부품을 고정하는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은 이들 전기적회로부품장착부(34)에 설치된다. 소정의 강성을 보장하는 복수의 보강용리브(35)가 배면측지지체(22)의 뒤에 설치된다.
정면측지지체(21)의 결합부(24)에 의해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조각(36)은 배면측지지체(22)의 외주의 돌출부에 형성된다. 이들 접촉조각(36)은 후술하는 제어기(6)의 가연성케이블(53)이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배면측지지체(22)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정면덮개(11), 배면덮개(12) 및 정면측지지체(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나사(28)에 의해 접속된다. 고정나사(28)는 배면덮개(12)의 관통구멍(도시되지 않음)과 정면측지지체(21)의 부착부(25)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되고, 정면덮개(11)의 지지체(26)의 나사구멍으로 조여진다.
지지체(7)가 표시장치(1)의 내부지지체로 간주되면, 강성정면덮개(11)와 배면덮개(12)는 외부지지체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에 있어서, 지지체(7)를 형성하는 정면측지지체(21)와 정면덮개(11)는, 버트(butt)의 고정나사(28)에 의해 표시장치(1)의 측면에 대응하는 면에 접속되고, 표시장치(1)의 측면은 상기 접속을 행하는 배면 이외의 면이며, 이들은 밀착된다. 그 결과, 표시장치(1)에 있어서, 상호간에 직교하는 두 개의 방향으로 내부지지체의 이동을 규제한다. 동시에, 내부지지체의 강성과 외부지지체의 강성을 서로 보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표시장치(1)에 대한 고강성을 얻는다.
표시장치(1)의 제어기(6)는, 표시용 전기구동신호(펄스폭변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함)를 생성하는 Y방향 드라이버회로(46)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전기회로시스템을 제어하는 신호프로세싱회로(47)와; 전기회로에 공급되는 정전압DC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신호, 비디오신호 및 VGA(Video Graphics Array)신호 등의 외부소스로부터 다양한 입력신호로부터 불필요한 신호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신호입력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구동회로인 이들 회로와 전원유닛은 표시부를 구동한다.
제어기(6)는, 신호프로세싱회로(47)로부터 Y방향 드라이버회로(46)으로 공급된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50)과, 신호프로세싱회로(47)로부터 배면판(46)의 매트릭스배선으로 전기구동신호(주사신호)를 공급하는 X방향드라이버회로(도시하지 않음)를 부가하여 구비한다.
Y방향드라이버회로(46)는 진공용기(13)의 배면판(16)에 가연성케이블(53)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가연성케이블(53)은 탈착가능한 콘넥터를 개재하여 Y방향드라이버회로(46)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고, 배면판(16)측에 있어서, 이방성도전성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배면판(16)위에 프린트된 Y방향배선의 단부에 설치된 전극부(접속단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X방향드라이버회로는 표시부(5)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가연성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배면판(16)의 매트릭스배선에 파워를 공급한다. 가연성케이블은 탈착가능한 콘넥터를 개재하여 X방향드라이버회로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배면판(16) 측에 있어서, 이방성도전성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개재하여, 배면판(16)에 프린트된 X방향배선의 단부에 설치된 전극부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면판(15)의 금속백막과 고전압전원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압케이블에 있어서, 고압전원회로측은 고전압용 콘넥터를 개재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전면판(15)은 배면판(16)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배치된 고압단자를 통하여 금속백막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상세한 내용은 일본국 특개평 제7-235255호에 개재되어 있다.).
진공용기(13)의 동작원리는 상기 설명한 구성을 가진 표시장치(1)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진공용기(13)는 표시소자로서 전자방출소자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들 중에서 특히, 표면전송형방출소자는 전자방출소자로서 사용된다. 전자방출소자에 의해 방출된 전자의 작용하에서 형광체발광이 진공용기(13)에 형성되어, 화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5)는 전기회로에 의해 선택된 Y방향배선과 X방향배선 사이의 10[V]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배면판(16)의 전자방출소자로부터 전자가 방출된다. 진공용기(13)에 있어서, 전면판(15)의 진공갭측위의 금속백막에, 외부고전압전원으로부터 공급된 10[kV] 이상의 (+) 전위만큼 방출된 전자가 가속되어 형광막에 충돌함으로써 발광한다.
