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945B1 - 패널형부품연결용플라스틱너트 - Google Patents

패널형부품연결용플라스틱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945B1
KR100496945B1 KR10-1998-0703849A KR19980703849A KR100496945B1 KR 100496945 B1 KR100496945 B1 KR 100496945B1 KR 19980703849 A KR19980703849 A KR 19980703849A KR 100496945 B1 KR100496945 B1 KR 100496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lange
plastic
component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574A (ko
Inventor
고트프리드 쾨니히
슈테판 바이젤
Original Assignee
에요트 페르빈둥스테크닉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639396A external-priority patent/DE19639396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7128988 external-priority patent/DE19728988A1/de
Application filed by 에요트 페르빈둥스테크닉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에요트 페르빈둥스테크닉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1999007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05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into which threads are cut during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3Releasable devices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owel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판형 요소의 관통홀로 삽입하기 위한 플라스틱 너트는 유지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유지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은 장착면으로부터 요소에 가압될 수 있는 플랜지로서 설계되며, 그 유지 부품 중 다른 부품은 요소의 후방 위치에서 잠겨지도록 반대면으로부터 가압될 수 있는 스냅인 훅(snap-in hook)으로서 설계된다.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를 갖춘 너트 부품이 유지 부품에 구비된다. 플랜지는 너트 부품을 포함하는 플랜지 부품의 부품이고, 너트 부품은 플랜지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너트 부품은 탄성 영역을 형성하는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해 플랜지 부품에 관하여 플랜지 부품을 향해 축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탄성 영역은 플라스틱 너트가 삽입된 후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이 요소에 지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패널형 부품 결합용 플라스틱 너트{PLASTIC NUT FOR JOINING PLATE-LIKE PARTS}
본 발명은 패널형 구성품의 관통구(through-hole)에 삽입하기 위한 플라스틱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너트는 유지 부품을 포함하며, 조립면으로부터 구성품으로 가압될 수 있는 플랜지로서 상기 유지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이 형성되고, 그 조립면의 반대면으로부터 가압될 수 있고 구성품 후방에서 체결되는 스냅 동작 훅(snap-action hook)으로서 상기 유지 부품 중 다른 부품이 형성되며, 스크류 수용구(receiving bore)를 구비한 너트 부품이 상기 유지 부품에 구비되고, 플랜지는 너트 부품을 둘러싸는 플랜지 부품의 구성 부품이며, 너트 부품은 플랜지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너트는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29 28 619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너트는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스크류 수용구가 구비된 너트 부품을 포함하는데, 이 너트 부품은 그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플랜지 반쪽에 필름 힌지(film hinge)를 통해 연결된다. 각 경우에 너트 부품을 필름 힌지를 통하여 2개의 플랜지 반쪽에 연결함으로써 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반쪽과 함께 전체 구조 요소가 하나의 몰드에서 사출성형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필름 힌지의 탄성으로 인해 2개의 플랜지 반쪽을 너트 부품에 대해 가압시킬 수 있게 되어 플라스틱 너트의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완성된 플라스틱 너트에서 너트 부품은 축방향으로 변위되지 못하도록 2개의 플랜지 반쪽에 연결되어 있다. 삽입 경사부가 구비된 스냅 동작 훅이 너트 부품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이 스냅 동작 훅은 플라스틱 너트가 패널형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될 때 함께 가압되고 플랜지 반쪽이 구성품과 접촉할 때 되튀어나오게 되어 그 과정에서 구성품의 후방에서 체결된다. 스냅 동작 훅과 플랜지 반쪽 사이의 소정의 간격으로 인하여, 공지된 플라스틱 너트는 구성품의 두께가 그 간격을 초과하지 않는 한, 각기 다른 두께를 가진 패널형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플랜지 반쪽과 스냅 동작 훅 사이에 패널형 구성품의 있을지도 모를 유극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너트는 그 플라스틱 너트가 관통구로 삽입될 때 느슨하게 유지되게 되고, 이러한 상황은 구조 요소가 미리 조립되어 있는 경우 특히 운송 중과 후속 사용시에 바람직하지 않다. 공지된 플라스틱 너트의 경우에, 너트 부품에 체결되어 스냅 동작 훅과 함께 너트 부품을 플랜지 반쪽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스크류에 의해 패널형 구성품에 대한 고정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결과 필름 힌지가 끊어지게 되며, 스크류 체결 작용하에서 너트 부품이 그의 스냅 동작 훅에 의해 패널형 구성품으로 가압되게 된다. 스크류가 풀리는 경우에, 플라스틱 너트가 패널형 구성품에 대해 느슨해지는 현상은 불가피하다.
도 1a 내지 도 1d는 스냅 동작 훅이 플랜지 부품의 구성 부품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4가지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플랜지 부품을 도시한 3가지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너트 부품을 도시한 3가지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파형 지지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 도 1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스냅 동작 훅이 너트 부품에 구비되고 또한 탄성 스트립이 지지 장치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4가지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플랜지 부품을 도시한 3가지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너트 부품을 도시한 3가지 도면이다.
도 8은 패널형 구성품에 조립되고 또한 체결된 부조립체를 구비하는 도 5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조립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스냅 동작 훅이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에 구비된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는 플랜지 부품과 너트 부품이 2개의 별도 부품으로 구성된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2가지 도면이다.
도 11은 특정 방식으로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하는 관통구를 구비한 패널형 구성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회전을 방지하는 바(bar)가 플랜지 부품에 구비된 도 5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플랜지 부품과 너트 부품이 별도의 부품을 포함하는 도 10a와 도 10b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밀봉부가 구비된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5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와 유사하고 또한 추가 래칭 노우즈에 의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체결되는 스크류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 가압될 수 있는 스냅 동작 훅을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 4가지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플랜지 부품에 대해 회전 방향 탄성 방식으로 구비되고 또한 너트 부품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스냅 동작 훅을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 4가지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도 17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플랜지 부품을 도시한 3가지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도 17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너트 부품을 도시한 3가지 도면이다.
도 20은 플라스틱 너트의 조립을 위해 홈이 구비된 패널형 구성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너트가 각 구성품의 두께에 자동으로 대응되어 맞추어지고 또한 진동없이 연결되도록, 각기 다른 두께의 패널형 구성품에 조립될 수 있는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플라스틱 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플랜지 부품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너트 부품이 스프링 영역을 형성하는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해 플랜지 부품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플라스틱 너트가 삽입될 때 스프링 영역에 의해서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이 구성품에 접합되며, 이 과정에서 구성품의 두께 차이가 보상됨으로써 달성된다.
너트 부품과 플랜지 반쪽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영역은 너트 부품이 플랜지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가압될 수 있게 하는 탄성 지지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영역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응력하에서 상기 플라스틱 너트가 진동하지 않게 플랜지와 스냅 동작 훅에 의해 구성품에 고정되게 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너트와 구성품이 흔들리지 않으면서 간극에 의한 덜걱거림이 없이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영역으로 인해 플라스틱 너트를 수용하는 구성품의 각기 다른 두께가 보상되는 동시에, 플라스틱 너트가 삽입된 후 체결되는 스크류의 작용에 관계없이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이 구성품에 접합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너트를 충분히 삽입할 수 있게 되어 구성품과 플라스틱 너트 사이에 진동없는 연결이 형성되게 된다.
