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888B1 -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888B1
KR100324888B1 KR1019990022336A KR19990022336A KR100324888B1 KR 100324888 B1 KR100324888 B1 KR 100324888B1 KR 1019990022336 A KR1019990022336 A KR 1019990022336A KR 19990022336 A KR19990022336 A KR 19990022336A KR 100324888 B1 KR100324888 B1 KR 10032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mber
product
slider
pipe
entertai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507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1999002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8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어진 기회에 상품을 취득할 확률을 증대시켜 사용자가 오락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은 상태에서 금전적으로 많은 낭비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상품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락용 상품인출장치{APPARATUS FOR DRAWING GOODS MACHINE OF ENTERTAINMENT}
본 발명은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어진 기회에 상품을 취득할 확률을 증대시켜 사용자가 오락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은 상태에서 금전적으로 많은 낭비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상품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락게임기라함은 각종의 스포츠나 격투기등을 프로그램화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이를 조작버튼으로 작동시켜 점수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오락게임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최근들어, 오락게임기를 전술한 부분에만 한정하여 개발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한 오락게임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 오락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품, 예를 들어 인형 또는 악세사리등을 인출할수 있도록 개발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가 있다.
전술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는, 동전(coin)을 투입한 후에 조작버튼 및 조작레버로 위치설정 수단을 구동시켜 픽업수단의 위치가 픽업할 상품과 수직으로 일직선이 되게 하고, 승하강 수단을 구동시켜 상품 가까이 근접되도록 픽업수단을 하강시키며, 픽업수단으로 상품을 한 후에 최종적으로 핑거 위치 설정수단, 승하강 수단 및 픽업수단을 적당하게 구동시켜 픽업된 상품을 상품 인출구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좀더 상세하게 종래 기술에 의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에 따르면, 상기 픽업수단은, 수개의 집게를 힌지를 매개로 하여 방사상으로 벌린후에 상품을 픽업한 후에 다시 집게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풀리와, 이 풀리에 권취되는 로우프로 구성하여 풀리에 로우프가 풀리거나 감김에 함에 따라 픽업수단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픽업수단을 이용하여 상품을 픽업할때, 집게를 방사상으로 벌려 상품이 집게의 내부로 들어오게 한후에 다시 집게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서, 상품을 픽업하는데, 이때, 집게가 원위치로 복귀되더라도 상품이 픽업되는 확률이 낮아 사용자는 다시 게임을 시도하기 위해 동전을 재투입한다.
또한, 위치설정 수단에 의해 픽업수단이 종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될때 로우프의 흔들림에 의해 픽업수단에 의해 픽업된 상품이 픽업 해제되어 낙하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품이 픽업수단으로부터 낙하되지 않더라도 상품 인출구까지 이동할때 상기 로우프의 흔들림에 의해 정확하게 상품 인출구에 상품을 투입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사용자가 상품을 취득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으로, 상품의 취득하지 못할때마다 동전을 재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게임에 대한 흥미를 잃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상품을 취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진공흡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오락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은 상태에서 적절한 난이도를 갖는 오락용 상품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 및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라 상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락기 본체 10 : 제2 슬라이더
20 : 제1 파이프 부재 21,22,23,24 : 제2,제3,제4,제5 파이프 부재
26 : 지지부재 27, 42 : 구동모터
28 : 개폐밸브체 30 : 진공흡입부
40 : 제3 슬라이더 41,41a : 구동,종동 풀리
42a ; 모터축 43 : 벨트부재
44,44a : 리미트 스위치 50 : 상품 안착판
52 : 힌지부 53 : 접촉부
60 : 상품 투입부 71 : 상품 인출구
80 : 제어수단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 및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라 상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품인출장치를 구비한 오락기 본체(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수직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본체(1)의 중간부분에는 외부에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재질의 유리창(2)이 설치되며, 그 바닥면에는 인형 또는 완구등 각종 상품(미도시)이 놓여져 있다.
