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921B1 - 액정 표시 장치, 화상 신호 보정 회로, 화상 신호 보정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화상 신호 보정 회로, 화상 신호 보정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921B1
KR100476921B1 KR10-2001-0075182A KR20010075182A KR100476921B1 KR 100476921 B1 KR100476921 B1 KR 100476921B1 KR 20010075182 A KR20010075182 A KR 20010075182A KR 100476921 B1 KR100476921 B1 KR 100476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column
difference
accumulato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169A (ko
Inventor
아오키도루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09G2320/0214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with crosstalk due to leakage current of pixel switch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는 화소의 농도에 대응하여 정보를 갖고, 상기 열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와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와 기준으로 되는 농도에 따른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 Ref의 차이를 구하는 감산기(322)와, 이 차를 열마다 1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하는 제 1 누산기 그룹(332) 및 제 2 누산기 그룹(334)과, 임의의 열에 대응하여 누산된 값에 따른 값을, 상기 열의 화상 신호 DV에 가산하여 보정하는 가산기(32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위 세로 누화(crosstalk)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에 의해 해소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화상 신호 보정 회로, 화상 신호 보정 방법 및 전자 기기{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AGE SIGNAL CORRECTING CIRCUIT, IMAGE SIGNAL CORREC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프리차지(pre-charge)에 의존하지 않고, 소위 세로 누화로 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한 액정 표시 장치, 화상 보정 회로, 화상 보정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을 이용하여 소정의 표시를 실행하는 액정 패널은,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이 끼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패널은 구동 방식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화소 전극을 3단자형 스위칭 소자에 의해 구동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액정 패널(100)에서는, 행(X)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주사선(112)과, Y(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14)이 서로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이들의 교차 부분의 각각에 대응하여, 3단자형 스위칭 소자의 일례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TFT」라고 한다)(116) 및 액정 용량(105)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화소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액정 용량(105)은 직사각형 형상의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액정을 끼워 형성한 것이다. 또, 설명의 편의상, 화소는 m행×n열(m, n 모두 정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들의 화소가 마련되는 영역(표시 영역)의 주변에는 주변 회로(120)가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주변 회로(120)는 주사선(112) 각각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 G1, G2, G3,…, Gm을, 1 수평 주사 기간마다 순차 배타적으로 액티브 레벨(H 레벨)로 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130)나, 1 수평 주사 기간 중에 순차 배타적으로 액티브 레벨로 되는 샘플링 제어 신호 S1, S2, S3,…, Sn을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40), 데이터선(114)마다 마련되는 스위치(151)로 이루어지는 샘플링 회로(150)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샘플링 회로(150)의 스위치(151) 각각은, 샘플링 제어 신호 S1, S2, S3,…, Sn 중 대응하는 것이 액티브 레벨로 되면 턴온되어, 화상 신호선(171)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 VID를 샘플링하여 데이터선(114)에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사선(112)과 데이터선(114)의 교차 부분에 마련된 TFT(116)는, 대응하는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가 액티브 레벨로 되면 턴온되어,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샘플링된 화상 신호 VID를 화소 전극에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대향 전극은 각 액정 용량(105)에 대하여 공통이며, 시간적으로 일정한 전위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정 용량(105)에는 대향 전극의 전위와 화상 신호의 전위의 전위차가 인가되게 된다. 이 후, TFT(116)가 오프로 되더라도, 액정 용량에는 그 자신이나 병렬 접속된 축적 용량(119)에 의해서 인가된 전위차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양 기판의 각 대향면에는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이 양 기판사이에서 예를 들어 약 90도 연속적으로 비틀어지도록 연마 처리된 배향막이 각각 마련되는 한편, 양 기판의 각 배면측에는 배향 방향에 따른 편광자가 각각 마련된다.
