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364B1 - 횡편기의 얀 캐리어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얀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364B1
KR100480364B1 KR10-2003-7012700A KR20037012700A KR100480364B1 KR 100480364 B1 KR100480364 B1 KR 100480364B1 KR 20037012700 A KR20037012700 A KR 20037012700A KR 100480364 B1 KR100480364 B1 KR 10048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ngaging portion
tip
carriage
yar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034A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9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얀 캐리어1은, 중심1a를 기준으로 지연량ΔL씩 떨어진 2개의 결합부8, 9에서 캐리지3으로부터 돌출되는 핀4와 각각 결합 가능하다. 얀 가이드 레일2에 정지하고 있는 얀 캐리어1을 선택하여 연동하기 위해서 캐리지3이 핀4를 돌출시켜 우측에서부터 접근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핀4의 선단은 회전편11의 안내부11b 상으로 안내되고, 축11a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변위에 의하여 선단부11c가 결합부9에서 결합을 저지한다. 핀4는 회전판13, 12의 안내부13a, 12a에 의하여 결합부8까지 안내되고, 회전편10의 선단부10c에 접촉하여 핀4의 전방측에 결합한다. 회전판12도 핀4로부터 빠져 선단부12c가 상승하고, 핀4의 후방측에 결합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얀 캐리어{YARN CARRIER OF WEFT KNITTING DEVICE}
본 발명은, 니들베드(needle bed)에서 편성(編成) 동작을 하는 편침(編針)에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횡편기(橫編機)의 얀 캐리어(yarn carrier)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캐리지(carriage)가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주행하면서 캠 기구(cam 機構)에 의하여 니들베드 내의 편침으로 편성 동작을 하는 횡편기에는, 캐리지와 연동(連動)하여 이동하면서 편사를 편침에 공급하기 위하여 얀 캐리어가 사용되고 있다. 얀 캐리어는 얀 피더(yarn feeder)나 얀 가이드(yarn guide) 등으로도 불린다. 얀 캐리어의 이동은, 니들베드의 상방(上方)에 가설(架設)되고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을 따라 이루어진다. 캐리지와 얀 캐리어와의 연동은, 캐리지에 설치되고 얀 캐리어를 향하여 출몰(出沒) 가능한 핀(pin)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횡편기에는 복수의 얀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다. 1개의 얀 가이드 레일에는 1개 또는 복수의 얀 캐리어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캐리지는, 복수의 통로만큼의 핀 출몰기구(pin 出沒機構)를 구비하여 얀 캐리어를 핀의 출몰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11은, 종래의 전형적인 얀 캐리어51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얀 캐리어51은 얀 가이드 레일52를 따라 주행 가능하고, 캐리지53으로부터 돌출되는 핀54와 결합하여 연동된다. 얀 캐리어51의 케이싱(casing)55의 하방(下方)에는 공급 로드(feeder rod)56이 형성되고, 그 선단(先端)에는 급사구(給絲口)57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55의 상면에는, 핀54와 결합하는 결합부58, 59를 양측(兩側)에 구비하는 오목부60이 형성된다. 케이싱55의 외측의 양측에는 안내 경사면(案內 傾斜面)61, 62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결합부는, 편침의 편성 동작을 하는 캠이 대략 삼각형이고, 캐리지53의 주행 방향을 따라 얀 캐리어51에 소정의 지연량(遲延量)ΔL을 주기 위하여 필요하다.
얀 가이드 레일52 상에 정지하고 있는 얀 캐리어51을 선택하기 위하여 캐리지53이 얀 캐리어51을 향하여 주행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캐리지53에서는 핀54가 돌출하여 얀 캐리어51에 접근한다. 핀54는 스프링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加壓)되어 안내 경사면62에 얹히면서 오목부60에 근접한다. 핀54는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59를 통과하고,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58에서 오목부60의 측벽면(側壁面)에 핀54의 선단이 접촉한다. 접촉한 시점 이후에는 캐리지53에 의하여 얀 캐리어51이 연동되어 이동이 가능해진다. 본건 출원인은 이와 같이 2개의 결합부를 형성한 얀 캐리어를,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807848호 공보나 제2903152호 공보 등에 개시하였다.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결합부58, 59를 형성한 얀 캐리어51은 항상 캐리지53과 연동되어 이동할 때의 후방측이 핀54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캐리지53을 급정지시키면 얀 캐리어51은 관성(慣性)에 의하여 캐리지53보다 선행(先行)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얀 캐리어51이 얀 가이드 레일52를 따라 주행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sliding 抵抗) 등을 크게 하여 핀54로부터의 구동력(驅動力)이 정지하면 즉시 얀 캐리어51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얀 캐리어51을 연동시킬 때에는 저항을 극복하는 구동력을 핀54로부터 결합부58에 전달하여야만 한다.
