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661B1 -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661B1
KR100495661B1 KR10-2002-0059835A KR20020059835A KR100495661B1 KR 100495661 B1 KR100495661 B1 KR 100495661B1 KR 20020059835 A KR20020059835 A KR 20020059835A KR 100495661 B1 KR100495661 B1 KR 10049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ine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film
passiv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535A (ko
Inventor
김지영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661B1/ko
Priority to US10/633,048 priority patent/US6921919B2/en
Publication of KR2004002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535A/ko
Priority to US11/135,775 priority patent/US2005021338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multiple spacer layers, e.g. multiple sidewall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3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68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sidewall spacers, e.g. double spacers, particular spacer material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57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 H01L23/3171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the coating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e.g. passivation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Abstract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보호하는 반도체 소자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덮는 보호막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덮는 보호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막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막 패턴이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보호하므로, 후속공정에서 SC1과 같은 세정용액에 의해 상기 게이트 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보호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공정들 중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형성되는 패턴의 단부는 근접효과(proximity effect)에 의해 둥글게된다.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패턴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근접 효과에 의한 영향은 더욱 커진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a의 반도체 소자를 I-I'라인 및 II-II'라인을 따라 각각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1b에서 도 1a의 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는 영역 1(aa)에, 그리고 II-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는 영역 2(bb)에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라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반도체 기판(1) 상에 활성영역(AR)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Fox, 3)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전면 상에 게이트 산화막(5), 폴리실리콘막(7), 텅스텐막(9), 및 캐핑막(11)을 차례로 적층한다. 상기 막들(11, 9, 7, 5)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라인(GL)을 형성한다. 상기 패터닝을 위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포토 마스크(M)의 단부가 직각인 반면에 실제로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는 근접효과에 의해 도 1a와 같이 둥굴게 되며 도 1b에서와 같이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저농도 불순물 영역(4)을 형성한다. LDD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절연막을 적층한 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13)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상기 스페이서(13)를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고농도 불순물 영역(1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에서는 게이트 패턴의 프로파일이 완만하여 상기 절연막이 거의 다 제거되어 스페이서(13)가 잘 형성되지 않는다(영역 2, bb). 후속 공정으로 세정공정을 진행하면, 세정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SC1(NH4OH, H2O2 및 탈이온수가 혼합된 세정액)이, 상기 스페이서(13)가 얇게 형성되어 취약한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에 침투하여 상기 텅스텐막(9)을 녹인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에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보호하는 반도체 소자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여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덮는 보호막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덮는 보호막 패턴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호막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으로 이루진다.
상기 구조는 상기 게이트 라인의 측벽을 덮으되 상기 게이트 단부에서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보호막 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는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게이트 라인은 차례로 적층된 산화막 패턴 및 도전막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도전막 패턴은 텅스텐,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반도체 기판에 게이트 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덮는 보호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보호막 패턴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일 물질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 및 도전막을 차례로 적층하고, 상기 도전막 및 상기 산화막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전막은 텅스텐,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반도체 소자를 III-III' 라인, IV-IV' 라인, 및 V-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제 1 영역(a)은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 2 영역(b)은 IV-I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 및 제 3 영역(c)은 V-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활성영역(AR)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Fox, 102)이 있다. 상기 활성영역(AR)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라인(GL)이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차례로 적층된 게이트 산화막(104), 폴리실리콘막(106), 텅스텐막(108), 및 캐핑막패턴(1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게이트 산화막(104)은 50~300Å의 두께를, 상기 폴리실리콘막(106)은 700~900Å의 두께를 갖을 수 있다. 상기 텅스텐막(108)은 400~600Å의 두께를, 상기 캐핑막(110)은 1900~2100Å의 두께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114a)가 존재한다. 상기 활성영역(AR) 내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측단부와 접하는 저농도 불순물 영역(112)과, 상기 스페이서(114a)의 측단부와 접하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115)이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는 상기 소자 분리막(102) 상에 위치하며, 보호막 패턴(S, 114b)에 의해 덮인다. 상기 스페이서(114a) 및 상기 보호막 패턴(S, 114b)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실리콘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막 패턴(S, 114b)은 400~600Å의 두께를 갖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소자분리막(Fox, 102)을 형성하여 활성영역(AR)을 한정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 상에 게이트 산화막(104), 폴리실리콘막(106), 텅스텐막(108), 및 캐핑막(110)을 차례로 적층한다. 상기 캐핑막(110)은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들(110, 108, 106, 104)을 차례대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라인(GL)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AR) 내에 저농도 불순물 영역(112)을 형성한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 상에 절연막(114)을 콘포말하게 적층한다. 상기 절연막(114)은 실리콘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만 덮도록 포토레지스트 패턴(PR1)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1)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절연막(114)을 이방성 식각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114a)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를 덮는 보호막 패턴(S, 114b)를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1)을 제거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상기 스페이서(114a) 및 상기 보호막 패턴(114b)를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활성영역(AR) 내에 고농도 불순물 영역(도 3, 115)을 형성한다.
상기 구조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패턴(S, 114b)이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를 보호하므로, 후속공정에서 SC1과 같은 세정용액에 의해 상기 텅스텐막(108)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반도체 소자를 III-III' 라인, IV-IV' 라인, 및 V-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도 도 3처럼 제 1 영역(a)은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 2 영역(b)은 IV-I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 및 제 3 영역(c)은 V-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게이트 라인(GL)의 측벽과 단부(E)를 덮는 스페이서(114a), 및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를 덮는 보호막 패턴(S, 116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14a)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에서,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상기 보호막 패턴(S, 116b)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보호막 패턴(S, 116b)은 실시예 1의 보호막 패턴(S, 114b)과 비교할 때, 두께가 얇으며, 바람직하게 1/5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보호막 패턴(S, 116b)은 80~120Å의 두께를 갖을 수 있다.