이 때, 액정 용량(105)을 통과하는 광은 이 용량에 인가되는 전위차가 "0"이면, 액정 분자의 비틀림에 따라 약 90도 선광(旋光)하는 한편, 전위차가 커짐에 따라서 액정 분자가 전계 방향으로 기울고, 그 결과, 그 선광성이 소실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투과형에 있어서, 입사측과 배면측에 배향 방향에 맞추어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는 편광자를 각각 배치시킨 경우(표준 백색 모드(normally white mode)인 경우), 양 전극에 인가되는 전위차가 "0"이면 광이 투과하기 때문에 백(투과율이 대(大)로 된다)으로 표시로 되는 한편, 양 전극에 인가되는 전위차가 커짐에 따라서 광이 차단되어, 결국 흑(투과율이 소(小)로 된다)으로 표시로 된다. 따라서, 액정 용량(105)에 인가하는 전압 실효값을 화소마다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계조 표시가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정 패널에서는, 소위 세로 누화에 의해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세로 누화라는 것은 표준 백색 모드이면, 예컨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색을 배경으로 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흑색 영역을 윈도우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흑색 영역의 상하 방향(수직 주사 방향)에 위치하는 회색 영역의 화소가 본래의 회색보다도 어두워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도 10에 있어서는 농도를 사선의 선밀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세로 누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액정 용량(1O5)을 스위칭하는 TFT(116)의 광의 누설이 주된 원인인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즉, TFT(116)의 온에 의해, 액정 용량(105)에 기록된 전하는 본래 같으면 TFT(116)의 오프에 의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침입광에 의해 TFT(116)에 캐리어가 발생하여 상기 전하가 누설되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선(114)의 전위의 영향을 받아, 액정 용량(105)에 축적되는 전하가 변동하기 때문이라고 고려되고 있다. 특히, 액정 패널에 의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프로젝터에서는 매우 강한 광이 상기 액정 패널에 조사되기 때문에, 광의 누설로 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가 현저히 나타난다고 고려된다.
이러한 세로 누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선(114)에 화상 신호 VID를 샘플링하기 전에, 흑색에 상당하는 전위로 프리차지하는 기술이 유효하다. 이러한 프리차지는,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프리자칭 회로(160)에 의해서 실행되고, 상세하게는 첫째로, 수평 블랭킹 기간에 있어서 데이터선(114)마다 마련되는 스위치(161)를 프리차지 제어 신호 PG에 따라서 스위치(161)를 온시키고, 둘째로, 이와 같이 온으로 된 경우에 있어서의 프리차지 신호 PS의 전위를, 그 후의 수평 유효 표시 기간에 샘플링되는 화상 신호 VID 중, 흑색에 상당하는 전위로 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단, 데이터선(114)을 흑색에 상당하는 전위로 미리 프리차지하면, 그 후에 데이터선(114)이 본래의 농도에 상당하는 전위로 샘플링되어 액정 화소(105)에 기록되게 되므로, 액정 패널 전체에서 본 경우의 누설량은 오히려 증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세로 누화의 정도 여하에 따라서는 프리차지의 기술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원래, 프리차지는 수평 블랭킹 기간에 있어서, 모든 데이터선(114)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프리차지 신호 PS가 데이터선(114)에 유지되는 기간은 데이터선(114)마다 크게 다르다. 예컨대, 도 9에 있어서 좌단에 위치하는 데이터선(114)에는 프리차지 후에 샘플링 제어 신호 S1의 H 레벨에 의해, 본래의 화상 신호 VID가 즉시 샘플링되는 데 반해, 우단에 위치하는 데이터선(114)에는 프리차지 후 또 샘플링 제어 신호 S1, S2, S3···, 가 순번대로 H 레벨로 된 후에, 샘플링 제어 신호 Sn이 H레벨로 되어, 비로소 본래의 화상 신호 VID가 샘플링된다. 이 때문에, 프리차지에 의한 효과는 표시 영역의 좌우에 있어서 크게 다른 것이다.