이하에서, 표시부(5)가 지지체(7)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의 본실시예의 표시장치(1)의 다양한 부재의 크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표시장치(1)의 각각의 부재 A, B, C1 및 D1의 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장치(1)에 있어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의 전면판(15a)의 정면과 정면판(20)의 배면 사이의 거리는 크기 A라고 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정면판(20)에 외력을 가할 때, 정면판(20)의 기울어짐과 파손을 고려해서 크기 A를 약 5mm로 설정한다. 상기 크기 A값을 크게 할수록, 표시부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지만, 표시장치(1)의 전체의 두께가 증가한다.
또한, 배면측지지체(22)의 배면과 배면 덮개(12)의 정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크기 B로 한다. 상기 B는 전기회로부품을 수납하기 위해 확보하는 공간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 (1)에 있어서, 각종 전기회로부품의 높이(배면측지지체(22)의 두께방향)을 낮게 설계하고, 또한, 각종 전기소자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하여 방열공간의 크기도 고려해서 최적화를 도모하고, 크기 B를 33mm 정도로 설정한다. 이들 크기 A 및 B는 외측 인크로우져의 구조를 결정하는 경우, 후술하는 예에 있어서 표시부(5)의 지지구조로서 본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거리값으로서 설정한다.
표시부(5)의 두께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의 정면측 지지체(21)의 두께(별도로 형성된 복수의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구성된 지지체의 두께는 아니고, 일체로 형성된 부분의 부품의 두께)를 크기 C1으로 한다. 크기 C1를 증가시킴으로써 표시장치(1) 전체의 비틀림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크기 C1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표시장치(1)에 대한 비틀림강성을 저하시킨다. 즉, 다양한 외력으로부터 표시부(5)를 보호하기 위하여, 표시장치(1)의 비틀림강성은 가능한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능한 최대의 크기 C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의 전체두께는 크기 D1으로 하고, 그 두께는 약 61mm이다.
각각의 크기 A, B, C1, D1이 설정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참고예의 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또한, 참고예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표시장치(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에 의해 표현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제 1의 참고예의 표시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또한 도 6은 제 2의 참고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참고예의 표시장치(101)는, 표시부(5)을 지지하는 대략 L자형상지지체(111)와, 그 지지체(111)에 배면측 지지체(2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표시장치(101)는, 정면덮개(11)의 지지체(11a)로부터 갭에 정면판의 주변부를 협지 하기 위하여 협지부재(113)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다. 정면판(20)는 정면덮개(11)의 지지부(11a)와 협지부재(113)의 단부 사이에서 협지되고, 협지부재(113)의 다른 단부는 정면 덮개(11)의 겹합클러(11b)에 의해 결합되고 고정나사(114)에 의해 고정된다.
제 1참고예의 상기 표시장치(101)에 있어서, 표시부(5)의 배면판(16)은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표시부(5)의 배면측에 배치된 지지체(111)에 접착되고 고정된다. 양면접착테이프(119)의 한쪽은 배면판(16)의 뒤의 전체주변부에 고정되고, 양면접착테이프의 다른쪽은 지지체(111)에 접착됨으로써 지지체(111)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체(111)는 표시장치(101)의 배면측의 단부에 지지부(117)를 갖는다. 정면덮개(11)의 부착부(26)와 배면덮개(12)의 주변부는 고정나사(28)에 의해 상기 지지부(117)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체(111) 및 배면측지지체(22)에는, 가연성케이블(53)을 배면측지지체(22)의 배면측으로 인출하기 위해 가연성케이블(53)이 삽입된 삽입구(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은 약 1 내지 2mm 만큼 가연성케이블(53)의 폭 보다 큰 개구폭을 구비하여야 한다. 약 58mm x 5mm의 개구크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사각형형상을 가진 표시장치(1)의 장측을 따른 12개소와 단측을 따른 8개소에 이러한 삽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설명한 구성을 가진 제 1참고예의 표시장치(101)에 있어서, 표시부(5)의 전면판(15)의 정면과 정면판(20)의 배면 사이의 거리와, 배면측지지체(22)의 뒷면과 배면덮개(12)의 정면 사이의 거리는, 각각,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의 크기 (A) 및 (B)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 표시장치(101)에 있어서, 표시부(5)의 두께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체(111)의 두께크기 (C2)는 크기 (C1)보다 작다. 지지체(111)에 삽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지지체(111)의 강도가,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의 정면측지지체(21)의 강도보다 현저하게 낮고, 표시장치(101) 전체 비틀림강성이 본원발명의 실시형태에 비해서 극단적으로 낮아진다. 또한, 제 1의 참고예의 표시장치(101)의 전체 두께 D2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1)의 전체 두께 D1 보다 두껍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의 참고예의 표시장치(102)는, 외측인크로우져인 정면덮개(121)와, 정면덮개(121)의 사이에 정면판를 협지하는 협지부재(122)를 구비한다. 정면판(20)의 주변부는 정면덮개(121)의 지지부(121a)와 협지부재(122)의 단부 사이에서 협지되고, 협지부재(122)의 다른 단부는 정면덮개(121)의 결합클러(121b)에 의해 결합되고 고정나사(124)에 의해 고정된다.
