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187B1 - 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187B1
KR100500187B1 KR10-2002-0075782A KR20020075782A KR100500187B1 KR 100500187 B1 KR100500187 B1 KR 100500187B1 KR 20020075782 A KR20020075782 A KR 20020075782A KR 100500187 B1 KR100500187 B1 KR 10050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frame member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610A (ko
Inventor
히라노다다오
우에노마사토
다나카신이치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9/00Producing optical time signals at prefixed tim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04C17/02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by electric lam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35Details constructional
    • G04G9/0041Illumination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의 기기에 적용되는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소자와 발광부를 설치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요철부를 갖는 틀상 부재에 의하여 도광되고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확실하게 발광부를 발광시켜서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의 기기에 적용되는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기기로서, 예를 들면 손목시계에 있어서는 문자판이나 지침 등의 시계부품에 야광도료 등의 축광도료를 인쇄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축광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밝은 곳에서 축광부가 외부광을 받아서 에너지를 축적하여 어두운 곳에서 축광부가 축적한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어두운 곳에서 축광부가 발광하여 시각 등을 알 수는 있지만 사용자가 소망하는 때에 축광부를 자유롭게 발광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발광휘도도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축광부가 발광할 뿐이기 때문에 충분한 장식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또한 확실하게발광부를 향해 조사시켜서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는 요소기술을 제공하는 동시에, 장식성이 우수한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에 발광소자를 배치시키고, 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발광부에 대하여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한 빛을 상기 틀상 부재에서 확산 또는 수렴하여 광조사부로부터 조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은,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발광부에 대하여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한 빛이 복수의 도광부를 분광하여 도광하고 각 도광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은,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에 발광소자를 배치시키고, 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발광부 중의 광반응발광입자량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발명은,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에 발광소자를 배치시키고, 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차광부의 차광면적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손목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손목시계(100)에는 발광표시장치인 시계모듈(1)을 내부에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로서의 시계케이스(2)가 구비되고, 시계케이스(2)의 상부 중앙에는 시계유리(3)가 패킹(4)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시계모듈(1)에 구비되어 있는 틀상 부재(5)는 그 상부를 시계유리(3)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시계케이스(2)의 하면에는 뒤쪽덮개(6)가 방수링(7)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시계모듈(1)과 뒤쪽덮개(6)의 사이에는 완충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시계케이스(2)의 상부 외주에는 베젤(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계케이스(2)에는 밴드축(2A)을 통하여 시계밴드(B)가 부착되어 있다.
시계모듈(1)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한 것이고, 도 2에는 그 양쪽을 구비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모듈(1)에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11)이 구비되며, 상부하우징(10)의 상면에 문자판(12)이 배치되고, 그 문자판(12)의 상면에 틀상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11)의 사이에 회로기판(13)이 배치되어 있다. 시계모듈(1)은 이들 문자판(12), 상부하우징(10), 회로기판(13) 및 하부하우징(11)이 중간틀(14)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부하우징(10)에는 아날로그지침기구(15)와 액정표시소자(16)가 구비되고 있고, 하부하우징(11)에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지침기구(15)와 액정표시소자(16) 등이 동작하기 위한 전지(도시하지 않음)가 편입되어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15)는 문자판(12)에 설치된 축구멍(12a)으로부터 그 위쪽으로 연장되는 지침축(17)과, 이 지침축(17)에 부착된 시침, 분침 등의 지침(18)을 구비하고, 이 지침(18)이 문자판(12)의 위쪽을 운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문자판(12)과 지침(18)에 각각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19)가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액정표시소자(16)는 예를 들면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간에 액정을 봉입한 액정셀의 상면에 상편광판, 액정셀의 하면에 하편광판을 설치한 것이며, 액정셀의 한쌍의 전극기판간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 따라서 시각 등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액정표시소자(16)는 문자판(12)에 설치된 창부(12c)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틀상 부재(5)는 예를 들면 광투과성을 갖는 합성수지, 특히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틀상 부재(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3)의 주연부의 하면과 문자판(12)(상부하우징(10))의 주연부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시계케이스(2)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고, 보호부재 또는 완충부재로서의 기능도 겸비한 부재이다.
이 틀상 부재(5)는 내주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광조사부로서의 요철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부(5a)는 틀상 부재(5)에 입사된 빛을 난반사시키고, 이 빛을 확산시켜서 틀상 부재(5)의 내측에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틀상 부재(5)의 소정 장소,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블랙라이트라고 불리우는 자외선발광소자(20)가 배치되어 있다. 자외선발광소자(20)는 예를 들면 파장이 254∼420nm(나노미터)의 자외선, 또는 파장이 374∼389nm의 자외선, 바람직하게는 365nm 부근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등 또는 자외선발광다이오드(LE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외선발광소자(20)는 예를 들면 도 3a에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출력부(20a)와, 광출력부(20a)의 저면에 설치되고 그 일부가 측면까지 돌아들어가서 연장돌출된 전극단(20b)과, 저면의 대략 중앙에 구비된 완충부재(20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자외선발광소자(20)는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상 부재(5)에 매설되어 배치되어 있고,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은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5)에 입사하고 입력되어 도광된다. 도광된 자외선은 틀상 부재(5)의 내주면에 설치된 요철부(5a)로부터 난반사에 의해 확산되어 출사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틀상 부재(5)와 접하는 시계케이스(2)의 내벽에 빛을 반사하기 쉬운 색, 예를 들면 실버나 화이트의 도장, 혹은 수지재 등에 의한 반사부(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틀상 부재(5)에 입력되어 도광되는 빛을 틀상 부재(5)의 내주면측에 반사시켜서 효율 좋게 요철부(5a)로부터 출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장소이어도 틀상 부재(5)에 의해 도광된 자외선이 요철부(5a)로부터 출사되므로 그 자외선을 발광부(19)는 수광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20)는 예를 들면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대각선상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효율 좋게 자외선이 조사된다.
발광부(19)는 예를 들면 형광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도 2,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12)에 있어서의 소정 장소, 예를 들면 시계문자나 시계문자지표, 마크부분의 상면이나 아날로그지침기구(15)에 있어서의 지침(18)의 소정 장소에, 그 형광체로 되는 수지매몰부(19a)나 인쇄ㆍ도장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발광부(19)상면은 투명한 오버코트(도시하지 않음)로 덮여서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발광부(19)는 예를 들면 파장이 350∼420nm, 또는 254∼365nm의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일 때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이나,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5)를 통하여 출사되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발광부(19)는 유색발광한다.
이 발광부(19)의 발광색은 녹(또는 황색), 청, 적의 3색을 기본으로 하고, 다양한 색배리에이션이 있다. 여기에서 각 시계부품에 설치되는 각 발광부(19)는 모두 같은 발광색의 것이어도 좋지만 시각을 시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적어도 문자판(12)과 지침(18)의 각 발광부(19)의 발광색이 각각 달라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문자판(12)의 발광부(19)는 적색계로 발광하고, 지침(18)의 발광부(19)는 청색계로 발광한다는 바와 같이 문자판(12)과 지침(18)의 각각 발광색이 다른 편이 시각을 확인하기 쉽다. 또 문자판(12)의 마크부분의 발광부(19)와 시계문자의 발광부(19)의 각 발광색도 각각 달라 있어도 좋고, 시계문자나 시계문자지표마다 발광색이 달라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에 맞닿는 컨택트부재(22)와, 이 컨택트부재(22)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23)으로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컨택트부재(22)는 한쌍의 지지축(22a)(도 2에서는 한쪽만을 나타낸다)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지지축(22a)이 자외선발광소자(20)의 전극단자(20b)에 맞닿아 있다.
