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186A -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186A
KR20160137186A KR1020150071949A KR20150071949A KR20160137186A KR 20160137186 A KR20160137186 A KR 20160137186A KR 1020150071949 A KR1020150071949 A KR 1020150071949A KR 20150071949 A KR20150071949 A KR 20150071949A KR 20160137186 A KR20160137186 A KR 20160137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hip
module
individua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돈
김준우
정영수
강윤호
배경섭
최재필
김순식
박찬송
손호익
이주영
박수연
김현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186A/ko
Publication of KR2016013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G06Q50/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으로서, 대륙간 또는 국가간의 화물을 운송함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하며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한 공통 항구를 통해 육지에 위치된 개별 항구 간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을 화물을 빠른 시간에 운송할 수 있는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Harbor system for floating type on the sea}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륙간 또는 국가간의 화물을 운송함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하며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한 공통 항구를 통해 육지에 위치된 개별 항구 간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항만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이용되는 선박이 대형화되는 추세인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구를 새로이 건설하려면 많은 경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항구 건설을 위해서는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이밖에도 많은 컨테이너를 야적시키기 위한 넓은 토지 및 부대 시설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환경파괴문제로 인해 대형 항구의 설치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컨테이너 항구의 화물량이 많아질수록, 항구 근처의 도로는 교통 체증이 유발되며, 먼 곳까지 이동하는 트레일러는 고속도로 및 국도의 주 파손 원인이 되어 막대한 비용을 국가나 지방단체에 부담시키게 된다.
종래 항만 시스템의 다양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대형 선박을 육지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 해상의 부유식 항구에 접안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화물을 더욱 빠르게 하역할 수 있는 부유식 이동 항구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시되고 있는 부유식 이동 항구는 단순히 육지 항구를 인근 해역으로 이동시킨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21984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870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부유식 해상 항구의 해상 화물 터미널을 통해 대륙간 또는 원거리 국가간 육지 항구로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항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를 육지에 건설함에 따라 상당한 규모의 부지와 부대 시설이 필요한 문제나 환경 파괴가 발생되는 문제 등 다양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대양별로 다수의 부유식 해상 항구를 구축함으로써 화물 운송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라 해상에서 화물 분류를 수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빠른 시간에 운송할 수 있는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은, 육지에 위치되며, 선박 접안 시설이 구비된 복수의 개별 항구; 및 해상에 부유하며,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항구 간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공통 항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 항구는, 하나 이상의 개별 화물을 패키징한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이 접안 가능한 외항 선박 접안 시설; 및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이 접안 가능한 내항 선박 접안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물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초로 화물 모듈 및 개별 화물의 운송을 스케줄링하는 운송 스케줄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는, 상기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를 기초로 개별 화물을 취합하여 화물 모듈을 조립하거나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여, 상기 모듈선 선박 또는 상기 일반 선박의 선적과 운항 계획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공통 항구는,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거나 개별 화물을 화물 모듈로 조립하는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이 배치된 화물 분기 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의 스케줄링을 기초로 상기 화물 분기 시설은 화물 모듈을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선 선박은 복수의 화물 모듈이 결합되어 선체를 구성하며, 상기 외항 선박 접안 시설은, 복수의 화물 모듈을 결합하여 모듈선 선박을 형성하거나 모듈선 선박의 화물 모듈을 분리하여 모듈선 선박을 해체하는 모듈선 구성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 항구는, 해상에 부유하면서 해양에서 상기 공통 항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통 항구는, 해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 항구의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는 자동위치 유지장치(DPS;  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통 항구는, 해저면에 상기 공통 항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잭업리그(Jack-up rig)를 구비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서로 다른 해양 상에 부유하는 복수개의 공통 항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항구 간은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되고, 상기 공통 항구와 상기 개별 항구 간은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유식 해상 항구의 해상 화물 터미널을 통해 대륙간 또는 원거리 국가간 육지 항구로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항만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대양별로 다수의 부유식 해상 항구를 구축함으로써 화물 운송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라 해상에서 화물 분류를 수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빠른 시간에 운송할 수 있는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을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의 개념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공통 항구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듈선 선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공통 항구에서 화물 분기 프로세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공통 항구에서 화물 분기 프로세스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을 통해 화물을 운송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을 통해 