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194A - 해상 부유식 항만 - Google Patents

해상 부유식 항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194A
KR20160137194A KR1020150071974A KR20150071974A KR20160137194A KR 20160137194 A KR20160137194 A KR 20160137194A KR 1020150071974 A KR1020150071974 A KR 1020150071974A KR 20150071974 A KR20150071974 A KR 20150071974A KR 20160137194 A KR20160137194 A KR 2016013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argo
module
ship
harb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돈
김준우
정영수
강윤호
배경섭
최재필
김순식
박찬송
손호익
이주영
박수연
김현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194A/ko
Publication of KR2016013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항만으로서, 대륙간 또는 국가간의 화물을 운송함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하며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하여 육지 항구 간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빠른 시간에 해상으로 운송할 수 있는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해상 부유식 항만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해상 부유식 항만 {Harbor for floating type on the sea}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항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륙간 또는 국가간의 화물을 운송함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하면서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하여 육지에 위치된 육지 항구 간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이용되는 선박이 대형화되는 추세인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구를 새로이 건설하려면 많은 경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항구 건설을 위해서는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이밖에도 많은 컨테이너를 야적시키기 위한 넓은 토지 및 부대 시설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환경파괴문제로 인해 대형 항구의 설치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컨테이너 항구의 화물량이 많아질수록, 항구 근처의 도로는 교통 체증이 유발되며, 먼 곳까지 이동하는 트레일러는 고속도로 및 국도의 주 파손 원인이 되어 막대한 비용을 국가나 지방단체에 부담시키게 된다.
종래 항만 시스템의 다양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대형 선박을 육지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 해상의 부유식 항구에 접안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화물을 더욱 빠르게 하역할 수 있는 부유식 이동 항구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시되고 있는 부유식 이동 항구는 단순히 육지 항구를 인근 해역으로 이동시킨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21984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870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부유식 해상 항구의 해상 화물 터미널을 통해 대륙간 또는 원거리 국가간 육지 항구로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항만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를 육지에 건설함에 따라 상당한 규모의 부지와 부대 시설이 필요한 문제나 환경 파괴가 발생되는 문제 등 다양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를 고려하여 해양 부유식 항만에 화물을 취합 및 분배하고 저장하는 시설을 구비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빠른 시간에 운송할 수 있는 해상 항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은, 개별 화물 또는 개별화물이 패키지화된 화물 모듈을 저장하는 저장 영역; 파도의 범실을 방지하기 위해 외각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격벽; 및 개별 화물 또는 화물 모듈을 상기 저장 영역으로 입출입시키기 위해 상기 격벽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포함하는 항만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이 접안 가능한 모듈선 접안 시설; 및 화물 모듈로 모듈선 선박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모듈선 구성 시설을 포함하는 모듈선 항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이 접안 가능한 일반 선박 접안 시설; 및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거나 개별 화물을 화물 모듈로 조립하는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이 배치된 화물 분기 시설을 포함하는 일반 선박 항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저장 영역과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간에 개별 화물 또는 화물 모듈을 이송하는 화물 이송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물 이송 영역은, 상기 격벽의 내측과 상기 저장 영역의 외각 테두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일정 간격의 해상 이격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상기 화물 이송 영역은,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사이의 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항만 본체의 일측에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는 일정 간격의 해상 이격 거리를 두고 위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해상에 부유하면서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해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는 자동위치 유지장치(DPS;  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해상 상에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해저면에 고정되는 잭업리그(Jack-up rig)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간의 화물 모듈 또는 개별 화물의 이동을 관제하는 관제 시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유식 해상 항구의 해상 화물 터미널을 통해 대륙간 또는 원거리 국가간 육지 항구로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해상 항만에서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를 고려하여 해양 부유식 항만에 화물을 취합 및 분배하고 저장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빠른 시간에 운송할 수 있는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항만 본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일반 선박 항만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모듈선 항만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모듈선 항만에 적용되는 모듈선 선박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 화물 운송 프로세스의 개념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을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면서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하여 육지에 위치된 육지 항구 간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을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을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한 실시예를 먼저 살펴보고, 이들 각 구성을 결합한 해양 부유식 항만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항만 본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항만 본체(110a)는 해양에 부유하는 시설로서, 여기서 항만 본체(110a)를 이루는 구성 이외의 부분은 해양을 나타낸다.
