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224B1 - 서랍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서랍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224B1
KR100501224B1 KR10-2002-0063446A KR20020063446A KR100501224B1 KR 100501224 B1 KR100501224 B1 KR 100501224B1 KR 20020063446 A KR20020063446 A KR 20020063446A KR 100501224 B1 KR100501224 B1 KR 10050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ntact
interlock
breaker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981A (ko
Inventor
도쿠나가요시히로
겐바야스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접점이 용착했을때 차단기를 끌어낼 수 없는 서랍형 차단기를 제공한다.
조작핸들(4)의 회전에 의해 차단기(1)를 서랍틀(2)내에서 빼낼수가 있는 서랍형 차단기로서, 가동접촉자(15)에 연동하는 제 1 링크(15B)에 연동해서 이동하고, 표시부(40b)에 ON/OFF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링크(40)와 일단(44b)이 대략 Z자상으로 형성되어 인디케이터링크(40)의 구멍(40g)에 삽입해서 링크 접속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인터록선재(44)와 인터록선재(44)의 타단(44a)이 링크접속되고, 핀(46a)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가동접촉자(15)가 ON위치에 있을때, 타단(46c)이 핸들록핀(56)의 접촉부(56a)와 접촉함으로서, 조작핸들(4)의 삽입을 차폐한다.

Description

서랍형 차단기{Drawer-typ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전반에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에 수용하는 차단기의 이탈이 가능한 서랍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랍형 차단기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10-271613호 공보, 실개평 6-68275호 공보, 특개소 50-84851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같이, 조작핸들을 차단기의 삽입구멍에 삽입해서 회전시킴으로서, 인출기구를 구성하는 인출스크류가 회전하고, 인출레일이 신장되고, 차단기가 서랍틀에 입출이 되는 것이 있다. 이 입출동작에 의해 차단기의 본체측 도체와 서랍틀의 서랍틀측 도체가 접리하는 것이다.
종래의 서랍형 회로차단기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기구의 개동작에도 불구하고, 차단기의 접점의 용착이나 개폐기구의 불동작에 의해 접점이 폐쇄상태에 있을때도 차단기를 인출할 수가 있고, 즉 도통상태에서 본체측과 인출틀측 도체를 이간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개폐기구의 개동작에도 불구하고, 접점이 폐쇄상태에 있을때는 차단기를 인출할 수 없는 서랍형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서랍형 차단기는 개폐기구의 ON동작에 의해 링크기구를 신장시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소정의 접압력으로 접촉하는 ON위치에 가동접촉자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개폐기구의 OFF동작에 의해, 상기 접압력에 따른 상기 링크기구와 트립래치간의 구속력이 해방되어 상기 링크기구가 굴곡해서, 상기 가동접촉자를 OFF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서랍틀과 외부에서 조작핸들을 삽입해 그 조작에 의해 상기 차단기를 서랍틀내에서 인출방향 및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출기구부를 구비한 서랍형 차단기로 상기 가동접촉자가 ON위치에 있을때, 상기 조작핸들의 삽입을 저지하는 저지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 내지 상기 링크기구의 어느 것인가의 부재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제1 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링크의 이동에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된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의 이동에 따라, 그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가동접촉자가 ON위치에 있을때, 그 타단이 저지부재와 접촉해 상기 저지부재를 저지위치에 구속하는 인터록 레버를 구비한 것이다.
또,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을 대략 Z자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된 것으로, 그 Z자 형상의 중간부위가 상기 제1 상통공에 상통되어 링크축이 되도록 접속된 것이다. 또, OFF장착시에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 링크가 과잉하게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에 접촉해 상기 제1 링크를 정지시키는 제1 스토퍼와 충격력에 의해 상기 인터록 레버가 과잉으로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제1 스토퍼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인터록 레버에 접촉해 상기 인터록 레버를 정지시키는 제2 스토피를 구비한 것이다.
또,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차단기를 OFF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저지부재에 결합안되게 하는 인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터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터록 수단이 외부에서 조작되고, 또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기 저지부재의 비구속위치에 있을때, 상기 저지부는 상기 조작핸들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인터록 수단은 외부에서 조작되는 OFF단추와 상기 저지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인터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OFF단추의 비조작시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저지부재에 접촉하고, 또 상기 인터록 레버의 타단이 상기 저지부재에 비접촉이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서랍형 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OFF상태를 표시하고, 설명의 편의상 도 3이후에서 도시하는 프레임(30)을 제거한 일부단면 형상을 표시하고 있다.
도 1에서 1은 차단기, 2는 서랍틀, 3은 서랍틀(2)에 설치된 일단으로 차단기 (1)가 부착되는 신축가능한 인출레일, 4는 서랍핸들이다. 1A는 투입기구(8),(도 2)를 동작시켜 가동접촉자(15),(도 2)를 투입시키는 ON단추, 1B는 이탈기구(7),(도 2)를 동작시켜, 가동접촉자(15)를 때어내는 OFF단추, 1C는 차지기구(9),(도 2)를 수동으로 차지하는 차지핸들, 6은 차단기(1)의 커버, 11은 인출기구, 40b는 가동접촉자(15),(도 2)의 ON/OFF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도 1에 표시하는 인출상태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차단기(1)를 서랍틀(2)에 삽입한 후, 삽입공 1D로부터 삽입한 서랍핸들(4)을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출레일(3)이 축소되고, 차단기(1)가 서랍틀(2)에 삽입되고, 최종적으로 차단기(1)의 본체측 도체(16),(17),(도 2)가 서랍틀(2)의 주회로접선(23),(23)(도 2)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 2에 표시하는 삽입상태가 된다.