만일 스크류가 너트 부품에 체결되고 조여지는 경우에 너트 부품이 플랜지 부품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랜지 부품에는 너트 부품용 안내부가 구비되며, 이 안내부에 의해 플랜지 부품은 너트 부품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유지시키게 된다.
너트 부품은 스프링 영역을 형성하는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해 플랜지의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너트가 해당 구성품에 고정되고, 스프링 영역의 탄성 지지 장치가 변형되어 플라스틱 너트가 진동하지 않게 구성품에 위치되며, 이로써 플라스틱 너트와 구성품 사이에 흔들리지 않고 덜걱거리지 않는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플라스틱 너트가 특히 얇은 구성품으로 삽입될 때 구성품에 느슨하게 접촉될 수도 있지만, 다른 부조립체를 패널형 구성품에 체결하기 위해 스크류를 체결할 때 플라스틱 너트도 또한 구성품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성품의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스프링 영역은 플라스틱 너트를 수용하는 구성품의 각기 다른 두께를 보상하는 동시에, 플라스틱 너트가 삽입된 후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이 구성품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구성품과 플라스틱 너트가 진동없이 연결되게 한다.
플랜지는 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트 부품에는 스냅 동작 훅이 구비된다. 플라스틱 너트가 구성품에 삽입될 때, 판으로서 형성된 플랜지는 구성품에 접합되는 반면에, 그 대향면에서는 너트 부품의 스냅 동작 훅이 구성품의 후방에서 체결되어 플라스틱 너트를 구성품에 연결하게 된다.
플라스틱 너트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플랜지가 각각 스냅 동작 훅이 구비된 부분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에, 플라스틱 너트는 플랜지에 연결된 스냅 동작 훅을 통하여 구성품에 체결되고, 너트 부품은 스냅 동작 훅에 대한 접합부를 형성하게 된다.
만약 스냅 동작 훅이 너트 부품에 구비된다면, 플라스틱 너트는 특히 너트 부품이 전방에 있는 상태에서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되는 것이 적합하다. 반면에, 스냅 동작 훅이 플랜지에 구비된다면, 플랜지가 전방에 있는 상태에서 구성품의 관통구로 너트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스냅 동작 훅이 플랜지와 너트 부품 모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플라스틱 너트는 구성품의 양측으로부터 구성품의 관통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너트 부품이 플랜지 부품에서 확실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랜지 부품은 슬리브형 방식으로 너트 부품을 둘러싸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립 장치가 과도한 응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플랜지 부품에 대한 너트 부품의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가 플랜지 부품과 너트 부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스트립 장치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스트립을 통해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이 제조될 수 있다.
너트 부품과 플랜지 부품은 래칭 수단(latching means)에 의해 함께 유지될 수 있고, 이 래칭 수단은 너트 부품이 플랜지 부품으로 삽입될 때 작동된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래칭 수단은 탄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스크류가 너트 부품 내에 체결될 때, 플랜지 부품이 그 스크류와 동시에 회전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관통구에 조립되는 회전 방지 수단이 너트 부품을 향하는 플랜지의 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너트는 관통구를 밀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플랜지에 밀봉 영역이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플라스틱 너트를 구성하기 위해서, 너트 부품의 수용구는 플랜지를 향하는 면에서 관통구를 형성하고 이 관통구보다 폭이 좁으면서 이 관통구에 인접한 좁은 영역을 구비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구의 구성으로 인하여, 스크류가 우선 관통구가 형성된 길이 부분에 수용된 다음에 후속 스크류 체결 동작에 의해 안내되게 된다. 또한, 스크류의 나사부(thread)를 수용하기 위해 좁은 영역이 관통구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좁은 영역의 직경은 셀프 태핑 스크류(self-tapping screw)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체결될 스크류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좁은 영역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류를 더욱 쉽게 체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수용구의 좁은 영역으로 변화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단차(step)를 구비한 나선형 경사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나선형 경사부에 의해 스크류가 쉽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구성품의 각기 다른 두께를 더욱 광범위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플랜지로부터 이격된 구성품의 면의 후방에서 체결될 수 있는 래칭 노우즈(latching nose)가 구성품을 향하는 플랜지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탄성 스트립의 스프링 영역이 특히 두꺼운 구성품에 대해서 형성될 수가 있으며, 플라스틱 너트가 특히 얇은 구성품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구성품이 상기 래칭 노우즈에 의해 플라스틱 너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너트에 수용되는 스크류의 위치에 있어서, 플랜지 부품과 패널형 구성품의 관통구에 대한 상기 스크류 위치의 비교적 큰 허용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플라스틱 너트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너트 부품이 플랜지 부품에 대해 일정 유극을 가짐으로써 달성되며, 이 유극은 반경 방향으로의 상호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플랜지 부품은 상기 유극을 유지하면서 너트 부품을 안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너트 부품 내에 체결될 스크류가 상기 유극 내에서 구성품에 대해 자동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스냅 동작 훅을 특정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스냅 동작 훅이 너트 부품에 탄성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삽입시 스냅 동작 훅이 관통구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체결되는 스크류의 작용으로 인해 외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플라스틱 너트가 패널형 구성품의 관통구로 더욱 쉽게 삽입되도록 하며, 이러한 플라스틱 너트의 용이한 삽입은 특히 민감성 재료로 구성된 구성품의 경우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스냅 동작 훅이 접촉없이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스냅 동작 훅이 패널형 구성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된다.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스냅 동작 훅을 체결하게 되며, 이 스크류는 너트 부품의 수용구로 체결될 때 스냅 동작 훅을 외측으로 가압시켜, 스냅 동작 훅이 플랜지로부터 이격된 면에서 구성품에 위치하게 한다. 이 방식에 따라서, 스크류가 스냅 동작 훅에 반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플라스틱 너트와 구성품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스냅 동작 훅이 너트 부품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너트 부품이 탄성 지지 장치를 통해 플랜지 부품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 지지 장치가 플랜지 부품에 대해 회전 방향 탄성 방식(회전 방향으로 탄성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너트 부품을 스냅 동작 훅과 함께 플랜지 부품의 방향으로 가압시켜 너트 부품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플라스틱 너트의 구성에 따라서, 플라스틱 너트가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게 되고, 관통구 내에 조립되고 플라스틱 너트에 위치되는 회전 방지 수단으로 인해 플라스틱 너트가 관통구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유지되게 되며, 플랜지 부품에 대해 회전 방향 탄성 방식으로 유지되는 너트 부품으로 인해 그 너트 부품에 견고하게 연결된 스냅 동작 훅이 관통구의 홈을 통해 안내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너트 부품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스냅 동작 훅이 회전 방향 탄성 방식으로 유지됨으로써 구성품 후방에서 되튀어나오게 되고, 이 경우에 스냅 동작 훅은 구성품 후방에 위치되어 그 구성품을 가압시킴으로써 플라스틱 너트가 구성품에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냅 동작 훅이 플랜지에 구비된 플라스틱 너트이다.
