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652B1 - 액정 표시장치, 그 화소 수정방법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그 화소 수정방법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7652B1 KR100497652B1 KR10-2001-7012086A KR20017012086A KR100497652B1 KR 100497652 B1 KR100497652 B1 KR 100497652B1 KR 20017012086 A KR20017012086 A KR 20017012086A KR 100497652 B1 KR100497652 B1 KR 100497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pixel
- pixel electrode
- liquid crystal
- cor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한쌍의 기판 중 한쪽의 기판상에 복수의 게이트선(Xm-1),(Xm)과 복수의 데이터선(Ym-1),(Ym)과의 이들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게이트선(Xm-1)과 데이터선(Y
m-1)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13)와, 상기 스위칭 소자(13)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Ym-1)에 접속된 화소전극(11)과, 상기 화소전극(11)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12)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Xm-1),(Xm)과 복수의 데이터선(Ym-1),(Y
m)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전극(11)의 전하를 유지하는 복수의 축적용량(14a),(14b)이 분산 배치된 구성을 갖는, 기판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표시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장치, 그 수정방법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횡전계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 그 수정방법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퍼스널 컴퓨터의 발달에 따라 액정 표시장치,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 퍼스널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텔레비전(이하, 액정TV라 칭함)에 대해서도 수요는 증가해 오고 있다.
여기서, 액정TV에 요구되는 특성의 하나로 광시야각을 들 수 있다. 이 광시야각을 실현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액정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되고 있는 것이, 횡전계 방식(IPS 모드)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는, 2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어 있고, 한쪽의 유리기판상에는 복수의 신호선(데이터선) 군과, 복수의 주사선(게이트선) 군이 각각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과 주사선과의 각 교차 부분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되어 있다.
횡전계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액정의 배열상태를 화소마다 제어하기 위한 화소전극 및 이것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동일 기판상에 더 설치된다.
화상 표시시에는, 주사선을 주사하여, 교차부분에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온 상태로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가 되면, 신호선에 입력된 신호전위가 화소전극에 기록된다. 그렇게 하면, 화소전극과 대향전극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주어지고, 기판면에 대해 평행한 전계(횡전계)가 인가되므로, 액정도 초기 배향상태에서 새로운 배향상태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인가하는 신호전압에 따라 액정을 투과하는 빛의 편광상태가 변화하고, 그 편광상태에 따른 명암이 표시화면에 표시된다.
이 횡전계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액정분자가 항상 기판과 평행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화소전극과 대향전극을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한 종래의 액정표시 패널에 비해, 패널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보아도 콘트라스트가 변화하기 어렵고, 이것에 의해 시각 특성을 현격히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 종래의 횡전계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의 (a)는, 종래의 횡전계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 설치되는 액정표시 패널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전극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또, 도 22의 (a)는, 종래 이외의 횡전계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 설치되는 액정표시 패널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전극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동일 도면의 (b)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 패널은, 각각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어레이 기판(1001)과 대향기판(1002)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양자의 사이에는 액정층(1003)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어레이 기판(1001)의 표면에는, 서로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의 주사선(1004...)과, 각 주사선(1004...)에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1005...)과, 각 화소마다 구비되는 화소전극(1006)과, 화소전극(1006)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1007)과, 화소전극(1006)과 신호선(1005)과의 사이의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는 TFT(100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주사선(1004...)과 평행이 되도록 대향전극(100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어레이 기판(1001)상에는, 주사선(1004) 및 대향전극(1007)을 덮도록 하여, 투명한 절연층(1009)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전극(1006)은,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1006a...)과, 이들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1006a...)을 연결하는 연결부분(1006b)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분(1006b)은 주사선(1004)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대향전극(1007)은, 복수의 대향 전극부분(1007a...)과, 이들 복수의 대향 전극부분(1007a...)을 연결하는 대향전극 배선(1007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주사선(1004)과 연결부분(1006b)과의 중첩 부분에는, 축적용량부(1015)가 설치되어 있다.
TFT(1008)는 구체적으로는, 어레이 기판(1001)상에, 게이트 전극(1010)과, 상기 절연막(1009)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실리콘 층(1011)과, 소스전극(1012)과, 드레인 전극(1013)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스전극(1012)은 신호선(1005)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1013)은 화소전극(1006)에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부분(1006a...)과, 대향 전극부분(1007a...)과는 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화소 전극부분(1006a)과, 대향 전극부분(1007a)과의 사이에서, 어레이 기판(1001)에 거의 평행한 전계를 발생시켜,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화소마다 제어한다.
또, 어레이 기판(1001)상에는, 상기 주사선(1004...), 신호선(1005...), 화소전극(1006), 대향전극(1007) 및 이들의 TFT(1008)를 덮도록 하여, 액정을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막(10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기판(1002)은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측에는, 컬러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컬러필터를 덮도록 하여 배향막(1014)에도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1014 ·1014)은 폴리 이미드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러빙(robbing)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러빙처리는, 레이온 등의 포를 부착한 롤로 표면을 마찰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또, 어레이 기판(1001) 및 대향기판(1002)의 외측에는, 각각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2장의 편광판은, 그것들의 편광축이 서로 크로스 니콜(cross nicol)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화소전극(1006)에서의 연결부분(1006b)이 주사선(1004)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기술했지만, 그 이외에도,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분(1006b)이 대향전극(1007)에서의 대향전극 배선(1007b)상에 설치된 모양의 경우도 있다. 이 모양의 경우, 연결부분(1006b)과 대향 전극배선(1007b)과의 사이에, 축적용량부(10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IPS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화소전극(1006)과 대향전극(1007)과의 각 층의 사이에, 질화 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1009)이 설치되어 있고, 양자는 이 절연층(1009)의 존재에 의해 서로 절연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절연층(1009)은 얇기때문에, 화소전극(1006)과 대향전극(1007)이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부분, 예컨대 도 21의 (a)에서 나타내는 불량개소(1017)에서는, 예컨대 이물 등이 절연층(1009)에 혼입하고 있던 경우, 도통할 수 있다. 또, 연결부분(1006b)과 주사선(1004)과의 중첩부분(축적용량 1015), 예컨대 동일 도면의 (a)에서 나타내는 불량개소(1018)나 도 23의 (a)에서 나타내는 불량개소(1019)에서도,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도통할 수 있다.
또, 평면 시야에 있어서, 화소전극(1006)과 대향전극(1007)과는, 통상 수미크론 ~ 수십 미크론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패터닝을 행할 때에, 양전극간에서 패턴 불량 등이 있던 경우에는, 화소전극(1006)과 대향전극(1007) 사이(도 21의 (a)에서 나타내는 불량개소(1020)나 도 22의 (a)에서 나타내는 불량개소(1021)) 또는, 화소전극(1006)과 전단 주사선(1004)과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단락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소전극(1006)과 대향전극(1007)과의 도통 또는 단락이 일어나면, 양전극간에 걸리는 전위가 저하하여, 화소전체가 어둡거나 또는 하얗게 되어 버려 표시 불량화소(이하, 간단히 불량화소라고 약칭함)가 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 불량화소의 존재는, 액정TV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그 해상도는 XGA(Extended Graphics Array) 또는 SXGA(Super Extended Graphics Array) 정도로 있다. 한편, 액정TV의 해상도는 NTSC(National TV Standards Committee) 정도이고,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해상도가 낮다. 따라서, 액정TV의 화소 사이즈는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에 비해 크게 된다. 따라서, 액정TV에 화소 결함이 존재할 경우, 그 화소 결함은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에서 존재할 경우보다도 눈으로 확인하기가 쉬워진다. 이 때문에, 불량화소의 구제는, 표시장치의 제조시에, 제품의 수율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화소전극(1006)과 대향전극(1007)과의 사이의 불순물에 의한 도통 또는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화소의 발생에 대해서는, 통상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화소전극을 TFT와 분리하는 것으로 수정이 시행되어 왔다. 예컨대 불량개소(1018)에 대해서는, 수정개소(1022)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화소전극(1006)과 불량개소(1018)를 분리하여, 불량화소의 구제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수정후의 화소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ON시에도 전체가 새까맣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수정후의 화소가 가령 동작 가능했다고 해도, 축적용량부(1015)에 도통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그 축적용량부(1015)를 분리한 경우에는, 액정용량에서 전하의 누설에 기인하여, 그 화소의 휘도가 저하하며, 표시얼룩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일본공개특허 평 5-3333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화소에 미리 2개의 TFT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레이저 광의 조사 후에 한쪽의 TFT와 화소전극이 분리되어 동작하지 않게 되어도, 다른 쪽의 TFT에 의해 화소의 동작을 확보하고, 화소의 불량화를 회피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수정방법에서는, 화소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통상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TFT가 각 화소에 존재하므로, 화소의 개구율이 낮게 되어 화소의 투과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서의 등가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1화소에서의 등가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용량결합 구동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파형도로서, 동일 도면의 (a)는 게이트선(Xm-1, Xm)에서의 게이트 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동일 도면의 (b)는 화상 신호전압 및 화소전극 전압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상기 실시형태 2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액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서의 화소전극체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a)는, 상기 실시형태 6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상기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등가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형태 7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보정용량부를 설치한 경우의 1화소에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보정용량부를 설치한 경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른 보정용량부를 설치한 경우의 1화소에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0에, 본 발명에 관한 복수의 축적용량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서, 동일 도면의 (a)는 복수의 축적용량이 직렬적으로로 배치된 모양을 나타내고, 동일 도면의 (b)는 복수의 축적용량이 병렬적으로 배치된 모양을 나타내며, 동일 도면의 (c)는 루프 모양으로 배치된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a)는, 종래의 횡전계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액정표시 패널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전극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의 (a)는, 종래의 다른 횡전계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액정표시 패널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전극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지 것이며, 그 목적은,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하고, 불량화소를 구제하여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장치, 그 수정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쪽의 기판상에는,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상기 화소전극의 전하를 유지하는 복수의 축적용량이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다시 말하면 각 화소마다, 스위칭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마다 복수의 축적용량도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화소마다 복수의 축적용량이 「분산배치되어 있음」란, 예컨대 복수의 축적용량 중 1개가, 전기적인 단락에 의해 정상으로 동작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또한 이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분리한 경우에서도, 다른 축적용량이 동작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분리해도 그 이외의 축적용량은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으므로, 이 정상으로 기능하는 축적용량이,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보완하여 화소전극의 전위 레벨의 변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이 분리된 화소와, 정상화소를 비교해도, 휘도 및 플리커 특성 등에 극단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불량화소를 표시화면상에서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고,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적용량의 적어도 일부는, 직렬적으로 배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축적용량 중, 상기 스위칭 소자에 가장 가까운 축적용량에 대해, 상기 축적용량을 우회하는 바이패스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적용량의 적어도 일부는, 병렬적으로 배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적용량의 적어도 일부는, 루프 모양으로 배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직렬적으로 배치됨」,「병렬적으로 배치됨」및 「루프 모양으로 배치됨」이란, 등가회로상의 직렬 또는 병렬접속 등의 전기적 접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1화소에서의 복수의 축적용량의 개념상의 배치형태를 의미한다. 