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166B1 -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166B1
KR100478166B1 KR10-2002-7000707A KR20027000707A KR100478166B1 KR 100478166 B1 KR100478166 B1 KR 100478166B1 KR 20027000707 A KR20027000707 A KR 20027000707A KR 100478166 B1 KR100478166 B1 KR 10047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vehicle
container
space
mid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670A (ko
Inventor
고이찌 요시다
신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히노데 유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히노데 유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Publication of KR2002002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wheeled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는, 컨테이너(10a)를 적재했을 때의 무게 중심(Ga)이 선박(1)의 미드 쉽(MS)의 전방이 되도록, 미드 쉽(MS)의 소정의 후방 위치로부터 선수에 걸쳐 배치된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과, 브레이크 벌크(10b)를 적재한 때에 무게 중심(Gb)이 미드 쉽(MS)의 전방이 되도록, 상기 미드 쉽(MS) 전후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과, 차량(10c)을 적재했을 때의 무게 중심(Gc)이 미드 쉽(MS)의 후방이 되도록, 선미부측에 배치된 차량용 선창 공간(3c)을 포함하며, 겉보기 비중이 다른 화물을 동시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송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적재 형태가 가능해지므로, 적재 화물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수송 효율도 향상된다.

Description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HOLD ARRANGEMENT STRUCTURE OF GENERAL PURPOSE CARGO VESSEL}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벌크 및 컨테이너의 3종류의 화물을 동시에 적재 가능하게 한 선박의 선창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 종류의 화물을 적재하는 선박으로서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 전용선에 건설 기계 등의 분해 부품(이하, 브레이크 벌크」라고 함)을 적재하는 선박이나, 자동차 운반선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선박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도6은 종래의 컨테이너 전용선의 소정의 선저 위치에 브레이크 벌크를 적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에 있어서, 컨테이너 전용선(101)은 선수 수조(102),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103), 엔진실(104), 거실(105), 굴뚝(106), 프로펠러(107), 키(108), 엔진(109) 등으로 대체로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103)에는 미드 쉽(MS)의 전후에 소정의 공간(110)이 형성되도록, 컨테이너 스토퍼(111) 및 빔(112)을 설치하고 있다. 컨테이너 스토퍼(111)는 컨테이너의 네 구석부 코너를 브릿징(brindging)하는 금구이다. 또, 빔(112)은 횡방향의 셀 가이드 사이에 브릿징하는 금구이다. 이들 컨테이너 스토퍼(111) 및 빔(112)에 의해, 이들 금구(111, 112) 상에 컨테이너(113)가 적재되게 되어, 이 하부에 공간(110)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 스토퍼(111) 및 빔(112)의 하방의 공간(110)에 브레이크 벌크(114)를 적재하여, 이 이외의 공간에 컨테이너(113)를 적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전용선(101)에서는 컨테이너(113) 및 브레이크 벌크(114)를 적재한 때에, 컨테이너(113) 및 브레이크 벌크(114)의 무게 중심은 미드 쉽(MS)의 위치보다 약간 전방이 되도록 적재하고 있었다.
도7은, 종래의 자동차 운반선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에 있어서, 자동차 운반선(201)은 대개, 선수 수조(202), 차량용 선창 공간(203), 엔진실(204), 거실(205), 굴뚝(206), 프로펠러(207), 키(208), 램프(209), 엔진(2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동차 운반선(201)에서는, 폭로 갑판(211) 상에 컨테이너(213)를 적재하고, 차량용 선창 공간(203) 내부의 복수층의 차량 수용부(212)에 차량(214)을 적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 운반선(201)에서는 컨테이너(213) 및 차량(214)을 적재한 때에, 컨테이너(213) 및 차량(214)의 무게 중심은 미드 쉽(MS)의 위치보다 약간 전방이 되도록 적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전용선(101)도 상기 자동차 운반선(201)에서도, 화물의 무게 중심이 미드 쉽(MS)보다 약간 전방이 되도록 하는 이유는, 선체 자신의 무게 중심이 미드 쉽(MS)보다 약간 후방에 있어, 선박 전후의 흘수(喫水) 조정(트림 조정)에 불가결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겉보기 비중이 다른 화물을 3종류 이상 적재하는 선박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었다.
