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997B1 -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997B1
KR101918997B1 KR1020160145354A KR20160145354A KR101918997B1 KR 101918997 B1 KR101918997 B1 KR 101918997B1 KR 1020160145354 A KR1020160145354 A KR 1020160145354A KR 20160145354 A KR20160145354 A KR 20160145354A KR 101918997 B1 KR101918997 B1 KR 10191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lever
arm
circuit break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147A (ko
Inventor
서재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997B1/ko
Priority to ES17162808T priority patent/ES2952052T3/es
Priority to EP17162808.4A priority patent/EP3319103B1/en
Priority to US15/611,675 priority patent/US10256052B2/en
Priority to CN201710613885.6A priority patent/CN108022775B/zh
Publication of KR2018004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01H9/26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using flexible transmission elements, e.g. Bowde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대 이상의 기중 차단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종의 인터록 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중 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는 크래들 또는 배전반의 일부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아암, 제2 아암이 구비되고, 차단기 본체의 메인 샤프트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양방향 레버; 상기 양방향 레버에 이격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을 향하는 제3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레버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단방향 레버; 피복과 코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2,제3 아암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제2,제3 케이블; 상기 제1,제2,제3 아암에 각각 이격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는 제1,제2,제3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Integrated Inter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대 이상의 기중 차단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종의 인터록 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중 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송,변전이나 전기회로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주로 저압기기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중차단기는 2대 이상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며 사용될 경우가 있다. 이때. 이러한 복수의 기중차단기의 상호 작동을 제어할 필요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1 차단기가 On 작동하는 경우, 제2 차단기는 Off 작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기능은 3대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케이블을 이용하여 2대 이상의 차단기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편, 차단기가 작동중에는 배전반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록 기능도 배전반 도어와 차단기의 위치가 먼 경우에는 케이블을 활용하여 도어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록 장치는 기계적 인터락 또는 배전반 도어 인터락 중 어느 하나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예로 US 6,225,581 'Installation comprising an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and a Cable Interlock'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에 이 선행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차단기의 개폐기구가 동력전달 케이블에 의해 기계적 인터록 또는 도어와 연동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은 차단기(미도시)와 케이블(138)과 인터록 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블(138)은 유연한 재질의 피복(182)과 상기 피복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코어(186)로 이루어지고, 피복은 일단(124)이 고정수단(120)에 의해 프레임(122)에 고정되고, 코어(186)는 일단이 인터록 수단(13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록 수단(130)은 케이블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말단부(194), 상기 말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10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터록 수단(130), 고정수단(120), 케이블(138)이 일련의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 하나의 차단기(제1 차단기)의 크래들(미도시)에 설치되고, 다른 차단기(제2 차단기)의 크래들(미도시)에는 이에 대칭되는 구성으로 설치되어 서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차단기에서 On 동작이 수행되어 케이블(138)을 당기면 제2 차단기에서는 당겨진 케이블에 의해 Off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두 대의 차단기에 연결된 인터록 구성은 보통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위의 구성을 'A'라 하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B)이 A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이때, B 구성은 A와 반대방향의 동작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B는 제2 차단기가 On 동작을 하는 경우 이 동작이 케이블에 의해 제1 차단기에 전달되어 제1 차단기가 Off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의 인터록 장치는 상호 연결된 2대의 차단기에서 기계적 인터록이라는 1가지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능은 도어 록 기능으로 전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여전히 1가지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는 다름이 없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서로 다른 인터락 기능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7619호 '기중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에 이 선행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기계적 인터록과 도어 인터록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은, 기중차단기의 메인샤프트에 연결되어 차단기의 투입 또는 차단 작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핀(210); 일단에는 상기 회전핀(210)이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핀(210)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고, 타단에는 제1와이어(230)가 연결되는 제1레버(220); 상기 제1레버(220)에 이격하여 설치되며, 제2와이어(235)가 연결되어 다른 기중차단기의 투입시 힘을 전달받게 되는 슬라이더(250); 및 상기 제1레버(220)의 회전축(222)에 결합되며, 배전반 패널 도어(280)에 마련되는 걸림쇠(285)에 걸릴 수 있는 잠금쇠(270);를 포함한다.