제 2참고예의 표시장치(102)에 있어서, 표시부(5)의 배면판(16)은 복수의 양면접착테이프(129)에 의해 표시부(5)의 배면측에 배치된 배면측샤시(123)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표시부(5)에 있어서, 양면접착테이프(129)의 단부는 배면판(16)의 뒤에 고정되고, 양면접착테이프(129)의 다른 단부는 배면샤시(123)에 고정된다. 따라서, 표시부(5)는 배면측샤시(123)에 의해 지지된다.
정면판(20)을 노출하는 개구(126)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정면덮개(121)에 형성된다. 정면판(20)를 지지하는 지지부(121a)는, 개구부(126)에 인접하는 위치에, 정면덮개(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덮개(121)에는, 유지부재(122)에 결합하는, 대략 L자형상을 이루고 있는 결합클로(121b)가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정면덮개(121)의 내주부에는, 배면측 샤시(123)를 지지하는 지지체(127)가 일체적으로 돌출해서 형성하고 있다. 배면측 샤시(123)의 주변부는 고정나사(130)에 의해 지지체(127)에 고정되어 있다.
정면덮개(121)에 있어서, 지지체(128)는 표시장치(102)의 배면 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덮개(12)의 주변부는 고정나사(28)에 의해 지지체(128)에 고정되어 있다.
배면측샤시(123)는, 표시부(5)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표시장치(102)의 경량화를 도모화하기 위해서, 복수의 보강용리브(132)가 배치된 중공구조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면측샤시(123)에는, 가연성케이블(53)을 배면측 샤시(123)의 배면측으로 인출하기 위해서, 가연성케이블(53)이 삽입되는 삽입구(도시하지 않음)가 배면측 샤시(123)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을 가지는 제 2의 참고예의 표시장치(102)는, 배면측 샤시(123)의 충분한 강도가 보장된다. 그러나, 가연성케이블(53)의 인출을 위한 삽입구가, 정면덮개(121)의 지지부(127)가 고정되는 배면측 샤시(123)의 주변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표시장치(102) 전체의 비틀림강성이,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1)에 비교해서 저하한다.
표시장치(102)에 있어서, 표시부(5)의 전면판(15)의 정면과 정면판(20) 사이의 거리와, 배면측 샤시(123)의 뒤와 배면덮개(12)의 정면 사이의 거리는, 각각,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의 크기 (A) 및 (B)와 동일하다. 그러나, 표시장치(102)에 있어서, 표시장치(102)의 전체두께(D3)는, 배면측 샤시(123)의 두께에 따라서, 이 실시예의 표시장치(1)의 전체두께 D1보다 커진다.