한편, 도 2에 표시한 삽입상태에서 서랍핸들(4)을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랍레일(3)이 신장되어 차단기(1)가 서랍틀(2)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인출되어 본체측 도체(16),(17)과 주회로 정션(23),(23)은 전기적으로 비접속이 되고, 그후 차단기(1)를 서랍틀(2)에서 끌어냄으로서 도 1에 표시하는 서랍상태가 된다.
도 2에서 6은 커버, 7은 가동접촉자(15)를 때어놓는, 즉 가동측 주접점(15a)를 고정측 주접점(16a)로부터 개리시키는 이탈기구, 8은 가동접촉자(15)를 투입, 즉 가동측 주접점(15a)을 고정측 주접점(16a)에 접촉시키는 투입기구, 9는 투입스프링(10)을 도시하지 않은 전동코터, 혹은 차지핸들 1C에 의한 수동으로 압축하는 차지기구, 11은 서랍핸들(4)와 결합하는 메인스크류(11A)의 회전에 의해 차단기(1)를 이동시키는 인출기구, 12는 차단기(1)의 이탈기구(7), 투입기구(8), 차지기구 (9)등을 수납하는 기구측과, 가동측 주접점(15a), 고정측 주접점(16a)등을 수납하는 소호측을 분리하는 중간베이스이다.
13은 가동측 주접점(15a)과 고정측 주접점(16a) 사이에 발생한 아크를 소호하는 디이온그리드(deion grid)를 갖는 소호실, 15는 가동측 주접점(15a)이 고착된 가동접촉자, 16은 일단에 가동측 주접점(15a)에 대향해서 고정측 주접점(16a)이 고착되고, 타단이 차단기(1)의 외부에 돌출해서 설치된 본체, 즉 도체, 17은 일단이 가동접촉자(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 도체(번호없음)가 접속되고, 타단이 차단기(1)의 외부에 돌출해서 설치된 본체측 도체, 18은 본체측 도체(16),(17)등을 고정하는 베이스, 19는 차단기(1)가 ON상태일때, 가동접촉자(15)를 개방향으로 작동하는 접압스프링, 20은 관전류를 검출했을때, 이탈기구(7)를 동작시키는 과전류 이탈장치(도시않음)용의 전원용(T(Current Transfer), 21은 과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용 CT이다.
23은 서랍틀(2)에 설치되고, 서랍틀측 도체(24),(25)에 고착된 주회로정션이고, 상술한 서랍핸들(4)의 회전에 의한 차단기(1)의 삽입에 의해 주회로정션(23) ,(23)에 본체측 도체(16),(17)이 압입되어 전이적으로 접속된다. 도 2에 표시하는 상태로 서랍틀측 도체(24), 주회로정션(23), 본체측 도체(16), 고정측 주접점 (16a), 가동측 주접점(15a), 가동접촉자(15), 가요도체, 본체측 도체(17), 주회로정션(23), 서랍틀측 도체(25)에 의해 전로가 형성되고, 이런로가 가동접촉자 (15)의 개폐에 의해 도전, 또는 비도전이 된다.
다음, 차단기(1)의 기구측에 대해 설명된다. 도 3은 도 1의 차단기의 OFF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차단기의 ON상태로 또 차지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이다.
30은 금속에 의해 형성된 플레이트상의 프레임이고, 도 3, 도 4에서는 하나만이 표시되고 있으나, 지면 바로앞에도 프레임(30)이 배치된다. 2개의 프레임 (30)간에 이탈기구(7), 투입기구(8), 차지기구(9)등이 배치도고, 2개의 프레임(30)의 외측에는 한쌍의 투입스프링(10),(도 2)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해서 ON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1-1) 도 3에 표시한 OFF상태에서 ON단추 1A(도 1)을 밑으로 누르면, 단면 반월상의 크로스바(8B)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크로즈래치(8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1-2) 계속해, 제 1 크로즈래치(8A)가 도시하지 않는 작동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축 7a를 중심에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크로즈래치(8C) 및 제 3 크로즈래치 D에 고정된 롤러(8E)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1-3) 계속해, 제 2 크로즈래치(8C) 및 제 3 크로즈래치(8D)가 도시하지 않은 작동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축(8c)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고, 캡(9A)에 고정된 캠롤리(9C)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1-4) 계속해, 캠(9A)이 투입스프링(10),(도 2)의 신장에 의해, 축(9a)을 중심에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한다.
(1-5) 동시에, 양단에 투입스프링(10)이 접속된 메인스프링 된 핀(9E)이 가이드공(30a)을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메인스프링 핀(9E)에 고정된 차지암 (9B)이 축(8c)을 중심으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차지암(9B)의 접촉부 (9b)가 축(14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14d)에 접촉하고, 링크하(14A) 및 링크상 (14B)를 신장시킨다.
(1-6) 이때, 링크하(14A) 및 링크상(14B)은 축(14a),(14b),(14c)를 관절로 해서 회동하고, 제 1 암(15B) 및 메인샤프트(15b)를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샤프트(15b)에 고정되어 가동접촉자(15)를 링크(15A),(도 2)를 통해서 회동시키는 제 2 암(15C),(도 5)도 회전하고, 가동접촉자(15)를 가동측 주접점(15a)과 고정측 주접점(16a)간이 소정의 접압력이 되도록 ON위치에 투입한다.
