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801B1 - 차량의파워트레인(powertrain)내의구성부품을작동하기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파워트레인(powertrain)내의구성부품을작동하기위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7801B1 KR100497801B1 KR1019970001818A KR19970001818A KR100497801B1 KR 100497801 B1 KR100497801 B1 KR 100497801B1 KR 1019970001818 A KR1019970001818 A KR 1019970001818A KR 19970001818 A KR19970001818 A KR 19970001818A KR 100497801 B1 KR100497801 B1 KR 1004978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transmission
- actuator
- actuating device
- torqu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9/00—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 F16D29/005—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with a fluid pressure piston driven by an electric 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4—Control of electr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clu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6—Control of fluid pressure, e.g. using an accumul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8—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using signals from a manually actuated gearshift link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2—Actuator
- F16D2500/1021—Electrical type
- F16D2500/1023—Electric motor
- F16D2500/1025—Electric motor with threaded transmis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6—Stro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1—On-off signal indicating the engage or disengaged position of the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8—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 F16D2500/30806—Engaged transmission ratio
- F16D2500/30808—Detection of transmission in neutr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14—Vehicle wheels
- F16D2500/3115—Vehicle wheel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levers
- F16D2500/31466—Gear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작동장치의 하나이상의 출력요소를 대신하여 하나이상의 토크전달이나 변속시스템의 가동부문에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일단이나 다단 변속기를 구동하기 위해 마련된 전기모터를 갖는 작동장치를 장착한 차량에서 마찰클러치나 다른 토크 전달시스템내지는 변속시스템을 위해 제어유니트 모터는 하나이상의 센서나 운동장치에서 전자회로나 메모리에서 신호를 받는다.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이나 다른 에너지저장요소는 작동장치가 토크전달시스템이나 변속시스템의 비에 의해 전달되는(또는 되어지는) 토크의 크기의 변화시키는데 사용하지 않을 때 토크 전달 시스템은 선 지정된(예 분리된) 상황이라 추정하거나 변속 시스템이 선지정 기어비임을 보증인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개략적인 특성의 새롭고 개선된 제어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롭고 개선된 방법으로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한 개 이상의 요소를 작동하는데 자동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는 제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마찰클러치나 다른 토크 전달시스템이나 매뉴얼이나 자동적인 또는 자동화된 변속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제공한다.
이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토크전달 시스템이나 변속시스템을 구동하고 작동키 위한 새롭고 개선된 장치를 겸비한 제어유니트를 제공한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어유니트의 주운동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여 주운동장치가 차량의 파워트레인에서 마찰클러치의 상황과 변속 시스템의 기어비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발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최적의 토크를 전달하거나 전달시스템을 적절한 기어비로 변경을 확실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모든 변수의 변화에 의존해 차량의 파워트레인에서 토크전달 시스템과 전달 시스템을 작동하는 새롭고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개략적 특성의 간단하고 소형이고 값싼 제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 목적은 제어유니트의 장치를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요소와 마찰클러치 또는 다른 토크전달 시스템 또는 전송시스템의 가동부분이나 부분들 사이에 새롭고 개선된 작동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어유니트와 작동장치의 소형단순함과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점유자나 점유자의 편안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법으로 클러치나 전달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는 제어유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략적인 제어유니트에서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있어 사용상의 새로운 전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개략적인 제어유니트 특히, 제어유니트를 작동시키는 장치에서 가변요소부문의 새롭고 개선된 분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가목적은 존재하는 차량에 파워트레인을 결합할 수 있는 제어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차량에서 파워트레인구성을 작동하기 위한 장치에서 개선에 관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승용차의 파워트레인 밴, 트럭이나 다른 차량의 토크전달 시스템이나 전달 시스템을 자동적으로 조정 제어 조절 작동하기 위한 장치에서 개선에 관계한다.
차량의 파워트레인은 일반적으로 구동장치(예 연소엔진이나 모터) 매뉴얼 또는 구동장치에서 토크를 받고 운송장치의 앞 또는 뒷바퀴 하나이상의 클러치나 다른 형식의 토크 전달 시스템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자동화된 자동적인 변속기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마찰클러치는 내연관의 회전출력요소(예, 크랭크 샤프트나 캠 샤프트)와 전달 입력요소사이의 파워트레인에 설치될 수 있고 그런 클러치는 바람직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운송장치의 변수(예, 엔진의 출력부재의 RPM, 변속기의 입력 RPM, 클러치나 다른것의 탈착범위조건)를 검색하기 위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 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제어유니트와 같이 차량이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제어유닛은 신호같은 것을 평가하고 처리하며 정보를 기억하고 조정이 필요하다라고 추정될 때 클러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한다.
본 발명은 요소들이 구동장치(예, 내연기관) 변속시스템(예, 역 또는 중립 또는 다수의 전방 기어비중 하나로 변이될 수 있는 자동화된 자동내지 매뉴얼 변속기)과 토크 전달시스템(예, 엔진과 변속기 사이 마찰클러치, 시동클러치, 자력클러치나 유체 동력학적 토크 컨버터의 바이패스 클러치나 다른 클러치)을 포함하는 다 구성 차량에서 파워트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작동키 위한 장치에 구현한다.
개선된 장치는 제어유니트와 연결된 센서에 보내는 다수의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작동키위한 장치(작동장치로 불리는)를 포함하고 작동장치는 주운동장치(예 전기모터)와 변속기와 적어도 하나의 요소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와 관계를 받을 때 토크의 변속기를 포함하고 에너지 저장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에 힘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운송장치와 에너지 저장요소에 의해 제공된 힘의 적용에 반응하여 후자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에너지저장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작동위한 주운동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줄이는 것을 가능케 한다(적어도 때때로)
하나 이상의 센서로 부터 신호에 부가하여 제어유니트는 예로 한 개 이상의 전자유니트로 부터 엔진의 전자공학 토크 변속시스템의 전자공학 변속시스템의 전자공학으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더욱이 제어유니트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로 받을 수 있다.
상기예에 따라서 제어유니트 작동하는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토크전달 시스템이고 그런 토크 전달 시스템은 구동장치에서 변속 시스템의 입력부재까지 선택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마찰클러치를 포함한다.
마찰클러치 대신으로 토크전달 시스템은 디스크 클러치나 토크컨버터의 부분을 형성하는 앞에 언급한 자력 또는 바이패스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 자동화된 또는 자동적인) 변속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가동부분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변속 시스템은 토크를 차량의 바퀴에 자동으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예로 변속시스템은 소위 변속기어나 무한 가변속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장치의 주운동장치의 출력부재에 연결된 변속기는 일단 변속 또는 다단변속을 구성할 수 있다. 예로 일단변속 또는 다단변 속의 적어도 일단은 이송나사변속(회전이송나사는 비회전 너트를 움직일 수 있거나 회전너트는 비회전 이송나사를 움직일 수 있다). 1조의 스퍼기어, 1조의 베벨기어 일단 또는 다단의 유성기어. 브레이크 케이블 웜 기어변속 하이포이드 기어변속, 크랭크 구동랙과 피니언구동 또는 캠구동을 포함하거나 구성한다. 예로 작동장치의 변속이 다단변속기라면 그런 변속기의 제 1 단은 점점 감소비이고 제 2 단은 제 1 단비와 다르거나 동일한 점점 감소비이다. 제 2 단의 점점 감소비는 제 1 단의 그것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1조의 스퍼기어와 베벨기어 그리고 너트와 맞물린 이송나사를 포함하는 제 2 단을 갖는 다단 변속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작동장치의 에너지저장요소는 변속기의 부분에 작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에 영향을(직.간접적으로) 미칠수 있다. 예로 변속기는 캠구동을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저장요소는 그런 캠구동에 대해 작용할 수 있고 작동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에 영향을(직.간접적으로)미칠수 있다. 선택적으로 변속기는 크랭크 구동을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저장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나 앞서 제기한 크랭크 구동의 부분에 대해 영향을 줄 캠구동의 부분이나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에너지저장요소는 하나이상의 스프링 즉 하나이상의 압축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또는 스파이럴스프링 또는 소위 감기나 겹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저장요소는 예로 탄성고무나 합성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부재 같은 적당한 탄성재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에너지저장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개선된 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주운동장치(특히 되도록 전환할 수 있는 전기모터)의 회전 출력축과 동축으로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축은 주운동장치의 회전출력부재축에 평행할 수 있다. 에너지저장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주운동장치의 틀이나 케이스주위에 설치될 수 있거나 용기 가까이에 설치하여 그축(예, 코일스프링의 축)이 주운동장치(출력부재의 축의 방사방향으로 보여진것처럼)의 회전출력축(샤프트)와 실제 평행하고 이격될 수 있다.
에너지저장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주운동장치의 틀이나 케이스의 전부나 일부를 에워싸든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주운동장치의 출력부재와 동축일 수(필요하지 않으나)있다.
일단 변속기(또는 다단변속기의 1단)가 이송나사를 포함한다면 에너지저장요소는 그런 이송나사와 동축인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프링의 축은 이송나사축과 평행일 수 있다. 이송나사는 변속기 출력부재축에 동축 또는 평행할 수 있다. 개선된 제어유니트와 그 작동장치의 구체예에 따라서 에너지저장요소는 주운동장치의 출력 부재축에 일치하거나 평행한 축을 소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운동장치의 틀이나 케이스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너지저장요소는 내벽에 대해 작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에 영향을 주거나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에 작용하고 내벽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재는 하나의 푸셔가 있는 랙 피스톤, 피스톤로드, 링크, 샤프트, 연결재 또는 다른 운동전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재가 링크나 연결재를 포함한다면 그런 운동전달장치는 변속기의 출력부재나 다른 부분이나 일부분같은 작동장치의 요소에 분명히 연결할 수 있다. 확실히 연결위한 장치는 유니버셜조인트 볼(구형) 조인트 스위벨 조인트 또는 다른 적당한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재는 철선이나 브레이크 케이블의 외장과 연결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런 케이블의 외장이나 철선 차량의 파워트레인에서 토크 전달 시스템과/또는 변속 시스템을 운동 수렴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재와 운동 수렴부(또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자체) 사이의 연결은 유체 구동(유압 또는 공압) 운동 전달 장치의 부재(예, 피스톤 또는 피스톤로디)와 연결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는 피스톤 또는 주실린더의 다른 부분 또는 종속실린더를 연결 또는 포함 또는 구성할 수 있다. 클러치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 사이 연결은 제 1 실린더(주실린더같은) 제 2 실린더(종송실린더같은) 그리고 두 실린더 사이 유체 포함한 연결 (유압 또는 공압선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요소(특히 토크 변속시스템)가 유체 구동 변속장치를 포함한다면 후자는 토크전달 시스템의 중앙 분리 부재의 부분을 구성하거나 형성하는 피스톤 또는 로드 또는 유사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구동장치는 가동출력부재와 적어도 한 요소의 가동부분 사이 가동출력부재와 기계적 연결재를 갖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기는 개선된 제어유니트에서 작동장치의 주운동장치의 부분을 형성하거나 구성하는 전기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에 대해 정속보다 다른 속도로 운동을 전송하는 부채꼴 모양의 기어 하나 이상의 전체 기어나 다른 적당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기는 금속성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거나 회전부재위해 탄성 부분 또는 회전부재와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은 레이디얼 베어링 또는 엑시얼(트러스트)베어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토크 변속 시스템이거나 포함한다면 그런 시스템은 탈착가능한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클러치의 제어유니트에서 작동장치의 에너지저장요소는 작동장치의 공전상황에서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재를 대신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황에서 클러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는 푸쉬형 또는 풀형 클러치같은 마찰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황을 가정할 때 선지정 토크를 전달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는 상향 또는 하향의 경사진 도로면을 따라 차량의 우연한 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클러치는 작동장치가 공전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탄성이나 다른 적당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의 탄성장치는 압축될 수 있고 다이아프램스프링 압축 스프링과/또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크변속 시스템(마찰클러치같은)의 어떤 부분은 토크변속시스템이 실제 사용때 쉽게 마멸된다. 그런 마멸을 자동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니트가 토크 변속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거나 구성하는 탈착 가능한 마찰 클러치를 작동을 위해 제공된다면 클러치는 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의 공전상황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있거나 설치할 수 있다.
클러치의 설치와 최초 조정은 작동장치가 공전시 클러치는 차량에서 엔진의(구동장치) 정격 토크보다 작은 토크를 전달하거나 전달 할 수 있다. 이는 작동장치의 공전상황에서 클러치의 부분 결합을 요구한다. 작동장치의 공전상황에서 클러치가 전달할 수 있는 토크는 엔진 정격 토크의 10%에서 90% (정상적으로 35%에서 75% 사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토크 변속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구성하는 마찰클러치라면 변속기와 작동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요소는 작동장치의 주운동장치의 출력부재(예, 회전축)와 마찰라이닝을 갖고 마찰클러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클러치 디스크 사이에 작동하는 연결부분을 구성 또는 형성할 수 있다. 그런 작동연결은 작동장치의 공전상황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연결 상황에서 마찰클러치를 유지하도록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요소(앞서 언급한 에너지저장요소를 포함하거나 구성할 수 있는)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요소는 클러치가선지정 토크를 전달토록 준비된 상황으로 (예,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황) 클러치를 유지토록 할 수 있다.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은 2조의 라이닝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런 클러치 디스크는 2조의 마찰 라이닝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황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요소는 클러치 디스크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요소 사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클러치는 클러치의 각(연결, 분리 또는 부분적 연결) 상황에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예, 다이아프램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장치의 변속은 자력죔 변속(필요하지 않으나)일 수 있다. 그런 변속은 작동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주운동장치의 회전출력부재(예, 샤프트)의 축에 실제 평행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기어(예, 스퍼기어 또는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변속기의 기어는 주운동장치의 출력부재와 동축일 수 있다.
작동장치의 틀은 차량의 샤시나 프레임에 고정적으로나 조정가능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예로 운송장치 프레임은 개선된 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를 수행하는 플라스틱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의 내벽은 차량의 구동장치(엔진같은)를 마주대하는 면을 가지고 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는 내벽의 2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작동장치는 승객 구획(또는 운송장치의 성질에 의존하는 운전자 구획)을 마주보는 운송장치의 내벽의 2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연소 엔진같은)나 차량의 변속 시스템에서 작동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는 제어유니트(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중 주운동장치 같은)이 공전시 조건을 부분적으로 연결한 토크 변속 시스템의 마찰클러치를 선택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발명의 특성으로 고려된 새로운 특성은 부가 청구항에서 특히 설명된다. 그러나 다양한 부가적 중요하고 바람직한 특성 및 이익과 함께 구조에 대해 작동 모드와 설치 모드 모두 개선된 베어유니트는 도면과 제시된 구체예의 구체적인 설명의 정독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에 있어서, 차량(1)(예를들어 승용차)는 복수개의 구성부품들로 이루어진 파워트레인(powertrain)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부품들은 구동장치(2), 클러치(3), 변속기(4), 변속기(4)의 회전출력축(5)으로 부터 정상적으로 토오크를 전달받는 디퍼렌샬(5a), (전륜 또는 후륜)의 차바퀴를 구동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디퍼렌샬(5a)로 부터 토오크를 전달받는 액슬(axle)(6)로 구성된다. 구동장치(2)는 단순화 목적으로 모터, 엔진 또는 다른 주운동장치(prime mover)로 구성가능하며 엔진으로 언급될 것이다. 클러치(3)은 마찰클러치, 디스크 클러치 유체식 토크 변화기의 록업 클러치(lockup clutch)(바이패스 클러치:bypass clutch라고도 함) 또는 차량을 구성하는 파워트레인내에서 토크 전달이 가능한 다른 장치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토크 전달 장치(다음에 간단히 클러치로 명명함)가 엔진(2)을 구성하는 회전 출력부와 변속기(4)를 구성하는 회전입력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변속기의 다음 위치에 클러치(3)를 설치하고, 도시된 클러치를 하나 또는 추가의 클러치들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변속기 및/또는 스타터 클러치(starter clutch)의 다음위치에 설치된다. 클러치(3)는 자동 클러치가 가능하고, 클러치 디스크 또는 클러치판의 마찰라이닝(friction linings)에 대하여 및/또는 클러치의 사용수명에 걸쳐서 마모되는 다른 구성부품에 대하여, 마모를 자동으로 보상하는 클러치 및/또는 자동 재설정 클러치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클러치들은 예를들어 "자동 조정이 가능한 마찰클러치"에 대한 볼프강 라이크외 다수인의 미국특허출원 제 5,409,091호에 공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는 1995, 4월 28일자로 등록되었으며, 참고서류로서 주지한다.
변속기(4)는 다단감속기어(또한 레인지 기어 (range gear)라고도 함)와 같은 수동 변속이 가능한 변속기로 구성가능하다. 그러나, 도시된 변속기(4)는 또한 자동 변속기 또는 자동화된 변속기로 구성가능하다. 만약 변속기(4)가 자동변속기 또는 자동화된 변속기로 구성가능하다면 클러치는 (엔진(2)으로 부터 액슬(6)까지 출력 전달 방향으로 보이는 것처럼) 변속기(4)의 다음 위치에 구성가능하다; 상기 클러치는 마찰클러치로 구성가능하다. 소요크기의 토오크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소위 역전가능 클러치(reversible clutch)(변속기(4)의 다음 위치 및/또는 파워트레인내의 모든위치에서)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동일한 내용이 다음의 안전 클러치(safety calutch)에도 적용된다.
도 1a의 부호 7은 클러치(3)의 입력부(즉 엔진이 작동할 때 엔진(2)으로 부터 토오크를 전달받는 부분)를 나타내고, 부호 8은 클러치 입력부(7)로 부터 토오크를 전달받고 토오크를 변속기(4)의 입력부에 전달하는 출력부를 나타낸다.
클러치(3)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작동되고(즉, 클러치의 출력부가 변속기(4)의 입력부에 전달가능한 토크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제어 유니트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센서(예를들어 센서 14,15,16,17,19,19a)뿐만 아니라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전자회로와 연결되거나 구성된다. 제어유니트(13)는 작동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장치는 제어유니트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클러치(3)의 토크 선택장치에 바로 영향을 주도록 설계된다. 도 1a는 클러치 출력부(8)에 위치하고, 변속기(4)의 출력부(8)로 부터 입력부로 전달되는 토오크의 크기를 선택 가능한 토크 선택장치(20)로 구성된다.
제어 유니트(13)은 하우징 또는 케이싱(casing)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전자회로 또는 회로들을 수용 가능하나 꼭 수용할 필요는 없고, 즉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회로 또는 전자 유니트는 분리상태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내에 설치가능하다. 제어회로(13) 및/또는 분리상태에 있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내에 위치한 전자회로 또는 전자회로들은 (전기 모터와 같은)모터(1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작동가능하고, 상기 모터는 클러치(3)의 토크 선택장치(20)를 위한 작동장치의 부분을 행한다. 상기 제어기능은 모터(12)의 결합기능 또는 에너지원으로 부터 모터의 분리 및 모터의 출력부의 속도 제어기능을 포함하고, 즉 제어유니트(13)의 전자회로 또는 전자회로들은 모터(12) 및 모터의 작동이 제어되는 장치를 위한 출력장치로 구성가능하다. 적어도 어떤 전자회로들을 제어유니트(13)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내로 장착시키는 것이 정상적으로 바람직하고 장점을 가지는데, 상기 구성에 의해 제어유니트의 단순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소형의 제어유니트(13)는 제어유니트가 운전석 또는 차량내부 어떤곳에 설치되는가에 관계없이 다수의 차량에서 바람직하다.
모터(12)에 추가하여, 제어유니트(13)의 작동장치는 변속기(12b)로 구성되고, 상기 변속기(12b)는 모터로 부터 토오크를 전달받고 출력부(12a)에 운동을 전달한다. 출력부(12a)는 마스터 실린더(11), 실린더(10) 및 상기 실린더들(10,11)을 연결하는 유압선(9)으로 구성되는 유압 장치에 의해 클러치(3)의 토크 선택장치(20)에 운동을 전달한다. 제어유니트(13)의 변속기(12a)는 워엄기어(worm gear)변속기와 너트(nut), 이송나사로 구성되는 기어장치(gearing)과 스퍼기어 변속기(spur gear transmission), 유성기어, 래크와 피니언 구동장치, 크랭크 기어장치(crank gearing) 또는 유성기어, 이송나사 기어장치 및 피치 형태기어의 조합과 같은 복합 변속기로 구성되는 기어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변속기(12b)는 일단 변속기 또는 다단(예를들어, 2단 또는 3단) 변속기가 구성가능하다. 예를들어, 다단 변속기는 워엄기어 변속기에 의해 제 1 단을, 크랭크 기어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제 2 단으로 구성가능하다. 또한 이송나사 기어장치와 스퍼기어 변속기로 부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변속기들의 다른 조합에 의해 다단 변속기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의 변속기(12b)는 모터(12)의 출력부로 부터 토오크를 전달받는 워엄기어변속기 및 운동을 출력부(12a)의 일부를 형성하는 푸셔(pusher)에 전달하는 크랭크 기어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부(12a)는 마스터 실린더(11)의 왕복 피스톤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11)는 유압 실린더 형태가 가능하고, 즉 유압선(9)은 유압유를 포함가능하다. 종동실린더(10)의 피스톤은 피스톤로드(10a)에 의해 클러치(3)의 토오크선택장치(20)에 운동을 전달가능하다.
실린더(10,11)로 구성되고 도시된 유압작동식 장치는 공압작동식 장치로 대체가능하다. 추가로 제어유니트(13)를 구성하는 전자회로는 종동실린더(10)을 구성하는 피스톤(10a)의 위치 및 운동에 직접 영향을 주도록 설계되어, 마스터 실린더(11) 및 유압관(9)은 구성상 생략 가능하다.
도 1a의 마찰클러치(3)은 클러치디스 또는 클러치판(3d)로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판은 엔진(2)의 출력부(예를들어 크랭크축 또는 캠축)로 부터 토오크를 전달받는 플라이휠(3b)과 각각 마주보는 두셋트의 마찰라이닝(friction lining)으로 구성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한 압력판(3a)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판은 정상적으로 클러치스프링(3c) 예를들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플라이휠(3b)로 기울어짐을 갖는다. 토크 선택장치(20)(예를들어, 포크)는 압력판(3a)의 축방향 위치를 선택 가능하고, 한쪽에서 압력판(3a)와 플라이휠(3b)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를 결정하며, 다른 한쪽에서, 클러치판(3d)의 각각의 마찰 라이닝 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를 결정한다. 클러치(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될 때, 클러치판(3d)의 중앙 조심이 이루어진 허브(hub)가 토오크를 변속기(4)의 회전 입력부에 전달된다. 도시된 토크 선택장치(20)은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적합한 베어링 또는 중앙 조심이 이루어진 다른 토크 선택 기능의 (클러치 연결/분리) 장치에 의해 교체 가능하다. 압력판(3a) 클러치가 서로다른 토오크를 전달하는 중간의 소요갯수의 위치에 대해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는 제 1 단부위치와 클러치가 완전히 연결되는 제 2 단부위치 사이에서 클러치(3)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예를들어, 압력판(3a)은 클러치(3)에 의해 변속기(4)의 입력부에 전달되는 토오크의 크기가 엔진(2)의 도시 토오크보다 작은 하나 또는 한 개의 이상의 중간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클러치(3)에 의한 토오크전달은 제어유니트(13)의 (모터(12) 복합 변속기(12b), 출력부(12a)로 구성되는 작동장치에 의해 운동이 시작되는) 제어기능은 전달된 토오크의 크기가 시간의 함수로서 변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추가로, 클러치(3)로 토오크의 전달은 소위 종동장치(follow-up)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종동장치은 토크 선택장치(20) 및 피스톤 로드(10a)의 선택 위치에 의해 클러치(3)에 의해 실제로 전달가능한 토오크의 크기가, 클러치를 구성하는 입력부(7)에 실제로 전달되는 엔진토오크와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부속장치(aggregates)들 즉 파워스티어링장치(power steering system), 에어콘 장치 및/또는 다른 장치를 구성하는 펌프(pump)로 빼앗기는 토오크의 차와 동일하다.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부속장치는 소요범위내에 유지되는 것이 선호되고 즉, 전달된 도시엔진 토크 및 클러치(3)의 출력부(8)에 의해 변속기(4)에 전달된 토크 사이의 차는 또한 주어진 범위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엔진 토오크의 토오크를 초과하는 크기의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3)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의도적으로 소요값으로 엔진 토오크를 초과하는 클러치 토오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능에 의해 소요 엔진 토오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나 엔진 토크 크기상의 바람직하지 못한 피크(peak) 및/또는 다른 불규칙 현상을 감쇄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어 유니트(13)의 전자회로와 연결된 센서들은 변속기(12b)의 셋팅(setting)상태 및/또는 출력부(12a)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4) 및 차량(1)의 쓰로틀 밸브(throttle valve)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5)와 엔진의 RPM을 감지하는 센서(16)과 디퍼렌샬(5a)의 회전부의 RPM을 감지하는 (그리하여 액슬(6)에 연결되는 차륜의 RPM을 결정하는) 센서(17), 변속기(4)의 기어 변속 레버(gear shifting leve)(18)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9)와 변속기(4)를 구성하는 내부 구성부품의 다른 변수 및/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9a)로 구성된다. 센서(17)로 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은 변속기(4)의 셋팅상태(선택된 기어비)를 나타내는 신호들과 함께 처리가능하여 변속기의 입력부의 RPM을 산출한다. 센서(19)에 의해 전달된 신호들은 변속기(4)를 특정 변속비로 바꾸고자하는 운전자의 선택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센서(19a)에 의해 전달된 상기 신호들은 변속기(4)에서 임시로 선택된 기어비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변속기는 5단 전진 기어비 및 후진 또는 중립 기어비로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센서(19a)가 아날로그 센서(analogous-sensor)라면, 센서(19a)는 추가로 변속기(4)의 중간 단계를 나타내고 즉, 이전의 선택 기어비로 부터 다른 기어비로 변속되는 동안 변속기를 구성하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내부 구성 부품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센서(19,19a)로 부터 전달된 신호들은 제어유니트(13)의 전자 장치들로 하여금 변속기의 실제로 선택된 설정상태 및 다른 변속비를 선택한 운전자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상태변수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제어유니트(13)은 차량(1) 내에서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추가전자장치들과 신호전달이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고, 예를들어 엔진(2)의 전자장치, 자동변속기 또는 자동화된 변속기의 경우 변속기(4)의 전자장치, ABS(Anti-Blocking System)의 전자장치, ASR(Anti-Slip Regulating system)의 전자 장치 등등과 연결이 가능하다.
도 1b는 수정된 차량의 어떤 구성부품들을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차량(1)을 구성하는 해당 부품들과 동일하거나 분명히 유사한 차량(1')의 모든 부품들은 유사한 부품번호를 표시하였다. 차량(1) 및 차량(1') 사이의 주요차이는 다음과 같다. 즉 수정된 차량은 출력부(12a')가 클러치(3)를 구성하는 토크 선택장치(20)(예를들어 포오크(fork))와 직접 연결된다. 그래서, 실린더(10,11) 및 유압관(9)으로 구성되는 유압식 연결장치는 구성상 생략가능하다.
제어유니트(13')를 구성하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은 클러치(3)의 하우징 및/또는 변속기(4)의 벨(bell) 부근에 설치되어, 출력부(12a')는 클러치(3)를 위한 구성공간내로 확장 구성이 가능하여, 출력부는 토크 선택장치(20)의 일부 또는 운동 수용단부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토크 선택장치는 중앙에 위치에 베어링 또는 유사장치에 의해 교체 가능하다. 도 1b에 도시된 센서(15,17,19,19a)의 기능은 도 1a의 차량(1)에서 유사하게 부품번호가 매겨진 센서들의 기능과 동일하다. 도 1b에 나타난 제어유니트(13')의 구성부품들(12,12a,12b)는 도1a에 도시된 제어유니트(13)의 구성부품들보다 더 소형화 및 단순화된 형태이다.
토크 선택장치는 중앙에 위치한 베어링(54)으로 구성되는 분리장치(55)(예를들어 포크(fork)로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은 다이아프렘스프링(53)의 위치 및/또는 형상을 변경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분리장치(55)는 또한 압력판(52)의 축방향 위치를 변경하도록 자동하는 한세트의 레버들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클러치(3)의 수정예로 나타난 클러치(3')를 나타낸다. 클러치(3')가 연결될 때, 압력판(52)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이 휠(50)과 함께 작동하여, 클러치 디스크 또는 클러치판(51)의 각각의 마찰라이닝(51a, 51b)를 고정한다. 클러치판은 허브(hub)로 구성되고, 상기 허브는 변속기(도2에 없음)의 회전입력부에 토오크를 전달 가능하고, 상기 회전 입력부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연결된다. 분리장치(55)를 구성하는 한쪽 단부는 지지점(55a)에서 지지되고(예를들어, 차량의 샤시(chassis) 또는 프레임(frame)내에서), 분리장치(55)의 다른 한쪽 단부(55b)는 제어유니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장치(57)의 출력요소(56)와 관절식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클러치(3')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크기를 결정한다.
클러치 라이닝(51)은 추가로 탄성 부분들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고, 상기 탄성 부분들은 마찰라이닝들(51a, 51b)의 두세트들 사이에 구성되고, 클러치(3')의 축방향으로 볼 수 있듯이 마찰 라이닝의 상기 세트들은 서로 분리 시키려고 한다. 클러치판을 형성하는 마찰라이닝의 두 세트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탄성 부분들(또는 모양을 갖춘 탄성부품들)은 (목적 및 장점을 나타냈듯이) 미국특허 제 5,450,934호에 1995년 9월 19에 등록된 풀 마우커씨의 "마찰 클러치"에 나타나있다. 상기 특허의 공개가 여기서 참고자료로서 제시된다.
작동장치(57)은 또한 주운동장치(58)(예를들어, 작동장치(57)를 구성하는 제어유니트의 전자회로로 부터 신호들을 전달받는 전기모터), 주운동장치(58)의 출력부에 의해 구동되고 자기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변속기( non-self-locking transmission)(59), 작동장치(57)의 하우징에 대해 저항하고, 출력 요소(56)상에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요소(60)(여기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나타남)로 구성된다. 변속기(59)는 일단 또는 다단 변속기로 구성 가능하고, 적어도 이송나사 기어장치, 스퍼기어 변속기, 유성기어, 워엄기어 변속기, 크랭크 기어장치, 베벨기어(bevel gear)변속기, 및/또는 다른 적합한 변속기 또는 기어장치 또는 기어중에 적어도 하나로 구성가능하다.