화물을 운송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대륙간 또는 국가간의 화물을 운송함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하며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한 공통 항구를 통해 육지에 위치된 개별 항구 간의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항만 시스템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은, 육지에 위치되며 선박 접안 시설이 구비된 복수의 개별 항구(10a 내지 10f)와 해상에 부유하면서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하여 복수의 개별 항구(10a 내지 10f) 간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가 서로 다른 해양 상에 3군데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공통 항구만이 해양 상에 위치될 수도 있고 또는 대양별, 대륙별, 또는 물류 운송의 량에 따라 다수의 공통 항구가 각기 다른 해양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개별 항구(10a 내지 10f)와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에 대하여 좀더 살펴보자면, 개별 항구는(10a 내지 10f)는 육지에 설치되는 항구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만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그에 따른 구성들이 새롭게 구축된 항구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존에 육지에 구축된 각종 항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화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송하기 위해서 모듈선 선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모듈선 선박이 접안하기 위한 접안 시설과, 화물 모듈로 모듈선 선박을 구성시키기 위한 모듈선 구성 시설이 개별 항구(10a 내지 10f)에 새롭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듈선 선박에 대해서는 이후에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는, 개별 항구(10a 내지 10f) 간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기 위한 각종 시설이 구비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모듈선 선박이나 일반 선박이 접안 할 수 있는 접안 시설 및 개별 화물과 화물 모듈 간을 조립, 분해하는 시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통 항구를 통해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이를 위해서 화물의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를 기초로 화물 모듈 및 개별 화물의 운송과 보관을 스케줄링하는 운송 스케줄링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는, 화물의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를 기초로 개별 화물을 취합하여 화물 모듈을 조립하거나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는 화물 스케줄링과 상기 모듈선 선박 또는 상기 일반 선박의 선적과 운항 계획에 대한 운항 스케줄링을 생성하고, 각 스케줄링에 따라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의 각 시설들이 유기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통 항구를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는, 화물 운송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며, 컴퓨팅 장치의 연산으로 다양한 경우에서 최적의 해상 화물 운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설립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의 컴퓨팅 장치와 개별 항구(10a 내지 10f)의 컴퓨팅 장치가 상호 연동하여 해상 화물 운송을 취합하고 분배하는 스케줄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 시스템을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의 개념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을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의 개념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각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는 연계된 각 개별 항구(10a 내지 10f)의 화물 운송을 통합 중계하는데, 가령 상기 도 2에서 공통 항구(10a 내지 10f) 간 실선으로 도시된 경로는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되며, 공통 항구(10a 내지 10f)와 개별 항구(10a 내지 10f) 간 점선으로 도시된 경로는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화물 운송 루트는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에 의해 계획될 수 있다.
즉, 각 개별 항구(10a 내지 10f)의 출발지로부터 운송되는 화물을 해당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에서 취합하여 보관하면서 해당 화물들의 목적지인 개별 항구(10a 내지 10f)에 각각 맞춰서 해당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에서 화물을 분해하여 각 개별 항구(10a 내지 10f)로 화물을 운송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해당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가 연계된 각 개별 항구(10a 내지 10f) 간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초로 여러 공통 항구(100a 내지 100c)를 경유하여 화물을 운송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항구를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형성시킴으로써 화물 운송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라 해상에서 화물 분류를 수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빠른 시간에 운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공통 항구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공통 항구에 대한 일실시예를 통해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공통 항구(100)는, 하나 이상의 개별 화물을 패키징한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이 접안 가능한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 및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이 접안 가능한 내항 선박 접안 시설(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과 내항 선박 접안 시설(150) 간의 직접적인 연동으로 공통 항구(100)에 화물의 보관 과정을 거치지 않고 선박 간에 화물 하역과 선적이 곧장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화물 모듈이나 개별 화물을 임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저장 영역(110)이 공통 항구(100)에 형성되어, 저장 영역(110)을 거쳐서 화물들을 취합, 분배하여 화물 운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공통 항구(1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저장 영역(110)은 각종 개별 화물이나 화물 모듈을 보관 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화물의 출발지 또는 목적지에 따른 해양별, 대륙별, 국가별 등 다양한 조건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저장 영역(110)의 외각에는 로타리 형태로 화물 이송 영역(120)이 형성되며, 화물 이송 영역(120)을 통해 하역한 화물들이 저장 영역(110)으로 이동되고 선적할 화물들이 저장 영역(110)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은 모듈선 선박이 접안 가능한 모듈선 선박 접안 시설(171)이 설치되며, 모듈선 선박 접안 시설(171)은 화물 모듈을 결합하여 모듈선 선박의 선체를 구성시키거나 모듈선 선박의 화물 모듈을 분리하여 모듈선 선박을 해체하는 모듈선 구성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만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듈선 선박의 일례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모듈선 선박(200a)의 경우 쌍둥선 프레임(210a)의 중간으로 각 모듈(250a)을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복수의 모듈(250a)이 쌍둥선 프레임과 체결됨으로써 선체가 형성되는 모듈선 선박이다.