제 2참고예의 표시장치(102)에 있어서, 배면측 샤시(123)가 전기회로부품을 수납해서 지지하기 위해서, 전기회로부품으로부터 양면접착테이프(129)에 열을 전해서 접착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 2의 참고예의 표시장치(102)는, 고온특성에 우수한 비교적 고가인 양면접착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양면접착테이프의 소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표시장치는, 지지체의 정면단부로부터 배면단부까지의 거리를 길게할 수 있고 지지체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체의 강성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표시장치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벽면형텔레비젼세트로서 적용된 표시장치를 거는 경우, 벽이 표시장치의 무게에 견딜수 있게 위하여, 벽을 보강하는 등의 대책이 불필요하거나 거의 필요없으므로, 표시장치의 상업적가치를 증가시킨다.
2) 표시장치는, 인출 가공함으로써 중공구조 및 보강용리브를 형성함으로써 표시부 배면의 지지의 강성을 확보하고 중량을 경감하기 위하여, 지지체를 두껍게한다. 그래서 표시부 뒤의 공간의 확장 필요성이 감소되었다. 그 결과, 전체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벽걸이 텔레비전세트의 박편감을 증가시킴으로써 제품의 상업적가치를 개선하였다.
3) 전체면에 대하여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진공용기의 고정필요성이 없어졌다. 재생 등을 위하여 분해하는 경우에, 양면접착테이프의 접착재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재생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표시장치의 고온특성이 만족스럽게 확보되는 비교적 고가의 양면접작테이프를 사용할 필요성이 거의 없으므로 제품의 코스트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제 1 및 제 2참고예의 표시장치 (101) 및 (102)로서, 표시부(5)의 배면측이 양면접착테이프 (119) 및 (129)의 사용에 의해 고정된 구성을, 본 실시예의 구성에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표시부(5)의 배면측이 고정되지 않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최소한의 개소 만을 보조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를 분해하는 분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장치(1)의 배면덮개(12)의 주변부 주위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나사(28)를 제거하여 배면덮개(12)를 분리하는 공정과, 정면덮개(11)를 분리해서 정면판(20)을 분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가연성케이블(53)을 포함하는 다양한 케이블을 콘넥터로부터 제거한다. Y방향드라이버회로(46) 등의 전기회로부품을 배면측지지체(22)로부터 복수의 고정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제거함으로써 표시장치(1)로부터 제거한다. 배면측지지체(22)는 배면측지지체(22)의 주변부의 나사(31)를 제거함으로서 정면측지지체(21)로부터 제거한다.
이들 부재는 부재(21b)를 접속시킴으로써 접속되는 상태에서 정면측지지체부재(21a)를 고정하는 고정나사(21c)를 접속부재(21b)로부터 제거하고, 모든 접속부재(21b)는 정면측지지체(21)의 네 개의 코너로부터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표시부(5)와 정면측지지부재(21a)는 분리된다. 임의의(네개중 하나) 정면측지지체부재(21a)의 부착부(25)에 근접한 부분을 협지하면서 표시부(5)의 정면측 방향(도 2의 화살표 S에 의해 표시되는 분리방향)으로 정면측지지부재(21a)를 회전함으로써, 접착은 양면접착테이프(19)의 단부측으로부터 완만하게 분리된다. 그러므로, 표시부(5)의 파손없이 정면측지지부재(21a)를 만족스럽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시점에, 표시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부재의 간섭없이, 정면측지지부재(21a)를 S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킨다.
상기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다른 정면측지지부재(21a)를 표시부(5)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분해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설명한 분해동작은 나사 21c, 28, 31 및 전기회로부품의 고정용 나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나사드라이버 이외의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표시장치(1)에 의하면, 표시부(5)의 정면측 주위부분은 양면접착테이프(19)을 통하여 정면측지지체(21)의 지지체(23)에 의하여 고정되고 지지된다. 이것은 표시장치(1) 전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며, 접착재로서 저열내성을 가진 비교적 저렴한 양면접착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킨다.
표시장치(1)에 의하면, 정면덮개(11) 및 정면판(20)은 배면덮개(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표시장치의 분해를 위한 동작시간과 분해비용의 양자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에 의하면, 표시부(5) 및 정면측지지체(21)를 분해하는 경우 분해동작을 위한 기술이나 특수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용이하고 확실하게 장치를 제거할 수 있으며, 분해동작 중에 표시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1)에 의하면, 제거된 표시부(5) 및 정면측지지체(21) 등의 다른 구성요소부재를 다른 표시장치를 위해 재사용할 수 있으며 재생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가치를 향상시킨다.