단, 링크하(14A), 링크상(14B)가 신장하고, 핀(14C)이 화살표 L의 방향(도 4)으로 이동하고, 트립래치(7A)의 선단이 트립바(7B)에 결합해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로러(7D)와 트립래치(7A)간에는 접압용 스프링(19)의 접압력에 따른 구속력이(도 4에서 상하의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1-7) 계속해, 차지캠(9A)이 축(9a)을 중심으로 캠롤러(9C)가 제 3 크로즈래치(8D)에 접촉할때까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차지암롤러(9D)가 차지캠 (9A)의 외주를 따라 이동함으로 인해, 투입스프링(10),(도 2)를 차지하는 동시에, 투입기구(8)를 도 3에 표시하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 상태가 도 4에 표시하는 ON상태이다.
도 4를 참조해서 OFF동작을 설명한다.
(2-1) 도 4에 표시한 ON상태에서 OFF단추 1B(도 1)를 밑으로 누르면, 오프레버(50),(도 5)에 접촉하고, 단면반월상의 트립바(7B)가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하고, 트립래치(7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2-2) 계속해, 트립래치(7A)가 도시하지 않은 작동스프링의 작동력에 반하는 접합용 스프링(19),(도 2)의 화살표 L방향의 신장에 의해, 축(7a)를 중심으로 화살표 T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2-3) 계속해, 링크레버(7C)가 도시하지 않는 작동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축(7c)를 중심으로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한다. 트립래치(7A)의 회전 및 링크레버 (7C)의 회전에 따라, ON상태에서의 접압용 스프링(19)으로부터의 접압력에 따라, 발생하고 있던 롤러(7D)와 트립래치(7A)의 구속력으로부터 해방되므로, 롤러(7D)는 트립래치(7A)의 凹부(번호없음)로부터 나와, 트립래치(7A)는 도시하지 않은 작동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J와 반대방향으로 작동되고 있으므로, 트립래치(7A)의 측면에 따라 이동한다. 동시에, 접압용 스프링(19),(도 2)의 신장에 의해, 제 2 암(15C) ,(도 5)와 함께 메인샤프트(15b), 제 1 암(15B)이 화살표 F와 반대의 방향으로 제 2 암이 축(7c)에 접촉할때까지 회전하고, 링크하 (14A) 및 링크상(14B)가 굴곡한다. 이때, 가동접촉자(15)는 OFF위치로 이동한다. 또, 링크하(14A) 및 링크상 (14B)가 굴곡하고, 핀(14c)에 접압용 스프링(19)로부터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트립래치(7A)는 도시하지 않는 작동스프링에 의한 화살표 J와 반대방향의 작동력을 받고, 트립래치 스토퍼(7E)에 접촉해서 정지하는 동시에, 그 축면을 따라 이동하고 있던 롤러(7D)가 트립래치(7A)의 凹부(번호없음)에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도 3에 표시하는 OFF상태이다.
다음, 인출기구(11)의 인터록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차단기의 ON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차단기의 OFF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차단기의 접덤이 용착한 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며도, 도 10은 도 9의 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 ~ 도 9는 도 3, 도 4보다도 투입스프링(10)측의 도면을 표시하고 있고, 투입스프링(1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인터록에 관련하는 개소만을 표시하는 것이고, 측면도에서의 인출기구(11)의 정면플레이트(11C)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차단기(1)의 ON상태에서의 인출기구(11)의 인터록에 대해 설명한다. 차단기(1)의 6N상태에서는 도 5를 참조하고, 메인샤프트(15b)에 고정된 제 2 암 (15C)의 핀(15C)에 삽통된 링크(15A),(도 2)에 의해 가동접촉자(15)를 투입위치에 구속하고 있다. 제 2 암(15C)는 제 1 암(15B),(도 3, 도 4)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같은 각도로 메인샤프트(15b)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도 6에서 40은 플레이트상의 금속(주철, 황동, 알루미합금등)을 구부려서 형성하고, 제 2 암(15C)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40b)에 가동접촉자(15)의 ON/OFF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링크(제1 링크)이고, 도 5, 도 6의 경우에는 「ON」을 표시하고 있다. 41은 프레임(30)에 설치되고, 가이드공(40d)에 따라, 인디케이터링크(40)를 화살표 P(도 8)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 42는 계지부(40c)와 핀(41)간에 걸쳐지고, 인디케이터링크(40)를 도 5에 표시하는 위치로 작동하는 작동스프링이다.
44는 선재의 금속(주철, 황동, 알루미합금등)을 구부려서 형성된 인터록선재 (제2 링크)이고, 타단(44a)은 대략 C자상태로 형성되고, 인터록 레버 (46)에 설치된 핀(46b)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고, 일단(44a)은 대략 Z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인디케이터링크(40)에 대해 직교하는 중간 구부림부(44b1)이 구멍(40g)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인디케이터링크(40)에 평행인 일단(44b2) 구부림부가 빠짐방지로 되어 있다.
46은 플레이트상의 금속(주철, 화동, 알루미합금등)을 구부려서 형성되고, 타단(46c)이 접촉부(56a)에 접촉함으로서, 핸들록핀(56)의 회동을 억제하는 인터록 레버이고, 프레임(30)에 설치된 핀(46a)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50은 오프레버이고, 오프트립결합부(50A)와 인터롤결합부(50B)로 된 일체물 플레이트(30)에 설치된 축(50b)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52는 인터록 결합부(50B)와 핀(50c)로 연접된 인터록 플레이트이고, OFF단추(1B)의 조작에 의해 작동스프링 (54)에 반해서 이동하고, 접촉부(52c)와 접촉부(56a)를 이간시켜, 핸들록핀(56)을 회동시키는 것이다. 53은 프레임(30)에 설치된 핀, 54는 인터록 플레이트(52)의 계지부(52b)와 핀(53)간에 걸쳐지고, 인터록 플레이트(52)를 도 5, 도 6에서 아래쪽으로 작동하는 작동스프링이다.