에너지 저장요소(60)의 목적은 마찰클러치(3')와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주운동장치(58)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적어도 일부의 힘을 보상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출력요소(56)상에서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맞게, 에너지 저장요소(60)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추가 에너지 저장 요소 또는 탄성요소 즉 예를들어 마찰라이닝(51a, 51b 및/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요소와 함께 작동하고,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도 2에 나타난 레버(53)에 추가로 구성된다. (작동장치(57)을 포함하는 제어유니트의 추가 에너지 저장요소를 가지는가의 유무에 관계없이, 클러치(3')의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에너지 저장요소들을 가지는가의 유무에 관계없이) 에너지 저장요소(60)는 마찰클러치(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주운동장치에 의해 제공되어야만 하는 힘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를들어, 만약 도2의 구성부품(53)은 한세트의 레버들이며, 상기 레버들은 플라이휠(50)과 절점연결되고, 베어링(54)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지지되어, 마찰라이닝(51b)의 인접한 세트에 대해 압력판(52)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면(즉 클러치(3')가 영구적으로 플라이휠(50)로 축방향으로 압력판(52)을 이동시키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이 빠진다면), 출력부(56)가 분리장치(55)를 (도2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필요한 크기로 회전시킬때만 클러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요한 크기에 의해 압력판(52) 및 플라이휠(50)는 특정힘으로 각각의 마찰라이닝(51a,51b)와 확실히 결합된다. 상기 부분 결합은 응력을 받는 상태의 에너지 저장요소(60)에 의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는 소요힘으로 출력부(56)를 (도2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응력을 받으며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작동장치(57)는 비작동상태이고, 즉 주 운동장치(58)가 정지상태이다. 달리 말하면, 에너지 저장요소(60)에 의해 레버(53)이 시동위치 또는 중립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는 것이 허용될 때 클러치(3')가 자동으로 특정 토오크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지 않을지라도, 그리고 작동장치(57)를 구성하는 주운동장치(58)이 비작동상태일지라도 클러치(3')가 특정 토오크를 전달가능하게 된다. 예를들어, 에너지 저장요소(60)의 기응력상태(prestressing)에 의해 클러치(3')는 도시 토오크의 약 50%를 전달하도록 설정되고 이때 작동장치(57)의 주운동장치(58)이 정지하게 된다.
도 2의 부분(53)은 레버 및/또는 다이아프렘스프링(또는 압력판(52)을 플라이휠(50)로 이동시키는 기능의 또다른 탄성요소)로 이루어진 세트(set)로 구성된다면, 작동장치(57)는 베어링(54)에 의해 이루어지는 운동방향에 무관하게 분리장치(55)에 힘을 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기응력상태의 에너지 저장요소(60)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에너지 저장 요소는 중립위치를 구성하고, 에너지 저장요소(60)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영 또는 적어도 영에 근사한 중간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요소(60)가 상기 중립 상태에서 해당하는 위치로 부터 이동한 결과 확장되거나 축소되는가에 무관하게 상기 힘은 증가한다.
도 3a 및 도 3b는 추가로 클러치를 도시하고, 상기 클러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에 의해 연결 또는 분리가능하다. 클러치는 다이아프렘스프링(1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100)은 고정구(107)에 의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이휠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완전한 반경 외측부분(106)으로 구성된다. 스프링(100)은 추가로 클러치커버(101)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커버(101)은 외측 또는 주요부(106)로 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확장 구성되며, 베어링(도2의 베어링(54)와 같은) 또는 연결-분리가 이루어지는 또다른 적합한 클러치에 의해 결합 가능한 자유단부 또는 팁(102)로 구성된다. 팁(102)은 베어링 또는 유사장치에 의해 더욱 만족스런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적합한 곡선 모양을 가진다. 클러치커버(101)의 외측 반경방향부분들은 반경 방향으로 확장 구성되는 보강리브(103)가 구성되고, 인접한 클러치커버(101)은 반경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반경방향으로 확대된 외측부(105)로 구성되는 슬롯(10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보강리브(103)는 클러치 커버(101)의 상기 부분들을 보강하고, 상기 클러치커버(101)은 압력판(110)의 인접 돌출부와 결합되고, 이때 클러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즉 클러치판(112)의 마찰라이닝들은 압력판(110)의 인접 마찰면과 플라이휠(108) 사이에 고정되어, 클러치판의 허브는 토오크를 도1a 또는 도 1b에 나타난 변속기(4)와 같은 변속기(4)와 같은 변속기의 입력부에 전달가능하다. 압력판(110)은 다이아프렘스프링(100) 및 플라이휠(108)의 모든 각운동을 공유하고 상기 구성부품들 사이의 제한된 축방향 운동을 자유롭게 수용하도록 다이아프렘스프링(100)에 고정된다. 압력판(110)을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의 다른 부분(106) 및/또는 플라이휠(106)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구성된 리벳(109) 또는 다른 적합한 고정구들로 구성된다.
클러치커버(101)의 상기 부분(111)은 최대 굽힘 또는 최대 변형이 발생되어 도 3a, 3b의 클러치의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클러치는 인장식 마찰클러치이고, 즉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이 압력판(110)을 클러치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 해당하는 축방향 위치에 유지하려하고, 작동장치(도 3a 및 도 3b에 나타나지 않음)는 부분적으로 완전히 클러치커버(101)의 팁(102)를 끌어당김에 의해 도 3b에서 보는 것처럼 우측으로 클러치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클러치 스프링이 압력판(110)의 운동을 허용하거나 압력판을 끌어당기도록 하여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플라이휠(108) 상에 다이아프렘스프링(100)(또는 다른 적합한 클러치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작동장치는 상기(인장식)클러치의 압력판을 클러치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위치중의 하나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달리 말하면,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은 무부하상태로 설치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러치와 연결되도록 팁(102)은 플라이휠(108)로 이동되어야만 한다. 한편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이 기응력 상태로 설치되어 다이아프렘 스프링(100)이 클러치판(112)의 인접한 마찰라이닝들과 토오크전달이 이루어지게 연결상태로 압력판(110)의 마찰표면을 유지하려하면, 팁(102)들은 플라이휠(108)로 부터 이격되어져야만 한다.
도 3a 및 도 3b의 클러치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어져야만 한다면, 작동장치의 에너지 저장 요소(60)가 소요형태로 다이아프렘스프링과 함께 작동하도록, 예를들어, 도 3a 및 도 3b의 클러치가 작동장치(57)의 비작동시 완전히 연결되고, 모터(58)의 비작동에 응답하여 완전히 분리되며, 모터(58)가 비작동시 소요크기(예를들어, 도시 토오크를 전달하도록)로 클러치가 연결되도록 에너지 저장요소(60)는 출력요소(56)와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능은 압력판(110)과 플라이휠(108)의 인접한 마찰표면을 이루는 두세트의 마찰라이닝 사이에서 클러치판(112)이 탄성부분 또는 다른 형태의 탄성부분들로 구성되는가에 관계없이 유효하다.
예를들어,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의 기응력 상태는 작동장치가 비작동시, 에너지 저장요소(예를들어 도 2의 에너지 저장요소(60))는 다이아프렘스프링과 함께 작동하여 클러치는 도시 토오크의 약 50%를 전달가능하게 되도록 선택가능하다. 도 3a, 도 3b의 클러치에 의해 전달 가능한 토오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의 클러치커버(101)를 구성하는 팁(102)를 베어링 또는 유사장치가 밀어내도록 해야만 하고, 전달된 토오크의 크기가 도시토오크의 50% 이하로 감소되면 에너지 저장요소(60)에 의해 적합한 장치가 상기 팁(102)을 플라이휠(108)로 부터 떨어져 이동해야만 한다.
상기 설명에서 처럼, 도1a의 차량(1) 내에서 사용되는 클러치(3)은 라이크(Reik)외 다수의 미국특허 제 5,409,091호에 공개된 자동조정형이 가능하다. 상기 특허는 단지 차량(1) 또는 차량(1') 내에서 사용 가능한 다수의 자동조정 클러치중 하나를 공개한 것이고 즉, 클러치 및/또는 변속기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에 의해 작동가능하다. 개선된 장치에 의해 작동 가능한 자동 조정식 클러치들중의 다른 형태들이 독일특허 제 42 39 291호, 제 43 06 505호, 제 42 39 289호 및 제 43 22 677호에 공개되어 있다. 필요로 하고, 조언가능한 및/또는 허용가능한 정도까지, 상기 독일특허의 공개내용(및/또는 해당하는 미국특허 출원 또는 출원들)은 여기서 참고로 제시된다. 자동 조정식 클러치에 의해 보상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마모현상은 클러치판의 마찰판상에서 발생되거나 가장 현저할지라도, 상기 자동조정식 클러치의 보상장치는 또한 클러치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한 개 이상의 구성부품들 예를들어 압력판의 마찰 표면상에 나타나는 마모 및 플라이휠의 마찰 표면에 나타나는 마모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상에 나타나는 마모(만약 다이아프렘스프링이 클러치내에서 사용된다면) 마찰클러치 및/또는 다른 클러치들의 하우징상에 구성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위한(만약 있다면) 씨트 또는 씨트들상에 나타나는 마모를 고려하게 된다.
클러치(3 또는 3') 및/또는 변속기(4)를 작동시키는 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는 다음에 설명되는 다수의 특징들을 구체화 가능하다. 상기 특징들은 자동체결식 또 비 자동체결식 출력요소(예를들어, 도 20을 참고로 하여 다음에 기술되는 보조 작동장치에 의존하여)를 가지고, 작동장치내에 단일 에너지 저장요소(예를들어 60)를 가지며, 및/또는 연결점의 결합부 및/또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작동장치의 이용으로 구성된다. 추가로 클러치(3 또는 3')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작용은 예를들어, 필요에 의해 참고서류로서 제시 가능한 공개된 독일특허 제 19 504 847호에서 자세히 설명된것과 같이, 상기 소위 종동장치(follow-up)로 대체가능하다.
압력판이 클러치판에 대해 변화가능한 경사를 가지는 예를들어 기응력상태의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클러치의 장점으로서, 상기 클러치는 최소 또는 매우 작은 크기의 힘의 적용에 응답하여 분리가 가능하다는점이 있다. 비록 다이아프렘스프링 또는 다른 클러치스프링이 클러치를 연결상태로 유지하는 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힘을 가하게 설치되더라도 상기 작용은 유효하다. 사실상, 클러치가 압력판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반대의 압력판으로 부터 떨어뜨리도록 이동시키는데에 전혀 저항력을 제공하지 않거나 미소한 크기의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즉 클러치를 분리시키도록 설계된다면 클러치스프링은 구성상 생략가능하다(도2의 설명에 대해 참고서류가 제시된다). 사실상, 클러치판의 일부를 형성하는 두세트의 마찰라이닝사이에 위치한 상기 탄성 부분들은 정상적으로 두세트의 마찰라이닝들을 분리시키려하고 즉, 압력판을 플라이휠로 부터 분리시킨다.
또다른 클러치 스프링 또는 다이아프렘스프링으로 구성되지 않는 마찰 클러치의 또다른 특징으로서 (도2의 설명에 대한 참고서류가 제시된다), 정상적으로 클러치 스프링을 운반하는 클러치커버 또는 하우징을 구성상 생략가능할 뿐만 아니라(참고서류로서 라이크(Reik)씨외 다수의 미국특허 제 5,409,091호에서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형태로 클러치 스프링을 경사를 이루게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씨트 또는 씨트들을 구성상 생략할 수 있다. 달리말하면, 클러치 스프링의 구성상 생략은 클러치 구성의 단순화, 소형화 및 제조비용 감소에 상당히 기여한다.
도 3a 및 도 3b의 클러치는 또한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의 하우징 또는 커버를 구성할 필요가 없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커버외측부(106)는 압력판(110)의 인접한 외측 반경방향 부분을 위한 하우징을 구성가능하게 되고, 클러치커버(101)(좀더 중요하게, 비보강부분(non-reinforced portion)(111)는 도 2의 클러치(3')내에서 레버(53)의 등가 구성부품을 구성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 내에 도시된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은 베어링(도2의 베어링(54)와 같이) 또는 유사장치에 의해 연결이 가능한 팁(102)을 가지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비보강부분(111)으로 구성되는 클러치 스프링 및 다이아프렘스프링과 일체로 이루어지는(즉 구성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100)의 장착은 비보강부분들이 클러치를 완전히 연결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응력 또는 초기 응력 상태에 있게 만든다.
작동장치(예를들어 도2의 작동장치(57))는 엔진(2)가 정지하고 모터(예를들어 작동장치의 모터(58))가 아이들(idle)상태에 있을지라도, 경사면에서 주차시 차량(1) 또는 차량(1')이 굴러가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실현시켜 준다. 에너지 저장요소(60)은 다음에 엔진(2) 및 모터(58)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상태에 클러치를 유지시키도록 에너지 저장요소(60)가 한 방향으로 출력요소(56)에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달리 말하면, 엔진(2)이 정지해 있을 때, 차량의 돌발적인 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소요 토오크를 전달하도록 클러치설정을 확실히 하기위해, 에너지 저장요소(60)은 다음에 혼자 작동하거나 탄성부분들 또는 클러치판의 성형탄성요소들과 또는 클러치스프링과 함께 작동한다. 변속기(59)(에너지 저장요소(60) 및/또는 클러치스프링 및/또는 클러치판의 스프링보다는)가 축방향 위치내에 출력요소(56)을 유지하고, 상기 축방향 위치내에서 클러치(예를들어 도2의 클러치(3') 또는 도 3a, 도 3b의 클러치)가 특정 토오크를 전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특정 토오크에 의해 상향 경사면 또는 하향 경사면을 따라 차량의 돌발적인 운동을 방지하는 것이 충분할때와 같이, 작동장치(57)내의 변속기(59)가 자동체결식일 경우에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자동체결작용은 모터(58)이 작동정지되는 순간 이루어진다.
상향 경사면 또는 하향경사면을 따라 차량의 돌발적인 운동을 방지하기에 필요한 크기로 클러치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정상적으로 아이들상태이나, 작동장치의 모터(예를들어 58) 및 엔진(2)의 작동상태에 응답하여 효과적인 하나 또는 한 개 이상의 추가 탄성 요소들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도 3a 및 도3b의 클러치 또는 클러치(3)또는 클러치(3') 의 완전한 연결 또는 자동식 부분연결을 확실히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들어, 작동장치의 변속기(예를들어 59)가 자동체결식 변속기가 아닐 때 또는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예를들어 56)가 스프링(예를들어 60) 또는 유사장치에 의해 경사 구조를 이룰 때 즉 클러치의 구성부품을 제외하고 에너지 저장요소에 의해서 많은 경우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와 클러치의 토크 선택장치 사이의 기계식 연결장치가 바람직하다. 기계식 연결장치는 로드(rod) 또는 링크(link)에 의해 또는 다수의 다른 방법중의 하나에서 예를들어 링크연결, 랙크와 피니언 구동장치(rack-and-pinion) 또는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에 의해 구성된다.
기계식 연결장치의 또다른 중요한 장점으로서, 기계식 연결은 설치공간을 최소로 하고 (도2를 참고), 작동장치의 출력요소가 클러치의 분리장치(55)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추가로 작동장치는 클러치와 근접하여 또는 바로 인접하여 설치가능하다. 한편, 작동장치와 클러치 사이의 유압식 연결장치(도 1a의 연결(9-11))에 의해 광범위에 걸쳐 정확한 운동전달이 이루어지고 과도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으며, 자동윤활기능이 이루어지고 및/또는 소음발생이 적어진다.
클러치를 완전히 연결상태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상당한 힘을 에너지 저장요소들이 모터(58)가 공급하도록, 에너지 저장요소(60) 또는 작동장치의 요소들이 설계, 설치 및 크기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작동장치의 모터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소일 때 에너지 저장요소가 사용되고, 클러치의 상태가 요구되는 상태에 해당되거나 다른 연결상태보다 더 자주 설정되어야만 하는 상태와 일치되도록, 작동장치와 함께 작동하고 작동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너지 저장요소의 기능이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예를들어, 클러치가 푸쉬형(push-type)클러치일 때 그리고 클러치로 토크 전달이 상기 종동기능으로 대체될 때 유리하다.
도 4a의 좌표계를 참고로 하면, 작동장치(예를들어 작동장치(57))의 모터(도2의 모터(58))에 의해 제공되는 힘(FB)가 수직축을 따라 측정되고 클러치 및/또는 작동장치의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운동 부품이 이동하는 거리(SEinruck)(예를들어 작동장치(57)의 출력요소(56)가 이동하는)가 수평축을 따라 측정된다. 만약 에너지 저장요소(60)를 보상하거나 지지하지 않고 작동장치가 작동한다면 곡선(150)은 힘(FB)의 변화를 나타내고, 작동장치가 에너지 저장요소(예를들어 에너지 저장요소(60))를 구성할 때 곡선(151)은 힘(FB)의 변화를 나타낸다. 주지할 사항으로서, 작동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클러치(3,3')의 전체 연결범위내에서 양의 수평축에 전체 곡선(150)이 위치한다. 한편, 곡선(151)의 일부는 음의 수평축에 위치한다; 음의 부분에서 양의 부분으로 변환은 점(S1)에서 일어나고, 상기 변환점은 영연결(zero engagement)(분리상태)로 부터 부분연결을 통해 완전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 클러치 및/또는 작동장치의 상기 운동 부품들이 이동하는 평균거리 또는 중간 거리에 해당한다.
도 4b의 좌표계에 있어서, 작동장치(즉 모터(58)과 같은 작동장치의 모터)의 작동주파수가 수직축을 따라 측정되고, 상기 거리((SEinruck)는 수평축을 따라 측정된다. 클러치가 상기 토크 종동기능에 의해 작동된다고 가정한다. 작동장치의 작동주파수는 거리(S1)에서 최대치에 도달하고 예를들어 거리 S1근처에서 일 밀리미터의 범위내에서 최대치에 도달하고, 작동주파수는 여기서, 거리(SEinruck)가 밀리미터 단위로 측정된다. 토크 종동기능을 가진 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거리(S1)에서 일 밀리미터 범위내로 최대 주파수에서 작동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전달가능한 토오크를 실제 엔진 토오크에 일치시키는 작용(의존적으로)에 의해 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오크는 상대적으로 작은(허용가능한) 공차범위내에서 실제 엔진 토오크를 따라가거나 일치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SEinruck)변화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기정의 방법으로 설치되고(작동장치(57)의 코일스프링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스프링 및/또는 다른 탄성 부품들로 구성되는 단일 에너지 저장요소로 구성되는)에너지 저장요소가 구성되면, 거리(SEinruck)의 함수로서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에 제공되는 힘의 최소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선택과정은 클러치의 운동부품 및/또는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에 의해 가장 자주 이동되는 거리(S1)에 적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58)은 거리(SEinruck)가 거리(S1')와 (예를들어 일밀리미터의 기선택된 범위내에서)일치하거나 근사할 때, 다시말해 힘 FB(도 4a)의 크기가 영 또는 영에 근접할 때 최대주파수에서 작동된다. 클러치가 완전히 연결되거나 또는 완전히 분리될 때 즉, 거리(SEinruck)가 영 또는 최대치에서 도달할 때, 작동장치의 모터에 의해 가해지는 최대힘이 필요로 된다.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방금 설명한 예에서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에 의해) 최대힘이 적용되는 주파수는 영 또는 영에 근사한 힘이 적용(거리(S1))되는 주파수의 비율이다.
에너지 저장요소에 의존뿐만 아니라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크기)의 작동주파수의 상기 선택에 의해 실제적인 에너지 저장이 이루어지는 작동장치를 작동가능하게 된다. 에너지 저장요소는 토크 종동장치와 함께 작동되는 마찰클러치를 위해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의 최대 작동주파수의 궤적에서 거리 또는 점(S1)에서 곡선(151)이 수평축과 교차하도록 에너지 저장 요소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가 최소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할 때 클러치 및/또는 작동장치의 상기 운동 부품은 거리(S1)을 이동한다.
차량 사용중, 클러치는 정상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토오크를 전달하는 것이 요구되고, 즉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에 의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토오크는 또한 작거나 영이된다. 에너지 저장요소의 힘은 작동장치의 전체 작동범위내에서 매우 미소하게 변화하도록 기응력 상태로 설치되고, 상대적으로 유연한 에너지 저장 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마모의 원인이 되는 작동점의 변화는 다수의 방법으로 확인가능하다. 예를들어, 클러치의 연결점 적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점(engagement point)"이라는 용어는 클러치가 실제로 토오크를 전이시키기 시작할때의 클러치의 상태 또는 설정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상태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근사할 수 있으나, 클러치가 연결점에 도달하게 만드는 상기 운동 부품들에 의해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는 마모 및/또는 다른 영향인자들의 함수로서 변화가능하다. 다른 방안으로, 진행중인 마모에 반응하여 작동점의 변화는 클러치판을 구성하는 마찰라이닝의 마찰계수의 적응에 의해 확인가능하다. 일단 작동점의 변화가 확인되면(예를들어, 상기 적응에 의해 또는 제어유니트의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에 의해), 다수의 방법들에 의해, 예를들어, 상기 방법으로 매개변수의 적응에 의해, 예를들어 특허 공유 출원에 의해 보상가능하게 된다.
도 5는 케이싱 또는 하우징(201)으로 구성되는 전기모터(200)와 외부에 나사가 구성된 부재 또는 이송나사(202)와 연결되거나 포함하는 회전 출력 요소로 구성되는 작동장치를 나타낸다. 이송나사는 너트(203)와 일치하고, 상기 너트는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어, 이송나사(202)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200)가 작동할 때, 너트는 작동장치를 구성하고 왕복가능한 출력요소(206) 및 이송나사의 공통축(209)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나사(202) 및 너트(203)는 모터(200) 및 출력요소(206) 사이에 위치하는 단일 변속기를 구성한다.
너트(203)는 관형 안내부(204)와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상기 관형안내부(204)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에너지 저장요소(208)의 단부권선을 지지하는 장치 또는 유지장치로 작동하고 출력요소(206)에 연결되거나 출력요소와 일체형을 이루는 원판 모양 또는 판모양의 지지대(205)로 구성된다. 에너지 저장요소(208)의 다른 단부권선은 하우징(201) 또는 분리된 상태의 케이싱의 벽(210)과 접촉하고, 상기 케이싱은 하우징(201)에 고정되고 작동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벽(21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은 하나 또는 한 개이상의 베어링(207)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은 축(209)의 방향으로 출력요소(206)의 왕복운동을 제한한다.
에너지 저장요소(208)의 단부권선은 후크(hook)모양이고 하나 또는 한 개 이상의 고정구(211)에 의해 벽(210)에 부착되고, 하나 또는 한 개 이상의 유사한 고정구(211)가 에너지 저장요소(208)의 다른 단부권선을 지지대(205)에 부착시킨다. 그래서, 에너지 저장요소(208)의 초기 응력 상태에 의존하여(다시말해, 에너지 저장요소가 확장하거나 수축하느냐에 따라), 에너지 저장요소가 확장하거나 수축하느냐에 따라), 에너지 저장요소는 하우징(201)으로 부터 또는 하우징(201)으로 축방향으로 출력요소(206)를 모터(200)가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출력요소(206)는 벽(210)으로 부터 또는 벽을 향해 너트(203)의 모든 축방향운동과 함께 이루어진다. 모터(200)는 가역전기모터로 구성되거나 구성가능하다. 지지대(205)는 너트(203)가 이송나사(202)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벽(210)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함께 작동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기능은 베어링(207)과 함께 작동하여 출력요소(206)에 의해 수행가능하다.
에너지 저장요소(208)는 이송나사(202), 너트(203) 및 출력요소(206)와 동심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저장요소의 축은 축(209)과 평행을 이루도록 도시된 에너지 저장요소(208) 또는 등가한 에너지 저장요소를 장착하는 것이 동일하게 가능하다. 게다가 도 5의 작동장치를 위해 이용가능한 공간 크기에 따라, 에너지 저장요소(208)의 축방향 길이는 이송나사(202)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가능하다.
도 6에 있어서, 하우징(302), 회전출력축(303)로 구성되는 전기모터(301)로 구성되는 작동장치(300)가 나타나고, 상기 출력축은 변속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심축의 이송나사(304)와 연결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나사는 하우징(302) 및/또는 차량의 샤시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송나사와 일치하게 되는 너트(305)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내에서 작동장치(300)가 토크 전달장치(예를들어, 마찰클러치) 및/또는 변속비에 의해 전달되도록 적용된 토오크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너트(305)는 길이가 긴 확장구성부(306)(예를들어,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구성부는 작동장치(300)를 구성하고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출력요소를 구성하는 우측단부(307)로 구성된다.
너트(305)에 인접한 하우징(302)의 (우측의) 하우징단부(308)은 지지판(309)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309)은 축방향으로 평행한 볼트 또는 타이로드(tie rod)(311)에 의해 하우징(302)의 좌측단부(302b)를 둘러싸는 링모양부분(310)에 고정된다. 볼트(311)의 우측단부와 일치하는 너트가 지지판(309)을 하우징(302)을 구성하는 하우징단부(308)의 플랜지(302a)로 이동시킨다. 볼트(311)는 코일스프링의 권선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링모양부분(310)에 (즉, 하우징(302)에) 작용하고, 너트(305)에, 즉 너트의 확장구성부(306) 및 우측단부(307)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이동하는 출력요소에 작용한다. 우측단부는 여러개의 아암(arm)(3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313)은 링모양 부분(310)으로 확장구성되고, 반경방향으로 내부로 확장구성되는 아암단부(313a)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단부는 작동장치(300)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312)(에너지 저장요소)의 인접한 권선과 결합하게 된다.
링모양부분(310)은 후크(hook)모양을 하고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고정구(315)에 의해 코일(312)의 인접한 권선에 고정되고, 유사한 고정구(314)가 아암단부(313a)에 제공되어, 코일(312)의 인접한 권선과 결합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코일은 하우징(302)의 좌측 단부(302b)를 향해 확장구성부(306)를 끌어당기거나, 상기 확장부(306)를 이격 가능하게 된다.
에너지 저장요소(312)의 우축단부의 권선은 너트(305)의 각각의 아암(313)에 연결될 필요는 없다.
벨로우즈(bellows)(316)는 플랜지(302a)와 아암(313)의 아암단부(313a)사이에 설치되어, 먼지 및/또는 외부의 물질이 이송나사(304) 및 너트(305)의 연결나사산과 접촉할 가능성을 줄여준다.
링보양부분(310)은 작동장치(300)의 선택가능한 부품으로 구성된다. 고정구(315)의 기능을 수행하고 일치하는 고정구를 구성하거나 이동시키도록 하우징(302)의 좌측단부(302b)가 모양을 형성한다면, 상기 링 모양부분은 구성상 생략가능하다. 예를들어,좌측단부(306)의 재료는 칼라(collar)를 형성하도록 업셋(upset)가공 및/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칼라는 고정구(315)에 해당하는 고정구를 구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서로 짝을 이루는 볼트(311) 및 너트를 구성상 생략 가능해진다. 추가로 분리상태로 제공되는 고정구(314) 및/또는 (315)이 구성가능하고, 상기 고정구는 용접, 접착제에 의한 접합, 리벳팅, 납땜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하우징(302)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다.
도 6a는 수정된 모터 하우징(302')의 일부를 나타내고, 상기 모터 하우징은 에너지 저장요소(312)의 인접한 권선과 결합하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로 확장구성되는 자유 단부 또는 팁(tip)(331)이 구성되는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진 외향성형부(3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향성형부(330) 및 팁(331)은 도6에 도시된 링모양부분(310), 고정구(315) 및 작동장치(300)의 볼트(311)를 대체한다. 도 6a의 에너지 저장요소(312)의 우측단부 권선은 도6에 도시된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법으로 너트(305)(도6a에 없음)에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에너지 저장요소(312)는 출력요소(도6에 도시된 너트(305)의 확장구성부(306)(307))를 하우징(302')을 포함하는 모터로 끌어당기거나 상기 출력 요소를 하우징(302')을 포함하는 모터로 부터 이격시킨다.
도 7은 케이싱 또는 하우징(402) 및 회전 출력축(403)로 구성되는 전기모터(401)가 구성되는 작동장치(400)를 나타낸다. 전기모터는 이송나사와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성되고, 베어링(405)내에 장착되는 자유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은 분리상태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내에 구성되고, 하우징(402)의 확장구성부내에 구성된다. 축(403), 이송나사(404) 및 베어링(405)은 공통축(406)으로 구성되고 이송나사는 축(408)이 구성되는 워엄휠(worm wheel)(407)과 짝을 이루고, 상기 축(408)은 축(406)과 수직을 이룬다. 베어링(405)에 의해, 축(403) 및 이송나사(워엄나사식)(404)는, 모터(401)에 전원이 켜지고 워엄휠이 구동되어 동심축의 스퍼기어(spur gear)(409)을 회전시킬 때, 옆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스퍼기어(409)의 치형은 왕복운동이 가능한 랙(rack)(411)의 치형(410)과 치접상태를 이루고, 상기 랙(411)은, 좌측단부에서, 에너지 저장요소(415)의 한쪽 단부권선을 지지하는 지지대(414)으로 구성된다. 에너지 저장요소(415)의 다른 한쪽 단부권선은 모터(401)의 하우징(402)위에서 또는 차량샤시 또는 프레임내에 또는 위에서 벽(416) 또는 유사한 지지장치에 힘을 가한다. 랙(411)은 베어링(412)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베어링은 축(408)의 반경방향 운동을 억제하여, 랙이 오직 축(406)과 평행한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랙(411)의 우측단부(413)은 작동장치(400)의 출력요소를 포함 또는 구성가능하다. 화살표(417)은 랙크가 워엄힐(407)의 작동하에서 및/또는 에너지 저장요소(415)의 변위발생하에서 이동가능한 방향중 하나를 나타낸다.
이송나사(404), 워엄휠(408)은 제 1단을 구성하고, 스퍼기어(409), 랙(411)은 제 2 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 1 단 및 제 2 단은 모터(401) 및 작동장치(400)의 출력요소(예를들어, 우측단부(413) 또는 우측단부(413)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되는) 사이에 복합 변속기에 구성된다.
