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96Y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96Y1
KR200477296Y1 KR2020110010979U KR20110010979U KR200477296Y1 KR 200477296 Y1 KR200477296 Y1 KR 200477296Y1 KR 2020110010979 U KR2020110010979 U KR 2020110010979U KR 20110010979 U KR20110010979 U KR 20110010979U KR 200477296 Y1 KR200477296 Y1 KR 200477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yarn
carrier
interlocking
inter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539U (ko
Inventor
히로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05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주사 및 첨사를 사용하는 플레이팅 편성과, 주사를 정지시켜서 첨사의 급사만의 편성을 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니들베드갭(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2)를 따라 설치되는 동일한 얀가이드 트랙(5) 상에, 2개의 급사캐리어(9)로서, 주사용 캐리어와 첨사용 캐리어(9B)를 각각 구비한다. 제어로드(11)는, 급사캐리어(9)에 접하는 연동핀(12)의 선단(12a)이 급사캐리어(9)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9b)에 대하여 출몰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되는 급사캐리어(9)를 주사용 캐리어로 함으로써 주사용 캐리어를 연동시켜서 플레이팅 편성을 하는 상태와, 주사용 캐리어를 정지시켜서 첨사용 캐리어(9B)만을 사용하여 편성을 하는 상태를 절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A FLAT KNITTING MACHINE}
본 고안은, 동일한 얀가이드 트랙(yarn guide track)에 설치되는 2개의 급사캐리어(給絲 carrier)를 사용하여, 주사(主絲)와 첨사(添絲)를 전후 차이를 설정하여 편침(編針)에 공급하는 플레이팅 편성(plating 編成)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장갑이나 양말 등을 주로 하여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교대로 사용하여 장갑이나 양말이 되는 통(筒)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다. 각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침의 구동은,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편침은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한다.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캐리어는, 캐리지에 연동(連動)되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한 후에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도중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한다. 주사용 캐리어(主絲用 carrier)와 첨사용 캐리어(添絲用 carrier)의 2개의 급사캐리어를 사용하여, 주사가 먼저, 첨사가 나중이 되도록 전후 차이를 설정하여 급사하면, 편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에서는 주사가 표면측, 첨사가 이면측이 되는 플레이팅 편성이 이루어진다.
주사용 캐리어 및 첨사용 캐리어의 2개를 동일한 얀가이드 트랙에 설치하면, 왕복이동의 일방(一方)에서는 주사용 캐리어가 선행하더라도, 타방(他方)에서는 첨사용 캐리어가 선행한다. 그러나 캐리지에 연동되는 이동방향을 따라 2개의 급사캐리어의 간격을 바꾸어 급사구(給絲口)의 상대적인 위치를 절환하면, 왕복의 양쪽 방향에서 주사와 첨사의 전후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 특허문헌1에서는, 주사 및 첨사는, 표면실(表絲) 및 바탕실(地絲)로서 각각 기재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팅 편성은, 첨사편성으로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얀가이드 트랙은, 얀가이드 레일로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얀가이드 레일에 병행(竝行)되도록 2개의 제어로드(制御 rod)를 설치하는 구성도 개시되어 있다. 각 제어로드는, 캐리지의 외부로부터 얀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리(接離)되도록 변위시킬 수 있어, 일방의 제어로드는 첨사용 캐리어를, 타방의 제어로드는 양방의 급사캐리어를 캐리지에 연동시킬 것인가 아닌가의 절환을 할 수 있다. 