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514B1 - 경품 뽑기용 게임기 - Google Patents

경품 뽑기용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514B1
KR100496514B1 KR1020040074838A KR20040074838A KR100496514B1 KR 100496514 B1 KR100496514 B1 KR 100496514B1 KR 1020040074838 A KR1020040074838 A KR 1020040074838A KR 20040074838 A KR20040074838 A KR 20040074838A KR 100496514 B1 KR100496514 B1 KR 10049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upled
game machine
lev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백기신
한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봇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봇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봇월드
Priority to KR102004007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을 넣고 인형과 같은 경품을 뽑는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전을 넣고 레버를 조정하면 게임기 내부에 설치된 로봇이 보다 입체적이고 동적(動的)으로 작동되면서 경품을 집어 올려 투입구를 통해 배출시켜 경품을 뽑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케이스(10) 상부에 형성된 수납함(11)에는 투명 덮개(12)가 장착되어 수납함(11)의 내부 경품(2)들을 볼 수 있고, 케이스(10)의 전방 양측에는 레버(20)와 버튼(21)이 각각 장착되어 코인 투입공(13)을 통해 동전을 투입한 후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경품(2)이 수납함(11)의 바닥에 뚫려진 투입구(14)를 통해 배출되어 케이스(10) 전면 하부에 형성된 인출함(15)을 통해 경품(2)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경품 게임기(1)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11)의 내부에는 집게손(52)을 갖는 로봇(40)이 설치되고, 로봇(40)은 레버(20)와 버튼(21)의 신호로 제어되는 컨트롤부(22)와 유선(33)으로 연결되어 로봇(40)에 전원이 공급되며,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컨트롤부(22)의 제어신호가 로봇(40)에 인가되어 로봇(40)이 작동되면서 집게손(52)으로 경품(2)을 집어서 투입구(14)를 통해 배출시키고, 수납함(11)의 하부에 장착된 정,역회전 모터(30)의 풀리(31)에 감겨진 견인용 줄(32)이 아이들롤러(32a)와 가이드관(34)을 통해 로봇(40)의 상부에 고정되어 로봇(40)이 넘어졌을 때 견인용 줄(32)로 잡아당겨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 뽑기용 게임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경품 뽑기용 게임기{a premium game machine}
본 발명은 동전을 넣고 인형과 같은 경품을 뽑는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전을 넣고 레버를 조정하면 게임기 내부에 설치된 로봇이 보다 입체적이고 동적(動的)으로 작동되면서 경품을 집어 올려 투입구를 통해 배출시켜 경품을 뽑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는 인형과 같은 경품을 뽑는 게임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고, 주로 토이 크레인(toy crane)이라 불리는 게임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인형 뽑기 기계들만 다양하게 갖춰놓은 인형 뽑기 전문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토이 크레인 게임기는 유리로 덮여진 케이스의 내부에 인형과 같은 각종 경품들이 보관된 상태에서 동전을 투입하면 음악이 울림과 동시에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주로 케이스의 전방 양측에 장착된 레버를 조작하면 X,Y축에 장착된 3발 집게가 전,후진 및 양측으로 이동되어 원하는 인형의 상부에 위치되었을 때 버튼을 눌러주면 집게가 하강되어 인형을 집은 후 다시 상승되어 투입구를 통해 배출시켜 인형을 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경품 게임기는 레버를 조작하여 단순하게 집게를 전,후진 및 양측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결국 집게가 수평이동에 의하여 원하는 경품의 상부에 도달되도록 하는 매우 단순한 작동을 이루는 것이므로 보다 입체적이고 동적(動的)인 작동을 구현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보다 다양함과 특이함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다양한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전을 넣고 레버를 조정하면 게임기 내부에 설치된 로봇이 보다 입체적이고 동적(動的)으로 작동되면서 경품을 집어 올려 투입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다 다양함과 특이함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다양한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경품 