컨택트부재(22)는 도전성을 갖고, 상부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10a)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문자판(12)에 설치된 관통구멍(12b) 및 틀상 부재(5)에 설치된 관통구멍(5b)을 통하게 되어 틀상 부재(5)의 위쪽에 그 상단부가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 돌출한 상단부(한쌍의 지지축(22a))에 자외선발광소자(20)가 맞닿아져 있다. 자외선발광소자(20)의 광출력부(20a)와 시계유리(3)의 사이에는 완충부재(24)가 구비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3)은 도전성을 갖고, 상부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10a)내에 삽입되며, 그 하단부가 회로기판(13)에 탄성접촉하고, 상단부가 컨택트부재(22)의 하단부에 탄성접촉해 있다. 이것에 의해 자외선발광소자(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컨택트부재(22) 및 코일스프링(23)을 통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와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발해진 자외선은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5)에 입력되고, 입력된 자외선이 틀상 부재(5)의 내주면에 설치된 요철부(5a)로부터 출사되어 시계모듈(1)의 각 부에 설치된 발광부(19)를 조사할 수 있으므로,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20)를 발광시켜서 각 발광부(19)를 자유롭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어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발해진 자외선은 틀상 부재(5)의 요철부(5a)를 통하여 발광부(19)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발광부(19)도 똑같이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특히 틀상 부재(5)와 접하는 시계케이스(2)의 내벽에 빛을 반사하기 쉬운 색, 예를 들면 실버나 화이트의 도장, 혹은 수지재 등에 의한 반사부(21)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틀상 부재(5)에 입력되어 도광되는 빛을 틀상 부재(5)의 내주면측에 반사시켜서 효율 좋게 요철부(5a)로부터 출사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5)에서는 틀상 부재(5)의 내주부 전체둘레에 걸쳐서 균일한 요철부(5a)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a, 도 8a, 도 9a,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7a∼도 10a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범위는 요철부(5a)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달하는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틀상 부재(5)의 내주부 전체둘레에 걸쳐서 요철부(5a)를 설치하는데, 요철부(5a)의 크기를 대소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크기가 다른 요철부(5a)를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어진 제 1 변형예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의 근방에서는 난반사의 보다 적은 작은 요철부(5a)를 설치하고,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난반사를 보다 많이 일으키는 보다 큰 요철부(5a)를 설치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의 근방의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이 원래 강한 장소와,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져서 틀상 부재(5)에 의해 도광되는 자외선이 약해지는 장소의 자외선강도의 밸런스가 도모되고, 틀상 부재(5)를 통하여 출사되는 자외선량을 전체둘레에 걸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계모듈(1)에 설치된 각 발광부(19)를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 이 요철부(5a)의 크기에 변화를 갖게 하여 틀상 부재(5)를 통해 출사되는 자외선량의 조정은 상기와 같이 전체둘레에 걸쳐서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소망하는 장소에 있어서 출사되는 자외선량의 강약을 붙이는 경우에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도 9a에 나타내어진 제 2, 제 3 각 변형예와 같이 틀상 부재(5)의 내주부의 소망하는 장소에만 요철부(5a)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요철부(5a)를 설치한 장소로부터의 난반사에 의한 자외선의 출사량은 요철부(5a)가 없는 곳에 비해 많으므로, 자외선발광소자(20)의 근방과 똑같고 또는 그 이상으로 많은 자외선이 출사되어 요철부(5a) 근방의 발광부(19)를 보다 강하게 발광시킬 수 있다.
특히 도 9a와 같이 문자판(12)의 시계문자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요철부(5a)를 설치함으로써, 시계문자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보다 강하게 또한 확실하게 발광시킬 수 있어서 시각의 시인이 양호하게 된다.
또 도 10a에 나타내어진 제 4 변형예와 같이 틀상 부재(5)의 내주부의 소망하는 장소에 요철부(5a)로서의 오목렌즈부(5c)나, 요철부(5a)로서의 볼록렌즈부(5d)를 설치해도 좋다. 즉 요철부(5a)를 렌즈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오목렌즈부(5c)가 설치된 장소로부터는 그 오목렌즈부(5c)에 의해 수렴된 자외선이 출사된다. 또 볼록렌즈부(5d)가 설치된 장소로부터는 그 볼록렌즈부(5d)에 의해 확산된 자외선이 출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목렌즈부(5c)나 볼록렌즈부(5d)로부터 자외선이 출사되므로, 그 자외선이 출사되는 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발광시킬 수 있어서 장식성이 우수하고 재미가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도 7a, 도 8a, 도 9a, 도 10a의 요철부(5a)는 틀상 부재(5)의 내주부에 설치한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7b, 도 8b, 도 9b,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부(5a)를 외주부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는 요철부(5a)의 배치가 내주부로부터 외주부로 변경했을 뿐 다른 구성 및 효과에 특별한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외선발광소자(20)의 배치위치는 틀상 부재(5)의 상부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 도 12,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제 2 실시형태
도 11에 나타내어진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하면과 문자판(12)의 상면의 사이에서, 또한 틀상 부재(5)의 외주면의 하부에 자외선발광소자(20)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이어도 도 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3) 제 3 실시형태
도 12에 나타내어진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상면과 틀상 부재(5)의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출부(5e)의 하면의 사이에서, 또한 틀상 부재(5)의 외주면에 자외선발광소자(20)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도 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4) 제 4 실시형태
도 13에 나타내어진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틀상 부재(5)의 하면에 부착구멍(5f)을 설치하고 이 부착구멍(5f)에 자외선발광소자(20)를, 조사면이 틀상 부재(5)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하고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도 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5) 제 5 실시형태
도 14에 나타내어진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틀상 부재(5)의 외주측면에 부착구멍(5g)을 설치하고 이 부착구멍(5g)에 자외선발광소자(20)를, 조사면이 틀상 부재(5)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하고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도 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6)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5,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손목시계(200)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5)의 소정 장소, 예를 들면 12시, 3시, 6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발광소자가 배치되어 있고, 그 발광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틀상 부재(5)의 내주면에는 요철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2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자외선발광소자(20)가 배치되고, 3시, 6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가시광선발광소자(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손목시계(200)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12시에 대응하는 장소의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자외선이 출력됨으로써 그 자외선은 틀상 부재(5)에 의해 도광되고 요철부(5a)로부터 출사되므로,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장소의 발광부(19)이어도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서 그 발광부(19)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 3시, 6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배치된 가시광선발광소자(25)는 예를 들면 각각 적색광을 출력하는 레드컬러램프(25R), 청색광을 출력하는 블루컬러램프(25B), 녹색광을 출력하는 그린컬러램프(25G)이다.