니들베드의 측단(側端)에서 첨사용 캐리어의 연동상태를 해제하면, 첨사용 캐리어를 정지시키고, 주사용 캐리어로부터 급사하는 주사만으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첨사를 통 모양 편성포의 보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강도(强度)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의 편성 시에 첨사용 캐리어를 정지시키고, 첨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서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58576호 공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횡편기에서는, 주사 및 첨사의 양방을 사용하는 플레이팅 편성과, 첨사용 캐리어를 정지시켜서 주사만을 사용하는 편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사용 캐리어를 정지시켜서 첨사만을 사용하는 편성을 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주사 및 첨사를 사용하는 플레이팅 편성과, 주사를 정지시켜서 첨사의 급사만의 편성을 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따라 설치되는 동일한 얀가이드 트랙(yarn guide track) 상에, 주사용 캐리어(主絲用 carrier)와 첨사용 캐리어(添絲用 carrier)의 2개의 캐리어가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주사용 캐리어의 주사용 급사구(主絲用 給絲口) 및 첨사용 캐리어의 첨사용 급사구(添絲用 給絲口)의 위치는, 주사용 캐리어의 배치방향으로 2개의 캐리어가 연동되면서 미리 정해진 격리거리(隔離距離)를 유지하는 격리상태 및 첨사용 캐리어의 배치방향으로 2개의 캐리어가 연동되면서 미리 정해진 접근거리(接近距離)를 유지하는 접근상태에서, 모두 주사용 급사구가 첨사용 급사구에 대하여 선행하도록,
2개의 캐리어를 캐리지가 연동시켜서, 주사 및 첨사를 급사하는 플레이팅 편성(plating 編成)에 의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얀가이드 트랙에 접하고, 주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캐리지에 설치되고, 주사용 캐리어 및 첨사용 캐리어와 각각 결합하여 연동될 수 있는 주사용 연동핀(主絲用 連動pin) 및 첨사용 연동핀(添絲用 連動pin)과,
상기 얀가이드 트랙에 병행(竝行)되어 설치되고, 얀가이드 트랙에 대하여 접리(接離)하는 변위가 가능한 제어로드(制御 rod)를 포함하고,
주사용 캐리어 및 첨사용 캐리어에는, 주사용 연동핀 및 첨사용 연동핀과 결합하고, 연동방향의 양측에 연동핀이 접촉되는 벽면(壁面)을 구비하는 주사용 결합오목부 및 첨사용 결합오목부가 각각 형성되고,
얀가이드 트랙에 대한 제어로드의 변위에 의하여, 주사용 연동핀이 주사용 결합오목부에 결합하는 상태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를 절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주사용 연동핀과 상기 첨사용 연동핀은, 상기 주사용 결합오목부 및 상기 첨사용 결합오목부에 각각 결합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동방향의 양측의 벽면에 접촉되는 부분의 간격이, 주사용 연동핀쪽이 첨사용 연동핀보다 크고,
주사용 결합오목부와 첨사용 결합오목부는, 상기 연동방향의 양측의 벽면 사이의 거리가, 주사용 결합오목부보다 첨사용 결합오목부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주사용 연동핀에는 회전체(回轉體)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하는 둘레가 상기 제어로드에 접촉되고, 상기 제어로드의 변위에 의하여 주사용 연동핀이 상기 주사용 결합오목부에 대하여 출몰(出沒)하고,
주사용 연동핀은 주사용 결합오목부에 대하여, 돌출되면 상기 결합하는 상태가 되고, 침몰되면 상기 결합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사용 캐리어 및 첨사용 캐리어에는 주사용 결합오목부 및 첨사용 결합오목부를 각각 형성한다. 2개의 캐리어의 연동방향이 왕복의 어느 것이더라도 주사용 결합오목부 및 첨사용 결합오목부의 양측에서 주사용 연동핀 및 첨사용 연동핀이 각각 접촉하기 때문에, 주사와 첨사의 전후관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플레이팅 편성을 할 수 있다. 