도 20에, 복수의 축적용량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를 나타낸다. 직렬적인 배치란, 예컨대 동일 도면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치형태를 의미한다. 이 배치형태이면, 예컨대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를 헤아려 세번째의 축적용량에 결함이 있는 경우, 이 축적용량을 분리해도, 정상으로 동작 가능한 축적용량이 2개 남아 있다. 따라서, 정상 화소와의 사이의 휘도차를 저감하고,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에 가장 가까운 축적용량을 우회하는 바이패스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 축적용량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해당 축적용량을 분리해도, 그 이외의 정상인 축적용량까지 동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 결과, 한층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병렬적인 배치란, 예컨대 동일 도면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치형태를 의미한다. 이 배치형태의 경우,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분리해도, 그 이외의 축적용량은 전부 동작 가능하므로, 오히려 한층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루프 모양의 배치란, 예컨대 동일 도면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치형태를 의미한다. 이 배치형태의 경우에 있어서도,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분리하여, 다른 축적용량을 정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역시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쪽의 기판상에는,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되며,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구성은, 상기 화소전극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적용량 중 한쪽의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화소전극의 부분이 분리되어도, 다른 쪽의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화소전극의 부분이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하면, 각 화소에 있어서,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으로서 구성하므로, 예컨대 그 중 1개가 전기적인 단락에 의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분리한 경우에서도, 또 한쪽의 축적용량에 의해 화소전극의 전위 레벨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정상 화소와 비교하여 휘도 및 플리커 특성 등에 극단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도 없다. 따라서, 불량화소를 표시화면상에서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어,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대향전극과의 사이에서 상기 평행한 전계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축적용량은, 상기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기 위한 축적 용량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축적 용량전극은,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결부분은,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적 용량전극은, 접속전극선을 통해 화소 전극부분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축적 용량전극과,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사이에서의 전기적인 단락에 의해, 축적 용량전극을 화소전극에서 분리할 경우에도, 접속전극선을 분리함으로써, 축적 용량전극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축적 용량전극의 분리에 따라, 예컨대 다른 화소 전극부분 등도 동시에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표시 가능한 영역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불량화소를 표시화면에서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위에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극선의 적어도 일부의 배선폭은, 상기 화소 전극부분의 폭보다도 작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축적 용량전극을 화소전극에서 분리할 경우에도, 접속전극선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극선에는 레이저 광에 의해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절단부에는 마킹이 행해져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접속전극선에 미리 절단부를 설치하고, 또 이 절단부에 마킹을 행함으로써, 접속전극선의 단선이 용이해진다. 이 결과, 레이저 수정에 의한 불량화소의 수정이 용이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적용량을 구성하고 있는 중첩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축적용량 중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화소전극의 부분이 절단되면, 그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은 회로구성에서 분리되므로, 화소 전체에서의 축적용량의 용량치는 감소한다. 또, 상기 화소전극의 부분의 절단에 따라 액정용량이 감소할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소전극의 부분의 절단후는, 축적용량과 액정용량의 용량치의 비는 변화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과 같이,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중첩의 면적을 서로 다르게 하고, 각 축적용량의 용량치를 각각 상이하게 하면, 액정용량 및 축적용량의 비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정상인 화소와의 휘도차를 작게 하고, 또한 플리커 특성도 크게 변화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불량화소가 눈에 띠지 않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화소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전극 또는 상기 화소전극에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해당 단의 게이트선의 일부와 상기 절연층을 통해 중첩되는 것에 의해 보정용량을 형성하는, 절단 가능한 보정 용량전극이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개 이상의 축적용량 중,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이 분리되는 것에 의해, 액정용량 및 축적용량의 용량치의 합과, 보정용량의 용량치와의 비가 변화해도, 예컨대 상기 보정 용량전극을 절단함으로써, 보정용량의 용량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액정용량 및 축적용량의 용량치의 합과 보정용량의 용량치와의 비(이하, 용량치의 비라 약칭함)가 정상화소에 근접하게 할 수 있고, 표시면적에서 불량화소를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정 용량전극이 복수인 경우, 각 보정 용량전극과 상기 게이트선의 일부와의 중첩면적은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각 보정 용량전극과 상기 게이트선의 일부와의 중첩면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각 보정 용량전극과 게이트선의 일부와의 사이에서 형성하는 보정용량의 용량치를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이 분리된 경우에, 필요에 따라 복수의 보정 용량전극을 절단하거나 하면, 축적용량의 용량치를 더욱 미세 조정 할 수 있고, 각 용량치의 비를 정상화소에 한층 근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어레이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상기 화소전극의 전하를 유지하는 복수의 축적용량이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텔레비전은,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텔레비전으로서,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쪽의 기판상에는,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되며,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개 이상의 축적용량 중 1개가 전기적인 단락에 의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을 분리한 경우에서도, 또 한쪽의 축적용량에 의해 화소전극의 전위레벨의 변동을 억제하므로, 정상화소와 비교하여 휘도 및 플리커 특성에 극단한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화소 사이즈가 큰 액정 텔레비전이어도, 수정화소를 표시화면상에서 눈에 띠지 않게 하여, 수정화소가 눈으로 확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율을 향상시켜 제조 가능한 액정 텔레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은, 복수의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된 한쪽의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기판과, 상기 한쪽의 기판 및 다른 쪽의 기판 사이에 설치된 액정층을 갖고, 상기 한쪽의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으로서,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고, 게다가 상기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중첩으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화소전극에 있어서, 상기 단락 근처로서 상기 스위칭 소자측의 소정의 개소 또는 상기 단락 근처로서 전후의 소정의 개소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화소전극과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 화소전극에서의 단락 근처로서 스위칭 소자측의 소정의 개소 또는 단락 근처로서 전후의 소정의 개소를 절단하므로, 스위칭 소자와 분리되어 있지 않은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표시를 할 수 있다. 또, 분리된 화소전극의 부분이 축적용량에 관한 것으로서도, 축적용량은 적어도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다른 축적용량이 표시에 필요한 전하유지의 기능을 마친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복수 중첩되어 있는 부분에서 단락이 발생해도, 불점등 화소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단락이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중첩의 부분에서 발생한 경우라도, 다른 축적용량이 이것을 보완하여 기능하므로, 수정된 화소가 정상인 화소와 비교하여 극단으로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하면, 표시화면에 있어서 수정화소를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어,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가장 멀어져 중첩되어 있는 부분에서 순차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중첩의 부분에 관한 화소전극의 일부가 쓸모 없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가장 멀어져 중첩되어 있는 부분에서 순차 절단을 행할때마다, 화소의 표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이,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및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사이에서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 화소전극과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과의 사이, 또는 화소전극과 대향전극과의 사이의 어느 것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가를 특정한 후에, 상기 절단을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화소전극과 상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의 일부와의 사이 및 화소전극과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사이에서 각각 축적용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자 중 어느 것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면, 화소전극의 절단 공정은 중반에서 끝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대향전극과의 사이에서 평행한 전계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축적용량은, 상기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가 중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로서, 상기 중첩으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화소전극에서의 소정의 1 또는 2 이상의 개소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단락이 있는 전극 연결부분을 화소전극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기 위한 축적 용량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축적 용량전극은,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로서, 상기 중첩으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화소전극에서의 소정의 1 또는 2 이상의 개소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단락이 있는 축적 용량전극을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적 용량전극이 접속전극선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접속전극선에서의 소정의 개소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단락이 있는 축적 용량전극을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 전에, 상기 한쪽의 기판상에 부착한 부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결함 관찰을 행하고, 더욱이 상기 부착물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것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부착물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절단의 필요가 없는 결함에 대해서까지, 절단에 의해 수정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된 한쪽의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기판과, 상기 한쪽의 기판 및 다른 쪽의 기판 사이에 설치된 액정층을 가지며,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충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고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중첩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있는 불량화소에 대해, 상기 불량화소에서의 화소전극에 있어서, 상기 단락근방으로서, 상기 스위칭 소자측의 소정의 개소 또는 상기 단락 근처로서 전후의 소정의 개소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수정된 수정화소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수정화소의 화소위치 및 수정화소에서의 수정위치의 정보에 의거하고, 수정화소에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를 보정하여, 상기 수정화소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수정화소에서의 수정위치에 의거하여, 해당 수정화소에서의 축적용량의 용량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용량치에 따라, 정상인 화소와 비교한 수정화소의 휘도의 저하분을 고려하며, 수정화소에 대해서는, 보정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이 결과, 수정화소의 휘도를 정상인 화소의 휘도에 근접하여 구동시킬 수 있게 되고, 표시화면에서 수정화소를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정된 데이터 신호란, 정상화소에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데이터 신호를 의미한다. 또, 화소위치 및 수정화소에서의 수정위치의 정보에 의거하여, 게이트 신호를 보정해도 좋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IPS(In-Plane Switching)모드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이하, 액정 표시장치라 칭함)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의 (a)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서의 등가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1화소에서의 등가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각각 유리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어레이 기판(1)과 대향기판(2)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이들의 사이에 액정층(3)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어레이 기판(1)상에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 버스라인(X)과, 데이터 버스라인(Y)이 매트릭스 모양이 되도록 설치되고, 게이트 버스라인(X)과, 데이터 버스라인(Y)과의 각 교차 위치에는(능동) 스위칭 소자로서의 TFT(13...)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버스라인(X)에서의 각 게이트선(주사선)은, X1, X2, ...Xm-1, Xm(m은 행의 수를 나타냄)으로 나타낸다. 데이터 버스라인(Y)에서의 각 데이터선(신호선)은, Y1, Y2, Y3,...Yn-1, Yn(n은 열의 수를 나타냄)으로 나타낸다. 또, 각 단위화소(이하, 간단히 화소라고 칭함)에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전극체(화소전극)(11)와, 화소전극체(11)와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체(대향전극)(12)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의 사이즈는, 예컨대 20인치 TV로 주사선이 480개인 경우, 횡 211㎛ × 종 633㎛로 하고 있다.