3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배치된 레드컬러램프(25R)로부터 적색광이 출력되면 그 적색광은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5)에 입력되고 그 틀상 부재(5)가 적색으로 채색되는 동시에 입력되어 도광된 적색광은 요철부(5a)로부터 출사되고 문자판(12) 등이 똑같이 적색으로 채색된다. 똑같이 블루컬러램프(25B)나 그린컬러램프(25G)의 발광에 의해 각각 청색이나 녹색으로 채색된다. 특히 문자판(12)이나 지침(18)에 예를 들면 실버도장이나 미러재 등에 의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발광부(26)를 설치하면 이 반사발광부(26)가 반사한 반사광에 의하여 장식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손목시계(200)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발광소자(자외선발광소자(20), 가시광선발광소자(25))의 각 발광타이밍을 제어하는 점등전환회로(발광제어수단)(27)을 구비하고 있다.
점등전환회로(27)는 배터리(BAT)에 접속되고, 기준클록(CLK)의 신호패턴을 분주회로(발광제어수단)(28)에서 분주하고 분주한 신호패턴에 의거해서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에서 전류의 ON/OFF의 전환을 실시하여 각 발광소자(도면 17 중 다이오드(a, b, c, d)의 발광타이밍을 제어한다.
분주회로(28)는 예를 들면 도 18a에 나타내어지는 플립플롭회로와 도 18b 내지 도 18e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AND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8a에 나타내는 플립플롭회로에 있어서의 신호패턴(A, B, C, D, E)을 도 18b 내지 도 18e의 AND회로에서 분주하고, 그들의 신호패턴에 의거하여 각 발광소자를 다른 발광의 타이밍으로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도 19a에 나타내어지는 타임차트는 도 18a의 플립플롭회로에 입출력되는 신호패턴(A, B, C, D, E)을 나타낸 것이다.
또 도 19b에 나타내어지는 각 발광소자의 발광의 타이밍신호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B+C)에 의거하는 발광의 타이밍신호로 하고, 똑같이 레드컬러램프(25R)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C+D)의 타이밍신호, 블루컬러램프(25B)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B+E)의 타이밍신호, 그린컬러램프(25G)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D+E)의 타이밍신호이다.
이 경우, 우선 T1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20)의 타이밍신호가 L(Low)레벨로부터 H(High)레벨로 전환되는 것에 의거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가 발광한다. 타이밍신호가 H레벨을 유지하는 소정의 시간 발광한 후, T2에 있어서 타이밍신호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되는 것에 의거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는 소등한다. 동시에 T2에 있어서 레드컬러램프(25R)의 타이밍신호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되어 레드컬러램프(25R)가 발광하고 소정의 시간 발광한 후 T3에서 소등한다. 계속해서 똑같이 블루컬러램프(25B), 그린컬러램프(25G)가 차례로 발광, 소등을 반복하고, T5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20)의 발광타이밍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4개의 발광소자가 끊임없이 차례로 점멸발광한다.
또 도 19c에 나타내어지는 각 발광소자의 발광의 타이밍신호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A+B+C)에 의거하는 발광의 타이밍신호로 하고, 똑같이 레드컬러램프(25R)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A+C+D)의 타이밍신호, 블루컬러램프(25B)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A+B+E)의 타이밍신호, 그린컬러램프(25G)의 발광타이밍은 신호패턴(A+D+E)의 타이밍신호로 한다.
이 경우 우선 t1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20)의 타이밍신호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되는 것에 의거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가 발광한다. 타이밍신호가 H레벨을 유지하는 소정의 시간 발광한 후, t2에 있어서 타이밍신호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되는 것에 의거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는 소등하는 동시에, 모든 타이밍신호가 L레벨을 유지하는 소정의 시간 모든 발광소자가 소등한다. 모든 발광소자가 소등하는 소정의 시간 후, t3에 있어서 레드컬러램프(25R)의 타이밍신호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되어 레드컬러램프(25R)가 발광하고 소정의 타이밍 발광한 후 t4에서 소등하는 동시에, 모든 타이밍신호가 L레벨을 유지하는 소정의 시간 모든 발광소자가 소등한다. 계속해서 똑같이 블루컬러램프(25B), 그린컬러램프(25G)가 차례로 발광, 소등을 반복하고, t9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20)의 발광타이밍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4개의 발광소자가 동시에 소등하는 타이밍을 가지면서 차례로 점멸발광한다.
또한 도 19b, 도 19c에 나타내어지는 각 발광소자의 발광의 타이밍신호에 의거하는 발광소자의 발광의 패턴은 틀상 부재(5)에 배치된 각 발광소자를 시계방향순으로 발광시키는 타이밍으로 되는 패턴을 나타냈지만 발광패턴은 이와 같은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반시계방향순, 랜덤발광이어도 좋으며, 각 발광소자의 발광타이밍은 임의이다.
또 각 가시광선발광소자(25)의 각 발광색의 혼합에 의해 가시광선발광소자(25)의 발광색 이외의 발광색을 발광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시광선발광소자(25)의 발광색이 적색, 청색, 녹색의 3색인 경우, 적색광과 청색광의 혼합에 의해 자색광, 청색광과 녹색광의 혼합에 의해 하늘색광, 녹색광과 적색광의 혼합에 의해 황색광, 적색광과 청색광과 녹색광의 혼합에 의해 백색광과 같이 합계 7색의 발광색을 발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가시광선발광소자(25) 중의 어느 쪽인가가 동시에 발광하는 타이밍으로 함으로써, 동시에 발광한 가시광선발광소자(25)의 발광색의 조합에 의거하여 가시광선발광소자(25)의 발광색 이외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어서 장식성, 흥취성이 우수한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이들 가시광선발광소자(25)에 의한 발광색과,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에 의한 발광부(19)의 발광이 조합되는 것으로, 보다 다채로운 장식성이 우수한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20)와 가시광선발광소자(25)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광소자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발광소자이어도 좋고, 적외선발광소자에 따른 발광부로서의 형광체 등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적외선발광소자와, 적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형광체)를 구비하도록 하면 더욱 다채로운 장식성이 우수한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발광형태에 의해, 점멸발광에 의한 점멸표현이나 각 발광소자의 발광광색을 혼합하는 것에 의한 변색표현 등의 다양한 발광표현을 실시할 수 있다.