작동장치(400)는 다수의 방법으로 수정가능하다. 예를들어, 우측단부(413)의 운동이 이루어지는 소요방향 또는 선택방향에 따라, 치형이 구성된 랙(411)은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는 경로가 축(406)에 평행하지 않도록 장착되어질 수 있다. 랙(411)를 위한 베어링(412)는 구형 또는 다른 적합한 구름 운동이 이루어지는 요소를 가진 미끄럼(마찰) 베어링 및/또는 베어링을 구성가능하다. 상기 베어링은 랙(411)을 화살표(417)에 의해 도시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운동을 제한하는 것과 도 7의 관찰자로 부터 멀리 또는 관찰자쪽으로 랙의 소요 운동을 억제하고 즉, 축(408)의 방향으로 랙의 소요운동을 억제한다.
모터(401)의 출력축(403)과 출력요소(413)(기계식, 유압식, 공압식 또는 다른 적합한 장치에 의해 출력요소(413)에 연결되는 출력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2단) 변속기는 더 단순한(1단) 변속기 또는 더 복잡한(예를들어, 3단) 변속기로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교체되어질 수 있다. 추가로, 이송나사(404) 및 워엄휠(407)로 구성되는 1단은 다른 적합한 변속기(예를들어, 한세트의 기어 또는 유사장치)에 의해 교체될 수 있고, 동일한 사항이 스퍼어기어(409) 및 랙(411)로 구성되는 제 2단에 적용된다. 출력축(403) 및 출력요소(413) 사이에서 작동하는 변속기의 정확한 구성은 클러치에 전달되는 운동의 특성에 의존한다.
도 8a 및 도 8b는 축(503)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출력축(502)로 구성되는 전기모터(501)으로 이루어지는 또다른 작동장치(500)의 관련부품들을 나타낸다. 출력축(502)는 너트(505)와 짝을 이루는 동심의 이송나사(504)에 연결되거나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너트는 출력축(502)의 회전에 응답하여 축(503)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나사(504) 및 너트(505)는 작동장치(500)을 구성하고 회전 가능한 출력요소(아암)(521)와 모터(501) 사이에서 다단 변속기의 제 1 단을 구성한다.
너트(505)는 원형 안내부(506)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모터(501)으로 부터 한방향으로 돌출하고, 반경방향으로 외부로 확장 구성되는 두 개의 피봇핀(509)을 운반하는 동심을 이루는 확장구성부(507)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봇핀은 축(503)에 대해 서로 직경방향으로 반대가 되게 위치된다. 확장구성부(507)은 너트(505)와 용접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너트(505) 및/또는 분리상태로 구성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부품들중의 너트 및/또는 확장구성부(507)을 조립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안내부(506)는 확장구성부(507)을 둘러싸고,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확장구성되는 핀(509)을 위해 축방향으로 평행한 슬롯(508)으로 구성된다. 핀(509)은 분리상태로 구성되는 부품들을 구성가능하고, 상기 부품들은 확장구성부(507)와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을 이루고 있다.
슬롯(508)은 원형 안내부(506)의 상기 부분내에 구성되어, 상기 원형 안내부(506)는 모터(501)의 하우징으로 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안내부는 슬롯(509)내에 위치한 핀(509)과 함께 작동하여 너트(505)가 이송나사(504)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핀(509)은 포크(5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가지부들을 위한 피봇(pivot)을 구성하고, 상기 포크는 상기 아암(521)을 추가로 구성하며, 상기 아암은 작동장치(500)의 출력요소를 구성한다. 포크(510)의 가지는 지지부(511)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511)은 에너지 저장요소(513)의 인접단부 권선을 위한 지지대를 구성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513)는 또한 하우징(514)에 대해 작용하는 제 2 단부권선(515)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514)은 모터(501)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고정된다. 만약 에너지 저장요소의 단부권선이 지지대(512) 및 하우징(514)에 고정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상기 요소가 기응력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단부권선은 모터(501)가 축(503)의 방향으로 너트(505)를 이동시키고, 출력축(502)으로 부터 떨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저장요소(513)의 단부권선들은 지지대(512) 및 하우징(514)에 연결되면,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는 모터(501)가 너트(505) 및 포크(510)의 가지를 출력축(502)으로 부터 그리고 출력축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아암 또는 출력요소(521)는 두 개의 아암이 구성된 레버로 이루어지고, 아암중 하나는 핀 및 지지대(512)를 이동시키며, 레버의 중간위치는 차량의 프레임상에 지지되고(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분내에), 상기 레버의 다른 단부부분은 클러치의 토크 선택장치, 예를들어 도 2의 분리장치(55)에 기계적으로,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연결된다.
하우징(514)은 포오크(510)의 출력요소(521)를 위한 개구부(520)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벨로우즈(522)(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에 의해 밀봉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핀(509), 이송나사(504) 및 너트(505)의 범위내로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슬롯구조의 안내부(506) 및 핀(509) 대신에, 너트(505)는 이송나사(504)와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고, 상기 고정기능은 길이가 긴 개구부(520)와 측면에서 접하는 표면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514)은 판모양의 (선형) 안내부(523)로 구성가능하고, 상기 안내부(523)는 너트(505)가 이송나사(504)와 회전되지 않도록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래서, 모터(501)의 작용하에서 및/또는 에너지 저장요소(513)의 변위 발생하에서, 너트(505)는 화살표(503)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제한한다. 상기 언급에서와 같이, 모터(501)로 부터 도움유무에 상관없이 선택위치내에 출력요소(521)을 유지가능하게 (또는 상기 선택위치로 출력요소(521)를 이동 가능하게) 에너지 저장요소(513)가 하우징(514)내에 장착가능하게 된다. 모터(50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출력축(502)을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달리말하면, 에너지 저장요소(513)는 모터(501)가 토크 전달장치(클러치 3,3')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크기를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작동될 때, 모터(501)의 에너지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설계되고 설치가능하게 되고, 상기 토크 전달장치는 출력요소(521)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출력요소(521)은 마찰 클러치 또는 다른 토크 전달 장치의 토크 선택장치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연결은 완전히 고정된 형태이고, 회전이 가능하거나 절점연결(articulate connection)형태이다.
(도1a 및 도 1b에 도시된)센서(14)는 홀제네레이터(Hall generator), 포텐시오미터 또는 유도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가능하고, 하우징(514)내에 설치가능하여, 축(503)의 방향으로 너트(505)에 의해 (예를들어, 너트와 일치로 구성되거나 너트에 고정되는 확장구성부(507)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를 조정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너트(505)에 의해 이동하는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는 이송나사(504) 및/또는 출력축(502)의 회전운동크기 및/또는 출력요소(521)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교체가능하거나 함께 사용가능하다. 상기 센서 또는 센서들로 부터 전달된 신호들은 제어유니트의 전자회로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작동장치(500)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들은 클러치의 설정상태가 만족한가 및 클러치가 소요크기의 토오크를 확실히 전달하도록 수행되어져야만 하는 출력요소(521)에 의해 추가적인 클러치 조정량을 계산하거나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하우징(514)내에 위치하는 상기 판형태의 안내부(523)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가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작동장치(500)을 포함하는 제어회로의 전자회로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그래서, 작동장치(500)의 하우징(514)내에 위치한 제어유니트의 회로(전원 및/또는 제어전자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는 너트(505)의 확장구성부(507)이 관형 안내부(506)의 반경방향으로 내부로(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가 에너지 저장장치(513)을 구성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하우징(514)내에 제한되는 구성부품들은 다른 방법으로 분포 및/또는 크기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도 9는 도 8a 및 도 8b의 작동장치(500)의 수정형태를 구성하는 작동장치(600)의 특정 세부를 나타낸다. 작동장치(600)는 너트(605)와 짝을 이루고 있는 이송나사(604)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연결되는 출력축(602)로 구성되는 전기모터(601)로 구성된다. 이송나사(604) 및 출력축(602)은 공통의 축(603)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너트(605)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고정되어, 축(602)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가에 따라 너트가 모터(601)로 또는 모터(601)로 부터 축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작동장치(600)의 하우징(606)은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확장구성되는 너트(605)의 종동장치(609)을 위해 축방향으로 평행한 슬롯(608)을 구성하는 늘어난 형태의 관형 안내부(607)를 포함하거나 제한한다. 종동장치는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안내부(607)의 내부표면과 실제로 미끄럼 접촉상태에 있을 필요는 없다. 핀(609)은 관형푸셔(610)에 연결되고, 상기 푸셔는 안내부(607)를 둘러싸고 하우징(606)의 단부벽(606a)에 작용이 이루어지는 에너지 저장요소(611)의 단부권선을 위한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지지대(610a)를 포함한다. 푸셔(610)는 안내부(607)의 외측표면을 따라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고, 에너지 저장요소는 한쪽에 푸셔(610) 및 안내부(607)과 다른 한쪽에 하우징(606)의 성형된 벽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이 된다.
너트(605)의 핀모양을 한 종동자(609)들은 작동장치(500)의 핀(509) 및 포크(510)의 연결에서 설명된것과 동일하게 포크(613)의 가지(612)와 연결된다. 포크(613)의 아암(614)은 작동장치(600)의 출력요소에 연결되거나 구성하고, 하우징(606)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슬롯(615)을 통해 확장구성된다. 상기 슬롯은 가요성 벨로우즈(616) 또는 이송나사(604) 및 너트(605)의 나사산들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씰링(sealing)이 이루어진다.
축(603) 주위에서 출력축(602) 및 이송나사(604)와 너트(605)가 회전이 일어나지 않게 고정하도록 안내부(607)(상기 안내부는 하우징(606)내에서 회전할 수 없다)의 슬롯(608)을 둘러싸는 표면과 함께 작동한다. 너트(605)가 하우징(606)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615)을 둘러싸는 표면과 출력요소(614)가 함께 작동하도록 출력요소(614)는 슬롯 또는 개구부(615)내에 설치가능하다.
이송나사(604), 너트(605)는 제 1 단을 구성하고, 종동자(609)와 가지(612)는 제 2단을 구성하며, 상기 제 1단 및 제 2단은 작동장치(600)의 전기모터(601) 및 출력요소(614)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 변속기에 구성된다. 에너지 저장요소(611)은 단부벽(606a)에 연결가능하고, 지지대(610a)에 연결가능하여, 모터(601)가 아이들(idle)상태에 있을 때 너트(605)를 선택된 축방향 위치에 자동으로 밀거나 끌어당기는 작용뿐만 아니라 너트(605)를 단부벽(606a)으로 또는 단부벽(606a)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모터(60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에 있어서, 작동장치(500,600)의 수정예를 구성하는 작동장치(700)가 도시된다. 상기 작동장치(700)는 회전 중공출력축(701a)을 가진 전기모터(701)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축(701a)은 너트(702)에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너트는 모터(701)가 회전할 때 축(714) 주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너트(702)가 동심축을 이루는 이송나사(703)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나사는 측(714) 주위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고, 즉 너트(70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701)가 회전할 때 이송나사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터(701)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이송나사(703)의 상기 단부(704)는 반경방향으로 외부로 확장 구성되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핀(705)을 운반하고, 상기 핀(705)은 슬라이드(706)와 이송나사를 연결한다. 슬라이드(706)는 작동장치(700)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713)의 하우징 부분(717)의 외측부분을 따라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다. 하우징 부분(717)은 확장구성부(708)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구성부(708)는 너트(702)와 이송나사(703)를 둘러싸며, 이송나사의 단부(704)의 각각의 핀(705)을 위해 축방향으로 평행한 슬롯(707)이 구성된다. 각각의 핀(705)은 포오크(709)의 가지와 위치(710)에서 절점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포오크는 하우징(713)의 개구부 또는 슬롯(712)을 통해 외부로 확장구성되고 작동장치(700)의 츨력요소와 연결되는 아암(711)으로 구성된다. 작동장치(7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니트의 전자회로로 부터 전기모터(701)로 전달되는 신호의 특성(예를들어 강도(intensity))에 따라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크기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요소는 단단히 고정되게 이동가능하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러치 또는 다른 토크 전달장치의 토크 선택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의 좌측단부에 위치한 단부벽에 작동하고 슬라이드(706)의 외측 숄더에 구성되도록 하우징(713)내에 설치된다. 도시된 에너지 저장요소(715)은 모터(701)가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우측으로 축방향으로 이송나사(703)를 용이하게 이동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만약 에너지 저장요소(715)의 단부권선이 각각 하우징(713) 및 슬라이드(706)에 각각 연결된다면(즉 이송나사(703)에 연결되면), 에너지저장요소(715)는 모터(701)가 중공출력축(701a)내로 또는 더 깊게 이송나사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706)는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그러나 씰링(sealing)이 이루어지도록 (실제로 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우징 부분(717)의 외측 표면과 결합 가능하다; 상기 미끄럼운동식 연결이 이루어지는 궤적(716)이 나타난다.
작동장치(700)의 중요한 장점은 소형화에 있다. 그래서 에너지 저장요소(715)의 실제적인 부분은 모터(701)의 하우징(718)을 둘러싸서 축(714)의 방향에서 알 수 있듯이 작동장치의 공간 요구 사항을 감소시켜준다. 출력축(701a)이 중공(hollow)으로 구성되어, 출력요소(711)의 소요위치에 따라, 출력축은 이송나사(703)의 더 큰 부분 또는 더 작은 부분을 수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추가의 공간절약(축(714)의 방향에서 알 수 있듯이)이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실제로 도 10에 나타났듯이) 핀 또는 핀들(705)가 모터(701)으로 부터 최대거리(또는 인접거리)에 위치될 때 에너지저장요소(715)의 반쪽은 모터 하우징(718)을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저장요소(715)의 우측단부권선의 지지대를 슬라이드(706)의 좌측단부에 전달하는 것이 똑같이 가능하여, 전체 에너지저장요소는 다음에 모터하우징(718)의 두 개의 축단부들 사이에 위치한다. 너트(702)는 모터(701)를 구성하는 중공출력축(701a)의 내부 나사단부를 구성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718)의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서 실제로 중간에 위치한 에너지저장요소(715)의 좌측단부권선의 위치 설정은 하우징(713)이 하우징(718)의 주요부를 둘러싸도록 설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 설정에 의해, 축(701a), 너트(702) 및 이송나사(703)의 공통축(714)이 향하는 방향으로 고려되듯이 공간 절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은 축(803)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출력축(802)을 가진 전기모터(801)로 구성되는 작동장치(800)를 나타낸다. 축(802)은 너트(805)와 짝을 이루는 동심의 이송나사(804)와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성된다.
이송나사(804) 및 너트(805)는 모터(801)의 출력축(802) 및 작동장치(800)의 왕복출력요소(810) 사이에서 단순구조의 변속기를 구성한다.
작동장치 하우징(812)을 구성하는 내벽(809)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슬롯(808)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반경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확장 구성되는 핀모양의 종동장치(807)로 형성되는 슬라이드(806)와 너트(805)는 운동을 공유한다. 종동장치(807)은 슬라이드(806)와 일체로 구성가능하거나, 마찰이 존재하고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슬라이드에 고정되고 분리상태로 제조되는 부품들로 구성된다. 상기 종동장치들은 벽(809)과 함께 작동하여 축(803) 주위에서 너트(805) 및 슬라이드(806)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즉, 모터(801)의 출력축(802)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때마다 너트(805)는 축(803)의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된다.
작동장치(800)의 출력요소(810)는 슬라이드(806)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고정되어, 출력요소가 축(803)의 방향으로 너트(805)의 모든 운동을 공유한다. 상기 출력요소는 하우징(812)의 단부벽내에 위치한 개구부(811)를 통해 외부로 확장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벨로우즈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 씰링(sea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요소(810)은 토크 전달장치(예를들어, 마찰클러치)의 포오크(fork)모양을 하고, 레버모양을 하며, 다른 형태를 가진 토크 선택장치 또는 도 11 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방법으로 변속장치의 기어비 선택부품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가능하다. 출력요소(810) 및 자동조정이 가능한 토크 전달장치 또는 변속장치 사이의 간접적인 연결이 링크(link)기구, 보우덴케이블(Bowden cable)또는 유체작동식 연결장치, 예를들어, 도 1a에 나타난 형태로 유압관(9) 및 실린더(10,11)로 구성되는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로 구성가능하다.
하우징(812)은 벽(809)의 반경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요소(813)를 제한한다. 에너지저장요소(813)의 한쪽단부권선은 종동장치(807)에 구성되는 지지대(814)에 수용되고, 다른쪽 단부권선은 하우징(812)의 단부벽(812a)에 작용한다. 그래서, 에너지저장요소(813)의 단부권선이 지지대(814) 및 단부벽(812a)에 연결되지 않는다면, 도시된 에너지저장요소(813)는 모터(801)가 출력요소(810)을, 도 11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작동하거나, 모터가 정지될 때 기정의 축방향위치내에 출력요소(810)를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예를들어, 에너지저장요소(813)은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스프링의 바이어스(bias)를 극복하거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은 클러치내에 설치되고, 도 11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출력요소(810)를 이동시킨다.
작동장치(800)의 작동모드(mode of operation) 및 구성은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난 구성 및 작동모드와 매우 유사하다. 이들 작동장치 사이의 차이는 작동장치(500)의 출력요소(521)는 너트(505)와 절점연결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작동장치(800)의 출력요소(810)은 너트(805)와 단단히 고정되도록 연결된다.(예를들어, 일체로) 게다가 출력요소(521)은 너트(505) 및 확장 구성부(507)의 축(503)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반면에, 출력요소(810)은 너트(805) 및 확장구성부 또는 슬라이드(806)와 동심구조를 이룬다. 너트(805) 및 이송나사(804)의 위치는 역전가능하고, 즉 너트는 출력축(80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도 10을 참고).
도 12 는 회전출력축(902)를 가진 전기모터(901)으로 구성된 작동장치(900)를 나타내고, 상기 회전 출력축은 이송나사(903)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연결된다. 이송나사는 관형 확장구성부(905)를 가진 너트(904)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관형 확장구성부는 작동장치(900)의 출력요소의 일부로 형성하거나 구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너트(904)는 반경방향을 향해 외부로 확장구성되는 핀 또는 종동장치(908)에 의해 이송나사(903)와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관형 안내부(906)내에 구성된 기다란 형태의 슬롯(907)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관형안내부는 작동장치(900)의 하우징(911)에 고정되거나 일부를 형성한다. 핀(908)는 에너지 저장요소(910)의 한쪽 단부 권선(910b)을 위한 적합한 지지대(909)를 형성한다.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의 다른 한쪽 권선(910a)는 하우징(911)의 단부벽에 작용하고, 상기 하우징은 모터(901)으로 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에너지 저장요소(910)는 하우징(911)의 반경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벽과 관형 안내부(906)사이의 공간내에 제한되고, 상기 관형 안내부는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너트(904)의 확장구성부(905)를 수용한다.
출력요소 또는 확장구성부(905)는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에 의해 클러치 또는 다른 토크 전달장치의 토크 선택장치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보우덴케이블은 확장구성부(905)에 고정된 한쪽단부를 가진 와이어 및 하우징(911)의 우측단부벽에 고정된 슬리브(913)을 포함한다. 모터(901)은 슬리브(913)에 대하여 와이어(912)를 인장작용을 하고, 상기 인장작용은 에너지저장요소(910)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요소(910)의 상기 기능은 우측단부권선(910a)이 모터(901)와 떨어져 있는 하우징(911)의 단부벽에 작용하게 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너트(904)를 모터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한쪽 방향으로 지지대(909)를 우측단부권선(910b)가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어진다(도 11의 작동장치(800)내에 위치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장착과 비교하라).
상기 작동장치들은 출력요소들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요소들은 포오크, 레버, 링크, 축, 로드, 케이블 또는 유사부품들 직접 또는 구형, 카르단(cardan)또는 다른 적합한 연결장치에 의해 상기 구성부품들의 단단히 고정된 연결에 의해, 클러치의 토크 선택장치 및/또는 변속장치의 특정 구성부품에 미는작용 또는 당기는 작용이 함께 이루어진다. 작동장치의 출력요소 및 토오크전달장치 및/또는 변속장치의 구성부품사이에 유니버설조인드(universal joint)또는 다른 적합한 조인트(joint)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종종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전기모터의 회전출력축 및/또는 상기 회전출력축과 동심을 이루는 너트 또는 이송나사에 과도한 횡방향(반경방향)응력이 가해질 가능성을 줄여준다. 예를들어, 유니버설조인트는 도 11의 출력요소(810) 및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너트(805)의 슬라이드(806)사이에 구성가능하여 너트(805), 이송나사(804) 및/또는 출력축(802)의 횡방향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은 만약 출력요소가 확장구성부(806)와 절점연결이 이루어진다면 하우징(812)의 단부벽내에 확장된 개구부(811)를 구성하고 출력요소(810)를 위한 보다 복잡한 안내장치로 구성하는 것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와같은 예비적으로 알아야하는 지식은 모터 또는 작동장치의 변속기 및 토크 전달장치 및/또는 변속기의 운동수용요소 사이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는 연결이 모터의 출력축 및/또는 상기 출력축과 동심을 이루는 부품들의 현저한 횡방향 응력상태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상기 작동장치내에서 이용되는 이송나사들은 선호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피치(pitch) 또는 리드(lead)를 가지는 나사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전기모터의 출력축의 도시RPM에서, 너트상에 위치하는 이송나사는 필요한 속력에서 이동될 수 있고, 제어유니트의 전자제어부분으로 부터 작동장치로 전달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토오크전달장치 및/또는 변속장치의 신뢰할만한 조정기능을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품(너트 또는 이송나사)이 소요크기의 힘을 전달가능해진다. 이송나사의 피치 또는 리드가 증가될 수 있는 경우는 작동장치내의 변속기 또는 다단변속기의 단계가 단수가 낮은 변속기이거나 낮은 단수일때이다. 상기 구성은 종종 바람직한데, 이송나사 또는 이송나사와 짝을 이루는 너트의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수에 의해 너트 또는 이송나사는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의 출력축의 방향으로 소요거리를 이동하게되고, 상기 작동장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을 하는 이송나사와 변속기 또는 변속기 단수로 구성된다.
도 13 은 출력축(1002)을 가진 전기모터(1001)로 구성되는 추가의 작동장치(10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출력축은 축(1003)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다. 작동장치(1000)는 추가로 2단변속기 구성되고, 제 1 단에서 짝을 이루는 한세트의 스퍼기어(1005, 1006)로 구성되고, 제 2 단에서 너트(1009) 및 이송나사(1010)로 구성된다. 상기 단은 하우징(1004)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전기모터(1001)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을 구성가능하거나 연결가능하다. 스퍼기어(1005)는 출력축(1002)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구성되며, 스퍼기어(1006)는 이송나사(1010)과 동심축을 이루고, 너트(1009)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고정된다.
작동장치(1000)를 구성하는 변속기는 다른 변속기에 의해 교체가능하고, 예를들어, 벨트(belt) 또는 체인(chain)과 풀리(pulley) 또는 스프로켓 휠(sprocket wheel)변속기로 교체 가능하다. 또한, 스퍼기어(1005,1006)로 구성되는 기어장치는 두 개 이상의 기어들(예를들어 기어(1005) 및 기어(1006) 사이에 중간기어가 구성되는)로 구성되는 기어장치로 교체 가능하다. 만약 변속기가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무한벨트 및 풀리(pulley) 또는 슬리브로 구성된다면, 벨트 또는 벨트들은 내부에 치형을 가진 벨트로 구성되고, 풀리 또는 슬리브가 외부에 짝을 이루는 치형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특히 만약 너트(1009) 및 이송나사(1010)의 공통축이 축(1003)에 대해 경사구조를 이룬다면, 스퍼기어(1005,1006)를 한세트의 베벨기어(bevel gear)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경사를 이루는 상기축은 서로 교차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기어(1005)는 출력축(1002)과 일체로 구성가능하거나, 분리상태로 제조된 부품을 구성가능하고, 기어(1006)은 축방향운동을 억제하지만 하우징(1004)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자유롭다. 기어(1006)를 위한 적합한 베어링(1007)이 도시된다; 상기 베어링은 이송나사(1010)에 대하여 기어(1006)와 중심을 일치시키고 기어(1006)의 축방향운동을 억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너트(1009)(기어(1006)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나는)는 출력축(1002)의 회전에 응답하여 이송나사(10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분리된 상태의 링(1008) 또는 적합한 다른 지지요소가 하우징(1004)내에서 소요축방향위치내에 베어링(1007)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기어(1005,1006) 및 너트(1009)가 적합한 합성프라스틱 재료로 구성가능하고(예를들어, 인젝숀 몰딩기계(injection molding machine), 상기 기어 및 너트는 금속제 재료로 제조가능하다. 실제로 도시된 너트(1009)는 기어(1006)의 내부로 나사가 형성되고 슬리브 모양을 한 축방향 확장구성부가 된다.
이송나사(1010)는 너트와 회전될 수 없도록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안내부(예를들어, 베어링)(1011)에 의해 하우징(1004)내에서 신장되거나 장착되어진다. 상기 구성은 안내부(1011)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적어도 이송나사(101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에너지저장요소(1012)가 에너지저장요소의 한쪽 단부권선(1012a)이 하우징의 단부벽에 작용하고, 다른한쪽 단부권선(1012b)이 이송나사(1010)와 일체화되거나 고정되는 컵모양의 지지대(1013)을 포함하도록 하우징(1004)내에 장착된다. 에너지 저장요소의 단부권선(1012a, 1012b)들이 하우징(1004) 및 지지대(1013)에 각각 연결되면, 에너지 저장요소(1012)는, 도 13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이송나사(10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작동가능하다.
이송나사(1010)의 단부(1050,1051)이 작동장치(1000)의 출력요소와 연결되거나 클러치 또는 다른 토크 전달장치의 토크 선택장치와 직접연결이 가능하게, 이송나사(1010)의 크기가 결정되고 설치된다. 그래서, 단부(1050)는 (예를들어, 유니버설조인트 또는 다른 적합한 조인트에 의해) 상기 토크 선택장치 예를들어, 마찰클러치를 구성하는 연결/분리기능의 포오크에 단단히 고정되게 또는 절점연결식으로 연결가능하다. 단부(1051)는 (예를들어, 보우덴케이블에 의해) 토오크전달장치 또는 변속장치의 다른 일부 또는 마찰클러치의 포오크에 단단히 고정되게 또는 절점연결식으로 연결가능하다. 단부(1050)는 운동 수용부를 밀어내는 작용을 할 수 있고, 단부(1051)은 상기 운동수용부를 끌어당기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13 은 또한 이송나사(1010)를 구성하는 단부(1050) 및 단부(1051)에서 하우징(1004)의 씰링(sealing)에 사용되는 벨로우즈(bellows)를 나타낸다. 단부들중의 오직하나만이 작동장치(1000)의 출력요소로서 사용된다면, 다른 단부가 박막 또는 다른 적합한 씰링장치 벨로우즈내에 완전히 구속될 수 있어, 하우징(1004)의 내부로 외부물질이 유입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4 는 작동장치(1000)의 수정예를 구성하는 작동장치(1000')를 나타낸다. 차이는 다음과 같다. 즉, 에너지저장요소(1012)가 이송나사(1010')의 우측단부(1062)를 하우징내로 끌어당기고, 이송나사의 좌측단부(1061)를 하우징으로 부터 밀어내도록 에너지 저장요소(1012)는 작동장치(1000')의 하우징내에 장착된다. 에너지저장요소(1012')의 좌측단부권선(1012d)는 이송나사(1010')의 디스크모양부분 또는 지지대(1010a')를 포함하고, 우측단부권선(1012c)는 하우징의 내부 숄더(internal shoulder)에 작용한다. 기어(1006')는 작동장치(1000)의 기어(1006)보다 길이가 짧은데, 너트(1009')는 스퍼어기어(1005)와 일직선상에 놓이기 때문이다.
작동장치(1000)의 에너지 저장요소(1012)는 (도13에서와 같이)우측으로 이송나사(1010)를 밀고, 에너지 저장요소(1010')는 (도14에서와 같이) 좌측으로 이송나사(1010')를 민다. 그러므로, 에너지저장요소(1010')의 단부(1062)는 운동수용부를 끌어당기기위한 장치로서 사용가능하고, 단부(1061)은 운동수용부, 예를들어 연결기능/분리기능의 포오크 또는 마찰클러치의 베어링을 미는 장치로서 이용가능하다. 도 14 는 작동장치(1000')의 하우징이 하우징(1004)과 다소 다른 것을 나타내고, 작동장치(1000')의 선형안내부 또는 베어링(1011)은 다소 너트(1009')에 인접하게 장착되며, 에너지저장요소(1012)의 축방향길이는 에너지저장요소(1012)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a, 도 15b, 도 15c 및 도 15d는 개선된 형태의 작동장치내에서 이용가능하고 선호되는 4개의 다단 변속기를 나타낸다.
도 15a에 있어서, 작동장치의 상기 부분은 기어장치의 제 1 스퍼기어(1102)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단단히 고정되게 연결되는 회전출력축을 가지는 전기모터(1100)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장치는 추가로 스퍼기어(1102)와 치접상태를 이루는 제 2 스퍼기어(1103)으로 구성되고, 너트가 구성되고 베어링(1104)내에서 기어(1103) 및 너트(1105)와 짝을 이루고 있는 이송나사(1106)의 축방향운동을 회전가능하게 억제한다. 이송나사(1106)는 선형베어링 또는 안내부(1107)에 의해 회전운동이 억제되고, 즉 상기 이송나사는 출력축(1101)의 회전에 응답하여 축방향으로 강제로 이동된다. 도 15a의 2단변속기는 도 13에 도시된 작동장치(1000)의 변속기와 유사하다. 안내부(1107)와 접촉상태에 있는 이송나사(1106)의 상기부분은 비원형의 단면외곽선을 가지고, 안내부(1107)는 안내부에 의해 이송나사의 상기 비원형부분이 축방향으로(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안내부와 회전 불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5b는 제 2 스퍼기어(1203)와 치접상태를 이루는 스퍼기어(1202)를 이동시키는 회전출력축(1201)으로 구성하는 전기모터(1200) 또는 다른 주운동장치로 구성되는 다른 작동장치를 나타낸다. 제 2 스퍼기어(1203)는 베어링(1204)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 운동이 억제된다. 스퍼기어(1203)는 토오크를 회전 이송나사(1205)의 확장구성부(1205a)에 전달하고 상기 회전 이송나사는 이송나사의 축방향 위치가 불변되도록 작동장치의 하우징내에 장착된다. 이송나사(1205)는 너트(1206)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상기 너트(1206)는 하우징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너트(1206)는 토오크전달장치 및/또는 변속기(도15b에 나타나지 않음)의 운동부품에 척력 또는 인력을 전달하는 원형(또는 다른형태의) 출력요소를 이동시킨다. 모터(1200)와 출력요소(1207)사이에 위치한 변속기의 제 1 단은 한세트의 스퍼기어(1202,1203)로 구성되고, 도 15a의 다단변속기내에 위치한 축방향으로 고정된 회전너트 또는 허브(1105)와 대비하여 제 2단은 이송나사와 나사결합을 하고,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한 너트(1206) 및 이송나사(1205)로 구성된다.