이 선행기술은 제1 차단기의 메인샤프트가 On 위치로 동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핀(210)이 메인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1레버(220)가 회전하면서, 동일하게 회전축(222)에 설치된 잠금쇠(270)가 회동하여 배전반 패널 도어(280)를 구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 차단기의 On 동작시 이 동작이 제2와이어(235)를 통해 전달되어 슬라이더(250)를 당기고 이에 연결된 작동레버(240)에 의해 제1 차단기가 Off 동작을 하도록 하는 점은 전술한 선행기술과 유사하다.
요약하면, 이 선행기술에서는 기계적 인터록은 케이블을 이용한 방식으로 수행하고, 도어록 기능은 회전하는 레버에 별도로 설치되는 잠금쇠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장착플레이트(215)와 배전반 도어(280) 및 잠금쇠(270)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공간상 제약이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진다. 또한, 케이블을 이용한 구성과 다른 별개의 구성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진다.
이와 같이 기계적 인터록이나 배전반 도어 인터록 등 차단기에 사용되는 다수의 인터록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2대 이상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케이블에 의한 동력 전달을 이용하여 인터록 기능을 수행하되 복수의 인터록 기능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는 크래들 또는 배전반의 일부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아암, 제2 아암이 구비되고, 차단기 본체의 메인 샤프트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양방향 레버; 상기 양방향 레버에 이격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을 향하는 제3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레버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단방향 레버; 피복과 코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2,제3 아암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제2,제3 케이블; 상기 제1,제2,제3 아암에 각각 이격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는 제1,제2,제3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2,제3 아암에는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 각 한 쌍의 코어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코어 고정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는 상기 양방향 레버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제3 연결구에는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 각 한 쌍의 피복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케이블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 고정구에는 상기 코어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코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코어홀의 일측에 상기 코어홀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코어 고정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홀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홀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피복 고정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 고정홀 또는 피복 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코어 또는 피복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방향 레버의 배후면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샤프트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걸림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단방향 레버의 배후면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전달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의 측판에는 상기 걸림레버와 전달레버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또한, 상기 측판에는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조립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배후면에는 상기 조립홀에 삽입할 수 있는 장착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코어 고정구가 일부 삽입되어 작동할 수 있는 작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은 제1 케이블은 제1 차단기의 제1 아암과 제2 차단기의 제3 아암을 연결하고, 제2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1 차단기의 도어 레버를 연결하고, 제3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제1 아암을 연결하고, 제4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1 차단기의 MOC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를 연결하고, 제5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 아암과 상기 제1 차단기의 개방 레버를 연결하고, 제6 케이블은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도어 레버를 연결하고, 제7 케이블은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MOC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를 연결하고, 제8 케이블은 상기 제2 차단기의 제3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개방 레버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차단기가 ON 동작되어, 상기 제2 차단기의 양방향 레버가 회동하고, 상기 제2 차단기의 제1아암이 하강하여 제3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아암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차단기를 Off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이 상승하여 상기 제6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2 차단기의 도어 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제2 차단기의 구속판에 걸려 상기 제2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이 상승하여 상기 제7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2 차단기의 MOC 스위치를 On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차단기의 개방 레버가 회전하고, 상기 제1 차단기의 개방 레버가 상기 제5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아암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차단기가 Off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에 의하면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복수의 차단기에 있어서 다종의 인터록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록 기능을 사용하므로 설치장소나 구성요소의 위치에 관계없이 원격 설치된 2대 이상의 차단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가 2대의 차단기에 적용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가 크래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와 크래들의 측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가 적용되는 차단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가 2대의 차단기에 적용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가 크래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와 크래들의 측판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가 적용되는 차단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는 크래들(10) 또는 배전반(미도시)의 일부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30); 상기 장착플레이트(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회전축(43)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아암(arm)(41), 제2 아암(42)이 구비되고, 차단기 본체(20)의 메인 샤프트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양방향 레버(bi-directional lever)(40); 상기 양방향 레버(40)에 이격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회전축(51)을 중심으로 일방향을 향하는 제3 아암(53)이 구비되고, 차단기 본체의 오프(Off) 레버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단방향 레버(uni-directional lever)(50); 피복(81a,82a,83a)과 코어부재(81b,82b,83b)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2,제3 아암(41,42,53)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제2,제3 케이블(81,82,83); 상기 제1,제2,제3 아암(41,42,53)에 각각 이격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81,82,83)의 피복(81a,82a,83a)을 고정하는 제1,제2,제3 연결구(61,62,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20)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차단기 본체(20)의 내부에는 개폐기구부, 소호부 등이 마련되고, 전면부에는 투입 및 차단 작동을 위한 On, Off 버튼(21,22) 및 이상전류를 검출하여 트립신호를 전달하는 과부하 계전기(23)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소호부를 이루는 아크 슈트(24)가 일부 노출되어 있다.