또, 어레이 기판(1)상에는, 상기 게이트 버스라인(X), 데이터 버스라인(Y), 화소전극체(11), 대향전극체(12) 및 TFT(13) 등을 덮도록 하여, 액정을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기판(2)의 내면측에도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은, 예컨대 폴리 이미드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러빙 처리가 시행되고 있다.
상기 TFT(13)는, 어레이 기판(1)상에, 게이트 전극(4)과, 예컨대 질화 실리콘층(SiNx)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5)과, 절연층(5)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비정질 실리콘층(a-Si)(6)과, 소스전극(7)과, 드레인 전극(8)과, 예컨대 질화 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9)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스전극(7)은 데이터선(Yn-1)에 접속되어 있다. 그 한쪽, 드레인 전극(8)은 화소전극체(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화소전극체(11)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11a...)과 전극 연결부분(11b ~ 11d)이 교차로 연결한, 장척(長尺)한 일련의 선 형태로 되어 있는 전극체이다. 각 화소 전극부분(11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라인(Y)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전극 연결부분(11b ·11c)은, 절연층(5)을 통해, 전단의 게이트선(Xm-1)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첩 부분에 있어서, 축적용량부(14a ·14b)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전극 연결부분(11b ·11c)은, 축적 용량전극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 상기 대향전극체(12)는, 복수의 대향 전극부분(12a...)이 대향 전극배선(12b)에 직교하도록 연결한 전극체이다. 각 대향 전극부분(12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화소 전극부분(11a...)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동일 도면에서도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부분(11a...)과 대향 전극부분(12a...)과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부분(11a...)과 대향 전극부분(12a...)과의 이간거리는, 약 10㎛로 하고 있다. 대향 전극배선(12b)은, 단위화소의 중앙부에, 게이트 버스라인(X)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 요소인 상기 축적용량부(14a ·14b)는, 액정용량(CLC)에서 전하가 누설하는 것에 의해, 화소전극체(11)의 전위레벨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적용량부(14a)는, 전단의 게이트선(Xm-1)의 일부와 전극 연결부분(11c)이 중첩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그 한편, 축적용량부(14b)는, 전단의 게이트선(Xm-1)의 일부와 전극 연결부분(11c)이 중첩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선(Xm-1)과 전극 연결부분(11b ·11c)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층(5)의 층 두께는 일정하지만, 전극 연결부분(11b ·11c)의 면적은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부(14a)의 축적용량(Cst1)과, 축적용량부(14b)의 축적용량(Cst2)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 예컨대, 전극 연결부분(11b)의 면적을 1080㎛2으로 하고, 전극 연결부분(11c)의 면적을 7200㎛2로 한 경우, Cst1 = 2.16pF이고, 축적용량 Cst2 = 1.44pF이다. 또한, 축적용량(CLC)은, 설명의 편의상 총칭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에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용량(CLC1)은, 액적용량(CLC2) 및 액정용량(CLC3)의 총합이다. 액정용량(CLC1)은, 상기 도 1의 (a)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난 영역(16)에서 형성되는 액정용량이고, 액정용량(CLC2)은 영역(17)에서 형성되는 액정용량이며, 액정용량(CLC3)은 영역(18)에서 형성되는 액정용량이다.
여기서, 1화소내에 축적용량부(14a ·14b)를 설치한 것은, 이하에 기술하는 이유에 의한다.
상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선(Xm-1)과 전극 연결부분(11c)과의 전기적 단락(이하, 간단히 단락이라 약칭함)에 기인하는 불량개소(A3)가, 축적용량부(14b)에 존재할 경우, 수정개소(A3')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하고, 화소전극체(11)에서 단락결함이 있는 전극 연결부분(11b)을 분리시킨다. 여기서 종래의 레이저 수정방법이면, 불량개소가 있는 화소를 양호하게 동작가능한 다른 화소군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표시불량을 불량개소가 있는 화소만으로 그치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에 대해 상기 구성이라면, 정상으로 동작 가능한 화소 전극부분(11a)과 축적용량부(14a)가 남아 있으므로, 화소는 표시 가능한 상태이고, 표시 할 수 없는 불량화소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축적용량부(14a)도 정상으로 기능하므로, 화소에 있어서 구동가능한 영역(16 ·17)에서의 액정용량(CLC1 ·CLC2)에서의 전하의 누설에 의해 화소전극체(11)의 전위레벨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정후의 화소(이하, 수정화소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에 있어서, 극단한 휘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다른 정상인 화소와의 사이에서 휘도의 갭(gap)이 크게 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 결과, 표시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부가하여, 불량화소를 수정하고, 이것을 표시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수율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가 A1, A2, 또는 A4 에 발생할 경우에는 각각 수정개소 A1' A2,' 또는 A4' 레이저 수정을 시행하는 것에 의해, 해당 화소가 표시할 수 없는 불량화소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축적용량부(14a) 및 축적용량부(14b)의 용량치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는 것은, 레이저 수정후의 액정용량의 변화에 대응시키기 위해서이다. 레이저 수정에 의해 화소전극체(11)의 일부가 절단되면, 분리된 부분에서는, 미리 액정을 구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화소 전체로서의 액정용량은, 레이저 수정에 의해 감소한다. 또, 레이저 수정에 의한 화소전극체(11)의 절단에 의해, 정상으로 동작 가능한 화소 전극부분(11a...)의 수가 적게 되어 화소 전극부분(11a...)의 길이의 총합이 짧게 되는 결과, 액정용량의 전하의 누설량도 변화한다(전하의 누설량은, 화소 전극부분(11a)의 길이에 비례하기 때문임). 또한, TFT(13)에서도 전하의 누설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수정후의 화소에 있어서, 축적용량부(14a)는, 정상으로 동작 가능한 화소 전극부분(11a...) 및 TFT(13)의 전하의 누설량에 대응가능한 용량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축적용량부(14a)의 용량치는, 축적용량부(14b)의 용량치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수정을 행하는 수정개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A1' ~ A4'의 어딘 가에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수정개소 중 어느 수정개소에 레이저 수정을 행하면, 액정용량 및 축적용량의 용량치와, 보정용량의 용량치와의 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는, 미리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정에 의거하여, 용량치의 비가 대폭 변화하지 않도록, 축적용량부(14a) 및 축적용량부(14b)의 용량치를 정해두면 좋다. 이와 같이 용량치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전단의 게이트선(Xm-1)에서의 전압 커플링(coupling)량을 거의 같게 할 수 있고, 수정화소의 휘도는 레이저 수정에 의해 다소 저하하지만, 문턱치 특성을 미수정의 정상인 화소와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축적용량부를 3개 이상 설치할 경우에는, 적어도 TFT(13)에 가장 가까운 축적용량부가 가장 큰 용량치를 갖고 있으면 좋다. 예컨대 TFT(13)측에서 순서로 α, β, γ의 3개의 축적용량부를 직렬적으로 배치한 경우, 이들의 축적용량부는, 그것들의 용량치가 예컨대 α> β= γ, α> β> γ, α= β> γ의 대소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축적용량부(14a ·14b)를 설치함으로써, 게이트선(Xm-1)에서의 전위 커플링을 이용한 용량결합 구동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용량결합 구동법은, 일본국 특허 256865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소에 일단 전위를 기록한 후의, 스위칭 소자가 OFF 기간에,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별도 설치된 공통 용량선을 통해 중첩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이다. 이 구동방법을 채용하면, 소비전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화질을 개선하여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용량결합 구동법에 대해, 더 설명을 부가하면 이하와 같다. 도 3은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용량결합 구동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파형도로서, 동일 도면의 (a)는 전단의 게이트선(Xm-1) 및 해당 단의 게이트선(Xm)에서의 게이트 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동일 도면의 (b)는 화상 신호전압 및 화소 전극전압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우선, 정상화소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해당 단의 게이트선(Xm)이 ON기간일 때, 화소전위는 Vs(신호전압)에 충전된다. 해당 단의 게이트선(Xm)을 OFF기간으로 한 후에, 전단의 게이트선(Xm-1)에 보상전압(V1)을 중첩하면, 화소 전극전위(Vd)에는 △V가 중첩된다. 여기서, 중첩전압(△V)은 △V = V1 ×(Cst1 + Cst2) / (Cst1 + Cst2 + CLC)로 나타난다. 이것에 대해, 불량화소에 레이저 수정을 가한 수정화소의 경우에는, 예컨대 축적용량부(14b)에 단락 등이 있던 경우, 이 축적용량부(14b)는 이미 분리되어 있으므로, 동작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나, 축적용량부(14a)는 정상으로 동작 가능하므로, 전단의 게이트선(Xm-1)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보상전압(V1)을 중첩하면, 화소 전극전위(Vd)에는 △V'가 중첩된다. 여기서, 중첩전압(△V')은 △V' = V1 ×Cst1 / (Cst1 + Cst2 + CLC)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레이저 수정후의 수정화소여도, 용량결합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이면, 축적용량부에 결함이 있는 불량화소에 대해 레이저 수정을 행한 경우, 그 축적용량부는 동작할 수 없게 되므로, 중첩전압(△V)은 0이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수정화소는 이미 용량결합 구동을 시킬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IPS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는,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제작한다.