따라서, 세로 누화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 방지에 관해서는 프리차지 이외의 기술에 의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프리차지에 의존하지 않고 세로 누화의 발생을 억제하여, 고품질의 표시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화상 신호 보정 회로, 화상 신호 보정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건 제 1 발명에 따른 화상 신호 보정 방법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는 화소의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상기 행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화상 신호 보정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신호와, 기준이 되는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의 차이를 구하고, 해당 차이를 열마다 1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한 값을 구하고, 해당 누산된 값에 따른 값을 상기 누산값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의 화상 신호에 가산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기준 신호와의 차이를 열마다 누산한 값이 보정값으로서 상기 열의 화상 신호에 가산된다. 이것에 의해, 임의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는 상기 화소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모든 화소의 농도(기준 농도와의 차이)가 반영되어, 즉, 수평 유효 표시 기간에 있어서의 공용 데이터선의 전위 변동이 고려되어 보정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도 10에 있어서, 열 방향에 흑색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회색 화소의 화상 신호는 그 만큼 보정되지 않는 데 반해, 열 방향에 흑색 영역이 존재하는 회색 화소의 화상 신호는 상기 흑색 농도와 기준 신호로 나타내는 농도의 차이와, 상기 흑색 영역의 수직 방향에 걸친 거리 h 각각에 따라서 보정되게 된다. 따라서, Y 방향에 흑색 영역이 존재하는 회색 화소의 화상 신호가 상기 흑색 표시 부분을 고려하여 보정되면, 세로 누화의 영향이 상쇄되고, 그 결과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한 표시 농도는 보정 전의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농도에 가까운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건 제 2 발명에 따른 화상 신호 보정 회로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는 화소의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상기 행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로서, 상기 화상 신호와, 기준이 되는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의 차이를 구하는 감산기와, 해당 차이를 열마다 1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하는 누산기와, 해당 누산기에 의한 누산값에 따른 값을, 해당 누산값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의 화상 신호에 가산하여 보정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는 상기 화소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모든 화소의 농도(기준 농도와의 차이)가 반영되어 보정되기 때문에 세로 누화의 영향이 상쇄되고, 그 결과,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한 표시 농도는 보정 전의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농도에 가까운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제 2 발명에 있어서, 해당 누산기는, 2행 분량의 화소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어느 한쪽의 행에 대응하는 누산기 중 상기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소의 열의 누산기를 선택하여, 상기 차이를 누산시킴과 동시에, 다른쪽의 행에 속하는 누산기 중 상기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소의 열의 누산기를 선택하여 누산값을 판독하는 누산기 선택부와, 1 수직 주사 기간마다 한쪽의 행에 속하는 누산기와, 다른쪽 행에 속하는 누산기를 교체하는 교체부를 구비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임의의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그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동일 열의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보정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누산기로서 필요한 기억 용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회색의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흑색 측의 회색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용량에 인가되는 전압 실효값과 투과율의 특성(V-T 특성)을 고려한 경우, 투과율이 중간으로 되는 영역(화소가 흑색과 백색 사이의 회색으로 되는 영역)에서는, 아주 미소한 전압 변위에 대해서도 농도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회색의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와의 비교가 유효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누산기에 누산되는 1수직 주사 기간 분량의 화상 신호는, 보정되는 1 수직 주사 기간 분량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직전의 1 수직 주사 기간 분량의 화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산기에 의한 차이 또는 상기 누산값에 따른 값에 대하여, 계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수는 정극 측의 기입과 부극측의 기입에 있어서 다른 계수이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건 제 3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는 화소의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상기 행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와, 기준이 되는 농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의 차이를 구하는 감산기와, 해당 차이를 열마다 1 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한 누산값을 구하는 누산기와, 해당 누산값에 따른 값을, 상기 누산값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의 화상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에 의해서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는 전압 신호가 상기 수평 주사 및 수직 주사에 따라 인가되는 액정 용량을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발명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는 상기 화소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모든 화소의 농도(기준 농도와의 차이)가 반영되어 보정되기 때문에, 세로 누화의 영향이 상쇄되고, 그 결과,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한 표시 농도는 보정 전의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농도에 가까운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표시부에 이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누화의 영향이 상쇄된 고품질인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 실시예>
우선,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액정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액정 표시 장치(10)는, 액정 패널(100)과, 제어 회로(200)와,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와, 처리 회로(400)로 구성된다. 이 중, 액정 패널(100)은 도 9에 나타내는 종래 구성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제어 회로(200)는 상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주사 신호 Vs, 수평 주사 신호 Hs 및 도트 클럭 신호 DCLK에 따라서,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나 클럭 신호 등을 생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는 수직 주사 신호 Vs, 수평 주사 신호 Hs 및 도트 클럭 신호 DCLK에 동기하여 (즉,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에 따라서) 공급됨과 동시에, 각 화소에 대응하는 디지털의 화상 신호 DV로부터 보정 신호를 생성한 후, 본래의 화상 신호 DV에 가산하여 보정 화상 신호 DV’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또,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처리 회로(400)는, D/A 변환기(402), 증폭 반전 회로(406)로 이루어지고,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 DV’를 액정 패널(100)의 구동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 중, D/A 변환기(402)는 보정된 디지털의 화상 신호 DV’를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증폭 반전 회로(406)는 아날로그로 변환된 화상 신호를 1 수평 주사 기간마다 소정의 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교대로 극성 반전시킴과 동시에 전압 진폭을 대하는 것이다.