핀54로부터 큰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캐리지52의 구동력을 크게 하여야만 한다. 핀54의 출몰기구 등도 기계적으로 강화하고, 대형화하여야 하다. 얀 가이드 레일52와 얀 캐리어51과의 슬라이딩 부분 등의 마모(磨耗)도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결합부를 구비하더라도 각 결합부에서 확실하게 캐리지로부터의 핀의 양측을 결합시킬 수 있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이들의 목적, 그 이외의 목적과 특색과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 한층 더 명확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얀 캐리어1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하여 일부를 절단하여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얀 캐리어1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A∼도3D는 도1의 얀 캐리어를 캐리지에 의하여 선택할 때의 동작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얀 캐리어1이 주행하는 얀 가이드 레일2의 단부에 스토퍼15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스토퍼15에 의하여 얀 캐리어1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6A∼도6C는 도4의 스토퍼15에 의하여 얀 캐리어1이 정지할 때에 핀4의 결합이 해제될 때의 동작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7은 도1의 회전판13의 정면도이다.
도8은 도1의 얀 캐리어1이 다른 얀 캐리어1에 의하여 정지할 때에 핀4의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얀 캐리어31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하여 일부를 절단하여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얀 캐리어31이 스토퍼45에 의하여 정지할 때에 핀4의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11은 종래의 얀 캐리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측(一方側) 또는 타방측(他方側)으로 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가 구비하는 출몰(出沒) 가능한 핀(pin)을 돌출시킴으로써 선택되고, 편성 동작을 하는 편침(編針)의 선단(先端) 부근에 편사(編絲)를 공급하기 위하여 핀의 선단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곳에 형성되고,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전방측(前方側)이 되는 쪽의 결합부에서 핀의 선단에 결합하여 캐리지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yarn carrier)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2곳의 결합부 사이의 외측에서 각 결합부를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後方側)이 되는 결합부에서는 핀을 통과시키고,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전방측이 되는 결합부에서는 핀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선택안내부재(選擇案內部材)와,
상기 2곳의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고, 선택안내부재에 의하여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안내되는 핀을 상기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로 안내하고, 핀이 상기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면 핀이 결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변위하는 안내저지기구(案內沮止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얀 캐리어는, 횡편기 상방에서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가설되는 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 또는 타방으로 이동하는 캐리지로부터 돌출하는 핀으로 선택될 때에 핀의 선단이 결합하는 결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곳에 구비하고, 한 쌍의 선택안내부재와 안내저지기구를 포함한다. 편침이 편성 동작을 할 때에 캐리지에 의하여 선택되어 연동되는 얀 캐리어로부터는 편침의 선단 부근에 편사가 공급된다. 선택안내부재는, 2곳의 결합부 사이의 외측에서 각 결합부를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캐리지와 이간(離間)되어 있는 상태에서 핀을 돌출시킨 캐리지가 주행하여 접근할 때에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에서는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핀을 안내한다. 안내저지기구는, 선택안내부재에 의하여 후방측의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안내된 핀을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핀이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면 핀이 결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변위한다. 전방측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선택안내부재는 도달한 핀을 다시 전방측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지 않기 때문에 핀은 전방측의 결합부에서 결합하고, 캐리지는 얀 캐리어를 연동하여 주행하도록 한다. 전방측의 결합부에서는, 안내저지기구에 의하여 핀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캐리지가 정지하면 얀 캐리어가 핀보다 정지하기 전의 주행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어 얀 캐리어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 등을 높일 필요가 없어 얀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얀 캐리어를 가벼운 부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선택안내부재는,
상기 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캐리지의 주행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결합부 사이의 외측에 설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팔이 회전변위(回轉變位)가 가능하고,