지지체(7)는 배면측지지체(22) 및 정면측지지체(21)를 구성함으로써 대략 박스형상을 형성한다. 그 결과, 두께는 비교적 얇지만 충분한 강성은, 외측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안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1)는 텔레비전세트의 모니터 및 컴퓨터단자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광고표시, 사인 및 비디오카메라 등의 다양한 다른 전자제품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절단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조부재의 종단면도.
도 5는 제 1비교예의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제 2비교예의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101 : 표시장치 5 : 표시부
6 : 제어기 7 : 지지체
11 : 정면덮개 11b : 결합클로
12 : 배면덮개 13 : 진공용기
15 : 전면판 16 : 배면판
17 : 스페이서 19 : 양면접착테이프
20 : 정면판 28 : 나사
21 : 정면측지지체 21a : 정면측지지부재
21b : 금속접합부재 22 : 배면측지지체
23 : 지지체 24 : 결합부
25 : 부착부 28 : 고정나사
31 : 나사 34 : 전기적회로부품장착부
36 : 접촉조각 46 : Y방향 드라이버회로
47 : 신호프로세싱회로 50 : 배선
53 : 가연성케이블 111 : L자형상 지지체
112, 114 : 고정나사 113 : 협지부재
117 : 지지부 121 : 정면덮개
123 : 배면측샤시 126 : 개구
127 : 지지체 119, 120, 129 : 양면접착테이프

Claims (19)

  1.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대향하여 배치된 배면판을 가진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지지체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부의 정면측의 주변부에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지지체를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표시부의 접착부로부터 상기 배면판을 넘어서 배면측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각형 주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표시부의 주변부의 각각의 측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표시부가 서로 분리될 때까지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표시장치의 지지부재 이외의 부재에 간섭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보다도 상기 표시장치의 배면측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부의 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
    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배면판 보다 표시장치의 배면측에 근접한 상기 표시부의 접착부분을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표시부의 접착부와 상기 배면판보다 표시장치의 배면측의 방향으로 더욱 근접한 접착부분을 연장하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표시부의 접착부와 이 접착부로부터 상기 배면판을 넘어서 표시장치의 배면측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고, 상기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전면판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정면판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상기 정면판의 배면주위부는 상기 지지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표시부의 정면측을 지지하는 프레임형상의 정면측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상기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형상의 정면측 지지체는 상기 표시부의 네 개의 측에 대응하는 네 개의 정면측 지지부재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정면측 지지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표시부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배면측 지지체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측 지지체는, 대략 L형상을 가진 제 1결합 클로(claw)를 가지며,
    상기 정면측 지지체의 상기 제 1결합 클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L형상인 제 2결합 클로를 표시장치의 정면에 가진 정면덮개를 부가하여 포함하며;
    상기 제 1결합 클로는 제 2결합 클로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정면측과 지지체의 모두를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표시부와 상기 지지체를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2-0083551A 2001-12-25 2002-12-24 표시장치 KR100503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1643 2001-12-25
JPJP-P-2001-00391643 2001-12-25
JPJP-P-2002-00348056 2002-11-29
JP2002348056A JP4261888B2 (ja) 2001-12-25 2002-11-29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155A KR20030055155A (ko) 2003-07-02
KR100503224B1 true KR100503224B1 (ko) 2005-07-22

Family

ID=2662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551A KR100503224B1 (ko) 2001-12-25 2002-12-2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20010B2 (ko)
JP (1) JP4261888B2 (ko)
KR (1) KR100503224B1 (ko)
CN (1) CN12669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4174B2 (en) * 2003-04-17 2010-03-23 Panasonic Corporation Thin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JP4585770B2 (ja) * 2004-02-06 2010-11-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7529082B2 (en) 2004-04-16 2009-05-05 Funai Electric Co., Ltd. Plasma television, flat panel display fixing structure, flat panel television, and method of assembling flat panel television
JP4517728B2 (ja) * 2004-05-28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345855A (ja) * 2004-06-04 2005-12-15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プラズマ表示装置
JP4280726B2 (ja) * 2004-06-29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239020B2 (ja) * 2004-07-12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KR20060027124A (ko) * 2004-09-22 2006-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용 필름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및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3387B1 (ko) * 2004-11-03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53B1 (ko) * 2004-11-10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5299B1 (ko) * 2004-12-17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JP4618108B2 (ja) * 2005-04-21 2011-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218302B2 (en) * 2005-04-21 2012-07-10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unit, information apparatus with display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display unit