도 15c에 나타난 작동장치의 다단변속기는 스퍼기어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스퍼기어장치는 전기모터(1300)의 출력축상에 제 1 기어 및 스퍼기어(1302)와 나사결합을 하고 회전축방향의 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베어링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기어(1303)의 늘어난 관형 허브는 너트(1306)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이송나사의 늘어난 구조의 인접단부에 토오크를 전달하고, 상기 너트(1306)는 작동장치의 하우징내에서 고정되게 장착된다. 기어(1303)가 모터(1300)에 의해 구동될 때, 기어(1303)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나사(1305)를 회전시키는데, 기어가 고정되게 장착되는 너트와 치접상태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송나사(1305)의 다른단부는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퍼기어(1303)의 허브(hub)내에 다단접힘식으로 삽입되지 않고, 이송나사(1305)의 우측단부가 기어(1303)의 축방향 확장구성부를 제한하고 토오크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5d의 작동장치는 회전출력축을 가진 전기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출력축은 제 2 스퍼기어(1403)와 치접상태를 이루는 제 1 스퍼기어(1402)를 구동시킨다. 제 2 스퍼기어는 베어링(1404)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작동장치의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기어(1403)는 늘어난 모양의 관형 중공허브로 구성되고, 상기 관형중공허브는 토오크를 너트(1405)에 전달하고, 상기 너트는 하우징내에 회전이 불가능하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너트(1405)는 이송나사(1406)와 나사결합을 하고, 상기 이송나사는 작동장치의 하우징내에 고정장착되고, 축력축(1401)의 회전에 응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너트(1405)의 관형 확장구성부는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로서, 또는 단단히 고정되게 또는 절점연결식으로 연결되는 분리상태의 출력요소에 인장력 및/또는 척력 방생장치로서 작동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전기모터(1503)의 출력축(1504)의 축방향으로 요구되는 공간요구량을 작게 또는 최소가 되도록 설계된 작동장치(1500)를 나타낸다. 상기 목적을 위해 에너지 저장요소(1501)은 모터(1503)의 하우징(1502)를 둘러싼다; 에너지 저장요소의 한쪽 단부권선은 하우징(1502)의 단부벽(1502a)에 작용하고, 다른쪽 단부권선은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또는 푸셔(pusher)(1505)의 부분(1502)에 포함된다. 푸셔는 모터(1503)의 출력축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구성되는 늘어난 모양의 이송나사와 짝을 이루는 너트(1506)를 포함한다. 하우징(150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모터(1503)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발산가능하게 한다.
도 16b에서 알수 있듯이, 너트(1506)는 슬라이드 또는 푸셔(1505)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모터(1503)가 작동할 때 출력축(1504)의 너트 및 이송나사를 포함하는 변속단계의 잼밍(jamming)이 발생될 가능성을 줄여준다. 푸셔(1505)는 두 개의 안내로드(1507)를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두 개의 안내로드(1507)들은 출력축(1504)에 평행하고, 모터(1503)의 한쪽측면에서 하우징(1502)내에 장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푸셔(1505)는 두 개의 종동장치(1508,1509)로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종동장치(1508,1509)는 안내로드(1507)의 축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구성되고, 안내로드를 미끄럼가능하게 둘러싼다. 적합한 씰링(1510)이 하우징(1502)내에 구성되어, 출력축(1504)의 너트(1505)와 이송나사의 짝을 이루는 부분들 사이에 이물질 유입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작동장치(1500)는 추가로 두 개의 벨로우즈(1511,1514)로 구성된다. 벨로우즈(1511)는 단부벽(1502a)과 종동장치(1508) 사이에서 확장구성되어 안내로드(1507)의 좌측부분들을 둘러싸게 된다(도 16a참고). 벨로우즈(1514)는 슬롯(1502b)에 씰링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슬롯은 작동장치(1500)의 출력요소를 위해, 다시말해 레버의 다리 또는 암(arm) 또는 로드(rod) 또는 링크(1512)를 위해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출력요소는 유니버설 조인트(1513)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 너트(1505)에 절점연결이 이루어진다.
에너지저장요소(1501)는 도 16a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너트(1505) 및 출력요소(1512)를 밀어내는 작용이 가능하고, 즉, 상기 에너지 에너지저장요소는 안내로드(1507)를 따라 너트(1505)의 두가지 운동방향중에 적어도 한방향으로 모터(1503)가 너트(1505)를 용이하게 운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로드는 너트(1505)를 위해 레일 또는 길쭉한 모양으로 다른 형태의 안내장치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링크(1512)는 너트(1505)로 부터 토크 전달장치 및/또는 변속장치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동을 전달가능하다. 토오크전달장치 및/또는 변속장치의 운동부품과 출력요소(1512) 사이의 연결은 구형조인트(spherical joint) 또는 다른 적합한 운동전달장치로 구성가능하다.
출력요소(1512) 및 운동 수용장치 사이의 연결은 또한 유체작동식(유압식 또는 공압식)장치로 구성가능하다. 또한, 출력요소(1512)는 푸셔(pusher)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상기 푸셔는 도 1a의 마스터실린더(11)에 해당하는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 및 너트(1505)와 단단히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마스터 실린더는 하우징(1502) 위 (또는 심지어 내부에) 장착되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마스터실린더는 나사가 구성된 고정구 또는 다른 적합한 고정구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거나, 마스터 실린더는 하우징(1502)과 일체로 구성가능하다. 또한 너트(1505) 또는 출력요소(1512)를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에 의해 마찰클러치 또는 유사장치의 운동수용부와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출력요소(1512)는 구성상 생략될 수 있고, 보우덴케이블의 와이어는 두 개의 안내로드(1507)사이에 위치한 너트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보우덴케이블의 슬리브는 하우징(150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고로 하여, 작동장치(1600)은 전기모터(1602)를 구성하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1602a)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형태의 에너지 저장요소는 모터의 하우징(1602a)를 둘러싸고, 하우징(1601)의 단부벽(1601a)에서 작용이 이루어진다. 에너지 저장요소(1603)의 좌측단부권선은 디스크(disc)형태의 왕복운동이 가능한 지지대 또는 기다란 모양을 하고 기어이가 구성된 랙(1608)에서 작용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 및 랙은 작동장치(1600)의 모터(1602) 및 출력요소(1613,1614) 사이에 위치한 2단변속기의 제 2 단을 구성한다.
모터(1602)를 구성하는 출력축(1604a)는 기다란 모양의 워엄기어(1604)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워엄기어는 축(1606) 주위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한 워엄휠(1605)과 치접상태를 이루고, 축(1606)은 하우징(1601)내에 장착되어 상기축은 축(1604a)과 수직을 이룬다. 워엄기어(1604) 및 워엄휠(1605)는 2단 변속기의 제 1 단을 구성하고, 제 2 단은 추가로 스퍼기어(1607)로 구성되며, 상기 스퍼기어(1607)는 워엄휠(1605)로 부터 토오크를 전달받으며 랙(1608)의 기어가 구성된 부분과 치접상태를 이룬다. 워엄휠(1605)은 스퍼기어(1607)와 일체로 구성가능하고, 워엄휠(1605) 및 스퍼기어(1607)는 인젝션 몰딩기계(injection molding machine)또는 다른 적합한 기계내에서 적합한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워엄휠(1605) 및 스퍼기어(1607)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서로 끼워맞춤 상태이고 핀(pin), 볼트(bolt), 너트(nut), 나사(screw)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게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1602)로 부터 떨어져 있는 출력축(1604a)의 단부부분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1604b)내에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1604b)은 작동장치(1600)의 하우징(1601)내에 설치된다.
기어비가 구성되는 랙(1608)은 선형 안내부(1611)내에 그리고 니들 베어링(needle bearing)(1610)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양자모두가 하우징(1601)내에 장착된다. 안내부(1611)를 제한하는 하우징(1601)의 상기 부분은 모터 하우징(1602a)의 일부 및 에너지 저장요소(1603)에 인접하여 외부를 향한다.
베어링(1610) 및 안내부(1611)는 기정경로를 따라 기어이가 구성된 랙(1608)의 왕복운동을 제한하여, 스퍼기어(1607)위와 랙(1608)의 기어이가 구성된 부분위에 응력 발생을 감소시킨다.
만약 에너지 저장요소가 랙(1608)을 구성하는 디스크 모양의 지지대 및 하우징(1601)의 단부벽(1601a)에 연결되지 않는다면, 에너지저장요소(1603)는 도 17a에서 볼 수 있듯이 좌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킨다.
랙(1608)의 단부(1613)는 출력요소를 구성하고 (또는 출력요소와 연결될수 있고), 상기 출력요소에 의해 모터(1602)는 한쪽 방향으로 척력을 작용 가능하여, 선정위치로 마찰클러치 또는 다른 토오크전달장치의 운동부품을 이동시킨다. 만약 단부(1613)가 직접 상기 운동부품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면, 연결은 포오크, 레버, 링크장치 및 마스터 실린더 및 실린더 또는 유사장치로 구성가능하다. 만약 클러치 또는 유사장치의 운동부품들이 치형구성 랙(1608)의 단부부분(1614)에 의해 작용하는 인장력에 응답하여 조정된다면, 단부부분(1614)과 운동부품 사이의 연결은 링크장치 포오크 또는 다른 적합한 레버 또는 보우덴 케이블로 구성 가능하다.
제 1 벨로우즈(1615)은 적어도 사실상 안내부(1611)를 제한하는 하우징(1601)의 상기(실제로 관형) 부분의 개방단부를 밀봉한다. 제 2 벨로우즈(또는 다른 적합한 씰링(sealing 장치)이 랙(1608)의 단부(1614) 주위에서 하우징(1601)상에 구성된다.
기어(1607) 및 랙(1608)으로 구성되는 변속기의 상기 기어단은 크랭크(crank)또는 캠(cam) 또는 한세트의 베벨기어(bevel gear)또는 유성기어(planecary gear)로 구성되는 기어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베어링(1609)이 기어(1607) 및 워엄휠(1605)을 장착하는 축(1606)의 단부들을 위해 하우징(1601)내에 구성된다. 도 16b에서, 워엄휠(1605) 및 기어(1607)이 축(1606)을 둘러싸는 슬리브에 위해 서로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8a 및 도 18b는 추가의 작동장치(1700)가 하우징(1702)내에서 저널이음이 이루어진 축(1717)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출력축(1703)을 가지는 전기모터(1701)으로 구성된다. 출력축(1703)는 스퍼기어(1704)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스퍼기어는 유성기어의 선기어(sun gear)로 구성된다. 유성기어는 모터(1701)와 왕복운동이 가능한 출력축(1712) 사이에 위치한 2단 변속기의 제 1 단을 구성하고, 추가로 상기 변속기의 제 2 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전 실린더 캠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단단히 고정되는 내부기어(1706) 및 선기어(1704)와 치접상태를 이루고 있는 한셋트의 유성기어(1705)로 구성된다. 캠(1707)은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702)내에서 저널(journal)이음이 이루어지고, 위치(1711)에서처럼 하우징(1702)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1710)의 한쪽단부에서 롤러종동장치(roller follower)(1709)을위해 적합한 모양을 한 원주위치와 캠 그루우브(1708)으로 구성된다. 캠(1707)은 두 개의 실린더부분들로 구성가능하고, 상기 실린더부분은 외측부내로 다단접힘이 이루어지는 내측부를 포함한다; 외측부는 다음에 캠 그루우브(1708)로 구성된다. 상기 캠 그루우브를 둘러싸는 표면은 실린더캠(1707)을 구성하는 재료를 더욱 경화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롤러 종동장치(1709)의 축은, 레버(1710)의 피봇축과 동일하게, 축(1717)과 수직을 이룬다. 출력요소(1712)는 롤러 종동장치(1709)로 부터(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운동을 수용하는 왕복운동이 가능한 푸셔가 된다. 작동장치(1700)의 2단 변속기의 제 2 단 즉 실린더 캠(1707) 및 위치(1711)는 선기어(1704), 유성기어(1705) 및 내부기어(1706)중에 내부기어(1706)의 회전운동을 출력요소 또는 푸셔(1712)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준다.
출력요소(1712)는 클러치 또는 다른 토오크전달장치의 운동 수용부분 또는 변속기의 운동 수용 요소에(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702) 내에 위치하는 레버(1710)의 장착은 작동장치(1700)가 사용될 때 레버가 출력요소(1712)에 작용하는 적어도 일부의 횡방향 능력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캠(1707)에 대하여 특정 허용가능한 유격에 의해 레버가 롤러 종동장치(1709)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의 형태를 가지는 에너지 저장요소(1714)는 하우징(1702)(도 18b참고)에 작용하고, 캠(1707)에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모터(1701)가 축(1717) 주위에서 캠을 용이하게 회전하게 만든다. 축(1717)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에너지저장요소의 상기 단부권선은 캠(1707)에 포함되는 베어링(1715)내에서 저널(journal)이음이 이루어지는 축의 한쪽 단부 및 하우징(1702)내에서 저널이음이 이루어지는 핀(1716)을 가지는 크랭크(1713)와 연결되는 다른쪽 단부상에서 지지대(1713a)를 포함한다. 지지대(1713a)는 상기축 주위에서 앞뒤로 회전가능하고 캠(1707)의 반경방향으로 축(1717)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다.
모터(1701)는 축(1717) 및 캠 그루우브(1708) 주위에 위치한 출력축(1703)의 회전방향에 따라 출력요소(1712)를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캠 그루우브(1708)의 정확한 모양은 에너지저장요소(1714)의 인접단부권선 및/또는 그 반대 인접 단부권선의 장착특성(크랭크(1713), 지지대(1713a) 베어링(1715), 핀(1716))의 함수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주운동장치(2002)(예를들어 전기모터)와 모터(2002)의 출력축(2003)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하우징(2001)으로 구성되는 추가의 작동장치(2000)의 중요 특성을 나타낸다. 축(2003)은 하우징(2001)내에서 저널 이음이 이루어지는 한쪽 단부로 구성되고 워엄휠(2005)과 치접상태를 이루는 기다란 모양의 워엄(2004)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연결된다. 워엄휠(2005)은 디스캠(2007)과 동심을 이루게(위치2006)에서) 연결된다. 캠(2007)으로 부터 떨어져 향하는 워엄휠(2005)의 상기 측면에는 베어링(2009) 내에 장착되는 축(2008)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2009)은 하우징(2001)내에 설치된다. 캠(2007)은 링크(link) 또는 크랭크 아암(2010) 및 하우징(2001)의 베어링(2011)내에 저널이음이 이루어지는 핀을 포함하는 다른 단부와 연결된다.
캠(2007)은 워엄휠(2005)의 모든각 운동을 공유하고, 캠의 주변부표면은 작동장치(2000)의 왕복운동이 가능한 출력요소(2012)와 함께 작동하는 롤러 종동장치(2013)에 의해 추종운동을 하게 된다. 롤러종동장치(2013)은 레버의 한쪽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레버(2001)은 다음에 하우징(2001)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롤러종동장치(2013)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수용하게 된다. 롤러종동장치는 캠(2007)의 외주표면 및 출력요소(2012)의 인접한 축방향 단부에 위치한 취대부사이에서 작동한다.
디스크캠(2007)과 연결되는 크랭크 또는 링크(2010)의 상기 핀은 하우징(2001) 벽에 작용하는 에너지저장요소(2015)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장치(2000)를 포함하는 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가 캠(2007)에 작용하고, 상기 토오크의 크기는 추가로 캠(2007)의 외주표면의 모양에 의존한다. 캠(2007)위에 작동하고 방금 언급한 토크 및 에너지저장요소(2015)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는 캠에 작용하는 토오크합이 에너지저장요소(2015)가 없을 때 더 작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허용범위내의 하중 토크 및 보상기능의 토크 사이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만약 작동장치(2000)가 도 1a의 클러치 3과 같이 토크 전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니트의 일부를 형성한다면, 출력요소(2012)와 클러치의 운동부품 사이의 연결상태를 조정하는 장치가 정상적으로 필요하다. 예를들어, 도 1a의 연결장치들중의 유압관(9)은 소위 스닙핑구멍(sniffing bore)(도1a에 없음)에 의해 가압유체(예를들어 유압유)원(source)과 연결가능하다. 참고서류가 함께 출원된 특허 출원에 나타난다.
작동장치(2000)의 각각의 작동단계에서 상기 출력요소(2012)의 취대부 및 롤러 종동장치(2013) 사이에서 연속적인 물리적 접촉의 형성 및 유지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출력요소(2012) 및 롤러종동장치(2013)중의 하나를 다른 하나에 이동시키는 탄성 기능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a 및 도 19b는 하우징의 내부표면에 작용하고 롤러 종동장치(2013)에 대해 출력요소(2012)의 취대부를 이동시키는 코일 스프링(2016)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롤러 종동장치는 디스크캠(2007)의 주변부표면과 접촉상태를 이루게 된다.
작동장치(2000)로 구성되는 제어유니트의 전자회로는 하우징(2001)내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로, 제어유니트는 도 1a의 센서들(14-17,19)에 해당되는 적합한 센서장치 및/또는 다른 센서들로 구성가능하다. 예를들어, 작동장치(2000)을 포함하는 제어유니트의 전자회로는 센서(예를들어, 홀 제네레이터(Hall generator) 또는 포텐시오이터 또는 유도 거리제어장치)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센서는 출력요소(2012)의 선형변위를 제어하고(즉 상기 출력요소의 순간위치) 또한 상기 전자회로는 인덱스(index)가 가능한 부품의 점증적인 운동 및/또는 작동장치의 각 위치 및/또는 차량내에 구성된 변속기 및/또는 토크 전달장치의 운동 부품과 출력요소사이의 연결 상태에 있는 부품의 점증적인 운동을 제어하는 센서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하우징(2001)내에 위치한 회로는(모터(2002)를 위한 전원전자장치를 포함하는)모든 회로 또는 상기 회로의 특정 부품들로 구성가능하다.
제어유니트의 작동장치는 자동체결방식이 아니라면(예를들어, 작동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변속기의 다단중의 어느것도 자동체결방식이 아니라면), 작동장치의 에너지저장요소는 작동장치(특히 작동장치의 주운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토크 전달장치 및/또는 변속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기정위치에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작동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만약 개선된 형태의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는 클러치의 운동가능한 토크 전달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면, 주운동장치로 구성되는 작동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 클러치가 기선택된 토오크의 변속기를 위해 자동으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에너지저장요소 및 작동장치의 출력요소 및/또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클러치 탄성부품들에 의해), 상기 작동장치의 에너지저장요소가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차륜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의 도로위에 있고, 차량엔진이 아이들(idle)상태일 때 차량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다른 방안으로, 작동장치 및/또는 클러치는 잠금장치가 구성되고, 엔진이 정지상태이고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상태에 있을 때, 차륜의 회전운동을 자동으로 방지해준다. 상기 구성은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에너지저장요소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종동장치에 의해 추종운동이 이루어지는 캠에 의해 이루어지며 차량의 구름운동이 잠겨지고 작동장치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특정위치(예를들어 사점(dead center)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차량의 엔진 및/또는 작동장치의 모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 소요상태로 클러치를 적극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적합한 멈춤장치(detent means)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멈춤장치(detent means)는 또한 소위 랩어라운드(wraparound)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장치, 전자기식 보조브레이크 또는 다른 소위 보조 작동장치를 고정하고, 주 작동장치의 작동단계 또는 작동이 없을 때 상기 작동장치가 작동상태가 된다. 예를들어, 전자석이 핀 또는 스터드 또는 볼트의 변위발생을 가능하게하여, 상기 운동부품은 소켓, 개구부 또는 유사장치로 삽입 또는 분리가 이루어진다. 핀, 스터드 또는 볼트를 전자석 또는 다른 유사부품의 작동에 응답하여 소켓내로 삽입하는 기능에 의해 선정위치내의 예를들어 작동장치가 아이들(idle)상태 및/또는 차량엔진이 아이들 상태일 때 경사도로에서 차량의 바람직하지 않는 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마찰클러치가 연결되는 위치내에서 다른 운동 부품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 에 나타낸 구조체는 도 2에 나타낸 구조체와 유사하다. 따라서, 클러치(2100)는 엔진-구동 플라이휠(2101), 축 방향으로 가동되는 압력판(2103), 플라이휠(2101)의 마찰면과 압력판(2103) 사이에 마찰 라이닝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2102), 플라이휠(2101)을 향해 축방향으로 움직여서 요구되는 정도로 클러치와 맞물리게 하는 압력판(2103)을 작동시킬 수 있는 레버(2104) 장치, 레버(2104)의 내부를 방사상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중심에 위치한 베어링(2105)과 베어링(2105)을 지지하거나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레버(2106)를 가지는 푸시-타입의 클러치이다. 도 20에 나타낸 구조체는 원동기(2111), 예를들면 탄성모터, 1단 또는 다단 변속기(2112)와 에너지 저장 요소(2115)를 가지는 주 작동장치(2110)로 구성된다. 장방형의 로드, 즉 푸셔 형태의 출력부(2116)는 에너지 저장요소(2115)에 의해 바이어스 될 수 있고 레버(2106)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 즉 클러치(2100)를 포함한 동력 트레인을 가지는 차량의 프레임에 회전하게 장착되지 않은 단부에 관절식으로 이어진다.
주 작동장치(2110)는, 변속기(2112)의 출력부(2112a)와 선택적으로 이어지도록, 또는 작동장치(2110)의 출력요소(2116)에서 상기 출력부와 분리되도록 도와주는 보조작동 장치(2113)와 함께 작동한다. 이것 때문에, 보조작동 장치(2113)는 릴레이(2113a)와 톱니 엔트레인먼트 부재(2114)로 구성된다. 릴레이(2113a)에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을 때, 엔트레인먼트 장치는 작동하지 않고 에너지 저장요소(2115)는 기정의 축방향 위치로 출력요소(2116)를 움직일 수 있는데 도 20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축방향 위치는, 에너지 저장요소(2115)에 의해 결정되고 또, 좌측으로 출력요소(2116)의 움직임을 증감시키고 클러치(2100) 일부를 형성하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하나이상의 탄성 요소 바이어스에 의해 결정된다. 엔트레인먼트 장치(2114)가 작동될 때, 즉, 보조장치(2113)의 릴레이(2113a)에 에너지가 공급될 때, 주 작동장치(2110) 출력요소(2116)의 축 방향 위치는 에너지 저장요소(2115)와 변속기(2112), 즉, 변속기(2112)의 출력부재(2112a)의 위치로 결정되는데, 현재 출력요소(2116) 축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거나 상기 요소(2116)의 축방향 위치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탄성요소를 클러치(2100)는 포함하지 않는다고 가정된다. 릴레이(2113a)의 작용은 역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는데, 즉 릴레이(2113a)에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을 때 엔트레인먼트 장치(2114)가 작동된다.
엔트레인먼트 장치(2114)가 작동하지 않을 때 레버(2106), 베어링(2105), 레버(2104) 또는 클러치(2100)의 압력판(2103)에 직접 작용하고 상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탄성요소의 바이어스는 에너지 자장요소(2115)의 바이어스에 의해 균형을 맞추게 된다.
이것은 엔트레인먼트 장치(2114)가 작동하지 않은 한, 즉 출력요소(2116)의 축방향 위치가 모터(2111)와 주 작동장치(2110)의 변속기(2112)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한, 클러치(2100)는 기정의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되게 한다.
도 20에 나타낸 구조체의 중요한 장점은, 클러치(2100)의 하나 이상의 부분품, 특히 클러치의 유효수명동안 가장 많이 마모되기 쉬운 클러치 디스크(2102)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에너지 저장요소(2115)가 자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 작동장치(2110)가 가동되지 않을 때 보조 작동장치(2113)는 정해진 토크를 자동 선택할 뿐만 아니라 클러치(2100)의 어떤 부분품의 마모를 자동 보상하는 장치로서 이용된다.
톱니 엔트레인먼트 장치(2114)는, 출력부재(2112a)와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출력요소(2116)에서 출력부재를 분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여러 장치중 하나를 구성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가령, 도 23에 상세히 나타낸 것처럼, 보조작동 장치는 서로 마찰에 의해 맞물려 가동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엔트레인먼트 장치(2114)의 두 개의공동 랙 보상 톱니에 의해 확립된 모양-고정 연결부의 장점은, 릴레이(2113a)의 에너지 공급 및 차단으로 부재(2112a)와 요소(2116)사이에서 아주 신뢰할 수 있는 포지티브 기계적 결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20에서, 좌측으로 요소(2116)를 가동시키기 위해 한방향으로 매우 큰힘을 가할때만 요소(2116)와 함께 가동되어야 하는 엔트레인먼트 장치(2114)의 톱니는 출력부재(2112a)에 연결된 톱니 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동안 릴레이(2113a)는 두 세트의 톱니 사이의 상대운동을 줄이는 상태에 놓인다)
변속기(2112)는 1단 또는 다단 변속기이고 선형 또는 비선형의 힘의 변속이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예를들면, 변속기(2112)는 하나이상의 크랭크, 한 세트 이상의 접합 스퍼어 기어 또는 다른 형태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a 와 도 21b는 원동기(2202), 즉, 하우징(2201)과 하우징 내의 베어링(2210)과 하우징 내의 베어링(2210)내에 저널된 출력 샤프트(2209)를 가지는 탄성모터를 포함하는 작동기(2200)의 특정부품을 나타낸다. 출력 샤프트(2209)는 하우징(2201)에 장착된 샤프트(2211)에서 워엄기어(2204)와 접합한 장방향 워엄(2203)의 한 부분에 연결된다. 워엄기어(2204)는 샤프트(2211)로부터 정해진 지름상에서 랙을 유지하는 베어링(2212)을 따라 움직이는 하우징(2201)내에 장착된 장방향 보상 톱니 랙(2206a)의 톱니(2206b)와 접합하는 톱니를 가지는 타원 기어(2205)에 단단히 고정되는데 상기 타원 기어는 기어 세그먼트로 대체될 수 있다. 랙(2206a)은 플런저 형태의 출력요소(2208)에 연결되거나 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플런저 형태의 출력요소는, 도 21a에 나타난 것처럼 에너지저장 요소(2207)에 의해 좌측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고 하우징(2201)내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게 안내된다. 에너지 저장요소는 하우징(2201) 내벽에 맞서 작동되고 톱 랙(2206a)의 디스크 형 접합부(2213)에서 지탱된다.
타원 기어(2205)의 반경은 샤프트(2211)의 축 주위에서 워엄기어(2204)의 각 변위함수에 따라 적절하게 바뀌어진다. 따라서, 기어(2205)의 동일한 양의 각 변위 증가분에 대하여 랙(2206a)의 선형 변위량은 일정하지 않다. 이것은 출력요소(2208)에서 클러치의 가동부분 또는 다른 토크전달 장치, 변속장치로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의 비선형 변위를 일으킨다. 예를들어, 클러치의 가동토크 선택요소와 출력요소(2208) 사이의 연결부는 앞서 설명된 도 1a 에서 9,10,11 로 나타낸 형태의 유체 작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출력요소(2208)와 클러치의 운동수용 토크선택 요소 또는 다른 토크전달 장치사이에서 직접 연결부를 만들수도 있다.
에너지 저장요소(2207)(또는 다른 적합한 에너지 저장요소)는 하우징과 출력요소(2208)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요소(2207)는 접합부(2213)를 밀거나 당길 수 있게 장착된다.
작동장치(2200)의 잇점은, 그것의 랙(2206a)과 출력요소(2208)가 클러치, 다른 토크 전달장치 또는 변속장치의 비선형 지표 분리곡선을 보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모터(2202)에 적용되는 부하의 좀더 균일한 변조를 가능케 한다.
도 21b 는 워엄기어(2204)와 스퍼어 기어(2205)를 지탱하는 샤프트(2211)의 한 단부부분을 위한 베어링, 즉 보올 베어링을 나타낸다.
도 21c 와 도 21d 는 작동장치(2200)를 수정한 작동장치를 세밀하게 나타내었다. 도 21c 와 21d 의 기어(2205')는 톱니가 있는 랙(2206a')의 톱니(2206b')와 맞물리는 톱니(2220)를 가지는 세그먼트이다. 도 21c 는, 기어(2205')의 축 가까이에 있는 톱니(2220)가 랙(2206b')의 톱니와 맞물리는 각 위치에서 기어(2205')를 나타낸다. 도 21d 에서 기어(2205')의 각 위치는 랙(2206a')의 톱니가 기어(2205')의 축으로부터 최대 거리에 놓인 톱니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랙(2206')은 도 21c 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위치에 놓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1c 와 21d 는 구조체에 실현된 작동장치는 작동장치(2200)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기어(2205')와 랙(2206a')을 포함한 변속비율이 기어(2205')의 각 위치변화 함수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전기모터(2202)같은 원동기 가변변속 비율로 변속단계의 부재시보다 좀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클러치나 다른 토크 전달장치 또는 변속장치를 작동하는 원동기에 의해 공급되는 토크를 똑같게 할 수 있다. 즉, 클러치의 가동 토크선택 부품이나 요소의 각각의 운동 단계동안 토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토크선택 요소 또는 부품의 지표곡선은 작동장치의 지표곡선에 정확하게 일치한다.
도 22 는 샤프트(2307)에서 워엄기어(2305)와 맞물리는 워엄(2303)을 지탱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작동장치 하우징의 베어링(2304)에 저널된 출력샤프트(2302)를 가지는 전기모터 같은 원동기(2301)로 구성된 작동장치(2300)를 상세히 나타낸다. 샤프트(2307)는 샤프트(2309)에서 제 2 타원 기어(2308)와 접합한 타원 기어(2306)를 지탱한다. 기어(2308)는 작동장치(2300)의 출력 요소에 연결된 링크나 크랭크(2311)를 위한 편심 핀(2310)을 유지한다.
