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286A - 하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286A
KR20200107286A KR1020190026182A KR20190026182A KR20200107286A KR 20200107286 A KR20200107286 A KR 20200107286A KR 1020190026182 A KR1020190026182 A KR 1020190026182A KR 20190026182 A KR20190026182 A KR 20190026182A KR 20200107286 A KR20200107286 A KR 2020010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unloading
hull
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화
강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286A/ko
Publication of KR2020010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floating containers, barges or othe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72Fluidi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하역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역시스템은, 선체 양측에 열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독립적으로 부유 가능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저장탱크를 항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저장탱크의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장치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역 시스템{Port cargo system}
본 발명은 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선의 경우 출발지에 도착하여 화물을 선적한 후에 도착지에 도착한 후 하역이 이루어지므로, 선적 또는 하역하는 기간 동안에는 배의 운항이 중단되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 배를 운항하지 못함으로 인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이 발생한다.
국제공개특허 제2016/140404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적 및 하역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 및 이를 구비한 하역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추진 시스템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에 외부로 열린 수용공간이 형성된 선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독립적으로 부유가 가능한 저장탱크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저장탱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선체에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선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는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선박, 상기 저장탱크를 항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저장탱크의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장치를 포함하는 선박화물 하역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이송수단은, 부유된 상기 저장탱크를 상기 항구로 끌어오는 예인선 또는 상기 저장탱크에 부착된 추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는 액체화물을 저장하고, 상기 하역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파이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역장치는 상기 저장장치를 육상에서 옮기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육상으로 하역된 저장탱크를 이송하는 육상 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구는 상기 저장탱크를 적치하는 저장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저장탱크에서 상기 화물을 꺼내어 이송하는 육상 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이 직접 항구에 접안하지 않아도 선적 및 하역이 가능하므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저장탱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비한 하역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이를 구비한 하역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110), 저장탱크(120) 및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선박(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선박(100)을 움직이는 추진 시스템(미도시)을 구비한다. 선체(110)에는 적어도 한 쪽에 외부로 열린 수용공간(112)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체(110)에는 복수의 수용공간(112)이 형성된다. 이 때, 선박(100)의 양 측면에 외부로 열린 복수의 수용공간(112)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수와 선미 사이의 공간이 좌우로 분할되고, 좌우로 분할된 공간이 횡으로 가로지르는 격벽(111)에 의해 다시 분할될 수 있다.
저장탱크(120)는 화물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선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삽입되고, 독립적으로 부유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저장탱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장탱크(12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선체(11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용공간(112)에 나누어져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수용공간(112)에 복수의 저장탱크(1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순서 또는 해제되어 분리되는 순서는, 좌우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난 저장탱크(120)의 번호는 6개의 저장탱크(120)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순서를 예시한 것이다. 선체(110)의 좌우를 번갈아 가며 저장탱크(120)를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선체(110)의 무게중심이 급격히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120)는, 화물을 보관하는 공간(124)과 더불어, 독립적으로 부유가 가능하도록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장치(122)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미도시)는 수용공간(112)에서 저장탱크(120)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이 때, 저장탱크(120)와 선체(110)가 일체로 결합되어 선체(110)에 과도한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결합부는 선체(110)에 대한 저장탱크(120)의 상대적 움직임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는 선체(110)에 대한 저장탱크(120)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힌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비한 하역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을 구비한 하역 시스템은, 상술한 선박(100), 저장탱크(120)를 항구(5)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저장탱크(120)의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장치를 포함한다.
이 때, 저장탱크(120)를 수상에서 이송하는 이송수단은, 부유된 저장탱크(120)를 항구(5)로 끌어오는 예인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으로 저장탱크(120)에 부착된 추진기가 사용될 수 있다.
항구(5)로 이송된 저장탱크(120)가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경우에, 저장탱크(120)에서 직접 파이프 라인(210)을 연결하여 액체화물을 사용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20)를 그대로 육상 운송장치(220)로 이송할 수도 있다. 하역장치는 저장장치를 육상에서 옮기는 크레인(미도시)을 포함하고, 트레일러과 같은 육상 운송장치(220)가 육상으로 하역된 저장탱크(120)를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다.
한편, 항구(5)에 저장영역(6)을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저장영역(6)에서 화물을 꺼내어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항구(5)에는 저장탱크(120)를 적치하는 저장영역(6)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영역(6)에 저장된 저장탱크(120)에서 화물을 꺼내어 육상 운송장치(230)가 사용처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화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20)와 탱크로리 사이를 이송 파이프(235)로 연결하여 액체화물을 옮겨 담을 수 있다.
상술한 하역 시스템을 이용하면 선박이 직접 항구에 접안하지 않아도 하역이 가능하므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선적도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선적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 항구 100: 선박
110: 선체 112: 수용공간
120: 저장탱크 122: 밸러스트 장치

Claims (4)

  1. 선체 양측에 열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독립적으로 부유 가능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상기 저장탱크를 항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저장탱크의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장치를 포함하는 하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부유된 상기 저장탱크를 상기 항구로 끌어오는 예인선 또는 상기 저장탱크에 부착된 추진기를 포함하는 하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액체화물을 저장하고,
    상기 하역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파이프 라인을 포함하는 하역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장치는, 상기 저장장치를 육상에서 옮기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육상으로 하역된 저장탱크를 이송하는 육상 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하역 시스템.
KR1020190026182A 2019-03-07 2019-03-07 하역 시스템 KR20200107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82A KR20200107286A (ko) 2019-03-07 2019-03-07 하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82A KR20200107286A (ko) 2019-03-07 2019-03-07 하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86A true KR20200107286A (ko) 2020-09-16

Family

ID=7266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182A KR20200107286A (ko) 2019-03-07 2019-03-07 하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2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04A (ko) 2015-05-28 2016-12-07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차륜용 베어링 장치의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04A (ko) 2015-05-28 2016-12-07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차륜용 베어링 장치의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02499A3 (en)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cargo
JP2011148358A (ja) 船舶
JP7193250B2 (ja) 船舶
JP6471171B2 (ja) コールドボックス装置およびコールドボックスシステム
CN110642217A (zh) Lng运输和配送的系统和方法
US6877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fluids in containers
KR20200107286A (ko) 하역 시스템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JP2022171622A (ja) 液化ガスを貯蔵するためのタンクを備えたロールオン・ロールオフ船
WO2014013584A1 (ja) 船舶
US5862770A (en) Sea-based transportation and load handling system
JP7442965B2 (ja) 船舶の製造方法
JP2012153334A (ja) 船舶
US874705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cean freight transportation
KR20120002213A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MXPA97002790A (en) Cargo transportation and handling system based on the
KR20160137194A (ko) 해상 부유식 항만
JP2002316688A (ja) 貨物船
US20020124784A1 (en) Re-use of vessels for transporting deck payloads
JP2022111653A (ja) 船舶
RU2149122C1 (ru) Плавсредство - баркон
KR20150024508A (ko) 원유의 외내해 분리수송시스템
RU2112691C1 (ru) Танкер
JP2022171598A (ja) 液化ガスを貯蔵するためのタンクを備えるロールオン/ロールオフ船舶
RU2155695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тримаран и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раз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