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229B1 -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229B1
KR100488229B1 KR10-1999-7001454A KR19997001454A KR100488229B1 KR 100488229 B1 KR100488229 B1 KR 100488229B1 KR 19997001454 A KR19997001454 A KR 19997001454A KR 100488229 B1 KR100488229 B1 KR 100488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fc
sulfuric acid
mixture
concentration
hydrogen flu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814A (ko
Inventor
쓰다다께히데
시바누마다까시
야마다야스후
Original Assignee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19Fluorine; Hydrogen fluoride
    • C01B7/191Hydrogen fluoride
    • C01B7/195Separation; Pur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제거가 곤란하였던 디플루오로메탄 중의 불화수소를 제거하는 디플루오로메탄의 정제법에 있어서, 디플루오로메탄과 불화수소의 혼합물을 증류하여 증류물인 디플루오로메탄과 불화수소의 공비혼합물을 황산과 접촉시키고, 디플루오로메탄 중의 불화수소를 황산에 흡수시켜 제거한다.

Description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ODUCING DIFLUOROMETHANE}
본 발명은 불화수소 (이하, HF 라 함) 를 함유하는 디플루오로메탄 (이하, HFC-32 라 함) 의 혼합물,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이하, HCC-30 이라 함) 의 불소화에 의한 HFC-32 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되는 HF 및 HFC-32 를 함유하는 반응생성물로부터 HF 를 분리하여, 순도 높은 HFC-32 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클로로플루오로탄소류에 의한 성층권 오존층 파괴가 심각한 문제가 되어 이것의 사용이 국제적으로 금지되고, 또한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탄소류도 생산 및 사용이 규제 대상이 되고 있다. HFC-32 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로서 오존층 파괴계수가 영이고, 지구온난화계수도 작으며, 냉동능력도 우수한 점에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는 클로로플루오로탄소류의 대체냉매화합물로서 유망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HF 등의 산 함유량을 할로겐화 탄화수소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증류 등의 조작에 의해 가능한 한 이 함유량을 줄인 후에 수세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HF 와 최저 공비(共沸)혼합물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 수세정할 수 있는 정도까지 할로겐화 탄화수소로부터 HF 를 분리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할로겐화 탄화수소와의 공비혼합물로부터 HF 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미국특허 제 2640086 호, 미국특허 제 4209470 호, 미국특허 제 5094773 호, 유럽특허공개 제 0467531 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78768 호에서는 HF 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냉각하여 상(相)분리 (소위, 액상-액상 분리) 시키고, 얻어진 상등액은 HF 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반응공정에서 재사용하고, 하등액은 주로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증류하여 실질적으로 HF 를 함유하지 않는 할로겐화 탄화수소로서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미국특허 제 3873629 호에는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으로부터 HF 를 연속분리하는 방법이 게재되고, 이 방법에서는 이들 2 성분의 가스상 혼합물을 황산과 향류(向流)접촉시켜 HF 를 제거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3976447 호에 있어서는 HF 를 염화칼슘, 염화바륨 또는 염화스트론튬 입자에 흡착시키는 것으로 HF 를 함유하지 않는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58125 호에 있어서는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HFC-32 와 HF 의 공비조성을 변화시켜 2 단계 증류에 의해 HF 를 제거하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반면에, HFC-32 ∼ HF 계에서는, 공업적으로 조작가능한 온도조건 (일반적으로 -30 ℃ 정도 이상) 하에서 쌍방의 성분이 서로 용해되어 상분리점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분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시할 수 없다.
또, 이 계(系)는 최저 공비현상을 나타내는데, 공비조성물 중의 HF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증류로 HF 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당량의 HFC-32 가 HF 와 함께, 공비때문에 혼합물로서 제거된다. 그리고, HFC-32 ∼ HF 계 공비에 관해서는 국제공개 WO93/21140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 인용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함). 상기 혼합물로 제거된 HFC-32 는, 그 많은 양 때문에 HF 와 공비혼합물로부터 회수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공비혼합물을 수세정하여 HF 를 제거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수세정에 의해 수분이 포화분까지 HFC-32 에 혼입될 수 있게 된다. 이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탈수제의 사용이 필요하게 된다. 반면에, 할로겐화 탄화수소용 탈수제는 탈수효율이 충분하지 않고, 또 탈수제에 따라서는 HFC-32 가 분해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HFC-32 는 주로 냉매로서 사용되며, 특히 수분이 적은 고순도의 HFC-32 가 요구되고 있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하면, 공비증류와 수세정의 조합에 의한, HF 를 HFC-32 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압력변화로서 공비조성을 바꾸는 방법은 HFC-32 ∼ HF 계 공비물 중에서 HF 농도가 낮고, 이 때문에 다량의 HFC-32 의 재사용이 필요하나 가열·냉각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크기 때문에, HFC-32 로부터 HF 를 제거하는 경우,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다.