도 1a와 도 1b는, 각 경우 측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품(31)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플라스틱 너트(30)를 도시하고 있으며, 플랜지 부품(31)의 플랜지 부분(32, 33)이 스냅 동작 훅(34, 35)의 반경 방향 외측 말단부에 형성된다. 플랜지 부품(31)이 슬리브형 방식으로 정확하게 너트 부품(36)을 둘러싸서, 너트 부품(36)이 플랜지 부품(31)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된다. 2개의 접합부(37, 38)가 너트 부품(36)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들은 특히 도 3a 내지 도 3c에 따른 너트 부품(36)의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접합부(37, 38)는 너트 부품(36)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1c는 위에서 바라 본 플라스틱 너트(30)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면에는 2개의 접합부(37, 38)와 스냅 동작 훅(34, 35)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블라인드 홀(blind hole)로서 형성되고 관통구(41)와 이보다 폭이 좁은 영역(42)을 포함하는 수용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부품들은 도면 부호가 동일한 도 5a 내지 도 5d의 부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1d는 저면에서 본 플라스틱 너트(30)를 도시하고 있다. 플랜지 부품(31)에 대한 너트 부품(36)의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수단은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플랜지 부품(31) 자체의 3가지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3a 내지 도 3c는 너트 부품(36) 자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플라스틱 너트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너트에는 스프링 영역을 형성하는 탄성 지지 장치(39a, 40a)가 추가되어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 1, 도 2, 도 3 및 도 4의 도면에 사용되지만, 도 4a 내지 도 4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에 대하여는 모든 도면 부호에 "a"가 추가되어 있다.
너트 부품(36a)과 플랜지 부품(31a)은 파형 지지 장치(39a, 40a)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파형 지지 장치의 하나의 다리부(leg)가 스냅 동작 훅(34a, 35a)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플랜지 부품(31a)으로부터 돌출되며, 파형 지지 장치는 정점(40a)을 구비한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정점은 그 정점 쪽을 향하는 너트 부품(36a)의 단부면에 대해 가압된다. 지지 장치(39a, 40a)의 탄성으로 인해 너트 부품(36a)이 스냅 훅(34a, 35a)으로부터 이격되어 변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도 4b(또한 도 1b에 도시)에 도시된 간격(A)이 이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고, 특히 상기 간격(A)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지지 장치(39a, 40a)가 일례로 접착제 결합과 같은 일부 방식에 의해 너트 부품(36a)의 단부면에 연결된다면 플랜지 부품(31a)과 너트 부품(36a) 사이에 고정 연결부가 형성되게 되고, 만약 너트 부품(36a)과 플랜지 부품(31a)이 지지 장치(39a, 40a)와 함께 하나의 공정에서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면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작동 모드와 구성에 관하여는, 도 1a 내지 도 1d의 해당 설명 부분을 참고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냅 동작 훅이 너트 부품에 구비된 플라스틱 너트이다.
도 5a와 도 5b는 플랜지(3)가 구비된 플랜지 부품(2)과 완전히 조립되어 있는 상태의 플라스틱 너트(1)를 각 경우 측부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플랜지 부품(2)은 너트 부품(4)이 플랜지 부품(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슬리브형 방식으로 너트 부품(4)을 둘러싼다. 2개의 스냅 동작 훅(5, 6)이 너트 부품(4)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냅 동작 훅의 플랜지(3)를 향한 접합면(7, 8)이 너트 부품(4)을 향한 접합면(9, 10)으로부터 간격(A)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간격(A)은 플라스틱 너트(1)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간격이다. 플라스틱 너트(1)의 내부 구성을 도 5a에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너트 부품(4)의 스크류 수용구(미도시)가 노출되도록 관찰자를 향한 너트 부품(4)과 플랜지 부품(2)의 영역이 도 5a에 파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수용구에는 관통구(11)와 이 관통구(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인접한 좁은 영역(12)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수용구(11/12)에 체결되는 스크류가 우선 관통구(11)의 영역에서 자유롭게 안내된 다음에 스크류가 좁은 영역(12)으로 더 체결될 때 그 좁은 영역에 자체적으로 나사홈을 내거나 또는 좁은 영역(12)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나사홈에 체결되게 된다(나사홈은 도 5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관통구(11)는 플랜지(3)의 방향으로 플랜지(3)의 원형 관통로(29)에 연결되어, 플라스틱 너트(1)에 삽입될 스크류가 플랜지(3)를 통하여 안내되어 관통구(11)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로(29)는 관통구(11)보다 큰 직경을 가져, 공구가 플랜지의 면으로부터 너트 부품(4)의 단부면(99/100)(도 5c에 도시됨)에 축방향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며, 이 압력에 의해 플라스틱 너트(1)가 구성품의 관통구로 가압될 수 있게 된다.
플랜지 부품(2)과 너트 부품(4)은 2개의 탄성 스트립(13, 1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U자를 형성하는 탄성 스트립(13, 14) 중 하나의 다리부가 플랜지(3)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탄성 스트립 중 다른 하나의 다리부가 플랜지(3)로부터 이격된 너트 부품(4)의 면에 위치되어 그 너트 부품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는, 플랜지 부품(2)과 너트 부품(4)을 포함하고 또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일체형 플라스틱 구성품에 관한 것이며, 이에 따라 2개의 탄성 스트립(13, 14)이 유사하게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작은 두께로 인해 충분한 탄성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으로 인해, 너트 부품(4)이 축방향으로 플랜지로부터 이격되어 변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간격(A)이 이에 따라 증가될 수 있게 된다.
플랜지 부품(2)은 반경 방향으로의 상호 변위가 가능하게 하는 일정 유극(S)을 유지하면서 너트 부품(4)을 안내한다(도 5a, 도 5b 및 도 5c 참조). 유극(S)은 위에 언급한 3가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품(2)이 슬리브형 방식으로 너트 부품(4)을 둘러싸는 영역에서 플랜지 부품(2)과 너트 부품(4)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너트 부품(4)이 플랜지 부품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되고, 스트립(13, 14)이 그 스트립의 탄성으로 인해 이에 대응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플랜지 부품(2)과 너트 부품(4)의 크기 오차의 보상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너트 부품(4)이 편위되어 있을지도 모를 스크류(도 8 참조)에 유극(S)의 범위 내에서 맞추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c는 선 I - I 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접합면(7, 8)을 도 5c에서 볼 수 있다. 플랜지 부품(2)과 너트 부품(4)을 서로 연결하는 스트립(13, 14)의 굴곡부(15, 16)도 또한 볼 수 있다. 슬릿(slit)(17, 18)은 스냅 동작 훅(5, 6)이 탄성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이 슬릿은 플랜지(3)의 측부로부터 너트 부품(4)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너트 부품의 영역(B)만이 유지되어 남게 되며, 이 영역의 단면은 스냅 동작 훅(5, 6)이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5d는 플랜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측부에서 본 플라스틱 너트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에 2개의 스냅 동작 훅(5, 6)과 탄성 스트립(13, 14)이 관찰자를 향하고 있다. 관찰자는 슬리브형 방식으로 너트 부품(4)을 둘러싸는 플랜지 부품(2)과 좁은 영역(12)을 또한 볼 수 있다.