주사용 결합오목부에 주사용 연동핀이 결합되어 연동하는 상태는, 제어로드의 변위에 의하여 해제하고, 주사용 캐리어를 정지시켜서 첨사만으로 편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주사 및 첨사를 사용하는 플레이팅 편성과, 주사를 정지시켜서 첨사의 급사만의 편성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주사용 결합오목부 내에서의 주사용 연동핀이 연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첨사용 결합오목부 내에서 첨사용 연동핀이 연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쪽이 크기 때문에, 주사에 대한 첨사의 급사를 충분한 전후 차이에 의하여 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제어로드에 의하여 주사용 연동핀의 출몰을 제어하기 위하여 접촉시키는 부분에 회전체를 설치하기 때문에, 주사용 연동핀이 캐리지에 연동되어 이동하더라도 접촉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의 횡편기(1)의 앞쪽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횡편기(1)에 설치되는 제어로드(11)에 관한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횡편기(1)에 의하여 플레이팅 편성을 하는 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횡편기(1)에 의하여 첨사만의 편성을 하는 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의 일례로서, 터치패널 조작용 장갑(4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도1∼도4에서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인 횡편기(橫編機)(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도5에서는 편성 가능한 통(筒) 모양 편성포의 일례를 나타낸다. 각 도면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는 붙이지 않은 참조부호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도면에는 붙여 있는 것으로 언급하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횡편기(1)에서는, 니들베드(needle bed)(2)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3)측이 높고 니들베드갭(3)으로부터 떨어지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설치된다. 니들베드갭(3)의 중심선(中心線)(3a)과 선대칭이 되는 도면의 우측방향에도 동일한 니들베드(2)가 설치되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니들베드(2)의 상방에는, 니들베드(2)와 병행되어 캐리지 트랙(carriage track)(4) 및 2단의 얀가이드 트랙(yarn guide track)(5, 6)이 설치된다. 캐리지 트랙(4)에 의하여 니들베드(2)를 따라 지면(紙面)과 수직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7)가 안내된다. 캐리지(7)의 상부에는 연동유닛(連動 unit)(8)을 부착할 수 있다. 연동유닛(8)은, 얀가이드 트랙(5, 6)에 의하여, 지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급사캐리어(給絲 carrier)(9, 10)를 각각 캐리지(7)에 연동시킬 것인가 아닌가의 절환을 한다.
얀가이드 트랙(5)에는, 플레이팅 편성(plating 編成)을 하는 급사캐리어(9)로서, 주사용 캐리어(主絲用 carrier)(9A) 및 첨사용 캐리어(添絲用 carrier)(9B)의 2개가 설치된다. 2개의 급사캐리어의 위치관계는, 예를 들면 첨사용 캐리어(9B)는 도면의 전방측이 되고, 주사용 캐리어(9A)는 도면의 후방측이 되어 보이지 않는다. 얀가이드 트랙(6)에 설치되는 급사캐리어(10)는, 예를 들면 열수축사(熱收縮絲)나 탄성사(彈性絲) 등의 급사에 사용된다.
얀가이드 트랙(5, 6)에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축재(軸材)를 사용하기 때문에, 급사캐리어(9, 10)에는 자세지지부(姿勢支持部)(9a, 10a)를 설치하여, 연동유닛(8)의 상부 및 캐리지(7)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세지지재(姿勢支持材)(5a, 6a)를 통하여 자세를 지지한다.
얀가이드 트랙(5)에 병행되어 제어로드(制御 rod)(11)도 설치된다. 연동유닛(8)은, 스프링(spring)(18, 19)에 의하여 얀가이드 트랙(5, 6)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가압되고 있는 연동핀(連動 pin)(12, 13)을 수용하고 있다. 제어로드(11)는, 급사캐리어(9)에 접하는 연동핀(12)의 선단(先端)(12a)이 급사캐리어(9)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9b)에 대하여 출몰(出沒)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어로드(11)가 연동핀(12)의 출몰을 제어할 때에는, 베어링(14) 등의 회전체(回轉體)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베어링(14)은 회전축선(回轉軸線)(1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둘레가 제어로드(11)에 접촉되고, 제어로드(11)의 변위에 의하여 연동핀(12)이 결합오목부(9b)에 대하여 출몰된다. 연동핀(12)의 선단(12a)은, 돌출되면 결합오목부(9b)에 결합하는 상태가 되고, 침몰되면 결합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연동핀(13)의 선단(13a)은, 급사캐리어(10)의 결합오목부(10b)에 결합된다. 연동핀(12)의 돌출량은 제한핀(12b)에 의하여 제한된다.