항만 본체(110a)는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 영역(111a), 저장 영역(111a)의 외각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격벽(115a) 및 저장 영역(111a)으로 화물을 입출입시키기 위해 격벽(115a) 상에 형성된 게이트(117a)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영역(111a)은 화물 모듈(250)을 저장하는 영역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개별 화물로서 소형 화물이나 컨테이너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화물 모듈(250)이란 개별 화물을 패키지화시켜 모듈선 선박의 선체 일부를 구성시키는 모듈을 의미하며, 모듈선 선박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영역(111a)은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화물의 출발지, 목적지, 화물량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각 구역별로 화물이 저장될 수 있다.
항만 본체(110a)는 해상에 위치되는 부유식이므로 저장 영역(111a)으로 파도의 범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 높이로 저장 영역(111a)의 외각 테두리를 따라 격벽(1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 영역(111a) 상으로 개별 화물 또는 화물 모듈(250)을 입출입시키기 위해서 격벽(115a) 상에는 복수개의 게이트(117a)가 형성된다.
상기 도 1의 (a)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a)의 경우에는 게이트(117a)가 해상에 형성되며, 게이트(117a)를 따라 저장 영역(111a) 안쪽으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로를 통해 개별 화물 또는 화물 모듈(250)을 저장 영역(111a)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항만 본체(110a)는 일반 선박이나 모듈선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거나 선적하는 시설과는 일정 거리의 해상을 두고 이격되어 화물을 이송하는 화물 이송 영역이 해상 경로로 형성되며, 상기 화물 이송 경로를 따라 게이트(117a)와 상기 유입로를 통해 저장 영역(111a)으로 화물을 이동시킨다. 즉, 상기 도 1의 (a)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a)와 일반 선박이나 모듈선 선박의 접안 시설은 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별개로 부유하는 구성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항만 본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1의 (b)를 살펴보면, 상기 도 1의 (b)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b)도 해양에 부유하는 시설로서,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 영역(111b), 외각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격벽(115a) 및 저장 영역(111a)으로 화물을 입출입시키기 위해 격벽(115a) 상에 형성된 게이트(117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의 (b)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b)의 경우에는, 일반 선박이나 모듈선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거나 선적하는 시설과 항만 본체(110b)가 직접 연결되어 게이트(117a)를 통해 화물들을 저장 영역(111b)으로 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물을 이송하는 화물 이송 영역(130b)이 격벽(115b)의 내측과 저장 영역(111b)의 외각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도 1의 (b)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b)는 일반 선박이나 모듈선 선박의 접안 시설과 직접 연결되어 이들 구성이 하나의 일체화된 항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일반 선박 항만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 선박 항만(150)은 해상에 부유하며 일반 선박의 화물 운송을 위한 시설로서, 일반 선박(300)을 접안시키는 일반 선박 접안 시설(151)과 일반 선박(300)에 개별 화물(350)을 하역하거나 선적하기 위한 화물 분기 시설(15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선박 접안 시설(151)은 선박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접안 시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가령 소형 화물선이 접안 가능한 접안 시설과 대형 컨테이너선이 접안 가능한 접안 시설 등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물 분기 시설(155)에는 일반 선박(300)에서 개별 화물(350)을 하역하거나 선적하기 위한 다양한 시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거나 개별 화물을 화물 모듈로 조립하는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앞서 살펴본 저장 영역의 공간 활용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 저장 영역에는 모든 화물을 화물 모듈(250)로 저장하고, 이를 위해 저장 영역으로부터 일반 선박(300)으로 화물 모듈(250)이 운송되는 경우, 화물 분기 시설(155)에서 화물 모듈(250)을 개별 화물(350)로 분해하며, 일반 선박(300)에서 하역된 개별 화물(350)을 저장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화물 분기 시설(155)에서 개별 화물(350)을 화물 모듈(250)로 조립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모듈선 항만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3의 (a)는 앞서 상기 도 1의 (a)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a)와 연계되는 모듈선 항만(170a)에 대한 실시예로서, 항만 본체(110a)와는 일정 거리의 해상 이격 거리를 두고 독자적으로 부유하는 구성이다.