상기 팔의 상면에는 핀이 상기 결합부에 접근할 때에 접촉하여 상기 핀의 선단에 의한 가압(加壓)으로 하방으로 회전변위하면서 상기 핀의 선단을 상기 결합부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팔의 선단부는 결합부를 향하고, 상기 안내부가 가압될 때에는 회전변위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를 좁혀 핀의 선단이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안내부가 가압되지 않을 때에는 핀의 선단에 접촉하여 상기 핀을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팔은, 상기 핀의 가압력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안내부가 상방으로 회전변위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가 얀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하여 핀을 돌출시켜 근접하면 선택안내부재의 팔의 상면의 안내부에 핀의 선단이 접촉하여 가압하고, 선택안내부재의 팔을 회전변위시켜 팔의 선단부로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핀이 결합하는 것을 저지한다. 전방측의 결합부에서는,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에 핀의 선단이 접촉하기 때문에 핀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저지기구는, 상기 2곳의 결합부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으로부터 결합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팔이 회전변위 가능한 한 쌍의 회전부재(回轉部材)를 구비하고,
각 회전부재는, 상기 팔의 상면에 상기 핀이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회전변위로 결합하는 것이 저지된 상기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상기 전방측의 결합부까지 상기 핀의 선단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변위하면서 상기 핀의 선단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팔의 선단부는 결합부를 향하고,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가 밑으로 눌려질 때에 연동하여 밑으로 눌리고, 상기 핀이 선단부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측의 결합부에서 결합하면 상방으로 회전변위하여 상기 핀을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회전부재 중에서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선단부를 향하는 회전부재는,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변위하고,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결합이 저지된 핀을 상면의 안내부를 따라 안내하고, 전방측으로 안내한다. 핀의 선단은,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선단부를 향하는 회전부재로부터 전방측의 결합부에서 선단부를 향하는 회전부재의 상면의 안내부로 이동하고, 그 회전부재를 가압하여 밑으로 누르면서 전방측의 결합부로 핀을 안내한다. 핀이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면 회전부재에 대한 가압은 정지하기 때문에 회전부재의 선단부는 상승하고, 핀의 후방측에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팔의 선단부에서 미리 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부하가 걸리면 상기 축측(軸側)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에서 전방측과 후방측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있는 핀은, 전방측에 부하가 걸리면 회전부재가 그 축측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핀이 전방측의 결합부보다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를 넘을 여지가 있어 핀을 전방측의 결합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선택안내부재는, 상기 결합부 사이의 외측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수납되어 각 결합부에서 출몰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면이 핀의 선단에 접촉하면서 상기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고,
선택안내부재를 오목부로부터 결합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가 얀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하여 핀을 돌출시켜 접근하면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에서는, 돌출하고 있는 선택안내부재에 의하여 결합이 저지되고, 핀의 선단부는 선택안내부재의 상면에 접촉하여 주행 방향의 전방측으로 안내된다. 핀이 후방측의 결합부를 통과하면 안내저지기구에 의하여 전방측의 결합부까지 안내되고, 전방측의 결합부에서는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선택안내부재를 오목부 내로 밀어 넣어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저지기구는,
상기 2곳의 결합부 사이의 하방에 설치되고, 승강변위(昇降變位) 가능한 승강부재(昇降部材)와,
승강부재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하고,
승강부재의 상면으로 상기 핀의 선단에 접촉하면서 상기 핀에 의하여 밑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핀을 상기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로부터 전방측의 결합부까지 안내하고,
상기 핀이 상기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여 상기 핀이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선단에 접촉하고, 상기 선택안내부재를 상기 오목부 내로 되돌려 상기 핀에 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으로의 가압이 정지하면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측단면(側端面)과 상기 결합부의 전방측의 선택안내부재의 선단과의 사이에 상기 핀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이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에서의 결합을 저지시켜 후방측의 결합부를 통과하면 승강부재의 상면으로 핀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핀을 전방측으로 안내한다. 핀이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면 승강부재로의 가압이 정지하기 때문에 승강부재는 스프링에 의한 가압으로 상승하고, 전방측의 측단면에서 핀의 후방측을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橫編機)의 얀 캐리어(yarn carrier)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의 하나인 얀 캐리어1의 개략적인 구성에 있어서 일부를 절단하여 그 단면을 나타낸다. 얀 캐리어1은, 횡편기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상방에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가설(架設)되는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2를 따라 왕복의 양(兩) 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얀 캐리어1은 캐리지(carriage)3으로부터 출몰(出沒) 가능한 핀(pin)4에 의하여 선택되고, 돌출되어 있는 상태의 핀4와 결합하여 연동(連動)된다. 얀 캐리어1의 케이싱(casing)5의 하방(下方)에는 공급 로드(feeder rod)6이 형성된다. 공급 로드6의 선단(先端)에는 급사구(給絲口)7이 형성되어 횡편기의 전후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에 편사(編絲)를 공급할 수 있다.