도 5, 도 6, 도 11은 참조해, 56은 선재의 금속(주철, 황동, 알루미합금등)을 구부려서 형성된 핸들록핀(지지부재)이고, 서랍핸들(4) 도 1의 인출기구(11)에의 삽입을 저지 혹은 허용시킨다. 56a는 인터록 레버(46)의 타단(46c) 및 인터록 플레이트(52)의 접촉부(52c)에 접촉하는 접촉부, 56b는 플레이트(11B)의 구멍 (11b)에 회동가능하게 삽통된 축부, 56c는 서랍핸들의 삽입을 저지하는 록부, 56d는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회동가능하게 삽통된 축부이다.
핸들록핀(56)은 토션스프링(도시않음)에 의해, 축부(56b),(56d)를 중심으로 화살표 N방향으로 상시 작동하고 있고, 타단(46c) 및 접촉부(52c)가 접촉부(56a)에 접촉하지 않을때, 록부(56c)가 도 6에서 아래로 이동하고, 서랍핸들(4)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인출기구(11)의 인터록기구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30)에 인출기구(11), 인터록 플레이트(52), 핸들록핀(56)을 부착한다. 다음, 인디케이터링크(40)를 프레임(30)에 부착한다. 다음, 인터록선재(44)의 타단(44a)의 C자형상의 개구부를 핀(46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 핀(46b)에 압입하고, 인터록선재(44)를 인터록 레버(46)에 압입하고, 인터록선재(44)를 인터록 레버(46)에 일체로 접속한다. 다음, 인터록선재(44)의 일단(44a)을 인디케이터링크(40)의 구멍(40g)에 삽입한 후, 인터록 레버(46)의 구멍(번호없음)을 핀(46a)에 삽입하고, C자상의 화셔등을 핀(46a)에 끼워서 빠지지 않게 고정한다.
인터록선재(44)는 중간구부림부(44b1)가 구멍(40g)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인디케이터링크(40)에 평행인 구부림부(44b2)가 빠지지 않도록 대략 Z자형상으로 형성하면 되고, 그 형성이 용이하다. 또, 일단(44a)을 플레이트상 또는 타단 (44a)과 같이 C자상으로 하고, 코킹, 리벳저합, 압입등에 의해 인디케이터링크(40)와 링크결합해도 되나, 코킹, 리벳접합, 압입등에 의한 결합이 인터록선재(44)의 양단에서 필요하게 되고, 부품수나, 조립고정수가 증가해 조립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구성을 상술한 바와같이, 인터록선재(44)의 일단(44a)를 대략 Z자상으로 해 인디케이터링크(40)의 구멍(40g)에 삽입하면 되므로, 조립성이 우수하다.
다음, 차단기의 인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OFF조작에 의해 가동측 주접점 (15a)과 고정측 주접점(16a)이 개리된 통상의 경우와, 가동측 주접점(15a)과 고정측 주접점(16a)의 용착등에 의해 양접점(15a),(16a)가 개리하지 않은 용착등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통상의 경우에 대해, 도 5 ~ 도 8을 참조해서 인출동작에 더해 과전류 검출시의 OFF동작(일반적으로 트립동작이라고도 함)을 설명한다.
(3-1) 도 5에 표시하는 ON상태에서 OFF.단추(1B)를 밑으로 누르면, OFF단추 1B는 축 1b를 중심으로 화살표 P방향(도 7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오프레버(50)에 접촉한다.
(3-2) 계속해, 오프레버(50)가 축(50b)을 중심으로 화살표 P의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핀(50c)이 축(50b)을 중심으로 화살표 P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오프트립 결합부(50A)가 계지부재(7B1)에 접촉한다.
(3-3) 계속해, 핀(50c)의 회동에 의해, 인터록 플레이트(52)가 작동스프링 (54)의 인장력에 반해서 화살표 R의 방향(도 7에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핸들록핀(56)의 접촉부(56a)는 접촉부(52c)로부터 이탈해, 핸들록핀(56)의 접촉부(56a)는 인터록 레버(46)의 타단(46c)에 접촉할때까지 축부(56b)를 중심으로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3-4) 상술한 (3-3)의 동작에 약간이나마 지연되어 계지부재(7B1)가 고정된 트립바(7B)가 화살표 Q(도 7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술한 (2-1) ~ (2-3)의 OFF동작에 의해, 제 2 암(15C)은 메인샤프트(15b)를 중심으로 화살표 P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인디케이터링크(40)의 접촉부(40e)에 접촉하고, 최종적으로 축(7c)에 접촉해서 정지한다.
또, 인디케이터링크(40)는 제 2 암(15C)의 위치에 의해, 가동접촉자(15)의 ON/OFF상태를 판별하고 있으나, 제 2 암(15C)에 한하지 않고, ON상태와 OFF상태에서 그 위치가 변화하는 부재(가동접촉자 15내지 링크기구까지의 부재)이면 되고, 가동접촉자(15), 암(15A), 제 2 암(15C), 메인샤프트(15d), 링크하(14A), 링크상 (14B), 트립래치(7A), 링크레버(7C)등의 동작에 으해 판별해도 된다.
