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865B1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865B1
KR100492865B1 KR10-2001-0016138A KR20010016138A KR100492865B1 KR 100492865 B1 KR100492865 B1 KR 100492865B1 KR 20010016138 A KR20010016138 A KR 20010016138A KR 100492865 B1 KR100492865 B1 KR 100492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vehicle
projector
front side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432A (ko
Inventor
하시야마가츠미
마츠바라노보루
후타가와고지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21S41/435Hoods or cap-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좌우 1개씩의 등실내의 좌우폭 치수를 작게하여 차체전측의 좌우방향으로 차지하는 비율을 적게함과 동시에, 대향차나 보행자에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킨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한다.
차체의 전측에 좌우 1개씩의 등실을 가지고, 그 등실내에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과 반사형 램프유닛(7)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의 전측(FR)의 대향 위치에 반사형 램프유닛(7)의 광원(8)을 후측(RR)방향으로 출사가능하게 배치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AUTOMOTIVE HEAD LAMPS}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가령 일본국 특개평 10-19930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전측에 좌우 1개씩이고, 하우징과 전면커버에 의해 성형되어 구성되는 등실을 가지고, 그 등실내의 차량 중앙측에는 주행빔형성용 반사형 램프유닛이 배치되고, 그 반사형 램프유닛에서 차량 외방측에는 엇갈림 빔 형성용 프로젝터형 램프유닛, 투사형 프로그램유닛 등이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같은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은 포물면 형상의 리플렉터와 그 리플렉터에 삽입부착된 광원인 벌브로 구성되고,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유도된 광은 전면커버를 투과하여, 또는 전면커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광제어수단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확산배광되어 소정의 배광패턴이 얻어진다. 또,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은 대략 타원체 형상의 리플렉터와, 그 리플렉터에 삽입부착된 광원인 벌브와 리플렉터의 전면개구부에 렌즈홀더를 통하여 일체화된 정면시 원형의 투사볼록렌즈로 구성되고, 투사볼록렌즈의 대략 초점위치에 입설된 셰이드에 의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투사볼록렌즈를 향하는 광 일부가 차단되어 소정의 배광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좌우 1개씩의 등실내에 주행빔 형성용 반사형 램프유닛과 엇갈림 빔형성용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이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으므로 등실의 면적, 특히 좌우폭치수가 크게되어 차체의 디자인을 좌우할 수 없는 점에서 디자인의 자유도를 저해할 염려가 있다.
또, 차체의 좌우폭 치수가 한정되어 있는 점과, 차체의 한 가운데에 배치된 공기 취입구(라디에이터 인테이크 유닛)의 좌우폭을 더 크게하여 엔진성능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기타 목적과의 균형을 얻는 것 등, 전조등이 배치되는 좌우공간 치수는 한정되어 있어, 차량주행시에 있어서의 시인성 향상의 관점에서 본래 배치한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약간 엇갈리게 배치하는 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는 둥글고 작기 때문에 대향차나 노상에 멈춰선 보행자에 있어서 자차위치가 멀리 보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타이밍이나 대향차가 자차 앞을 횡단하는 타이밍을 맞추지 못할 우려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종래기술에 착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좌우 1개씩의 등실내의 좌우폭 치수를 작게하여 차체전측의 좌우방향으로 차지하는 비율을 작게함과 동시에, 대향차나 보행자에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차체 전측에 좌우 1개씩 등실을 가지고, 그 등실내에 프로젝터형 램프유닛과, 반사형 램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전측의 대향한 위치에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을 후향으로 출사가 가능함과 동시에 반사에 의해 전측을 조명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과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을 전후관계로 배치함으로써 좌우 1개씩의 등실 좌우폭 치수를 작게하여 차체전측의 좌우방향으로 차지하는 비율을 작게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은 상기 광원과 상기 등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전측에 가교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광원을 상기 하우징측을 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상하 가느다란 익스텐션과,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에 지지된 리플렉터에 의해 구성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이 하우징의 전측에 가교되어 이루어지는 상하 가느다란 익스텐션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과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각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은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의 상반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의 가장 활용되는 면인 투사볼록렌즈 하반부의 영역을 피한 위치에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광량이 저해되지 않게 된다. 