작동장치(2300)의 장점은 도 21c 와 21d 의 구조체를 포함한 작동장치(2200)의 장점과 유사하다. 따라서, 기어(2306)의 적합한 반경은 상기 기어의 각 위치변화 함수에 따라 바뀌고 이것은 모터(2301)에 부하게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는데 유리한 영향을 끼친다. 작동장치(2300)는 2단 변속기를 적용하는데 여기서 2단은 타원 기어(2306,2308)와 크랭크(2311)를 포함하는 반면에 작동장치(2200)는 랙(2206a)과 기어나 기어 세그먼트 또는 피니언(2205)을 포함한 2단의 변속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3 은 출력요소(2406)를 가지는 작동장치(2400)를 나타내는데 상기 출력요소는 중심에 놓인 베어링(2407) 또는 토크 전달장치(2401), 즉 푸시타입 클러치의 적절한 운동전달 요소나 부품에 운동을 전달한다. 토크전달 장치는 차량의 엔진 같은 구동장치의 출력요소(즉, 크랭크 샤프트나 캠샤프트)에서 토크를 수용하는 하우징(플라이휠)(2410), 클러치 디스크 또는 클러치 플레이트(2411), 회전 하우징(2410)에 맞서 클러치 디스크(2411)의 마찰 라이닝을 죄도록 축방향으로 놓인 압력판(2412), 압력판(2412)과 베어링(2407) 사이에서 작동하는 레버(2413) 장치로 이루어진다.
작동장치(2400)의 하우징은 클러치(2401)를 위한 제어 유니트의 몇몇 또는 모든 전기회로(2402)를 포함하고, 작동장치(2400)는 작동장치의 출력요소(2406)에 연결할 수 있는 출력부재(2404a)를 가지는 1단 또는 다단 변속기(2404)뿐만 아니라 원동기(2403)(즉, 전기모터)를 포함한다. 출력요소(2406)에 출력부재(2404a)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2405)는 보상 부품(2405a,2405b)를 포함하는데 상기 보상부품은, 스위치 릴레이 또는 모터를 포함하고 커플링 장치(2405)의 가동성분(2405a)과 작동하게 연결된 조절장치(2430)의 에너지 공급, 접속 또는 연결에 응하여 서로 마찰에 의해, 즉 포지티브 맞물림을 갖도록 놓여진다.
작동장치(2400)는 에너지 저장요소(2420)를 포함하는데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는 커플링 장치(2405)가 비작동 상태일 때, 즉 성분(2405b)가 성분(2405a)에 대하여 움직일수 있을 때, 기정의 크기를 가지는 토크를 클러치(2401)가 전달하는 기정의 위치로 베어링(2407)을 움직이도록 출력요소(2406)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저장요소(2420)로 구성된다. 에너지 저장요소(2420)는 선형 또는 비선형 지표곡선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선형 또는 비선형 지표 곡선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요소(2421)는 변속기(2422)를 통하여 변속기(2404)의 출력부재(2404a)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에너지 저장요소(2421)는 보상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출력부재(2404a)와 에너지 저장요소를 연결하는 변속기(2422)는 선형 또는 비선형 지표곡선을 가진다.
변속기(2404)는 선형 또는 비선형인 스텝-업 혹은 스텝-다운 변속기로 구성된다.
조절장치(2430)의 부분(2431)은 커플링 장치(2405)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보조작동 장치(예; 스위치, 릴레이 또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커플링 장치(2405)가 작동될 때, 출력요소(2406)의 위치는 변속기(2422)와 변속기(2404)의 출력부재(2404a) 즉 작동장치(2400)의 모터(2403)를 통하여 출력요소(2420), 출력요소(2421)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보조 작동장치(2431)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그 전자석은 출력요소(2406)의 길이방향으로 부품(2405b)에 대해 부품(2405a)을 움직이게 만들어져서 클러치(2401)의 유효 수명동안 많이 마모되는 하나 이상의 클러치뿐만 아니라 마찰 라이닝 또는 클러치 디스크(2411)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한다. 부품(2405b)에 대한 부품(2405a)의 조절은, 클러치 유효수명 동안 클러치(2401)의 작용점이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
클러치(2401)는 레버에 부가적으로 제공된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같은 클러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클러치 스프링은 커플링 장치(2405)가 비활성 상태일 때 클러치와 자동적으로 맞물리게 설치된다. 클러치 스프링인 , 클러치(2401)가 풀(pull)타입인지, 푸시(push, 타입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맞물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만약 클러치(2401)가 분리된다면, 출력요소(2406)가 클러치 스프링의 반대쪽에 반하여 베어링(2407)을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클러치 스프링의 초기응력이 부분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클러치(2401)를 유지하도록 한다면, 출력요소(2406)는 클러치와 완전히 맞물리도록 제 1 방향으로 베어링(2407)을 움직일 수 있고 클러치와 분리되도록 제 2 방향으로 베어링을 움직일 수 있다. 클러치(2401)가 다이아프렘 스프링 또는 다른 클러치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출력요소(2406)는 클러치의 각각의 그리고 모든 상태, 즉, 완전히 분리된 상태, 완전히 맞물린 상태나 요구되는 정도로 다르게 일부가 맞물린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용한다.
커플링 장치(2405)가 작동할 때, 앞서 설명한 작동장치중 하나, 즉, 도 22 에 나타낸 작동장치(2300)의 조작방법과 연결해 설명한 대로 출력 요소(2406)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서 모터(2403)와 변속기(2404)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도 24a 는 마찰 클러치 같은 토크 전달장치(2501)는 토크 선택장치(2505)(예, 레버나 다이아프램 스프링장치)에 연결된 출력요소(2506)(예; 연동장치, 푸셔, 로드, 플런저등)를 가지는 작동장치(2500)를 나타낸다. 이 작동장치(2500)는 전기 모터같은 원동기(2502), 선형 또는 비선형인 변속기(2503)와 에너지 저장요소(2504)를 포함하는데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는 클러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탄성장치의 저항에 대하여 클러치(2501)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도록 출력요소(2506)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요소(2504)는 선형 또는 비선형 지표곡선을 가진다.
작동장치(2500)는 또한 힘 보상장치(2508)를 포함하는데 상기 힘 보상장치는 적절한 커플링(2510)을 통하여 출력요소(2506)에 영향을 미치도록 변속기(2503)의 출력 부재와 공동 작용하기에 적합한 출력부재를 가지는 변속기(2509)와 함께 작동하는 탄성요소(2508)를 포함한다.
도 24b는 작동장치 2400과 2500의 다른 실시예인 작동장치 2550을 나타낸다. 작동장치(2550)는 토크전달 장치(2551)(예, 다이아프렘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은 마찰 클러치 또는 다른 클러치 스프링)의 토크선택 장치(2557)에 연결된 출력요소(2555)의 위치 즉 배향을 선택하기에 적합한 1단 혹은 다단의 선형이나 비선형 변속기(2553)의 입력부재와 연결된 출력부재를 가지는 원동기(2552)(예, 전기모터)의 하우징을 유지하고 둘러싸고 있다. 작동장치(2550)는 에너지 저장요소(2554)를 포함하는데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는 출력요소(2555)와 함께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클러치(2551)의 탄성 장치와 함께 토크선택 장치(2557)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출력요소(2555)와 토크 선택장치(2557) 사이의 연결부는 클러치(2551)에서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만들어진 조절장치(2556)를 포함한다. 마모보상 기능에 더하여, 조절장치(2556)는 클러치(2551)에서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 이외의 이유로 토크수용 장치(2557)와 변속기(2553)의 출력부재 사이의 연결부/토크선택 장치(2557)에서 에너지 저장요소(2554)의 바이어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작동장치 2500과 2550에서 에너지 저장요소(2504 와 2554)는 각각의 작동장치 하우징에 맞서 작동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이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저장요소(2504)를 모터(2502)의 하우징 또는 케이스와 변속기(2503)의 부재에 대하여 작동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요소(2554)는 모터(2552)의 하우징 또는 변속기(2553)의 부재에 맞서 작동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요소(2554)는 하나 또는 더 많은 선형이나 비선형 작동보상 스프링을 포함하는데, 에너지 저장요소 2504 와 2508 도 마찬가지이다. 또, 작동장치(2500)의 두 개의 분리된 에너지 저장요소(2504,2508)는 단일 에너지 저장요소, 특히 하나 또는 더 많은 비선형 작용코일 스프링이나 다른 적절한 스프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2556)의 구조, 설치 및 작동방법은 클러치가 기정의 토크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때뿐만 아니라 토크를 전달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때도 클러치(2551)의 많은 부품의 마모를 에너지 저장요소(2554)가 자동으로 보상하게 되어 있다. 즉, 작동장치(2550)를 포함한 제어 유니트에 연결된 센서와 전기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토크선택 장치의 위치가 모터(2552)와 변속기(2553)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다시 맞물리기 전에 클러치(2551)를 포함한 장치를 상기 조절 장치가 이완시킨다. . 반복된 조절장치(2556)의 작용 및 비작용은, 요구되는 토크를 전달하는 클러치(2551)의 능력이 클러치의 연장된 사용에 대해서도 변하지 않도록 하는데, 즉, 클러치의 상태는 클러치의 유효 수명동안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여기에서, 조절장치(2555)의 작동방법은 도 23에 나타낸 작동장치 2400에서 장치 2405의 조작방법과 유사하다.
도 25a의 조절장치(2600)를 나타내는데 상기 조절장치는 마찰 클러치나 다른 코트 전달 장치에서 클러치 디스크나 다른 토크 전달장치에서 클러치 디스크나 클러치 플레이트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조절 장치는 도 24b 의 작동장치(2550)에 포함된 조절장치(2556)로서 이용될 수 있다. 조절장치(2600)는 고정된 접합부나 다이아프렘(2601), 톱니(2603)를 가지는 제 1 가동 성분(2602), 톱니(2603)와 접합한 톱니(2604)를 가지는 제 2 가동성분(2605)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조절장치(2600)는 부품 2602, 2605 중 하나에서 가동 부품의 다른 부분으로 운동을 전달한다. 예를들면, 부품(2602)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원동기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원동기는 적어도 한 방향, 즉 도 25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우측으로 부품(2602)을 움직이도록 만들어진다. 그후에 톱니(2603,2604)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화살표 2606과 2607로 표시된 힘의 크기가 부품(2604)에 대하여 부품(2602)이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하다면 부품(2605)은 화살표(2608)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화살표 2606과 2607로 나타낸 힘의 크기는 톱니(2603과 2604)가 의도치 않은 곳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절작동은 하기에서 처럼, 장치 2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품(2602)은, 톱니(2603)가 톱니(2604)에 대해 래칫되고 부품(2605)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힘(2602,2607)보다 더 큰힘으로, 도 25a 에 나타낸 것처럼, 좌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화살표(2606,2607)로 나타낸 힘이 톱니(2603)가 톱니(2604)와 맞물리지 못하게 한다면, 부품(2605)은 화살표(2608)로 나타낸 방향에 반대로, 즉, 톱니(2603,2604)중 하나의 폭만큼 고정된 다이아프렘(2601)을 향해 움직인다.
부품(2602)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는데 맞서 유지되는 동안 부품(2605)이 화살표(2606,2607)로 나타낸 힘을 초과하는 힘으로 다이아프렘(2601)에서 분리되어 당겨진다면, 톱니(2604)는 톱니(2603)에서 래칫되고 부품(2605)은 원하는 거리, 즉, 톱니(2603,2604)중 하나의 폭을 통과해 움직인다. 이것은 한쪽 면만을 가진 조절장치에 해당하는데, 즉, 부품(2605)은 다이아프렘(2601)과 부품(2602)에 대해 조절된다. 다시 말하자면, 화살표(2606,2607)로 나타낸 힘이, 부품(2602)이 부품(2602)이 부품(2605)과 함께 움직이게 할 수 없다면 부품(2605)은 부품(2602)의 위치를 바꿀 수 없다.
화살표(2608) 방향으로 부품(2602)에 대해 부품(2605)을 조절하는 것은, 마찰 클러치의 다른 부분의 마모와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부품(2602,2605)의 결합 유효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3의 작동장치(2400)와 클러치(2401) 실시예를 참고하여, 도 25a 의 조절장치(2600)가 출력요소(2406)내에 조립된다면, 요소(2406)의 길이를 늘였을 때 압력판(2412)은 플라이 휠 또는 하우징(2410)의 좌측부에 더 가깝게 움직이도록 하여 클러치 디스크(2411)의 마찰 라이닝이 마모됨에도 불구하고 선택된 토크를 클러치(2401)가 전달할 수 있다.
조절장치(2600)는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나 많은 다른 부분, 예를들면, 작동장치(2400)의 부분(2404)의 출력부재(2404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5a 의 고정된 접합부(2601)가 클러치와 완전히 맞물린다면, 상기 부품의 결합 길이를 바꾸고 클러치 상태를 완전히 맞물리게 하도록 부품(2602,2605)중 하나에 대하여 다른 하나를 움직여줌으로써 마모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5b 의 조절장치(2610)는 도 25a 의 장치(2600)를 변경한 제 1 실시예이다. 이것의 중요한 차이점은 장치(2610)의 부품(2612,2613)은 슬립 클러치와는 다르게 구성된다는 것이다. 부품(2612)은 화살표(2616,2617)로 나타낸 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힘으로 부품(2613)의 마찰면(2615)과 맞물릴 수 있는 마찰면(2614)을 가진다. 부품(2613)은 고정되거나 움직일 수 있는 다이아프렘(2611)과 함께 실제 접합부로 움직이는 단부면 또는 가장자리면 또는 앞면을 가진다.
만약 화살표(2616,2617)로 나타낸 힘이 서로에 대해 마찰면(2614,2615)의 모든 운동을 방지할 만큼 충분히 크다면 다이아프렘(2611)에서 분리되거나 다이아프렘을 향하여 한 유니트로서 장치(2610)가 부분품(2612,2613)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조절은, 다이아프렘(2611)에 맞서 부분품(2613)의 단부면(2618)을 움직인 후에 부분품(2613)에 대해 부분품(2612)을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부분품(2613)의 단부면에 대한 다이아프렘(2611)에 더하여 부분품(2612)의 오른쪽 단부면을 위한 제 2 다이아프렘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조절은 화살표(2616,2617)로 나타낸 힘의 키기를 줄여줌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것에 의해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부분품(2613)에 대해 부분품(2612)을 충분히 움직일 수 있다.
화살표(2616,2617)로 나타내고 도 25A 에서는 화살표(2606,2607)로 나타낸 힘의 크기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 유니트는 조절장치(2600 또는 2610)와 공동 작용하는 작동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살표(2606, 2607 또는 2616, 2617)로 나타낸 힘의 크기는, 그 힘의 크기가 기정의 레벨로 감소될 때 서로서로에 대해 부분품(2602,2605 또는 2612,2613)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부분품(2612)은 작동 장치로부터 토크를 수용할 수 있고 부분품(2613)은 마찰 클러치 같은 운동수용 요소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5c 는 조절장치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조절가능하거나 가동성인 접합부 또는 다이아프렘(2626)은 두 개의 고정된 접합부 또는 다이아프렘(2627)과 부품(2628) 사이에서 움직여질 수 있다. 이 장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작동장치에서 도 25c 에 나타낸 것과같은 오른쪽 방향으로 운동을 수용할 수 있는 구동된 부분품(2621)으로 구성되고 도 25c 에는 나타나지 않은 마찰 클러치나 다른 토크 전달장치의 하나 또는 더 많은 운동 수용요소를 놓기에 적합한 부분품(2622)에서 하나 또는 두세트의 대칭을 이루는 톱니(2624)와 맞물리는 톱니(2623)를 가진다. 가동성 다이아프렘(2626)은 부분품(2622)에서 다른 세트의 톱니(2624)와 맞물리는 톱니(2625)를 가진다.
도 25a 의 조절장치(2600)와 도 25c 의 조절장치의 장점은, 각각의 조절작업 시작전에 고정된 다이아프렘에 대해 도 25a 의 부분품(2605)과 같은 부분품 중 하나를 움직임으로써 항상 변함없이 조절작업을 시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부분품(2621)에 운동을 전달하는 작동장치와 부분품(2621)(이 부품은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로 구성된다)의 변속장치가 마찰클러치나 다른 토크전달 장치의 마찰 라이닝 또는 다른 부품의 최대마모에 비례하는 정상조절 거리를 통하여 움직여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동성 다이아프렘(2626)이 고정된 다이아프렘(2627)에 도달했을 때, 두 세트의 톱니(2624)를 인접한 톱니(2623 과 2625)위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조절이 이루어진다. 또 부분품(2622)에 대해 도 25c에 나타낸 것처럼 왼쪽으로 부분품(2621)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된 다이아프렘(2628)에 대해 다이아프렘(2626)을 움직이기 위해서 오른쪽으로 부분품(2622)가 움직여진다면, 부분품(2622)는 다이아프렘(2626)에 대해 오른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즉, 톱니(2624)의 나비에 의해 부분품(2621,2622)의 결합 길이가 증가한다. 이것은 다이아프렘(2626)이 고정된 다이아프렘(2627)과 다시 맞물릴 때 서로서로에 대해 다이아프렘(2626)과 부분품(2622)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클러치의 어떤 부분의 마모가 다이아프렘(2627)에 대한 다이아프렘(2626)의 연속운동 사이에서 증가한다면, 즉, 클러치 디스크의 두세트의 마찰 라이닝의 결합 두께가 고정된 다이아프렘(2627,2628)중 하나에 대한 가동성 다이아프렘(2626)의 연속 운동 사이에서 감소된다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조절은,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에 발생하는 계속적인 마모에도 불구하고 클러치의 작동이 바뀌지 않도록 해준다. 다이아프렘(2626)과 서로서로에 대한 부분품(2621,2622)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조절은, 다이아프렘(2626)이 다이아프렘(2628)에 인접해있고 부분품(2622)가 힘이 작용하는 반대방향에 맞서 오른쪽으로 계속 움직일 때 이루어지는데 작용하는 힘은 각 세트의 톱니(2624)와 맞물리게 톱니(2625와 2623)을 유지하도록 한다. 클러치의 조절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거리조절은 다이아프렘(2627)에 다이아프렘(2626)에 대한 부분품의 연속 운동을 대한 정지부(2626)의 운동과 포함한다.
작동장치와 마찰 클러치 또는 다른 토크전달 장치사이에서 조절장치가 이용될때마다 절대 단부 위치로 움직이도록 할 필요없게 조절장치가 작동된다면, 조절장치의 가동 부분품과 완전히 분리되고 연결되는 다이아프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절장치의 가동성 부품과 함께 마찰 또는 포지티브 연결(예; 모양0고정부)로 제어할 수 있게 다이아프렘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부분품중 하나와 맞물리는 위치에서 다이아프렘을 움직이는 장치는 보조작동 장치, 예를들면, 전기모터나 전자석 형태인 원동기를 포함한다. 이 보조작동 장치는 도 25d 에 나타나 있다.
도 25d 의 조절장치(2650)는 화살표(2659a 와 2659b)로 나타낸 힘의 작용하에 부분품(2658)과 표면 마찰접촉하는 제 2 부분품(2656)과 제 1 부분품(2658)을 포함하는 슬립 클러치(2651)로 구성된다. 슬립 클러치(2651)의 부분품이나 요소(2658)는 도 25d 에 나타내지 않은 주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에서 화살표(2660)로 나타낸 운동을 수용할 수 있고, 부분품이나 요소(2656)는 화살표(2661)의 방향으로 마찰 클러치의 토크 선택 요소나 부품에 운동을 전달한다.
부분품 또는 요소(2656)은 한줄의 톱니(2657)를 가지는데 상기 톱니는 전기모터 같은 원동기(2653), 원동기(2653)의 출력부재와 출력 요소 또는 다이아프렘(2655) 사이의 선택 변속장치(2654)를 가지는 보조, 즉 제 2 작동장치(2652)의 출력 요소를 구성하는 가동 다이아프렘(2655)의 대응 톱니에 의해 맞물려진다. 요소(2655)는 화살표(2661)의 방향에 반대로 요소나 부분품(2656)이 움직이는 것을 모두 완전히 막기위한 장치로서 이용되고, 요소(2655)가 톱니(2657)의 맞물림에 정해진 저항을 부여하는 동안 요소(2656)의 톱니가 톱니(2657)과 겹쳐지게 할 수 있는 브레이크로서 이용된다.
요소(2655)의 톱니가 요소(2656)의 톱니(2657)와 완전히 맞물려 유지된다면, 요소(2656)는 화살표(2661)로 나타낸 방향이나 반대로 움직일 수 없지만 만약 부품(2658)을 제어하는 주 작동장치가 서로서로에 대한 운동에 맞서 요소(2658,2656)의 마찰면을 유지하려는 힘의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요소(2658)는 화살표(2660)으로 나타낸 방향이나 반대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출력요소(2655)는 요소(2657과 2658)의 결합길이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주 작동장치는 화살표(2660)으로 나타낸 방향이나 반대로 요소(2658)을 움직이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요소(2658)을 위한 주작동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유니트로 작동되는 토크전달장치가 푸시-타입의 클러치라면, 클러치가 분리되었을 때 조절이 이루어진다. 클러치가 분리되어 있는 동안 요소(2656)의 톱니(2657)에 맞서 보조작동 장치(2652)는 출력요소(2656)를 움직여서 전술한대로 조절이 이루어진다. 클러치가 클러치 디스크의 두세트의 마찰라이닝 사이에서 미리 응력을 받은 클러치 스프링이나 하나 이상의 탄성 세그먼테로 구성된다면, 부품(2656)이 스프링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때, 즉 클러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힘이 서로서로 균형을 맞추거나 클러치의 단일 스프링이 힘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은 이루어진다.
도 25e 와 도 25f 에서는 도 25d 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주작동장치에서 슬립 클러치(2651)를 수정한 슬립 클러치를 가지는 작동장치(2700)는 토크를 작동장치(2700)의 다단 변속기 제 1 단의 제 1 스퍼어 기어(2702)로 전달하는 출력 샤프트(2701)를 가지는 전기모터와 같은 원동기(2701)로 구성된다. 기어(2702)는 제 2 스퍼어 기어(2703)와 맞물리는데 상기 제 2 스퍼어 기어는 너트(2705)를 체결한 동축 이송나사(2704)와 일체형으로 회전할 수 없게 결합되어 있다. 너트(2705)는 왕복운동을 할 수 있지만 작동장치(2700)의 하우징(2707)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다. 너트(2705)를 기어(2703)에 연결하거나 기어와 일체형인 너트를 만들 수 있고, 회전할 수는 없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우징(2707)내에 이송나사(2704)를 설치할 수 있다.
너트(2705)는 거의 실린더형인 동축 연장부(2705a)를 가지는데 부품(2705a, 2708)이 서로 간접마찰에 의해 맞물리게, 즉 연장부(2705a)의 외부면과 슬리브(2708)의 내부면 사이의 실린더형 삽입부(2709)를 통하여 맞물리도록 슬리브(2708)의 보어나 홀(2708a)로 연장되어 있다. 삽입부(2709)의 마찰계수와 탄성 성질은 부품(2705 와 2708)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연결부를 만들도록 선택된다. 연장부(2705a), 슬리브(2708)와 삽입부(2709)는 너트(2705)와 슬리브(2708)의 실린더형 연장부로 여기서 나타낸 장방향 출력요소(2720) 사이에서 슬립 클러치를 구성한다. 이 슬립 클러치는 왕복 너트(2705)와 출력요소(2720) 사이에서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적절한 비마찰 베어링(2715)은 연장부(2705a)를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를 중심에 두는 하우징(2707)과 슬리브(2708) 사이에 삽입된다. 다른 베어링(2706)은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하우징(2707)의 내부와 너트(2705) 사이에 설치된다.
작동장치(27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니트의 전기 부품이 모터(2701)를 가동시킬 때, 출력 샤프트(2701a)는 기어(2703)을 구동하는 기어(2702)를 회전시킨다. 기어(2703)은 이송나사(2704)를 회전시키는데 상기 이송나사는 너트(2705)와 출력요소(2720)를 이송나사(2704), 너트(2705)와 슬리브(2708)의 공동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너트(2705)에서 출력요소(2720)로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는 연장부(2705a), 연장부(21705a)를 둘러싼 슬리브(2708)의 연장부와 삽입부(2709)를 포함하는 앞서 설명한 슬립 클러치로 이루어진다. 출력요소(2720)는 슬리브(2708)와 일체형으로 나타나 있는데 반드시 그렇지 않다.
하우징(2707)은 레버(2713)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구동 장치(2711), 즉 너트(2711b)를 체결한 이송나사(2711a)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회전 출력부재를 가지는 전기 모터에 의해 출력요소(2720)의 축 둘레에서 앞뒤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너트는 핀(2721)에 의해 레버(2712)와 관절식으로 이어진다. 출력요소(2720)를 에워싼 레버(2712)의 단부부분은 볼, 롤러 같은 형태로 한 세트의 로울링 요소(2713)를 둘러싼다. 레버(2712)의 링 형태인 단부 부분인 내부면은 나사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나사는 레버의 회전에 따라 로울링 요소(2713)를 작동시켜서 출력요소(2720)의 각 위치를 바꾼다. 레버의 내부나사는 웨지로서 작동되고 요소(2720)의 축방향 운동을 막는데 왜냐하면 레버가 슬리브(2708)의 연장부(출력요소)(2720)의 축방향 운동에 맞서 유지되기 때문이다. 로울링 요소(2713)는 하우징(2707)의 인접한 관상 부분의 오목 들어간 곳에 놓여있다. 레버(2712)의 링 형태인 단부부분의 내부면과 로울링 요소(2713)는 하우징(2707)과 슬리브(2708) 사이에서 마찰 접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당한 방향으로 이송나사(2711a)를 회전시키도록 즉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너트(2711b)가 레버(2712)를 회전시키도록 모터(2711)가 가동됨에 따라 이 마찰접촉은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2711)가 요소(2720)의 축방향 운동을 막기에 충분한 힘으로 출력요소(2720)에 맞서 로울링 요소(2713)를 움직이도록 레버를 작동시킬 때, 서로서로에 대하여 너트(2705)와 출력요소(2720)의 축방향 위치는 모터(2701)를 작동시킴으로써 조절된다; 그 후에 너트(2705)와 슬리브(2708)의 축방향 결합 길이가 요구되는 값으로 증가되거나 감소할때까지 (삽입부(2709)에 대하여) 슬리브(2708)와 요소(272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출력요소(2720)에서 로울링 요소(2713)를 죄어준 것은 적당한 방향으로 레버(2712)를 회전시켜줌으로써 해제되어서 삽입부(2709)를 포함한 슬립 클러치는 슬리브(2708), 너트(2705)와 이송나사(2704)의 축방향에서 한 유니트로서 너트(2705)와 출력요소(272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서로서로에 대하여 너트(2705)와 출력요소(2720)의 축방향 위치는 모터(2701)를 작동시킴으로써 조절된다; 그후에 너트(2705)와 슬리브(2708)의 축방향 결합 길이가 요구되는 값으로 증가되거나 감소할때까지 (삽입부(2709)에 대하여 슬리브(2708)와 요소(272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출력요소(2720)에서 로울링 요소(2713)를 죄어준 것은 적당한 방향으로 레버(2712)를 회전시켜줌으로써 해제되어서 삽입부(2709)를 포함한 슬립 클러치는 슬리브(27708), 너트(2705)와 이송나사(2704)의 축방향에서 한 유니트로서 너트(2705)와 출력요소(272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도 25g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주 작동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요소(2751)와 마찰 클러치의 가동성 토크선택 요소를 이동, 회전 또는 변위할 수 있는 톱니를 가지는 요소(2753) 사이의 조절장치(2750)을 나타낸다. 요소(2751)은 원동기(2754)와 선택 변속장치(2755)를 가지는 보조, 제 2 작동장치의 적당한 조작에 의해 요소(2753)의 톱니와 맞물리거나 분리될 수 있는 한 세트의 톱니(2752a)를 가지는 중간 요소(2753)와 관절식으로 이어지는데 상기 선택 변속장치는 톱니가 있는 부분품(2753)에 대해 요소(2752)가 움직일 수 있게 요소(2752)와 연결된다. 따라서, 요소(2753)의 톱니와 맞물리게 톱니(2752a)를 유지하도록 모터(2754)가 작동될 때, 부품(2751,2752와 2753)은 도 25g 에 나타낸 것처럼, 한 유니트로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반면에, 모터(2754)가 요소(2753)의 톱니와 톱니(2752a)를 분리하도록 작동된다면, 즉 요소(2751)에 대해 요소(2756)에서 요소(2752)가 회전하도록 작동된다면, 부품(2751,2752)은 부품(2753)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톱니(2752a)가 요소(2753)의 인접한 톱니에서 분리될 때 부품(2751,2752)에 대하여 부품(2753)의 위치가 조절된다.
보조 작동장치(2754,2755)와 요소(2752) 사이의 연결부는 부품(2752)에서 장방향 슬롯과 그 슬롯으로 뻗어 있고 변속장치(2755)의 출력부재에 장착된 종동부를 포함한다.
도 25h 와 25j 는 도 25e 와 25f 의 작동장치(2700)를 개신시킨 작동장치(2800)을 상세히 나타내었다. 작동장치(2800)은 제 1 스퍼어 기어(2802)를 구동하는 출력 샤프트를 가지는 전기 모터 등의 원동기(2801)로 구성된다. 이 기어(2802)는 제 2 기어(2803)과 접합하는데 상기 제 2 기어는 너트(2805)와 맞물리게 장방향 이송나사(2804)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너트는 하우징(2807)에 대해 회전할 수는 없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너트(2805)는 베어링(2806)에 의해 하우징(2807)내벽에서 중심에 놓여지는데 상기 베어링은 스퍼어 기어(2803)와 함께 이송나사(2804)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를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에너지 저장요소(2816)은 하우징(2807)의 내부 쇼율더에 맞서 작용하도록 도 25h에 나타낸 것처럼 왼쪽으로 슬리브(2809)을 기울어지도록 제공된다. 유사한 에너지 저장요소가 도 25e 와 25f 의 작동장치(2700)에 제공된다.