(7)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0에서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손목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XXI-XXI선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망하는 복수의 장소, 예를 들면 1시에서 12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에 대해 동량의 빛을 조사하고, 그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부(19)를 보다 동일 레벨로 발광시키는 기술에 대하여 특히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손목시계(300)에는 발광표시장치인 시계모듈(1)을 내부에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로서의 시계케이스(2)가 구비되고, 시계케이스(2)의 상부 중앙에는 시계유리(3)가 패킹(4)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시계모듈(1)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지침기구(15)의 상면에 문자판(12)이 배치되고, 그 문자판(12)의 상면에 틀상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그 틀상 부재(5)는 그 상부가 시계케이스(2)에 맞닿아져서 시계케이스(2)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시계케이스(2)의 하면에는 뒤쪽덮개(6)가 부착되어 있다. 또 시계케이스(2)의 밴드부착부(2B)에는 시계밴드(B)가 부착되어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15)는 문자판(12)에 설치된 축구멍(12a)으로부터 그 위쪽으로 연장되는 지침축(17)과, 이 지침축(17)에 부착된 시침, 분침, 초침 등의 지침(18)을 구비하고, 이 지침(18)이 문자판(12)의 위쪽을 운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문자판(12)과 지침(18)에는 각각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19)가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 아날로그지침기구(15)의 하면에 회로기판(13)이 배치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23) 및 컨택트부재(22)를 통하여 회로기판(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자외선발광소자(20)가 문자판(12)의 6시와 12시의 위치에 대응한 틀상 부재(5)의 소정의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0에 나타내어져 있는 손목시계(300)에 구비된 틀상 부재(5)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5)가 도광한 자외선의 발광부(19)에의 조사에 대하여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틀상 부재(5)에는 문자판(12)의 각 시계문자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틀상 부재(5)에 배치된 자외선발광소자(20)의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의 요철부(5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위치만큼 요철부(5a)가 많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요철부(5a)는 형성되지 않고, 약간 떨어진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1개씩 요철부(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장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3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3개씩 요철부(5a)가 형성되고, 중위의 거리인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2개씩 요철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철부(5a)가 설치된 장소로부터의 난반사에 의한 자외선의 출사광량은 요철부(5a)가 없는 곳에 비해 많고, 또 요철부(5a)의 수가 증가할수록 난반사에 의한 자외선의 출사광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이 원래 강한 자외선발광소자(20)에 가까운 장소와,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지고 틀상 부재(5)에 의해 도광되는 자외선이 약해지는 장소의 자외선의 출사광량이 요철부(5a)의 수에 의해 균형이 잡히고, 틀상 부재(5)를 통하여 출사되는 자외선량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판(12)의 1시에서 12시의 각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대략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복수의 요철부(5a)가 집합체를 형성하여 소정의 시계문자장소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와 같이 12시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만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경우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요철부(5a)는 형성하지 않고, 약간 떨어진 1시, 11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1개씩 요철부(5a)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요철부(5a)의 수를 증가해가서 2시, 10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2개, 3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3개, 4시, 8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4개, 5시, 7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5개, 가장 떨어진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6개의 요철부(5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의 수나 위치에 따라서 틀상 부재(5)의 요철부(5a)의 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문자판(12)의 1시에서 12시의 각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대략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소자(20)의 배치위치나 수는 한정되지 않아서 임의로 설치하여 좋다.
또 도 24, 도 25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제 3 각 변형예와 같이 틀상 부재(5)의 외주부측에 요철부(5a)를 형성해도 좋다. 외주부측에 출사된 자외선에 의해서도 그 자외선의 난반사나 틀상 부재(5)와 접하는 시계케이스(2)의 내벽에 설치된 반사부(21)에 의한 반사에 의해 틀상 부재(5)의 내주측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문자판(12)의 시계문자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요철부(5a)를 설치할 때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크기를 갖는 요철부(5a)를 틀상 부재(5)에 형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위치만큼 큰 요철부(5a)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요철부(5a)는 형성하지 않고, 약간 떨어진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작은 요철부(5a)를 형성한다. 중위의 거리인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중위의 크기의 요철부((5a)를 형성하고, 그리고 가장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3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큰 요철부(5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요철부(5a)를 설치한 장소로부터의 난반사에 의한 자외선의 출사량은 요철부(5a)가 없는 곳에 비해 많고, 또 요철부(5a)가 클수록 많다. 따라서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이 원래 강한 자외선발광소자(20)에 가까운 장소와,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지고 틀상 부재(5)에 의해 도광되는 자외선이 약해지는 장소의 자외선의 출사량의 균형이 잡히고, 틀상 부재(5)를 통하여 출사되는 자외선량을 대략 균일하게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판(12)의 1시에서 12시의 각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대략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부(5a)는 도 24에 나타내어지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절개되어 모진 형상이나, 도 25에 나타내어지는 제 3 변형예와 같이 둥그스름한 형상(오목렌즈상) 등 빛을 수렴 혹은 발산시켜서 조사 가능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도 26, 도 27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4, 제 5 각 변형예와 같이, 문자판(12)의 시계문자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요철부(5a)를 설치할 때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수나 크기를 각각 변화시킨 요철부(5a)를 틀상 부재(5)의 내주부측, 외주부측의 어느 쪽에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어지는 제 4 변형예는 틀상 부재(5)의 외주부측에만 요철부(5a)를 설치한 한 예, 또 도 27에 나타내어지는 제 5 변형예는 틀상 부재(5)의 내주부측, 외주부측의 각각에 요철부(5a)를 설치한 한 예이다. 또한 제 4 변형예, 제 5 변형예에 있어서, 요철부(5a)의 형상, 크기는 다르지만, 각각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요철부(5a)는 형성하지 않고, 약간 떨어진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1개씩, 중위의 거리인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각각 3개씩 요철부(5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3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제 4 변형예에서는 5개씩, 제 5 변형예에서는 4개씩 요철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틀상 부재(5)에 설치하는 요철부(5a)의 수나 크기를 함께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틀상 부재(5)를 통하여 출사되는 자외선량을 보다 균일화할수 있다. 따라서 문자판(12)의 1시에서 12시의 각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부(5a)의 형상은 임의이다.
(8) 제 8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8에서 도 31 및 도 32a에서 도 3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를 손목시계에 적용하는 경우, 제 7 실시형태와 대략 똑같으므로, 도 20, 도 21을 참고로 제 7 실시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8 실시형태를 적용한 손목시계에 있어서는 틀상 부재(5)에 자외선을 도광하는 도광부재(55)를 구비하고 있다.