여기서, 극성 반전시의 기준 전위는 대향 전극의 전위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극성을 반전할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데이터 신호의 인가 방식이, A : 주사선 단위의 극성 반전인지, B : 데이터 신호선 단위의 극성 반전인지, C : 화소 단위의 극성 반전인지에 따라 정해지고, 그 반전 주기는 1 수평 주사 기간 또는 도트 클럭 주기로 설정되지만,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A : 주사선 단위의 극성 반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이것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또, 여기서는, 처리 회로(400)의 입력단에 있어서 아날로그 변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디지털로 극성 반전한 후에 아날로그 변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화상 신호 DV, DV’, VID에 대하여, 화소의 좌표와 관련지어 나타내는 경우, 각각 DV(i, j), DV’(i, j), VID(i, j)로 표기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소가 m행 × n열(m, n 모두 정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i는 1≤i≤m을 만족시키는 정수이며, j는 1≤j≤n을 만족시키는 정수이다. 즉, i는 화소의 행 좌표를, j는 화소의 열 좌표를 각각 일반화한 것이다.
<1-1: 화상 신호 보정 회로의 세부 사항>
다음에,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의 세부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필드 선택부(312)는 전송 개시 펄스 DY를 입력할 때마다 그 출력 신호 Ctr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전송 개시 펄스 DY는 제어 회로(도 1 참조)로부터 공급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수직 주사 기간(1필드)(1f)의 최초에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호 Ctr의 논리 레벨은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수직 주사 기간(1f) 마다 반전되게 된다.
한편, 감산기(322)는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에 동기하여 상위 장치로부터 공급되어, 화소의 농도에 대응한 정보를 갖는 화상 신호 DV로부터 기준 신호 Ref를 감산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준 신호 Ref로서는 일정한 농도의 정보를 가지면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품질의 저하로서 시인되기 쉬운 회색, 그것도 흑색에 가까운 회색에 상당하는 정보를 가진 것이다. 다음에, 승산기(324)는 감산기(322)에 의한 감산 결과에 조정용의 계수 k1을 승산하고, 그 승산 결과인 값 Sub를 출력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선택기(342)는 필드 선택부(312)에 의한 신호 Ctr이 H 레벨인 제 1 경우이면 출력단 A를 선택하는 한편, 신호 Ctr이 L 레벨인 제 2 경우이면 출력단 B를 선택하여, 값 Sub를 선택한 출력단측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누산기 선택부로서의 카운터(352)는 그 카운트값 j를 1 수평 주사 기간의 최초에 공급되는 전송 개시 펄스 DX로 리세트함과 동시에, 도트 클럭 DCLK에 동기하는 클럭 신호 DCL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스태핑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 1 누산기 그룹(332)은 n열의 누산기 ACC1∼ACCn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누산기 ACC1∼ACCn의 각각은 입력한 값과 기억하고 있는 값의 합을 새로운 기억값으로서 치환하여 기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누산기 그룹(332)은 신호 Ctr이 H레벨로 천이되면, 누산기 ACC1∼ACCn의 기억값을 모두 리세트함과 동시에, 이후 신호 Ctr이 H 레벨인 상기 제 1의 경우이면, 선택기(342)에 있어서 선택된 출력단 A의 신호(승산기(324)에 의한 승산 결과)를 카운터(352)에 의한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의 입력값으로 하는 한편, 신호 Ctr이 L 레벨인 상기 제 2의 경우이면, 상기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의 누산값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누산기 그룹(334)은 n열의 누산기 ACC1∼ACCn으로 구성되는 것이지만, 제 1 누산기 그룹(332)과는 반대로, 신호 Ctr를 인버터(314)에 의해 반전한 신호가 H 레벨로 천이되면(신호 Ctr이 L 레벨로 천이되면), 누산기 ACC1∼ACCn의 기억값을 모두 리세트함과 동시에, 이후 반전 신호가 H 레벨(신호 Ctr이 L 레벨)인 상기 제 2의 경우이면, 선택기(342)에 있어서 선택된 출력단 B의 신호(승산기(324)에 의한 승산 결과)를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의 입력값으로 하는 한편, 반전한 신호가 L 레벨(신호 Ctr이 H 레벨)인 상기 제 1의 경우이면,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의 누산값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누산기 그룹(332) 또는 제 2 누산기 그룹(334) 중의 어느 한쪽으로서 카운터(352)에 의한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에 선택기(342)에 의해 선택된 입력값이 공급되고, 제 1 누산기 그룹(332) 또는 제 2 누산기 그룹(334) 중의 다른 한쪽으로서 상기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로부터 누산값이 출력되게 된다.
