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231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231A
KR20200137231A KR1020190063240A KR20190063240A KR20200137231A KR 20200137231 A KR20200137231 A KR 20200137231A KR 1020190063240 A KR1020190063240 A KR 1020190063240A KR 20190063240 A KR20190063240 A KR 20190063240A KR 20200137231 A KR20200137231 A KR 20200137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upply unit
unique
cargo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231A/ko
Publication of KR2020013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상측면 중 일부가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화물 탱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수용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화물 탱크의 운용에 이용되는 이용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용물 이송관, 상기 선체의 상측면에 상기 이용물 이송관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탱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의 고유한 운용에 이용되는 고유 이용물을 공급하는 고유 이용물 공급부, 및 상기 화물 탱크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유 이용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고유 이용물을 공급받는 고유 이용물 수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조되고 있는 다양한 운반선들은 운송 화물에 따라 선종이 분류되어 건조되고 있다. 운송 화물에 따른 선박은 유조선(Oil Tanker), 벌크선(Bulk Carrier),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 Carrier), 액화석유가스 운반선(LPG Carrier) 및 정유 운반선(Product Oil Carrier) 등이 있다.
이러한 선박들은 운송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고유한 적재 수단 및 해당 적재 수단을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166호 (2005.03.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상측면 중 일부가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화물 탱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수용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화물 탱크의 운용에 이용되는 이용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용물 이송관, 상기 선체의 상측면에 상기 이용물 이송관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탱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의 고유한 운용에 이용되는 고유 이용물을 공급하는 고유 이용물 공급부, 및 상기 화물 탱크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유 이용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고유 이용물을 공급받는 고유 이용물 수급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 수용부의 내측면에 롤러 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 수용부에 화물 탱크가 수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유 이용물 공급부가 화물 탱크의 고유 이용물 수급부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기본 이용물 공급부가 화물 탱크의 기본 이용물 수급부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박(10)은 선체(100), 탱크 수용부(200), 이용물 이송관(300),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 및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은 정유(Oil),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와 같은 유체 화물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와 같은 고체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체(100)는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탱크 수용부(200)는 선체(100)의 상측면 중 일부가 선체(10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화물 탱크(700)(도 5 및 도 6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화물 탱크(700)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화물을 적재한 화물 탱크(700)가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선체(100)는 복수의 탱크 수용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탱크 수용부(200) 각각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탱크 수용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수용부(200)는 선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각 탱크 수용부(200)의 측면과 바닥면의 사이에 경사면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탱크 수용부(200)의 경사면과 우측 탱크 수용부(200)의 경사면의 위치가 선체(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탱크 수용부(200)의 상측면도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어 형성될 수 있는데, 좌측 탱크 수용부(200)의 상측면과 우측 탱크 수용부(200)의 상측면은 선체(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체(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존재하는 복수의 좌측 탱크 수용부(200)는 서로 동일하고, 우측에 존재하는 복수의 우측 탱크 수용부(200)는 서로 동일하며, 좌측 탱크 수용부(200)와 우측 탱크 수용부(200)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선체(100)에 구비된 복수의 탱크 수용부(200)의 형태가 모두 동일하거나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이용물 이송관(300)은 선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화물 탱크(700)의 운용에 이용되는 이용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물은 기본 이용물 및 고유 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이용물은 화물 탱크(700)의 종류에 무관하게 동일하게 제공되어야 하는 이용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신호 또는 모니터링 신호가 기본 이용물에 포함될 수 있다.
화물 탱크(700)는 자체 동작을 위하여 전력을 소비할 수 있는데, 기본 이용물로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자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물 탱크(700)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은 기본 이용물에 포함된 제어 신호 및 모니터링 신호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본 이용물인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력선 및 통신선이 이용물 이송관(30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고유 이용물은 화물 탱크(700)의 종류에 따라 고유하게 제공되어야 하는 이용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세척수, 열 매체, 순환 공기, 청수 및 통신 신호 등이 고유 이용물에 포함될 수 있다.