도광부재(55)는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을 분광하여 도광하는 복수의 도광부(55a, 55b, 55c)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광부(55a, 55b, 55c)에 도광된 빛은 문자판(12)의 시계문자장소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 도광부(55a, 55b, 55c)의 선단의 광방출부(555)로부터 방출되어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가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부재(55)는 자외선발광소자(20) 근방의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로부터 각 시계문자장소로 연장돌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1시, 5시, 7시, 11시의 시계문자장소를 향한 광방출부(555a)를 갖는 도광부(55a)와, 2시, 4시, 8시, 10시의 시계문자장소를 향한 광방출부(555b)를 갖는 도광부(55b)에, 3시, 9시의 시계문자장소를 향한 광방출부(555c)를 갖는 도광부(55c)에 의해 각각의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 12시와 6시의 시계문자장소를 향해서는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직접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도광부재(55)에 입력된 자외선을 손실하는 일 없이 광방출부(555)로부터 방출하도록 각 도광부(55a, 55b, 55c)의 측면주위는 경면마무리 등을 실시하여 자외선의 도광을 확실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광부(55c)는 12시측과 6시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돌출되어 3시, 9시의 시계문자장소에 있어서, 각각의 광방출부(555c)가 2개 합쳐서 나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방출부(555c)의 사이즈는 광방출부(555a, 555b)의 2분의 1로 조정되어 있으며, 광방출부(555c)의 2개분의 사이즈가 광방출부(555a, 555b)와 같은 사이즈로 된다. 즉 각 시계문자장소에 대응하는 광방출부(555)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에 대해 동량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발해진 자외선은 도광부재(55)에 의해 도광되는 동시에 도광부(55)의 선단의 광방출부(555)로부터 방출되고, 문자판(12)의 1시에서 12시의 각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에 대해 동량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각 발광부(19)를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 도 29에 나타내어진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는 도광부(55a, 55b, 55c)의 광방출부(555)간의 공간에 보강부재(30)를 설치하여 도광부(55a, 55b, 55c)를 보강한 것이다. 도 30은 도 29의 XXX-XXX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30)에 의해 도광부재(55)의 도광부(55a, 55b, 55c)끼리가 일체로 되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광부재(55)를 보강할 수 있다. 또 보강부재(30)의 내주면에 있어서, 보강부재(30)와 도광부(55a, 55b, 55c)의 광방출부(555)의 방출면을 면일치로 함으로써, 문자판(12)의 외관부분을 세련된 디자인으로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도 31에 나타내어진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는 도광부재(55)의 도광부(55a, 55b, 55c)의 일부의 굵기를 각각 다른 것으로 하고 보강부재(30)를 설치하지 않아 도광부(55a, 55b, 55c)의 내주면을 면일치에 가까워지는 디자인으로 한 것이다.
또한 도광부(55)의 광방출부(555)의 형상은 도 28, 도 29, 도 31, 도 32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평면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2b에 나타내어는 바와 같이 광방출부(555)를 오목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도 32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볼록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자외선을 확산시켜서 조사시키거나, 혹은 자외선을 수렴시켜서 조사할 수 있다.
(9) 제 9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3 및 도 34a 내지 도 3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망하는 복수의 장소, 예를 들면 1시에서 12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에 대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다른 경우이어도 그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부(19)를 보다 동일 레벨로 발광시키는 기술에 대하여 특히 설명한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3에 나타내어진 틀상 부재(5)와 같이 상기한 요철부(5a)나, 도광부재(55)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틀상 부재(5)로부터 문자판(12)(발광부(19))을 향해 자외선발광소자(20)와의 거리에 따른 양의 자외선이 출사, 조사된다. 즉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위치만큼 틀상 부재(5)에 의해 도광되는 자외선이 약해지므로, 출사, 조사되는 자외선량은 감소한다. 따라서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출사, 조사되는 자외선량이 가장 많고,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장소,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장소와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거리가 떨어질수록 자외선량은 감소하고, 3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출사, 조사되는 자외선량이 가장 적어진다.
이와 같이 각 시계문자장소에 있어서 틀상 부재(5)로부터 출사되고 발광부(19)에 조사되는 자외선량이 다른 경우이어도 각 발광부(19)에 포함되는 형광체의 양 등을 변화시켜서 조정함으로써, 각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를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즉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형광체인 발광입자(광반응입자)는 그 양에 비례하여 발광량도 증가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이 성질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만큼 두껍게 발광부(19)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34a 내지 도 34d에 나타내어진 발광부(19)와 같이 발광부(19)를 도포나 인쇄의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그 도포나 인쇄의 회수를 달리 함으로써, 각 발광부(19)의 두께, 양을 변화시켜서 조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의 발광부(19)는 도 3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회의 도포나 인쇄에 의해 1층의 두께(t)를 갖는 발광부(19A)를 형성한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약간 떨어진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이 발광부(19A)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의 2분의 1이라고 하면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장소의 발광부(19)는 도 3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2회의 도포나 인쇄에 의해 2배인 2층의 두께(2t)를 갖는 발광부(19B)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발광부(19B)의 발광레벨이 발광부(19A)의 발광레벨과 동일 레벨로 할 수 있다.
똑같이 자외선발광장치(20)로부터 중위의 거리인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이 발광부(19A)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의 3분의 1이라고 하면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장소의 발광부(19)는 도 34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3회의 도포나 인쇄에 의해 3배인 3층의 두께(3t)를 갖는 발광부(19C)를 형성한다. 그리고 가장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3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이 발광부(19A)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의 4분의 1이라고 하면 3시, 9시에 대응하는 장소의 발광부(19)는 도 34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4회의 도포나 인쇄에 의해 4배인 4층의 두께(4t)를 갖는 발광부(19D)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각 발광부(19C, 19D)의 발광레벨이 발광부(19A)의 발광레벨과 동일 레벨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19)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에 따라서 발광부(19)의 두께, 양을 변화시켜서 조정함으로써, 각 발광부(19)(발광부(19A, 19B, 19C, 19D)의 발광의 레벨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각 발광부(19)의 양의 조정을 실시하여 발광부(19)로서의 형광체의 양이 변화한 것에 동반하여 발광부(19)에 있어서의 발광입자량이 변화했으므로, 발광레벨이 변화한 것에 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발광부(19)의 발광레벨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발광부(19)의 두께, 양을 변화시켜서 조정을 실시했다. 이 각 발광부(19)의 두께, 양을 변화시켜서 조정을 실시하는 것은 발광부(19)로서의 형광체 중의 발광입자량을 변화시켜서 조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발광레벨의 조정을 위해서는 발광입자량을 조정하면 되고, 발광입자의 농도, 함유량이 다른 형광체를 이용하여 발광부(19)를 실시함으로써, 발광부(19)의 두께, 양 함께 동일한 발광부(19)를 형성하여 발광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10) 제 10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5a 내지 도 35h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0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9 실시형태와 똑같이 소망하는 복수의 장소, 예를 들면 1시에서 12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에 대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다른 경우이어도 그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부(19)를 보다 동일 레벨로 발광시키는 기술에 대하여 특히 설명한다.
또한 제 9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는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5a 내지 도 35h에 나타내어지는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명은 제 9 실시형태와 똑같이 요철부(5a)나 도광부재(55)가 없는 틀상 부재(5)를 이용한다. 그리고 발광부(19)의 표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광부(40)(40a, 40b, 40c)를 형성하여 발광부(19)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을 조정함으로써, 발광부(19)의 발광레벨을 조정하고 각 발광부(19)를 대략 균일하게 발광시킨다. 즉 각 시계문자장소에 같은 발광레벨을 갖는 발광부(19)가 설치되어 있는데, 각 시계문자장소에 있어서의 자외선량이 다른 경우 그 자외선량에 의거하여 발광레벨이 달라져 버리므로, 발광레벨을 대략 균일하게 하기 위해 보다 다량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발광부(19)의 표면에 차광면적이 큰 차광부(40)를 형성하고 자외선의 일부를 차단하여 발광부(19)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을 동량으로 한다. 그 결과 각 발광부(19)의 발광레벨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5a, 도 35c, 도 35e, 도 35g는 발광부(19) 부근의 측면도, 도 35b, 도 35d, 도 35f, 도 35h는 발광부(19)(차광부(40))의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의 발광부(19)에 조사되는 자외선량을 기준(1=4분의 4)으로 하고,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약간 떨어진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의 자외선량이 4분의 3,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중위의 거리인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의 자외선량이 4분의 2, 가장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떨어진 3시, 9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의 자외선량이 4분의 1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틀상 부재(5)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량이 가장 적은 3시, 9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에 차광부(40)를 설치하지 않고(도 35g, 도 35h 참조), 틀상 부재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량이 많은 각 발광부(19)에, 그 많은 분량의 자외선량에 상당하는 크기의 차광부(40)를 설치하면 된다. 즉 3시, 9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의 4배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있어서의 발광부(19)는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분을 4분의 1로 하기 위해, 도 35a, 도 35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발광부(19)의 표면의 4분의 3을 덮는 차광부(40a)를 설치하면 된다.