플라스틱 너트(1)가 구성품의 관통구로 더욱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입구 경사부(19)가 플랜지(3)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플랜지 부품(2)의 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 너트의 삽입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a는, 플랜지 부품(2)의 슬릿(17, 18) 사이에서 연장되고 또한 스냅 동작 훅(5, 6)의 대응 정지부(22, 23)와 상호 작용하는 정지부(20, 21)가, 플랜지(3)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플랜지 부품(2)의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지부(21, 22와 21, 23)가 서로 접촉하여 플랜지 부품(2)에 대한 너트 부품(4)의 변위가 제한될 때까지, 스냅 동작 훅(5, 6)과 너트 부품(4)은 플랜지(3)로부터 이격되어 가압될 수 있다. 이로써 또한 접합면(7/9와 8/10) 사이의 최대 간격(A)이 한정되게 되어, 플라스틱 너트(1)가 이에 상응하는 두께의 패널형 구성품을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5c에는 각 경우 하나의 창 모양의 개구(window)(24)가 구비된 플랜지 부품이 도시되어 있으며(또한 도 6b도 참조), 스냅 동작 훅(5 또는 6)이 상기 개구를 관통하게 된다. 개구(24)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경계는 플랜지 부품(2)에 대한 너트 부품(4)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고, 이로써 플랜지 부품(2)은 회전하지 못하게 너트 부품(4)을 안내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플랜지 부품에 연결되는 탄성 스트립(13, 14)의 다리부가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플랜지 부품(2)만의 3가지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또한 플랜지 부품(2)의 개구(24)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개구(24)를 통하여 너트 부품(4)의 스냅 동작 훅(5, 6)이 돌출된다. 개구(24)의 폭이 슬릿(17, 18)의 외벽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개구(24)의 폭은 도 5b로부터도 또한 알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너트 부품(4) 자체의 3가지 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a에서 일점쇄선은 2개의 스냅 동작 훅(5, 6)이 동시에 굽혀진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스냅 동작 훅(5, 6)이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될 때 그 스냅 동작 훅이 동작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해당 플라스틱 너트의 플랜지(3)가 구성품과 접촉될 때, 스냅 동작 훅(5, 6)이 정상 위치로 되튀어나오게 되어 구성품 후방에서 체결되게 된다.
도 8은 패널형 구성품(25)에 연결된 도 5a 내지 도 5d,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1)를 나타내고 있으며, 패널형 구성품은 플랜지(3)와 스냅 동작 훅(5, 6) 사이에서 유지되고, 플랜지(3)와 스냅 동작 훅(5, 6)은 탄성 스트립(13, 14) 고유의 응력으로 인해 함께 가압된다. 플랜지 부품(2)이 구성품(25)의 관통구(26)를 관통하는 위치에서, 스크류(27)가 구조 요소(28)(부조립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 부품(4)에 체결되고, 스크류의 머리부가 구조 요소(28)를 플라스틱 너트(1) 위로 또한 패널형 구성품(25) 위로 끌어당기게 되어 구조 요소를 구성품(25)에 고정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패널형 구성품(25)은 임의 종류의 설치품, 부조립체 등에 고정되어야 하는 자동차의 임의 종류의 패널(panelling)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면서 진동하지 않는 내구성 있는 연결부가 필요하게 되나, 대개 구성품 단독으로는 이 연결부에 충분한 벽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는 위에 언급한 부조립체 등의 조립 작업시 단지 부조립체가 조립되는 면에서의 조작만을 필요로 하는 이점을 가지며, 이는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조립 방법과 구성에서는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너트가 패널형 구성품의 구성 부품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너트의 고정과 같은 어떠한 후속 조작도 필요없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에, 너트 부품과 플라스틱 너트의 길이가 자동으로 형성되게 되면, 플라스틱 너트에 체결되는 스크류가 복수의 나선에 의해 너트 부품의 길이에 걸쳐 고정됨으로써, 구성품과 부조립체의 연결 강도에 이점을 제공하게 되고, 그 결과 스크류가 너트 부품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플라스틱 너트(30a)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지지 장치(39a, 40a)로부터 이격된 면에서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플랜지 부분(32a, 33a)이 선두로서 안내된다. 이 경우에, 스냅 동작 훅(34a, 35a)의 입구 경사부(43a, 44a)가 관통구의 경계와 접촉하게 되어, 스냅 동작 훅(34a, 35a)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께 쉽게 굽혀지게 된다. 이는 스냅 동작 훅(34a, 35a)의 측부로부터 플랜지 부품(31a)으로 연장된 슬릿(45a, 46a)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탄성적으로 동작하는 스냅 동작 훅(34a, 35a)의 작동에 대하여는 도 5a의 영역(B)에 대한 설명을 참고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냅 동작 훅(34a, 35a)이 외측으로 튕겨지고 구성품(25) 후방에 위치할 때까지 플라스틱 너트(30a)가 관통구(26)(도 8) 내로 삽입됨으로써, 도 8에 따른 패널형 구성품(25)과 유사한 패널형 구성품에 플라스틱 너트(30a)가 조립되게 되고, 그 구성품의 다른 면이 접합부(37a, 38a)에 지지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간격(A)보다 두꺼운 구성품의 경우에는, 너트 부품(36a)이 스냅 동작 훅(34a, 35a)으로부터 이격되어 밀려지게 되고 또한 지지 장치(39a, 40a)가 응력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구성품(25)의 한 면으로부터 그 구성품으로 스냅 동작 훅(34a, 35a)을 가압시키게 되고 또한 다른 한 면으로부터 접합부(37a, 38a)를 구성품으로 가압시키게 됨으로써, 플라스틱 너트(30a)가 구성품(25)을 진동하지 못하게 구속하는 방식으로 그 구성품(25)에 조립되게 된다. 또한, 추가 구조 요소가 도 8을 참고로 하여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식대로 스크류에 의해 플라스틱 너트(30a)와 구성품에 고정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1)는 단지 너트 부품(4)에 스냅 동작 훅(5, 6)이 구비된 플라스틱 너트로서 이 플라스틱 너트(1)는 탄성 스트립(13, 14)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구성품(25)의 관통구(26) 내에 삽입되는 반면에,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30)는 플랜지 부분(32, 33)에 스냅 동작 훅(34, 35)이 구비된 플라스틱 너트로서 이 플라스틱 너트(30)는 스냅 동작 훅(34, 35)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구성품에 조립될 수 있다.
구성품의 양측으로부터 구성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도 9에서 설명한다.