차단기 본체(20)의 측면에는 개폐기구의 메인 샤프트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레버(25)와 인터록 기능에 의해 개폐기구에 차단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프 레버(26)가 구비된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에서는 크래들(10)의 측판(11)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크래들(10)은 차단기 본체(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크래들(10)은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10)의 측판(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립홀(14) 및 제1, 제2 삽입홀(12,13)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립홀(14)은 장착플레이트(30)를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장착플레이트(30)에 구비된 장착핀(31)을 조립홀(14)에 삽입 거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장착플레이트(30)를 측판(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조립홀(14)의 하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14a)이 마련되어 장착핀(31)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제1 삽입홀(12)과 제2 삽입홀(13)에는 각각 장착플레이트(30)의 배후면에 구비된 걸림레버(47)와 전달레버(57)가 삽입되어 차단기 본체(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샤프트 레버(25)와 오프 레버(26)에 각각 연결된다.
측판(11)에는 일부에 결합나사홀(15)이 형성되어 장착플레이트(30)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유닛을 살펴보기로 한다.
장착플레이트(30)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0)는 크래들(10) 또는 배전함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0)는 크래들(10)의 측판(11)에 설치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0)의 설치를 위해 배후면에 장착핀(31)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장착핀(31)은 원주홈부 및 원주돌출부를 갖는 3단 구조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핀(31)은 하단의 지지부(31a), 중간의 고정부(31b), 상단의 삽입부(31c)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직경은 '지지부(31a) > 삽입부(31c) > 고정부(31b)'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31c)를 조립홀(14)에 밀어넣은 후 고정부(31b)를 고정홈(14a)에 끼워 장착하게 된다. 여기서, 조립홀(14)의 직경은 삽입부(31c)보다는 크되 지지부(31a)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장착핀(31)을 조립홀(14)에 끼우기 쉽게 되고, 고정부(31b)를 고정홈(14a)에 끼웠을 때 장착핀(31)은 전,후, 양측 어느 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된다. 장착핀(31)은 오로지 상방으로만 빼낼 수가 있다. 지지부(31a)는 장착핀(31)을 측판(11)의 외측에서 안정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측판(11)과 장착플레이트(3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장착플레이트(30)의 배후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구성요소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케이블(81,82,83)은 피복(81a,82a,83a)과 코어부재(81b,82b,83b)로 구성될 수 있다. 피복(81a,82a,83a)은 유연성(flexibility)이 높고 절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코어부재(81b,82b,83b)는 철사(steel wire) 등 유연성이 있고 강도(Strength)가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81,82,83)은 복수의 차단기 간의 동력 전달 또는 차단기와 다른 장치(또는 구성요소)와의 동력 전달을 위하여 사용된다. 코어부재(81b,82b,83b)는 피복(81a,82a,83a)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 코어부재(81b,82b,83b)는 피복(81a,82a,83a)보다 길게 형성되어 피복(81a,82a,83a)의 양단 말단부에 각각 노출된다. 케이블을 사용함에 따라 원거리에 있는 차단기 혹은 장치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장착플레이트(30)의 일부에는 지지링부(34)가 마련된다. 지지링부(34) 및 결합나사홀(15)에 체결되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플레이트(30)는 측판(1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장착플레이트(30)는 장착핀(31)을 조립홀(14)에 삽입하여 거치하는 것으로 간단히 설치가 되고, 지지링부(34)와 결합나사홀(15)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장착플레이트(30)에는 코어 고정구(45,46,55)가 일부 삽입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제2 작동홀(32,33)이 마련된다. 제1 작동홀(32)과 제2 작동홀(33)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작동홀(32)은 제1 회전축(43)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0)에는 제1 회전축(43)과 제2 회전축(5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축홀(35)과 제2 축홀(36)이 형성된다.