급사캐리어(9, 10)에는, 편사를 급사하는 급사구(給絲口)(15a, 16a)를 선단에 구비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15, 16)가 각각 부착된다. 또 주사용 캐리어(9A) 및 첨사용 캐리어(9B)에는, 주사용 급사구(主絲用 給絲口)(15Aa) 및 첨사용 급사구(添絲用 給絲口)(15Ba)를 선단에 구비하는 주사용 급사부재(15A) 및 첨사용 급사부재(15B)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3)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2)를 따라 설치되는 동일한 얀가이드 트랙(5) 상에 주사용 캐리어(9A)와 첨사용 캐리어(9B)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주사(主絲)에 관한 구성과 첨사(添絲)에 관한 구성을 동일한 참조번호에 A, B를 붙여서 구별한다. 주사 및 첨사에 공통되는 사항에 관한 설명은 A, B를 생략한다. 플레이팅 편성을 하는 조건으로서, 주사용 캐리어(9A) 및 첨사용 캐리어(9B)가 지면의 전방측과 후방측의 양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주사용 급사구(15Aa) 및 첨사용 급사구(15Ba)의 전후관계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주사용 급사부재(15A)와 첨사용 급사부재(15B)는 얀가이드 트랙(5) 상에서 접촉할 때에 함께 내측으로 꺾이도록 되어 있어, 주사용 급사구(15Aa)가 첨사용 급사구(15Ba)를 추월할 수 있다.
캐리지(7)에는 솔(17)도 설치된다. 니들베드(2)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침(編針)(20)은 래치 바늘(latch needle)이며, 니들베드갭(3)측의 선단에 형성되는 훅(hook)을 래치에 의하여 개폐한다. 솔(17)은 래치를 외부로부터 연다. 니들베드(2)에는, 인접하는 편침(20)의 사이에서 니들베드갭(3)으로 진퇴하는 싱커(sinker)(21)도 설치된다. 편침(20) 및 싱커(21)는, 캐리지(7)에 탑재되는 편침구동캠(編針驅動 cam)(22) 및 싱커구동캠(sinker 驅動 cam)(23)에 의하여 각각 구동된다.
도2는, 제어로드(11)에 관한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a)는 평면, (b)는 정면, (c)는 우측면에서 각각 나타낸다. 얀가이드 트랙(5, 6)은, 축선방향의 양측을 얀가이드 지지재(yarn guide 支持材)(31, 32)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고,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니들베드(2)의 상방에 가설(架設)된다. 제어로드(11)는, 얀가이드 트랙(5, 6)의 사이에 설치되고, 얀가이드 트랙(5)에 대하여 접리(接離)하는 변위가 가능하도록 평행사변형 링크의 일변(一邊)으로 되어 있다. 이 일변과 대향(對向)하는 평행사변형 링크의 정지변(靜止邊)은 얀가이드 트랙(5) 중에서, 얀가이드 지지재(31, 32)의 내측에 부착되는 링크 지지재(link 支持材)(33, 34)에 링크암(link arm)(35, 36)의 기단(基端)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지점(支點) 사이의 부분이 된다. 제어로드(11)는, 링크암(35, 36)의 유단(遊端) 사이에 핀 결합된다. 또 얀가이드 트랙(5, 6) 및 제어로드(11)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단축하여 나타낸다.