뽑기용 게임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10) 상부에 형성된 수납함(11)에는 투명 덮개(12)가 장착되어 수납함(11)의 내부 경품(2)들을 볼 수 있고, 케이스(10)의 전방 양측에는 레버(20)와 버튼(21)이 각각 장착되어 코인 투입공(13)을 통해 동전을 투입한 후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경품(2)이 수납함(11)의 바닥에 뚫려진 투입구(14)를 통해 배출되어 케이스(10) 전면 하부에 형성된 인출함(15)을 통해 경품(2)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경품 게임기(1)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11)의 내부에는 집게손(52)을 갖는 로봇(40)이 설치되고, 로봇(40)은 레버(20)와 버튼(21)의 신호로 제어되는 컨트롤부(22)와 유선(33)으로 연결되어 로봇(40)에 전원이 공급되며,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컨트롤부(22)의 제어신호가 로봇(40)에 인가되어 로봇(40)이 작동되면서 집게손(52)으로 경품(2)을 집어서 투입구(14)를 통해 배출시키고, 수납함(11)의 하부에 장착된 정,역회전 모터(30)의 풀리(31)에 감겨진 견인용 줄(32)이 아이들롤러(32a)와 가이드관(34)을 통해 로봇(40)의 상부에 고정되어 로봇(40)이 넘어졌을 때 견인용 줄(32)로 잡아당겨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 뽑기용 게임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0) 상부에는 수납함(11)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함(11)의 상부에는 투명 덮개(12)가 장착되어 수납함(11)의 내부에 놓여진 경품(2)들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양측에는 레버(20)와 버튼(21)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레버(20)의 하부에는 코인 투입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0) 전면 하부 우측에는 경품 인출함(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인 투입공(13)을 통해 동전을 투입한 후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경품(2)이 수납함(11)의 바닥에 뚫려진 투입구(14)를 통해 배출되어 케이스(10) 전면 하부에 형성된 인출함(15)을 통해 경품(2)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품 게임기(1)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수납함의 내부에 집게손(52)을 갖는 로봇(40)이 설치되어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로봇(40)이 작동되면서 집게손(52)으로 경품(2)을 집어서 투입구(14)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납함(11)의 내부에는 로봇(40)이 설치되어 있고, 로봇(40)의 양측 하부 팔(49)에는 3발형의 집게손(52)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로봇(40)은 레버(20)와 버튼(21)의 신호로 제어되는 컨트롤부(22)와 유선(33)으로 연결되어 로봇(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컨트롤부(22)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로봇(40)에 인가되어 로봇(40)이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봇(40)이 작동되면서 집게손(52)으로 경품(2)을 집어서 투입구(14)를 통해 배출시키면 투입구(14)의 하부에 형성된 인출함(15)을 통해 경품(2)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함(11)의 하부에는 정,역회전 모터(30)가 장착되어 있고, 정,역회전 모터(30)의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31)에는 견인용 줄이 감겨져 있으며, 견인용 줄(32)은 아이들롤러(32a)를 통해 수납함(11)의 바닥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관(34) 내부로 삽입되어 그 끝단이 로봇(4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봇(40)을 이동시켜 작동하는 과정에서 로봇(40)이 경품(2)들에 걸려져 넘어졌을 때 모터(30)를 회전시키면 견인용 줄(32)이 풀리(31)에 감겨짐에 따라 당겨지면서 로봇(40)을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봇(40)의 몸통은 머리(41)가 결합된 상부몸통(42)과 양측 다리(55)가 결합되는 하부몸통(43)으로 나뉘어져 상,하부몸통(42)(43)들이 축(45)으로 이음된 상태에서 양측 스프링(44)들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지지되고, 축(45)에 장착된 기어(45a)가 모터(46)의 구동기어(46a)와 결합되어 모터(46)를 정,역회전시키면 상부몸통(42)이 하부몸통(43)에서 양측으로 기울어지며, 상부몸통(42)의 양측에 결합된 상부 팔(47)들은 상부몸통(42)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48)의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판(48a)에 각각 결합되어 회동되고, 하부 팔(49)들의 내부에 각각 장착된 모터(50)의 감속기(51)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양측에는 