먼저, 코닝사 제품의 유리 기판(상품코드 1737)의 편면상에, 진공성막 장치를 사용하고, 예컨대 막 두께 0.2㎛ 정도의 Cr박막 금속층을 피착한다. 그 후, 이 Cr박막 금속층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버스라인(X), 게이트 전극(4) 및 대향전극체(12)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이하, 이 기판을 어레이 기판으로 하였다. 또한, 게이트 전극(4)은, 각 TFT(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극으로서, 각 게이트선(X1, X2... Xm-1, Xm)과 접속되어 있다. 또, 각 게이트선(X1, X2... Xm-1, Xm)의 단부는, 게이트 신호 구동회로(게이트 버스라인(X)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회로)에 접속가능한 단자전극이 되도록 패터닝하고 있다.
다음에, 유리기판의 전면에, 플라즈마 CVD 장치를 사용하여, 게이트 절연층으로서의 절연층(5)(질화 실리콘층(SiNx)), 불순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절연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채널이 되는 비정질의 실리콘층 및 층간 절연층으로서의 질화 실리콘층을 순차 적층한다. 각각의 층 두께는, 예컨대 0.3㎛, 0.05㎛, 0.1㎛로 한다. 계속해서, 질화 실리콘층을 에칭하는 것에 의해, 그 질화 실리콘층이 게이트 전극(4)상에만 선택적으로 남도록 하고, 그 이외의 게이트 전극(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비정질의 실리콘층을 표출시킨다.
다음에 유리기판의 전면에, 플라즈마 CVD 장치를 사용하여, 불순물로서 인을 포함하는 비정질의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이 실리콘층의 층 두께는, 예컨대 0.05㎛로 한다. 계속해서, 비정질의 실리콘층을 에칭하는 것에 의해, 비정실 실리콘층(6)을 형성한다. 이 비정질 실리콘층(6)은, 데이터 버스라인(Y)과의 전기적 접속에 필요한 채널부에만 인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유리기판상에, 진공성막 장치를 사용하여, 막 두께 0.3㎛ 정도의 알루미늄 박막을 피복하고, 그 후 에칭하여 데이터 버스라인(Y), 소스전극(7), 화소전극체(11) 및 드레인 전극(8)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이 때, 소스전극(7)은 데이터선(Yn-1)과 접속하도록 형성한다. 또, 드레인 전극(8)은, 화소전극체(11)와 접속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데이터 버스라인(Y)의 단부는, 데이터 신호 구동회로(데이터 버스라인(Y)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회로)에 접속가능한 단자전극이 되도록 패터닝하고 있다.
다음에, 유리기판의 전면에 질화 실리콘층을 퇴적하고, 보호막(패시베이션 막)(9)을 형성한다. 또한, 유리기판의 주변부의 한 단에 있어서, 층간 절연층으로서의 질화 실리콘층 및 보호막(9)을 제거함으로써, 게이트 버스라인(X)의 단부에 설치된 단자전극을 표출시킨다. 또, 어레이 기판의 주변부의 다른 단에 있어서, 보호막(9)을 제거함으로써, 데이터 버스라인(Y)의 단부에 설치되었던 단자전극도 표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 버스라인(X) 및 데이터 버스라인(Y)을, 이들의 버스라인에 각각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신호 구동회로 또는 데이터 신호 구동회로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호막(9)상에,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배향막을 형성하여, 어레이 기판을 완성한다.
다음에, 어레이 기판과 쌍을 이루는 대향기판의 제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유리 기판상에 블랙 매트릭스 및 R(적색) ·G(녹색) ·B(청색)로 구성되는 컬러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다. 또한, 이 컬러필터상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대향기판을 제작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는, 어레이 기판과 대향기판을 마주 붙일 때에, 게이트 버스라인(X) 및 데이터 버스라인(Y)의 배선위치와 일정하도록, 격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어레이 기판과 대향기판을 마주 붙인 후,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액정을 주입하는 것에 의해 액정층을 형성하여 액정표시 패널을 제작한다. 또한 이 액정표시 패널의 주변에 게이트 신호 구동회로 및 데이터 신호 구동회로를 실장하고,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를 완성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액정 표시장치에 대해, 검사공정을 다시 행하는 것에 의해, 불량화소를 체크하여, 그 불량화소에서의 불량개소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점등검사에 의해, 화소전극체(11)와 어느 배선이 단락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 예컨대,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액정 표시장치가, 화소전극체(11)와 대향전극체(12)에 전압차를 가하지 않을 때에 검은 표시가 되는 표시장치인 경우에, 대향전극체(12)에 교류전압을 가하여, 검게 표시되었을 때에는 화소전극체(11)와 대향전극체(12)와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다. 그 한편, 하얗게 표시되었을 때에는, 전단의 게이트선(Xm-1)과 화소전극체(11)와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다.
이 검사공정에서 불량개소가 특정된 경우에는, 다시 그 불량화소의 수정을 행한다. 불량화소의 수정에는, 예컨대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한 어블레이션(ablation)법을 채용한다. 또, 레이저 광의 조사는, TFT(13)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수정개소(A4')에 대해 최초로 행하고, 점등검사를 행한 후, 화소불량이 수정되어 있는지 아닌지 확인을 행한다. 수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최초로 레이저 광을 조사한 수정개소보다도 TFT(13)에 가까운 수정개소(A3')에 대해 레이저 광을 더 조사하여, 연속 점등검사를 행한다. 이하, 불량개소의 수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레이저 광의 조사, 점등검사의 순서를 반복하여 행한다.
상기의 순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수정을 행한 후의 액정표시 패널을 관찰한다. 그 결과, 수정전의 불량화소에 있어서는, 화소전체가 검은 표시로 되어 있었지만,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한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불량화소의 일부의 영역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화면에 있어서, 화소불량을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적용량부(14a)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선(19)을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축적용량부(14a)에서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A5)가 존재하고, 수정개소(A5')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할 필요가 생긴 경우, 정상으로 동작 가능한 축적용량부(14b) 등도 동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것에 의해, 화소의 전영역에서 액정을 구동시킬 수 있어, 한층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단, 바이패스 선(19)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수정개소(A5') 이외에 A5"에도 레이저 수정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대향전극체로서, 도 4에 나타내는 평면형상을 갖는 전극체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전극체(대향전극)(15)는, 복수의 대향 전극부분(15a...)과 전극 연결부분(15b...)이 교대로 연결한, 장척(長尺)한 일련의 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전극체이다. 또, 대향전극체(15)는, 인접하는 화소에서의 대향전극체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전극선(15c)이, TFT(13)로부터 가장 떨어진 대향 전극부분(15a)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평면형상을 갖는 대향전극체(15)를 채용한 경우,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개소로는, 2개의 불량개소(A6...)와, 불량개소(A7)가 생각된다. 이들의 불량개소에 대해 레이저 수정을 행할 경우, 2개의 불량개소(A6)에 대해서는 수정개소(A6')에, 불량개소(A7)에 대해서는 수정개소(A7')에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이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불량개소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것따라 수정개소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5의 (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동일 도면의 (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개략적으로는, 화소전극체와 대향전극체와의 사이에 축적용량부를 설치한 점이 다르다. 이 다른 점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화소전극체(화소전극)(2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화소 전극부분(21a...)과, 이들의 화소 전극부분(21a...)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21b ~ 21d)으로 이루어진다. 전극 연결부분(21b ·21c)은,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질화실리콘층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각각 대향 전극배선(12b)과의 사이에 축적용량부(22a ·22b)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전극 연결부분(21b ·21c)의 면적은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부(22a)의 축적용량과, 축적용량부(22b)의 축적용량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 예컨대, 전극 연결부분(21b)의 면적을 10800㎛2로 하고, 전극 연결부분(21c)의 면적을 7200㎛2로 한 경우, 축적용량부(22a)의 용량치는 2.16pF이고, 축적용량부(22b)의 용량치는 1.44pF이다.