제어로드(11)는, 우측의 끝쪽 부근에서 링크구동재(link 驅動材)(37)의 선단에 핀 결합된다. 링크구동재(37)의 기단은 솔레노이드(solenoid)(38)의 플런저(plunger)의 선단에 결합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38)가 OFF이며, 스프링 가압에 의하여 플런저가 돌출되어 있어, 제어로드(11)는 얀가이드 트랙(5)에 접근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연동유닛(8)에 설치되는 주사용 연동핀(12A)의 선단(12Aa)은, 스프링(18A)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얀가이드 트랙(5)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어로드(11)의 제어를 받지 않는 첨사용 연동핀(12B) 및 연동핀(13)의 선단(12Ba,13a)도, 스프링(18B, 19)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얀가이드 트랙(5)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사용 연동핀(12A), 첨사용 연동핀(12B) 및 연동핀(13)에는, 돌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핀(制限 pin)(12Ab, 12Bb, 13b)이 각각 설치된다. 제어로드(11)에 의하여 주사용 연동핀(12A)의 출몰을 제어하기 위하여 접촉시키는 부분에 베어링(14)을 설치하기 때문에, 주사용 연동핀(12A)이 캐리지(7)에 연동되어 이동되더라도 접촉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회전하지 않더라도 접촉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면, 베어링(14)을 사용하지 않고 주사용 연동핀(12A)의 일부에 접촉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접촉용의 부재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3은, 주사용 캐리어(9A) 및 첨사용 캐리어(9B)를 사용하여 플레이팅 편성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사용 캐리어(9A)를 좌측, 첨사용 캐리어(9B)을 우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도3(a)에 나타나 있는 우행(右行)(15R) 시에는 첨사용 캐리어(9B)가 선행하고, 도3(b)에 나타나 있는 좌행(左行)(15L) 시에는 주사용 캐리어(9A)가 선행한다. 다만 주사용 급사구(15Aa) 및 첨사용 급사구(15Ba)의 위치관계에서는, 양쪽 방향도 주사용 급사구(15Aa)가 선행한다. 도3(a)에서는, 주사용 캐리어(9A)와 첨사용 캐리어(9B)가 첨사용 캐리어(9B)의 배치방향측으로 연동되면서 미리 정해진 접근거리를 유지하는 접근상태가 된다. 도3(b)에서는, 주사용 캐리어(9A)와 첨사용 캐리어(9B)가 주사용 캐리어(9A)의 배치방향측으로 연동되면서 미리 정해진 격리거리를 유지하는 격리상태가 된다. 주사용 연동핀(12A) 및 첨사용 연동핀(12B)의 양방의 선단(12Aa, 12Ba)은 돌출되어, 주사용 결합오목부(9Ab) 및 첨사용 결합오목부(9Bb)에 각각 결합하여 주사용 캐리어(9A) 및 첨사용 캐리어(9B)의 양방을 동시에 연동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주사용 연동핀(12A) 및 첨사용 연동핀(12B)은 연동유닛(8)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선(12Ac, 12Bc)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주사용 캐리어(9A) 및 첨사용 캐리어(9B)를 왕복주행시키는 캐리지(7)가 연동되고, 전후 차이를 설정하여 주사 및 첨사를 급사하고, 주행방향을 따라 전후의 니들베드를 절환하면, 통 모양 편성포가 플레이팅 편성된다.
도4는, 주사용 캐리어(9A)를 정지시키고, 첨사용 캐리어(9B)만을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다. 솔레노이드(38)를 ON 상태로 하여 플런저를 흡인하면, 링크구동재(37)도 당겨져서 제어로드(11)는 얀가이드 트랙(5)으로부터 격리된다. 주사용 연동핀(12A)은 베어링(14)을 통하여 침몰상태로 되어, 선단(12Aa)이 주사용 결합오목부(9Ab)에 결합하는 상태는 해제된다. 첨사용 캐리어(9B)는, 도4(a)에 나타나 있는 우행(15BR)도, 도4(b)에 나타나 있는 좌행(15BL)도 단독으로 연동되어 첨사만을 사용하는 편성을 할 수 있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사용 연동핀(12A)과 첨사용 연동핀(12B)은, 선단(12Aa, 12Ba)이 주사용 결합오목부(9Ab) 및 첨사용 결합오목부(9Bb)에 각각 결합하는 상태에서 연동방향의 양측의 벽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선단(12Aa, 12Ba)의 양측부분의 간격을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A, dB라고 하면, 주사용 연동핀(12A)쪽의 간격(dA)이 첨사용 연동핀(12B)쪽의 간격(dB)보다 크다. 또한 주사용 결합오목부(9Ab)와 첨사용 결합오목부(9Bb)는, 연동방향의 양측의 벽면 사이의 거리(sA, sB)가 주사용 결합오목부(9Ab)보다 첨사용 결합오목부(9Bb)쪽이 크다. 이 결과 주사용 결합오목부(9Ab) 내에서의 주사용 연동핀(12A)의 선단(12Aa)이 연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첨사용 결합오목부(9Bb) 내에서 첨사용 연동핀(12B)의 선단(12Ba)이 연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쪽이 커지게 된다.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편침구동캠(22)에 의하여 구동되는 편침(20)에 대하여, 산(山) 모양의 캠의 정점(頂點)보다 후행측의 어깨가 되는 범위에서, 주사보다 정점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첨사의 급사를 할 필요가 있다. 첨사용 캐리어(9B)의 이동범위를 크게 하여 둠으로써 연동방향이 절환되더라도, 주사에 대한 첨사의 급사를 충분한 전후 차이에 의하여 할 수 있다.