장착플레이트(30)에는 일부에 양방향 레버(40)에 복원력을 주기 위해 복귀 스프링(38, 도 3의 A38 참조)을 설치할 수 있는 스프링 고정부(37)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0)에 양방향 레버(40) 및 단방향 레버(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양방향 레버(40)와 단방향 레버(50)는 회전시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거리 이격하여 설치된다.
양방향 레버(40)는 제1 회전축(4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양방향 레버(40)는 1자형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레버(40)는 제1 회전축(43)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1 회전축(43)과 양방향 레버(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양방향 레버(40)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을 갖는다.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은 양방향 레버(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례로 양방향 레버(4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제1 아암(41)은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제2 아암(42)은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에는 각각 케이블의 코어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코어 고정구(45,46)가 구비된다.이때, 이 또한, 구분하여 제1 코어 고정구(45)와 제2 코어 고정구(46)로 칭하기로 한다. 각 코어 고정구(45,46)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고정구(45,46)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아암(41)의 양측면에 제1 코어 고정구(4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 아암(4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다른 실시예로, 각 코어 고정구(45,46)는 한 쌍이 아니라 하나의 일체형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코어 고정구(45,46)가 양방향 레버(40)의 아암(41,42)에 관통 설치된다.
각 코어 고정구(45,46)에는 케이블(81,82)의 코어부재(81b,82b)가 삽입될 수 있는 코어홀(45a,46a)이 관통 형성된다. 코어홀(45a,46a)은 양방향 레버(4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상에서 코어홀(45a,46a)은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각 코어 고정구(45,46)가 한 쌍으로 구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코어홀(45a,46a)이 한 쌍, 즉 2개가 형성된다.
코어홀(45a,46a)의 일측으로 코어홀(45a,46a)에 수직한 방향, 즉 장착플레이트(30)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코어 고정홀(45b,46b)이 형성된다. 코어 고정홀(45b,46b)은 코어부재(81b,82b)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회전축(43)의 후단부에는 걸림레버(47)가 결합된다. 걸림레버(47)는 샤프트 레버(25)에 연결되어 동작하게 된다. 걸림레버(47)에는 샤프트 레버(25)가 돌기부(25a)가 걸려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걸림홈(47a)이 형성된다. 걸림레버(47)가 회동하면 제1 회전축(43)의 전단부에 결합된 양방향 레버(40)가 함께 회동하게 된다. 걸림레버(47)는 차단기 본체(20)의 On 동작과 Off 동작에 따라 회동하게 되므로,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에 연계된 작용을 전달할 수 있다.
단방향 레버(50)가 양방향 레버(40)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장착플레이트(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방향 레버(50)는 제2 회전축(51)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제2 회전축(51)은 제2 축홀(36)에 삽입 설치된다.
단방향 레버(50)에는 일방향으로 향하는 제3 아암(53)이 구비된다. 제3 아암(53)는 단방향 레버(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아암(53)은 단방향 레버(5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축(51)의 후단부에는 전달레버(57)가 결합된다. 전달레버(57)는 단방향 레버(50)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단방향 레버(50)의 제3 아암(53)이 (+)x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면, 전달레버(57)는 (-)x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달레버(57)는 차단기 본체(20)의 오프 레버(26)에 연결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단방향 레버(50)가 회동하는 경우 제2 회전축(51)을 통해 전달레버(57)가 회동하고, 전달레버(57)는 오프 레버(26)의 돌기부(26a)를 동작시켜 차단기 본체(20)를 차단 동작시킬 수 있다.