본체(1) 상부측의 마주보는 내벽면에는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한쌍의 제1 가이드 부재(3,3a)가 고정 설치되고, 이 제1 가이드 부재(3,3a)상에는 각각 제1 슬라이더(4,4a)가 본체(1)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5)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5)의 모터축(5a)에 구동풀리(6)를 설치하고,이 구동풀리(6)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종동풀리(7)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구동풀리(6)의 회전력이 종동풀리(7)로 전달되도록 구동풀리(6)와 종동풀리(7)에 벨트부재(8)를 설치하며, 벨트부재(8)에 상기 제1 슬라이더(4)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체(1)의 상부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3)와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도로 교차되는 방향, Y축 방향으로 제2 가이드 부재(9)가 고정 설치되며, 이 제2 가이드 부재(9)상에는 제2 슬라이더(10)가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대한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가이드 부재(9)의 양단은 제1 슬라이더(4,4a)에 고정 설치되고, 제1 슬라이더(4,4a)에 각각 구동풀리와 종동풀리(12)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제1 슬라이더(4a)에 구동모터(11)를 고정 설치하며, 구동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종동풀리(12)로 전달되도록 구동풀리와 종동풀리(12)에 벨트부재(13)를 설치하며, 벨트부재(13)에는 상기 제2 슬라이더(1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부재(9) 및 구동모터(11) 전체는 상기 제1 슬라이더(3)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한편, 구동모터(11)의 구동에 따라 제2 슬라이더(10)는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제2 슬라이더(10)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일례로 원형 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제1 파이프 부재(20)가 고정 설치된다. 이 제1 파이프부재(2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슬라이드공(20b)을 갖는 제1 단턱부(20a)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1 파이프 부재(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단턱부(20a)의 슬라이드공(20b)를 통해 원형 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제2 파이프 부재(21)가 긴밀하게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 제2 파이프 부재(2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단턱부(20a)에 걸려 제1 파이프 부재(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걸림턱부(21a)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파이프 부재(2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슬라이드공(21c)을 갖는 제2 단턱부(21b)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파이프 부재(21)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단턱부(21b)의 슬라이드공(21c)을 통해 원형 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제3 파이프 부재(22)가 긴밀하게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 제3 파이프 부재(22)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단턱부(21b)에 걸려 제2 파이프 부재(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걸림턱부(22a)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 파이프 부재(22)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슬라이드공(22c)을 갖는 제3 단턱부(22b)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파이브 부재(22)의 내부에는 상기 제3 단턱부(22b)의 슬라이드공(22c)을 통해 원형 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제4 파이프 부재(23)가 긴밀하게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 제4 파이프 부재(23)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3 단턱부(22b)에 결려제3 파이프 부재(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3 걸림턱부(23a)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파이프 부재(23)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슬라이드공(23c)을 갖는 제4 단턱부(23b)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4 파이프 부재(23)의 내부에는 상기 제4 단턱부(23b)의 슬라이드공(23c)을 통해 원형 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제5 파이프 부재(24)가 긴밀하게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 제5 파이프 부재(24)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4 단턱부(23b)에 걸려 제4 파이프 부재(2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4 걸림턱부(24a)가 환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는 개구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파이프 부재(20)에 제2, 제3, 제4, 제5 파이프 부재(21,22,23,24)가 다단으로 연결됨으로써, 제2 슬라이더(9)에 고정 설치된 제1 파이프 부재(20)에 대해 길이가 다단으로 길어지거나 줄어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제3, 제4, 제5 파이프 부재(21,22,23,24)를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 구성하여 제1 파이프 부재(20)로부터 다단으로 길어지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1 파이프 부재(20)에 제2 파이프 부재(21)를 하나만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파이프 부재(20)에 대해 다단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파이프 부재의 총길이는 제1 파이프 부재(20)의 길이를 포함하여 본체(1)의 저부면 까지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하여야 한다.