너트의 회전에 응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모터(2801)와 작동장치(2801)의 출력요소(슬리브 2808 의 연장부) 사이의 제 2 단 변속장치는 기어(2803)와 일체형으로 너트(2805)를 만들어주고 이송나사(2804)를 장착하여 수정할 수 있다.
도 25e 와 25f 의 작동장치(2700)에서 부품들(2705a, 2720 과 2709)사이의 공동 작용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하게 너트(2805)의 부분(2805a)는 슬리브(2808)이 마찰 연결된다. 따라서 도 25j 에 가장 잘 나타낸 것처럼, 너트(2805)의 부분(2805a)는 두 개의 클램프 부재(2809와 2810)에 의해 보통 맞물린다.
부재(2809)는 판 스프링(2814)에 의해 바이어스되는데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2807)내에 설치되고 부재(2809)가 부재(2810)에 맞서 부품(2805a)를 작동시키는데 이것에 의해 모터(2801)가 기어(2802)를 회전시킬 때 슬리브(2808)와 그것의 출력요소(2808a)는 이송나사(2804)의 축방향으로 너트(2805)와 함께 움직이도록 한다. 하우징(2807)은 슬리브(2808)를 위한 베어링(2815)을 포함한다; 모터(2801)에 의해 이송나사가 회전될 때 이 베어링은 이송나사(2804)의 축방향으로 슬리브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슬리브(2808)와 그것의 출력요소(2808a)에서 너트(2805)의 일부(2805a)를 분리하는 장치는 원동기(2811)(예,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보조, 즉 제 2 작동장치로 구성된다. 모터(2811)의 출력 샤프트는 하우징(2807)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하나의 암을 가지는 레버(2813)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에서 너트(28116)와 결합하는 이송나사(2811a)를 포함한다. 레버92813)은 클램프 부재(2809)에 의해 지탱되는 로우러(2812)를 옮길수 있다. 도 25j에 나타낸 것처럼, 모터(2811)이 반시계방향으로 레버(2813)를 회전시킬 때, 로울러(2812)는 너트(2805)의 일부(2805a)와 클램프 부재(2810)에서 분리되어 방사상 클램프부재(2809)를 움직여서 너트(2805)와 슬리브(2808) 사이의 마찰 연결부는 더 이상 효과적이지 못하다. 만약 모터(2801)이 이송나사(2804)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된다면, 너트(2805)는 슬리브(2808)과 그것의 출력요소(2808a)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레버(2813)과 로울러(2812)가 클램프 부재(2809)를 클램프 부재(2810)에서 분리하여 너트 부분(2805a)의 방사상으로 움직이도록 할 때 판 스프링(2814)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스프링(2814)가 약간의 에너지를 쉽게 방산할 수 있는 위치로 모터(2811)이 레버(2813)을 돌려놓자마자 이 스프링은 클램프 부재(2809, 2810)와 너트(2805)의 일부(2805a) 사이에서 마찰 연결되도록 한다.
너트(2805)와 슬리브(2808)의 분리는 이 부품의 바람직한 각/축 위치에서 발생한다. 부재(2809,2810)와 판 스프링(2814)을 포함한 슬립 클러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슬리브(2808)와 출력요소(2808a)에 대한 너트(2805)의 축 위치는 모터(2801)와 에너지 저장요소(2816)에 의해, 너트(2805)의 출력요소(2808a)를 축방향으로 움직여줌으로써 바뀌어질 수 있다.
서로서로에 대하여 슬리브(2808)와 너트(2805)의 축위치 조절은 여러 가지 목적, 예를들면 출력요소(2808a)와 연결된 클러치에서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6a의 조절장치(2900)는 주 작동장치의 원동기에서 운동을 수용하는 제 1 요소(2901), 피봇(2902)이나 다른 적절한 조인트에 의해 부품(2901)의 한쪽 단부와 관절식으로 연결된 단부를 가지는 제 2 요소(2903), 피벗(2906)이나 다른 적당한 조인트의 중간부분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제 3 요소(2905)로 구성된다. 링크(2903)의 다른 쪽 단부는 제 2 작동장치의 원동기(2907)로부터 운동을 수용할 수 있는데 상기 제 2 작동장치는 적당한 변속기(2908)를 또한 포함한다. 변속기(2908)의 출력부재는 피봇(2904)이나 다른 적절한 조인트에 의해 링크(2903)의 다른쪽 단부부분과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링크(2901)는 주작동장치의 출력요소의 구성하고 다단 또는 다른 적당한 주 작동장치의 변속기에서 운동을 수용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원동기와 주 작동장치의 변속기 사이에 링크(2901)를 설치할 수 있다. 그후에 링크(2901)는 원동기의 출력부재와 주 작동장치의 변속기 입력부재 사이의 연결부로서 이용된다.
도 26a에 나타난 것처럼, 보조 작동장치의 모터(2907)가 좌우로 피봇(2904)을 움직이도록 작동될 때, 이것은 링크(2905)의 위치 변경과 링크(2903)의 경사 변화를 이끈다. 링크(2905)의 조절은 클러치 부품의 마모를 보상할 수 있는데 상기 클러치 부품은 링크(2905)에 의해 작동된다.
보조작동 장치의 모터(2907)는 링크(2901)로 운동을 전달하는 주 작동장치의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2907)는 변속기(2908)에서 떨어져 또는 변속기를 향하여 피봇(2904)을 움직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것은 화살표(2905a)로 나타낸 방향이나 그 반대로 링크(2905)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요소(2907)과 같은 두 개의 단순한 모터를 적용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피봇(2904)를 변속기(2908)를 향하여 당기고 다른 하나의 모터는 변속기(2908)에서 피봇(2904)을 민다.
도 26b 는 도 26a의 장치(2900)를 수정한 조절장치(2950)를 나타낸다. 링크(2951)는 주 작동장치의 원동기에서 운동을 수용하고 피봇(2952)에 의해 링크(2953)에 연결된다. 링크(2953)의 중간부분은 피봇(2955)에 의해 링크(2956)에 연결되고, 링크(2956)는 도 26b에 나타내지 않은 가동성 토크 선택 부품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돕는다. 링크(2903)의 다른쪽 단부에서 피봇(2954)은 이 링크를 보조 작동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변속기(2957)의 출력부재(2959)에 연결하는데 상기 보조작동장치는 마찰클러치 부품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링크(2956)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돕는다. 변속기(2957)의 입력부재(2958)는 링크(2951), 즉 주 작동장치의 모터에서 운동을 수용한다. 변속기(2957)의 입력부재(2958)은 링크(2951), 즉 주 작동장치의 모터에서 운동을 수용한다.
링크(2951)는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주 작동장치의 모터나 변속기는 링크(2953)의 위치를 바꾸고 변속기(2957)의 입력부재(2958) 위치를 바꾸어서 링크(2956)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일부는 선형이고 일부는 회전하는 복합운동을 링크(2951)가 수행할 수 있게한다.
변속기(2957)는 1단이나 다단 또는 캐스캐이드 형태인 다른 적당한 변속기일 수 있다.
또한 주 작동장치로서 도 26b에 나타낸 변속기(2957)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에 부품(2958)은 링크(2951)에 운동을 전달하는 출력부재를 구성한다. 선호적으로 출력부재(2959)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링크(2953)를 회전시키도록 만들어져 있다.
앞서 설명한 조절장치는 적절한 전기조절 장치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 전기 조절장치는 주 작동장치의 변속기에서 하나이상의 부품 운동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주 작동장치가 마모, 플레이, 내성 열팽창 또는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요구되는 거리를 더하여(클러치에 의해 전달된 정해진 토크를 선택하기 위해서) 클러치의 정상 조절에 요구되는 거리를 통하여 출력요소를 움직이도록 만들어진다면, 클러치의 토크선택 부품의 위치는 주 작동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변속기의 부품을 적절하게 재설정 혹은 재배치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것은 비율이 일정한 단순한 변속기를 적용하기에 충분하다. 비교적 단순한 변속기는 출력요소의 운동을 위해 더 긴 경로를 필요로 하고 주 작동장치를 위해 좀더 큰 하우징을 가져서 출력부재는 정상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정상조절은 마모, 열팽창 변화, 내성 등을 보상하는데 필요한 운동뿐만 아니라 클러치에 의해 전달된 주어진 도크를 선택하기 위해서 요구된다.
예를들어, 마찰 클러치에서 클러치 판이나 클러치 디스크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는 것은 클러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클러치의 압력판과 클러치 스프링은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서 이동되거나 조절된다.
위에서 대략적으로 설명한 대로 조절될 수 있는 클러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잇점을 가진다;
(1) 마찰 라이닝의 마모정도(즉, 마찰 라이닝 두께의 최대 허용 감소정도)가 압력판에 의해 덮혀진 거리와 동일하거나 거의 같다면, 클러치 작동장치에 의해 포함되도록 요구되는 거리는 ½로 감소된다.
(2) 클러치에 대한 제어 유니트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는 비교적 짧은 거리를 포함행 하는데 왜냐하면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운동에 대한 추가적 설비가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소형 작동장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그것은 클러치 내에 모든 조절 요소를 설치할 수 있다. 가능한 예외는 클러치의 초기 조절이나 하도록 세팅하는데 이용되는 요소이다.
(4) 특히 마찰 라이닝이나 클러치의 어떠한 다른 부품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조절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클러치와 비교할 때, 그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원심력의 영향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고 마찰라이닝과 분리시에 복원력에 변화를 막을 수 있다.
마모의 보상이 푸시타입 클러치에서 발생한다면, 선형 지표곡선을 가지는 클러치 스프링/비선형 지표곡선을 가지는 보상 스프링/일정한 변속 비율을 가지는 변속장치 대신에 비선형 지표곡선을 가지는 클러치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것처럼, 주 작동장치와 클러치의 토크 선택부품 또는 다른 토크전달 장치 사이의 연결부 조절을 돕는 보조작동 장치는 주 작동장치의 원동기와 클러치의 운동수용 부품 사이의 주 작동장치 또는 파워 트레인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보조작동 장치는 주 작동장치의 하우징 또는 차량의 프레임, 예를들면, 주 작동장치의 할우징 가까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작동 장치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여러 센서의 신호/주 작동장치를 포함한 제어 유니트의 전자장치/엔진, 변속기의 전기회로/토크 전달장치/제어 유니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자료들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들어, 센서는 클러치의 정확한 연결위치, 즉 도 2에서 나타낸 형태의 마찰 클러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달하는데 여기에서 클러치 디스크는 플라이휠의 회전에 응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보조 작동장치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모니터된 여러 매개변수는, 주어진 전압과 암페어에서 전진조절과 후진 조절 사이의 차이뿐만 아니라 주어진 전류와 전압하에서 조절의 지속, 주 작동장치의 모터에 의해 소비되는 전류에 기초한 작동력, 세팅 토크의 지표 곡선상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어유니트에 의해 조작이 조절되는 자동 클러치나 다른 토크 전달 장치가 방해받지 않고 작동을 수행하도록, 클러치의 연결 및 분리상태, 타이밍과 정도를 알아두는 것이 이롭다. 특히 이것은 클러치에 의해 전달된 토크의 계획된 변조시에 중요하다. 예를들면, 주 작동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클러치나 다른 토크전달 장치의 정확한 연결부위를 모니터하는 것을 돕도록 거리 모니터 센서를 이용한다면, 작동장치와 그 시스템 사이의 운동전달 경로의 정확한 길이를 아는데 유리하다. 이 경로가 유체로 작동되는 배치라면, 유압 칼럼의 길이 변화나 부피 변화의 보상이 유체를 포함한 도관과 탱크 또는 다른 적절한 가압 유체공급원 사이의 노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가열이나 냉각에 의해 유체부피가 변한다면 이 보상은 필요하다. 온도의 변화에 따른 누수에 의한 부피 변화를 보상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 스니핑(sniffing)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현재 함께 출원중인 발명에서 나타낸 대로, 연결점의 조절이 가능하다. 클러치나 다른 토크 전달장치와 변속기에서 베어링이나 레버 같은 운동 수용부품과 제어 유니트의 주 작동장치 사이 경로의 정확한 길이와 관련된 자료를 얻기 위해서 상기 정보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이상의 Nm에 의해 실제 연결점에 전달된 것과 전달된 토크의 크기가 다른 상태에서 연결점의 조절은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은 주 작동장치와 클러치의 운동 수용부 사이 경로의 계획된 길이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이것은 클러치의 가동성 부품의 운동량, 주 작동장치의 위치와 클러치의 분리 상태사이에서 기정의 관계를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만약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간격으로 조절이 반복된다면 조절은 바람직하지 못한 작동 방해의 발생을 줄인다. 예를들어, 관련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어떤 매개변수의 변화를 제어유니트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고 주 작동장치 출력요소의 세팅과 수용할 수 있는 값 이상으로 바뀌는 클러치의 분리와 같은 특정 상태를 나타내는 가동성 부품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때 조절은 필요하다. 그런 환경하에서 조절은 때때로, 선호적으로는 규칙적 간격으로 수행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를 막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작동장치에서 변속기 옆의 보상 스프링 또는 비선형 토크전달 장치와 같은 에너지 저장요소와 분리된 상태 사이의 대응이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로 바뀔 때 조절이 필요하다. 또, 주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에 의해 덮여질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되어서 이 출력요소에 의해 포함되도록 조절된 활용할 수 있는 거리 영역이 클러치나 다른 토크전달 장치와/변속 장치 비율의 요구되는 상태를 선택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때 조절이 필요하다.
발생할 수 있는 또다른 문제점은 거리 모니터 센서의 온도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다. 미리 정해진 정상온도의 영역과 아주 다른 온도를 가지는 센서에 의해 전달된 신호는, 그런 경로 길이 변화가 이전의 조절에 뒤이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조절이 불필요한 곳에서 작동장치로부터 토크 전달장치/변속 장치의 운동 수용부까지 경로의 작동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유니트에 의해 잘못 감지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실제로 필요한 정도로 수행되는 조절은, 거리 모니터 센서의 온도변화가 불필요한 조절을 개시하지 않도록 한다.
또, 에워싼 대기의 온도변화에 응하여 주 작동장치와 하나이상의 가동성 부품 사이의 경로를 줄이거나 늘이는 것은 쉽게 이루어진다. 이 온도변화는 보상되어야 하는 어떤 다른 변화뿐만 아니라 상기 경로길이의 변화를 쉽게 이끈다. 그런 변화중 하나는 에너지 저장요소 및 다른 탄성 요소의 어떤 부품의 강성 변화이다.
조절이 보장되기 쉬운 다른 요인은 주 작동장치와 클러치 등의 가동성 부품 사이의 경로에서 접촉부품 사이의 마찰 변화이다. 예를 들어 마찰 퍼텐셜 변화는 클러치 토크선택 레버와 주 작동장치의 출력요소 사이의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베어링(54)과 도 2의 클러치(3')에서 레버(53)의 인접한 방사상 내부 단부 사이에서 마찰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조절은 보장할 수 있는 요인은 원심력의 크기변화와 원심력의 크기변화에 따른 하나이상의 부품의 위치변화이다.
마찰 클러치의 반복되는 연결 및 분리에 따른 클러치판 또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에 더하여, 조절을 보장하는 다른 요인은 압력판의 마찰면의 배치변화이다. 그러한 압력판의 마찰면의 배치변화는 일반적으로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지만 마모를 계속 당하는 인접한 마찰 라이닝 세트와 반복된 연결 및 분리에 의해 부분적이나마 야기될 수 있다.
정해진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알맞은 신호를 수용함에 따라 모든 조절은 제어유니트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연속 조절량은 동일하거나 관련된 신호의 지표 및 강도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 요구되는 전체 조절이 마무리될 때까지 각각의 조절은 단일 단계나 더 짧은 연속된 두 단계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속 다단 조절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복합 조절의 연속 단계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또, 앞서 설명된 것처럼, 주 작동장치에 의해 조절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주 작동장치에 의해 조절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주 작동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 제 2 보조작동 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주 작동장치의 비작동시에 실제 조절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 작동장치와 클러치 등의 운동 수용부 사이의 일반적 연결부는, 자동조절이 마무리될 때 복구된다.
주 작동장치가 비 작동상태일 때 하나이상의 에너지 저장요소나 클러치의 탄성요소가 힘의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주 작동장치의 작동북구에 따라 그런 평형상태가 유지된다. 마찰 라이닝이나 다른 부분의 추가적 메모에 따라 힘의 평형상태가 깨질 때 제어유니트는 조절 등의 작동을 개시한다.
도 27a 는 주 작동장치(3000)와 마찰 클러치(307)의 결합물을 나타낸다. 작동장치(3000)는 전기모터 같은 원동기(3001), 변속기, 출력요소(3004)와 에너지 저장요소(3003)로 구성된다. (후자는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 등을 포함한다) 출력요소(3004)는 볼트, 핀, 코터 핀 같은 적절한 고정장치(3014)에 의해 작동장치(3000)의 하우징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출력요소(3004)는 알맞은 연결부(3005)에 의해 클러치(3007)의 운동 수용부재(3006)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고, 운동 수용부재는 적당한 베어링 등을 통하여 클러치의 미리 압력받은 다이아프렘 스프링(3009)에 작용할 수 있다. 다이아프렘 스프링(3009)은, 클러치(700)와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부재(300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한 세트의 레버나 다른 적절한 클러치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클러치는 차량의 엔진같은 구동장치의 크랭크 샤프트나 캠 샤프트 등의 출력 부재(3012)에서 토크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3008), 다이아프렘 스프링(3009)에 의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압력판(3010), 한 세트의 압력판(3010)과 연결되고, 다른 세트는 하우징(3008)과 출력부재(3012)와 함께 회전하는 플라이 휠의 마찰면과 연결되는 두세트의 마찰 라이닝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 즉 클러치 판(3011)으로 구성된다. 다이아프렘(3013)은 압력판(3010)이 클러치 디스크(3011)에서 떨어져 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즉 클러치(3007)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한쪽 방향으로 다이아프렘 스프링(3009)의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다. 다이아프렘(3013)은 조절장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조절장치는 클러치 디스크(3011)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자동적으로 보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동일 발명인의 미국특허 제 5,409,091 호를 참고해 보아라.
작동장치(3000)는 마찰 클러치(3007)를 포함한 차량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된다. 클러치(3007)는 푸시-타입 클러치인데, 즉 가동성 부재(3006)는 다이아프렘 스프링(3009)의 방사상으로 내부로 뻗어있는 커버의 내부를 밀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클러치 디스크(3011)의 마찰 라이닝을 향하여 압력판(3010)을 옮길 수 있다. 그러나, 작동장치(3000)는 풀-타입 클러치와 함께 동일하거나 비슷한 장점을 가지고 이용될 수 있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 커버의 방사상 내부 부분은 클러치와 연결되도록 출력 샤프트(3012)에서 떨어져, 출력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당겨져야 한다.
그것이 하우징(3008)과 압력판(3010)에 의해 회전될 때 (즉, 클러치(300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될 때), 클러치 디스크(3011)는 변속장치, 예를들면 도 1a 의 차량(1)의 변속장치(4)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이아프렘(3013)을 포함할 수 잇고 설치될 수 있는 조절장치는 어떤 마모된 부분을 보상하도록 또는 클러치(3007)의 모든 관련 부품(예를 들면, 클러치 디스크(3011)의 마찰 라이닝, 압력판(3010)의 마찰면, 상기 플라이휠과 다이아프렘 스프링(3009)의 마찰면)의 마모를 자체적으로 보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찰 클러치의 하우징(3008)내에서 완전히 조절하도록 설계되고 모든 마모를 보상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선호된다.
작동장치(3000)의 변속기(3002)가 자체 고정되지 않거나 작동장치(3000)가 주어진 위치에서 변속기(3002)의 출력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어떤 내부 장치도 갖추고 있지 않다면, 도 27a 에 나타낸 구조물은 상기 고정 장치(3014)를 갖추는데 있는데 이 고정장치는 작동장치의 하우징에 대하여 미리 선택된 위치에서 출력요소(3004)와 변속장치(3002)의 출력부재를 유지할 수 있다. 선호적으로 뒤쪽 단부 위치에서 작동장치(3000)의 하우징에 대하여 변속기(3002)의 출력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마찰 클러치(3007)의 운동 수용부재(3006)와 작동장치(3000)의 출력요소(3004)가, 클러치와 작동장치가 생산되는 플랜트나 자동조립 플랜트에서 서로서로 처음에 연결될 때, 클러치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연결부재(3005)는 출력요소(3004)와 부재(3006)를 연결하도록 작동된다. 여기에서, 고정장치(3014)는 작동되고, 즉 에너지 저장요소(30003)의 바이어스 하에서 작동장치(3000)의 하우징에 대한 운동에 맞서 출력요소(3004)가 유지된다. 다음 단계에서 고정장치(93014)를 작동하지 못하게 해서 작동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부품의 샤프트가 발생하고 그동안 클러치(3007)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출력 요소(3004)와 부재(3006) 사이의 연결부(34005)를 형성시에 고정장치(3014)를 분리할 수 있고 그동안 클러치(3007)는 완전히 연결된 상태 또는 미리 정해진 중간상태, 즉 일부만 연결된 상태로 있다.
도 27b 는 주 작동장치(3050)와 도 27a 의 클러치(3007)와 유사한 마찰 클러치 같은 토크전달 시스템(3060)의 결합체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작동장치(3050)는 원동기(3051), 변속기(3052), 에너지 저장요소(3057)과 출력요소(3056)을 포함한다. 도 27a의 수동조작 고정장치(3014)는 모터(3054)와 변속기(3055)를 포함한 리레이 같은 보조 작동장치(3053)의 형태인 모터 고정장치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 모터 고정장치는 주 작동장치(3050)의 출력요소(3056)에서 출력요소를 분리하고 변속기(3052)의 출력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행한다. 출력요소(3056)는 클러치(3060)의 클러치 연결/분리 베어링과 같은 가동성 부품과 직접 연결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 클러치의 플라이휠과 하우징은 차량에서 연소 엔진의 출력부재(3061)로 부터 토크를 수용할 수 있다.
클러치(3060)는 푸시-타입 또는 풀-타입 마찰 클러치이다. 보조 작동장치(3053)가 변속기(3052)의 출력부재를 출력요소(3056)에서 분리하도록 작동될 때, 에너지 저장요소(3057)는 클러치(3060)의 탄성요소와 평형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보조 작동장치(3053)는 출력요소(3056)에서 변속기(3052)를 분리할 수 있고 그동안 클러치(3060)는 미리 정해진 정도로 완전히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앞서 설명된 클러치(3060)에서 탄성요소의 바이어스와 에너지 저장요소(3057)의 바이어스 사이의 평형상태는, 작동장치(3050)와 클러치(3060)를 서로서로 초기 조립하는 동안 또는 차량에서 도 27b 에 나타낸 구조물을 설치하는 동안 이루어진다.
보조작동 장치나 릴레이(3053)의 변속기(3052)의 출력 부재와 출력요소(3056)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작동될 때, 변속기(3052)의 출력부재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에너지 저장요소(3057)의 바이어스는, 변속기(3052)의 출력부재와 출력요소(3056) 사이의 기계적 연결부를 복구한 후에 기정된 값을 취하도록 바뀌어질 수 있다. 에너지 저장요소(3057)의 바이어스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만드는 것은 본 발명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 조절은, 보조 릴레이(3053)가 길이 방향의 운동에 대하여 출력요소(3056)를 유지하도록 작동되고 주 작동장치(3050)의 원동기(3051)가 비작동 상태인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도 27c는 주 작동장치(3100)는 나타내는데 이 주 작동장치는 전기모터 등의 원동기(3101)를 포함한 하우징(3107), 변속기(3102), 에너지 저장요소(3103), 토크전달 장치(3105)의 베어링과 연결되는 왕복 출력요소(3104)의 일부, 즉 클러치와 연결 및 분리되도록 상기 베어링에 의해 클러치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만들어진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가지는 마찰 클러치로 구성된다.
하우징(3107)은 차량의 프레임(3106)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고 고정장치(3108)에 의해 프레임에 대해 선택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 하우징(3107)의 조절성은 차량에서 작동장치(3100)의 부적절한 초기장착을 수정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요소(3103)의 바이어스를 적절히 선택하도록 한다. 에너지 저장요소(3103)의 바이어스와 클러치(3105)에서 탄성요소의 바이어스 사이의 평형은, 고정장치(3108)를 느슨하게 하고 프레임(3106)에 대해 하우징(3107)을 옮기거나 에너지 저장요소(3103)의 바이어스 또는 클러치에서 탄성요소의 바이어스하에서 그런 이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장치(3108)는 프레임(3106)에 대해 선택된 위치에서 하우징(3107)을 고정하도록 작동된다.
클러치(3105)는 자체조절 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그것은 마찰 라이닝의 마모와, 필요하다면 클러치의 다른 부분의 마모를 보상한다. 보조 작동장치같은 모터 장치에 의해 고정장치(3108)을 대체할 수 있는데 상기 모터장치는 에너지 저장요소(3103)와 클러치(3105)에서 탄성요소 사이의 평형 상태를 확립하도록 프레임(3106)에 대해 하우징(3107)을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또 하우징(3107)과 프레임(3106)사이의 주 작동장치(31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추가 에너지 저장요소의 바이어스와 에너지 저장요소(3103)의 바이어스 사이에 평형상태를 이루도록 차량 프레임(3106)에 대해 하우징(3107)의 가동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7c 구조체의 마지막으로 언급된 수정된 실시예는 도 27d 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 27d 의 클러치(3156)는 작동장치 하우징(3151)에서 에너지 저장요소(3155)를 가지는 주 작동장치(315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작동장치 하우징은 차량 프레임(3152)에 대해 가동성이고 알맞은 고정장치(3153)에 의해 그 프레임에 대해 선택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요소(3154)는 프레임(3152)에서 다이아프렘에 맞서 작용하고 하우징(3151)에서 지탱된다. 에너지 저장요소(3155)에서 지탱된다. 에너지 저장요소(3155)의 바이어스와 탄성요소(3154)의 바이어스 사이의 평형상태는 고정장치(3153)를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요소(3155)의 바이어스와 요소(3154)의 바이어스 사이에서 바람직한 평형부재를 계속 유지하도록 미리 선택된 평형부재를 확립하여서 고정장치(3153)를 재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도 27d 의 구조체는 에너지 저장요소(3155)의 바이어스, 탄성요소(3154)의 바이어스와 클러치(3156)에 제공되고 요소(3155)의 바이어스에 반하는 하나이상의 탄성요소 사이의 평형상태를 이루는데 동일한 잇점을 가지고 이용될 수 있다.
도 27e 는 주 작동장치(3200)를 나타내는데 그것은 클러치의 베어링(3205)과 작동장치(3200)의 출력요소(3204)사이에 설치된 조절장치(3206)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장착된 마찰 클러치 같은 토크전달 시스템(3202)에 연결된다. 하우징, 압력판과 클러치(3202)의 플라이휠은, 모터차량의 연소엔진 같은 구동장치의 캠샤프트나 크랭크 샤프트인 출력부재(3203)에 의해 구동된다. 작동장치(3200)의 하우징은 차량의 프레임에 단단히 장착되고, 전기모터 같은 원동기, 변속기 출력요소(3204)에 작용하는 에너지 저장요소(3201)를 포함한다. 조절장치(3206)는 두 개의 컵 모양의 부품(3207,3208)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컵모양의 부품은 탄성요소(3209), 즉 코일 스프링에 의해 서로서로 분리되어 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서로 텔레스코프식으로 연결된다. 부재(3208)는 출력요소(3204)에 부착되고 부재(3207)는 베어링(3205), 즉 클러치(3202)의 운동 수용부와 연결된다.
고정장치(3210)는 알맞은 축 주위에서 서로서로에 대해 부재(3207,3207)를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고정장치(3200)과 클러치(3202)사이의 연결부를 초기 조절하기 위해서, 고정장치(3210)를 비작동 상태로 두어 부재(3207, 3208)는 에너지 저장요소(3201)/탄성요소(3209)/클러치(3202)의 하나이상의 탄성요소의 바이어스하에서 서로서로에 대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고정장치(3210)는 부재(3207, 3208)를 서로서로에 대해 단단히 고정하도록 제공되므로 탄성요소(3209)의 바이어스는 변하지 않고 요소(3204)와 베어링(3205)사이의 선택된 거리/출력 요소(3204)의 축 위치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따라서, 일단고정 장치(3210)이 적용되면, 조절장치(3208)는 출력요소(3204)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28a 와 도 28b 에, 워엄(3303)을 지탱하고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출력 샤프트를 가지는 전기모터같은 원동기(3301)를 포함하는 하우징(3302)을 가지는 작동장치(3300)가 나타나 있다. 위엄(3303)은 위엄 휠(3304)과 맞물리고, 모터(3301)의 출력 샤프트는 링크(3306)를 위한 두 개의 축방향으로 놓인 편심바퀴(3305)를 유지한다. 워엄 휠(3304)을 위한 샤프트는 두 개의 편심바퀴(3305) 사이에 놓이고 샤프트(3310)에서 워엄 휠(3309)과 맞물리는 워엄(3308)을 유지하는데 상기 샤프트(3310)는 모터(3301)의 출력 샤프트(3303)에 평행하고 너트(3311)를 체결한 이송나사와 연결된다. 너트(3311)는 하우징(3302)에 대하여 회전을 못하도록 유지되어서 샤프트(3310)와 이송나사의 회전에 응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너트(3311)와 링크(3306)는 운동을 복합레버(3312)로 전달한다. 레버(3312)의 한쪽 단부는 너트(3311)에 관절식으로 이어지고, 이 레버의 중간부분은 링크(3306)에 관절식으로 이어지고, 이 레버의 다른쪽 단부는 작동장치(3300)의 왕복 출력요소(3313)에 관절식으로 이어진다.
이 링크(3306)는 에너지 저장요소(3307)에 의해 바이어스되는데 이 에너지 저장요소는 모터(3301)의 하우징에 인접해 있고 작동장치 하우징(3302)의 단부벽에 대하여 작동된다.
상기의 작동장치(3300)의 어떤 부분은 복합 변속기로 구성되는데 그것은 모터(3301)와 출력요소(3313) 사이에 삽입된다. 레버(3311)은 두 왕복운동을 받아들이는데 그중 하나는 한쪽 단부에 작용하는 너트(3311)에서 발생하고 다른 하나는 중간부분에 작용하고 링크(3306)에서 발생한다. 그렇게 얻어진 복합운동은 마찰 클러치나 다른 변속기에 의해 전달된 토크를 선택하기 위해 출력요소(3313)으로 전달된다.