단방향 레버(50)의 제3 아암(53)에는 제3 코어 고정구(55)가 한 쌍 구비되고, 제3 코어 고정구(55)에는 코어홀(55a) 및 코어 고정홀(55b)이 형성된다. 제3 코어 고정구(55)와 코어홀(55a) 및 코어 고정홀(55b)에 관한 사항은 양방향 레버(40)의 코어 고정구(45,46)와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양방향 레버(40) 및 단방향 레버(50)의 각 코어 고정구(45,46,55)에 소정거리 이격하여 연결구(61,62,63)가 구비된다. 연결구(61,62,63)는 케이블(81,82,83)의 피복(81a,82a,83a)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연결구(61,62,63)는 피복(81a,82a,83a)의 말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코어 고정구(45)의 일측에 제1 연결구(61)가 구비되고, 제2 코어 고정구(46)의 일측에 제2 연결구(62)가 구비되고, 제3 코어 고정구(55)의 일측에 제3 연결구(63)가 구비된다. 이때,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면 상에서 제1 연결구(61)는 제1 코어 고정구(45)의 y축 상방에 위치하고, 제2 연결구(62)는 제2 코어 고정구(46)의 y축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케이블(81)과 제2 케이블(82)의 작동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연결구(61,62,63)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제1 연결구(61)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결구(61)에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블홀(61a)이 형성된다. 케이블홀(61a)은 코어홀(45a)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홀(61a)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케이블홀(61a)은 상기 코어홀(45a)에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구(61)에는 피복(81a)의 말단부가 삽입된다.
케이블홀(61a)의 일측으로 케이블홀(61a)에 수직한 방향(x축 방향)으로 피복 고정홀(61b)이 형성된다. 피복 고정홀(61b)은 피복(81a)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연결구(61)에 대하여 전술한 설명은 제2 연결구(62) 및 제3 연결구(63)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연결구(61,62,63)에 의해 케이블(81,82,83)의 피복(81a,82a,83a)은 고정되고, 코어 고정구(45,46,55)에 결합된 코어부재(81b,82b,83b)는 양방향 레버(40) 또는 단방향 레버(5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코어 고정홀(45b,46b,55b)에 삽입되어 코어부재(81b,82b,83b)를 고정하고, 또한 피복 고정홀(61b,62b,63b)에 삽입되어 피복(81a,82a,83a)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71)와 너트(72)로 구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각 아암(41,42,53)에 한 쌍의 코어홀(45a,46a,55a)이 마련되고, 각 연결구(61,62,63)에 한 쌍의 케이블홀(61a,62a,63a)이 마련됨에 따라, 각 아암(41,42,53)에는 케이블이 각 한 쌍씩 설치되어 인터록 기능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도어 인터록 장치를 설명하면, 제1 차단기(A)의 도어 인터록 장치(A90)는 도어 인터록 플레이트(A9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구속할 수 있는 도어 레버(A92)와, 배전반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개방 레버(A93)를 포함한다. 도어 레버(A92)는 일단이 케이블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고, 타단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배전반 도어에 결합된 구속판(A94)에 걸려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저지할 수 있다.
배전반 도어의 폐쇄시 개방 레버(A93)의 일단은 구속판(A94)에 접촉하고 있으며, 타단에는 작동 스프링(A95)이 연결되어 배전반 도어의 개방시 개방 레버(A93)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는 일단에 연결된 케이블(85)을 잡아당기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이기도 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은 예비 단계(S1), 기계적 인터록 작용 단계(S2), 배전반 도어 인터록 작용 단계(S3), MOC 인터록 작용 단계(S4), 배전반 도어 개방시 OFF 작용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비 단계(S1)는 각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인터록 작용 단계(S2)는 어느 하나의 차단기가 On 상태일 때 다른 하나의 차단기를 Off 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배전반 도어 인터록 작용 단계(S3)는 상기 On 작동 상태의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MOC 인터록 작용 단계(S4)는 상기 On 작동 상태의 차단기의 MOC 인터록을 On 동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배전반 도어 개방시 OFF 작용 단계(S5)는 상기 다른 하나의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개방시 상기 다른 하나의 차단기를 Off 동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여 2개의 차단기에 적용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차단기(A)와 제2 차단기(B)의 2대로 구성된 경우이다. 각 차단기의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차단기(A)의 구성요소에는 도면부호 앞에 'A'를 추가하고, 제2 차단기(B)의 구성요소에는 도면부호 앞에 'B'를 추가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제1 차단기(A)의 제1 아암은 'A41'로 표시하고, 제2 차단기(B)의 제1 아암은 'B41'로 표시하기로 한다.