도 9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47)는 도 5와 도 7에 따른 너트 부품(4)과 동일한 구조이다. 너트 부품은 2개의 스냅 동작 훅(5, 6)(도 5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을 구비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냅 동작 훅(5, 6)은 함께 가압될 수 있어서, 너트 부품(4)이 탄성 스트립(48, 49)의 안내에 의해 해당 구성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너트(47)는 반대 방향으로, 즉 스냅 동작 훅(34/35)의 안내에 의해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이 스냅 동작 훅은 도 1의 스냅 동작 훅과 동일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된다. 스냅 동작 훅(5, 6)과 스냅 동작 훅(34, 35)의 구성으로 인해, 플라스틱 너트(47)는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플랜지 부품(51)과 너트 부품(52)이 도 4와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다소 다른 방식으로 함께 유지되는 플라스틱 너트(50)를 도시하고 있다. 플라스틱 너트(5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a 내지 도 1d와 일치하므로 플랜지 부품(51)과 너트 부품(52)의 상호 작용에 관하여는 상기 도면들의 설명을 참고로 한다. 도 10a와 도 10b에 따르면, 플랜지 부품(51)의 바닥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반경방향 내측으로 굽혀진 훅의 형태로 탄성 스트립(53, 54)이 형성된다. 각각의 굴곡부(55, 56)는 암(arm)(59, 60)에 형성된 구멍(57, 58)으로 돌출된다. 암(59, 60)은 너트 부품(52)으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되고, 암의 구멍(57, 58)은 탄성 스트립(53, 54)의 굴곡부(55, 56)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4와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해당 너트 부품(4 또는 36)에 스트립(13, 14와 39a, 40a)을 연결하기 위한 직접 일체형 연결부는, 도 10a와 도 10b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형부(angled section)(55, 56)와 해당 구멍(57, 58)으로 대체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너트(50)에는 함께 결합되고 또한 별도로 사출 성형될 수 있는 두 부품이 포함되며, 너트 부품(52)이 슬리브형 방식으로 그 너트 부품(52)을 둘러싸는 플랜지 부품(51)으로 삽입될 때, 각형부(55, 56)가 구멍(57, 58)의 반대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우선 외측으로 이격되어 굽혀지게 되고, 이어서 상기 각형부가 그 구멍 내로 스냅식으로 연결되게 되며, 이러한 동작들은 스트립(53, 54)의 탄성으로 인하여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플라스틱 너트(50)의 조립에 필요하고 또한 플랜지 부품(51)에 대한 너트 부품(52)의 변위에 필요한 간극(clearance)이 각형부(55, 56)와 함께 스트립(53, 54)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너트(50)는 특히 도 4와 도 9에 개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품에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 10a는 관통구(61)와 좁은 영역(62)을 포함하는 너트 부품(52) 수용구의 단차(step)(64)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단차는 관통구(61)로부터 좁은 영역(62)으로 변화되는 영역에 형성된 나선형 경사부(63)에 의해 형성되어, 체결될 스크류의 첫번째 나선 회전부가 좁은 영역(62) 내로 아주 쉽게 진입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관통구의 구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에 형성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10b에는 도 10a에 대하여 90° 로 회전된 플라스틱 너트(5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에는 다른 특징부, 즉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5, 66)가 플랜지 부품(51)에 구비된 플라스틱 너트(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구성품의 관통구 내로 플라스틱 너트(50)를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입구 경사부(67, 68)가 돌출부(65, 66)에 구비된다.
도 11은 2개의 홈(71, 72)을 구비한 원형 관통구(70)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품(69)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0a와 도 10b에서 볼 수 있는 돌출부(65, 66)가 상기 홈에 조립된다. 홈(71, 72)과 돌출부(65/66)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구성품(69)에 대한 플랜지 부품(51)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이 형성된다. 관통구(70)의 직경은 슬리브형 플랜지 부품(51)이 방해없이 해당 관통구(70)로 삽입될 수 있게끔 선택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성품을 향하는 플랜지(3)의 면에 정확하게 바(bar)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품에 대한 플랜지 부품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이 도 5a 내지 도 5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도면의 플라스틱 너트는 도 5a 내지 도 5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와 완전히 일치하나, 다만 도 12는 플랜지(3)에 추가로 바(73, 74)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5d와 다르며, 이 바는 플랜지(3)와 플라스틱 너트가 관통구에서 해당 구성품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이에 맞게끔 4면을 가진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되어야 한다.
도 12의 플라스틱 너트가 직사각형 관통구로 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바(73, 74)에 각각 입구 경사부(75, 76)가 구비된다.
도 13은 도 10a와 도 10b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5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변형예는 단지 플랜지 부품(51)과 너트 부품(52)이 함께 유지된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너트(50)와 다르다. 도 13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77)는 특히 플라스틱 너트(50)와 동일한 탄성 스트립을 구비한다. 하지만, 탄성 스트립의 각형부(55, 56)가 이 플라스틱 너트(77)의 경우에 단축되어 있는 암(78, 79)에 대해서 단순히 정지부를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이 정지부는 너트 부품(52)이 플랜지 부품(51) 내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너트 부품(52)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정 래칭 노우즈(latching nose)(80, 81)가 플랜지 부품(51)에 구비되고, 이 래칭 노우즈의 입구 경사부로 인해 너트 부품(52)이 플랜지 부품(51)으로 삽입될 수 있거나 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너트 부품(52)이 플랜지 부품(51) 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래칭 노우즈(80, 81)가 너트 부품(52) 후방에서 체결되어, 너트 부품의 이동 자유도가 전방 및 후방의 2가지 방향으로 제한되게 된다. 각형부(55, 56)의 탄성으로 인하여, 플랜지 부품(51)에 대해 너트 부품(52)이 필요로 하는 이동 자유도가 유지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에 밀봉부(seal)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1)와 원리가 동일한 도 14의 플라스틱 너트(8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4에는 본 명세서에 필수적인 구성 부품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너트(82)는 너트 부품(4)에 2개의 스냅 동작 훅(5, 6)을 구비하고 있지만(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부품(83)은 도 5의 플랜지 부품과는 달리 변형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르면, 원주 밀봉립(sealing lip)(85)이 경계 주위에 구비되는 플랜지(84)가 플랜지 부품(83)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립(85)은 플라스틱 너트가 관통하는 구성품에 맞대어져 위치하게 되고, 이 방식으로 플랜지(84)와 구성품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도 14에 따른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도 5에 따른 플랜지(3)가 밀봉립(85)을 구비한 플랜지(84)로 대체된다는 점이다. 이 밀봉 부품은 밀봉립(85)을 구비한 부착식 밀봉 부품일 수 있다. 하지만, 플랜지(84) 자체가 밀봉립(85)을 구비한 밀봉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73/74) 형태의 회전 방지 수단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플라스틱 너트와 원리가 동일한 플라스틱 너트(86)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너트(86)는 플랜지 부품(87)과 너트 부품(88)을 구비하고, 플랜지 부품과 너트 부품은 탄성 스트립(89/9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플랜지 부품(87)에는 플랜지(91)가 구비되고, 이 경우에 도 5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구성품(92)을 향하는 상기 플랜지의 면에는 래칭 노우즈(93, 94)가 구비되어 있다. 플라스틱 너트(86)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품(92)에 조립되는데, 이 때 스냅 동작 훅(95, 96)은 이에 맞추어서 뒤로 휘어지며, 최종적으로 구성품(92) 후방에서 체결된다. 또한, 래칭 노우즈(93, 94)도 이 과정에서 구성품(92) 후방에서 체결된다. 플라스틱 너트(86)를 구성품(92)에 고정하는 이러한 방식의 목적은, 예를 들어 1mm 내지 5mm의 일정 두께 범위를 갖는 구성품(92)을 스트립(89, 90)의 작용과 함께 스냅 동작 훅(95, 96)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플라스틱 너트(86)가 단지 0.5mm 두께를 갖는 구성품(92)에 조립되는 경우에, 플라스틱 너트(86)가 느슨하게 조립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많은 적용 분야에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플라스틱 너트(86)가 이와 같은 얇은 금속 패널에 조립되는 경우에 진동하지 않도록 상기 플라스틱 너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래칭 노우즈(93, 94)가 구비되고, 이 래칭 노우즈는 특히 얇은 구성품(92)의 경계 후방에 상기 래칭 노우즈가 탄성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형성되며, 따라서 플랜지 부품(87)을 진동하지 않게 구성품(92)에 유지시키게 된다.