(3-5) 제 2 암(15C)의 접촉에 의해, 인디케이터링크(40)는 작동스프링(42)의 인장력에 반해서 축(40a)을 중심으로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3-6) 인디케이터링크(40)의 회동에 의해, 인터록선부재(44)는 도 5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이행할때에 도 5, 도 7에서 대략 아내쪽으로 이동한다. 즉, 타단(44a)은 축(46a)을 중심으로 화살표 P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도 5, 7, 8에서 대략 아래로 이동하고, 일단(44b)은 축(40a)를 중심으로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동해 도 5, 도 7, 도 8에서 대략 오른쪽 밑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3-7) 인터록선재(44)의 이동에 의해, 인터록 레버(46)은 축(46a)을 중심으로 화살표 P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상술한 (3-3)상태에서 타단 (46c)은 핸들록핀(56)의 접촉부(56a)에서 떨어져 핸들록핀(56)의 록부(56c)가 정면 플레이트(11C)의 내측에 설치된 스토퍼(11c)(도 8)에 접촉할때까지 축부(56b)를 중심으로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상태는 핸들록핀(56)의 록부(56c)가 인출기구(11)의 메인스크류(11A)의 서랍핸들(4)의 삽입구 보다도 도 5 ~ 도 8에서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서랍핸들(4)을 삽입구멍(1D)를 통해서, 메인스크류(11A)의 삽입구에 끼울수가 있고, 서랍핸들(4)을 회전시켜서 차단기(1)를 서랍틀(2)로부터 끌어낼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차단기(1)의 ON상태로부터 OFF단추(1B)를 눌러서 차단기(1)를 서랍틀(2)로부터 인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차단기(1)의 OFF상태(제 2 암 (15C))가 도 7에 표시한 바와같은 상태)로부터 차단기(1)를 서랍틀(2)에서 인출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인터록 레버(46)가 도 7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핸들록핀(56)과 접촉하지 않은 위치에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OFF단추(1B)를 밀어내림으로서, 상술한 (3-1) ~ (3-3)과 같은 동작을 하고, 핸들을 핀(56)이 도 7, 도 8에 표시하는 상태가 되고, 서랍핸들(4)과 메인스크류(11A)의 삽입구에 삽입가능해진다. 단, 상술한 (3-3)의 동작에서 핸들록핀(56)의 접촉부(56a)는 인터록 레버(46)의 타단(46c)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도 7, 도 8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과전류 검출시의 OFF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4-1) 차단기(1)의 전류검출용 CT21(도 2)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과전류 이탈장치가 과전류를 검출하면, 전자릴레이로 된 도시하지 않은 이탈코일부의 동작에 의해 계지부재(7B1)을 화살표 Q방향으로 회동시킨다.
(4-2) 상술한 (4-1)이후, 상술한 (3-3) ~ (3-6)와 같은 동작에 의해 최종적으로 인디케이터링크(46), 인터록선재(44), 인터록 레버(46), 인터록플레이트(52), 핸들록핀(56)등은 도 7, 도 8에 표시한 상태가 된다.
도 2를 참조해,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전류가 클수록 가동측 주접점 (15a) 및 본체측 주접점(16a)간, 및 가동접촉자(15)와 본측 도체간에 가동접촉자 (15)를 OFF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햐의 전자반발력이 작용한다. 즉, 상술한(4-2)에서 발생하는 접압용 스프링(19)의 신장에 따른 작동력에 더해 전자반발력이 발생한다.
(4-3) 발생한 과전류가 클때, 전자반발력은 접압용 스프링(19)의 작동력에 비해, 각별히 강하고, 또 상술한 (4-2)의 OFF동작보다도 가동접촉자(15)를 특별히 빠르게 순간적으로 이동시킨다. 도 5 ~ 도 8로 되돌아와, 제 2 암(15C)이 인디케이터링크(40)의 접촉부(40e)에 충돌할때의 충격력이 상술한 (2-1) ~ (2-3)의 OFF동작때보다도 각별히 크다.
(4-4) 인디케이터링크(40)에 제 2 암(15C)가 충돌하면, 인디케이터링크(40), 인터록선재(44) 및 인터록 레버(46)가 각각 이동한다.
(4-4) 이때, 우선 인터록 레버(46)의 접촉부(46d),(도 7)은, 정면 플레이트 (11C)의 내측면인 스토퍼(제2 스토퍼),(11d),(eh 7)에 접촉해서 화살표 P의 방향의 회전을 정지한다.
(4-5) 그 직후에, 인디케이터링크(40)에서의 가이드구멍(40d)의 일단을 구성하는 접촉부(40f)는 핀(41)에 접촉해서 화살표 Q의 방향의 회전을 정지한다. 또, 전자반발력에 의한 가동접촉자(15)의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과전류 이탈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전자릴레이의 동작보다 빠르다.
(4-6) 상술한 (4-4) 및 (4-5)후에, 최종적으로 인디케이터링크(40), 인터록선재(44) 및 인터록 레버(46)는 도 7에 표시하는 위치가 된다.
여기서, 인터록선재(44)는 플레이트가 아니고, 구부리기 쉬운 선재로 하였으므로, 상술한 (4-4) 및 (4-5)때에 인터록선재(44)의 거의 길이방향으로 압출력이 작용하나, 이 압출력에 의해 인터록선재(44)는 휘어져 구부려져 충격력을 흡수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링크(40), 오프레버(50), 인터록 레버(46)등에 강성이 낮고,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다시 이들의 회동중심을 구성하는 축(40a) 및 타단(44b) 및 타단(44a) 및 구멍(40g) 및 일단(44b), 특히 프레임(30)에 핀등의 회동중심을 설치하지 않은 핀(46b) 및 타단(44a) 및 구멍(40g) 및 일단(44b)의 링크연결부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또, 플레이트상의 선재에 비해 강체인 인디케이터링크(40)와 오프레버가 접촉하기 전에 인터록 레버(46)와 정면 패널(11C)이 접촉하므로, 그 접촉에 의한 충격력이 인터록선재(44)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된 후, 인디케이터링크(40)와 핀(41)이 접촉하므로, 인디케이터링크(40)과 그 회동중심(40a)에 강성이 낮고,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접점이 용착했을때에 도 5, 도 6, 도 9,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5-1) 도 5에 표시하는 ON상태에서 OFF단추 1B를 밑으로 누르면, OFF단추 1B는 축(1b)를 중심으로 화살표 P의 방향(도 9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오프레버(50)에 접촉한다.