상기 구성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축적용량부(22b)에, 대향 전극배선(12b)과 전극 연결부분(21c)과의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B1)가 존재할 경우, 수정개소(B1')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화소전극체(21)에서 단락결함이 있는 전극 연결부분(21c)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정화소에는 정상으로 동작 가능한 화소 전극부분(21a...)이 남아 있으므로, 수정화소는 표시 가능한 상태이고, 표시 할 수 없는 불량화소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수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정화소는, 간단히 표시가 가능한 것만은 아니고, 다른 정상인 화소에 비해 휘도의 저하도 억제되며, 또한 플리커 특성이 대폭 다른 것을 방지한다. 그 이유는, 정상인 동작을 하는 축적용량부(22a)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 결과, 표시얼룩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Xm-1)상에 축적용량부를 설치한 것은 아니므로, 게이트선 시정수의 증대에 의해, 게이트 전압의 파형왜곡이 크게 되는 것도 없다. 따라서, 대형에서 균일한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모양도 채용 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소전극체(21)로 바꾸고, 화소 전극부분(23a...)과, 이들의 화소 전극부분(23a...)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23b)과, 화소 전극부분(23a...)에 각각 접속되며, 또한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질화 실리콘층 등의 어느 절연층을 통해 설치된 축적 용량전극(23c ~ 23e)으로 이루어지는 화소전극체(23)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화소 전극부분(23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라인(Y)에 대해서도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축적 용량전극(23c ~ 23e)은,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선(Xm-1)의 일부와 축적용량부(24a ·24b)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축적 용량전극(23c ~ 23e)의 면적은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부(24a)의 축적용량과, 축적용량부(24b)의 축적용량과, 축적용량부(24c)의 축적용량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 예컨대, 축적 용량전극(23c)의 면적을 7200㎛2로 하고, 축적 용량전극(23d)의 면적을 7200㎛2로 하여, 축적용량전극(23e)의 면적을 3600㎛2로 한 경우, 축적용량부(24a)의 용량치는 1,44pF이고, 축적용량부(24b)의 용량치는 1.44pF이며, 축적용량부(24c)의 용량치는 0.72pF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축적용량부(24c)에, 대향 전극배선(12b)과 축적 용량전극(23e)과의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B3)가 존재할 경우, 수정개소(B3')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화소전극체(23)에서 단락결함이 있는 축적 용량전극(23e)을 분리시킨다. 또, 축적용량부(24b)에 불량개소(B4)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정개소(B4')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화소전극체(23)에서 단락결함이 있는 축적 용량전극(23d)을 분리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형에서 균일한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개략적으로는, 화소전극체와 대향전극체와의 사이에도 축적용량부를 더 설치한 점이 다르다. 이 다른 점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형태 3에 관한 화소전극체(화소전극)(3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화소 전극부분(31a...)과, 이들의 화소 전극부분(31a...)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31b ~ 31d)으로 이루어진다. 전극 연결부분(31b ·31d)은, 전단의 게이트선(Xm-1)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각각 게이트선(Xm-1)의 사이에 축적용량부(32a ·32c)를 형성하고 있다. 그 한편, 전극 연결부분(31c)은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대향 전극배선(12b)과의 사이에 축적용량부(32b)를 형성하고 있다. 즉, 전극 연결부분(31b ~ 31d)은, 축적 용량전극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여기서, 전극 연결부분(31b ~ 31d)의 면적은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부(32a)의 용량치와, 축적용량부(32b)의 용량치와, 축적용량부(32c)의 용량치를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 예컨대, 전극 연결부분(31b)의 면적을 7200㎛2로 하고, 전극 연결부분(31c)의 면적을 7200㎛2로 하여, 전극 연결부분(31d)의 면적을 3600㎛2로 한 경우, 축적용량부(32a ·32b)의 용량치는 1.44pF이고, 축적용량부(32c)의 용량치는 0.72pF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축적용량부(32c)에, 게이트선(Xm-1)과 전극 연결부분(31d)과의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C1)가 존재할 경우, 수정개소(C1')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화소전극체(31)에서 단락결함이 있는 전극 연결부분(31d)을 분리한다. 또, 축적용량부(32b)에 불량개소(C2)가 존재할 경우에는, 수정개소(C2')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화소전극체(31)에서 단락결함이 있는 전극 연결부분(31C)을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수정화소는 정상으로 동작 가능한 화소 전극부분(31a...)이 남아 있으므로, 수정화소는 표시 가능한 상태이고, 표시 할 수 없는 불량화소로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정개소(C1')에 레이저 수정을 행한 경우에는, 축적용량부(32a ·32b)가 정상으로 동작 가능하고, 그 한편, 수정개소(C2')에 레이저 수정을 행한 경우에는, 축적용량부(32a)가 정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정화소는, 간단히 표시가 가능한 것만은 아니며, 다른 정상인 화소에 비해 휘도의 저하도 억제된다. 이 결과, 표시얼룩의 발생도 억제 할 수 있다.
단락이 일어나기 쉬운 축적용량부를 전단 게이트선(Xm-1)과 대향 전극배선(12b)과의 상에 나누어 설치하면, 단락 발생위치를 검사함으로써 특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검사방법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우선,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을 전면 점등하는 것에 의해, 검은 표시로 되어 있는 불량화소를 특정한다.
다음에, 불량화소에 대해 ON/OFF 제어를 행하고 있는 해당 단의 게이트선(Xm)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고, 불량화소에서의 TFT(13)를 동작시킨다. 이 때, 불량화소에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데이터선(Yn-1)은 0V로 해 놓는다.
여기서, 전기적 방법에 의해 검사를 행할 경우에는, 이하의 (1) 및 (2)를 행한다.
(1) 전단의 게이트선(Xm-1)에 5V의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고, 대향전극체(12)에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2) 전단의 게이트선(Xm-1)에 0V의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고, 대향전극체(12)에 5V의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1) 및 (2)를 행하여, 각각의 경우에서의 화소전극체(31)의 전류치를 검사한다.
그 결과, 예컨대 축적용량부(32c)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1)을 행하면, 액정용량의 충전시간의 경과후에 화소전극제(31)의 전류치는 0으로 된다. 그 한편, (2)를 행하면 화소전극체(31)에 전류는 계속 흐른다.
또, 축적용량부(32b)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1)을 행하면 전류가 계속 흐르는 한편, (2)를 행하면 일정시간의 경과후에 화소전극체(31)의 전류가 0으로 된다.
이 검사 결과, 단락 등의 결함이, 전단의 게이트선(Xm-1)과 화소 전극부분(31a)과의 사이에 설치된 축적용량부(32c)에 발생하고 있는지, 혹은 대향 전극배선(12b)과 전극 연결부분(31c)과의 사이에 설치된 축적용량부(32b)에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전기적 방법으로 바꾸어, 광학적 방법으로써 단락 발생위치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의 경우, 불량화소의 전단의 게이트선(Xm-1)에 0V의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고, 대향전극체(12)에 ±5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단락이 대향 전극배선(12b)과 전극 연결부분(31c)과의 사이에 설치된 축적용량부(32b)에 발생하고 있으면, 불량화소는 불점등으로 된다. 점등하면, 단락은 축적용량부(32b) 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상의 검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불량개소가 전단의 게이트선(Xm-1)상에 있는지, 혹은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있는지를 특정 할 수 있으면, 다음에 행하는 레이저 수정시에, 수정개소의 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있는 것을 특정 할 수 있으면, 수정개소(C1')는 그 선정에서 자동적으로 벗어날 수 있어,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의 (a)는,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동일 도면의 (b)는 액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화소전극체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3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개략적으로는, 화소전극체와 전단의 게이트선과의 사이 및 화소전극체와 대향전극체와의 사이에 축적용량부를 설치한 점에서 공통이지만, 2개의 축적용량부를 병렬적으로 배치한 점에서 양자는 상이하다. 이 다른 점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화소전극체(화소전극)(41)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41a...)과, 이들의 화소 전극부분(41a...)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41b)과,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설치된 축적 용량전극(41c)과,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41a...) 및 축적 용량전극(41c)을 접속하는 접속전극선(41d...)을 갖는 전극체이다.
각 화소 전극부분(41a...)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라인(Y)에 대해서도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극 연결부분(41b)은 전단의 게이트선(Xm-1)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선(Xm-1)의 일부와 축적용량부(42a)를 형성하고 있다. 즉, 게이트선(Xm-1)과 중첩되는 전극 연결부분(41b)은, 축적 용량전극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 축적 용량전극(41c)은, 전극 연결부분(12b)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전극 연결부분(12b)의 일부와 축적용량부(42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접속전극선(41d...)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의 조사시에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단부(43)와, 이 절단부(43)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킹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부(43)의 배선폭(d2) (예컨대 4㎛)은 전극 연결부분(12b)의 배선폭(d1)(예컨대, 8㎛) 보다도 가늘게 되어 있고,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한 절단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절단부(43)의 길이(l1)는 예컨대 10㎛로 할 수 있다. 또, 마킹부(44)는, 절단부(43)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절단부(43)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마킹부(44)에서의 배선폭(d3)(예컨대 20㎛)은 전극 연결부분(12b)의 배선폭(d1)(예컨대, 8㎛) 보다도 두툼하게 되어 있다. 또, 마킹부(44)의 길이(l2)는, 예컨대 2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절단부로서는, 상기 절단부(4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레이저의 조사점에 따른 형상 및 크기가 되도록 설정하는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마킹부는, 상기 마킹부(4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현미경 관찰에서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축적용량부(42a)에, 게이트선(Xm-1)과 전극 연결부분(41b)과의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D1)가 존재할 경우, 불량개소(D1)의 전후에 있는 2개의 수정개소(D1' ·D1')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화소전극체(41)에서 단락결함이 있는 전극 연결부분(41b)을 분리시킨다. 또, 축적용량부(42b)에 불량개소(D2)가 존재할 경우에는, 2개의 수정개소(D2' ·D2')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함으로써, 화소전극체(41)에서 단락 결함이 있는 축적 용량전극(41c)을 분리시킨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축적용량부(42a)와 축적용량부(42b)를 병렬적으로 배치한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한쪽의 축적용량부를 분리한 것으로 해도, 다른 쪽의 축적용량부는 정상으로 동작 가능하므로, 수정후에 있어서도, 화소의 전영역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불량화소의 존재를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어,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9는,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5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화소전극체와 대향전극체와의 사이에, 오히려 다른 축적용량부를 병렬적으로 배치한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전극체(화소전극)(51)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51a...)과, 이들의 화소 전극부분(51a...)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51b ~ 51d)과,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설치된 축적 용량전극(51e)과, 화소 전극부분(51a...) 및 축적 용량전극(51e)을 접속하는 접속전극선(51f...)을 갖는 전극체이다. 또한, 접속전극선(51f...)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절단부 및 마킹부를 구비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E1 ~ E4)가 존재할 경우, 레이저 수정은, 불량개소(E1)에 대해서는 수정개소(E1')에서, 불량개소(E2)에 대해서는 그 전후에 있는 2개의 수정개소(E2'·E2')에서, 불량개소(E3)에 대해서는 그 전후에 있는 2개의 수정개소(E3'·E3')에서, 불량개소(E4)에 대해서는 그 전후에 있는 2개의 수정개소(E4'·E4')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화소전극체(51)이면, 특히 레이저 수정을 수정개소(E3') 또는 수정개소(E4')에서만 행한 경우라도, 전극 연결부분(51c)은 축적 용량전극(51e) 등을 통해 TFT(13)와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정후에 있어서도, 축적용량부(52b)는 정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결과, 수정화소는, 액정용량에서 전하가 누설하여도, 정상화소와 변함 없이 화소전극체(51)의 전위레벨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은,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6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화소전극체와 전단의 게이트선과의 사이에 복수의 축적용량부를 설치한 점은 공통이지만, 그것들의 축적용량부를 병렬적으로 배치한 점이 다르다. 또, 축적용량부를 병렬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화소전극체 및 대향전극체를, 이하에 기술하는 구성으로 한 점도 다르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소전극체 화소전극)(61)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61a...)과 이들의 화소 전극부분(61a...)에 있어서 게이트선(Xm) 측의 단부에서 접속된 전극 연결부분(61b)과, 이들의 화소 전극부분(61a...)에 있어서 게이트선(Xm-1)측의 단부에서 직각이 되도록 접속된 축적 용량전극(61c ~ 61e)을 갖는 전극체이다. 각 화소 전극부분(61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라인(Y)에 대해서도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전극 연결부분(61b)은, 게이트선(Xm)의 근방을, 이것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적 용량전극(61c ~ 61e)은, 대향 전극배선(63b)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대향 전극배선(63b)의 일부와 축적용량부(62a ~ 62c)를 형성하고 있다. 또, 축적 용량전극(61c ~ 61e)은, 이들 배치의 효율 면에서, 각각 서로 면적을 다르게 하고,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부(62a ~ 62c)의 용량치를 서로 다르게 해도 좋다.