이 같이, 상술한 종래기술의 HF 분리방법은 모두 공업적으로 적용할 수 없거나 또는 비경제적이다.
황산과 접촉시키는 상기 미국특허의 방법에서는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중의 HF 농도는 3 중량% 에서 0.2 중량% 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특히 대상으로 하는 HF 의 초기농도가 보다 낮은 HFC-32 의 경우 (예컨대, 약 0.5 중량% 이하인 경우) 에, 이 방법을 공업적으로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HF 농도가 다른 것, 플루오로 탄화수소의 종류가 다른 것을 고려하면, 이 미국특허의 게재된 것으로부터는 명확하지 않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거가 곤란한 HFC-32 중의 HF 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HFC-32 의 제조방법, 즉 HFC-32 의 정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제거가 곤란하다고 여겨지는 HFC-32 중의 HF 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HFC-32 의 정제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하고, 이 결과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HF 및 HFC-32 를 함유하는 혼합물, 예컨대 이들의 공비조성 혼합물 (예컨대, 온도 7.2 ℃, 압력 10.2 ㎏/㎠-abs. 하에서 HF/HFC-32 (wt/wt) = 1/99 의 조성을 가짐) 을 황산과 접촉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HF 가 감소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HF 를 함유하지 않는 HFC-32 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는 방법으로서, 접촉전의 혼합물 중의 HF 농도는 약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고, 접촉시의 조작압력이 10 ∼ 40 ㎏/㎠-abs. 이며, 또 조작온도가 10 ∼ 100 ℃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1 : 제 1 증류공정, 2 : 공급원료, 3 : 유출물, 4 : 잔여물, 5 : 황산접촉탑, 6 : 황산, 7 : 유출물(HFC-32 를 함유), 8 : 잔여물(HF 를 함유), 9 : 제 2 증류공정, 10 : 증류물, 11 : 잔여물, 12 : 반응공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중 하나의 양태는 황산과 접촉해야 하는 혼합물은, 실질적으로 HFC-32 및 HF 로 구성되고, 접촉 후 혼합물은 실질적으로 HF 가 감소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HF 를 함유하지 않는 HFC-32 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이 같은 혼합물로부터 HF 가 제거됨으로써 정제되어, 보다 순도 높은 HFC-32 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HF 가 감소됐다」라는, 접촉 전의 혼합물 중의 HF 양보다, 접촉 후의 혼합물 중의 HF 양이 감소되는 (예컨대, 원래의 양에서 10 %,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양에서 0.1 % 로 감소됨) 것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는 혼합물 중의 HF 농도가 감소되는 (예컨대, 원래의 양에서 10 %,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양에서 0.1 % 로 감소됨)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황산과 접촉하는 혼합물은 액체, 기체는 물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되며, 이 상태는 조작압력, 조작온도 및 혼합물의 조성에 의해 결정된다.
혼합물이 기체인 경우에는, 통상의 기체-액체접촉에 의해 기체상의 혼합물로부터 주로 HF 가 황산상 중으로 이동하고, 다소의 HFC-32 도 이동하며, HF 가 감소된 기상이 얻어지고, 반대로 HF 가 증가한 황산상 (액상) 이 얻어진다. 이 기상은 그대로 또는 액화시켜 다음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혼합물이 액체인 경우에는, 황산과 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접촉시킨 후, 액상을 접촉계 조작압력보다 낮은 압력 및/또는 조작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함으로써, 대부분의 HF 를 황산상 (액상) 중에 남긴 상태에서 HFC-32 를 기체로서 발생시켜 이것을 회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황산상이 얻어진다. 이 기체의 발생시에는 HF 도 기체중에 약간 함유되는데, 이 양은 미량이다.