모듈선 항만(170a)은 모듈선 선박이 접안 가능한 모듈선 접안 시설(171a)과 화물 모듈(250)로 모듈선 선박(200)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모듈선 구성 시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a)에서는 복수의 모듈선 접안 시설(171a)이 연결 프레임(175a)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고정되는데, 여기서 연결 프레임(175a)은 화물 모듈(250)이 통과할 수 있는 지상 높이 또는 해상 아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듈선 접안 시설(171a)에는 모듈선 선박(200)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모듈선 구성 시설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모듈선 항만(170a)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듈선 선박을 살펴보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모듈선 항만에 적용되는 모듈선 선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모듈선 선박(200a)의 경우 쌍둥선 프레임(210a)의 중간으로 각 모듈(250a)을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복수의 화물 모듈(250a)이 쌍둥선 프레임과 체결됨으로써 선체가 형성되는 모듈선 선박이다.
그리고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모듈선 선박(200b)의 경우 메인 프레임(210b)의 양측으로 각 모듈(250b)이 삽입되어 복수의 모듈(250b)이 메인 프레임과 체결됨으로써 선체가 형성되는 모듈선 선박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모듈선 선박이 적용 가능한데, 본 발명은 모듈선 선박을 이용할 수 있는 해상 부유식 항만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모듈선 선박 자체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모듈선 선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듈선 접안 시설(171a)에 설치되는 상기 모듈선 구성 시설은, 상기 도 4의 (a)와 같은 모듈선 선박(200a)의 경우 쌍둥선 프레임(210a)의 중간으로 각 화물 모듈(250a)을 순차적으로 삽입시켜서 모듈선 선박(200a)을 구성 가능하도록 쌍둥선 프레임(210a)의 지지 시설과 쌍둥선 프레임(210a)의 중간으로 화물 모듈(250a)을 이송시키는 이송 시설 및 체결 시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의 (b)와 같은 모듈선 선박(200b)의 경우 메인 프레임(210b)의 지지 시설과 메인 프레임(210b)의 양측으로 각 모듈(250b)을 삽입시키는 이송 시설 및 체결 시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선 항만(170a)은 모듈선 접안 시설(171a)과 모듈선 구성 시설(미도시)을 구비하여 해상에서 모듈선 선박을 생성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3으로 회귀하여 모듈선 항만(170a)에 대하여 계속 살펴보면, 모듈선 항만(170a)은 항만 본체(110a)와 해상에서 이격되므로 화물 모듈(250)이 모듈선 항만(170a)과 항만 본체(110a) 사이의 해상을 통해 이송되는데, 이때 화물 모듈(250)을 이송 선박을 통해 이송할 수도 있으나 화물 모듈(250) 자체가 이동 수단을 구비하여 화물 모듈(250)이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화물 모듈(250)이 해상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모듈선 항만(170a)에는 해상 이동로(175a)가 형성된다.
모듈선 항만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3의 (b)는 앞서 상기 도 1의 (b)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b)와 연결되는 모듈선 항만(170b)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모듈선 항만(170b)은 상기 도 1의 (b)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b)의 일측에 직접 연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으며, 모듈선 항만(170b)과 항만 본체(110b)의 체결 구조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모듈선 항만(170b)은 앞서 상기 도 3의 (a)를 통해 살펴본 모듈선 항만(170a)과 유사하므로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모듈선 항만(170b)은 항만 본체(110b)의 일측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화물 모듈(250)이 항만 이동로(175b)를 통해 이동된다. 이때 화물 모듈(250)을 차량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화물 모듈(250) 자체가 이동 수단을 구비하여 화물 모듈(250)이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살펴본 항만 본체(110a, 110b)에 일반 선박 항만(150)과 모듈선 항만(170a, 170b)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연계시켜 해상 부유식 항만을 형성시키는데, 이하에서 다양한 해상 부유식 항만의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해상 부유식 항만(100a)은, 상기 도 1의 (a)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a), 상기 도 2에 도시된 일반 선박 항만(150) 및 상기 도 3의 (a)에 도시된 모듈선 항만(170a)을 조합하여 연계시킨 경우이다.