그리고, 제1 파이프 부재(20)에 제2 파이프 부재(21) 하나만을 연결한 경우에는 제1, 제2 파이프 부재(20,21)의 길이 총합이 본체(1)의 저부면에 놓여진 인형까지 도달할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제5 파이프 부재(24)에는 지지부재(26) 또는 브라켓 부재를 매개로 하여 구동모터(27)가 고정 설치되고, 제5 파이프 부재(24)의 내부에는 구동모터(27)의 모터축(27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체(2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외부 또는 하부측 내부에는 진공흡입부(30)가 배치되는 바, 일례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가 배치된다.
진공흡입부(30)는 외부의 공기를 강력하게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20)와 소정 길이의 관부재(31)로 연결된다.
여기서, 관부재(31)는, 본체(1)의 후측 및 상측을 지나 제1 파이프 부재(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2 슬라이더(10)의 X축, Y축 방향으로의 이동시 지장을 받지 않도록 가요성재질 또는 통상으로 사용되는 자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공흡입부(30)를 이용함으로써, 공기는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를 통해 강력하게 흡입되어 제4 파이프 부재(23), 제3 파이프 부재(22), 제2 파이프 부재(21), 제1 파이프 부재(20), 관부재(31)를 순서적으로 통해 진공흡입부(30)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등의 조건에 따라 제1,제2,제3,제4 파이프 부재(20,21,22,23)의 상하 높이는 달라지게 된다.
즉,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를 폐쇄하게되면, 진공흡입부(30)에서 발생된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제4 파이프 부재(23)는 제3 파이프 부재(22)의 내부로 수납되고, 제3 파이프 부재(22)는 제2 파이프 부재(21)의 내부로 수납되며, 제2 파이프 부재(21)는 제1 파이프 부재(20)의 내부로 수납되어, 결국에는 제5 파이프 부재(24)의 높이는 제1 파이프 부재(20)의 하단부 높이만큼 상승된다.
한편,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를 개방하게되면, 진공흡입부(30)가 작동하더라도 제2 내지 제5 파이프 부재(21,22,23,24)의 자중으로 인해 제5 파이프 부재(24)는 하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5 파이프 부재(24)을 개폐하는 수단은 전술한 구동모터(27)와 개폐밸브체(28)로서, 이 구동모터(27)에 외부로부터 온(ON)신호가 입력되면 개폐밸브체(28)는 회동되어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를 폐쇄하고, 오프(OFF) 신호가 입력되면, 개폐밸브체(28)는 회동되어 상기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본체(1)의 저부면상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슬라이더(40)가 소정 거리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 슬라이더(40)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구성은 본체(1)의 저부면상에 소정 거리 이격된 한쌍의 구동,종동 풀리(41,4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구동 풀리(41)에 구동모터(42)의 모터축(42a)을 연결 설치하며, 구동 및 종동 풀리(41,42)에 벨트부재(43)를 설치하여 구동 풀리(41)의 회전력이 종동 풀리(42)로 전달되도록 하며, 제3 슬라이더(40)를 벨트부재(43)에 고정 설치하며, 벨트부재(43)의 양측에 제3 슬라이더(40)에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44,44a)를 설치하여 구동모터(42)의 정역회전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3 슬라이더(40)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 소정 크기의 상품 안착판(50)이 힌지(51)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상품 안착판(50)의 하부에는 소정 형상의 힌지부(5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힌지부(52)는 외측에 소정 곡률로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52)와 제3 슬라이더(40)는 힌지(51)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품 안착판(50)이 항상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52a)이 구비된다.
이 토션 스프링(52a)은 힌지부(52)가 힌지(51)를 중심으로 하여 제3 슬라이더(40)에 회동되지 못하게 하여 상품 안착판(50)이 항상 평행을 유지되도록 하며, 상품 안착판(50)의 상면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물체가 낙하되면서 안착되어도 평행을 유지할 수 있는 탄성 지지력을 갖고 있다.
제3 슬라이더(40)의 이동 범위내에 해당되는 본체(1)의 저부면상에는 상품 안착판(50)이 소정 기울어지게 하여 상품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힌지부(52)에 접촉되는 접촉부(53)가 설치되고, 본체(1)의 저부면상에는 상품 안착판(50)에서 낙하되는 상품이 투입되도록 상품 투입부(60)가 설치되며, 상품 투입부(60)에 투입된 상품이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상품 인출 통로(70)를 따라 본체(1)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본체(1)의 외측에 상품 인출구(7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53)는 제3 슬라이더(40)의 이동시 힌지부(52)가 접촉될때, 제3 슬라이더(40)의 이동을 제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된다.