상기 예비 단계(S1)는 각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제1 케이블(81)은 제1 차단기(A)의 제1 아암(A41)과 제2 차단기(B)의 제3 아암(B53)을 연결하고 있다. 제2 케이블(82)은 제1 차단기(A)의 제2 아암(A42)과 제1 차단기(A)의 도어 레버(A92)를 연결하고 있다. 제3 케이블(83)은 제1 차단기(A)의 제3 아암(A53)과 제2 차단기(B)의 제1 아암(B41)을 연결하고 있다. 제4 케이블(84)은 제1 차단기(A)의 제2 아암(A42)과 제1 차단기(A)의 MOC 스위치(A96)의 스위치 레버(A97)를 연결하고 있다. 제5 케이블(85)은 제1 차단기(A)의 제3 아암(A53)과 제1 차단기(A)의 개방 레버(A93)를 연결하고 있다. 제6 케이블(86)은 제2 차단기(B)의 제2 아암(B42)과 제2 차단기(B)의 도어 레버(A92)를 연결하고 있다. 제7 케이블(87)은 제2 차단기(B)의 제2 아암(B42)과 제2 차단기(B)의 MOC 스위치(B96)의 스위치 레버(B97)를 연결하고 있다. 제8 케이블(88)은 제2 차단기(B)의 제3 아암(B53)과 제2 차단기(B)의 개방 레버(A93)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먼저 기계적 인터록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계적 인터록 작용 단계(S2)는 어느 하나의 차단기가 On 상태일 때 다른 하나의 차단기를 Off 시키는 단계이다. 제2 차단기(B)를 ON 동작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차단기(B)가 ON동작되면 메인 샤프트의 회전은 제2 차단기(B)의 샤프트 레버 및 걸림레버를 거쳐 양방향 레버(B4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차단기(B)의 제1 아암(B41)이 하강하여 제3 케이블(83)의 일단을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케이블(83)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차단기(A)의 제3 아암(A53)이 하강하여 오프 레버를 조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차단기(A)는 OFF 작동을 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차단기(A)가 ON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방식에 의해 제1 차단기(A)의 제1 아암(A41), 제1 케이블(81), 제2 차단기(B)의 제3 아암(B53)을 거쳐 제2 차단기(B)가 OFF 작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전반 도어 인터록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배전반 도어 인터록 작용 단계(S3)는 상기 On 작동 상태의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단계이다. 먼저, 차단기가 ON 작동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전반 도어록 기능이 작동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차단기(B)가 ON 작동하는 경우 제2 아암(B42)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6 케이블(86)을 당겨지게 되고, 제2 차단기(B)의 도어 레버(B9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크가 구속판(B94)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차단기(B)의 배전반 도어의 개방은 방지된다.