똑같이 3시, 9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의 3배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1시, 5시, 7시, 11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에 대응하는 발광부(19)에는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분을 3분의 1로 하기 위해, 도 35c, 도 35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발광부(19)의 표면의 3분의 2를 덮는 차광부(40b)를 설치하면 되고, 3시, 9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의 2배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2시, 4시, 8시, 10시에 대응하는 시계문자장소에 있어서의 발광부(19)에는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분을 2분의 1로 하기 위해, 도 35e, 도 35f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발광부(19)의 표면의 2분의 1을 덮는 차광부(40c)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두께를 갖는 발광부(19)가 복수 설치되고 각 발광부(19)에 조사되는 자외선량에 차이가 있는 경우 발광부(19)의 표면에 자외선량에 따른 차광부(40)를 형성함으로써 발광부(19)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이 균일해지도록 하여 발광레벨을 대략 균일하게할 수 있다.
(11) 제 11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6,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6,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손목시계(400)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20)는 문자판(12)의 하부, 아날로그지침기구(15)내에 있어서 회로기판(13)에 배치되어 있다. 그 자외선발광소자(20)의 광출력부(20a)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도광부재로서의 동일 직경의 광섬유다발(F)의 일단이 구비되어 있다. 광섬유다발(F)은 시계케이스(2)의 내부홈(2b)을 통하여 문자판(12)의 상면으로 연장되어 있고, 광섬유다발(F)의 타단은 각 시계문자장소에 대해서 균등하게 분할, 분배되어 시계케이스(2)의 광출력구멍(2c)으로부터 각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를 향해져 있다.
즉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은 광섬유다발(F)의 일단으로부터 입력되고 광섬유다발(F)에 의해 도광되어 광섬유다발(F)의 타단으로부터 각 시계문자장소의 발광부(19)를 향하여 대략 균등하게 조사된다. 따라서 문자판(12)의 1시에서 12시의 각 시계문자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대략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발광장치(20)를 어떠한 위치에 배치해도 도광부재로서 광섬유다발(F) 등을 이용함으로써, 소망의 장소에 자외선을 도광하여 조사할 수 있고, 소망의 장소에 설치된 발광부(19)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을 균등하게 분광하여 도광함으로써 각 발광부(19)를 동일 레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 1에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요철부(5a)는 틀상 부재(5)의 내주부에 설치한다고 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외주부에 설치하는 등 해도 되며,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장소이면 어디에 설치해도 좋다.
또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요철부(5a)는 형성되지 않고 약간 떨어진 시계문자에 대응하는 장소에 요철부(5a)를 형성하도록 했는데, 자외선발광소자(20)가 구비된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대해서도 요철부(5a)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발광소자의 수는 몇개이어도 좋고 그 배치위치도 임의이다.
또 발광소자의 발광타이밍은 임의이며, 어떠한 발광패턴이어도 좋다.
또 전자기기는 손목시계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휴대전화기, 자동차의 계기류 등 각종 기기이어도 좋다.
또 틀상 부재의 형상 등도 임의이며, 그 밖에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은 그 틀상 부재에 입사되는 동시에 이 입사된 광조사부의 움직임에 의해 확산 또는 수렴하여 발광부를 향해 조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광조사부로부터 발광부를 향하여 효율 좋게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 확산 또는 수렴한 빛으로 발광부가 유색발광하므로 장식성이 우수한 발광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및 제 11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은 복수의 도광부에 의해 분광하여 도광되고 도광된 빛은 도광부의 선단으로부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의 발광부를 향하여 효율 좋게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조사된 빛에 의해 발광부가 유색발광하므로 장식성이 우수한 발광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 중의 광반응발광입자량이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고 있는 것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량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발광소자와의 거리나, 발광부에 조사되는 광량이 바뀌어도 발광부의 발광량을 대략 일정량으로 할 수 있다.
또 조사된 빛에 의해 발광부가 유색발광하므로 장식성이 우수한 발광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의 차광면적이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고 있는 것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량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발광소자와의 거리나, 발광부에 조사되는 광량이 바뀌어도 발광부의 발광량을 대략 일정량으로 할 수 있다.
또 조사된 빛에 의해 발광부가 유색발광하므로 장식성이 우수한 발광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7 실시형태에서는, 광조사부를 발광부의 배치에 맞추어서 틀상 부재의 소정 장소 또는 틀상 부재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광조사부를 틀상 부재의 복수의 장소에 형성하고 크기가 다른 광조사부를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소망하는 장소에 보다 많이 빛을 조사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재미가 있는 발광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광조사부가 틀상 부재의 복수의 장소에 있어서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크기가 다르도록 설치함으로써, 발광소자와 광조사부의 사이의 거리가 바뀌어도 광조사부는 대략 일정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광조사부가 틀상 부재의 1 내지 복수의 장소에 있어서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요철부의 수나 크기가 다르도록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발광소자와 광조사부의 사이의 거리가 바뀌어도 광조사부는 대략 일정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광조사부를 렌즈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렌즈특유의 빛의 확산, 또는 수렴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발광부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특이한 재미가 있는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에서는, 광조사부가 틀상 부재의 내주면 및, 또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에서는, 도광부재가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을 효율 좋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발광부를 향하여 효율 좋게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 보강부재에 의해 도광부재를 보강할 수 있는 동시에, 보강부재의 내주면이 각 도광부의 선단부와 면일치로 형성되므로, 보강부재의 내주면이나 도광부재를 세련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도광부재는 광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광소자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게 되어 발광소자의 편입이 용이하게 된다. 또 광섬유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을 발광부에 손실 없이, 또한 다양한 형태로 조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특이한 재미가 있는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 배치된 발광소자는 구비된 발광제어수단에 의해 다른 발광타이밍으로 발광시킬 수 있으므로, 발광부의 점멸 등 다양한 표현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장식성이 우수한 재미가 있는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실시형태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발광부에 형성된 소정의 문자, 숫자, 도형, 기호를 발광시킴으로써, 다양한 발광표현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장식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특히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 가시광선발광소자 및 적외선발광소자 중의 적어도 하나이므로, 용도에 따라서 각각의 발광소자의 특징을 살린 사용방법을 하는 것으로 보다 특이한 재미가 있는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와, 광조사부가 설치된 틀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표시장치를 기기케이스에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에 장식성이 우수한 재미가 있는 발광표시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생략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손목시계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자외선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저면도, 도 3c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자외선발광소자가 배치된 틀상 부재의 요부확대평면도.