혼합물이 기체와 액체의 혼합물인 경우에는, 상술한 2 개의 양태를 조합하면 된다. 예컨대, 접촉후의 액상부분을, 상기 혼합물이 액체인 경우와 동일하게, 접촉후의 액상을 저압 및/또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액상중에 용해되어 있는 HFC-32 를 기체로서 발생시켜 이것을 회수할 수 있다. 또, 처음부터 기체인 부분에 대해서는 HF 가 감소된 HFC-32 로서 그대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관련하여 상기 기재한 HF 와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2 성분의 가스상 혼합물을 황산과 향류접촉시키는 방법 (미국특허 제 3873629 호) 이 있지만,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예컨대 HFC-32 와 HF 의 공비조성물에서는 HF 농도가 1 중량% 이하로 매우 저농도이므로, 따라서 황산 중의 HF 농도가 5 중량%, 온도 25 ℃, 압력 3.5 ㎏/㎠-abs. 와 같은 상기 미국특허의 방법에 있어서의 조건하에서는 HFC-32 중의 HF 농도감소는 기대할 수 없다. 실제로 액상황산 중의 HF 농도를 5 중량% 로 하여 0.5 중량% HF 를 함유하는 HFC-32 를 20 ℃, 1 atm 으로 처리하면, 반대로 HFC-32 중의 HF 농도가 증가하여 약 0.7 중량% 가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HF 와 HFC-32 의 혼합물을 황산으로써, HF 를 제거하는 조건에 대하여 검토를 거듭하고, HF 를 HFC-32 로부터 공업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HFC-32 중의 HF 농도가 저하되는 조건에 대하여 검토를 거듭한 결과, 황산 중의 HF 농도가 0.5 중량% 인 경우, HFC-32 중의 HF 농도가 약 475 중량ppm 에서 평형이 되고, 이 이하로는 가능하지 않음을 알았다 (1 atm, 20 ℃). 그래서, HFC-32 중의 HF 농도를 더욱 저하시키기 위해서, 황산 중의 HF 농도를 0.2 중량%, 0.02 중량% 로 한 결과, HFC-32 중의 HF 농도가 각각 약 140 ppm, 약 11 ppm 에서 평형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모두 1 atm, 20 ℃). 후자의 경우에는 HF 제거율은 99.8 % 이다 (제거율 = 1 - (처리후 HFC-32 농도)/(처리전 HFC-32 농도), 이 경우 (5000-11)/5000 = 0.998). 이와 같이, 황산 중의 HF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HFC-32 중의 HF 농도를 매우 저농도까지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혼합물과 접촉하고 있는 (액상) 황산 중의 HF 농도에 따라서 HFC-32 혼합물중에 잔류하는 HF 평형농도가 변하고, 액상황산 중의 HF 농도가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HFC-32 혼합물 중의 HF 농도는 각각 475 중량ppm, 143 중량ppm, 11 중량ppm 이 되고, 이것은 HFC-32 중에 함유되는 HF 의 제거율을 각각 90 % 이상, 97 % 이상, 99.8 % 이상으로 확보 가능한 것에 대응하며, 따라서 효율적으로 HF 가 HFC-32 로부터 제거된다는 것을 알았다.