한편, 배전반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차단기가 OFF 작동을 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상기 배전반 도어 개방시 OFF 작용 단계(S5)에 해당한다. 즉, 다른 하나의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개방시 상기 다른 하나의 차단기를 Off 동작시키는 단계이다. 제1 차단기(A)의 배전반 도어가 개방되어 구속판(A94)이 개방 레버(A93)로부터 이격되면 개방 레버(A93)는 작동 스프링(A95)의 힘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 레버(A93)의 일단에 연결된 제5 케이블(85)이 당겨져서 제3 아암(A53)은 하강하고 제1 차단기(A)는 OFF 작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MOC 인터록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MOC 인터록 작용 단계(S4)는 상기 On 작동 상태의 차단기의 MOC 인터록을 On 동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차단기(B)가 ON 작동함에 따라 제2 아암(B42)을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제7 케이블(87)이 당겨져서 제2 차단기(B)의 MOC 스위치(96)의 스위치 레버(B97)를 당겨 MOC 스위치(B96)를 ON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차단기(A)에 있어서는, 제1 차단기(A)가 OFF 작동함에 따라 제2 아암(A42)은 복귀 스프링(A38)에 의해 원위치(수평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제2 아암(A42)에 연결된 제4 케이블(84)을 밀게 되어 제1 차단기(A)의 스위치 레버(A97)를 복귀시켜 MOC 스위치(A96)는 OFF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활용하기에 따라서는 3대의 차단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최대로 활용하면 차단기별로 6개의 케이블을 연결하고, ON, OFF 동작에 맞춰 다양한 인터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에 의하면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복수의 차단기에 있어서 다종의 인터록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록 기능을 사용하므로 설치장소나 구성요소의 위치에 관계없이 원격 설치된 2대 이상의 차단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크래들 11 측판
12,13 제1,제2 삽입홀 14 조립홀
14a 고정홈 15 결합나사홀
20 차단기 본체 21,22 On,Off 버튼
23 과부하 계전기 24 아크 슈트
25 샤프트 레버 26 오프 레버
30 장착플레이트 31 장착핀
31a 지지부 31b 고정부
31c 삽입부 32,33 제1,제2 작동홀
34 지지링부 35,36 제1,제2 축홀
37 스프링 고정부 38 복귀 스프링
40 양방향 레버 41,42 제1,제2 아암
43 제1 회전축 45,46 제1,제2 코어 고정구
45a,46a 제1,제2 코어홀 45b,46b 제1,제2 코어 고정홀
47 걸림레버 47a 걸림홈
50 단방향 레버 51 제2 회전축
53 제3 아암 55 제3 코어 고정구
55a 제3 코어홀 55b 제3 코어 고정홀
57 전달레버 61,62,63 제1,제2,제3 연결구
61a,62a,63a 제1,제2,제3 케이블홀 61b,62b,63b 제1,제2,제3 피복 고정홀
71 볼트 72 너트
81,82,83 제1,제2,제3 케이블 81a,82a,83a 피복
81b,82b,83b 코어부재

Claims (18)

  1. 크래들 또는 배전반의 일부에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아암, 제2 아암이 구비되고, 차단기 본체의 메인 샤프트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양방향 레버;
    상기 양방향 레버에 이격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을 향하는 제3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레버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단방향 레버;
    피복과 코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2,제3 아암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제2,제3 케이블;
    상기 제1,제2,제3 아암에 각각 이격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는 제1,제2,제3 연결구; 및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제2,제3 아암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 각 한 쌍의 코어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코어 고정구;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는 상기 양방향 레버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 연결구에는 상기 제1,제2,제3 케이블 각 한 쌍의 피복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케이블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고정구에는 상기 코어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코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코어홀의 일측에 상기 코어홀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코어 고정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홀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피복 고정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고정홀 또는 피복 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코어 또는 피복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레버의 배후면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샤프트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걸림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단방향 레버의 배후면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전달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측판에는 상기 걸림레버와 전달레버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조립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배후면에는 상기 조립홀에 삽입할 수 있는 장착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코어 고정구가 일부 삽입되어 작동할 수 있는 작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15. 제1 케이블은 제1 차단기의 제1 아암과 제2 차단기의 제3 아암을 연결하고, 제2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1 차단기의 도어 레버를 연결하고, 제3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제1 아암을 연결하고, 제4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1 차단기의 MOC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를 연결하고, 제5 케이블은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 아암과 상기 제1 차단기의 개방 레버를 연결하고, 제6 케이블은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도어 레버를 연결하고, 제7 케이블은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MOC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를 연결하고, 제8 케이블은 상기 제2 차단기의 제3 아암과 상기 제2 차단기의 개방 레버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차단기가 ON 동작되어, 상기 제2 차단기의 양방향 레버가 회동하고, 상기 제2 차단기의 제1아암이 하강하여 제3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아암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차단기를 Off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이 상승하여 상기 제6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2 차단기의 도어 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제2 차단기의 구속판에 걸려 상기 제2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기의 제2 아암이 상승하여 상기 제7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2 차단기의 MOC 스위치를 On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기의 배전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차단기의 개방 레버가 회전하고, 상기 제1 차단기의 개방 레버가 상기 제5 케이블을 당기고, 상기 제1 차단기의 제3아암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차단기가 Off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의 사용 방법.