그런데, 최근 겉보기 비중이 다른 화물을 3종류 적재하여 운반하는 것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유에 의해 트림 조정이 곤란하므로, 겉보기 비중이 다른 화물을 3종류 적재하여 운반하는 것은, 종래는 실현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선박에 의한 운반에서는 운항 효율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여, 겉보기 비중이 다른 화물을 3종류 동시에 적재하여 운항 가능하게 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화물 적재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화물 적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화물 적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컨테이너 전용선에 브레이크 벌크를 적재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은 종래의 자동차 운반선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청구범위 제1항의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는, 미드 쉽의 후방에 배치되는 겉보기 비중이 약 0.05 t/㎥ 인 차량을 적재하는 차량용 선창 공간과, 상기 미드 쉽의 소정의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에 걸쳐 배치되는 겉보기 비중이 약 0.5 t/㎥ 인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과, 상기 미드 쉽 전후의 소정의 선저 영역에 배치되는 겉보기 비중이 약 0.05 내지 1.0 t/㎥ 인 브레이크 벌크를 적재하는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이며, 상기 차량용 선창 공간은, 복수개의 차량 갑판과, 각 차량 갑판을 잇는 슬로프 웨이와, 폭로 갑판 상의 해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에는 셀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은, 소정의 격벽과, 소정의 격벽에서의 수밀 도어와, 소정의 격벽 사이의 컨테이너 스토퍼와, 소정의 격벽 사이에서 셀 가이드 사이로 브릿징 가능한 빔을 포함한다. 본원 청구범위 제3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선창 공간, 상기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 및 상기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은 상기 선창의 용도와는 상이한 다른 화물도 수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상부 갑판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화물 적재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화물 적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의 화물 적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박(1)은 선체(1a)의 최전방에 선수 수조(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선체(1a)에는 선수 수조(2)와 엔진실(4) 사이에,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 및 차량용 선창 공간(3c)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실(4)의 상부에는 차량용 선창 공간(3c)이 설치되어 있고, 그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상부에는 거실(5)이 설치되어 있다. 거실(5)의 후방 상부에는 굴뚝(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실(4)의 후방 외부에는 프로펠러(7)와 키(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엔진실(4)의 내부에는, 엔진(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체(1a)의 선미에는 램프(11)가 배치되어 있고, 이 램프(11)를 지상에 걸치고, 차량의 반입 및 반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호 1b는 하역용 크레인 설비이다.
다음에, 이 선박(1)의 각 선창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a)를 적재했을 때의 무게 중심(Ga)이 미드 쉽(MS)의 전방측의 소정 영역[미드 쉽(MS)보다 전방에 0.05 L 내지 0.15 L의 영역](Ara)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컨테이너(10a)가 겉보기 비중(ρa)이 약 0.5[t/㎥]이므로, 미드 쉽(MS)보다 전방측의 소정의 영역[미드 쉽(MS)보다 전방에 0.05 L 내지 0.15 L의 영역](Ara)에 상기 무게 중심(Ga)이 배치되면, 선박(1)의 무게 중심이 미드 쉽(MS)보다 후방에 있으므로, 트림 조정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벌크(10b)를 적재했을 때의 무게 중심(Gb)이 미드 쉽(MS) 전방측의 소정 영역[ 미드 쉽(MS)보다 전방에 0 내지 0.15 L의 영역](Arb)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브레이크 벌크(10b)가 겉보기 비중(ρb)이 0.05 내지 1.0[t/㎥]이므로, 미드 쉽(MS)보다 전방측의 소정 영역(Arb)에 상기 무게 중심(Gb)이 배치되면, 선박(1)의 무게 중심이 미드 쉽(MS)보다 후방에 있으므로, 트림 조정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차량용 선창 공간(3c)은, 차량(10c)을 적재했을 때의 무게 중심(Gc)이 미드 쉽(MS) 