케이싱(casing)5의 상면(上面)에는 핀4와 결합하는 결합부8, 9가 형성된다. 케이싱5의 외측(外側)의 양측(兩側)에는 선택안내부재(選擇案內部材)인 한 쌍의 회전편(回轉片)10, 11이 설치되어 있다. 각 회전편10, 11은 2개의 결합부8, 9 사이의 외측에 축(軸)10a, 11a를 각각 구비하고, 축10a, 11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변위할 수 있다. 결합부8, 9 사이에는, 얀 캐리어1의 중심1a를 기준으로 소정의 지연량(遲延量)ΔL을 주기 위하여 간격이 벌어져 있다. 이 2ΔL의 간격에는, 안내저지기구(案內沮止機構)로서 한 쌍의 회전판(回轉板)12, 13이 설치된다. 회전판12, 13은 그 간격 내에 배치되는 축12a, 13a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여 변위할 수 있다. 회전편10, 11 및 회전판12, 13은, 축10a, 11a 및 축12a, 13a를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스프링(spring)으로 각각 가압(加壓)되어 있다. 회전판12, 13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공통의 제한핀(制限pin)14가 설치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얀 캐리어1을 평면에서 본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회전편10, 11이나 회전판12, 13 등은 얀 캐리어1의 세로 방향의 중심선1a와 전후 방향의 기준선1b와의 교점을 중심으로 점대칭(點對稱)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얀 가이드 레일2에 복수의 얀 캐리어1이 늘어설 때에 회전편10, 11의 단부(端部)가, 인접하는 얀 캐리어1측으로 교대로 이동하여 결합하고 있는 핀4를 이탈시킬 수 있다.
도3A∼도3D는, 도1의 얀 캐리어1을 캐리지3에 의하여 선택할 때의 동작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판12, 13은 설명의 대상이 되는 측을 전면측에 표시하고, 후면측은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또한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지만,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얀 캐리어1은 선택될 때까지는 얀 가이드 레일2 상에 정지하고 있다.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는 캐리지의 주행에 따라 주행 방향4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한다. 회전판12, 13은 축12a, 13a를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승하도록 스프링으로 가압되고 있다. 회전판12, 13의 선단부의 하방에서 회전판12, 13은, 회전편10, 11의 선단부를 각각 상승시키도록 회전변위되고 있다. 회전판12, 13의 상승의 상한(上限)은 공통의 제한핀14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가 주행 방향4a의 후방측의 회전편11의 팔의 상면인 안내부11b에서 선단부11c로 접근하면, 핀4에 의하여 가압되어 축11a를 중심으로 회전변위하여 선단부11c가 하방으로 변위한다. 또한 선단부11c의 하부11d에 의하여 대향(對向)하는 회전편13의 선단부13c의 하부도 밑으로 눌려져 후방측의 결합부는 닫힌다. 핀4는 회전편11의 안내부11b에서 회전판13의 팔의 상면인 안내부13b로 이동한다.
도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가 주행 방향4a로의 이동을 계속하면 핀4는, 선단부12c가 후방측의 결합부로 향하는 회전판12의 팔의 상면의 안내부12b로 이동한다. 핀4가 회전판12의 선단부12c에 근접하면 선단부12c는 밑으로 눌려진다. 단 전방측의 회전편10은, 거의 밑으로 누를 수 없는 상태이다.