항만 본체(110a)를 중심으로, 우측 해상 이격 거리를 두고 모듈선 항만(170a)이 연계되고, 또한 좌측 해상 이격 거리를 두고 일반 선박 항만(150)이 연계된다.
이때, 항만 본체(110a)와 모듈선 항만(170a) 사이의 해상 이격 공간, 항만 본체(110a)와 일반 선박 항만(150) 사이의 해상 이격 공간이 화물 이송 영역(120a)이 된다.
항만 본체(110a)를 중심으로 양측에 모듈선 항만(170a)과 일반 선박 항만(150)이 연계됨으로써 항만 본체(110a)와 모듈선 항만(170a)을 통한 화물 모듈(250)의 운송과 항만 본체(110a)와 일반 선박 항만(150)을 통한 개별 화물(350)의 운송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실시예의 화물 운송 프로세스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의 모듈선 항만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 화물 운송 프로세스의 개념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항만 본체(110a)와 모듈선 항만(170a) 간의 화물 운송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모듈선 선박(200)이 모듈선 항만(170a)에 접안하여 모듈선 선박(200)의 해체로 화물 모듈(250)이 분리되면, 화물 모듈(250)은 해상인 화물 이송 영역(120a)을 통해 항만 본체(110a)의 게이트(117a)로 이동되고, 게이트(117a)를 통과하여 바닷물이 유입된 유입로를 따라 저장 영역(111a) 상의 저장될 위치까지 이동되어 해당 위치에 저장된다.
또한 역으로 모듈선 선박(200)에 선적될 화물 모듈(250)은 저장 영역(111a)에서 추출되어 상기 유입로를 따라 게이트(117a)를 통과하여 모듈선 항만(170a)으로 이동되며, 모듈선 항만(170a)에서 해당 화물 모듈(250)을 체결하여 화물 모듈(250)이 선체를 형성하는 모듈선 선박(200)을 조립한다.
다음으로 항만 본체(110a)와 일반 선박 항만(150) 간의 화물 운송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일반 선박(300)이 일반 선박 항만(150)에 접안하여 개별 화물(350)을 하역하면, 일반 선박 항만(150)에서 개별 화물(350)을 패키지화하여 화물 모듈(250)로 조립한다. 그리고 생성된 화물 모듈(250)은 해상인 화물 이송 영역(120a)을 통해 항만 본체(110a)의 게이트(117a)로 이동되고, 게이트(117a)를 통과하여 바닷물이 유입된 유입로를 따라 저장 영역(111a) 상의 저장될 위치까지 이동되어 해당 위치에 저장된다.
또한 역으로 일반 선박(300)에 선적될 개별 화물을 포함하는 화물 모듈(250)은 저장 영역(111a)에서 추출되어 상기 유입로를 따라 게이트(117a)를 통과하여 일반 선박 항만(150)으로 이동되며, 일반 선박 항만(150)에서 해당 화물 모듈(250)을 개별 화물(350)로 해체하여 개별 화물(350)이 일반 선박(300)에 선적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항만 본체(110a)와 상기 모듈선 항만(170a)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150) 간의 화물 모듈 또는 개별 화물의 이동을 관제하는 관제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 시설은 해상 부유식 항만(100a)에서의 화물 이동을 전체적으로 관제하는 시설로서, 화물의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등의 정보와 화물 종류, 화물량 등의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화물 모듈과 개별 화물 간의 조립 및 해체, 모듈선 선박과 화물 모듈 간의 조립 및 해체, 일반 선박의 개별 화물 하역 및 선적 등 화물 운송에 대한 스케줄을 생성하고, 각각의 스케줄에 따라 해상 부유식 항만(100a)에서의 화물 이동을 관할한다.