후방의 소정 영역[미드 쉽(MS)보다 후방에 0.2 L 내지 0.3 L의 영역](Arc)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차량(10c)이 겉보기 비중(ρc)이 약 0.05[t/㎥]이므로, 미드 쉽(MS)보다 후방측의 소정 영역(Arc)에 상기 무게 중심(Gc)이 배치되더라도 모멘트가 작으므로, 선박(1)의 선수 수조(2)에 주수 및 배수함으로써, 용이하게 트림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일부에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실(5) 전방의 폭로 갑판(12)의 중앙부에 사각형의 해치(13)를 설치하고, 상기 해치(13)를 해치 커버(23)로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엔진실(4) 전방의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상부 갑판의 차량 갑판(15s)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치(13)와 동일한 면적의 오프닝(16)을 설치하는 동시에, 해치 커버(23)로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상부 갑판의 차량 갑판(15s)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부 갑판의 갑판(15s)으로부터 1층 아래의 갑판(15)을 향해 슬로프 웨이(17s)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갑판의 차량 갑판(15s)의 하부의 차량 갑판(15, 15, …)에도, 상기 해치(13)와 동일한 면적의 오프닝을 설치하는 동시에, 해치 커버(23)로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각 차량 갑판(15, 15, …)에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을 잇는 슬로프 웨이(17, 17, …)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해치(13)를 해치 커버(23)로 덮고, 또한 각 오프닝을 해치 커버(23)로 덮으면 자동차 전용의 차량용 선창 공간(3c)이 된다. 또한, 슬로프 웨이(17, 17, …)를 거쳐서 각 층의 차량용 선창(30, 30, …)에 차량을 반입 및 반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에도 차량을 반입 및 반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해치(13)로부터 해치 커버를 떼어내고, 또한 각 오프닝에 해치 커버를 떼어내면,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일부에는 리프터블 카데크(20)가 설치되어 있고, 차고에 따라서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일부 창고(30a)의 천정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의 후방 격벽(18)에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밀 도어(19)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탱크톱[상부 갑판의 차량 갑판(15s)]으로부터 차량을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1 적재 형태>
다음에, 컨테이너(10a), 브레이크 벌크(10b) 및 차량(10c)을 적재하는 본래의 적재 형태에 대해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브레이크 벌크(10b)는, 차량을 사용하여 램프(11), 각 슬로프 웨이(17, 17, …)를 통해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으로 반입하여,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한다.
또한, 컨테이너(10a)를 적재할 때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의 상부의 각 격벽(18) 사이에 스토퍼 및 빔(21, 21, 21)으로 브릿징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스토퍼는 컨테이너(10a)의 네 구석부 코너를 브릿징하는 금구이다. 또한, 빔(21)은 횡방향의 셀 가이드 사이에 브릿징하는 금구이다.
이와 같이 스토퍼 및 빔(21, 21, 21)을 브릿징한 결과,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의 내부에서는 셀 가이드 방식으로 컨테이너(10a)를 적재한다. 또한, 선체(1a)의 상부 갑판의 상부 폭로부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a)의 래싱 부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적재한다.
또한, 차량(10c)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의 차량용 선창(30, 30, …)에 적재된다. 또한, 상부 갑판의 차량 갑판(15s)의 천정부는 리프터블 카데크(20)에 의해 천정 높이를 변경하여, 차고(車高)가 높은 차량(10cc)을 적재할 수 있다.
<제2 적재 형태>
다음에, 다수의 컨테이너(10a)와 적은 대수의 차량(10c)을 적재하는 경우에 대한 적재 형태에 대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일부에 설치한 해치(13)로부터 해치 커버를 떼어내고, 또한 각 오프닝(16, 16, …)(도2)으로부터 해치 커버를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 상부의 각 격벽(18) 사이에 브릿징되어 있는 스토퍼 및 빔을 제거해 둔다.
그러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실(5) 직전 하부에 있는 차량용 선창 공간(3c)의 일부에도 컨테이너(10a)를 적재할 수 있는 동시에,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에도 컨테이너(10a)를 적재할 수 있다.