즉, 힌지부(52)가 접촉부(53)에 접촉될때, 제3 슬라이더(40)는 순간적으로 이동이 정지되는 반면에 상품 안착판(50)이 힌지(51)를 중심으로 토션 스프링(52a)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기울어지게 되어 상품을 임의의 위치로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상품 투입부(60)는 본체(1)의 저부면상에 상품이 투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상품 투입구(61)와, 이 상품 투입구(61)를 개폐하는 커버(62)와, 상품 투입구(61)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63)와, 이 구동모터(63)의 모터축(63a)에 직각이 되게 고정 설치되는 편심판(64)과, 이 편심판(64)의 단부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개폐봉(65)과, 커버(62)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개폐봉(6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개폐 파이프 부재(65)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품 투입부(60)의 작동은, 먼저 구동모터(63)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모터(63)가 구동되어 모터축(63a)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축(63a)이 회전됨에 따라 편심판(64) 및 개폐봉(64)이 모터축(63a)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이때, 개폐봉(64)이 개폐 파이프 부재(65)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 투입구(6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봉(64)가 개폐 파이프 부재(65)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커버(62)는 회동되어 상품 투입구(61)는 폐쇄된다.
그리고. 상품 투입구(6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구동모터(63)가 역방향으로회전되도록 하면, 개폐봉(64)이 개폐 파이프 부재(65)로부터 슬라이드 인출되어 결국에는 커버(62)가 회동되어 상품 투입구(61)는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1)의 하부 외측에는 제어박스(80)가 설치되는데, 이 제어박스(80)에는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서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81)와, 상기 개폐밸브체(28)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27)에 온/오프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개폐밸브 작동 스위치(82)와, 제1 슬라이더(4)와 제2 슬라이더(1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5,1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레버 스위치(83)가 구비된다.
또한, 제어박스(80)에는 동전 투입의 여부에 대한 판별, 진공흡입부(30)의 작동 여부, 개폐밸브 작동 스위치(82)와, 조작레버 스위치(83)의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락기의 메인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전 투입구(81)로 동전을 투입하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진공흡입부(3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진공흡입부(30)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이에 따라,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기 시작한다.
이때의, 제5 파이프 부재(24)는 제4 파이프 부재(23)로부터 자중에 의해 인출된 상태이고, 제4 파이프 부재(23)는 제3 파이프 부재(22)로부터 자중에 의해 인출된 상태이며, 제3 파이프 부재(22)는 자중에 의해 제2 파이프 부재(21)로부터 인출된 상태이며, 제2 파이프 부재(21)는 자중에 의해 제1 파이프 부재(2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써, 제5 파이프 부재(24)와 상품과 수직 거리가 가장 가깝게 된다.
그리고, 본체(1)에 저부에 구비된 제3 슬라이더(40)는 소정의 속도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품 투입부(60)의 커버(6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어 상품 투입구(61)를 개방하게된다.
여기서, 상품 투입구(61)가 개방되는 과정은 전술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소망하는 상품을 픽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먼저, 제5 파이프 부재(24)를 상승시키는 과정를 거친후, 제5 파이프 부재(24)를 소망하는 상품과 수직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치게된다.
상기의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5 파이프 부재(24)를 상승시키는 과정은, 개폐밸브체 작동 스위치(82)를 온시키면, 이 온 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27)를 구동시킨다.
이 구동모터(27)가 구동됨에 따라 개폐밸브체(28)는 회동되어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밸브체(28)에 의해 통로가 폐쇄됨에 따라 진공흡입부(30)의 흡입력에 의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파이프 부재(24)는 제4 파이프 부재(23)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고, 제4 파이프 부재(23)는 제3 파이프 부재(22)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제3 파이프 부재(22)는 제2 파이프 부재(21)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제2 파이프 부재(21)는 제1 파이프 부재(20)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된다.