(5-2) 계속해, 오프레버(50)가 축(50b)를 중심으로 화살표 P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핀(50c)이 축(50b)를 중심으로 화살표 P의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오프트립결합부(50A)가 계지부재(7B1)에 접촉한다.
(5-3) 계속해, 핀(50c)의 회동에 의해, 인터록 플레이드(52)가 작동스프링 (54)의 인장력에 반해서 화살표 R의 방향(도 9에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핸들록틴(56)의 접촉부(56a)는 접촉부(52c)로부터 이탈되, 핸들록핀(56)의 접촉부(56a)는 인터록 레버(46)의 타단(46c)에 접촉할때가지 축부(56b)를 중심으로 화살표 R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핸들록핀(56)은 도 10의 1점파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직선 및 파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도 9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축부(56b)를 중심으로 화살표 Q의 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5-4) 상술한 (5-3)의 동작에 약간이나마 늦어져, 계지부재(7B1)가 고정된 트립바(7B)가 화살표 Q(도 7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나, 가동측 주접점(15a)과 본체측 주접점(16a)이 용착하고, 이 용착력이 접압용 스프링(19)의 신장력(16a)이 용착하고, 이 용착력이 접압용 스프링(19)의 신장력보다도 큰 경우, 제 1 암(15B) ,(도 4)에 화살표 L의 방향의 작동력은 발생하지 않고, 트립래치(7A)는 상기 화살표 J(도 4)와는 반대방향으로 작동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하고 있으므로, 트립래치(7A), 링크레버(7C), 링크하(14A), 링크상(14B)은 어느 것도 동작하지 않고, 도 4에 표시하는 상태를 보존한다.
즉, OFF단추(B)를 누른 상태에서는 이탈기구(7), 투입기구(8), 링크하(14A), 링크상(14B)등은 트립바(7B)가 회동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4에 표시하는 상태가 되고, 다른쪽 핸들록핀(56)은 도 10에 표시한 바와같이, 약간 회동체 인터록 플레이트(52)에 접촉해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핸들(4)를 삽입구멍 1D(도 1)에서 메인스크류(11A)의 삽입구멍(도시하지 않음)에는 삽입할 수 있다.
(5-5) 그후, OFF단추(1B)의 누름을 정지하면, 트립바 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고, 도 4에 표시하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오프레버(50), 인터록 플레이트 (52), 핸들록핀(56)은 도 5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가동측 주접점(15a)이 개로해 있지 않은 경우는, OFF단추(1B)를 눌러도 차단기(1)의 인출조작이 금지되므로, 전기적으로 대단히 안전하다.
또, 인터록 플레이트(52)와 인터록 레버(46)가 하나의 핸들록핀(56)에 접촉해서 그 회동을 억제하므로, 인터록 플레이트(52)와 인터록 레버(46)의 각각에 대응한 핸들록핀(56)(저지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그 구조를 단순히 할 수 있다.
또, 오프레버(50)가 회동하지 않을때는 핸들록핀(56)에 플레이트상의 인터록 플레이트(52)에 접촉하고, 그 이동을 구속하고 있으므로, 오프레버(50)가 회동했을때만, 핸들록핀(56)으로부터의 접촉력을 받는 인터록 레버(46), 인터록선재(44), 인터케이터링크(40) 및 이들의 회동중심(40a),(50b),(46a),(46b),(44g)에 강성이 낮은 것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랍형 차단기는 개폐기구의 ON동작에 의해, 링크기구를 신장시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소정의 접압력으로 접촉하는 ON위치에 가동접촉자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개폐기구의 OFF동작에 의해, 상기 접압력에 따른, 상기 링크기구와 트립래치간의 구속력이 해방되어 상기 링크기구가 굴곡해 상기 가동접촉자를 OFF위치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서랍틀과, 외부에서 조작핸들을 삽입하고, 그 조작에 의해 상기 차단기를 서랍틀내에서 인출방향 및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출기구부를 구비한 서랍형 차단기로, 상기 가동접촉자가 ON위치에 있을때 상기 조작핸들의 삽입을 저지하는 저지부재를 구비하였으므로, 상기 개폐기구의 개동작에도 불구하고, 접점이 폐쇄상태에 있을때는 상기 차단기를 인출할 수 없는 서랍형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 내지 상기 링크기구의 어느 한 부재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제 1 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링크의 이동에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된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의 이동에 따라, 그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가동접척자가 ON위치에 있을때, 그 타단이 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저지부재를 저지위치에 구속하는 인터록 레버를 구비하였으므로, 상기 제2 링크가 구부려져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고, 링크관절이나 상기 제1 링크나 상기 인터록 레버에 강성이 낮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은 대략 Z자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된 것으로, 그 Z자형상의 중간부위가 상기 제1 링크의 상통구멍에 상통되어 링크축이 되도록 접속되 있으므로, 구성이 단순하고, 또 조립성이 우수하다.