또, 조작압력을 높이면 HFC-32 중의 HF 농도가 저하된다는 것도 알았다. 즉, 접촉계 압력을 증가시키면, HFC-32 중의 HF 농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HF 농도는 조작압력에 대하여 거의 반비례적으로 낮아진다. 예컨대, 10 ㎏/㎠-abs. 계의 압력으로는 황산 중의 HF 농도를 0.02 중량% 이하로 억제할 경우, HFC-32 중의 HF 농도를 약 1 ppm 이하로서 가능하다. 공업적 조작을 고려한 경우, 조작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0 ∼ 40 ㎏/㎠-abs.,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 ㎏/㎠-abs. 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접촉시의 온도는 황산 중의 HF 농도에 평형인 HFC-32 중의 HF 농도에 영향을 주는데, 이 정도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접촉시의 온도는 공업적으로 가능한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10 ∼ 100 ℃, 바람직하게는 10 ∼ 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0 ℃ 에서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혼합물과 황산의 접촉은, 어떤 적당한 기체-액체 접촉장치 또는 액체-액체 접촉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예컨대, 다단탑, 충전탑, 교반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혼합물이 기체인 경우, 혼합물과 황산의 접촉방식도 어떤 방식으로 실시해도 되고, 예컨대 병류(竝流), 십자류 및 향류로 접촉시킬 수 있다. 통상, 향류로 조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혼합물 및 그것과 접촉해야 하는 황산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목적으로서 HFC-32 중의 HF 농도가 되도록 황산의 양 및 접촉해야 하는 황산 중의 HF 농도를 결정하면 된다. 원리적으로는 사용하는 황산의 양이 많을수록 HFC-32 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제거 가능한 HF 의 양은 증가한다. 그러나, 접촉시키는 황산의 양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여도 온도 및/또는 압력을 바꾸지 않는 한, 상술한 황산 중의 HF 농도와 평형인 HFC-32 중의 HF 농도보다 작은 HFC-32 중의 HF 농도로는 가능하지 않다. 통상, 혼합물에 대한 접촉하는 황산 양의 비는 접촉공정에 넣는 중량을 기준으로써 약 0.2 ∼ 4, 바람직하게는 0.3 ∼ 1 이면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HF 를 HFC-32 로부터 공업적 및 효율적으로 분리하는데 적용 가능하다. HFC-32 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되는 혼합가스로부터 미반응 HF 를 제거하여 실질적으로 HF 를 함유하지 않는 HFC-32 를 얻는 경우에 유효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은 HF 와 HFC-32 로 구성되는 혼합물로부터 HF 의 분리 뿐만 아니라, 디클로로메탄을 HF 로 불소화시키는 HFC-32 제조에 있어서 생성물로서, HF, HFC-32 및 디클로로메탄과 함께 여러 가지 반응 부생성물을 함유함으로써 HF 분리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HFC-32 의 제조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해지며, 예컨대 염화불화안티몬을 촉매로 한 액상법이어도, 혹은 예컨대 불화산화크롬을 촉매로 한 기상법이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 가능한 혼합물은 HF 및 HFC-32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비율로 존재하는 예컨대 염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플루오로메탄 및/또는 염소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이 같은 혼합물이 HF 및 HFC-32 와 함께 여러 가지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혼합물 중의 HF 가 실질적으로 감소하고, 다른 화합물에 대해서는 이들과 황산의 친화성에 의해 혼합물 중의 농도가 변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FC-32 는 HF 와 최저공비혼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HF 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로부터 분리를, 증류만으로 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거나 또는 실제로 곤란하며, 어떠한 다른 방법 (예컨대, 상분리 (액상-액상 분리, 흡착, 압력변화) 으로 HF 와 HFC-32 의 공비조성으로부터 HF 를 작게 함유하는 분리방법으로써 HF 를 HFC-32 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혼합물이 HF 및 HFC-32 로서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기초하여, 황산과 혼합물의 접촉에 의해 공비조성으로서 HF 농도를 감소시킨 HF 와 HFC-32 의 혼합물을 얻어서 이 혼합물을 증류함으로써 탑 정상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HF 를 HFC-32 와 공비혼합물로서 분리한다. 이 공비혼합물의 총량은 (HF 가 이미 감소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적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황산과의 접촉공정에서 재사용해도 되고, 또는 소량이므로 그대로 폐기해도 되며, 탑 하부로부터는 HF 를 함유하지 않는 HFC-32 의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HFC-32 중의 HF 농도를 허용농도 이하, 예컨대 1 ppm 이하로 낮추면, 이 후의 처리인 증류공정을 생략하여 그대로 HFC-32 를 최종제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혼합물이 HF 및 HFC-32 과 함께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다른 성분은 그들의 성질에 따라 HF 또는 HFC-32 와 함께 거동하거나, 또는 HF 및 HFC-32 쌍방과 함께 거동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HF 및 HFC-32 의 거동에 대해서는 이들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변함이 없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제 1 증류탑 (1) 에 HFC-32 의 제조과정 (12) 에서의 생성물인 HF 및 HFC-32 를 함유하는 공급혼합물 (2) (통상, HFC-32 의 공비조성에 대하여 HF 가 과잉으로 함유되어 있음) 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증류조작을 행함으로써 탑 정상에서 염화수소 및 HFC-32 보다 저비점의 화합물, 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탄을 분리하고, HF 와 HFC-32 의 공비혼합물을 증류물 (3) 로서 증류시킬 수 있다. 또, 탑 하부로부터는 나머지 HF 및 HFC-32 보다 높은 비점의 화합물, 예컨대 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이 잔여물 (4) 로서 나온다. 증류물 (3) 은 공비조성물이기 때문에, 상기 최초의 증류공정에 의해 이 이상 HF 를 농축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 증류물 (3) 을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황산접촉탑 (5) 의 탑 하부로 공급하고, 탑 정상으로부터 주입된 황산 (6) 과, 예컨대 향류로 기체-액체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증류물 (3) 이 기체상으로 탑내를 상승하는 사이, 이 중의 HF 가 황산에 흡수되어 (따라서, 증류물 (3) 의 조성이 공비조성보다 HF 를 적게 함유한다) 탑 정상으로부터 HF 가 감소된 HFC-32 가 유출물 (7) 로서 배출된다. 탑 하부로부터는, 탑내를 하강하는 사이에 HF 를 흡수한 황산 및 황산에 용해된 HFC-32 의 혼합물이 잔여물 (8) 로서 나온다.