<제3 적재 형태>
다음에, 컨테이너(10a)와 많은 대수의 차량(10c)을 적재하는 경우에 대한 적재 형태에 대해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 상부의 각 격벽(18) 사이에 스토퍼 및 빔(21, 21, 21)으로 브릿징해 둔다.
또한, 수밀 도어(19)를 통해 차량(10c)을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의 내부까지 적재한다. 이에 의해, 차량용 선창 공간(3c) 이외에,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에 차량(10c)을 적재할 수 있다.
또, 컨테이너(10a)는 도1에 설명한 적재 방식과 마찬가지의 방식을 채용하여 적재하는 것으로 한다.
<제4 적재 형태>
다음에, 컨테이너(10a)와 브레이크 벌크(10b)와 차량(10c)을 적재하는 다른 적재 형태에 대해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 상부의 각 격벽(18) 사이에 스토퍼 및 빔(21, 21, 21)으로 브릿징해 두는 동시에, 이들 스토퍼 및 빔(21, 21, 21)의 상부에 가설 데크(22, 22, …)를 브릿징해 둔다.
그리고, 차량(10c)에 대해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선창 공간(3c)에 적재하는 동시에, 본래의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에도 적재한다.
또한, 브레이크 벌크(10b)에 대해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설 데크(22, 22, …)로 브릿징한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의 일부 내부에 적재한다.
또, 컨테이너(10a)에 대해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 내부의 일부에 적재한다. 또한, 선체(1a)의 폭로부에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a)를 적재하고 있다. 적재 방식은 제1 적재 형태에서 설명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적재 형태 내지 제4 적재 형태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 혹은 차량용 선창 공간(3c)은, 상기 명칭의 화물에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적재 형태(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선창의 용도와는 상이한 다른 화물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본적, 차량(10c)의 적재에 의한 무게 중심(Gc)은 미드 쉽(MS)보다 후방이 되도록 차량용 선창 공간(3c)이 배치되어 있고, 컨테이너(10a) 및 브레이크 벌크(10b)의 적재에 의한 무게 중심(Ga 및 Gb)은 미드 쉽(MS)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3a) 및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3b)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본래의 적재 형태가 아닌 적재 형태(제2, 제3, 제4 적재 형태)에서도, 무게 중심 위치가 본래의 것과 대략 동일해져, 트림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에 따르면, 겉보기 비중이 다른 화물을 동시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송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에 따르면, 다양한 적재 형태가 가능하므로, 적재 화물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수송 효율도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겉보기 비중이 다른 화물을 동시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송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적재 형태가 가능해지므로, 적재 화물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수송 효율도 향상된다.

Claims (6)

  1. 미드 쉽의 후방에 배치되는 겉보기 비중이 약 0.05 t/㎥ 인 차량을 적재하는 차량용 선창 공간과,
    상기 미드 쉽의 소정의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에 걸쳐 배치되는 겉보기 비중이 약 0.5 t/㎥ 인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과,
    상기 미드 쉽 전후의 소정의 선저 영역에 배치되는 겉보기 비중이 약 0.05 내지 1.0 t/㎥ 인 브레이크 벌크를 적재하는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이며,
    상기 차량용 선창 공간은, 복수개의 차량 갑판과, 각 차량 갑판을 잇는 슬로프 웨이와, 폭로 갑판 상의 해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에는 셀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은, 소정의 격벽과, 소정의 격벽에서의 수밀 도어와, 소정의 격벽 사이의 컨테이너 스토퍼와, 소정의 격벽 사이에서 셀 가이드 사이로 브릿징 가능한 빔을 포함하는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선창 공간, 상기 브레이크 벌크용 선창 공간 및 상기 컨테이너용 선창 공간은 상기 선창의 용도와는 상이한 다른 화물도 수납할 수 있는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2-7000707A 2000-05-19 2000-07-19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KR100478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47767 2000-05-19
JP2000147767A JP3435433B2 (ja) 2000-05-19 2000-05-19 多目的貨物船の船倉配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670A KR20020021670A (ko) 2002-03-21
KR100478166B1 true KR100478166B1 (ko) 2005-03-23