나아가서 항만 본체(110a), 모듈선 항만(170a) 및 일반 선박 항만(150)은 해상에 부유하면서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체적인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가령 상기 이동 수단은 임펠러와 동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항만 본체(110a), 모듈선 항만(170a) 및 일반 선박 항만(150)는 상호 거리를 유지하면서 위치되어야 하므로 해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는 자동위치 유지장치(DPS;  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상 상에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해저면에 고정되는 잭업리그(Jack-up rig)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해상 부유식 항만(100b)은, 상기 도 1의 (b)에 도시된 항만 본체(110b), 상기 도 2에 도시된 일반 선박 항만(150) 및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모듈선 항만(170b)을 조합하여 연계시킨 경우이다.
항만 본체(110b)를 중심으로, 우측에 모듈선 항만(170b)이 연결되고, 좌측에 일반 선박 항만(150)이 연결되어, 하나의 일체화된 해상 부유식 항만(10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100b)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100a)과 유사하나,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100b)에서는 항만 본체(110b)와 모듈선 항만(170b) 및 일반 선박 항만(150)이 직접 연결되어, 화물 이송 영역(120b)이 항만 본체(110b)의 격벽(115b) 내측과 저장 영역(111b)의 외각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항만 본체(110b)에 형성된 화물 이송 영역(120b)을 통해 화물 이동이 이루어지며, 화물 운송 프로세스는 앞서 상기 도 6을 통해 유추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은 항만 본체(110a, 110b)를 중심으로 일반 선박 항만(150)과 모듈선 항만(170a, 170b) 중 어느 한가지만을 연계시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8의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의 (a)에 따른 항만 본체(110a)에 상기 도 2에 따른 일반 선박 항만(150)만을 연계시킨 경우로서, 이와 같은 경우 모듈선 선박(200)을 적용하지 않고 일반 선박(300)만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해상 허브 기능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 8의 제3 실시예는 상기 도 1의 (b)에 따른 항만 본체(110b)에 상기 도 2에 따른 일반 선박 항만(150)만을 연결시킨 경우로 변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 9의 제4 실시예는 상기 도 1의 (a)에 따른 항만 본체(110a)에 상기 도 3의 (a)에 따른 모듈선 항만(170a)을 연계시킨 경우로서, 이와 같은 경우 모듈선 선박(200)만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해상 허브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또한 상기 도 1의 (b)에 따른 항만 본체(110b)에 상기 도 3의 (b)에 따른 모듈선 항만(170b)을 연결시킨 경우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을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의 개념도를 도시하며, 상기 도 10을 통해 본 발명을 적용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100)은 해상에 위치되어 육지의 항만들로부터 화물 운송을 중계하는데, 상기 도 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만(100)이 서로 다른 해양 상에 3군데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해상 부유식 항만이 해양 상에 위치될 수도 있고 또는 대양별, 대륙별, 또는 물류 운송의 량에 따라 다수의 해양 부유식 항만이 각기 다른 해양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각 해양 부유식 항만(100)은 연계된 각 육지 항만(10a 내지 10f)의 화물 운송을 통합 중계하는데, 가령 상기 도 10에서 해양 부유식 항만(100) 간 실선으로 도시된 경로는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되며, 해양 부유식 항만(100)과 육지 항만(10a 내지 10f) 간 점선으로 도시된 경로는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된다.
즉, 각 육지 항만(10a 내지 10f)의 출발지로부터 운송되는 화물을 해당 해양 부유식 항만(100)에서 취합하여 보관하면서 해당 화물들의 목적지인 각 육지 항만(10a 내지 10f)에 각각 맞춰서 해양 부유식 항만(100)에서 화물을 분해하여 각 육지 항만(10a 내지 10f)으로 화물을 운송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해양 부유식 항만(100)이 연계된 각 육지 항만(10a 내지 10f) 간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초로 여러 해양 부유식 항만(100)을 경유하여 화물을 운송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식 항만을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형성시킴으로써 화물 운송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라 해상에서 화물 분류를 수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빠른 시간에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 해상 부유식 항만,
110a, 110b : 항만 본체,
111a, 111b : 저장 영역,
115a, 115b : 격벽,
120a, 120b : 화물 이송 영역,
150 : 일반 선박 항만,
151 : 일반 선박 접안 시설,
155 : 화물 분기 시설,
170a, 170b : 모듈선 항만,
171a, 171b : 모듈선 접안 시설,
200, 200a, 200b : 모듈선 선박,
250, 250a, 250b : 화물 모듈,
300 : 일반 선박,
350 : 개별 화물.