스크류의 대응 나사부를 수용하게 구비되고 좁은 영역(97)에 형성되는 나사부(98)가 도 15의 플라스틱 너트(86)에 또한 포함된다. 물론, 이러한 형태의 나사부가 위에서 기술한 모든 플라스틱 너트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너트 부품(36)이 플랜지 부품(31)에서 느슨하게 유지되어, 상기 너트 부품(36)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너트 부품은 스냅 동작 훅(34/35)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에서는 도 5에 따른 정지부(20/22, 21/23)와 유사한 정지부에 의해 정지되지만, 플랜지(34/35)의 방향으로는 활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3에 도시된 추가 내측 래칭 노우즈(80, 81)를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구비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크류가 체결될 때 스냅 동작 훅(105, 106)이 체결되는 플라스틱 너트(101)이다[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호의 도 8에 도시된 스크류(27) 참조]. 플라스틱 너트(101)는 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호의 도 5a 내지 도 5b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와 상당 부분 일치하는데, 상기 공개 특허 공보의 플라스틱 너트(1)의 스냅 동작 훅(5, 6)은 이완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으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구성품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미도시).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16a 내지 도 16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101)의 스냅 동작 훅(105, 106)은, 이완된 상태에서 특히 도 16a로부터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하여 경사진 위치를 형성한다. 플라스틱 너트(101)의 다른 구성 부품과 기능에 관하여는, 도 5a 내지 도 5d의 설명을 참고로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a 내지 도 5d의 도면 부호에 숫자 "100"이 더하여져 있다.
플라스틱 너트(101)는 도 16a의 이완된 위치에서 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호의 도 11에 도시된 원형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다[플라스틱 너트(101)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없게 되는 홈(71, 72)이 상기 관통구에 추가로 구비됨]. 플라스틱 너트(101)가 관통구로 삽입되면[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호의 도 8 참조: 패널형 구성품(25)의 관통구(26)], 스크류[도 8의 스크류(27)]가 너트 부품(104)의 관통구(111)와 좁은 영역(112)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되고, 이 때 2개의 스냅 동작 훅(105, 106)이 외측으로 가압되고 그의 접합면(107, 108)이 구성품에 위치되어 체결되게 된다.
플라스틱 너트, 패널형 구성품 및 스크류가 조립된 장치가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도 16a 내지 도 16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101)의 작동 모드에 대해서는 도 8의 설명을 참고로 한다. 각각의 경우에, 스크류를 플라스틱 너트(101)에 완전히 체결함으로써 플라스틱 너트(101)가 스냅 동작 훅(105, 106)과 함께 도 8의 해당 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너트(101)의 구성으로 인해 플라스틱 너트가 실질적으로 접촉없이 구성품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게 되고, 이는 특히 구성품의 관통구의 경계가 민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때 바람직하다. 이는 일례로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 플라스틱 너트(101)가 예를 들어 종래의 인테리어 패널인 경량 구조 요소 내에 삽입될 때이다.
도 17a 내지 도 17d, 도 18a 내지 도 18c 및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실시예는, 플랜지 부품에 대한 스냅 동작 훅의 회전 방향 탄성 연결에 의해서 패널형 구성품에서 유지되는 플라스틱 너트(201)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라스틱 너트(201)의 구성은 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5호의 도 5a 내지 도 5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와 상당 부분 일치하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개시 내용의 관련 부분을 참고로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5a 내지 도 5d,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의 도면 부호에 숫자 "200"이 더하여져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1)와는 달리 스냅 동작 훅(205, 206)에는 플랜지 부품(202)과 함께 너트 부품(204)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시 말하면 위에 언급한 도 5a 내지 도 5d의 스냅 동작 훅(5, 6)과는 대조적으로 스냅 동작 훅(205, 206)은 함께 가압되지 않는다. 이는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너트 부품(204)의 구성에서 볼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5호의 도 7a 내지 도 7c를 상당 부분 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 상기 독일 공개 특허 공보의 개시 부분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스냅 동작 훅(5,6)이 슬릿(17, 18)의 영역에서 너트 부품(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구성과는 달리, 특히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9a 내지 도 19c에 따른 구성에는 그러한 슬릿이 없으며, 그 결과 너트 부품(204)과 이 너트 부품에 조립된 스냅 동작 훅(205, 206)의 조합으로 인해 견고한 소형 구성품이 형성되게 된다.
플라스틱 너트(201)의 구성에서, 2개의 스트립(213, 214)[너트 부품(204)을 플랜지 부품(202)에 연결하기 위한 지지 장치]의 탄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때 탄성 스트립(213, 214)은 너트 부품(204)과 플랜지 부품(202) 사이에 회전 방향 탄성 연결을 형성하게 되어 스냅 동작 훅(205, 206)에 대하여 회전 방향 탄성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플랜지 부품(202)과 스냅 동작 훅(205, 206)이 회전 방향 탄성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플랜지 부품(202)을 관통하는 스냅 동작 훅(205, 206)의 영역에는 도 18a 내지 도 18c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의 플랜지 부품(202)에 창 모양의 개구(224)[이에 상응하는 개구(24)는 특히 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5호의 도 5c와 도 6b로부터 볼 수 있다]를 형성하는 원형으로 연장된 홈(240)이 구비되어 있다. 개구(224)를 홈(240)의 영역으로 원형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스트립(213, 214)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트 부품(204)이 그로부터 돌출된 스냅 동작 훅(205, 206)과 함께 플랜지 부품(20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도 17c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정확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 각도는 약 45°이다.
플랜지(203)와 함께 플랜지 부품(202)을 나타내고 있는 도 18a 내지 도 18c에 홈(240)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의 설명은 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호의 도 6a 내지 도 6c의 설명을 따르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개시 내용을 참고로 한다.