KR1020160145354A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1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54A KR101918997B1 (ko)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ES17162808T ES2952052T3 (es) 2016-11-02 2017-03-24 Dispositivo de enclavamiento integrado de disyuntor de aire y método de uso del mismo
EP17162808.4A EP3319103B1 (en) 2016-11-02 2017-03-24 Integrated inter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5/611,675 US10256052B2 (en) 2016-11-02 2017-06-01 Integrated inter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1710613885.6A CN108022775B (zh) 2016-11-02 2017-07-25 空气断路器的集成互锁装置及其使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54A KR101918997B1 (ko)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47A KR20180048147A (ko) 2018-05-10
KR101918997B1 true KR101918997B1 (ko) 2018-11-16

Family

ID=5841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54A KR101918997B1 (ko)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56052B2 (ko)
EP (1) EP3319103B1 (ko)
KR (1) KR101918997B1 (ko)
CN (1) CN108022775B (ko)
ES (1) ES295205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7042B (zh) * 2018-06-28 2019-09-20 贵州泰永长征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开关电器用机械联锁装置
CN110400709B (zh) * 2019-06-13 2022-06-17 广州致新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断路器与三工位开关的连锁装置
RU2725146C1 (ru) * 2019-12-30 2020-06-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женерно-технический центр "ПРОМИКС" Способ блокировки переключения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764A (ja) * 2002-04-12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
KR100469366B1 (ko) * 2002-03-15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이중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401A (en) 1996-03-29 1998-03-1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able/crossbar interlock system for circuit breakers
FR2789511B1 (fr) 1999-02-08 2001-05-04 Schneider Electric Ind Sa Installation comportant un appareillage electrique de coupure et un interverrouillage a cable
KR200183457Y1 (ko) 1999-12-22 2000-05-15 엘지산전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기계적 인터록 장치
US6486421B1 (en) * 2000-04-27 2002-11-26 Eaton Corporation Mechanical interlock with overtravel compensation for coordinating operation of circuit breakers
DE102008007987B3 (de) * 2008-02-07 2009-05-07 Moeller Gmbh Anordnung zum Sperren von Schaltern
KR101345173B1 (ko) 2010-05-20 2013-1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와 배전반도어의 연동장치
CN103578811B (zh) 2013-10-30 2016-03-30 遵义长征电器制造有限公司 断路器联锁机构
KR101667636B1 (ko) 2014-09-29 2016-10-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66B1 (ko) * 2002-03-15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이중 안전장치
JP2003308764A (ja) * 2002-04-12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2775B (zh) 2019-09-13
ES2952052T3 (es) 2023-10-26
KR20180048147A (ko) 2018-05-10
US20180122594A1 (en) 2018-05-03
CN108022775A (zh) 2018-05-11
EP3319103A1 (en) 2018-05-09
EP3319103B1 (en) 2023-06-14
US10256052B2 (en)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5918B (zh) 马达控制中心及其子单元
EP1583121B1 (en) Modular disconnect switch
KR101918997B1 (ko) 기중차단기의 통합 인터록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US9472369B2 (en) Retractable connector for a single vertical main bus stack panel board motor starter
CN108022806B (zh) 用于可抽出式断路器中的控制端子的连接装置
CN103441439B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CN107210169B (zh) 电气切换设备及用于其的接口组件和显示设备
CN203434502U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US10991521B2 (en)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operation device
US8395063B2 (en) Locking device for use with a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assembly
KR200481214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조작기구 잠금장치
CN105742091A (zh) 一种开关柜五防联锁操作机构
CN104282461A (zh) 用于电气开关的锁止元件
JP5344052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CN208723421U (zh) 一种开关柜
KR101667636B1 (ko) 기중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5338926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JP2008245334A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KR20170098626A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CN108475593B (zh) 用于断开接触器的断路器设备和装置
CN220233067U (zh) 脱扣机构及断路器
CN210640135U (zh) 柱上负荷开关
KR20230127010A (ko) 단로기와 고속 접지 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CN116013741A (zh) 一种框架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111968891A (zh) 一种锁定装置及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