도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가 전방측의 회전편10의 선단부10c에 접촉하면서 회전판12의 안내부12b에서 벗어나 회전판12에 대한 가압은 정지한다. 이 때문에 회전판12의 선단부12c는 상승하여 핀4의 후방측과 결합한다. 핀4는 전방측에서 회전편10의 선단부10c와, 후방측에서 회전편12의 선단부12c와 각각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핀4를 사이에 두고 캐리지와 얀 캐리어1과의 결합은 완료한다. 결합을 완료한 이후에는 얀 캐리어1은 캐리지에 연동하여 이동된다. 또한 핀4가 주행 방향4a의 역방향(逆方向)에서 접근할 때에는, 처음에 회전편10의 팔의 상면의 안내부10b에 의하여 안내된다.
도4는, 도1의 얀 캐리어1이 주행하는 얀 가이드 레일2의 단부에 스토퍼(stopper)15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캐리지가 핀4를 끌어들이면 얀 캐리어1은 임의의 위치에 정지하고, 캐리지는 얀 캐리어1을 더 이상 이동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얀 캐리어1은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보다 소정의 대기(待機) 위치에 대기시키는 것이 제어를 간략하게 한다는 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스토퍼15로 얀 캐리어1을 정확하게 정지시켜 핀4를 무리 없이 결합부8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결합판12, 13은 축12a, 13a 방향으로도 변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5는, 도4에 나타내는 스토퍼15에 얀 캐리어1이 접촉할 때의 회전편10 및 회전판12의 변위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다. 점선은 도4의 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은 스토퍼15에 접촉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얀 캐리어1이 스토퍼15에 접근하면 회전판10의 선단부10c가 하방으로 회전변위하려고 하여 핀을 후방측으로 민다. 회전판12의 선단부12c는 핀에 의하여 축12a측으로 밀려 변위하고, 결합부8에서의 핀으로의 결합이 완화되어 핀은 회전판10의 선단부10c로부터 안내부10b에 얹혀 전방측으로 탈출한다.
도6A∼도6C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토퍼15에 얀 캐리어1이 접촉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이동을 계속하는 캐리지로부터 돌출하는 핀4가 결합부에서 탈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6A는, 전방측의 회전편10이 도4에 나타내는 스토퍼15로 가압되어 선단부10c가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변위할 때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회전편10의 선단부10c에 접촉하고 있는 핀4가 후방측으로 가압되어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변위하고, 회전판12가 후방측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결합부8에서의 핀4의 위치가 회전판12측으로 벗어나기 때문에 스토퍼15의 측방 경사면에서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편10은 선단부10c가 더 내려가도록 회전변위를 하여 핀4가 선단부10c로부터 안내부10b측에 얹히는 것이 쉬워진다.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가 안내부10b측에 얹히면 도6C에 복수의 핀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안내부10b를 통하여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도7은 도1의 회전판13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또한 일방(一方)의 회전판12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회전판13은 탄성(彈性)을 구비하는 금속판(金屬板)으로 형성된다. 회전판13의 내부에는 스프링부(spring部)13e가 형성되고, 그 선단은 축13a가 삽입되는 축 구멍(shaft hole)13f를 향한다. 회전판13의 선단부13c에 축 구멍13f 방향의 하중(荷重)이 걸리면 스프링부13e의 선단이 축 구멍13f에 삽입되는 축13a에 접촉하여 휘고, 하중에 따라 변위할 수 있다. 도5나 도6에서는 이러한 변위를 회전판12측에서 한다.
도8은 도4의 스토퍼15에 의하여 정지하고 있는 얀 캐리어1에 의하여, 또 다른 얀 캐리어1이 접촉하여 정지할 때에 핀4의 결합을 해제하는 동작을 복수의 변위 상태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얀 가이드 레일2의 단부에서는, 복수의 얀 캐리어1을 정지시켜 핀4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해제 동작은, 얀 캐리어1이 도5나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독으로 스토퍼15에 의하여 정지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얀 캐리어31의 개략적인 구성에 있어서 일부를 절단하여 그 단면을 나타낸다. 도1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의 얀 캐리어31에서는, 오목부34를 구비하는 케이싱35의 양측에 도11과 같은 안내 경사면36, 37을 구비한다. 2개의 결합부38, 39는 오목부34의 양측에 형성된다. 결합부38, 39에는 선택안내부재인 돌출편40, 41이 스프링42, 43으로 각각 가압되어 돌출된다. 오목부의 중앙에는 안내저지기구로서 승강부재(昇降部材)44 및 스프링(spring)45가 설치된다. 이러한 얀 캐리어31에 대해서는 얀 가이드 레일2의 단부에 스토퍼46을 배치한다. 스토퍼46은 안내 경사면47을 구비한다.