그리고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모듈선 선박(200b)의 경우 메인 프레임(210b)의 양측으로 각 모듈(250b)이 삽입되어 복수의 모듈(250b)이 메인 프레임과 체결됨으로써 선체가 형성되는 모듈선 선박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모듈선 선박이 적용 가능한데, 본 발명은 모듈선 선박을 이용할 수 있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모듈선 선박 자체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모듈선 선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상기 도 3으로 회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항구에 대하여 계속하여 살펴보면,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은 모듈선 선박에서 하역한 화물 모듈이나 모듈선 선박을 구성시킬 화물 모듈을 이송하는 화물 모듈 이송로(175)가 형성되며, 화물 모듈 이송로(175)는 화물 이송 영역(120)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내항 선박 접안 시설(150)은, 일반 선박이 접안 가능한 일반 선박 접안 시설(151)이 설치되며,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거나 개별 화물을 화물 모듈로 조립하는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이 배치된 화물 분기 시설(15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선박 접안 시설(151)은 다양한 일반 선박이 접안 가능하도록 선박 종류와 크기에 대응되는 다양한 접안 시설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설을 구비한 공통 항구(100)는 해상에 부유하면서 해양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수단은 공통 항구(100)의 하면이나 측면 하부 상에 배치되어 임펠러의 회전으로 공통 항구(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장치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선박 등의 해상 운항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동력 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공통 항구(100)는 해상에 부유하면서 선박들이 운항하기 위해서는 일정 위치가 유지되어야 하며, 선박들의 접안을 위해서는 일정 자세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해 공통 항구(100)은 해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는 자동위치 유지장치(DPS;  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서 공통 항구(100)가 해상에서 해류에 의해 표류하지 않고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위해서 공통 항구(100)는 그 하면에 공통 항구(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잭업리그(Jack-up rig)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항구에서 화물이 이송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례로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공통 항구에서 화물 분기 프로세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5는 모듈선 선박(200)에서 화물이 하역되어 공통 항구(100)를 통해 일반 선박(300)으로 화물이 선적되는 실시예로서, 상기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모듈선 선박(200)이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의 모듈선 선박 접안 시설(171)에 접안하면,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에 설치된 모듈선 구성 수단을 통해 모듈선 선박(200)의 해체로 화물 모듈(250)이 분리되어 이송되며, 화물 모듈(250)은 화물 이송 영역(120)을 통해 저장 영역(110)의 해당 저장 구역으로 이송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개별 항구로 이송될 화물을 포함하는 화물 모듈(250)이 저장 영역(110)에서 추출되어, 화물 이송 영역(120)을 통해 화물 분기 시설(155)로 이송되며, 화물 분기 시설(155)로 이송된 화물 모듈(250)은 화물 분기 시설(155)에 설치된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을 통해 개별 화물(350)로 분해되어 각각의 개별 화물(250)이 내항 선박 접안 시설(150)의 일반 선박 접안 시설(151)에 접안한 일반 선박(300)에 선적된다. 그리고 개별 화물(350)이 선적된 일반 선박(300)이 목적지 개별 항구로 운항하여 개별 화물(350)이 개별 항구까지 운송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의 공통 항구에서 화물 분기 프로세스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도 6은 일반 선박(300)에서 화물이 하역되어 공통 항구(100)를 통해 모듈선 선박(200)으로 화물이 선적되는 실시예이다.
내항 선박 접안 시설(150)의 일반 선박 접안 시설(151)에서 일반 선박(300)을 통해 개별 항구로부터 운송된 개별 화물(350)들이 하역되며, 화물 분기 시설(155)에 설치된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을 통해 개별 화물(350)들이 패키지화되어 모듈 화물(250)로 생성되고, 모듈 화물(250)은 화물 이송 영역(120)을 통해 저장 영역(110)의 해당 저장 구역으로 이송되어 보관된다.