도 5의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내지 도6c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절연막(114)을 전면적으로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측벽과 단부(E)를 덮는 스페이서(114a)를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상기 스페이서(114a)를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활성영역(AR) 내에 고농도 불순물 영역(115)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 상에 보호막(116)을 적층한다. 이때, 상기 보호막(116)은 상기 절연막(114)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1의 절연막(114)의 두께의 1/5 정도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80~120Å의 두께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를 덮도록 상기 보호막(116)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PR2)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2)을 사용하여 상기 보호막(116)에 대해 이방성 식각을 진행하여 상기 활성영역(AR) 상의 게이트 라인(GL)을 노출시키되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E)를 덮는 보호막 패턴(S, 116b)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2)을 제거한다. 상기 보호막(116)의 두께를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서 다른 막의 종류 및 공정 조건등은 실시예 1과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에 따르면,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덮는 보호막 패턴을 구비하여, 상기 보호막 패턴이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를 보호하므로, 후속공정에서 SC1과 같은 세정용액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a의 반도체 소자를 I-I'라인 및 II-II'라인을 따라 각각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반도체 소자를 III-III' 라인, IV-IV' 라인, 및 V-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반도체 소자를 III-III' 라인, IV-IV' 라인, 및 V-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Claims (11)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의 측벽과 상부면을 덮는 보호막 패턴; 및
    상기 보호막 패턴으로 덮이지 않는 상기 게이트 라인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에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보호막 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산화막 패턴 및 도전막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 패턴은 텅스텐,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7. 반도체 기판에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의 측벽과 상부면을 덮는 보호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보호막 패턴은 동일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의 측벽과 상부면은 상기 보호막 패턴과 직접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물질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 및 도전막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막 및 상기 산화막을 차례로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텅스텐,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2002-0059835A 2002-10-01 2002-10-01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49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35A KR100495661B1 (ko) 2002-10-01 2002-10-01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10/633,048 US6921919B2 (en) 2002-10-01 2003-07-31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1/135,775 US20050213384A1 (en) 2002-10-01 2005-05-23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35A KR100495661B1 (ko) 2002-10-01 2002-10-01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535A KR20040029535A (ko) 2004-04-08
KR100495661B1 true KR100495661B1 (ko) 2005-06-16

Family

ID=3202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835A KR100495661B1 (ko) 2002-10-01 2002-10-01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921919B2 (ko)
KR (1) KR100495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08A (ko) * 1998-09-14 2000-04-15 김영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10017499A (ko) * 1999-08-12 2001-03-05 윤종용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010037477A (ko) * 1999-10-18 2001-05-07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20010058477A (ko) * 1999-12-30 2001-07-06 박종섭 텅스텐층 산화를 방지한 워드라인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2784B1 (en) * 1993-06-01 2001-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ive matrix display devices having improved opening and contrast ratio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and a storage electrode line
US5695572A (en) * 1994-08-25 1997-12-09 Wacker Siltronic Gesellschaft Fur Halbleitermaterialien Aktiengesellschaft Cleaning agent and method for cleaning semiconductor wafers
US5925918A (en) * 1997-07-30 1999-07-20 Micron, Technology, Inc. Gate stack with improved sidewall integrity
TW372351B (en) * 1998-03-27 1999-10-21 Promos Technologies Inc Manufacturing method for silicon tolerance wall in self-aligned contact forming process
US6107171A (en) * 1998-07-09 2000-08-22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to manufacture metal gate of integrated circuits
JP2000114522A (ja) * 1998-10-08 2000-04-2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150223A (en) * 1999-04-07 2000-11-2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gate spacers with different widths
US6440797B1 (en) * 2001-09-28 2002-08-27 Advanced Micro Devices, Inc. Nitride barrier layer for protection of ONO structure from top oxide loss in a fabrication of SONOS flash memo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08A (ko) * 1998-09-14 2000-04-15 김영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10017499A (ko) * 1999-08-12 2001-03-05 윤종용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010037477A (ko) * 1999-10-18 2001-05-07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20010058477A (ko) * 1999-12-30 2001-07-06 박종섭 텅스텐층 산화를 방지한 워드라인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21919B2 (en) 2005-07-26
US20050213384A1 (en) 2005-09-29
US20040061189A1 (en) 2004-04-01
KR20040029535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98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fin transistor
US6184085B1 (en) Methods of form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ing improved masking techniques
KR19990057943A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US5759867A (en) Method of making a disposable corner etch stop-spacer for borderless contacts
KR10049566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6953973B2 (en) Self-aligned trench isol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ed using the same
KR100493065B1 (ko) 트렌치 게이트형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그 제조 방법
JPH1133026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75731B1 (ko) 반사방지막을이용한게이트전극의제조방법과,이를이용한셀프얼라인콘택형성방법
KR20040098106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6368B1 (ko)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TWI755734B (zh) 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US579267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90024030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35804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653789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257583B1 (ko) 경계 영역의 도전층 형성을 방지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309816B1 (ko) 플래쉬메모리소자의제조방법
KR20020085072A (ko) 게이트 스페이서 구조체 및 그 형성방법
KR20070035903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JPH1121467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2621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nitride read-only memory
KR0166487B1 (ko) 반도체 모스펫 제조방법
KR100604760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H0567759A (ja) 浮遊ゲート型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