계속해서, 선택기(344)는 신호 Ctr을 인버터(314)에 의해 반전한 신호가 L 레벨인 제 1 경우이면 입력단 B를 선택하는 한편, 동일 반전 신호가 H 레벨인 제 2의 경우이면 입력단 A를 선택하여, 값 Cmp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에, 승산기(326)는 값 Cmp에 대하여 조정용의 계수 k2를 승산하는 것이다. 또한, 가산기(328)는 승산기(326)의 승산 결과를 보정값으로 하여, 보정 전의 화상 신호 DV(i, j)에 가산하고, 보정 화상 신호 DV’(i, j)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제 1 누산기 그룹(332)은 신호 Ctr이 L 레벨에서 H 레벨로 천이되면, 누산기의 기억값이 리세트되고, 이후, H 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선택기(342)로부터 누산기에 승산 결과가 입력되고, 신호 Ctr이 L 레벨인 경우에는 누산기의 누산값을 출력한다.
한편, 제 2 누산기 그룹(334)은 신호 Ctr이 H 레벨에서 L 레벨로 천이되면, 누산기의 기억값이 리세트되고, 이후, L 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선택기(342)로부터 누산기에 승산 결과가 입력되고, 신호 Ctr이 H 레벨인 경우에는 누산기의 누산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 1 누산기 그룹(332)이 리세트되어 있거나 또는 선택기(342)로부터 승산 결과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제 2 누산기 그룹(334)의 누산값이 선택기(344)를 거쳐서 보정값으로서 연산되고, 보정 화상 신호가 생성된다.
한편, 제 2 누산기 그룹(334)이 리세트되어 있거나 또는 선택기(342)로부터 승산 결과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제 1 누산기 그룹(332)의 누산값이 선택기(344)를 거쳐서 보정값으로 연산되고, 보정 화상 신호가 생성된다.
<2: 동작>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2-1: 화상 신호의 공급 타이밍>
설명의 편의상, 각종 타이밍 신호와, i행 j열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 DV(i, j)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며, 도 4는 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패널의 화소 위치와 화상 신호 DV(i, j)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주사 기간의 최초에 전송 개시 펄스 DY가 공급되면, 이 전송 개시 펄스 DY는 주사선 구동 회로(130)(도 9 참조)에 의해서 클럭 신호 CLY의 레벨이 천이될 때마다 순차 시프트되고, 1 수평 주사 기간 1H마다 액티브 레벨로 되는 주사신호 G1, G2, G3,…, Gm으로서, 대응하는 주사선(112)으로 출력된다.
이 중, 주사 신호 G1이 액티브 레벨로 되는 1 수평 주사 기간 1H에 대하여 주목한다. 우선, 이 수평 유효 표시 기간의 최초에 전송 개시 펄스 DX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되면, 이 전송 개시 펄스 DX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40)(도 9 참조)에 의해서 클럭 신호 CLX의 레벨이 천이될 때마다 순차 시프트되어, 샘플링 제어 신호 S1, S2, S3,…, Sn으로서 출력된다.
그리고, 샘플링 제어 신호 S1, S2, S3,…, Sn에 동기하여 화상 신호 DV(1, 1), DV(1, 2), DV(1, 3),…, DV(1, n)가 공급된다.
그런데, 공급된 화상 신호 DV(1, 1), DV(1, 2), DV(1,3),…, DV(1, n)에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서,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마다 대응하는 보정값(k2·Cmp)이 가산되어, DV’(1, 1), DV’(1, 2), DV’(1, 3),···, DV’(1, n)로서 출력되고, 계속해서, D/A 변환기(402)(도 1 참조)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또, 증폭 반전 회로(406)에 의해서 처리된다. 여기서, 최초의 1 수평 주사 기간 1H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극측의 기입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면, 증폭 변환 회로(40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 VID(1, 1), VID(1, 2), VID(1, 3),…, VID(1, n)는 대향 전극의 전위 LCcom (엄밀하게 말하면 극성 반전의 진폭 중심 전위)에 대하여 대략 고위측에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주사 신호 G1이 액티브 레벨로 되는 기간에 있어서 샘플링 신호 S 1이 액티브 레벨로 되면, 1열째의 데이터선(114)에 화상 신호 VID(1, 1)가 샘플링된다. 이 때, 1행째의 주사선(112)과 1열째의 데이터선(114)의 교차 부분에 위치하는 화소의 TFT(116)가 온되기 때문에, 샘플링된 화상 신호 VID(1, 1)가 1행 1열의 액정 용량(105)에 기입되게 된다.