화물 탱크(700)가 연료를 적재하는 연료 탱크로서 이용되는 경우 화물 탱크(70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화물 탱크(700)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 매체 및 화물 탱크(700)에 수용된 연료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가 해당 화물 탱크(700)의 고유 이용물일 수 있다. 또한, 화물 탱크(700)가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탱크로서 이용되는 경우 화물 탱크(70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및 화물 탱크(70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공기가 해당 화물 탱크(700)의 고유 이용물일 수 있다.
이용물 이송관(300)은 케이블 트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렁크는 선체(100)의 선수에서 선미 간에 전력 및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고유 이용물은 이용물 이송관(300)을 따라 선수에서 선미 간을 이동할 수 있다. 고유 이용물을 이송하기 위한 고유 이송 라인(410)이 이용물 이송관(300)에 구비될 수 있다.
탱크 수용부(200)는 복수 개가 이용물 이송관(300)의 장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는 선체(100)의 상측면에 이용물 이송관(300)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700)의 고유한 운용에 이용되는 고유 이용물을 공급할 수 있다. 화물 탱크(700)의 상측면에는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로부터 고유 이용물을 공급받기 위한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도 5 참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용물 이송관(300)을 따라 이송된 고유 이용물은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에서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로 전달되고, 화물 탱크(700)는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를 통해 전달된 고유 이용물을 이용하여 고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는 하나의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서로 다른 화물 탱크(700)에 서로 다른 복수의 고유 이용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가 하나의 탱크 수용부(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10)은 다양한 고유 이용물을 제공할 수 있다.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700)가 대응하는 고유 이용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탱크 수용부(200)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고유 이용물을 공급하는 복수의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된 화물 탱크(700)의 종류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를 해당 화물 탱크(700)의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에 연결할 수 있다.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는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700)에 기본 이용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는 탱크 수용부(200)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화물 탱크(700)의 바닥면에는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가 구비되는데, 탱크 수용부(200)에 화물 탱크(700)가 삽입되면서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와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에는 기본 이용물을 이송하기 위한 기본 이송 라인(510)이 연결될 수 있다. 기본 이송 라인(510)은 이용물 이송관(300)을 따라 배치되고 각 탱크 수용부(200)에서 분기되어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 수용부의 내측면에 롤러 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탱크 수용부(200)의 내측면에는 롤러 가이드(600)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 가이드(600)는 화물 탱크(700)의 삽입 및 방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물 탱크(700)는 롤러 가이드(600)에 가이드되어 화물 탱크(700)의 내측면과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된 상태에서 탱크 수용부(200)에 삽입되거나 탱크 수용부(200)에서 방출될 수 있다.
롤러 가이드(600)는 탱크 수용부(200)의 내측면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 홈(610)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가이드 홈(610)에는 롤러 가이드(6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에 의하여 가이드 홈(610)에서 노출되는 롤러 가이드(600)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 홈(610)에서 노출되는 롤러 가이드(600)의 길이가 달라짐에 따라 화물 탱크(700)가 롤러 가이드(600)에 가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롤러 가이드(600)가 탄성력으로 화물 탱크(700)를 압박함에 따라 탱크 수용부(200)에 화물 탱크(700)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화물 탱크(700)는 탱크 몸체(710),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 및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 몸체(710)는 대체로 직각육면 박스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측 측면 및 바닥면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면은 탱크 수용부(200)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한 것으로서, 탱크 수용부(200)에 경사면이 없는 경우 탱크 몸체(710)에도 경사면이 제거될 수 있다.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는 기본 이용물을 공급받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는 화물 탱크(700)의 바닥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는 탱크 수용부(200)에 구비된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에 결합되어 기본 이용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화물 탱크(700)가 탱크 수용부(200)에 삽입되면서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가 탱크 수용부(200)의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화물 탱크(700)가 탱크 수용부(200)에서 방출되면서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와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는 고유 이용물을 공급받는데 이용될 수 있다.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는 화물 탱크(700)의 상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가 화물 탱크(700)에 구비될 수 있다. 각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가 대응하는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에 연결되어 고유 이용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 수용부에 화물 탱크가 수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물 탱크(700)는 낙하하여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될 수 있다.