도 5는 도 2의 지침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문자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내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외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내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외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내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외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내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외주에 설치한 경우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손목시계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손목시계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손목시계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손목시계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생략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와 발광소자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5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점등전환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18e는 도 17에 나타내는 분주회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a 내지 도 19c는 분주회로의 타이밍의 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생략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XXI-XXI선에 있어서의 손목시계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의 요철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의 요철부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의 요철부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의 요철부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의 요철부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의 요철부의 제 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광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도 29의 XXX-XXX선에 있어서의 보강부재, 도광부재, 틀상 부재의 확대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광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a 내지 도 32c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도광상의 광방출부의 확대도이고, 도 32a는 평면상의 광방출부, 도 32b는 오목상의 광방출부, 도 32c는 볼록상의 광방출부.
도 3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상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a 내지 도 34d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부의 두께의 차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
도 35a, 도 35c, 도 35e, 도 35g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부에 형성된 차광부의 차광면적차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이고, 도 35b, 도 35d, 도 35f, 도 35h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부에 형성된 차광부의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1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다발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계모듈 2: 시계케이스
2A: 밴드축 2B: 밴드부착부
2a: 볼록부 2b: 내부홈
2c: 광출력구멍 3: 시계유리
4: 패킹 5: 틀상 부재
5a: 요철부 5b: 관통구멍
5c: 오목렌즈부 5d: 볼록렌즈부
5e: 돌출부 5f, 5g: 부착구멍
6: 뒤쪽덮개 7: 방수링
8: 완충부재 9: 베젤
10: 상부하우징 11: 하부하우징
12: 문자판 12a: 축구멍
12b: 관통구멍 12c: 창부
13: 회로기판 14: 중간틀
15: 아날로그지침기구 16: 액정표시소자
17: 지침축 18: 지침
19, 19A, 19B, 19C, 19D: 발광부 19a: 수지매몰부
19b: 인쇄ㆍ도장부 20: 자외선발광소자
20a: 광출력부 20b: 전극단자
20c: 완충재 21: 반사부
22: 컨택트부재 22a: 지지축
23: 코일스프링 24: 완충부재
25: 가시광선발광소자 25R: 레드컬러램프
25B: 블루컬러램프 25G: 그린컬러램프
26: 반사발광부 27: 점등전환수단(발광제어수단)
28: 분주회로(발광제어수단) 30: 보강부재
40, 40a, 40b, 40c: 차광부 55: 도광부재
55a, 55b, 55c: 도광부 555, 555a, 555b, 555c: 광방출부
100, 200, 300, 400: 손몬시계 B: 시계밴드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틀상 부재의 소정 장소 및 상기 틀상 부재의 전체둘레의 어느 쪽인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틀상 부재에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요철형상의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발광부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6.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와,
    상기 틀상부재의 복수의 각 장소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틀상 부재에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각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요철형상의 복수의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광조사부는 상기 발광부의 근처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7.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틀상 부재에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도록 상기 발광부의 근처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복수의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광조사부는 상기 틀상 부재의 복수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다른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8.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틀상 부재에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도록 상기 발광부의 근처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복수의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광조사부는 상기 틀상 부재의 복수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요철부의 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9.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틀상 부재에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도록 상기 발광부의 근처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틀상 부재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의 적어도 하나가 렌즈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0.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해당 틀상 부재에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도록 상기 발광부의 근처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틀상 부재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1.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분광하여 도광하는 복수의 도광부를 갖고, 각 도광부의 선단부로부터, 도광된 빛을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도광부재는 틀상의 부재이고, 해당 도광부재의 선단이 상기 발광부 근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도광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2.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분광하여 도광하는 복수의 도광부를 갖고, 각 도광부의 선단부로부터, 도광된 빛을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도광부재의 선단이 상기 발광부 근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해당 도광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각 도광부의 선단부와 면일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3.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분광하여 도광하는 복수의 도광부를 갖고, 각 도광부의 선단부로부터 도광된 빛을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도광부재는 광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4.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소정의 문자, 숫자, 도형, 기호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5.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 가시광선발광소자 및 적외선발광소자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6. 광투과성을 갖는 틀상 부재와,
    이 틀상 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이 입사되면, 이 입사된 빛을 확산 또는 수렴시켜서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는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발광소자를 다른 발광타이밍으로 발광시키는 발광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7. 청구항 제5항에 기재한 발광표시장치를 기기케이스에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청구항 제11항에 기재한 발광표시장치를 기기케이스에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2-0075782A 2001-12-04 2002-12-02 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KR100500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0284 2001-12-04
JPJP-P-2001-00370284 2001-12-04
JP2002157211A JP2003233337A (ja) 2001-12-04 2002-05-30 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2-00157211 2002-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610A KR20030045610A (ko) 2003-06-11
KR100500187B1 true KR100500187B1 (ko) 2005-07-12

Family

ID=2662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782A KR100500187B1 (ko) 2001-12-04 2002-12-02 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63429B2 (ko)
JP (1) JP2003233337A (ko)
KR (1) KR100500187B1 (ko)
CN (1) CN1231878C (ko)
TW (1) TW58065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512B2 (en) 2019-10-25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41887B2 (en) 2021-08-02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display device having a frame frequency with a plurality of non-emission peri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897A1 (en) * 2005-05-04 2006-11-09 Brewer Donald R Analog watch fiber optic image guide
EP1918793A1 (fr) * 2006-11-03 2008-05-07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ièce d'horlogerie munie d'un dispositif d'éclairage comprenant une diode électroluminescente ultraviolette
JP5131759B2 (ja) * 2008-03-28 2013-01-30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時計装置
EP2290478A1 (fr) * 2009-09-01 2011-03-02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Elément d'habillage pour une montre-bracelet
EP2336812A1 (fr) * 2009-12-17 2011-06-22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de collimation, d'uniformisation et d'extraction de lumière pour l'éclairage d'un dispositif d'affichage
KR101699911B1 (ko) 2010-04-05 2017-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816052B2 (ja) 2011-10-28 2015-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計器
CH707060B1 (fr) * 2012-10-04 2017-05-31 Swatch Group Res & Dev Ltd Afficheur horloger lumineux.