또, 대향전극체(대향전극)(63)는, 복수의 대향 전극부분(63a...)이 대향 전극배선(63b)에 직각이 되도록 연결한 전극체이다. 각 대향 전극부분(63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화소 전극부분(61a...)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동일 도면에서도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부분(61a...)과 대향 전극부분(63a...)과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대향 전극배선(63b)은, 전단의 게이트선(Xm-1)의 근방을, 이것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F1 ~ F3)가 존재할 경우, 레이저 수정은, 불량개소(F1)에 대해서는 수정개소(F1')에서, 불량개소(F2)에 대해서는 수정개소(F2')에서, 불량개소(F3)에 대해서는 수정개소(F
3')에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적용량부(62a ~ 62c)를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수정개소(F1' ~ F3')중 어느 것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하여도, 모든 불량개소(F1 ~ F3)에서 동시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한, 모든 축적용량부(62a ~ 62c)가 상실 일는 것은 없다. 이 때문에, 축적용량부의 상실을 극력 억제할 수 있어, 수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향전극체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평면형상을 갖는 전극체(상기 실시형태 1 등에서 사용한 대향전극체)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1의 (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경우, 화소전극체(61)에서의 축적 용량전극(61c ~ 61e)은, 전단의 게이트선(Xm-1)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선(Xm-1)의 일부와 축적용량부(64a ~ 64c)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대향전극체(12)와, 화소전극체(61)를 조합시킨 경우,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개소로서는, 불량개소(F4 ~ F6)가 생각된다. 이들의 불량개소에 대해 레이저 수정을 행할 경우, 불량개소(F4)에 대해서는 수정개소(F4')에서, 불량개소(F5)에 대해서는 수정개소(F5')에서, 불량개소(F6)에 대해서는 수정개소(F
6')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축적용량부(62a ~ 62c)는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수정개소(F4' ~ F6')중 어느 것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하여도 모든 불량개소(F4 ~ F6)에서 동시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한, 모든 축적용량부(64a ~ 64c)가 상실되는 일은 없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율의 향상을 한층 도모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축적용량부를 병렬적인 배치로 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회로구성으로 된다. 도 11의 (b)는 상기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등가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동일 도면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액정용량(CLC)은, 실제로는 액정용량(CLC4), 액정용량(CLC5), 액정용량(CLC6) 및 액정용량(CLC7)의 총합으로 나타난다. 액정용량(CLC4)은 상기 도 11의 (a)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영역(65)에서 형성되는 액정용량이고, 액정용량(CLC5)은 영역(66)에서 형성되는 액정용량이며, 액정용량(CLC6)은 영역(67)에서 형성되는 액정용량이고, 액정용량(CLC7)은 영역(68)에서 형성되는 액정용량이다.
(실시형태 7)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7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6에 관한 다른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화소전극체와 전단의 게이트선과의 사이에 복수의 축적용량부를 설치한 점은 공통이지만, 화소전극체를 이하에 기술하는 구성으로 한 점이 다르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소전극체(화소전극)(71)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11a...)과 전극 연결부분(71b...)이 교대로 연결하고 있고, 또한 화소 전극부분(11a...)에 축적 용량전극(71c ·71d)이 각각 접속전극선(71e...)을 통해 설치된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 전극부분(71a...)중, TFT(13)측에서 첫번째 및 세번째의 화소 전극부분(71a...)은 각각 전단의 게이트선(Xm-1)까지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첫번째의 화소 전극부분(71a)에는 축적 용량전극(71c)이 직각이 되도록 접속하고 있고, 세번째의 화소 전극부분(71a)에는 축적 용량전극(71d)이 직각이 되도록 접속하고 있다. 축적 용량전극(71c ·71d)은, 전단의 게이트선(Xm-1)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선(Xm-1)의 일부와 축적용량부(72a ·72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축적 용량전극(71c ·71d)은 각각 서로 면적을 다르게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부(72a ·72b)의 용량치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또, 각 화소 전극부분(71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라인(Y)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전극 연결부분(71b...)은, 게이트 버스라인(X)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전극선(71e...)은, 상기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절단부 및 마킹부를 구비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게이트선(Xm-1)과, 축적 용량전극(71c) 또는 축적 용량전극(71d)과의 사이에,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G1 ·G2)가 존재할 경우, 각각 수정개소(G1') 또는 수정개소(G2')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적용량부(72a ~ 72c)를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수정개소(G1' ·G2')중 어느 것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하여도, 불량개소(G1 ·G2)에서 동시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한, 축적용량부(72a ·72b)의 쌍방이 동시에 상실 되는 일은 없으며, 이것에 의해 수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정개소(G1' ·G2')중 어느 것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하여도, 사용 불가능이 되는 화소 전극부분(71a...)이 없으므로, 수정화소의 전영역에서 액정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정화소를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어, 수율의 향상이 한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소전극체(71)와 대향 전극배선(12b)과의 사이에 오히려 축적용량부를 설치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TFT(13)측에서 두번째의 화소 전극부분(71a)과 접속전극선(71g)을 통해 접속된 축적 용량전극(71f)을 설치함으로써, 축적 용량전극(71f)과 대향 전극배선(12b)과의 사이에 축적용량부(72c)를 형성한다. 이 축적용량부(72c)를 설치한 것에 의해, 축적용량부의 수를 증가하여 분산배치하였으므로, 화소가 전면 불량이 될 확률을 더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적용량부(72c)에, 축적 용량전극(71f)과 대향 전극배선(12b)과의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G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정개소(G3')에 레이저 수정을 시행하면 좋다.
(실시형태 8)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4는,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8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2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축적용량부를 병렬적으로 배치한 점이 다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전극체(화소전극)(81)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81a...)과 전극 연결부분(81b...)을 교대로 연결한던, 장척한 일련의 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전극체이다. 또한, 각 화소전극체 부분(81a...)에는, TFT(13)측에서 순서대로 축적 용량전극(81c ~ 81e)이 각각 접속전극선(81f)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 이들의 축적 용량전극(81c ~ 81e)은, 대향 전극배선(12b)상에 절연층(5)을 통해 설치되어 있고, 대향 전극배선(12b)의 일부와 축적용량부(82a ~ 82c)를 형성하고 있다. 각 화소 전극부분(81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라인(Y)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전극 연결부분(81b...)은, 게이트 버스라인(X)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접속전극선(81f...)은, 레이저 광의 조사시에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단부(도시하지 않음)와 이 절단부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킹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축적 용량전극(81c ~ 81e)은 각각 서로 면적을 다르게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축적용량부(82a ~ 82c)의 용량치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는, 대향 전극배선(12b)과, 축적 용량전극(81c ~ 81e)중 어느 것과의 사이에,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H1 ~ H3)가 존재할 경우, 각각 수정개소(H1' ~ H3')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한다.
축적용량부(82a ~ 82c)는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수정개소(H1' ~ H3')중 어느 것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하여도, 불량개소(H1 ~ H3)에서 동시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한, 축적용량부(82a ~ 82c)의 전부가 동시에 상실 되는 일은 없으며, 이것에 의해 수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정개소(H1' ~H3')중 어느 것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하여도, 사용 불가능이 되는 화소 전극부분(81a...)이 없으므로, 수정화소의 전영역을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9)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5는,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에서의 화소전극체, 대향전극체 및 배선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9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화소전극체와 대향전극체와의 사이에, 복수의 축적용량부를 직렬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전극체(화소전극)(91)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91a...)과 전극 연결부분(91b...)이 교대로 연결한, 장척한 일련의 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전극체이다. 또, 대향전극체(대향전극)(92)는, 복수의 대향 전극부분(92a...)과 전극 연결부분(92b...)이 교대로 연결한, 장척한 일련의 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전극체이다.