도5는,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의 일례로서, 정전용량식(靜電容量式) 터치패널 조작용 장갑(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터치패널 조작용 장갑(40)은, 주사로서 도전성(導電性)의 편사를 사용하여, 손가락의 선단에 플레이팅 편성부(41, 42, 43, 44, 45)를 형성한다. 이러한 장갑은, 손가락부의 선단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기 때문에, 각 손가락부의 편성시작 시에는 플레이팅 편성부(41, 42, 43, 44, 45)를 각각 편성하여, 도중에서 주사용 캐리어(9A)를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지시키고, 손가락부의 도중에서부터와, 몸통부 이후를 주사정지부(主絲停止部)(46)로서 편성한다. 또 손목의 부분은, 탄성사(彈性絲)를 삽입하여 고무사 삽입부(47)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필요한 부분에만 플레이팅 편성부(41, 42, 43, 44, 45)를 형성함으로써 비싼 도전성 편사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는 편성포의 표면으로 나가기 때문에, 주사용 캐리어(9A)의 사용에 의한 플레이팅 편성과 정지를 절환함으로써, 모양 등의 장식이나 요철 등의 미끄럼 방지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1 : 횡편기
2 : 니들베드
3 : 니들베드갭
5, 6 : 얀가이드 트랙
7 : 캐리지
9A : 주사용 캐리어
9Ab : 주사용 결합오목부
9B : 첨사용 캐리어
9Bb : 첨사용 결합오목부
11 : 제어로드
12A : 주사용 연동핀
12Aa, 12Ba : 선단
12B : 첨사용 연동핀
14 : 베어링
15Aa : 주사용 급사구
15Ba : 첨사용 급사구
38 : 솔레노이드
40 : 터치패널 조작용 장갑
41, 42, 43, 44, 45 : 플레이팅 편성부
46 : 주사정지부

Claims (3)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따라 설치되는 동일한 얀가이드 트랙(yarn guide track) 상에, 주사용 캐리어(主絲用 carrier)와 첨사용 캐리어(添絲用 carrier)의 2개의 캐리어가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주사용 캐리어의 주사용 급사구(主絲用 給絲口) 및 첨사용 캐리어의 첨사용 급사구(添絲用 給絲口)의 위치는, 주사용 캐리어의 배치방향으로 2개의 캐리어가 연동되면서 미리 정해진 격리거리(隔離距離)를 유지하는 격리상태 및 첨사용 캐리어의 배치방향으로 2개의 캐리어가 연동되면서 미리 정해진 접근거리(接近距離)를 유지하는 접근상태에서, 모두 주사용 급사구가 첨사용 급사구에 대하여 선행하도록,
    2개의 캐리어를 캐리지가 연동시켜서, 주사 및 첨사를 급사하는 플레이팅 편성(plating 編成)에 의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얀가이드 트랙에 접하고, 주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캐리지에 설치되고, 주사용 캐리어 및 첨사용 캐리어와 각각 결합하여 연동될 수 있는 주사용 연동핀(主絲用 連動pin) 및 첨사용 연동핀(添絲用 連動pin)과,
    상기 얀가이드 트랙에 병행(竝行)되어 설치되고, 얀가이드 트랙에 대하여 접리(接離)하는 변위가 가능한 제어로드(制御 rod)를 포함하고,
    주사용 캐리어 및 첨사용 캐리어에는, 주사용 연동핀 및 첨사용 연동핀과 결합하고, 연동방향의 양측에 연동핀이 접촉되는 벽면(壁面)을 구비하는 주사용 결합오목부 및 첨사용 결합오목부가 각각 형성되고,
    얀가이드 트랙에 대한 제어로드의 변위에 의하여, 주사용 연동핀이 주사용 결합오목부에 결합하는 상태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를 절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 연동핀과 상기 첨사용 연동핀은, 상기 주사용 결합오목부 및 상기 첨사용 결합오목부에 각각 결합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동방향의 양측의 벽면에 접촉되는 부분의 간격이, 주사용 연동핀쪽이 첨사용 연동핀보다 크고,
    주사용 결합오목부와 첨사용 결합오목부는, 상기 연동방향의 양측의 벽면 사이의 거리가, 주사용 결합오목부보다 첨사용 결합오목부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 연동핀에는 회전체(回轉體)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하는 둘레가 상기 제어로드에 접촉되고, 상기 제어로드의 변위에 의하여 주사용 연동핀이 상기 주사용 결합오목부에 대하여 출몰(出沒)하고,
    주사용 연동핀은 주사용 결합오목부에 대하여, 돌출되면 상기 결합하는 상태가 되고, 침몰되면 상기 결합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2020110010979U 2011-01-24 2011-12-12 횡편기 KR2004772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2402A JP2012153990A (ja) 2011-01-24 2011-01-24 横編機
JPJP-P-2011-012402 2011-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39U KR20120005539U (ko) 2012-08-01