작동장치(3301)의 하우징(3302)에서 변속 효율성은 제 2 단계의 비율, 샤프트(3310)의 이송나사에서 외부나사의 리이드/레버(3312)의 두 개의 암이 가지는 길이의 알맞은 선택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도 29에서는 작동장치(3400)을 나타내는데 그것은 주 작동 하우징(3402)와 일체형으로 부착된 하우징을 가지는 전기 모터 등의 원동기(3401)를 포함한다. 모터(3401)의 출력 샤프트는 중공 워엄휠(3404)와 맞물리는 워엄(3403)을 지탱한다. 워엄 휠(3404)의 관상 연장부는 회전캠(3417)을 지탱하는데 그것은 두 개의 암을 가진 레버(3419)의 한쪽 암으로 운동을 전달한다.
중공 워엄휠(3404)의 일부는 중간 샤프트(3415)에서 피니언과 맞물리는 스퍼어 기어를 구성하고, 중공워엄 휠(3404) 너머로 뻗어있고 너트(3411)을 체결한 이송나사(3410)를 갖추고 있는 장방향 샤프트에 피니언은 스퍼어 기어(3416)와 결합한다. 너트는 하우징(3402)에 회전할 수 없게 장착되어서 모터(3401) 출력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워엄 휠(3404)로 향하거나 떨어지게 그것은 이송나사를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레버(3419)의 중간부분은 복합레버(3412)의 중간부분에 의해 유지되는 링크(3406)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레버(3412)의 한쪽 단부는 왕복 너트(3411)에서 운동을 수용하고, 이 레버는 다른쪽 단부는 작동장치(3400)의 왕복 출력요소(3413)에 관절식으로 이어진다.
에너지 저장요소(3407)는 하우징(3402)에 맞서 작용하고, 레버(3419)의 오른쪽 단부에 의해 유지되고 출력요소(3413)과 복합레버를 연결하는 피봇에 장착된 링크모양의 리테이너(3414)를 통하여 출력요소(3413)에서 간접적으로 지탱한다. 레버는 리테이너 에너지 저장요소(3407)는 레버(3419)에도 작용한다.
번호 3418은 중공 워엄 휠(3404)의 장방향 관상 연결부에 대하여 너트(3411)을 위한 가이드 또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도 30 은 작동장치 하우징(3502)에 의해 유지되는 전기모터 같은 원동기(3501)를 가지는 작동장치(3500)를 나타낸다. 모터(3501)의 출력 샤프트는 다단 유성기어 장치(3520)의 제 1 단을 구동하고 그것의 마지막 단은 너트(3511)를 체결한 이송나사(3510)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스퍼어 기어(3524)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가이드(3518)에서 하우징(3502)에 대해 왕복운동할 수 있다. 너트(3511)는 회전캠(3517)을 지탱하는데 이 회전캠은 작동장치(3500)의 왕복 출력요소(3513)에 부착된 푸셔(3522)에 관절식으로 이어진다. 출력요소(3513)는 가이드(3526)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요소(3507)에 의해 바이어스되는데 상기 에너지 저장요소는 모터(3501)의 하우징에 맞서 작용하고 출력요소에 플랜지에 대해 지탱한다. 번호 3627은 유성 기어장치(3520)의 스퍼어 기어(3524)와 결합한 피니언의 샤프트를 위한 캐리어를 나타낸다. 회전캠(3517)은 너트(3511)의 관상 연장부(3521)위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푸셔(3522)는 출력요소(3513)가 복합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복합운동은 너트(3511)의 축방향 운동과 회전캠(3517)의 운동으로 이루어진다.
작동장치(3500)의 장점은, 부분적으로 유성기어 장치(3520)에 의해 개시되고 일부는 이송나사(3510), 너트(3511)과 회전캠(3517)을 포함한 변속기에 의해 개시되고 운동을 출력요소(3513)이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출력요소(3513)에 의해 조절되는 장치의 가동성 부품이 적절한 운동을 취하도록 한다.
도 31 의 작동장치(3600)는 하우징(3602)에 의해 지탱되고 샤프트(3622)를 에워싼 스퍼어 기어(3628)와 맞물리는 스퍼어 기어(3624)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 등의 원동기(3601)로 구성된다. 기어(3628)에 의해 구동되는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피니언은 내부기어(3627)와 맞물리는 타워기어(3634)에 의해 에워싸여진 편심바퀴(3605)와 일체형인 기어(3629)와 맞물린다. 내부기어(3627)의 샤프트는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너트(3611)와 맞물려 이송나사(3616)를 유지한다.
요크(3633)은 하우징(3602)에서 회전에 대하여 타원 기어(3634)를 유지한다. 이것 때문에, 요크(3633)의 커버는 샤프트(3632)에 걸쳐져 있다. 토크 전달기(3618)는 기어(3629)의 연장부와 작동장치(3600)의 출력요소(3613)에서 로울러 종동부(3631)을 위한 둘레에 놓인 캠 그루우브를 가지는 실린더 캠(3630)의 몸체 사이에서 작동한다.
기어(3627)은 간헐적운동을 이송나사(3616)에 전달한다. 이송나사(3616)과 캠(3630)의 각 운동들 사이의 차이는 출력요소(3613)의 로울러 종동부(3631)를 통하여 캠의 각 변위를 일으킨다. 로울러 종동부(3631)의 운동은, 부분적으로는 너트(3611)과 체결이송 나사(3616)을 포함한 변속기에 의한 운동과 부분적으로는 실린더 캠(3630)을 포함한 변속기에 의한 운동으로 이루어진 복합 운동을 수행한다.
푸셔(3622)는 에너지 저장요소(3607)과 출력요소(3613)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 것을 돕는다. 이 푸셔는 샤프트(3632)를 둘러싸고 베어링(3626)에 의해 안내된다.
앞서 이미 설명된 대로, 작동장치 모터의 샤프트 같은 회전출력 부재가 운동을 변속장치에 전달하도록 작동장치를 개선시켜 만들고 조립될 수 있는데 상기 변속장치는 한 세트의 스퍼어 기어(3624, 3628), 워엄과 워엄 휠(3404, 3404), 유성 기어장치(3520), 한 세트의 하이포이드 기어, 공동 작용하는 타원 기어 등을 포함한다. 다단 변속기의 한 단계에서 부품의 회전운동을 이 변속기의 다른 단계에서 부품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다른 단계에서 부품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회전캠(3417), 슬라이더 크랭크 장치, 크랭크 드라이브, 크랭크 루우프 변속기 및 휠 커플러 변속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조절을 위한 RPM 의 변화는 한 세트의 체결 스퍼어기어 하이포이드 기어, 워엄과 워엄 휠 드라이브, 유성기어 장치, 이송나사 변속기, 상기 휠 커플러 변속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이미 설명한 것처럼 여러 이유로 마모를 보상하는 조절을 위해, 이송나사 변속기, 슬라이더 크랭크 장치, 크랭크 드라이브, 이송나사 또는 휠 커플러 변속기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복합운동은 복합부재(3412) 또는 랙-앤드-피니언 드라이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에 대한 작동장치의 변속기 또는 에너지 저장요소를 위한 접합부의 시프팅은 축 방향으로/접선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앞서 나타낸 것처럼, 주운동에 더하여 더 많은 조절을 위해 즉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서,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는 제 2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절장치에 의해 개시된 운동은 주 운동에 덧붙여져 이루어지는데 상기 주 운동은 클러치의 전면적 또는 부분적 연결 및 분리/변속장치의 요구되는 비율을 적절하게 선택하도록 돕는다. 조절을 위한 운동은 간헐적일 수 있고, 규칙적으로 또는 다른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요소의 조절과 같은 제 2 운동을 일으키는 장치는 출력요소 또는 출력요소의 주 운동을 일으키는 장치와 영구히 또는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작동장치 같은 조절장치의 원동기는 주 작동장치의 원동기 같은 전기 모터일 수 있다. 또, 도 26b 을 참고로 설명된 것처럼, 조절운동 방향 또는 운동량은 주 작동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은 규칙적 또는 다른 간격으로 조절을 하고 그동안 원동기의 출력 샤프트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조절은 비교적 작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기적 조절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주 작동장치의 전체 에너지 요구량에 대해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도 27b에 나타낸 것처럼 주 작동장치와 보조 작동장치를 일체형으로 만들었을 때의 장점은, 제어유니트를 아주 소형으로 만들 수 있고 차량에 결합된 주 작동장치 및 보조 작동장치를 설치하기가 더 용이하는 것이다. 또, 그것은 주 작동장치와 제 2 작동장치를 위해 공통의 원동기를 적용하기에 충분하다.
어떤 예시에서, 주 작동장치와 보조 작동장치 또는 각각의 그런 작동장치의 원동기는 가역 전기모터 또는 등가 원동기이다. 이 원동기와 결합된 변속기는, 원동기의 출력 부재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출력요소가 동일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주 작동장치가 토크전달 장치를 위해 제어유니트에서 이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한쪽 방향으로 원동기의 출력부재가 회전하는 것은 전달된 토크의 크기를 알맞게 선택할 수 있고 반대쪽 방향으로 출력부재가 회전하는 것은 마모를 보상하는데 필요한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32a 와 32b 는 전기모터(3701)나 다른 적절한 원동기를 포함한 작동장치(3700)을 상세히 나타낸다. 모터(3701)의 출력 샤프트는 작동장치 하우징(3704)에 저널된 샤프트(3705)에서 워엄 휠(3703)과 맞물리게 워엄(3702)를 회전시킨다. 샤프트(3705)는, 링크(3707)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두 개의 암을 가진 레버(3708)와 회전 캠에 관절식으로 이어진 장방향 링크(3707)를 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고 출력요소(3709)에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회전캠(3706)을 지탱한다. 샤프트(3705)는 하우징(3704)에 운동을 전달하도록 돕는 너트(3711)을 체결한 이송나사를 포함한다. 링크는 레버의 한쪽 암에 연결되고, 이 레버의 다른 암은 출력요소(3709)에 연결된다.
에너지 저장요소(3710)는 하우징(3704)의 내벽에 대하여 작용하고 도 32a 에 나타낸 것처럼, 왼쪽으로 레버(3708)를 위해 회전하도록 링크(3707)의 접합부에 대해 지탱된다. (여기에서 에너지 저장요소(3710)는 미리 압축된 상태에서 설치된다).
도 32b 에 나타낸 것처럼, 링크(3712)는 장방향 레버로서 작용하고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너트(3711)의 핀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커버를 가진다. 너트(3711)의 제 3 핀은 하우징(3704)에서 회전을 막도록 너트를 유지한다. 번호 A 는 링크(3712)와 레버(3708) 사이에 피봇을 나타낸다; 이 피봇은 링크나 레버(371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출력요소(3709)의 운동은, 부분적으로는 회전캠(3706)이 운동하고 부분적으로는 링크(3712)가 운동하는 복합운동을 한다.
레버나 링크(3712)의 장착 및 크기뿐만 아니라 샤프트(3705)의 이송나사 피치는 출력요소(3709)위치 조절속도와 운동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데 이 운동은 출력요소(3709)에 연결된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선택하는데 필요하다.
모터(3701)은 반시계 방향 뿐만 아니라 시계방향으로 샤프트(3705)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가역 전기 모터이다. 따라서, 출력요소(3709)의 위치변화는 두 방향으로 샤프트(3705)가 회전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토크 변속을 선택할 목적뿐만 아니라 마모 등을 보상할 목적으로 샤프트(3705)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출력요소(379)의 운동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3 은 전기모터 같은 원동기(3801)를 가지는 작동장치(3800)를 나타낸다. 모터(3801)의 회전출력 부재는 스텝-다운 변속장치(3802)의 제 1 회전부재를 구동하고, 이 변속장치는 작동장치(3800)의 하우징(3803)에 저널된 샤프트(3804)를 구동한다. 샤프트(3804)는 축방향 운동을 작동장치(3800)의 왕복운동할 수 있는 출력요소(3807)에 관절식으로 이어진 톱니를 가지는 회전 캡(3806)을 장착하고 너트(3805)를 에워싼 베어링(3813)을 둘러싼 조절슬리브(3812)의 한쪽 축방향 단부에서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가지는 너트나 슬리브(3805)로 전달할 수 있고 맞물려 있는 이송나사를 포함한다. 출력 요소는 하우징(3803)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게 가이드되고 슬리브(3812)를 둘러싸고 하우징(3803)의 내벽에 대하여 작용하는 에너지 저장요소(3808)을 위한 접합부로서 이용되는 벽(3809)를 포함한다.
가이드(3810)는 하우징(3803)에서 출력요소(3807)의 회전을 막도록 돕는다. 회전 캠(3806)이 너트(3805)에서 운동을 수용하고, 그것의 톱니는 슬리브(3812)가 샤프트(3804)의 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각운동은 비교적 느리고 회전 캠(3806)의 경사, 회전캠의 톱니부분의 지름과 슬리브(3812)의 지름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결정되고, 이것은 슬리브(3812)의 회전속도를 정할 수 있다. 슬리브(3812)의 왼쪽 단부는 하우징(3803)의 인접한 내부관상 부분에서 외부 나사와 맞물리는 내부나사를 가지는데, 즉, 슬리브(3812)는 너트로서 작용하고 하우징(3803)은 이송나사로서 작용하는데 그것은 회전캠(3806)에 의해 슬리브(3812)의 회전에 따라 너트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베어링(3813)은 너트(3805)의 그런 축방향 운동을 공유한다. 이것은 회전캠이 출력요소(3807)의 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모터(3801)의 출력샤프트는 반시계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선호된다. 이것은 도 33에 나타난 것처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 캠(3806)이 출력요소(3807)의 운동을 개시할 수 있게 한다.
그것은 작동장치의 부품 운동량, 다른 가동성 부품의 운동량 또는 작동장치와 토크전달 장치의 가동성 부품 사이의 연결부에서 부품의 운동량을 모니터하는 것이 선호된다. 그것은 선형 운동 또는 다른 운동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부품의 운동량을 모니터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그것은 회전부품의 각 운동, 즉, 개선된 제어 유니트의 작동장치에서 원동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기모터의 회전 출력 샤프트 각 운동을 모니터할 수도 있다.
개선된 제어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장치의 변속장치에서 운동방향 변화는 (a) RPM (b) 회전 및 직선운동 사이의 관계, (c) 속도, (d) 방향 및 (e)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부품의 축 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함으로써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장치의 원동기를 구성하는 전기모터의 회전출력 샤프트가 리드를 가지는 이송나사에 회전할 수 없게 즉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작동장치의 변속기는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그런 이송나사를 포함한 변속기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송나사를 포함한 단은 변속기의 스텝 다운 단뒤에 놓이고, 그런 스텝 다운 단은 적당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선된 제어유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장치에서 현재 선호되는 변속기는 이송나사 혹은 스핀들을 포함한 제 1 단과 유성기어장치 같은 스텝-다운 제 2 단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이송나사는 작동장치의 원동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개선된 제어유닛의 작동장치가 마찰 클러치나 다른 토크 전달장치를 작동할 수 있다면, 그것은 아래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그것은 기계력/토크를 발생시키고 반동력/반동토크에 맞선다.
만약 푸시-타입 클러치를 위한 전기적 조작이 개선된 제어유닛과 결합된다면, 코일 스프링같은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요소를 작동장치에 결합하는 것이 좋다.
만약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어떤 출력장치를 가지는 전기모터가 작동장치에 적용된다면, 또 기정의 범위내에서 힘을 전달하고 실현할 수 있는 영역의 운동을 수행하며 차량에서 기정의 최대면적을 차지하도록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출력 요소를 가지는 작동장치에 그런 모터가 설치된다면, 다단 변속기를 가지는 작동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권할만하다.
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선행조건이 충족된다면, 작동장치는 하기의 변환이나 수정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것은 RPM/회전방향/축 위치를 바꿀 수 있어야 한다. 또, 하나의 회전 및 직선운동을 다른 회전 및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밀고 당기는 방향, 배향 및 직선운동 방향을 바꿀 수 있어야 한다. 또, 직선/회전 운동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 조건중 적어도 몇 개를 충족시키도록 작동장치의 하우징에서 변속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은 축방향 운동에 맞서 회전 이송나사를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를 포함하에 한한다. 하우징은 회전 이송나사와 결합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너트의 신장운동을 고려해야 한다. (많은 예시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송나사와 결합한 회전너트 보다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너트와 결합한 회전 이송나사를 가지는 변속기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출력 웨지와 로울링 연결에 쐐기 같은 요소인 너트를 이용할 수 있고, 또는 하우징에서 축방향의 죄는힘을 유지하며 로울링 운동을 위한 가이드가 제공되어야 하고, 방사상으로 이송나사에 죄는 힘이 작용하지 않아야 하고, 출력 웨지의 직선 운동력은 이송나사에 의해 전달된 축방향 힘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즉, 하우징에 적절하게 이송나사가 장착되어야 하고), 하우징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운동에 대하여 이송나사가 적절히 유지되어야 한다. 풀(pull)에서 푸시(push)로 옮기는 동안 변속기에 의해 적절한 운동변속을 보장하도록, 모양-고정 혹은 힘-고정 조인트를 이용한 실시예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종동부가 캠 그루부나 캠 릿지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접합부가 만들어진다.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트윈 로울러 종동부를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송나사에 의해 수행되는 장운동과 출력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단운동 때문에 출력요소가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이상적 비율이하로 나타나기 때문에, 간단한 단일 레버나 링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레버나 링크 회전축은 회전 이송나사의 축에서 정해진 거리상에 놓이고 그 축은 서로서로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을 이루거나 기울어져 있다.
개선된 제어유닛의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시스템이 푸시-타입 클러치를 포함한다면,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스프링에서 동력은 출력요소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어, 비틀림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고, 그 스프링은 작동장치 하우징의 전체 길이만큼 확장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탄성력을 아주 잘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그것은 작동장치의 원동기를 에워싸는 랩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출력요소의 장착과 배치에 따라, 다른 형태의 에너지 저장요소, 에너지 저장요소의 마운팅, 에너지 저장요소와 작동장치의 출력요소 사이의 작동 연결부가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작동장치를 가지고 한 많은 실험에 기초하여, 하기 두 실시예는 많은 장점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이송나사의 축이 슬리브 형태의 출력요소, 랩 에너지 저장요소, 큰 로킹앵글, 밀폐된 소형 작동장치 하우징의 축과 일치하는 변속기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출력요소의 운동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가지는 레버를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레버를 가로질러 작용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요소를 나타내는데, 클러치 등의 작동동안 출력힘의 진행방향은 선형이 아니다.
도 34 와 도 34a 는 전기모터 같은 원동기(4001)의 하우징을 유지하는 하우징(4002)을 가지는 작동장치(4000)를 나타낸다. 모터(4001)의 회전출력 샤프트는 동축 이송나사(4003)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이 샤프트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는 하우징(4002)에 회전할 수 있게 저널된다. 이송나사(4003)은 지름상에서 서로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두 개의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핀을 가지는 너트(4004)와 결합한다; 이 핀들 각각은 제 1 로울러(4005)와 제 2 로울러(4006)를 유지한다. 로울러(4005)는 이송나사(4003)의 회전에 따른 너트(4004)에 안내된다; 이 때문에, 로울러(4005)는 하우징(4002)에서 두 개의 장방향 안내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쉽게 움직이고 로울할 수 있다. 로울러(4006)은 레버 형태의 출력요소(4007)의 두 개의 이격된 스커트에 제공된 장방향 슬롯으로 뻗어있는데 상기 출력요소는 링크(4009)를 통하여 차량의 후드아래에서 다른 토크전달 장치나 변속기 또는 마찰 클러치의 가동성 부분으로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링크(4009)에서 떨어져 있는 레버 형태의 출력요소(4007)의 스커트 부분은 로울러(4005와 4006)의 공동축에 평행한 공동축 둘레의 회전운동을 위해 하우징(4002)내에 장착된다. 출력요소(4007)과 링크(4009)가 이송나사(4003)를 따라 너트(4004)의 운동에 반하는 힘이 로울러(4005)를 통하여 하우징(4002)에 의해 취해진다. 이것은, 그런힘이 이송나사(4003)와 너트(4004)를 포함한 변속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해준다.
코일 스프링(4008)은 작동장치(4000)의 에너지 저장요소로서 작동하도록 제공된다; 이 코일 스프링은 하우징(4002)의 일부에 맞서 반작용하고 링크(4009)를 통하여 출력 요소(4007)에서 지탱된다.
도 35 의 작동장치(4000)는 작동장치(4000)의 제 1 실시예이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르게 배치되고 장착된 출력요소(4007')를 적용한다는 것이고 링크(4009)가 다른 링크(4010)에 의해 출력요소(4007')에 관절식으로 이어지고 에너지 저장요소(4008')는 추가적인 링크(4010)을 통하여 출력요소(4007')에 작용한다는 것이다.
작동장치(4000)의 하우징(4002)에서 출력요소(4007)의 마운팅에 대하여, 작동장치(4000')의 하우징(4002)에서 출력요소(4007')를 위한 피봇(4008a')는 링크(4009, 4010), 즉 요소(4007')와 클러치의 가동성 부분사이에 운동을 전달하는 복합 출력요소 부분에 가까이 놓이는 것을 알 수있다. 즉 요소(4007)과 링크(4009) 사이의 피봇(4009a)이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치 모양의 경로와 출력요소(4007)을 위한 피봇(4007a)의 축에서 중심부를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반면에, 출력요소(4007')와 링크(4010)사이의 피봇(4010a')는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아치상의 경로와 출력요소(4007')를 위한 피봇(4007a')의 축에서 중심부를 따라 움직인다. 출력요소(4007')가 작동장치(4000')의 하우징(4002) 밖으로 링크(4009)를 움직이거나 링크(4009)를 밀도록 회전될 때 이것은 링크(4009)에 대한 링크(4010)의 광범위한 회전운동의 필요성을 줄인다. 도 35에 나타난 것처럼, 작동장치(4000')의 하우징(4002)는 에너지 저장요소(4008')의 축방향으로, 링크(4010)의 선형운동을 위해 가이드를 제공한다. 링크(4010)를 위한 그런 가이드 장치에 더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출력요소(4007')가 회전함에 따라 도 35의 링크(4009)를 거의 왕복운동에만 국한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얇은 막은, 링크(4009)가 하우징으로부터 뻗어있는 영역에서 작동장치(4000')의 하우징(4002)를 밀폐한다.
도 36의 작동장치(4000")는 작동장치(4000)과 작동장치(4000')를 수정한 실시예이다. 작동장치(4000")의 하우징(4002)은 출력요소(4007")와 링크(4009)를 연결하는 링크(4012)를 위한 피봇(4011)을 유지하는 레버 형태의 요소(4008")를 수용한다.
부재(4010")는 출력요소(4007")에 관절식으로 이어지고 에너지 저장요소(4008")의 한쪽 콘벌류우션과 하우징(4002)의 일부에 대해 지탱되는 다른쪽 콘벌류우션을 위한 접합부를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요소(4008")의 축은, 도 34와 34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로울러(4005,4006)를 위해 너트(4004)를 체결한 이송나사(4003)의 축에 평행하다.
작동장치(4000")의 원동기(4001)를 위한 하우징은 하우징(4002)의 좌측면으로 옮겨질 수 있다. 또,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바이어스가 출력요소(400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요소(4008)는 하우징(4002)에 장착될 수 있다. 또, 작동장치(4000")에 대한 토크전달 장치와 변속장치의 위치에 따라 출력요소(4007")에 대한 링크(4012,4009)의 배향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링크(4012)가 뻗어있는 도 36의 하우징(4002) 오우프닝은 얇은 막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작동장치 원동기의 회전 출력부재의 축방향으로, 그 축에 수직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공간을 이용함에 따라, 작동장치 하우징에서 여러부분의 분배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작동장치 하우징의 배치를 새로운 제어유니트와 작동장치의 설치를 위해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간크기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그것은 작동장치의 요소나 출력요소의 배향, 배치, 크기를 위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런 출력요소는 커플러, 포크, 로드, 피스톤 등을 통하여 작동장치 하우징에서 변속기의 출력부재로 부터 운동을 직접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비교적 길고 가느다란 작동장치(3500,3800)는, 작동장치를 위한 공간이 비교적 길고 좁을 때 이용될 것이다. 한편, 그것의 길이(작동장치 3600)와 거의 같거나 일치하는 폭을 가지는 작동장치는, 새로운 제어 유니트 및 작동장치를 위한 다르게 배치된 공간을 부여하는 다른 형태의 차량에서 이용될 것이다.
종종 비교적 단순하고, 소형인 작동장치가 이용되는데 복합한 다단 변속기보다 기능이 더 좋고 비용면에서도 저렴하다.
작동장치의 출력요소는, 개선된 제어유니트에 의해 작용되는 변속기/토크전달 장치의 운동수용부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거나 차량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을 때 이것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만약 작동장치 하우징이 차량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된다면 작동장치의 출력 요소와 마찰클러치/변속기 사이의 독립된 연결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런 연결부가 제공될지라도, 어떤 부분은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예를들면, 마스터 실린더 같은 유동 실린더는 상기 작동장치의 여러 부분중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단단히 고정될 수도 있다.
만약 작동장치의 변속기가 여러단으로 구성된다면, 복합 변속기의 효율이 증가하게 다양한 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된 제어유닛의 작동장치와 결합되거나 일부를 형성하는 에너지 저장요소의 중요한 기능중 하나는, 만약 작동장치의 출력요소가 마찰 클러치의 가동성 부분이나 다른 토크전달 장치에 연결된다면, 작동장치가 비작동 상태일 때 클러치가 미리 정해진 상태(즉, 완전히 연결되거나, 완전히 분리되거나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취하도록 에너지 저장요소가 돕는다.
막 설명한 기능은 에너지 저장요소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고 다른 에너지 저장요소와 함께, 특히 개선된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탄성요소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그런 탄성요소의 대표적인 예는 마찰 클러치의 다이아프렘 스프링, 마찰 클러치의 마모를 보상하는 장치에서 스프링/마찰 클러치에서 클러치판의 부분을 형성하는 두 세트의 마찰 라이닝 사이의 탄성 세그먼트이다.
물론, 작동장치가 이용되지 않을 때 작동장치의 출력 요소에서 운동을 수용하는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거나 연결되고 또는 원하는 정도로만 연결되도록 도와주는 장치로서 작동장치의 원동기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만일 작동장치의 원동기가 전기모터라면, 그것은 모터가 차체의 배터리나 전기 에너지의 공급원에 계속 연결되어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주 작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적어도하나의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맞물리게 하고, 제 2 작동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주 작동장치가 실제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될 준비를 하지 않고 있을 때 효과적인 랩 스프링같은 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 내용은 본 발명의 내용을 완전히 나타내었으므로 상기 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반적인 장치의 필수부분을 구성하는 종래 기술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력 트레인 구성품까지 특징을 생략하지 않으면서, 현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그런 발명사항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단면으로 보여진 클러치와 함께 엔진과 운송장치의 전달 시스템사이에 토크전달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찰 클러치를 작동하는데 개선된 통제 유닛이 사용되는 차량부분의 도해도이다.
도 1b는 단면으로 보여진 클러치와 함께 마찰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수정된 통제유닛을 이용하는 차량의 유사한 도해도이다.
도 2 는 통제 유닛의 수단이나 작동장치의 도해면, 마찰클러치의 도해적 단면도,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와 클러치의 부문을 받는 운동사이의 연결의 도해도이다.
도 3a는 개선도 통제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마찰클러치의 정면도이다.
도 3b 는 도 3a에서 Ⅲ-Ⅲ 에서 화살표방향으로 보여진 실제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곡선이 통제 유닛의 작동장치인 발동기에 의해 공급된 힘과 토크 전송 시스템의 가동 부문에 의해 도달한 거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등한 시스템이다.
도 4b는 곡선이 작동장치인 작동주파수와 토크 전송 시스템의 가동부분에 의해 도달된 거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등한 시스템이다.
도 5 는 회전하는 회전 이송나사가 있는 전송과 축방향으로 이송나사와 맞물리는 가동 너트를 체결하는 역할의 부분적인 측면도와 축상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상이한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6a는 도 6에서 작동장치의 수정을 구성하는 작동장치의 부분적으로 지엽의 정면도나 단면도이다.
도 7 은 작동장치의 도해적인 정면도이다.
도 8a는 부가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세로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Ⅷb-Ⅷb의 화살표 방향으로 보여진 단면도이다.
도 9 는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10 은 작동장치의 보다 넓은 범위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11 은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12 는 작동장치의 보다 넓은 범위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세로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부가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작동장치의 수정을 구성하는 작동장치의 유사도이다.
도 15a는 에너지저장요소를 빠뜨리고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5b는 다른 작동장치의 유사도이다.
도 15c는 보다 넓은 범위의 작동장치 유사도이다.
도 15d는 부가 작동장치의 유사도이다.
도 16a는 보다 넓은 범위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 XVIb-XVIb에서 화살표 방향으로의 실제 단면도이다.
도 17a는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 XVIIb-XVIIb에서 화살표 방향으로의 실질적인 단면도이다.
도 18a는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의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 XVIIIb-XVIIIb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실질적인 단면도이다.
도 19a는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의 단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 XIXb-XIXb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실제 단면도이다.
도 20 는 도 2와 비슷하지만 다른 작동장치로 보여준다.
도 21a는 다른 작동장치의 단편적인 부분도해 정면도와 부분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 XXIb-XXIb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실제 단면도이다.
도 21c는 도 21a와 21b의 작동장치의 전송수정을 이루는 전송의 세부를 보여준다.
도 21d는 도 21c의 다른 위치에서 전송의 일치부분을 보여준다.
도 22 는 도 21a와 21b의 작동장치의 수정을 구성하는 작동장치의 어떤 부분을 파편적인 도해적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 23 는 도 2와 유사하지만 다른 작동장치를 보여준다.
도 24a는 도 23과 유사한 도해 정면도이지만 다른 작동장치를 보여준다.
도 24b는 작동장치와 마찰클러치의 다른 연결을 보여준다.
도 25a는 작동장치로부터 운동을 받는 작동장치와 시스템 사이 매카니즘을 조정하는 단편적인 도해적 정면도이다.
도 25b는 상이한 매카니즘을 조정하는 유사도이다.