각 화소 전극부분(91a...) 및 대향 전극부분(92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라인(Y)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화소전극체(91)에서의 전극 연결부분(91b...) 및 대향전극체(92)에서의 전극 연결부분(92b...)은, 게이트 버스라인(X)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소전극체(91)에서의 전극 연결부분(91b...)과, 대향전극체(92)에서의 전극 연결부분(92b...)과의 일부는, 절연층(5)을 통해 중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TFT(13)측에서 순서대로, 직렬적으로 배열된 축적용량부(93a ~ 93c)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는, 화소전극체(91)에서의 화소 전극부분(91a...)과, 대향전극체(92)에서의 대향 전극부분(92a...)과의 사이에, 단락에 기인하는 불량개소(I1 ·I2)가 존재할 경우, 각각 수정개소(I1') 또는 수정개소(I2')에서 레이저 수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구성의 화소전극체(91) 및 대향전극체(92)를 사용함으로써, 화소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던 대향 전극배선(12b)을 없앨 수 있고, 화소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표시화면을 한층 밝게 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
상기 각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9에 있어서는, 복수의 축적용량부가 직렬적, 병렬적 또는 루프 모양으로 배치된 형태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중 어느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3개의 배치 중, 임의의 2개의 배치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합시킨 형태로도 좋고, 혹은 3개의 배치를 조합시킨 형태로서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9에 있어서는 또한, 수정화소와 정상화소와의 사이에서 휘도 및 플리커 특성의 차를 한층 없애기 위해, 보정용량부를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보정용량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6은,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보정용량부를 설치한 경우의 1화소에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보정용량부를 설치한 경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른 보정용량부를 설치한 경우의 1화소에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용량부(101)는, 보정 용량전극(102)이 게이트선(Xm)의 일부와 절연층(5)을 통해 중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보정 용량전극(102a ~102d)은, 드레인 전극(8)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각 보정 용량전극(102a ~ 102d)은, 게이트선(Xm)과의 중첩부분에서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고, TFT(13)에 가까운 것일수록 그 면적은 작아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보정용량부(101a ~ 101d) 중 TFT(13)에 가까운 것일수록 보정용량의 용량치를 작게 하고 있다. 각 보정용량부(101a ~ 101d)의 보정용량의 용량치를 다르게 하고 있는 것은, 레이저 수정에 의한 수정개소의 경우에 따라 보정용량의 용량치를 조정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상기한 도 1에 있어서, 수정개소(A3')에 레이저 수정을 행한 경우, 액정용량의 용량치와 축적용량의 용량치와의 비는, 수정전의 비와 비교하여 변화한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그 변화를 미리 상정하여 축적용량부(14a)의 용량치와, 축적용량부(14b)의 용량치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한편으로, 그 화소가 속하고 있는 게이트선에서의 주사신호의 커플링에 의한 화소전압의 변동량은, 용량치의 비에 따른 양이다. 이것에 의해, 액정용량과 축적용량과의 비가 극력(極力) 변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비해, 보정용량부(101)는, 액정용량 및 축적용량의 용량치의 합과 보정용량의 용량치와의 비를 미세 조정하여, 그 비를 정상화소에 한층 근접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보정 용량전극(102a ~ 102d)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을,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드레인 전극(8)에서 분리하고, 보정용량부(101) 전체로서의 용량치가 변하는 것에 의해, 액정용량 및 축적용량의 용량치의 합과, 보정용량의 용량치와의 비가 최적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상에 있어서는, 드레인 전극(8)에 접속한 보정 용량전극(102)과 게이트선(Xm)을 절연층(5)을 통해 중첩함으로써 보정용량부(101)를 설치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8)에 접속한 보정 용량전극(103a)과 게이트선(Xm)을 중첩함으로써 설치한 보정용량부(104a)와, 전극 연결부분(11d)에 접속한 보정 용량전극(103b)과 게이트선(Xm)을 중첩함으로써 설치한 보정용량부(104b)와, 화소 전극부분(11a)에 접속한 보정 용량전극(103c)과 게이트선(Xm)을 중첩함으로써 설치한 보정용량부(104c)를 갖는 구조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수정개소(A3')에 레이저 수정을 행하면, 게이트선(Xm-1)과 단락한 전극 연결부분(11c)을 화소전극체(11)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보정 용량전극(103c)도 분리 할 수 있다. 이 결과, 한번의 레이저 수정으로, 불량화소의 수정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정용량 및 축적용량의 용량치의 합과 보정용량의 용량치와의 비의 변화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조정을 행하기 위한 공정의 효율화 ·생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9에 있어서는, 레이저 수정전에, 먼지 등의 부착물이 어레이 기판상에 부착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의 검사와, 부착물이 부착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수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어레이 기판상의 결함 관찰을 행한다. 이 검사로 검출할 수 있는 부착물은, 예컨대 20㎛ 정도의 먼지 등이다. 검사의 결과, 게이트선이나 데이터선 등에 먼지 등이 부착하고 있던 경우에는, 레이저 광의 조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그 먼지와 함께 게이트선 또는 데이터선의 일부를 도려내어 수정한다. 이 때, 게이트선 또는 데이터선이 단선하지 않도록 수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수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화소전극체의 일부의 분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단락 결함의 경우에까지, 레이저 수정이 시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율의 향상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9에 있어서는, 수정화소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이하에 기술하는 구동방법에 의해 액정 표시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 패널(111)에는, 상기 게이트 버스라인(X)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신호 구동회로(112)와, 상기 데이터 버스라인(Y)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 구동회로(113)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신호 구동회로(112) 및 데이터 신호 구동회로(113)는, 액정표시 패널(111)을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를 만드는 컨트롤러(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컨트롤러(114)는 대향전극체에 전압을 공급하는 대향전극체 전원(115)에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114)는 조정신호 연산회로(116)에 접속되어 있다. 조정신호 연산회로(116)는, 수정화소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장치(117)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회로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표시 패널(111)을 구동시킨다. 즉, 우선, 액정표시 패널(111)에서 레이저 수정된 불량화소(즉, 수정화소)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억장치(117)에 메모리 시킨다. 수정화소에 관한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화소위치 및 수정화소 내에서의 수정위치의 정보((X, Y, R) (X, Y : 화소위치, R : 수정화소 내에서의 수정위치))이다. 이들의 정보는, 조정신호 연산회로(116)에 입력된다. 조정신호 연산회로(116)는, 입력된 수정화소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수정화소를 최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조정전압을 연산한다. 연산시에는, 수정화소에서의 수정위치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정화소의 축적용량의 용량치가 계산에 의해 산출되므로, 이 용량치에 따라 휘도 저하분을 고려하여 행한다. 이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컨트롤러(114)는, 정상화소에 대해서는 통상의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한편, 수정화소에 대해서는 보정된 컨트롤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이들의 컨트롤 신호에 의거하여, 게이트 신호 구동회로(112) 및 데이터 신호 구동회로(113)는, 수정화소에 대해 게이트 신호 및 보정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액정표시 패널(111)의 최적인 구동을 실현한다. 여기서, 보정된 데이터 신호란, 정상화소에 대해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보다도 높은 전압의 데이터 신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설명한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술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에 의하면, 단락이 있는 축적용량만을 분리하므로, 불량화소여도 표시할 수 있고, 게다가 결함이 있는 축적용량의 분리 후에도, 남아 있는 정상인 축적용량이 화소전극의 전위 레벨의 변동을 억제하므로, 정상 화소와 비교하여 휘도 및 플리커 특성 등에 극단한 차이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불량화소를 표시화면상에서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어,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에 의하면, 화소전극과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해도, 단락이 발생한 중첩의 부분만을 분리하므로, 그 이외의 단락에 상관 없는 영역에서는 표시가 여전히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단락이 발생한 불량화소여도 불점등 화소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단락이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중첩의 부분에서 발생해도, 다른 축적용량이 이것을 보완하여 기능하므로, 수정된 화소가 정상인 화소와 비교하여 극단히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이것에 의해, 불량화소가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정상으로 표시 가능한 상태로 근접시켜,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정상화소에 대해서는, 통상의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한편, 수정화소에 대해서는, 그 화소위치 및 수정화소내의 수정위치에 의거하여, 그 수정화소에 따른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수정화소의 휘도를 정상인 화소의 휘도에 근접하여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표시화면에서 수정화소를 한층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상의 의미는 크다.
Claims (28)
-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표시장치로서,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쪽의 기판상에는,복수의 게이트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며,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되고,또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며, 상기 화소전극의 전하를 유지하는 복수의 축적용량이 분산 배치되어 있고,상기 복수의 축적용량 중, 적어도 1개는 남아 있는 축적용량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축적용량의 적어도 일부는,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축적용량 중, 상기 스위칭 소자에 가장 가까운 축적용량에 대해, 상기 축적용량을 우회하는 바이패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축적용량의 적어도 일부는,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축적용량의 적어도 일부는, 루프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표시장치로서,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쪽의 기판상에는,복수의 게이트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며,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되고,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어 있고,상기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며,상기 적어도 2개의 축적용량 중, 적어도 1개는 남아 있는 축적용량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화소전극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적용량 중 한쪽의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화소전극의 부분이 분리되어도, 다른 쪽의 축적용량을 구성하는 화소전극의 부분이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되며, 또한 상기 대향전극과의 사이에서 상기 평행한 전계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을 구비하고,상기 축적용량은, 상기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기 위한 축적 용량전극을 구비하고,상기 축적 용량전극은,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연결부분은,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축적 용량전극은, 접속전극선을 통해 화소 전극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접속전극선의 배선폭은, 상기 화소 전극부분의 폭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접속전극선에는 레이저 광에 의해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가 설치되어 있고,또한 상기 절단부에는 마킹이 시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2개의 축적용량을 구성하고 있는 중첩의 면적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화소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상기 드레인 전극 또는 상기 화소전극에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해당 단의 게이트선의 일부와 상기 절연층을 통해 중첩되는 것에 의해 보정용량을 형성하는, 절단 가능한 보정 용량전극이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보정 용량전극이 복수인 경우, 각 보정 용량전극과 상기 게이트선의 일부와의 중첩 면적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어레이 기판으로서,기판과,상기 기판 상에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며,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대향전극을 구비하고,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며, 상기 화소전극의 전하를 유지하는 복수의 축적용량이 분산 배치되어 있고,상기 복수의 축적용량 중, 적어도 1개는 남아 있는 축적용량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기판.