따라서, 제5 파이프 부재(24)는 제1 파이프 부재(20)까지의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 스위치(83)를 상하좌우로 조작하면, 제5 파이프 부재(24)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그 위치가 이동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5 파이프 부재(24)를 소망하는 상품과 수직으로 대응시킨 후, 개폐밸브체 작동 스위치(82)를 오프시키면, 이 오프 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27)를 구동시킨다.
이 구동모터(27)가 구동됨에 따라 개폐밸브체(28)는 회동되어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로가 개방됨에 따라 개폐밸브체(28)를 흡입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어 도 2c에서처럼, 제5 파이프 부재(24)는 자중에 의해 제4 파이프 부재(23)로부터 인출되고, 제4 파이프 부재(23)는 자중에 의해 제3 파이프 부재(22)로부터 인출되며, 제3 파이프 부재(22)는 자중에 의해 제2 파이프 부재(21)로부터 인출되며, 제2 파이프 부재(21)는 자중에 의해 제1 파이프 부재(20)로부터 인출되어, 결국에는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부는 상품에 접촉된다.
이후,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가 상품에 접촉됨에 따라, 상품은 진공흡입부(30)의 흡입력에 의해 제5 파이프 부재(24)에 흡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5 파이프 부재(24)에 상품(G)이 흡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체(28)가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를 폐쇄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결국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파이프 부재(24)는 제1 파이프 부재(20)의 높이까지 상승된다.
최종적으로, 상품이 제5 파이프 부재(24)에 흡착된 상태로 제1 파이프 부재(20)의 높이만큼 상승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조작레버 스위치(83)를 다시 조작하되,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3 슬라이더(40)에 설치된 상품 안착판(50)을 추적하면서 조작하여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파이프 부재(24)에 흡착된 상품(g)이 수직으로 상품 안착판(50)과 대응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제5 파이프 부재(24)에 흡착된 상품(g)이 상품 안착판(50)과 수직으로 대응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개폐밸브체 작동 스위치(82)를 온하여 개폐밸브체(28)가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가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5 파이프 부재(24)의 통로가 개폐밸브체(28)에 의해 폐쇄되면, 진공흡입부(30)의 공기 흡입력은 상품에 대해서는 더이상 미치지 않고 개폐밸브체(28)에만 미치게 되어, 결국에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g)이 상품 안착판(50)에 낙하되어 안착된다.
이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안착판(50)에 안착된 상품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제3 슬라이더(40)에 의해 현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안착판(50)이 본체(1)의 저부면상에마련된 접촉부(53)에 지나감에 따라, 접촉부(53)에는 상품 안착판(50)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52)가 접촉되며, 이 힌지부(52)는 접촉부(53)를 지나가려 한다.
그러나, 힌지부(52)가 접촉부(53)를 지나가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안착판(50)은 제3 슬라이더(40)에 대해 힌지(51)를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품 안착판(50)이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상품은 낙하되어 상품 투입구(61)로 투입된다.