KR200477296Y1 true KR200477296Y1 (ko) 2015-05-28

Family

ID=4683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979U KR200477296Y1 (ko) 2011-01-24 2011-12-12 횡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153990A (ko)
KR (1) KR200477296Y1 (ko)
CN (1) CN20249268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2491A (zh) * 2013-10-29 2014-02-12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全电脑手套编织机纱嘴座定位结构
KR20160111139A (ko) 2015-03-16 2016-09-26 이기석 단자대의 식별 표시부
JP7425006B2 (ja) * 2020-02-17 2024-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8485A (ja) * 1992-11-09 1994-06-07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
WO2001064988A1 (fr) * 2000-02-29 2001-09-07 Shima Seiki Mfg.,Ltd. Procede de tricotage de tricot vanise tubulaire au moyen d'un metier a tricoter trame a quatre fontures
KR20030076157A (ko) * 2002-07-08 2003-09-26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자카드 환편기의 전자식 자동 스트라이핑장치
EP1908868A1 (en) * 2005-06-10 2008-04-0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pres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8485A (ja) * 1992-11-09 1994-06-07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
WO2001064988A1 (fr) * 2000-02-29 2001-09-07 Shima Seiki Mfg.,Ltd. Procede de tricotage de tricot vanise tubulaire au moyen d'un metier a tricoter trame a quatre fontures
KR20030076157A (ko) * 2002-07-08 2003-09-26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자카드 환편기의 전자식 자동 스트라이핑장치
EP1908868A1 (en) * 2005-06-10 2008-04-0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pres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39U (ko) 2012-08-01
JP2012153990A (ja) 2012-08-16
CN202492680U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886B1 (ko) 횡 편 기
KR101329211B1 (ko) 횡편기
KR19990023497A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KR200477296Y1 (ko) 횡편기
KR102226578B1 (ko) 횡편기
EP0597548B1 (en) Knitted fabric presser of flat knitting machine
EP1462555B1 (en) 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ed fabric
KR101516154B1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KR101537935B1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526031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KR100397029B1 (ko)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US4574596A (en) Stitch-forming machine
US6978642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KR20190130656A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101576837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CN214458635U (zh) 横织机
KR102323156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KR200477894Y1 (ko) 횡편기
CN220099325U (zh) 横机的针织物压片装置
EP3798339A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2023064006A (ja) パイル編成用横編機およびシンカー、ならびに横編機でのパイル編成方法
CN113265752A (zh) 编织物的编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