-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텔레비전으로서,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쪽의 기판상에는,복수의 게이트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과,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며,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과,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되며,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어 있고,상기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고,상기 적어도 2개의 축적용량 중, 적어도 1개는 남아 있는 축적용량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텔레비전.
- 복수의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가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된 한쪽의 기판과,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기판과,상기 한쪽의 기판 및 다른 쪽의 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액정층을 가지며,상기 한쪽의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서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으로서.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며,또한 상기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고 있고,상기 중첩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화소전극에 있어서, 상기 단락 근처로서 상기 스위칭 소자측의 소정의 개소 또는 상기 단락 근처로서 전후의 소정의 개소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절단은,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가장 멀어져 중첩되어 있는 부분부터 순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가장 멀어져 중첩되어 있는 부분부터 순차 절단을 행할때마다, 화소의 표시 검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화소전극이,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및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의 사이에서 중첩되어 있을 경우에, 화소전극과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과의 사이, 또는 화소전극과 대향전극과의 사이 중 어느 것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특정한 후에, 상기 절단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대향전극과의 사이에서 평행한 전계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축적용량은, 상기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가 중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로서, 상기 중첩으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상기 화소전극에서의 소정의 1 또는 2 이상의 개소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락이 있는 전극 연결부분을 화소전극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화소전극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부분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분과,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기 위한 축적 용량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축적 용량전극은,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축적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로서, 상기 중첩으로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상기 화소전극에서의 소정의 1 또는 2 이상의 개소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단락이 있는 축적 용량전극을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상기 축적 용량전극이 접속전극선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상기 접속전극선에서의 소정의 개소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단락이 있는 축적 용량전극을 상기 화소전극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절단은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전단전에 상기 한쪽의 기판상에 부착한 부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결함 관찰을 행하고, 또한 상기 부착물이 검출된 경우에는, 부착물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부착물의 제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수정방법.
- 복수의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에 각각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차점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쌍을 이루는 대향전극이 설치된 한쪽의 기판과,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기판과,상기 한쪽의 기판 및 다른 쪽 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액정층을 가지며,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 중 전단 또는 후단의 게이트선 또는 상기 대향전극의 일부와, 절연층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중첩되고,또한 상기 복수의 중첩 중 적어도 2개는 축적용량을 구성하고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상기 중첩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있는 불량화소에 대해, 상기 불량화소에서의 화소전극에 있어서, 상기 단락 근처로서 상기 스위칭 소자측의 소정의 개소 또는 상기 단락 근처로서 전후의 소정의 개소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수정된 수정화소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수정화소의 화소위치 및 수정화소에서의 수정위치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정화소에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를 보정하여, 상기 수정화소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036122 | 2000-02-15 | ||
JP2000036122 | 2000-02-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3216A KR20020003216A (ko) | 2002-01-10 |
KR100497652B1 true KR100497652B1 (ko) | 2005-07-01 |
Family
ID=1856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2086A KR100497652B1 (ko) | 2000-02-15 | 2001-02-15 | 액정 표시장치, 그 화소 수정방법 및 그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781659B2 (ko) |
KR (1) | KR100497652B1 (ko) |
TW (1) | TW562984B (ko) |
WO (1) | WO200106140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582000B (en) | 2001-04-20 | 2004-04-01 | Semiconductor Energy Lab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
JP4355476B2 (ja) * | 2002-08-21 | 2009-11-04 |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 Ips液晶ディスプレイおよび輝点画素の滅点画素化方法 |
KR100920344B1 (ko) * | 2002-12-03 | 2009-10-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US6961032B2 (en) * | 2003-05-06 | 2005-11-01 | Eastman Kodak Company | Reducing the effects of shorts in pixels of an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JP2004342457A (ja) * | 2003-05-15 | 2004-12-02 | Sanyo Electric Co Ltd |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 |
JP4424925B2 (ja) * | 2003-06-05 | 2010-03-03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表示装置 |
KR100594863B1 (ko) * | 2003-12-10 | 2006-06-30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
JP4498043B2 (ja) * | 2004-07-20 | 2010-07-07 | シャープ株式会社 |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リペア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
JP4723915B2 (ja) * | 2005-06-03 | 2011-07-13 | 株式会社東芝 | 液晶パネルのリペア方法及びリペア装置 |
US7696070B2 (en) * | 2006-07-10 | 2010-04-13 |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light valve processing |
TWI349818B (en) * | 2007-03-12 | 2011-10-01 | Prime View Int Co Ltd | Repairing method and structure of display electrode |
JP5282372B2 (ja) * | 2007-05-11 | 2013-09-04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CN101952772B (zh) * | 2007-11-22 | 2013-07-03 | 夏普株式会社 | 有源矩阵基板、液晶面板、电视接收机、液晶面板的制造方法 |
JP5079594B2 (ja) * | 2008-05-16 | 2012-11-21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接触検出方法 |
TWI453910B (zh) * | 2009-02-04 | 2014-09-21 | Sony Corp | Image display device and repair method of short circuit accident |
US8665192B2 (en) * | 2009-07-08 | 2014-03-04 | Hitachi Displays,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101726623B1 (ko) * | 2010-03-16 | 2017-04-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패널 |
TWI419098B (zh) * | 2010-07-29 | 2013-12-11 | Au Optronics Corp | 主動元件陣列基板、顯示面板與修補方法 |
CN103779360B (zh) * | 2014-02-12 | 2017-02-15 |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
CN108761929B (zh) * | 2018-05-18 | 2020-05-1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制作方法及其修复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0556A (ja) * | 1996-06-26 | 1998-01-16 | Advanced Display:Kk | 液晶表示装置 |
KR19990068095A (ko) * | 1998-01-23 | 1999-08-25 | 가나이 쓰도무 | 액정표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108062T2 (de) * | 1990-01-17 | 1995-07-20 | Toshiba Kawasaki Kk |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aktiver Matrix. |
JPH03242625A (ja) | 1990-02-21 | 1991-10-29 | Toshiba Corp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
US5151806A (en) * | 1990-04-27 | 1992-09-29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a series combination of the storage capacitors |
JP3443236B2 (ja) * | 1996-05-31 | 2003-09-02 | シャープ株式会社 |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検査修正装置 |
JPH11125840A (ja) | 1997-10-24 | 1999-05-11 | Sharp Corp |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
KR19990056726A (ko) * | 1997-12-29 | 1999-07-15 | 김영환 | 액정표시소자 |
JPH11295764A (ja) * | 1998-01-23 | 1999-10-29 | Hitachi Ltd | 液晶表示装置 |
TW530180B (en) * | 1998-04-27 | 2003-05-01 | Hitachi Ltd |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
KR100430773B1 (ko) * | 1998-07-14 | 2004-05-10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 |
-
2001
- 2001-02-15 TW TW090103438A patent/TW56298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2-15 WO PCT/JP2001/001104 patent/WO200106140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1-02-15 KR KR10-2001-7012086A patent/KR1004976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1-02-15 US US09/958,677 patent/US6781659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0556A (ja) * | 1996-06-26 | 1998-01-16 | Advanced Display:Kk | 液晶表示装置 |
KR19990068095A (ko) * | 1998-01-23 | 1999-08-25 | 가나이 쓰도무 | 액정표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562984B (en) | 2003-11-21 |
KR20020003216A (ko) | 2002-01-10 |
US6781659B2 (en) | 2004-08-24 |
WO2001061405A1 (fr) | 2001-08-23 |
US20020154079A1 (en) | 2002-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97652B1 (ko) | 액정 표시장치, 그 화소 수정방법 및 그 구동방법 | |
JP4175482B2 (ja) |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EP1837842B1 (en) | Active matrix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and television system | |
US5289174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7557886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JP4405557B2 (ja)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US20080273135A1 (en) | Liquid cry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pixel region | |
US8730423B2 (en) |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display device | |
US6654075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20060045814A (ko) | 전기적 결함을 복구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구비하는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결함 복구 방법 | |
KR100488156B1 (ko) | 액정표시소자 | |
WO2010100790A1 (ja)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液晶パネル、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ユニット、テレビジョン受像機 | |
JP2002311448A (ja) |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US6704084B2 (en) | Liquid-crystal display wherein a common potential is supplied to an alignment film | |
US8446539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
JP2001305586A (ja) | 液晶表示装置、その画素修正方法及びその駆動方法 | |
JP2002350901A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修復方法 | |
JPH0566415A (ja) | アクテイ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 |
KR20080056830A (ko) |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 |
JP3299917B2 (ja) | 液晶表示装置 | |
JP2007047276A (ja) | 液晶表示装置 | |
JP2002341379A (ja) |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416929A (ja)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 |
KR20050015343A (ko)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리페어 방법 | |
KR20070071795A (ko) | 액정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