회전판(51a)과 캠(51b)이 각각 장착되고, 회전판(51a)은 상부 팔(47)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 팔(49)이 상부 팔(47)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하부 팔(48)에 핀(52b)으로 이음된 집게(52a)들 사이에 결합된 작동판(54)이 스프링(53)으로 당겨져 집게(52a)들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집게손(52)이 결합되고, 작동판(54)에 결합된 작동편(54a)이 감속기(51)의 회전축에 결합된 캠(51b)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작동판(54)을 밀어 집게(52a)들이 벌어지며, 하부몸통(4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다리(55)들의 하부에는 발(56)들이 각각 결합되고, 발(56)의 내부에 핀(57)으로 이음된 제1,2링크(56a)(56b)들이 스프링(58)에 의하여 양측으로 당겨지며, 제2링크(56b)의 상부는 하부몸통(43) 양측에 장착된 모터(59)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제1링크(56a)의 상부는 모터(59)의 회전축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래킷(60)의 가이드봉(60a)에 결합되어 모터(59)를 정,역회전시키면 제1,2링크(56a)(56b)들이 탄력적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양쪽 발(56)들이 들려지고 내려짐에 따라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상기 로봇(40)의 보행은 하부몸통(43)의 모터(46)가 회전되면 축(45)을 중심으로 상부몸통(42)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로봇(40)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기울어진 상부몸통(42)의 반대쪽 다리(55)와 발(56)이 들려지고, 이와 동시에 다리(55)의 모터(59)가 작동하여 도 10b의 도시와 같이 제1링크(56a)가 하강하면서 발(56)의 앞부분이 바닥을 밀어주면서 다리(55)와 발(56)이 들려진다. 이때 로봇(40)의 방향이 들린 다리(55)와 발(56)이 약간 앞쪽으로 위치되게 틀어지는 것이다.상기 동작이 완료되면 모터(59)가 역회전되어 도 10a의 도시와 같이 제1링크(56a)가 상승되어 발(56)의 뒷부분이 들려짐과 동시에 몸통의 모터(46)가 역회전되어 상부몸통(42)을 세우면 들려져 있던 발(56)이 뒷부분부터 바닥에 놓이게 되어 일보 전진하는 것이다. 발(56)이 바닥에 놓인 후에도 모터(46)의 회전은 계속되어 상부몸체(42)가 상기와 반대쪽으로 기울어지고 반대쪽 발(56)이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여 일보전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면 로봇(40)이 양측으로 기우뚱 거리면서 연속적인 보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로봇(40)은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컨트롤부(22)에서 로봇(40)의 관절 부위에 각각 장착된 모터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로봇(40)의 상,하부 팔(47)(49)들이 회전작동, 상부몸통(42)이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 작동, 집게손(52)의 집게(52a)들이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작동 및 상부몸통(42)의 양측 기울어짐과 양쪽 발(56)들의 들림과 발(56)의 앞부분과 뒷부분이 상하로 굽혀지고 펴지는 작동과 경사를 이루는 작동이 반복되어 로봇(40)이 양측으로 기우뚱 거리면서 연속적인 보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원하는 경품(2) 쪽으로 로봇(40)을 이동시켜 상부몸통(42)을 일측으로 기울이면서 집게(52a)를 벌리고 오므리면서 경품(2)을 집어서 투입구(14)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로봇(40)의 관절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표현한 로봇(40)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경품(2)들에는 가는 봉을 절곡하여 결합시킨 테두리(2a)가 씌워져 집게손(52)으로 간편하게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컨트롤부(22)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수납함(11)의 내부 로봇(40)에 인가되어 로봇(40)이 작동되는 것이므로 원하는 경품(2) 쪽으로 로봇(40)을 이동시켜 상부몸통(42)을 일측으로 기울이면서 집게(52a)를 벌리고 오므려 경품(2)을 집은 후 투입구(14)로 이동시켜 다시 집게(52a)를 벌리면 경품(2)이 투입구(14)를 통해 낙하되어 인출함(15)에 투입되어 소비자가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레버(20)와 버튼(21)에 의하여 작동되는 로봇(40)이 보다 동적(動的)이면서도 다양한 자세를 이루어 입체적으로 움직이면서 경품(2)을 집어서 투입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다양함과 특이함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수평이동 되어 매우 단순한 작동을 이루는 종래의 게임기들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경품 