ATE444546T1 (de) * 2005-05-04 2009-10-15 Altec Mittig Und Manger Gmbh Bildanzeigevorrichtung
KR100788578B1 (ko) * 2005-05-14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24992A (ja) * 2005-07-12 2007-02-01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US7287783B2 (en) * 2005-08-26 2007-10-30 Elbee Pty Ltd Player cover
WO2007074848A1 (ja) * 2005-12-27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70091191A (ko) * 2005-12-27 2007-09-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78745A (ja) * 2006-09-19 2008-04-03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テレビジョン
KR101298605B1 (ko) * 2006-11-13 2013-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382486B2 (ja) * 2007-05-02 2014-01-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200931103A (en) * 2008-01-09 2009-07-16 Flytech Technology Co Ltd Information kiosk and its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20100043539A (ko) * 2008-10-20 201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DE112009004614B4 (de) * 2009-03-31 2013-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Plattenbefestigungsstruktur
KR20110013954A (ko) * 2009-08-04 201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파장애를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2568465A4 (en) * 2010-06-22 2014-07-23 Sharp Kk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13008016A (ja) 2011-05-24 2013-01-10 Sony Corp 表示装置
EP2527910B1 (en) 2011-05-24 2017-08-09 Sony Corporation Display
FR2980556B1 (fr) * 2011-09-26 2013-08-30 Eurokera Plaque de cuisson a fenetre, appareil de cuiss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 plaque.
KR101874954B1 (ko) * 2012-01-19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표시 장치
JP2014048362A (ja) * 2012-08-30 2014-03-17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電子機器
EP2913816B1 (en) 2012-10-29 2019-12-25 Saturn Licensing LLC Display device
US8789698B2 (en) * 2012-11-16 2014-07-2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ackage box of liquid crystal glass
US10101604B2 (en) * 2013-03-15 2018-10-16 C3I, Inc. Adaptable bezel assembly for extreme service conditions
TWI553597B (zh) * 2013-09-24 2016-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外力傳導結構之顯示裝置
WO2017073872A1 (en) * 2015-10-26 2017-05-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09801557B (zh) * 2019-03-08 2024-04-30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载显示屏结构及车辆
CN115522199A (zh) * 2021-06-25 2022-12-27 苏州运宏电子有限公司 一种屏幕支撑件减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0A (en) * 1852-03-09 Seed-planter
US5363276A (en) * 1993-09-01 1994-11-08 Ncr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supporting electronic components
JP3747306B2 (ja) 1998-03-25 2006-02-22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US6181390B1 (en) * 1999-01-27 2001-01-30 Compal Electronics, Inc. Display holder with multiple side frames
JP3581627B2 (ja) 1999-02-24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1337743A (ja) * 2000-05-24 2001-12-07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JP4564685B2 (ja) 2000-07-19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1888B2 (ja) 2009-04-30
JP2003255851A (ja) 2003-09-10
US20030117053A1 (en) 2003-06-26
US7120010B2 (en) 2006-10-10
CN1430191A (zh) 2003-07-16
KR20030055155A (ko) 2003-07-02
CN1266930C (zh)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224B1 (ko) 표시장치
JP3581627B2 (ja) 画像表示装置
US6989817B2 (en) Image display unit
JP4280726B2 (ja) 画像表示装置
US2003011706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disassembl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354929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방열 시스템
JP2007017966A (ja) プラズマ表示装置
US9247186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JP4261875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3216056A (ja) 表示装置
KR1006837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3125027B1 (en) Display device
US20070001565A1 (en) Flat Display Device
US7535700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7411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29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247187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KR10040274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US20080211738A1 (en) Chassis bas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084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447B1 (ko) 샤시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JP2007052421A (ja) プラズマ表示装置
KR1004471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8007620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5001184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