탱크 수용부(200)의 상부에는 개구가 구비되는데, 화물 탱크(700)는 개구를 통해 탱크 수용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탱크 수용부(200)의 운반을 위하여 크레인(미도시)과 같은 운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되면서 화물 탱크(700)의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와 탱크 수용부(200)의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된 이후에 화물 탱크(700)의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와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가 작업자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화물 탱크(700)는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되거나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된 이후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화물 탱크(700)는 화물 적재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탱크(700)는 연료를 주입 받을 수 있는 연료 주입 수단을 구비하거나, 컨테이너의 적재를 위하여 상부에 개폐 가능한 해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유 이용물 공급부가 화물 탱크의 고유 이용물 수급부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는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에 연결될 수 있다.
화물 탱크(700)가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된 이후에 작업자는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와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를 연결할 수 있다. 세척수, 열 매체, 순환 공기, 청수 또는 통신 신호와 같은 고유 이용물이 고유 이용물 공급부(400)에서 고유 이용물 수급부(72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기본 이용물 공급부가 화물 탱크의 기본 이용물 수급부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는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에 연결될 수 있다.
화물 탱크(700)가 탱크 수용부(200)에 수용되면서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와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또는 제어 신호와 같은 기본 이용물이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에서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로 전달되고, 모니터링 신호와 같은 기본 이용물이 기본 이용물 수급부(730)에서 기본 이용물 공급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균일한 형태로 제공되는 탱크 수용부(200)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화물을 적재하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화물 탱크(700)를 수용함에 따라 선박(10)은 특정 화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물을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100: 선체
200: 탱크 수용부 300: 이용물 이송관
400: 고유 이용물 공급부 410: 고유 이송 라인
500: 기본 이용물 공급부 510: 기본 이송 라인
600: 롤러 가이드 610: 가이드 홈
700: 화물 탱크 710: 탱크 몸체
720: 고유 이용물 수급부 730: 기본 이용물 수급부

Claims (1)

  1. 선체;
    상기 선체의 상측면 중 일부가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화물 탱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수용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화물 탱크의 운용에 이용되는 이용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용물 이송관;
    상기 선체의 상측면에 상기 이용물 이송관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탱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화물 탱크의 고유한 운용에 이용되는 고유 이용물을 공급하는 고유 이용물 공급부; 및
    상기 화물 탱크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유 이용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고유 이용물을 공급받는 고유 이용물 수급부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90063240A 2019-05-29 2019-05-29 선박 KR20200137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40A KR20200137231A (ko) 2019-05-29 2019-05-29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40A KR20200137231A (ko) 2019-05-29 2019-05-29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31A true KR20200137231A (ko) 2020-12-09

Family

ID=7378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40A KR20200137231A (ko) 2019-05-29 2019-05-29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2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66B1 (ko) 2000-05-19 2005-03-23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66B1 (ko) 2000-05-19 2005-03-23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다목적 화물선의 선창 배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550B2 (en) Power supply unit, power supply assembly, and water vehicle having a power supply unit or having a power supply assembly
JP2011148358A (ja) 船舶
US20140318434A1 (en) Versatile transport-delivery vessel system
US20190135379A1 (en) Method for conversion of a vessel for use as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y
ATE402053T1 (de) System und betreibsverfahren einer einrichtung zum verladen von containern
JP6603969B2 (ja) 船舶
KR20190119641A (ko) 연료 탱크의 이너팅 방법 및 부체
KR20200137231A (ko) 선박
KR20030090686A (ko) 선박 및 하역 시스템
US6877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fluids in containers
KR102652788B1 (ko) 액화가스 운반선
US20180134346A1 (en) Box shaped bilge keel
JP2006298179A (ja) 液体搬送用車両
JP2022077598A (ja) 浮体
KR20200107286A (ko) 하역 시스템
KR20120002212A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US2012018940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cean Freight Transportation
KR20160137205A (ko) 모듈형 선박
KR20120138029A (ko)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20090018272A (ko) 유조선의 카고 핸들링 시스템
US20080289560A1 (en) Submersible cargo container
KR20190112818A (ko) 선박
KR100774526B1 (ko) 해양 수송용 운반선
KR20140049995A (ko)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JP2022030752A (ja) Lng中継浮揚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