운송될 화물 모듈(250)이 저장 영역(110)에서 추출되어, 화물 이송 영역(120)을 통해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의 모듈선 선박 접안 시설(171)로 이송되며, 외항 선박 접안 시설(170)에 설치된 모듈선 구성 수단을 통해 화물 모듈(250)들이 모듈선 프레임과 결합되어 모듈선 선박(2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운송할 화물 모듈(250)의 결합으로 형성된 모듈선 선박(200)이 목적지 개별 항구나 경유지 공통 항구로 운항하여, 해당 화물 모듈(250)이 개별 항구 또는 공통 항구까지 운송된다.
이와 같은 공통 항구(100)에서 수행되는 화물 분기 프로세스는 앞서 살펴본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에 의한 각종 스케줄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만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와 종래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비교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하나의 개별 항구(10a)로부터 다수의 개별 항구(10c,10d, 10f)로 화물을 운송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 시스템을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상기 도 7의 (b)는 종래기술을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항구(100)을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의 경우 출발지 개별 항구(10a)로부터 화물이 해상에 위치된 공통 항구(100)로 운송되며, 공통 항구(100)에서 화물들을 각 목적지별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각 목적지 개별 항구(10c, 10d, 10f)로 운항할 선박들에 해당 화물들을 선적하여 각 목적지 개별 항구(10c, 10d, 10f)로 화물이 운송된다.
그러나 상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라 화물을 해상으로 운송하는 경우에 출발지 개별 항구(10a)에서 각 목적지 개별 항구(10c, 10d, 10f)마다 개별적인 선박이 운항되게 되며, 이로 인해 화물이 대량인 경우 다수의 선박이 투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또는 해당 경로를 운항하는 선박의 선적 용량에 비해 운송 화물이 소량인 경우에 불필요한 운항 비용이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공통 항구(100)가 화물 운송을 분배하는 허브로서 기능함으로써, 하나의 출발지로부터 다수의 목적지로 향하는 화물들을 최소의 선박과 최소 운항 거리로 최적화시켜 운송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도 8은 다수의 개별 항구(10b, 10c)로부터 하나의 개별 항구(10e)로 화물을 운송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도 8의(a)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 시스템을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상기 도 8의 (b)는 종래기술을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상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항구(100)를 통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의 경우 다수의 출발지 개별 항구(10b, 10c)로부터 화물이 해상에 위치된 공통 항구(100)로 운송되어, 공통 항구(100)에서 화물들을 목적지에 따라 취합된다. 그리고 공통 항구(100)에서 하나의 목적지 개별 항구(10e)로 운항할 선박에 해당 화물들을 선적하여 하나의 목적지 개별 항구(10e)로 화물이 운송된다.
그러나 상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라 화물을 해상으로 운송하는 경우에 다수의 출발지 개별 항구(10b, 10c)에서 각각의 선박이 하나의 목적지 개별 항구(10e)를 향해 개별적으로 각각 운항되며, 이로 인해 각 출발지마다의 선박이 투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또는 해당 경로를 운항하는 선박의 선적 용량에 비해 운송 화물이 소량인 경우에 불필요한 운항 비용이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공통 항구(100)가 화물 운송을 취합하는 허브로서 기능함으로써, 다수의 출발지로부터 하나의 목적지로 향하는 화물들을 최소의 선박과 최소 운항 거리로 최적화시켜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항구(100)를 통해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형성시킴으로써 최소 선박 수와 최소 운항 거리로 화물 운송을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종래 원거리 대륙간 화물 운송을 위해 중간 육지 상에 경유지로서 허브 항구를 운영함에 따라 선박이 육지로의 입,출항에 따른 복잡한 과정과 인근 암초나 낮은 수심 등으로 인해 대형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지 않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해상에 부유한 공통 항구를 허브 항구로 운영함으로써 이와 같은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고 나아가서 최적화된 해상 화물 운송 네트워크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a 내지 10f : 개별 항구,
100, 100a 내지 100c : 공통 항구,
110 : 저장 영역,
120 : 화물 이송 영역,
150 : 내항 선박 접안 시설,
151 : 일반 선박 접안 시설,
155 : 화물 분기 시설,
170 : 외항 선박 접안 시설,
171 : 모듈선 선박 접안 시설,
175 : 화물 모듈 이송로,
200, 200a, 200b : 모듈선 선박,
250, 250a, 250b : 화물 모듈,
300 : 일반 선박,
350 : 개별 화물.