이 후, 샘플링 신호 S2가 액티브 레벨로 되면, 이번에는 2열째의 데이터선(114)에 화상 신호 VID(1, 2)가 샘플링되어, 1행 2열의 액정 용량(105)에 기입되게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링 신호 S3, S4,……Sn이 순차 액티브 레벨로 되면, 제 3 열째, 제 4 열째, …, 제 n 열째의 데이터선(114)에 화상 신호 VID(1, 3), VID(1, 4), …, VID(1, n)가 샘플링되어, 1행 3열, 1행 4열, …, 1행 n열의 액정 용량(105)에 각각 기입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 신호 VID(1, 1), VID(1, 2), VID (1, 3), …, VID(1, n)가 공급되는 수평 유효 표시 기간②에 있어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행째의 화소의 전부에 대한 기입이 완료하게 된다.
계속해서, 주사 신호 G2가 활성화되는 기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선 단위의 극성 반전이 실행되기 때문에, 이 1 수평 주사 기간에 있어서는 부극측의 기입이 실행되게 된다. 이 때문에, 수평 블랭킹 기간③을 거친 후, 수평 유효 표시 기간(4)에 있어서 증폭 반전 회로(40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 VID(2, 1), VID(2, 2),…, VID(2, n)는 대향 전극의 전위 LCcom에 대하여 대략 저위측에서 출력되게 된다. 다른 동작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며, 샘플링 신호 S1, S2, S3,…, Sn가 순차 액티브 레벨로 되는 수평 유효 표시 기간④에 있어서 제 2 행째의 화소의 전부에 대한 기입이 완료하게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주사 신호 G3, G4,…, Gm이 액티브로 되어, 제 3 행째, 제 4 행째, …, 제 m 행째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이 실행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수행째의 화소에 대해서는 정극측의 기입이 실행되는 한편, 우수행째의 화소에 대해서는 부극측의 기입이 실행되어, 이 수직 유효 표시 기간에 있어서는 제 1 행째∼제 m 행째의 화소의 전부에 걸친 기입이 완료하게 된다.
이 후, 수직 블랭킹 기간①을 거치면, 다음의 수직 유효 표시 기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 기입이 실행되지만, 각 행의 화소에 대한 기입 극성이 교체된다. 즉, 다음 수직 유효 표시 기간에 있어서 기수행째의 화소에 대해서는 부극측의 기입이 실행되는 한편, 우수행째의 화소에 대해서는 정극측의 기입이 실행되게 된다.
또, 수직·수평 블랭킹 기간에서는 데이터선(114)의 각각을 직후에 있어서 공급되는 화소의 흑색에 상당하는 전위로 프리차지하는 동작이 실행되지만, 본 실시예는 세로 누화에 의한 표시 품질을 프리자치에 의존하지 않고 화상 신호의 보정에 의해 해소하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프리차지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2: 화상 신호 보정 회로의 동작>
다음에,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이외에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는 전송 개시 펄스 DY가 H 레벨이 될 때까지, 즉, 수직 유효 표시 기간이 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단계 S101). 여기서, 전송 개시 펄스 DY가 H 레벨로 되면, 신호 Ctr이 필드 선택부(312)에 의해서 레벨 반전한다.
이 반전에 의해, 선택기(342)에서는 출력단 A가 선택되기 때문에 승산기(324)의 승산 결과가 제 1 누산기 그룹(324)에 공급되는 한편, 선택기(344)에서는 입력단 B가 선택되기 때문에 제 2 누산기 그룹(334)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ACCn로부터 누산값이 판독되도록 설정된다(단계 S102). 또한, 신호 Ctr이 H 레벨로 천이된 것에 따라, 제 1 누산기 그룹(324)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ACCn이 모두 리세트된다(단계 S103). 그리고, 처리 대상으로서 최초의 1행째의 화소에 대응시키기 위해, i가「1」로 세트된다(단계 S104).