도 17a 내지 도 17d에 따른 플라스틱 너트를 도 20에 따른 패널형 구성품(369) 내로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패널형 구성품에는 홈(371, 372)을 구비한 정사각형 관통구(370)가 구비된다. 회전 방지 수단은 플랜지 부품(202)에 구비된 2개의 바(273, 274)와 정사각형 형상의 관통구(370)에 의해 형성된다.
이렇게 플라스틱 너트(201)를 구성품(369)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 너트 부품(204)이 회전되어 2개의 스냅 동작 훅(205, 206)이 홈(371, 372)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냅 동작 훅(205, 206)이 구성품(369)의 배면을 통과할 때까지 플라스틱 너트(201)가 스냅 동작 훅(205, 206)과 함께 구성품(369)을 관통하여 가압될 수 있으며(공개 특허 공보 제196 39 396.5호의 도 8의 설명 참조), 스트립(213, 214)의 회전 방향 탄성으로 인하여 스냅 동작 훅은 도 17c에 따른 그의 정상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정상 위치에서, 스냅 동작 훅(205, 206)은 구성품(369) 후방에 위치되고, 따라서 상기 구성품은 한편으로는 플랜지(203)에 의해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스냅 동작 훅(205, 206)에 의해서 유지되게 된다.
구성품(369) 내로 삽입되어 체결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플라스틱 너트(201)의 개략도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스냅 동작 훅(205, 206)은 구성품(369) 후방에 위치된다.
플라스틱 너트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수단이 삽입되는 홈이 관통구에 구비되어야 하며, 도 2에 정사각형으로 도시된 관통구(370) 대신에 원형 구멍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유지 부품을 포함하고, 조립면으로부터 구성품(25, 69, 92)으로 가압될 수 있는 플랜지(3, 84, 91)로서 상기 유지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면의 반대면으로부터 가압될 수 있고 구성품(25, 69, 92) 후방에서 체결되는 스냅 동작 훅(5, 6; 34, 35)으로서 상기 유지 부품 중 다른 부품이 형성되고, 스크류(27) 수용구(11, 12; 41, 42; 61, 62)를 구비하는 너트 부품(4, 36, 52, 88)이 상기 유지 부품에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3, 84, 91)가 너트 부품(4, 36, 52, 88)을 둘러싸는 플랜지 부품(2, 31, 51, 83, 87)의 구성 부품이고, 상기 너트 부품(4, 36, 52, 88)이 플랜지(3, 84, 91)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는, 패널형 구성품(26, 69, 92)의 관통구(26)로 삽입하기 위한 플라스틱 너트(1, 30, 47, 50, 77, 82, 86)에 있어서,
    플랜지 부품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너트 부품(4, 36, 52, 88)은 스프링 영역을 형성하는 탄성 지지 장치(13, 14; 39, 40; 48, 49; 53, 54; 89, 90)에 의해 플랜지 부품(2, 31, 51, 83, 87)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플라스틱 너트(1, 30, 47, 50, 77, 82, 86)가 삽입될 때 스프링 영역은 너트 부품(4, 36, 52, 88)과 플랜지 부품(2, 31, 51, 83, 87)을 구성품(25, 69, 92)에 접합되게 하여 구성품(25, 69, 92)의 두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플랜지 부품(2, 31, 51, 83, 87)은 너트 부품(4, 36, 52, 88)이 회전할 수 없게 상기 너트 부품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3)는 판으로서 형성되고, 스냅 동작 훅(5, 6)은 너트 부품(4)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5a 내지 도 5d).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각각 스냅 동작 훅(34, 35)이 구비되는 부분(32, 33)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a 내지 도 1d).
  5. 제4항에 있어서,
    스냅 동작 훅(5, 6)은 너트 부품(4)에 또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9).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 부품(2, 31, 51, 83, 87)은 슬리브형 방식으로 너트 부품(4, 36, 52, 88)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20, 21; 22, 23)가 플랜지 부품(2)과 너트 부품(4)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5).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너트 부품(4)과 플랜지 부품(2)은 탄성 지지 장치(13, 14, 48, 49, 89, 90)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스트립을 통하여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너트 부품(52)과 플랜지 부품(51)은 너트 부품(52)이 플랜지 부품(52)으로 삽입될 때 작동되는 래칭 수단(55, 56; 78, 79; 80, 81)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3).
  10. 제9항에 있어서,
    래칭 수단(55, 56, 57, 58, 59, 60)은 탄성 지지 장치(53, 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0a, 도 10b 및 도 13).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관통구로 조립되는 회전 방지 수단(65, 66; 73, 74)이 너트 부품을 향하는 플랜지의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0a, 도 10b 및 도 12).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밀봉 영역(85)이 플랜지(84)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4).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너트 부품(4)의 수용구는 플랜지(3)를 향하는 면에서 관통로 영역(11)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관통로 영역보다 폭이 좁으면서 상기 관통로 영역에 인접한 좁은 영역(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5a 내지 도 5d).
  14. 제13항에 있어서,
    좁은 영역(12, 42)의 직경은 셀프 태핑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게 크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좁은 영역(97)은 나사부(9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5).
  16. 제14항에 있어서,
    수용구의 좁은 영역(62)으로 변화하는 부분에 나선형 경사부(63)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단차(6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0a).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91)로부터 이격된 구성품(92)의 면의 후방에서 체결될 수 있는 래칭 노우즈(93, 94)가 구성품(92)을 향하는 플랜지(91)의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도 15).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 부품(2, 31, 51, 83, 87)은 반경 방향으로의 상호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유극을 유지하면서 너트 부품(4, 36, 52, 88)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냅 동작 훅(105/106)이 너트 부품(104)에 탄성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삽입시 상기 스냅 동작 훅(105/106)이 자유롭게 관통구(26)를 관통하게 되고 또한 체결되는 스크류(27)의 작용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냅 동작 훅(205, 206)이 너트 부품(204)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너트 부품(204)은 탄성 지지 장치(213, 214)를 통해 플랜지 부품(202)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 지지 장치는 플랜지 부품(202)에 대해 회전 방향 탄성 방식으로 너트 부품(204)을 스냅 동작 훅(205, 206)과 함께 플랜지 부품(202)의 방향으로 가압시켜 너트 부품(204)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너트.