게임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품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을 예시한 일부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의 상,하부 몸통들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의 상부몸통에 상부 팔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일부 확대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집게손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다리와 발의 내부를 투시한 사시도,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다리와 발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경품 게임기 2 : 경품
2a : 테두리 10 : 케이스
11 : 수납함 12 : 덮개
13 : 코인 투입공 14 : 투입구
15 : 인출함 20 : 레버
21 : 버튼 22 : 컨트롤부
30, 46, 48, 50, 59 : 모터 31 : 풀리
32 : 견인용 줄 32a : 아이들롤러
33 : 유선 34 : 가이드관
40 : 로봇 41 : 머리
42 : 상부몸통 43 : 하부몸통
44, 53, 58 : 스프링 45 : 축
45a : 기어 46a : 구동기어
47 : 상부 팔 48a, 51a : 회전판
49 : 하부 팔 51 : 감속기
51b : 캠 52 : 집게손
52a : 집게 52b, 57 : 핀
54 : 작동판 54a : 작동편
55 : 다리 56 : 발
56a : 제1링크 56b : 제2링크
60 : 브래킷 60a : 가이드봉

Claims (3)

  1. 케이스(10) 상부에 형성된 수납함(11)에는 투명 덮개(12)가 장착되어 수납함(11)의 내부 경품(2)들을 볼 수 있고, 케이스(10)의 전방 양측에는 레버(20)와 버튼(21)이 각각 장착되어 코인 투입공(13)을 통해 동전을 투입한 후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경품(2)이 수납함(11)의 바닥에 뚫려진 투입구(14)를 통해 배출되어 케이스(10) 전면 하부에 형성된 인출함(15)을 통해 경품(2)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경품 게임기(1)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11)의 내부에는 집게손(52)을 갖는 로봇(40)이 설치되고, 로봇(40)은 레버(20)와 버튼(21)의 신호로 제어되는 컨트롤부(22)와 유선(33)으로 연결되어 로봇(40)에 전원이 공급되며, 레버(20)와 버튼(21)을 조작하면 컨트롤부(22)의 제어신호가 로봇(40)에 인가되어 로봇(40)이 작동되면서 집게손(52)으로 경품(2)을 집어서 투입구(14)를 통해 배출시키고, 수납함(11)의 하부에 장착된 정,역회전 모터(30)의 풀리(31)에 감겨진 견인용 줄(32)이 아이들롤러(32a)와 가이드관(34)을 통해 로봇(40)의 상부에 고정되어 로봇(40)이 넘어졌을 때 견인용 줄(32)로 잡아당겨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 뽑기용 게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40)의 몸통은 머리(41)가 결합된 상부몸통(42)과 양측 다리(55)가 결합되는 하부몸통(43)으로 나뉘어져 상,하부몸통(42)(43)들이 축(45)으로 이음된 상태에서 양측 스프링(44)들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지지되고, 축(45)에 장착된 기어(45a)가 모터(46)의 구동기어(46a)와 결합되어 모터(46)를 정,역회전시키면 상부몸통(42)이 하부몸통(43)에서 양측으로 기울어지며, 상부몸통(42)의 양측에 결합된 상부 팔(47)들은 상부몸통(42)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48)의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판(48a)에 각각 결합되어 회동되고, 하부 팔(49)들의 내부에 각각 장착된 모터(50)의 감속기(51)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양측에는 회전판(51a)과 캠(51b)이 각각 장착되고, 회전판(51a)은 상부 팔(47)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 팔(49)이 상부 팔(47)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하부 팔(48)에 핀(52b)으로 이음된 집게(52a)들 사이에 결합된 작동판(54)이 스프링(53)으로 당겨져 집게(52a)들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집게손(52)이 결합되고, 작동판(54)에 결합된 작동편(54a)이 감속기(51)의 회전축에 결합된 캠(51b)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작동판(54)을 밀어 집게(52a)들이 벌어지며, 하부몸통(4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다리(55)들의 하부에는 발(56)들이 각각 결합되고, 발(56)의 내부에 핀(57)으로 이음된 제1,2링크(56a)(56b)들이 스프링(58)에 의하여 양측으로 당겨지며, 제2링크(56b)의 상부는 하부몸통(43) 양측에 장착된 모터(59)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제1링크(56a)의 상부는 모터(59)의 회전축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래킷(60)의 가이드봉(60a)에 결합되어 모터(59)를 정,역회전시키면 제1,2링크(56a)(56b)들이 탄력적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양쪽 발(56)들이 들려지고 내려지며, 하부몸통(43)의 모터(46)가 회전되어 상부몸통(42)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로봇(40)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기울어진 상부몸통(42)의 반대쪽 다리(55)와 발(56)이 들려진 상태에서 제1,2링크(56a)(56b)들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발(56)들이 들려지고 내려짐에 따라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 뽑기용 게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2)들에는 가는 봉을 절곡하여 결합시킨 테두리(2a)가 씌워져 집게손(52)으로 간편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 뽑기용 게임기.