도10은 스토퍼46으로 얀 캐리어31을 정지시킬 때에 안내 경사면47에 의하여 핀4를 결합에서 이탈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안내 경사면36, 37, 47은 도2와 같이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교대로 선단부로 들어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3이 얀 캐리어31을 선택하기 위하여 핀4를 돌출시켜 접근하면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39에서는 돌출되어 있는 돌출편(突出片)41에 의하여 결합이 저지되고, 핀4의 선단부는 돌출편41의 상면에 접촉하여 주행 방향의 전방측으로 안내된다. 전방측의 결합부38에서는, 핀4는 돌출편40의 선단부에 접촉하고 돌출편40을 밀어 넣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핀4가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39로의 결합을 저지하여 후방측의 결합부39를 통과하면, 승강부재44의 상면에서 핀4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핀4를 전방측으로 안내한다. 핀4가 전방측의 결합부38에 도달하면 승강부재44로의 가압이 정지하기 때문에 승강부재44는 스프링45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상승하고, 전방측의 측단면에서 핀4의 후방측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이 일본국 특허 제2903152호 공보에 개시한 얀 캐리어의 이동방법과 조합할 수도 있다. 동일한 경로에 복수의 얀 캐리어를 배치하고, 캐리지가 연동하지 않는 얀 캐리어를 캐리지가 연동하는 얀 캐리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여 새로운 편성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편침을 캐리지3 내의 캠(cam)의 작용으로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캐리지3은 얀 캐리어1, 31을 연동하는 핀을 출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반드시 편성용 캠을 일체적(一體的)으로 탑재(搭載)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서는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안내부재는,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에서는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핀을 안내한다. 안내저지기구는, 선택안내부재에 의하여 후방측의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안내된 핀을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측으로 안내하고, 핀이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면 핀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전방측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선택안내부재는 도달한 핀을 전방측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지 않기 때문에 전방측의 결합부에서는 핀이 결합되고, 후방측으로의 이동도 저지되므로 캐리지가 정지하면 얀 캐리어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얀 캐리어와 얀 가이드 레일 등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 등을 높일 필요가 없어 얀 가이드 레일 등에 대하여 얀 캐리어를 가벼운 부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안내부재의 팔의 상면의 안내부에 핀의 선단이 접촉하여 가압하고, 선택안내부재의 팔을 회전변위시켜 팔의 선단부로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핀이 결합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전방측의 결합부에서는,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에 핀의 선단을 접촉시켜 핀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선단부를 향하는 회전부재는,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결합이 저지된 핀을 상면의 안내부를 따라 안내하고, 전방측의 결합부에서 선단부를 향하는 회전부재의 상면의 안내부로 안내한다. 핀은 그 회전부재를 가압하여 밑으로 누르면서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한다. 회전부재에 대한 가압은 정지하기 때문에 회전부재의 선단부는 상승하고, 핀의 후방측에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방향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있는 핀은, 전방측에 부하가 걸리면 회전부재가 그 축측(軸側)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전방측의 결합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얀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스토퍼 등을 설치하면 캐리지를 스토퍼보다 단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얀 캐리어를 결합상태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에 돌출하고 있는 선택안내부재에 의하여 핀이 결합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전방측의 결합부에서는 핀이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선택안내부재를 오목부 내로 밀어 넣어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안내된 핀의 선단에 접촉하는 승강부재의 상면에 의하여 핀을 전방측으로 안내하고, 핀이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한 후에는 승강부재가 스프링에 의한 가압으로 상승하고, 전방측의 측단면에서 핀의 후방측을 결합할 수 있다.