Family

ID=1865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707A KR100478166B1 (ko) 2000-05-19 2000-07-19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435433B2 (ko)
KR (1) KR100478166B1 (ko)
CN (1) CN1211250C (ko)
DE (1) DE10081502B4 (ko)
PL (1) PL204668B1 (ko)
WO (1) WO2001087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231A (ko) 2019-05-29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21329A0 (fi) * 2002-07-05 2002-07-05 Oy Langh Ship Ab Menetelmä ja järjestely kelojen kuljettamiseksi laivalla
SE523470C2 (sv) * 2003-05-16 2004-04-20 Tts Ships Equipment Ab Anordning vid lastdäck för fordon på fartyg
KR20050007497A (ko) * 2003-07-08 2005-01-19 (주)미래해운 선박
WO2005095197A1 (en) * 2004-03-03 2005-10-13 Great American Lines, Inc. Multi-mode ship for transporting vehicles
FI122136B (fi) * 2005-09-20 2011-09-15 Waertsilae Finland Oy Vesikulkuneuvo
US8327785B2 (en) * 2008-03-05 2012-12-11 Nielsen Jens M Ship
JP5596084B2 (ja) * 2012-06-27 2014-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CN106114764A (zh) * 2016-08-29 2016-11-16 南通中远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汽车滚转船舱内坡道连续式布置方式
CN107244383B (zh) * 2017-07-04 2024-03-01 宏康控股有限公司 一种多用途船的船体结构
CN109625311A (zh) * 2018-12-07 2019-04-16 石家庄飞机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通用飞机货舱载重标志的制作方法
CN114228913A (zh) * 2021-12-30 2022-03-25 苏州得尔达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无人机及货物的货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8938B (de) * 1967-02-04 1969-02-06 Blohm Voss Ag Schiffsrumpf, insbesondere fuer ein Frachtschiff
US3889619A (en) * 1974-02-06 1975-06-17 Pullman Inc Barge construction
JPS5415287A (en) * 1977-07-04 1979-02-05 Nippon Kokan Kk <Nkk> Foldable deck for ship
JPS54120187A (en) * 1978-03-10 1979-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Cargo hold formed between decks
JPS57130886A (en) * 1981-02-05 1982-08-13 Hitachi Zosen Corp Container/car carrier ship
JPS59156891U (ja) * 1983-04-08 1984-10-22 三井造船株式会社 貨物船の可動カ−デツキ装置
FI97459C (fi) * 1993-01-27 1996-12-27 Pekka Eino Rapeli Yksikkölastilaiv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231A (ko) 2019-05-29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87701A1 (fr) 2001-11-22
DE10081502T1 (de) 2002-10-31
JP2001328585A (ja) 2001-11-27
CN1211250C (zh) 2005-07-20
DE10081502B4 (de) 2006-01-05
KR20020021670A (ko) 2002-03-21
PL354679A1 (en) 2004-02-09
PL204668B1 (pl) 2010-01-29
JP3435433B2 (ja) 2003-08-11
CN1359344A (zh)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166B1 (ko)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US5860783A (en) Cargo containe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n on deck carriage assembly
EP2259962B1 (en) A ship
EP1035998B1 (en) A transport ship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100664915B1 (ko) 화물선
JP2007153242A (ja) 自動車運搬船
US4008675A (en) Ship of the type facilitating vehicle transport
US6893205B2 (en) Vehicle transportation module
US6416264B2 (en) Vehicle transportation module
US6135044A (en) Transport ship
KR102525152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US5862770A (en) Sea-based transportation and load handling system
US6003459A (en) Transport ship
JPS6216875B2 (ko)
JP2002316688A (ja) 貨物船
US11518479B2 (en) Partially fixed tween decks
WO2009109187A1 (en) A ship
JPH0520994U (ja) タンカーのカーゴタンク用通路
JP2007284019A (ja) トリマラン構造船
NO141362B (no) Anordning for aa baere og stoette enhetslaster i lasterommet paa sk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