또, OFF동작시에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 링크가 과잉하게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에 접촉해 상기 제1 링크를 정지시키는 제1 스토퍼와 충격력에 의해 상기 인터록 레버가 과잉하게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제1 스토퍼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인터록 레버에 접촉하고, 상기 인터록 레버를 정지시키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였으므로, 상기 제1 링크에 강성이 낮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차단기를 OFF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저지부재에 결합되지 않게 하는 인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터록 수단이 외부로부터 조작되고, 또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기 저지부재의 비구속위치에 있을때, 상기 저지부재는 상기 조작핸들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상기 인터록 수단 및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기 저지부재를 공용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상기 인터록 수단은 외부에서 조작되는 OFF단추와, 상기 저지부재와 접촉부를 갖는 인터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OFF단추의 조작시에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저지부재를 비접촉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OFF단추의 비조작시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저지부재에 접촉하고, 또 상기 인터록 레버의 타단이 상기 저지부재에 비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링크관절이나 상기 제1 링크나 상기 인터록 레버에 강성이 낮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서랍형 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OFF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차단기의 OFF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차단기의 ON상태이고, 또 차지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차단기의 ON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대응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차단기의 OFF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차단기의 접점이 용착한 상태에서의 기구측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한 도면.
도 11은 도 5 ~ 도 10에 표시한 핸들록핀의 상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기, 1A : ON단추, 1B : OFF단추,
1D : 삽입공, 2 : 서랍틀, 3 : 서랍데일,
4 : 서랍핸들, 7 : 이탈기구, 7A : 트립래치,
7B : 트립바, 7C : 링크레버, 8 : 투입기구,
8A : 제 1 크로스래치, 8B : 크로스바, 8C : 제 2 크로스래치,
8D : 제 3 크로스래치, 8E : 롤러, 9 : 차지기구,
9A : 캠, 9B : 차지암, 9C : 캠롤러,
9D : 차지롤러, 9E : 메인스프링핀, 10 : 투입스프링,
11 : 인출기구, 11C : 정면플레이트, 11c : 스토퍼,
11d : 스토퍼, 14A : 링크하, 14B : 링크상,
15 : 가동접촉자, 15A : 링크, 15B : 제 1 암,
15C :제 2 암, 15a : 가동측 주접점, 15b : 메인샤프트,
16 : 본체측 도체, 16a : 고정측 주접점, 17 : 본체측 도체,
19 : 접압용 스프링, 21 : 전류검출용 CT, 23 : 주회로정션,
24 : 서랍틀측 도체, 30 : 프레임,
40 : 인디케이터 링크(제1 링크),
40a : 축, 40b : 표시부, 40c : 계지부,
40d : 가이드 구멍, 40e,40f : 접촉부, 42 : 작동스프링,
44 : 인터록선재(제2 링크),
44a : 타단, 44b : 일단,
44b1 : 중간구부림부(중간부위),
46 : 인터록 레버, 46a : 핀, 46b : 핀,
46c : 타단, 46d : 접촉부, 50 : 오프레버, 50b : 축,
50c : 핀, 52 : 인터록 플레이트(인터록 수단),
52a : 가이드구멍, 52c : 접촉부, 53 : 핀,
54 : 작동스프링, 56 : 핸들록핀(저지부재), 56a : 접촉부,
56b : 축부, 56c : 록부, 56d : 축부.

Claims (6)

  1. 개폐기구(7, 8, 9)의 ON동작에 의해 링크기구(14A, 14B, 15A, 15B, 15C)를 신장시켜 가동접점(15a)과, 고정접점(16a)이 소정의 접촉압력으로 접촉하는 ON위치에 가동접촉자(15)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개폐기구(7, 8, 9)의 OFF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압력에 따른 상기 링크기구(14A, 14B, 15A, 15B, 15C)와 트립래치(7A)간의 구속력이 해방되어, 상기 링크기구(14A, 14B, 15A, 15B, 15C)가 굴곡되고 상기 가동접촉자(15)를 OFF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차단기(1)와, 상기 차단기(1)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서랍틀(2)과 외부에서 조작핸들(4)을 삽입하고, 상기 조작핸들(4)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차단기(1)를 서랍틀(2)내에서 인출방향 및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인출기구(11)를 구비한 서랍형 차단기(1)로,
    상기 가동접촉자(15)가 ON위치에 있을때, 상기 조작핸들(4)의 삽입을 저지하는 저지부재(56)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촉자(15) 또는 상기 링크기구(14A, 14B, 15A, 15B, 15C)의 임의의 부재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제1 링크(40)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40)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링크(40)의 이동에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된 제2 링크(44)와,
    상기 제2 링크(44)의 타단(44a)이 일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링크(44)의 이동에 따라, 그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가동접촉자(15)가 ON위치에 있을때, 그 타단(46c)이 저지부재(56)와 접촉하고, 상기 저지부재(56)를 저지위치에 구속하는 인터록 레버(46)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44)의 일단(44b2)은 실질적으로 Z자형상으로 만곡 형성되고, Z자 형상의 중간부위(44b1)가 상기 제1 링크(40)의 삽입 구멍(40g)에 삽입되고 링크축으로 작용하도록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OFF동작시에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 링크(40)가 과다하게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40)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링크(40)를 정지시키는 제1 스토퍼(11c)와,
    OFF동작시에 충격력에 의해 상기 인터록 레버(46)가 과다하게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40)가 상기 제1 스토퍼(11d)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인터록 레버(46)에 접촉하고, 상기 인터록 레버(46)를 정지시키는 제2 스토퍼(11d)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차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OFF동작시에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 링크(40)가 과다하게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40)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링크(40)를 정지시키는 제1 스토퍼(11c)와,
    OFF동작시에 충격력에 의해 상기 인터록 레버(46)가 과다하게 이동했을때, 상기 제1 링크(40)가 상기 제1 스토퍼(11d)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인터록 레버(46)에 접촉하고, 상기 인터록 레버(46)를 정지시키는 제2 스토퍼(11d)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차단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차단기(1)를 OFF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저지부재(56)에 결합하지 않도록 하는 인터록 수단(52)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인터록 수단(52)이 외부에서 조작되고, 또 상기 인터록 레버(46)가 상기 저지부재(56)의 비구속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지부재(56)는 상기 조작핸들(4)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수단(52)은 외부에서 조작되는 OFF단추(1B)와, 상기 저지부재(56)와 접촉하는 접촉부(52c)를 포함하는 인터록 플레이트(52)를 구비하고,
    상기 OFF단추(1B)의 조작시에 상기 접촉부(52c)와 상기 저지부재(56)가 비접촉으로 되고,
    상기 OFF단추(1B)의 비조작시에, 상기 접촉부(52c)가 상기 저지부재(56)에 접촉하고, 또 상기 인터록 레버(46)의 타단(46c)이 상기 저지부재(56)에 비접촉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차단기.