또, 차체를 내려다보는 노상에 선 사람의 눈높이로 부터의 등체로의 시선은 수직선에 대하여 작은 급각도이므로, 투사볼록렌즈의 상반부영역에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을 배치함으로써 광원 주위의 부품이 익스텐션에 의해 차단되어 은폐됨으로써 상품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리플렉터는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를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등실의 좌우폭 치수가 작더라도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으로 부터의 누출광이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발광면이 커지고 시인성이 향상될 뿐더러 대향차나 노상에 서있는 보행자에 대한 자차의 거리가 가깝게 보여 안전성에 기여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 1∼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조등(1)은 차체(2)의 전측(FR)에 좌우 1개씩의 등실(3,3)을 가지고 있다. 그 등실(3)은 고양이 눈모양으로 개구된 용기상 하우징(4)과, 그 하우징(4)의 전측(FR)의 개구에 배치되어 후측(RR)으로 약간 만곡된 투명한 전면커버(5)에 의해 중공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등실(3)내에는 엇갈림 빔형성용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과, 주행빔 형성용 반사형 램프유닛(7)을 전후방향이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의 전측(FR)의 대향한 위치에 반사형 램프유닛(7)의 광원인 벌브(8)를 후측(RR)을 향하여 출사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은 상기 벌브(8)와, 상기 등실(3)을 형성하는 하우징(4)의 전측(FR)에 가교됨과 동시에 상기 벌브(8)를 상기 하우징(4)측, 즉 후측(RR)을 향하여 설치하는 상하로 가느다란 익스텐션(9)과,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에 지지된 자유곡면 형상의 리플렉터(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의 벌브(8)는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의 투사볼록렌즈(11)의 광축(Z)보다 상(UP)반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리플렉터(10)는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의 투사볼록렌즈(11)를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은 오목거울형상의 리플렉터(12)와, 그 리플렉터(12)에 삽입부착되어 제 1초점(F)부근에 필라멘트를 위치한 광원인 벌브(13)와, 상기 리플렉터(12)의 전측(FR)개구부에 렌즈홀더(14)를 통하여 일체화되고 또 상기 리플렉터(12)와 광축(Z)을 공유한 정면시 원형의 상기 투사볼록렌즈(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사볼록렌즈(11)의 제 2초점 위치에는 셰이드(15)가 입설되고, 그 셰이드(15)에 의해 벌브(13)에서 출사하여 화살표(a)와 같이 상기 리플렉터(12)에 입사한 직접광은 화살표(b)와 같이 반사되고, 투사볼록렌즈(11)를 향하는 광일부가 차단되어 소정의 배광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같이해서 얻어진 차량용 전조등(1)은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과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을 전후관계로 배치함으로써 좌우 1개씩의 등실(3,3)의 좌우폭 치수를 작게하여 차체(2)의 전측(FR)의 좌우방향으로 차지하는 비율을 작게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의 벌브(8)가 하우징(4)의 전측(FR)에 가교되는 상하로 가느다란 익스텐션(9)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과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의 각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의 투사볼록렌즈(11)의 가장 활용되는 면인 투사볼록렌즈(11)의 광축(Z)의 하(DWN)반부 영역을 피한 위치에,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의 벌브(8)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의 광량이 저해되지 않게 된다. 또, 차체(2)를 내려다 보는 노상에 선 사람의 눈높이로 부터의 전조등(1)의 등실(3)에의 시선은 수직선에 대하여 작은 급각도이므로, 투사볼록렌즈(11)의 상(UP)반부영역에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의 벌브(8)를 배치함으로써 벌브(8)주위의 부품이 익스텐션(9)에 의해 차단되어 은폐되게 되어서, 부품이 보이지 않는 만큼 전조등(1)의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 그 등실(3)의 좌우폭치수가 작더라도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에서 발광되는 광이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7)의 리플렉터(10)에 누출하여 그 리플렉터(10)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프로젝터형 램프유닛(6)의 투사볼록렌즈(11)만이 발광할 경우에 비해, 발광면이 투사볼록렌즈(11)와 리플렉터(10)의 양쪽이 되기 때문에 커지고 잘보이게 되는 점에서 시인성이 향상될 뿐더러, 대향차나 노상에 서있는 주행자에 대한 자차의 거리가 가깝게 보이게 되고, 자차 앞을 횡단하는 대향차나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에 자차의 존재를 충분히 인식시키게 되어서 주저시킴으로써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익스텐션(9)이 하현이 되는 완만한 커브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와 같이 하우징(4)을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로 광축(Z)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중앙부만 상측(UP)으로 들어올린 형상의 익스텐션(21)이거나 또, 도 6과 같이 하우징(4)을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로, 광축(Z)에서 평행하게 상측으로 들어올린 위치에 배치된 익스텐션(22)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6)의 리플렉터(10)가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7)의 투사볼록렌즈(11)주위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과 같이, 벌브(13)를 중심으로하는 안쪽 위치에 리플렉터(23)가 배치된 것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과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을 전후관계로 배치함으로써 좌우 1개씩의 등실 좌우폭 치수를 작게하여 차체전측의 좌우방향으로 차지하는 비율을 작게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이 하우징의 전측에 가교되는 상하 가느다란 익스텐션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과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각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의 가장 활용되는 면인 투사볼록렌즈의 하반부 영역을 피한 위치에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 광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광량이 저해되지 않게 된다. 