이 후,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는 전송 개시 펄스 DX가 H 레벨이 될 때까지, 즉, 수평 유효 표시 기간이 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단계 S105). 여기서, 전송 개시 펄스 DX가 H 레벨로 되면, 카운터(352)에 의해서 카운트값 j가 제로 리세트되지만(단계 S107), 클럭 신호 CLX의 레벨이 천이되면, 상기 카운트값 j는「1」만큼 증가된다(단계 S108).
다음에, 현시점에서 공급되는 화상 신호 DV(i, j)에서 기준 신호 Ref를 감산기(322)에 의해서 뺀 차에, 계수 k1을 승산기(324)에 의해서 곱한 적(積)이 값 Sub로서 구해진다(단계 S109).
그리고, 이 값 Sub가 현시점의 신호 Ctr에 따라서 선택기(342)에 의해 선택되는 누산기 그룹의 누산기 ACC1∼ACCn 중, 현시점의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 ACCj에 이전의 기억값 Aj가 누산되어, 새로운 기억값 Aj로서 세트된다. 한편, 현시점의 신호 Ctr를 레벨 반전한 신호에 따라서 선택기(344)에 의해 선택되는 누산기 그룹의 누산기 ACC1∼ACCn 중, 현시점의 카운트값 j에 대응하는 누산기 ACCj로부터 그 기억값 Aj가 값 Cmp으로서 판독된다(단계 S110). 즉, 단계 S110에서는 한쪽의 누산기 그룹에 있어서의 j열째의 누산기로의 누산과, 다른쪽의 누산기 그룹에 있어서의 j열째의 누산기로부터의 판독이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판독된 값 Cmp에 계수 k2를 승산기(326)에 의해서 곱합 적과 화상 신호 DV(i, j)가 가산기(328)에 의해서 가산되고, 그 합이 보정 화상 신호DV’(i, j)로서 출력된다(단계 S111).
다음에, 현시점에 있어서의 카운트값 j가 최종열에 대응하는 「n」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112).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동일행으로서 다음 열에 위치하는 화소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재차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처리 순서가 단계 S107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12에 있어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현시점에 있어서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화소의 행이 맨 최종행에 대응하는 「m」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113).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다음 행에 위치하는 화소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재차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처리 순서가 단계 S105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13에 있어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다음 수직 주사에 있어서 1 화면의 최초에 위치하는 1행 1열의 화소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재차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처리 순서가 단계 S10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비로소 전송 개시 펄스 DY가 공급된 경우에, 신호 Ctr이 H 레벨로 천이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단계 S107∼S113의 루프 처리가 i=1이고, j가 1에서 n으로 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되는 결과, 1행째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 DV(1, 1), DV(1, 2), DV(1, 3),…, DV(1, n)와 기준 신호 Ref와의 각 차이가 구해짐과 동시에, 이들의 차이에 계수 k1을 곱한 값 Sub이 각각 제 1 누산기 그룹(332)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 ACC2, ACC3,…, ACCn에 각각 기억된다.
다음에, 카운트값 j가「n」으로 되면, 단계 S113, S114를 경유하여 I=2로 되고, 또, 단계 S106에 의해 카운트값 j가 제로 리세트된 후에, j가 1에서 n으로 될 때까지, 단계107∼113의 루프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이 결과, 2행째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 DV(2, 1), DV(2, 2), DV(2. 3),…, DV(2, n)와 기준 신호 Ref와의 각 차이가 구해짐과 동시에, 이들의 차이에 계수 k1을 곱한 값 Sub가 각각 제 1 누산기 그룹(332)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 ACC2, ACC3,…, ACCn의 기억값에 누산된다.
이후, 마찬가지의 동작이 i=m으로 될 때까지 반복해서 실행되면, 제 1 누산기 그룹(332)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 ACC2, ACC3,…, ACCn의 기억값은 화상 신호 DV와 기준 신호 Ref와의 차이에 계수 k1을 곱한 값 Sub를 열마다 1∼m행만큼(즉 1 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한 값으로 된다.