유출물 (7) 은 제 2 증류탑 (9) 에 공급되어 증류조작에 들어가고, 탑 정상으로부터 HF 와 HFC-32 의 공비혼합물, 증류물 (10) 로서 증류되고, 탑 하부로부터는 HF 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HFC-32 가 목적물 (11) 로서 나온다. 이 증류물 (10) 은 황산접촉탑 (5) 으로 재사용함 (점선으로 나타냄) 으로써 HFC-32 의 손실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황산접촉탑의 유출물 (7) 이 실질적으로 HF 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제 2 증류탑의 증류물 (10) 에는 HF 와 HFC-32 의 공비혼합물이 함유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 1 증류탑으로부터 증류물 (3) 이 HF 와 HFC-32 이외의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고, 유출물 (7) 이 실질적으로 HF 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HFC-32 중의 HF 허용농도 이하의 경우, 예컨대 1 ppm 이하가 되는 경우) 에는 제 2 증류탑을 생략할 수 있으며, 유출물 (7) 을 최종제품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잔여물 (4) 에는 통상 대량의 HF 가 함유되여 반응공정에서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잔여물 (8) 에는 HFC-32 도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잔여물 (8) 을 접촉계 조작압력보다 낮은 압력조건 및/또는 조작온도보다 높은 온도조건으로 조작함으로써 잔여물 (8) 중에 용해되어 있는 HFC-32 를 기체로 생성시켜, 이것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회수기체에는 동시에 기체로서 생성되는 소량의 HF 도 함유되므로 제 1 증류탑 (1) 으로 재사용해도 된다. 또, 가스로 회수된 황산은 이 HF 농도가 허용치라면 황산접촉탑 (5) 에서 재사용해도 되고,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결코 이러한 특정한 실시에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불소수지제 내압용기에 98 중량%의 황산을 넣어 HF 와 HFC-32 의 공비혼합물 (0.5/99.5 중량%) 을 기체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대기압하, 20 ℃), 적당히 샘플링하여 이 때의 액상 (황산상) 과 기상 (HFC-32 상) 의 각각의 HF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
액상 HF 농도 기상 HF 농도 HF 제거율
중량% 중량ppm %
0.02 10.7 99.8
0.2 142.8 97.1
1 475.3 90.5
2 3571.5 28.5
표 1 의 결과로부터, HF 와 HFC-32 의 공비혼합물 중의 HF 제거율은 액상황산 중의 HF 농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거율이 90 % 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혼합물과 접촉하는 액상황산 중의 HF 농도를 1 중량% 이하로 하여 조작해야 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 과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며, 조작압력을 10 ㎏/㎠G 및 20 ㎏/㎠G 로 바꾸고, 액상황산 중의 HF 농도가 1 중량% 일 때의 기상의 HF 농도를 측정한 결과 (20 ℃ 에서), 기상 중의 HF 농도가 대기압과 비교하여 각각 약 1/10, 1/20 로 저하되어 있었다. 이에 의해 압력에 반비례적으로 HF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탑지름 150 ㎜ 이론단수 10 단의 흡수탑을 사용하며, 압력 20 ㎏/㎠G 로 HF 를 5000 중량ppm 함유하는 HFC-32 혼합물 (기체) 과 황산을 40 ℃ 에서 각각 4.8 N㎥/시간, 12 ㎏/시간의 유량으로 향류접촉시켰다. 이 조작에서, 탑 하부로부터 유출되는 황산상 (유량 12 ㎏/시간) 중의 HF 농도는 약 0.5 중량% 이고, 탑 꼭대기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상의 HFC-32 상 (유량 4.8 N㎥/시간) 중의 HF 농도는 10 중량ppm 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HF 를 함유하는 HFC-32 를 황산으로 흡수함으로써 용이하게 HF 가 연속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방법에 의해, HF 를 함유하는 디플루오로메탄의 혼합물을 황산에 접촉시켜, 종래 제거가 곤란하였던 디플루오로메탄 중의 HF 를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며, 고농도의 디플루오로메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디플루오로메탄 및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불화수소가 감소된 디플루오로메탄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디플루오로메탄 및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 중 불화수소농도가 1 중량% 이하이고, 상기 혼합물을 9.81 ×105∼39.42 ×105 Pa (10∼40 ㎏/㎠)의 압력 및 10 ∼ 100 ℃ 의 온도에서 불화수소의 농도가 1 중량% 이하인 황산과 접촉시켜 불화수소를 황산중으로 이동시키고, 불화수소가 감소된 디플루오로메탄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디플루오로메탄 및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은 디플루오로메탄 및 불화수소로 구성되고, 불화수소가 감소된 디플루오로메탄을 함유하는 혼합물은 불화수소가 감소된 디플루오로메탄으로 구성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디플루오로메탄 및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디플루오로메탄과 