KR10-1998-0703849A 1996-09-25 1997-08-27 패널형부품연결용플라스틱너트 KR100496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9396.5 1996-09-25
DE19639396A DE19639396A1 (de) 1996-09-25 1996-09-25 Kunststoffmutter zum Verbinden von plattenartigen Teilen
DE19728988.6 1997-07-07
DE1997128988 DE19728988A1 (de) 1997-07-07 1997-07-07 Kunststoffmutter zum Verbinden von plattenartigen 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574A KR19990071574A (ko) 1999-09-27
KR100496945B1 true KR100496945B1 (ko) 2005-09-30

Family

ID=260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849A KR100496945B1 (ko) 1996-09-25 1997-08-27 패널형부품연결용플라스틱너트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059502A (ko)
EP (2) EP0861380B1 (ko)
JP (1) JP3546060B2 (ko)
KR (1) KR100496945B1 (ko)
BR (1) BR9706763A (ko)
CA (1) CA2235960A1 (ko)
CZ (1) CZ293155B6 (ko)
DE (2) DE59701255D1 (ko)
DK (1) DK0861380T3 (ko)
ES (1) ES2144322T3 (ko)
HU (1) HUP9902583A3 (ko)
IN (1) IN192924B (ko)
MX (1) MX9804016A (ko)
PL (1) PL186619B1 (ko)
PT (1) PT861380E (ko)
TR (1) TR199800914T1 (ko)
WO (1) WO1998013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4180A1 (de) * 2000-03-23 2001-09-27 Eureha Gmbh Befestigungselement
DE10048975C1 (de) * 2000-09-27 2002-07-04 Paul Mueller Tech Produkte Gmb Mutter aus Kunststoff
DE20021221U1 (de) 2000-12-15 2001-03-22 Ejot Verbindungstech Gmbh & Co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an einer Platte zu befestigendes Bauteil
US6860689B1 (en) * 2001-05-02 2005-03-01 Pilgrim Screw Corporation Fastening assemblies and components thereof
DE10159380B4 (de) * 2001-12-04 2005-09-29 Ejot Gmbh & Co. Kg Verbindungsmutter zum Anschrauben von Konstruktionselementen an einem plattenartigen Bauteil
US7125067B2 (en) * 2002-04-09 2006-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gnesium door assembly for automobiles
US7462008B2 (en) * 2002-05-02 2008-12-09 Pilgrim Screw Corporation Structural fasteners and components thereof
DE10305610A1 (de) * 2003-02-11 2004-08-19 Ejot Gmbh & Co. Kg Kunststoffmutter zur Aufnahme an einem einen Durchbruch aufweisenden Bauteil
DE60319968T2 (de) * 2003-06-20 2009-04-16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Kraftstoffsystem
DE10359110B4 (de) 2003-12-17 2006-07-20 A. Raymond & Ci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Trägerteiles mit einem Anbauteil
US7841818B2 (en) * 2005-02-28 2010-11-30 Pilgrim Screw Corporation Structural fasteners and components thereof
GB0804196D0 (en) * 2008-03-06 2008-04-16 Newfrey Llc Fastener for automotive components
JP5350709B2 (ja) * 2008-08-08 2013-11-27 株式会社ニフコ 移動体のロック機構
US8403612B2 (en) * 2009-07-29 2013-03-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astener assembly
DE102011017154A1 (de) 2011-04-15 2012-10-18 A. Raymond Et Cie Einsteckmutter
US8807895B2 (en) * 2011-07-13 2014-08-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astener housing for securing a bumper fascia to a fender panel of an automotive vehicle
FR3020099B1 (fr) * 2014-04-16 2017-08-18 Illinois Tool Works Agrafe de fixation d'un panneau sur un support,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equipement automobile
DE102014224932A1 (de) * 2014-12-04 2016-06-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für eine Schraubenmutter sowie Baueinheit mit einer solchen Haltevorrichtung
JP6477663B2 (ja) * 2016-11-02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クリューグロメット取付構造
CN107512772A (zh) * 2017-09-26 2017-12-26 天津宝舟科技有限公司 污水处理厌氧反应罐固定装置
CN110465737B (zh) 2018-05-09 2023-11-21 杨百翰大学 用于摩擦钻头接合的系统和方法
CN112160968A (zh) * 2020-09-30 2021-01-01 晏洋 可调式的螺母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25306B1 (de) * 1967-10-24 1971-02-25 Daimler Benz Ag Steckmutter für eine schraubverbindung
US3701302A (en) * 1971-03-29 1972-10-31 Illinois Tool Works Grommet type fastener
ES401780A2 (es) * 1971-05-05 1975-04-01 Materiel Et D Equipements Tecn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los sistemas constitui- dos por las tuercas prisioneras y sus cajas.
JPS5514359A (en) * 1978-07-18 1980-01-31 Nifco Inc Panel fitting instrument
GB8521696D0 (en) * 1985-08-31 1985-10-02 Erlam D P Fasteners
FR2621361B1 (fr) * 1987-10-05 1990-01-12 Materiel Equip Tech Cie Perfectionnements aux systemes de fixation comportant des ecrous emprisonnes dans des cages
US5173025A (en) * 1991-12-26 1992-12-22 Nifco Inc. Screw grommet having a secured internal thread member
US5511919A (en) * 1992-11-03 1996-04-30 Scalise; Dane C. Locking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9902583A2 (hu) 1999-11-29
WO1998013607A1 (de) 1998-04-02
JP2000507676A (ja) 2000-06-20
EP0962666B1 (de) 2001-11-28
PT861380E (pt) 2000-07-31
ES2144322T3 (es) 2000-06-01
CA2235960A1 (en) 1998-04-02
MX9804016A (es) 1998-09-30
PL327033A1 (en) 1998-11-09
PL186619B1 (pl) 2004-02-27
KR19990071574A (ko) 1999-09-27
DK0861380T3 (da) 2000-06-05
JP3546060B2 (ja) 2004-07-21
IN192924B (ko) 2004-06-12
TR199800914T1 (xx) 2001-03-21
EP0861380A1 (de) 1998-09-02
CZ293155B6 (cs) 2004-02-18
US6059502A (en) 2000-05-09
DE59701255D1 (de) 2000-04-20
CZ147298A3 (cs) 2000-03-15
BR9706763A (pt) 1999-07-20
EP0962666A1 (de) 1999-12-08
DE59705592D1 (de) 2002-01-10
HUP9902583A3 (en) 2001-06-28
EP0861380B1 (de)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945B1 (ko) 패널형부품연결용플라스틱너트
EP0535993B1 (en) Discrete mirror drive assembly
JP3814316B2 (ja) 固定装置
JP2005511979A (ja) 構造部材をパネル状部材上にねじ止めするための締結ナット
JP2005515381A (ja) サポートスリーブ
US9403488B1 (en) Instrument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n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095753A (en) Structure for mounting blades of a ceiling fan
CN111594526B (zh) 插入车身部件开口中的紧固元件以及组装这种紧固元件的方法
FR2758596B1 (fr) Dispositif de montage reversible, procede d'assemblage et systeme ainsi assemble
KR100528852B1 (ko)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JP7066461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3344819B2 (ja) 戸枠の隙間調整具および隙間調整方法
CN114109999A (zh) 螺母紧固件组件
US6370031B2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for monitors
JP6096429B2 (ja)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およびフローティングボルト
JP7440553B2 (ja) 固定構造
JP2021109509A (ja) 車両用外装部品の取付構造
US20200059131A1 (en) Housing including Snap-Fit Connection between Housing Components
US20230322164A1 (en) Multifunctional Plastic Snaping Mounting System
JP3098955B2 (ja) 計器用見返しの固定構造
JP2954855B2 (ja) ド ア
KR100562578B1 (ko) 자동차용 그로멧 조립구조
JP3516824B2 (ja) アンテナ装置
JPH0541589Y2 (ko)
JP2000074017A (ja) 薄型部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