Claims (6)

  1.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측(一方側) 또는 타방측(他方側)으로 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가 구비하는 출몰(出沒) 가능한 핀(pin)을 돌출시킴으로써 선택되고, 편성 동작을 하는 편침(編針)의 선단(先端) 부근에 편사(編絲)를 공급하기 위하여 핀의 선단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곳에 형성되고,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전방측(前方側)이 되는 쪽의 결합부에서 핀의 선단에 결합하여 캐리지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yarn carrier)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2곳의 결합부 사이의 외측에서 각 결합부를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後方側)이 되는 결합부에서는 핀을 통과시키고, 캐리지의 주행 방향의 전방측이 되는 결합부에서는 핀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선택안내부재(選擇案內部材)와,
    상기 2곳의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고, 선택안내부재에 의하여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안내되는 핀을 상기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로 안내하고, 핀이 상기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면 핀이 결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변위하는 안내저지기구(案內沮止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안내부재는,
    상기 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캐리지의 주행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결합부 사이의 외측에 설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팔이 회전변위(回轉變位)가 가능하고,
    상기 팔의 상면에는 핀이 상기 결합부에 접근할 때에 접촉하여 상기 핀의 선단에 의한 가압(加壓)으로 하방으로 회전변위하면서 상기 핀의 선단을 상기 결합부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팔의 선단부는 결합부를 향하고, 상기 안내부가 가압될 때에는 회전변위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를 좁혀 핀의 선단이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안내부가 가압되지 않을 때에는 핀의 선단에 접촉하여 상기 핀을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팔은, 상기 핀의 가압력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안내부가 상방으로 회전변위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저지기구는, 상기 2곳의 결합부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으로부터 결합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팔이 회전변위 가능한 한 쌍의 회전부재(回轉部材)를 구비하고,
    각 회전부재는, 상기 팔의 상면에 상기 핀이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회전변위로 결합하는 것이 저지된 상기 후방측의 결합부에서 상기 전방측의 결합부까지 상기 핀의 선단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변위하면서 상기 핀의 선단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팔의 선단부는 결합부를 향하고,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가 밑으로 눌려질 때에 연동하여 밑으로 눌리고, 상기 핀이 선단부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측의 결합부에서 결합하면 상방으로 회전변위하여 상기 핀을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팔의 선단부에서 미리 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부하가 걸리면 상기 축측(軸側)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안내부재는, 상기 결합부 사이의 외측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수납되어 각 결합부에서 출몰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면이 핀의 선단에 접촉하면서 상기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고,
    선택안내부재를 오목부로부터 결합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저지기구는,
    상기 2곳의 결합부 사이의 하방에 설치되고, 승강변위(昇降變位) 가능한 승강부재(昇降部材)와,
    승강부재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하고,
    승강부재의 상면으로 상기 핀의 선단에 접촉하면서 상기 핀에 의하여 밑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핀을 상기 주행 방향의 후방측의 결합부로부터 전방측의 결합부까지 안내하고,
    상기 핀이 상기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결합부에 도달하여 상기 핀이 상기 선택안내부재의 선단에 접촉하고, 상기 선택안내부재를 상기 오목부 내로 되돌려 상기 핀에 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으로의 가압이 정지하면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주행 방향의 전방측의 측단면(側端面)과 상기 결합부의 전방측의 선택안내부재의 선단과의 사이에 상기 핀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얀 캐리어.