또, 차체를 내려다보는 노상에 선 사람의 눈높이로 부터의 등체에의 시선은 수직선에 대하여 작은 급각도이므로, 투사볼록렌즈의 상반부 영역에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을 배치함으로써 광원주위의 부품이 익스텐션에 의해 차단되어 은폐됨으로써 상품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등실의 좌우폭 치수가 작더라도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광이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발광면이 커지고, 대향차나 노상에 서있는 보행자에 대한 자차의 거리가 가깝게 보여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전조등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조등의 확대설명도,
도 3은 도 2의 전조등으로부터 전면커버를 벗긴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3에 상당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3에 상당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4에 상당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차량용 전조등 2:차체
3:등실 4:하우징
5:전면커버 6:프로젝터형 램프유닛
7:반사형 램프유닛 8: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인 벌브
9,21,22:익스텐션 10:반사형 램프유닛의 리플렉터
11: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
12: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리플렉터
13: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광원인 벌브

Claims (4)

  1. 차체의 전측에 좌우 1개씩의 등실을 가지고, 그 등실내에 프로젝터형 램프유닛과, 반사형 램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전측의 대향한 위치에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을 후향으로 출사가능함과 동시에 반사에 의해 전측을 조명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은 상기 광원과 상기 등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전측에 가교됨과 동시에, 상기 광원을 상기 하우징측을 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상하 가느다란 익스텐션과,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에 지지된 리플렉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광원은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 상반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램프유닛의 리플렉터는 상기 프로젝터형 램프유닛의 투사볼록렌즈를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01-0016138A 2000-04-25 2001-03-28 차량용 전조등 KR100492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4406A JP4042297B2 (ja) 2000-04-25 2000-04-25 車両用前照灯
JP2000-124406 200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432A KR20010098432A (ko) 2001-11-08
KR100492865B1 true KR100492865B1 (ko) 2005-05-31

Family

ID=1863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138A KR100492865B1 (ko) 2000-04-25 2001-03-28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42297B2 (ko)
KR (1) KR100492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609B1 (ko) * 2007-07-20 2008-09-26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401A (ja) * 1981-07-23 1983-02-16 コリンズ・ダイナミツクス 広域照明用補助前照灯および探照灯の組合わせ灯
JPS6323703U (ko) * 1986-07-29 1988-02-17
KR19980013185U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헤드램프의 포지션 벌브 조명 영역 확장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401A (ja) * 1981-07-23 1983-02-16 コリンズ・ダイナミツクス 広域照明用補助前照灯および探照灯の組合わせ灯
JPS6323703U (ko) * 1986-07-29 1988-02-17
KR19980013185U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헤드램프의 포지션 벌브 조명 영역 확장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2297B2 (ja) 2008-02-06
JP2001307519A (ja) 2001-11-02
KR20010098432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51318A (ja) 副光学系を備える楕円形ヘッドランプ
JP2001195910A (ja) 車両用前照灯
JP2004047461A (ja) 二次的な光源を備える楕円形ヘッドライト
JP2003217315A (ja) 自動二輪車の2灯式ヘッドライト装置
KR100235395B1 (ko) 차량용 보조 전조등
KR100386219B1 (ko) 전조등
JP3226391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100492865B1 (ko) 차량용 전조등
JPH0545803U (ja) 自動車用ヘツドランプ
US6092918A (en)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yield of high-beam luminous energy
JP4459095B2 (ja) 車両用ベンディングランプ
JP2003208807A (ja) 自動車用前照灯
JPH1012003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112305B2 (ja) 車両用灯具
JP2002367411A (ja) 車輌用前照灯
JPH02189802A (ja) 自動車用前照灯
JP2000133024A (ja)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2001351411A (ja) 自動車用フォグランプ
JPH08249904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ンプ
JPH0443501A (ja) 車両の前照灯装置
KR20000069303A (ko) 자동차용 전조등
KR100210299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JPH0449763Y2 (ko)
JPH0741045Y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H1021704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