도 25c는 그 이상의 매카니즘을 조정하는 유사도이다.
도 25d는 다른 매카니즘을 조정하는 유사도이다.
도 25e는 그 이상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25f는 도 25e XXVf-XXVf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실제 단면도이다.
도 25g는 도 25a에서 25d까지 보여진 매카니즘의 수정을 구성하는 조정 매카니즘의 도해적 정면도이다.
도 25h는 도 25e와 25f에서 보여진 작동장치의 수정을 구성하는 작동장치의 부분적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25j는 도 25h XXVj-XXVj에서 화살표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26a는 차량의 파워트레인에서 작동장치와 토크전송시스템이나 전송시스템의 가동 부분 사이에 다른 매카니즘을 조정하는 단편적인 도해적 정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에 보여진 것의 수정을 구성하는 매카니즘을 조정하는 유사도이다.
도 27a는 도 24a나 24b와 유사한 도해적 정면도이지만 작동장치와 마찰클러치사이 다른 연결을 보여준다.
도 27b는 도 27a와 유사하지만 전송의 출력부재가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와 이탈할 수 있는 상이한 작동장치를 보여준다.
도 27c는 도 27a, 도 27b와 유사하지만 모터운송의 프레임에 고착된 작동장치를 보여준다.
도 27d는 작동장치의 용기가 모터운송의 프레임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있다는 것을 빼고는 도 27c와 비슷하다.
도 27e는 도 27a와 유사하지만 작동장치와 마찰클러치 사이에 상이한 연결을 보여준다.
도 28a는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 XXVⅢb-XXVⅢb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실제 단면도이다.
도 29 는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0 는 도 29에 보여진 작동장치 수정을 구성하는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31 는 도 29 작동장치의 다른 수정을 구성하는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2a는 도36에서 작동장치의 수정을 구성하는 작동장치의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32b는 도 32a XXXⅡb-XXXⅡb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실제 단면도이다.
도 33 은 다른 작동장치의 부분적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34 는 부가 작동장치의 부분적인 정면도와 경도상 단면도이다.
도 34a는 도 34XXXⅣa-XXXⅣa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실제 부분적인 정면도와 실제 단면도이다.
도 35 는 도 34와 유사도이지만 수정된 작동장치이다.
도 36 은 도 34에 유사도이지만 다른 작동장치이다.
* 부호설명
1......... 차량(motorvehcle)
2.......... 구동장치(driving arrangement)
3.......... 클러치(Torque Transmitting system or clutch)
4.......... 변속기(transmission)
5.......... 출력축(output shaft)
5a.......... 디퍼렌샬(differential)
6.......... 액슬(axle)
7......... 클러치 입력부(inputside of the clutch)
8......... 클러치 출력부(outputside of the clutch)
9......... 유압관(fluid-containing conduit)
10........ 실린더(sylinder) 10a......... 피스톤로드
11........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der)
12........ 모터(motor) 12a........ 출력부
12b....... 변속기(transmission) 13........ 제어유니트(control unit)
14,15,16,17,19... 센서(sensor) 18......... 기어변속레버
20......... 토오크선택장치(Torque selecting element)
50......... 플라이휠(flywheel) 51......... 라이닝(lining)
52........ 압력판(pressure plate)
54........ 베어링(bearing)
55........ 분리장치(disengaging member)
56........ 출력요소(output element)
57........ 작동장치(actor) 58......... 주운동장치(prime mover)
59........ 변속기(transmission)
60........ 에너지저장요소(energy storing element)
100....... 다이아프렘스프링(diaphragm spring)
101....... 클러치 커버(tongue) 102....... 팁(tip)
103....... 보강리브(reinforcing rib)
104........ 슬롯(slot) 106........ 커버외측부
107,211.... 고정구(fastener) 108......... 플라이휠
111........ 비보강부분 201......... 하우징
204........ 관형안내부 205......... 지지대
206........ 출력요소 207......... 베어링
302,302b... 좌측단부 302a........ 플랜지
306....... 확장구성부 307......... 우측단부
308........ 하우징단부 309......... 지지판
310........ 링모양부분 312........ 코일
313........ 아암 313a....... 아암단부
314........ 고정구 316........ 벨로우즈
330....... 외향성형부 331........ 팁
414........ 지지대
Claims (83)
- 차량내에서 구동장치, 변속시스템 및 토크전달시스템에 의해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이 제공되고 상기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에 있어서,제어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니트와 연결되며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니트가 상기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장치가 주운동장치, 상기 주운동장치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는 변속기, 한 개이상의 상기 구성부품 및 상기 변속기사이에 배열된 한 개이상의 출력요소들, 상기 출력요소들에 힘을 전달하는 에너지 저장요소를 가지며, 상기 주운동장치와 에너지저장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한개이상의 출력요소들이 상기 구성부품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한 개이상의 전자유니트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가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품이 토크전달시스템이고, 가변크기의 토크를 다른 구성부품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이 상기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은 마찰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은 디스크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토크전달시스템은 토크컨버터의 고정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의 상기 구성부품이 변속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시스템은 변속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시스템은 무단변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일단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다단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a)이송나사변속기, (b)스퍼어기어변속기, (c)베벨기어변속기, (d)유성기어변속기, (e)보우덴케이블구동식 변속기, (f)웜기어변속기, (g)하이포이드기어변속기, (h)크랭크구동체, (i)랙과 피니언구동체, (j) 캠구동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가 제 1 변속비를 가진 제 1 단 및, 상기 제 1 변속비와 다른 제 2 변속비를 가진 제 2 단을 포함하는 다단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속비는 상기 제 1 변속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속비는 상기 제 1 변속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스퍼어기어를 포함하는 제 1 단과 이송나사를 포함하는 제 2 단을 포함하는 다단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요소가 상기 변속기의 일부분에 대해 작용하고 한 개이상의 출력요소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출력요소에 직접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캠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캠구동체에 대해 작용하며 한 개이상의 출력요소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크랭크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크랭크구동체의 일부분 및 출력요소들중 한 개에 대해 작용하며, 상기 크랭크구동체의 일부분 및 출력요소들중 다른 한 개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한 개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a)압축스프링, (b)코일스프링, (c)스파이럴 스프링 및 (d)감김식스프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탄성재료의 스프링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료가 탄성고무 및 합성플라스틱 재료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는 회전출력부재를 가지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회전출력부재와 동축으로 배열된 한 개이상의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가 미리 정해진 축주위에서 회전가능한 출력부재를 가지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축과 평행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는 하우징을 가지고, 미리 정해진 축주위에서 회전가능한 출력부재를 가지며,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제 2 축을 가진 한 개이상의 스프링들 및, 상기 제 2 축방향으로 확장되고 미리 정해진 상기 축의 방사상을 향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열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는 하우징을 가지고, 미리 정해진 축주위에서 회전가능한 출력부재를 가지며,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축의 방사상을 향해 상기 하우징의 축으로 배열된 한 개이상의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출력부재와 동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한 개이상의 이송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이송나사와 동축으로 배열된 한 개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한 개이상의 이송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이송나사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가진 한 개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한 개이상의 이송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이송나사의 방사상을 향해 외측으로 배열된 한 개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상기 주운동장치의 회전출력부재와 평행한 한 개이상의 이송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는 미리 정해진 축주위에서 회전가능한 출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주운동장치에 관해 상기 축의 방사상으로 배열된 한 개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우징을 포함하고,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하우징 및 한 개이상의 출력요소들중 한 개에 대해 작용하고 상기 하우징 및 출력요소들중 다른 한개에 대해 지지되는 한 개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한 개이상의 출력요소들 중 한 개에 대해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 및 출력요소들중 다른 한 개에 대해 작용하는 한 개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요소가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치형구조를 가진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이상의 출력요소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장치의 구성요소에 상기 링크를 관절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변속기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관절연결하기 위한 상기 장치가 (a)유니버셜조인트, (b)볼조인트, (c) 카르단조인트, (d)스위벨 조인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이상의 출력요소가 보우덴케이블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유체로 작동되는 운동전달장치의 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실린더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장치는 제 1 실린더, 제 2 실린더와,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사이에 배열되고 유체를 포함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유압유체 및 가스유체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품이 토크전달시스템이고, 상기 운동전달장치가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의 중앙분리부재를 구성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장치가 가동출력부재를 가진 실린더를 포함하고, 추가로 상기 출력부재 및 상기 구성부품사이에서 기계적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기어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금속제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탄성중합체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a)레이디얼 베어링과 (b)엑시얼 베어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품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은 연결 및 분리가능한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상기 출력요소에 의해 상기 클러치를 부분연결된 상태로 유지하고 압축되는 한 개이상의 스프링이 상기 에너지저장요소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마찰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푸쉬형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인장식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토크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이 연결 및 분리가능한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장치가 이이들상태일 때 클러치를 부분연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장치가 상기 클러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가 예비압축상태이고, (a)다이아프램 스프링, (b) 압축스프링 및 (c)스파이럴 스프링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은 마모되는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들의 마모를 자동으로 보상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구성부품이 토크전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분리되는 마찰클러치가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정격토크를 전달하는 구동장치가 배열되며, 구성부품이 토크전달시스템이고, 상기 작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상기 정격토크보다 작은 토크를 전달하며 연결 및 분리가능한 클러치가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상기 클러치가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클러치가 전달하는 토크는 상기 정격토크의 90%에서 1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상기 클러치가 전달할 수 있는 토크는 상기 정격토크의 35%에서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품이 토크전달시스템이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은 마찰라이닝을 가진 클러치디스크를 가지고 연결 및 분리가능한 마찰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운동장치는 출력부재와 변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저장요소와 상기 출력요소는 상기 출력부재와 상기 클러치디스크사이에서 작동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장치가 아이들상태일 때 상기 클러치를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한 개이상의 에너지저장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는 미리 정해진 토크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9 항에 있어서, 두 세트의 마찰라이닝들 및, 두 세트의 마찰라이닝들사이에 배열되고 클러치가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때 에너지를 저장하는 한 개이상의 스프링이 상기 클러치디스크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요소는 상기 클러치디스크와 상기 출력요소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작동할 때 에너지를 저장하는 한 개이상의 탄성요소가 상기 클러치에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자동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자동체결식 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는 제 1 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출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과 평행한 제 2 축을 가진 기어가 상기 변속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운동장치는 회전출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는 상기 회전출력부재와 동축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이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작동장치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플라스틱 벽을 가지며,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플라스틱 벽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7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와 마주보는 측면을 가진 벽이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벽의 상기 측면에 상기 작동장치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78 항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과 마주보는 측면을 가진 벽이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벽의 상기 측면에 상기 작동장치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가 (a) 구동장치 및 (b)변속시스템중 한 개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품은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은 연결 및 분리가능한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니트가 아이들상태일 때 상기 작동장치에 의해 클러치는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의 구성부품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603409 | 1996-01-31 | ||
DE19603409.4 | 1996-06-12 | ||
DE19623484 | 1996-06-12 | ||
DE19623484.0 | 1996-06-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3098A KR980003098A (ko) | 1998-03-30 |
KR100497801B1 true KR100497801B1 (ko) | 2005-10-04 |
Family
ID=2602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1818A KR100497801B1 (ko) | 1996-01-31 | 1997-01-23 | 차량의파워트레인(powertrain)내의구성부품을작동하기위한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5954178A (ko) |
JP (1) | JP4241946B2 (ko) |
KR (1) | KR100497801B1 (ko) |
BR (1) | BR9700828A (ko) |
DE (1) | DE19700935A1 (ko) |
FR (2) | FR2744188B1 (ko) |
GB (1) | GB2309761B (ko) |
IT (1) | IT1290224B1 (ko) |
NO (1) | NO3148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51129B (en) * | 1996-06-05 | 2001-02-21 | Luk Getriebe Systeme Gmbh | Operating device |
DE19832015B4 (de) * | 1997-08-06 | 2012-11-15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Betätigungsvorrichtung |
EP0911253B1 (en) * | 1997-10-21 | 2003-11-26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Power unit for vehicle |
DE59913473D1 (de) | 1998-03-13 | 2006-07-06 | Rohs Voigt Patentverwertungsge | Ausrück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Kupplung |
KR100544775B1 (ko) * | 1998-03-30 | 2006-01-23 | 루크 지에스 버U퉁스 카게 | 작동장치 |
DE19950454A1 (de) * | 1998-11-09 | 2000-05-11 | Mannesmann Sachs Ag | Stellgliedanordnung |
DE19858246A1 (de) * | 1998-12-17 | 2000-06-21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Stelleinrichtung für eine trennbare Reibungs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
DE10034745B4 (de) * | 1999-08-02 | 2012-08-30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Vorrichtung zum Betätigen zweier Kupplungen |
DE19939378B4 (de) * | 1999-08-19 | 2010-03-25 | Zf Sachs Ag | Stelleinrichtung |
FR2810381B1 (fr) * | 2000-06-15 | 2002-09-06 | Valeo | Perfectionnement a un actionneur pour embrayage pilote de vehicule automobile |
EP1172587B1 (de) * | 2000-07-14 | 2008-01-16 |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die Schaltwelle eines Automatikgetriebes |
US6516915B2 (en) * | 2000-09-07 | 2003-02-11 | Koyo Seiko Co., Ltd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DE10148088C5 (de) * | 2000-10-13 | 2019-03-07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Montageeinheit |
JP5041624B2 (ja) * | 2000-11-21 | 2012-10-03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クラッチの制御装置 |
DE10157504B4 (de) * | 2000-12-07 | 2014-12-18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Betätigungsvorrichtung |
FR2823544B1 (fr) * | 2001-04-11 | 2003-08-22 | Renault | Actionneur electrique a systeme de compensation compact, notamment pour commande d'embrayage ou de passage de vitesses sur une boite de vitesses robotisee |
FR2823574B1 (fr) | 2001-04-12 | 2004-10-08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Actionneur commande electriquement |
GB2374421A (en) * | 2001-04-12 | 2002-10-16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Calibrating a balance position where a compensation spring is used to balance a resilient load operated by an actuator |
WO2002093032A1 (fr) * | 2001-05-17 | 2002-11-21 | Shwji Bay | Appareil d'actionnement commande par electricite pour un accouplement rotatif |
FR2825130B1 (fr) | 2001-05-23 | 2008-05-02 | Luk Fahrzeug Hydraulik | Actionneurs d'embrayage et de boite de vitesses |
DE10293175D2 (de) * | 2001-07-19 | 2004-07-01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System zum Ansteuern einer Komponente eines Getriebes eines Fahrzeuges unter Berücksichtigung eines Fluidverlustes |
US6917868B2 (en) * | 2002-03-16 | 2005-07-12 | Robert Bosch Gmbh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torque output of a power train of a motor vehicle |
GB2392967A (en) * | 2002-09-14 | 2004-03-17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Motor driven leadscrew clutch actuator |
WO2003085279A1 (de) * | 2002-04-06 | 2003-10-16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Kupplungsbetätigungen |
ITMI20030715A1 (it) * | 2002-04-10 | 2003-10-11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Dispositivo di frizione con possibilita' di cambiamento |
DE10224106B4 (de) | 2002-05-29 | 2006-11-30 | Zf Sachs Ag | Kupplungsbetätigungseinrichtung |
DE20380247U1 (de) * | 2002-10-02 | 2005-02-17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Stellantrieb |
DE10258308A1 (de) * | 2002-12-13 | 2004-06-24 | Daimlerchrysler Ag | Automatische Anfahrkupplung für d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
JP4432344B2 (ja) * | 2003-03-31 | 2010-03-1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ク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
DE10322000A1 (de) * | 2003-05-16 | 2004-12-02 | Zf Friedrichshafen Ag | Anfahrkupplung für ein Kraftfahrzeug |
DE102004007295B3 (de) * | 2004-02-14 | 2005-09-29 | Dr.Ing.H.C. F. Porsche A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imulation einer manuellen Bedieneinrichtung |
US7341532B2 (en) * | 2004-02-27 | 2008-03-11 | Shimano Inc. | Electric derailleur motor unit |
DE502005005857D1 (de) | 2004-06-30 | 2008-12-18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Verfahren zum Abgleichen einer Inkrementalwegmesseinrichtung in einer Betätigungsvorrichtung einer zugedrückten Kupplung sowie Betätigungsvorrichtung |
DE102005021416A1 (de) * | 2005-05-10 | 2006-11-16 | Zf Friedrichshafen Ag |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ierten Motorkupplung |
US20070119639A1 (en) * | 2005-11-28 | 2007-05-31 | Villagrana Ernesto G | Secondary power system for automobiles |
ATE530787T1 (de) * | 2006-02-24 | 2011-11-15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Wipphebelaktor mit nachstellvorrichtung |
FR2901587B1 (fr) * | 2006-05-29 | 2009-01-16 | Valeo Embrayages | Actionneur a rattrapage de course, en particulier pour un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
CN100371618C (zh) * | 2006-07-03 | 2008-02-27 | 重庆大学 | 电机驱动的干式离合器静液压驱动装置 |
DE102006037958A1 (de) * | 2006-08-12 | 2008-02-14 | Zf Friedrichshafen Ag | Kupplungseinrichtung |
DE102007033677A1 (de) * | 2007-07-19 | 2009-01-22 | Robert Bosch Gmbh | Brennkraftmaschine |
FR2920846B1 (fr) * | 2007-09-11 | 2009-12-11 | Valeo Embrayages | Dispositif de commande a moyens d'etancheite perfectionnes |
DE102008052760A1 (de) * | 2008-10-22 | 2010-04-29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Elektrofahrzeug |
DE102008043963B4 (de) * | 2008-11-21 | 2021-08-12 | Zf Friedrichshafen Ag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
US20100185369A1 (en) * | 2009-01-19 | 2010-07-22 | Jung-Woong Choi | Automatic transmission |
CN102575730B (zh) * | 2009-10-29 | 2015-08-26 |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 静压式离合器致动器 |
WO2011050767A1 (de) | 2009-10-29 | 2011-05-05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Hydrostataktor |
JP2011106614A (ja) * | 2009-11-19 | 2011-06-02 | Aisin Seiki Co Ltd | 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
JP5487902B2 (ja) * | 2009-11-19 | 2014-05-14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
JP5498806B2 (ja) * | 2010-01-21 | 2014-05-21 | 株式会社ユニバンス | 断続装置 |
US8869964B2 (en) * | 2010-02-17 | 2014-10-28 | Raven Industr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disengaging and engaging a wrap spring clutch |
DE102011014573A1 (de) | 2010-04-08 | 2011-12-15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tomatisierten Kupplung |
DE102011014931A1 (de) | 2010-04-12 | 2011-10-13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tomatisierten Kupplung |
JP4975873B1 (ja) * | 2011-03-03 | 2012-07-11 | 株式会社エクセディ | クラッチ操作装置 |
DE102012206306A1 (de) | 2011-05-05 | 2012-11-08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Doppelkupplung |
CN104024673B (zh) | 2011-07-07 | 2016-08-17 |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 杠杆系统 |
CN103104634A (zh) * | 2011-11-11 | 2013-05-15 | 董志军 | 自动离合器控制系统 |
DE102011089031A1 (de) | 2011-12-19 | 2013-06-20 | Zf Friedrichshafen Ag | Verfahren und Steuerungseinrichtung zur Bestimmung eines Berührpunkts einer Reibkupplung |
US8936143B2 (en) | 2012-01-10 | 2015-01-20 | Raven Industries, Inc. | Wrap spring clutch actuator and methods for same |
DE102012023571B4 (de) | 2012-12-01 | 2023-10-12 | Man Truck & Bus Se | Kippeinrichtung zum Kippen eines Fahrerhauses und Nutzfahrzeug |
US9383008B2 (en) * | 2013-02-01 | 2016-07-05 |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 Gear shift mechanism |
DE102014201733A1 (de) | 2013-02-28 | 2014-08-28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Kupplung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
DE102013209281A1 (de) | 2013-05-21 | 2014-11-27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Kupplungsaktuator |
DE102013213888B3 (de) * | 2013-07-16 | 2014-11-13 | Robert Bosch Gmbh | Elektrohydraulischer Aktuator |
DE102014220728A1 (de) | 2013-10-28 | 2015-05-21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Betätigungsvorrichtung mit Spindeltrieb und Rotationslagesensor |
DE112015001608A5 (de) * | 2014-04-02 | 2017-01-05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Modulares Aktorkonzept für Kupplungsaktor |
DE102014210764B4 (de) | 2014-06-05 | 2024-10-02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ten Selbsthaltung eines elektromotorischen Aktors |
DE102014215324A1 (de) * | 2014-08-04 | 2016-02-04 | Zf Friedrichshafen Ag |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Kupplung sowie Kraftfahrzeug |
GB201420522D0 (en) * | 2014-11-19 | 2014-12-31 | Ap Automotive Products Srl | Electro-Mechanical actuators |
DE102015205446A1 (de) * | 2015-03-25 | 2016-09-29 | Robert Bosch Gmbh | Aktuator zum Betätigen eines hydraulischen Kupplungsstellers und Kupplungssystem |
CN106523548A (zh) * | 2015-09-14 | 2017-03-22 | 广州市道诺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离合器控制装置 |
KR102557295B1 (ko) * | 2015-09-30 | 2023-07-2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
CA3005392C (en) * | 2015-11-19 | 2024-01-23 | Single Buoy Moorings Inc. | Bear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 swivel |
DE102016202188A1 (de) * | 2016-02-12 | 2017-08-17 | Zf Friedrichshafen Ag | Schaltaktor zum Ausführen einer Gangwahl eines Schaltgetriebes für ein Fahrzeug, Schaltgetriebesystem für ein Fahrzeug, Antriebsstra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Verbauen eines Schaltaktors für ein Schaltgetriebe eines Fahrzeugs |
DE102016209356B3 (de) * | 2016-05-31 | 2017-06-14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s Kupplungsaktuators und Kupplungsaktuator |
FR3069596B1 (fr) * | 2017-07-31 | 2019-08-23 | Valeo Embrayages | Actionneur d'embrayage |
FR3076329A1 (fr) * | 2018-01-03 | 2019-07-05 | Valeo Embrayages | Actionneur d'embrayage |
US11608890B2 (en) * | 2018-05-01 | 2023-03-21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Electro-mechanical park lock actuator |
DE102018126475A1 (de) * | 2018-10-24 | 2020-04-30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Betätigungsmechanismus, Kupplungssteller und Getriebesteller mit verbessertem Vibrationsverhalten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309427A1 (de) * | 1982-03-18 | 1983-10-06 | Valeo |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eine kupplung, ein regelgetriebe, eine bremse, oder aehnliches |
JPS5940048A (ja) * | 1982-08-31 | 1984-03-05 | Fuji Heavy Ind Ltd | オ−トクラツチ車の変速操作機構 |
FR2540647A1 (fr) * | 1983-02-04 | 1984-08-10 | Valeo | Dispositif de pilotage automatique d'embrayage |
IN160902B (ko) * | 1983-05-12 | 1987-08-15 | Westinghouse Brake & Signal | |
IN161423B (ko) * | 1983-06-17 | 1987-11-28 | Westinghouse Brake & Signal | |
US4562908A (en) * | 1983-10-27 | 1986-01-07 | Andco Actuator Products, Inc. | Rotary actuator |
FR2564999B1 (fr) * | 1984-05-28 | 1987-02-13 | Valeo | Commande motorisee, d'encombrement reduit, d'un dispositif d'accouplement tel qu'embrayage, variateur de vitesse, frein ou analogue |
US4684000A (en) * | 1984-07-16 | 1987-08-04 | Sundstrand Corporation | Power transmission disconnect device with an operational interlock |
FR2588629B1 (fr) * | 1985-10-11 | 1990-01-12 | Valeo | Dispositif de commande d'un moyen d'accouplement tel que par exemple un embrayage ou un variateur de vitesse ou un frein ou analogue |
FR2609562B1 (fr) * | 1987-01-09 | 1989-05-19 | Valeo | Procede de commande d'embrayage a actionnement motorise |
JPS63203958A (ja) * | 1987-02-20 | 1988-08-23 | Aisin Warner Ltd | 摩擦係合装置用アクチユエ−タ |
DE3706849A1 (de) * | 1987-03-03 | 1988-09-15 | Sachs Systemtechnik Gmbh | 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fuer eine kraftfahrzeugreibungskupplung |
FR2616501B1 (fr) * | 1987-06-09 | 1991-08-23 | Valeo | Command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butee de debrayage propre a la realisation d'une telle commande |
GB2211577B (en) * | 1987-10-26 | 1991-05-08 | Automotive Products Plc | A clutch control system |
US4981202A (en) * | 1988-03-17 | 1991-01-01 | Automotive Products Plc | Motor vehicle control system |
FR2641834B1 (fr) * | 1989-01-16 | 1994-06-24 | Valeo | Dispositif de commande d'un organe d'accouplement, en particulier pour vehicules automobiles |
FR2663887B1 (fr) * | 1990-06-29 | 1995-06-30 | Valeo | Actionneur, notamment pour la commande d'un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
IT1251671B (it) * | 1990-10-20 | 1995-05-19 | Luk Lamellen Und Kapplungsbau | Unita' di comando per una trasmissione, in particolare per autoveicoli |
US5187993A (en) * | 1991-08-12 | 1993-02-23 | Addco Manufacturing, Inc. | Actuator for remote control |
SE512355C2 (sv) * | 1991-11-26 | 2000-03-06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Friktionskoppling, särskilt för motorfordon, motorfordon med en dylik koppling samt kopplingsaggregat och drivenhet, speciellt för motorfordon |
DE4306505B4 (de) * | 1992-03-10 | 2004-01-29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Reibungskupplung |
DE4322677B4 (de) * | 1992-07-11 | 2005-05-12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Reibungskupplung |
DE4320204A1 (de) * | 1993-06-18 | 1994-12-22 | Fichtel & Sachs Ag | Stellantrieb für eine Kraftfahrzeug-Reibungskupplung |
DE19504847B4 (de) * | 1994-02-23 | 2006-04-27 | Luk Gs Verwaltungs Kg | Überwachungsverfahren für ein Drehmoment-Übertrag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s |
FR2721264B1 (fr) * | 1994-06-20 | 1996-09-06 | Valeo | Dispositif de commande à vérin hydraulique piloté par un moteur électrique, notamment pour embrayage de véhicule automobile. |
US5517876A (en) * | 1994-08-04 | 1996-05-21 | Eaton Corporation | Transmission spring loaded shift device |
DE4433824C2 (de) * | 1994-09-22 | 1996-10-02 | Fichtel & Sachs Ag | Stelleinrichtung mit einem Getriebe |
DE4433825C2 (de) * | 1994-09-22 | 1996-08-01 | Fichtel & Sachs Ag | Stelleinrichtung mit einer Kupplungslageregelung |
ES2128212B1 (es) * | 1995-02-01 | 1999-12-16 | Fichtel & Sachs Ag | Embrague de friccion con un accionamiento de ajuste. |
KR100569940B1 (ko) * | 1995-07-12 | 2007-04-11 |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 자동차의 클러치 및 변속기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
-
1997
- 1997-01-14 DE DE19700935A patent/DE19700935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7-01-23 KR KR1019970001818A patent/KR1004978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1-24 NO NO19970303A patent/NO314884B1/no unknown
- 1997-01-27 GB GB9701623A patent/GB230976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1-29 FR FR9700937A patent/FR2744188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1-30 IT IT97MI000182A patent/IT1290224B1/it active IP Right Grant
- 1997-01-30 JP JP01706997A patent/JP424194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1-30 BR BR9700828A patent/BR9700828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1-31 US US08/792,512 patent/US595417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
- 1999-11-08 FR FR9913985A patent/FR2783581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NO314884B1 (no) | 2003-06-10 |
KR980003098A (ko) | 1998-03-30 |
DE19700935A1 (de) | 1997-08-07 |
IT1290224B1 (it) | 1998-10-22 |
JP4241946B2 (ja) | 2009-03-18 |
FR2744188A1 (fr) | 1997-08-01 |
NO970303D0 (no) | 1997-01-24 |
BR9700828A (pt) | 1998-07-07 |
US5954178A (en) | 1999-09-21 |
FR2783581B1 (fr) | 2007-04-27 |
NO970303L (no) | 1997-08-01 |
FR2744188B1 (fr) | 2006-12-15 |
ITMI970182A1 (it) | 1998-07-30 |
JPH09207600A (ja) | 1997-08-12 |
GB9701623D0 (en) | 1997-03-19 |
GB2309761A (en) | 1997-08-06 |
FR2783581A1 (fr) | 2000-03-24 |
GB2309761B (en) | 2000-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97801B1 (ko) | 차량의파워트레인(powertrain)내의구성부품을작동하기위한장치 | |
US7073407B2 (en) | Integrated control module for use in a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integrated shift actuator position sensors | |
EP2609346B1 (en) | Clutched driven device and associated clutch mechanism | |
CN101389879B (zh) | 用于双离合器变速器的双离合器 | |
US6506139B2 (en) | Transmission with an electro-mechanical energy converter | |
USRE46242E1 (en) | Device for actuating a gearwheel, which is designed as a loose wheel, of a transmission device | |
US20060005647A1 (en) | Integrated control module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 |
EP1271007A2 (en) |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having a dual clutch system | |
CN105102839A (zh) | 离合器组件 | |
US7235035B2 (en) | Release clutch for a vehicle | |
JP2003502583A (ja) | 電気機械的自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装置 | |
JP2003120716A (ja) | 摩擦クラッチ装置用操作装置 | |
US8267830B2 (en) | Combinatio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planetary transmission | |
US9559576B2 (en) | Magnet power transmission | |
US6823754B2 (en) | Method of calibrating a clutch actuator with a compensating spring | |
US6857513B2 (en) | Dual clutch transmission unit for a motor vehicle | |
CN107725758B (zh) | 一种拉索式离合器控制执行机构及其执行方法 | |
GB2335010A (en) | Gear synchronizing unit | |
KR101360381B1 (ko) | 구동 장치의 결합해제 | |
GB2347723A (en) | An electrically -operated actuator for a motor vehicle friction clutch | |
CN102483158B (zh) | 电子机械操纵设施 | |
MXPA06013806A (es) | Embrague. | |
US20120103117A1 (en) | Transmission device for an auxiliary or accessory of a variable-speed engine, an engine equipped therewith and uses thereof | |
US6684993B2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lutch in an automatic vehicle transmission | |
MXPA02003899A (es) | Metodo de aparato para accionar un embrague en una transmision mecanica automatizad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1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