KR10-2002-0063446A 2002-04-12 2002-10-17 서랍형 차단기 KR100501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0615A JP4257990B2 (ja) 2002-04-12 2002-04-12 引出形遮断器
JPJP-P-2002-00110615 2002-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981A KR20030080981A (ko) 2003-10-17
KR100501224B1 true KR100501224B1 (ko) 2005-07-18

Family

ID=2844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446A KR100501224B1 (ko) 2002-04-12 2002-10-17 서랍형 차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353425B1 (ko)
JP (1) JP4257990B2 (ko)
KR (1) KR100501224B1 (ko)
CN (1) CN1254898C (ko)
DE (1) DE60216230T2 (ko)
ES (1) ES2275792T3 (ko)
TW (1) TW5543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223B1 (ko) * 2002-02-22 2004-05-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
CN100401442C (zh) * 2004-12-02 2008-07-09 三菱电机株式会社 遮断器
JP4597816B2 (ja) * 2005-08-26 2010-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KR100876408B1 (ko) * 2007-07-12 2008-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계적 트립 표시 기구를 갖는 기중 차단기
JP2009134995A (ja) * 2007-11-30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気中遮断器
JP5630380B2 (ja) * 2011-05-27 201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KR101918997B1 (ko) 2016-11-02 2018-1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839090B1 (ko) 2016-11-02 2018-04-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KR101890681B1 (ko) * 2016-12-27 2018-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KR101912698B1 (ko) 2017-02-21 2018-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CN109361166B (zh) * 2018-11-28 2024-03-26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断路器的抽屉柜联锁操作机构
JP7438026B2 (ja) 2020-05-29 2024-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CN113889892A (zh) * 2020-07-02 2022-01-04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万能式断路器
CN114628206B (zh) * 2022-03-28 2023-12-22 株洲嘉成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抽屉集成式开闭联动动作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6573A2 (en) * 1991-09-19 1993-04-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rawout type switch gear
US5495388A (en) * 1993-04-21 1996-02-27 Abb Sace Spa Disconnectable switch
US6160228A (en) * 1998-01-15 2000-12-12 Schneider Electric Sa Device for locking a circuit breaker plug-in and disconnec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1328A1 (de) * 1991-09-20 1993-03-25 Felten & Guilleaume Energie Verriegelungseinrichtung fuer betaetigungsoeffnungen von schaltantrieb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6573A2 (en) * 1991-09-19 1993-04-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rawout type switch gear
US5495388A (en) * 1993-04-21 1996-02-27 Abb Sace Spa Disconnectable switch
US6160228A (en) * 1998-01-15 2000-12-12 Schneider Electric Sa Device for locking a circuit breaker plug-in and disconnec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3425B1 (en) 2006-11-22
EP1353425A1 (en) 2003-10-15
KR20030080981A (ko) 2003-10-17
JP2003308764A (ja) 2003-10-31
CN1452286A (zh) 2003-10-29
DE60216230T2 (de) 2007-10-04
TW554365B (en) 2003-09-21
DE60216230D1 (de) 2007-01-04
ES2275792T3 (es) 2007-06-16
CN1254898C (zh) 2006-05-03
JP4257990B2 (ja)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224B1 (ko) 서랍형 차단기
US4743715A (en) Draw-in and draw-out mechanism of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ith main and auxiliary circuits
JP3352753B2 (ja) 引き出し型低電圧遮断器
CA1279356C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low voltage electrical circuit-breaker
US7504914B2 (en) Electrical switchgear
EP3319189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 terminals in withdrawable type circuit breaker
EP0557621B1 (en) Trip link latch and interpole link for a circuit breaker
US7528690B2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4278958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multi-pole circuit breaker
US3530414A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trip means
CA1167495A (en) Multipole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current limiting device
JP3374699B2 (ja) 回路遮断器
JP3057155B2 (ja) 回路遮断器
CN216902750U (zh) 一种漏电断路器
US7091432B2 (en) Power circuit breaker
CN211238135U (zh) 一种油阻尼式小型断路器
CN209169084U (zh) 断路器
JP2000505938A (ja) 据置型遮断器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EP3346483A1 (en) Magnetic trip device for circuit breaker
CN216288257U (zh) 断路器
WO2024067301A1 (zh) 断路器的脱扣机构和断路器
CN213025918U (zh) 一种断路器联锁隔离开关
CN110137042B (zh) 一种具有开闭与跳脱显示功能的小型断路器
CN201340829Y (zh) 带过电流复位按钮的小型断路器
CN111816493A (zh) 一种断路器联锁隔离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