불화수소의 공비혼합물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디플루오로메탄 및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디클로로메탄을 불화수소로 불소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생성물인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디플루오로메탄 및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과 접촉하는 황산을 보다 낮은 압력으로 하여 황산중으로 이동시킨 디플루오로메탄을 회수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황산과 접촉시켜 얻어지는 불화수소가 감소된 디플루오로메탄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이 후에 증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99-7001454A 1996-08-27 1997-08-26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방법 KR100488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29096 1996-08-27
JP96-225290 1996-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814A KR20000035814A (ko) 2000-06-26
KR100488229B1 true KR100488229B1 (ko) 2005-05-10

Family

ID=1682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454A KR100488229B1 (ko) 1996-08-27 1997-08-26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75808B1 (ko)
EP (1) EP0924178B1 (ko)
JP (1) JP3569921B2 (ko)
KR (1) KR100488229B1 (ko)
CN (1) CN1122006C (ko)
AT (1) ATE208359T1 (ko)
AU (1) AU719437B2 (ko)
BR (1) BR9711971A (ko)
CA (1) CA2264686A1 (ko)
DE (1) DE69708127T2 (ko)
ES (1) ES2167771T3 (ko)
WO (1) WO1998008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808A (ja) 2000-02-22 2001-08-28 Asahi Glass Co Ltd ジフルオロメタンの精製方法
US6403849B1 (en) 2000-09-26 2002-06-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purifying perfluorocarbons
US7371363B2 (en) * 2003-07-15 2008-05-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purifying hydrogen fluoride
JP5747684B2 (ja) 2010-09-14 2015-07-1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ヒドロフルオロカーボンまたはヒドロクロロフルオロカーボンの脱水方法、および該脱水方法を用いた1,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の製造方法
US10032195B2 (en) * 2013-03-13 2018-07-24 Airline Tariff Publishing Company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fare analytic engine
CN104888574A (zh) * 2015-06-02 2015-09-09 江苏三美化工有限公司 一种二氟甲烷反应气中hf的分离设备及其工艺
CN108929193A (zh) * 2018-06-28 2018-12-04 江苏三美化工有限公司 一种高纯度二氟甲烷的精馏工艺
CN113880048B (zh) * 2021-09-30 2023-06-27 中化蓝天霍尼韦尔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氢氟酸高效回收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2118A (ko) * 1963-03-30
US3873629A (en) * 1974-01-23 1975-03-25 Du Pont Separation of chlorodifluoromethane and hydrog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41966A (ko) 1931-09-02 1933-02-23
US2640086A (en) 1951-12-15 1953-05-26 Du Pont Process for separating hydrogen fluoride from chlorodifluoromethane
US3873624A (en) * 1973-01-30 1975-03-25 Allied Chem Process of preparing {60 -formyl sulfides and 2-hydrocarbyl-thioaldoximes therefrom
US3976447A (en) 1973-04-26 1976-08-24 Pennwalt Corporation Removal of hydrogen fluoride from gaseous mixture by absorption on alkaline earth metal fluoride
FR2414475A1 (fr) 1978-01-13 1979-08-10 Solvay Procede pour la separation du fluorure d'hydrogene de ses melanges avec le 1-chloro-1, 1-difluorethane
US5094773A (en) 1988-08-01 1992-03-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zeotropes of HF and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HF via azeotropic distillation
DE69104426T2 (de) 1990-07-04 1995-02-16 Ici Plc Prozess zur Abtrennung von 1,1,1,2-Tetrafluorethan aus Gemischen desselben mit Fluorwasserstoff und/oder 1-Chlor-2,2-difluorethylen.