Claims (12)

  1. 해상 부유식 항만에 있어서,
    개별 화물 또는 개별화물이 패키지화된 화물 모듈을 저장하는 저장 영역;
    파도의 범실을 방지하기 위해 외각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격벽; 및
    개별 화물 또는 화물 모듈을 상기 저장 영역으로 입출입시키기 위해 상기 격벽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포함하는 항만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2. 제 1 항에 있어서,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이 접안 가능한 모듈선 접안 시설; 및
    화물 모듈로 모듈선 선박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모듈선 구성 시설을 포함하는 모듈선 항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3.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이 접안 가능한 일반 선박 접안 시설; 및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거나 개별 화물을 화물 모듈로 조립하는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이 배치된 화물 분기 시설을 포함하는 일반 선박 항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과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간에 개별 화물 또는 화물 모듈을 이송하는 화물 이송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 영역은,
    상기 격벽의 내측과 상기 저장 영역의 외각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일정 간격의 해상 이격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상기 화물 이송 영역은,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사이의 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본체의 일측에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의 일측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는 일정 간격의 해상 이격 거리를 두고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해상에 부유하면서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해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는 자동위치 유지장치(DPS;  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1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은,
    해상 상에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해저면에 고정되는 잭업리그(Jack-up rig)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12.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본체와 상기 모듈선 항만 또는 상기 일반 선박 항만 간의 화물 모듈 또는 개별 화물의 이동을 관제하는 관제 시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만.
KR1020150071974A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만 KR20160137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74A KR20160137194A (ko)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74A KR20160137194A (ko)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94A true KR20160137194A (ko) 2016-11-30

Family

ID=5770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974A KR20160137194A (ko)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1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148A (ko) * 2017-03-27 2018-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계류 시스템
KR20220006968A (ko) * 2020-07-09 2022-01-1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륜형 부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148A (ko) * 2017-03-27 2018-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계류 시스템
KR20220006968A (ko) * 2020-07-09 2022-01-1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륜형 부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235B1 (en) Convoy of towed ocean going cargo vessels and method for shipping across an ocean
JP2003531074A (ja) 自立式コンテナ船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JP2011148358A (ja) 船舶
JPS62210200A (ja) 宇宙ロケツトの洋上打上げシステム
Visser et al. A new hinterland transport concept for the port of Rotterdam: organisational and/or technological challenges?
KR20160137194A (ko) 해상 부유식 항만
KR101713500B1 (ko) 통합 복합수송 부유식 터미널
WO2008068504A2 (en) Floating port and method of use
Krause et al. Development of an advanced, efficient and green intermodal system with autonomous inland and short sea shipping-AEGIS
KR20160137186A (ko)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CN112978167B (zh) 用于将标准化的仓储货物储存在高架仓库中的装置
CN104010938A (zh) 带有用于集装箱的堆装装置的船舶
KR10173560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904618B1 (ko)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CN117222577A (zh) 货柜堆叠协助装置、具有货柜堆叠协助装置的货柜载具及货柜装载和卸除方法
CN105813937A (zh) 滚装渡船和多坡道码头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US5862770A (en) Sea-based transportation and load handling system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KR20100072798A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Smith Understanding the Maritime Transport Ecosystem
KR102166802B1 (ko) 탱커 건조 방법
Morrison et al. Decoupling (un) loading operations from the land-sea interface in port service: the mobile floating port concept
MXPA97002790A (en) Cargo transportation and handling system based on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