Claims (10)

  1. 육지에 위치되며, 선박 접안 시설이 구비된 복수의 개별 항구; 및
    해상에 부유하며, 선박 접안 시설과 화물 저장 시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항구 간 화물 운송을 통합하여 중계하는 공통 항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항구는,
    하나 이상의 개별 화물을 패키징한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이 접안 가능한 외항 선박 접안 시설; 및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이 접안 가능한 내항 선박 접안 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화물의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를 기초로 화물 모듈 및 개별 화물의 운송 및 보관을 스케줄링하는 운송 스케줄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는,
    상기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를 기초로 개별 화물을 취합하여 화물 모듈을 조립하거나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여, 상기 모듈선 선박 또는 상기 일반 선박의 선적과 운항 계획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항구는,
    화물 모듈을 개별 화물로 분해하거나 개별 화물을 화물 모듈로 조립하는 화물 모듈 구성 수단이 배치된 화물 분기 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스케줄링 장치의 스케줄링을 기초로 상기 화물 분기 시설은 화물 모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선 선박은 복수의 화물 모듈이 결합되어 선체를 구성하며,
    상기 외항 선박 접안 시설은,
    복수의 화물 모듈을 결합하여 모듈선 선박을 형성하거나 모듈선 선박의 화물 모듈을 분리하여 모듈선 선박을 해체하는 모듈선 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항구는,
    해상에 부유하면서 해양에서 상기 공통 항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항구는,
    해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 항구의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는 자동위치 유지장치(DPS;  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항구는,
    해저면에 상기 공통 항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잭업리그(Jack-up rig)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해양 상에 부유하는 복수개의 공통 항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항구 간은 화물 모듈을 운송하는 모듈선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되고,
    상기 공통 항구와 상기 개별 항구 간은 개별 화물을 운송하는 일반 선박을 통해 화물 운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KR1020150071949A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KR20160137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49A KR20160137186A (ko)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49A KR20160137186A (ko)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86A true KR20160137186A (ko) 2016-11-30

Family

ID=5770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949A KR20160137186A (ko) 2015-05-22 2015-05-22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1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360B2 (en) 2019-03-27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oating factory, operating method of manufacturing service device, and integrated produc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floating factory and manufacturing service device
KR102541998B1 (ko) 2022-08-24 2023-06-13 미래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구조물과 하부개방식 방파제
CN117361169B (zh) * 2023-11-14 2024-05-31 中交机电工程局有限公司 一种智能识别控制的无人装船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360B2 (en) 2019-03-27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oating factory, operating method of manufacturing service device, and integrated produc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floating factory and manufacturing service device
KR102541998B1 (ko) 2022-08-24 2023-06-13 미래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구조물과 하부개방식 방파제
CN117361169B (zh) * 2023-11-14 2024-05-31 中交机电工程局有限公司 一种智能识别控制的无人装船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235B1 (en) Convoy of towed ocean going cargo vessels and method for shipping across an ocean
CN100506636C (zh) 自主游动的商业集装箱
CN101508328A (zh) 用于海上运输系统的移动式港口
Ferreira et al. Swordfish: an autonomous surface vehicle for network centric operations
US20080210810A1 (en) Airship port operations
Rødseth Assessing business cases for autonomous and unmanned ships
Konings Hub-and-spoke networks in container-on-barge transport
Visser et al. A new hinterland transport concept for the port of Rotterdam: organisational and/or technological challenges?
Krause et al. Development of an advanced, efficient and green intermodal system with autonomous inland and short sea shipping-AEGIS
KR20160137186A (ko)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AU723398B2 (en) Self-sufficient container ship
JP2003292168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における無人搬送台車の運用方法
Abramowicz-Gerigk et al. Design and operational innovations in adapting the existing merchant river fleet to cost-effective shipping
KR20160137194A (ko) 해상 부유식 항만
KR20100033248A (ko)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KR20110017228A (ko)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US20020078873A1 (en)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ocean cargo
US115485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rine fueling from rail cars on a dock
Kanellopoulos et al. Automating vessels berthing, docking and stevedorage operations: The MOSES project
van Ham The feasibility of mega container vessels
Dávid Automation of handling systems in the container terminals of maritime ports
Konings et al. Terminals and the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barge transport
Vulovic Changing ship technology and port infrastructure implications
DE JUAN et al. MOSES PROJECT: ENHANCING SHORT SEA SHIPPING WITH AUTOMATED TECHNOLOGIES
KR102162557B1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