이후, 상품 투입구(61)로 투입된 상품은 상품 이통 통로(72)를 거친 후 상품 인출구(71)를 통해 본체(1)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안착판(50)은 토션 스프링(52a)에 원상태로 복귀되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락용 상품인출장치는, 진공흡착방식으로 상품이 끌어올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품을 취득할 확률을 증대시킴과 함께 끌어올려진 상품을 다시 상품 안착판에 안착토록 하는 2단계의 난이도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오락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는 상태에서 금전적으로 많은 낭비를 초래하지 않게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즉, 종래에는 집게형태의 픽업수단에 픽업이 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바로 조작을 중지하게 됨으로 오락으로서의 별다른 흥미를 느낄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1차적인 진공흡착과정은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대부분의 사용자가 상품을 1차적으로 흡착하여 상품 안착판이 위치한 장소로 이송을 시키고 여기서 다시 흡착상태 해제를 통해 상품을 안착판에 안착시켜야 하는 2차적인 과정에서 상품 획득여부가 결정되어짐으로서 상기 2차과정에서 상품안착에 실패하더라도 대부분의 사용자는 2차과정까지의 상품이송을 직접조작하여 상품인출과정에서의 오락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2)

  1. 수평이동이 가능한 제2슬라이더(10)에는 진공흡입부(30)로 부터 공기 흡입력이 전달되어지는 가운데 상하수직이동이 가능한 상품 흡착수단이 구성되었으며, 오락기 본체(1)의 저부에는 상기 진공흡인부에 의해 흡착되어진 상품이 안착되어지는 상품 안착판(50)이 제3슬라이더(40)에 일체로 구성되어 투입부(60)로의 직선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제3 슬라이더(10,40), 및 진공흡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포함하는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흡착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더(10)에 하방으로 제1 파이프 부재(20)를 고정 설치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2, 제3, 제4, 제5 파이프 부재(21,22,23,24)를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적어도 이단 이상이 되도록 연결 설치하되, 상기 제2, 제3, 제4, 제5 파이프 부재(21,22,23,24)를 상기 제1 파이프 부재(20)에 대해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기 제2, 제3, 제4, 제5 파이프 부재(21,22,23,24)중에서 최하단에 해당되는 제5 파이프 부재(24)에 외부로 부터 공기의 흡입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을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제5 파이프 부재(24)의 외측에 지지부재(26)를 매개로 하여 구동모터(27)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제5 파이프 부재(24)의 내부에 개폐밸브체(28)를 상기 구동모터(27)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KR1019990022336A 1999-06-15 1999-06-15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KR10032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336A KR100324888B1 (ko) 1999-06-15 1999-06-15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336A KR100324888B1 (ko) 1999-06-15 1999-06-15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507A KR20010002507A (ko) 2001-01-15
KR100324888B1 true KR100324888B1 (ko) 2002-02-28

Family

ID=1959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336A KR100324888B1 (ko) 1999-06-15 1999-06-15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8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30Y1 (ko) * 2012-04-30 2014-01-23 김문기 전자석의 자성 제어방법을 이용한 금속 물체 이동 게임기
CN109785515A (zh) * 2019-03-12 2019-05-21 武汉市鸿盛华航旅服务股份有限公司 旅行包移动式自动售货机
KR20190142919A (ko) 2018-06-19 2019-12-30 이영숙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17B1 (ko) * 2011-10-17 2012-05-07 주식회사 유영산업 상품인출 게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30Y1 (ko) * 2012-04-30 2014-01-23 김문기 전자석의 자성 제어방법을 이용한 금속 물체 이동 게임기
KR20190142919A (ko) 2018-06-19 2019-12-30 이영숙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CN109785515A (zh) * 2019-03-12 2019-05-21 武汉市鸿盛华航旅服务股份有限公司 旅行包移动式自动售货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50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374A (en) Crane game including vacuum and rotary table
US7988152B2 (en) Playing card shuffler
US7648142B2 (en) Prize acquisition game device
US6598881B1 (en) Crane game with prize redistribution mechanism
CN101052445A (zh) 奖品取得游戏装置
US7980966B2 (en) Toy for positioning a play implement
US4778176A (en) Amusement apparatus
KR100324888B1 (ko)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2022122103A (ja) 景品獲得装置及び景品復帰機構
KR100496514B1 (ko) 경품 뽑기용 게임기
JP2678559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8228965A (ja) クレーンゲーム機
KR101937957B1 (ko) 뽑기기계
JPH0713756Y2 (ja) 景品把み取りゲーム装置
KR200234088Y1 (ko) 상품이 내장된 구슬 인출용 오락기의 작동장치
KR102166926B1 (ko)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JP4554125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JP2836473B2 (ja) プライズゲームマシン
KR200300929Y1 (ko) 게임기의 상품볼 공급장치
JPH11319303A (ja) ゲーム機及びゲーム方法
KR101976825B1 (ko)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
JP3386911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JP2002000933A (ja) 景品取得遊技機
KR200204441Y1 (ko) 경품오락기의 크레인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