IN2015DN03820A (ko) * 2012-12-11 2015-10-02 Sicpa Holding Sa
US20150002926A1 (en) * 2013-06-27 2015-01-01 Motorola Mobility Llc Reflective Mold Apparatus and Methods for UV Curing
US20150049505A1 (en) * 2013-08-14 2015-02-19 Garmin Switzerland Gmbh Transparent light guide
TWI507746B (zh) * 2014-02-07 2015-11-11 E Ink Holdings Inc 導光模組
US9377761B2 (en) * 2014-03-06 2016-06-28 Timex Group Usa, Inc. Illumination arrangement for a timepiece
WO2016142765A1 (en) 2015-03-06 2016-09-15 Preciflex S.A. Miniature user-powered ligh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4678736A (zh) * 2015-03-18 2015-06-03 航天科技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表盘照明导光环
KR20170039388A (ko) * 2015-10-01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디바이스
US10060590B2 (en) * 2015-10-05 2018-08-28 Fu An Industrial Co., Ltd. Light ring structure for vehicle lamp
USD812508S1 (en) * 2017-03-17 2018-03-13 Citizen Watch Co., Ltd. Dial trim ring for watches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171A (ja) * 1994-12-05 1996-06-21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JPH09264969A (ja) * 1996-03-28 1997-10-07 Casio Comput Co Ltd 時 計
JPH11304967A (ja) * 1998-04-27 1999-11-05 Citizen Watch Co Ltd 時計の構造
JP2000028766A (ja) * 1998-07-08 2000-01-28 Citizen Watch Co Ltd 時計の照明機構
JP2000258569A (ja) * 1999-03-09 2000-09-22 Citizen Watch Co Ltd 時計用表示装置
JP2000356687A (ja) * 1999-06-14 2000-12-26 Shinichi Ueda 発光表示薄型時計
JP2001099950A (ja) * 1999-09-30 2001-04-13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1099952A (ja) * 1999-09-30 2001-04-13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1141846A (ja) * 1999-10-19 2001-05-25 Eta Sa Fab Ebauches 文字盤のための電子発光照明装置
JP2002022849A (ja) * 2000-07-03 2002-01-23 Seiko Clock Inc 発光時計
JP2003098988A (ja) * 2001-09-25 2003-04-04 Casio Comput Co Ltd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186429A (ja) * 2001-12-14 2003-07-04 Casio Comput Co Ltd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8246A (en) * 1937-08-31 1938-08-30 George K C Hardesty Indicating device
US2454280A (en) * 1945-07-13 1948-11-23 George K C Hardesty Illuminated indicator using light polarizing elements
US3262224A (en) * 1960-12-07 1966-07-26 George K C Hardesty Composite illumination device
US3491245A (en) * 1967-04-10 1970-01-20 George K C Hardesty Guided light display panel
CH549237A (ko) * 1970-12-28 1974-05-15
US3726250A (en) * 1971-03-18 1973-04-10 Marconi Co Canada Indicator
US4115994A (en) * 1976-07-13 1978-09-26 Tomlinson James N Dial illumination means
US4217625A (en) * 1978-10-27 1980-08-12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Lighted instrument dial face display
US4250575A (en) * 1979-07-11 1981-02-10 Timex Corporation Illuminator for analog timepiece dial
US4460940A (en) * 1981-11-07 1984-07-17 Kei Mori Apparatus for uniform illumination employing light diffuser
DE3313463A1 (de) * 1983-04-14 1984-10-18 Pforzheimer Uhren-Rohwerke Porta Gmbh & Co, 7530 Pforzheim Instrumentenbeleuchtung
US4975809A (en) * 1984-03-28 1990-12-04 Tradebest International Corporation Autonomous visual-attraction enhancement utilizing edge-illuminated panel
US4705407A (en) * 1986-11-14 1987-11-10 Andre Brien Portable time piece with light diffuser
US4775964A (en) * 1988-01-11 1988-10-04 Time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dial for an analog watch and process for making it
US4908739A (en) * 1988-09-29 1990-03-13 Andre Brien Light diffusing ring for wristwatch
DE3904656A1 (de) * 1989-02-16 1990-08-23 Vdo Schindling Zeigerinstrument
KR960016341B1 (ko) 1993-12-16 1996-12-09 김광원 광표출장치
US5604716A (en) * 1994-12-22 1997-02-18 Cheung; James Black light illuminated analog watch
AU695608B2 (en) * 1995-06-07 1998-08-20 Toyoda Gosei Co. Ltd. Light-driven display device
JP3563175B2 (ja) 1995-10-17 2004-09-0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El照明付き複合表示時計
CH691333A5 (fr) * 1997-02-19 2001-06-29 Asulab Sa Dispositif d'illumination uniforme du cadran d'un appareil d'affichage.
US6195196B1 (en) * 1998-03-13 2001-02-27 Fuji Photo Film Co., Ltd. Array-type exposing device and flat type display incorporating light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299338B1 (en) * 1998-11-30 2001-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Decorative ligh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nd luminescent material
US6106127A (en) * 1999-03-19 2000-08-22 Luminary Logic Ltd. Illuminating device for watches, gauges and similar devices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171A (ja) * 1994-12-05 1996-06-21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JPH09264969A (ja) * 1996-03-28 1997-10-07 Casio Comput Co Ltd 時 計
JPH11304967A (ja) * 1998-04-27 1999-11-05 Citizen Watch Co Ltd 時計の構造
JP2000028766A (ja) * 1998-07-08 2000-01-28 Citizen Watch Co Ltd 時計の照明機構
JP2000258569A (ja) * 1999-03-09 2000-09-22 Citizen Watch Co Ltd 時計用表示装置
JP2000356687A (ja) * 1999-06-14 2000-12-26 Shinichi Ueda 発光表示薄型時計
JP2001099950A (ja) * 1999-09-30 2001-04-13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1099952A (ja) * 1999-09-30 2001-04-13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1141846A (ja) * 1999-10-19 2001-05-25 Eta Sa Fab Ebauches 文字盤のための電子発光照明装置
JP2002022849A (ja) * 2000-07-03 2002-01-23 Seiko Clock Inc 発光時計
JP2003098988A (ja) * 2001-09-25 2003-04-04 Casio Comput Co Ltd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186429A (ja) * 2001-12-14 2003-07-04 Casio Comput Co Ltd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512B2 (en) 2019-10-25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682344B2 (en) 2019-10-25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41887B2 (en) 2021-08-02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display device having a frame frequency with a plurality of non-emission peri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0917A (en) 2003-06-16
CN1424705A (zh) 2003-06-18
US20030103418A1 (en) 2003-06-05
US7063429B2 (en) 2006-06-20
KR20030045610A (ko) 2003-06-11
TW580658B (en) 2004-03-21
JP2003233337A (ja) 2003-08-22
CN1231878C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187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US8488418B2 (en) Timepiece with special aesthetic effects
TWI246621B (en) Electronic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 to luminescent layer
US722759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634514B1 (ko) 조명장치 및 전자기기
TWI388778B (zh) 可攜式物件之資料顯示元件的背照裝置
CN101663625A (zh) 带有包括紫外发光二极管的照明装置的钟表件
KR100483188B1 (ko)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CN100357769C (zh) 照明器件和电子设备
KR20050046820A (ko) 자외선 방출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전자장치
JP4997689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80238B1 (ko)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JP3979070B2 (ja) 紫外線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198681A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248445A (ja) 光透過型金属部材、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220770898U (zh) 汽车logo灯与汽车
JP2004279098A (ja) 時計
JP2003162242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041595B2 (ja) El発光装置
JP2006226867A (ja) 時計
JP2004069553A (ja) 電子機器
JP2001208865A (ja) 時 計
JP2002357673A (ja) 表示部材、これを用いた時計用文字板および電子機器
JP2005140649A (ja) 時計用文字板および電子機器
JPH10268811A (ja) 表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