KR1020040074838A 2004-09-18 2004-09-18 경품 뽑기용 게임기 KR10049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38A KR100496514B1 (ko) 2004-09-18 2004-09-18 경품 뽑기용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38A KR100496514B1 (ko) 2004-09-18 2004-09-18 경품 뽑기용 게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514B1 true KR100496514B1 (ko) 2005-06-22

Family

ID=3730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838A KR100496514B1 (ko) 2004-09-18 2004-09-18 경품 뽑기용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5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30A (ko) 2017-02-17 2018-08-27 김문기 크레인을 이용한 발란스 방식 뽑기 게임기
KR20190008677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엠비젼 대기 모드가 적용된 단말을 기초로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9854A (ko) 2017-07-17 2019-01-30 주식회사 엠비젼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7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공유 및 기기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8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빅데이터 기반 광고 객체 선호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2580U (ko) 2019-09-04 2019-10-15 양재혁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30A (ko) 2017-02-17 2018-08-27 김문기 크레인을 이용한 발란스 방식 뽑기 게임기
KR20190008677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엠비젼 대기 모드가 적용된 단말을 기초로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9854A (ko) 2017-07-17 2019-01-30 주식회사 엠비젼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7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공유 및 기기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8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빅데이터 기반 광고 객체 선호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2580U (ko) 2019-09-04 2019-10-15 양재혁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7124B2 (ja) 家庭用クレーンゲーム機
KR100496514B1 (ko) 경품 뽑기용 게임기
JP6883598B2 (ja) 遊技機
JP2004222927A (ja) 遊技機
JP5972152B2 (ja) 遊技機
JP5426449B2 (ja) パチンコ機
CN108339266B (zh) 一种新型物品抓取机
CN101199900B (zh) 家庭用抓物游戏机
JP2011245152A (ja) 役物動作ユニットおよび遊技機
JP2009119053A (ja) 遊技機
JPH06285222A (ja) パチンコ機の役物用始動チャッカー
KR101104310B1 (ko) 공룡형 경품 게임 장치
CN201192578Y (zh) 一种无臂手电动玩具
KR101976825B1 (ko)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
US20230249058A1 (en) Prize acquisition arcade game with robot
KR200370105Y1 (ko) 자동차 로봇을 이용한 상품인출 오락기
KR100324888B1 (ko)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JP7305149B2 (ja) 家庭用クレーンゲーム機
JP4062584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JP2659177B2 (ja) ボクシングゲーム機
KR20110080273A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2003062323A (ja) クレーンゲーム機
CN207342180U (zh) 一种抓物游戏机
EP1946805B1 (en) Home-use crane game machine
CN105879397B (zh) 一种骑鹿的电动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