JPH05178768A (ja) 1991-12-16 1993-07-20 Showa Denko Kk 1,1,1,2−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とフッ化水素の分離方法
KR100295306B1 (ko) * 1992-04-13 2001-09-17 이노우에 노리유끼 플루오르화수소의제거방법
FR2695386B1 (fr) * 1992-09-10 1994-10-14 Atochem Elf Sa Procédé de séparation de fluorure d'hydrogène de ses mélanges avec le 1,1,1-trifluoro-2-chloroéthane.
DE69500938T2 (de) * 1994-02-28 1998-04-30 Atochem Elf Sa Verfahren zur Trennung von Fluorwasserstoff und Difluormethan
US5763708A (en) * 1995-09-20 1998-06-09 Allied Signal In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fluorometh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2118A (ko) * 1963-03-30
US3873629A (en) * 1974-01-23 1975-03-25 Du Pont Separation of chlorodifluoromethane and hydro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9437B2 (en) 2000-05-11
CN1228754A (zh) 1999-09-15
CA2264686A1 (en) 1998-03-05
BR9711971A (pt) 1999-08-24
WO1998008789A1 (fr) 1998-03-05
CN1122006C (zh) 2003-09-24
DE69708127T2 (de) 2002-06-20
EP0924178A1 (en) 1999-06-23
US6375808B1 (en) 2002-04-23
ATE208359T1 (de) 2001-11-15
JP3569921B2 (ja) 2004-09-29
DE69708127D1 (de) 2001-12-13
KR20000035814A (ko) 2000-06-26
EP0924178B1 (en) 2001-11-07
EP0924178A4 (ko) 1999-07-14
ES2167771T3 (es) 2002-05-16
AU3869397A (en) 199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846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HF via Azeotropic distillation
US7208644B2 (en) Production and use of hexafluoroethane
JP2019501862A (ja) 含フッ素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KR100488229B1 (ko)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방법
JP3537472B2 (ja) Hfおよびヒドロクロロフルオロカーボン123および/または124の混合物からhfを分離する方法
EP1644285B1 (en) Methods of purifying hydrogen fluoride
JPH02282338A (ja) 2,2―ジクロロ―1,1,1―トリフルオロエタンの精製方法
KR100839063B1 (ko) 1,1-디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JP2022507591A (ja) ハイドロクロロフルオロオレフィンを含む粗製ストリームからhfを中和及び除去する方法
US5648569A (en) Purifaction of pentafluoroethanes
KR100551521B1 (ko) 디플루오로메탄의 제조 방법
US7074974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luoroethane and use of the same
CN1220663C (zh) 二氟甲烷的回收方法
JPH10287595A (ja) ヘキサフルオロエタンの精製方法
JPH0499737A (ja) 1,1―ジクロロ―1―フルオロエタンの精製法
JP4458784B2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0518672B1 (ko) 황산에 의한 플루오로카본/플루오르화수소 공비혼합물로부터의플루오르화수소 분리방법
JP5105672B2 (ja) テトラクロロエチレンの精製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る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
KR20030038792A (ko) 헥사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2004024294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luoroethane and use of the produced fluoroethane
JP2001342006A (ja) 塩化水素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