KR10-2003-7012700A 2001-03-30 2002-03-27 횡편기의 얀 캐리어 KR100480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9105 2001-03-30
JPJP-P-2001-00099105 2001-03-30
PCT/JP2002/003019 WO2002081800A1 (fr) 2001-03-30 2002-03-27 Jeteur pour metier a tisser t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034A KR20030092034A (ko) 2003-12-03
KR100480364B1 true KR100480364B1 (ko) 2005-03-31

Family

ID=1895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700A KR100480364B1 (ko) 2001-03-30 2002-03-27 횡편기의 얀 캐리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5785B2 (ko)
EP (1) EP1375720B1 (ko)
JP (1) JP4015953B2 (ko)
KR (1) KR100480364B1 (ko)
CN (1) CN1289731C (ko)
DE (1) DE60225255T2 (ko)
WO (1) WO2002081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0857A (ja) * 2003-08-08 2005-03-10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編成プログラム、及び編成プログラムの生成方法
JP4125212B2 (ja) * 2003-10-10 2008-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着脱式編成用移動体および編成部材切換装置を備える横編機
JP4163085B2 (ja) * 2003-10-10 200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移動体連行状態切換え可能な横編機
FR2874221B1 (fr) * 2004-08-11 2006-11-17 Steiger S A C Sa Suisse Atel C Entrainement de guide-fil pour machine a tricoter
FR2878261B1 (fr) * 2004-11-23 2007-03-02 Steiger S A C Sa Suisse Atel C Distributeur de fil pour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EP2243871B1 (de) * 2009-04-23 2012-05-23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längs einer Fadenführerschiene beweglichen Fadenführer
US8839532B2 (en)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060570B2 (en) 2011-03-15 2015-06-23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knitted component
US8522577B2 (en) * 2011-03-15 2013-09-03 Nike, Inc. Combination feeder for a knitting machine
DE102011113573B4 (de) * 2011-09-19 2014-09-11 H. Stoll Gmbh & Co. Kg Fadenführer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US9371603B2 (en) * 2013-02-28 2016-06-21 Nike, Inc. Feeder for knitting machine with friction reducing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5449A (en) * 1979-12-10 1981-07-11 Shima Idea Center Yarn guide lever moving control apparatus in traverse knitting machine
JPS6211988Y2 (ko) * 1980-04-04 1987-03-24
JPS6211988A (ja) 1985-07-10 1987-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取扱装置
DE3716931C1 (de) * 1986-07-01 1988-01-28 Stoll & Co H Fadenfuehrerschlitten
IT214303Z2 (it) 1988-03-01 1990-05-03 Emm Srl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il supporto del guidafilo di una macchina automatica rettilinea per maglieria
JPH0323662A (ja) 1989-06-20 1991-01-31 Sharp Corp 半導体集積回路の保護回路
DE3922513C2 (de) * 1989-07-08 1998-09-17 Stoll & Co H Einrichtung zur selektiv ansteuerbaren Mitnahme von Fadenführern an Flachstrickmaschinen
JP2807848B2 (ja) 1991-07-11 199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ヤーンフィーダの駆動装置
DE4407708C2 (de) 1994-03-08 1996-07-11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JP2903152B2 (ja) 1997-04-15 1999-06-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供給機構
JP3044370B2 (ja) * 1997-08-21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供給装置
WO2001064989A1 (fr) * 2000-02-29 2001-09-07 Shima Seiki Mfg.,Ltd. Jeteur pour metier a tricoter t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5255T2 (de) 2009-03-19
CN1289731C (zh) 2006-12-13
US6895785B2 (en) 2005-05-24
EP1375720A1 (en) 2004-01-02
WO2002081800A1 (fr) 2002-10-17
DE60225255D1 (de) 2008-04-10
US20040093911A1 (en) 2004-05-20
JP4015953B2 (ja) 2007-11-28
EP1375720B1 (en) 2008-02-27
EP1375720A4 (en) 2004-07-21
JPWO2002081800A1 (ja) 2004-07-29
CN1500165A (zh) 2004-05-26
KR20030092034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364B1 (ko) 횡편기의 얀 캐리어
US6647749B2 (en) Yarn feed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EP1602762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a yarn carrier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S62125053A (ja) 横編機
US6422045B1 (en) Compound needle of knitting machine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KR100643541B1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JPS6151061B2 (ko)
US7152435B2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KR200477296Y1 (ko) 횡편기
JP2857840B2 (ja)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装置
JP4163085B2 (ja) 移動体連行状態切換え可能な横編機
JP7048389B2 (ja) 横編機のヤーンフィーダー
JPH08144161A (ja) 可動シンカーの駆動装置
JP4015972B2 (ja)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2001032151A (ja) 横編み機における可動シンカーの駆動方法及び横編み機
JPS6329753Y2 (ko)
JP4015760B2 (ja) 横編機のバット折れ検出装置
KR20020094055A (ko) 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JP2000336562A (ja) 可動シンカーの駆動装置
JPH06101142A (ja) 横編機の給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