또, 이 누산값의 산출 처리와 병행해서, 제 2 누산기 그룹(334)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 ACC2, ACC3,…, ACCn에 기억된 누산값이 판독되는 처리가 실행되지만, 최초의 1 수직 주사 기간에 한해서는 이 누산값에 의미는 없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1∼m행 분량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114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으로 되므로, 재차 처리순서가 단계 S101로 되돌아가, 재차 1∼m행 분량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 다음 수직 주사 기간에서는 신호 Ctr이 L 레벨로 천이되므로, 누산을 실행하는 주체가 제 1 누산기 그룹(332)에서 제 2 누산기 그룹(334)으로 교체된다(단계 S102). 이 때문에, 화상 신호 DV와 기준 신호 Ref와의 차이에 계수 k1을 곱한 값 Sub를 열마다 1 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한 값은, 제 2 누산기 그룹(334)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 ACC2, ACC3,…, ACCn에 기억되게 된다.
한편, 이 누산값의 산출 처리와 병행해서, 화상 신호 DV(i, j)에는 1 수직 주사 기간 전에 있어서 제 1 누산기 그룹(332)의 j열째에 대응하는 누산기 ACCj에 의해서 누산된 값 Aj에 계수 k2를 곱한 적이 가산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임의의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 공급되는 화상 신호 DV(i, j)에는 계수 k1, k2의 승산을 무시하고 설명하면, 그 1 수직 주사 기간 전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DV(1, j), DV(2, j), DV(3, j),…, DV(m, j)와 기준 신호 Ref와의 차이를 누산한 값이 가산된다.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며, 임의의 수직 주사 기간에서는 제 1 누산기 그룹(332) 또는 제 2 누산기 그룹(334) 중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 ACC2, ACC3,…, ACCn에, 화상 신호 DV와 기준 신호 Ref의 차이에 계수 k1을 곱한 값 Sub가 열마다 누산되는 한편, 제 1 누산기 그룹(332) 또는 제 2 누산기 그룹(334) 중의 다른 한쪽에 있어서의 누산기 ACC1, ACC2, ACC3,…, ACCn으로부터 상기 수직 주사 기간보다 1 수직 주사 기간 전에 누산된 값이 판독되고, 상기 수직 주사 기간에서의 화상 신호 DV에 가산된다고 하는 동작이 1 수직 주사 기간마다 교대로 실행되게 된다.
<3 : 실시예의 정리>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를 실행하는 경우, Y 방향에 흑색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회색 화소의 화상 신호는, 이 회색 농도와 기준 신호 Ref로 나타내어지는 농도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그 만큼 보정되지 않지만, Y 방향에 흑색 영역이 존재하는 회색 화소의 화상 신호는, 이 흑색 농도와 기준 신호 Ref로 나타내어지는 농도의 차이와 이 흑색 표시 부분의 수직 방향에 걸친 거리 h의 각각에 따라서 보정되게 된다.
따라서, Y 방향에 흑색 영역이 존재하는 회색 화소의 화상 신호가 이 흑색 표시 부분을 고려하여 보정되면 세로 누화의 영향이 상쇄되고, 그 결과,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한 표시 농도는 본래의 회색에 가까운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흑색 영역의 흑색 화소의 화상 신호도 보정되게 되지만, 원래 액정 용량에 인가되는 전압 실효값과 투과율의 특성을 고려하면, 주지와 같이 투과율이 낮은 영역(흑 표시) 또는 높은 영역(백 표시)에서는 전압 실효값의 변동에 대하여 투과율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흑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보정되더라도 그 농도가 크게 변화되지 않고, 이 때문에, 거의 표시 품질의 저하로서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에 대해서는 그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동일 열의 화상 신호가 아니라, 그 전의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동일 열의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보정되게 되지만, 서로 인접하는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 주사되는 화상끼리는 통상 그 만큼 변화가 없기 때문에, 그 영향은 적다고 생각된다.
오히려, 임의의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수직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동일 열의 화상 신호에 따라서 보정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화상 신호를 1 수직 주사 기간 이상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기억량이 증가해 버리게 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신호 DV와 기준 신호 Ref의 차이를 열마다 1 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하는 한편, 그 1 수직 주사 기간 전의 누산값을 출력하는 구성을, 제 1 누산기 그룹(332)과 제 2 누산기 그룹(334)에 의해서 1 수직 주사 기간마다 교대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기억 용량이 1화면(m행×n열)분이 아니라 2행(2행×n열) 분량으로 억제된다. 이 때문에, 구성의 간이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신호 VID를 1개의 데이터선(114)마다 순서대로 샘플링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화상 신호 VID를 n계통으로 분배하고 시간축으로 n배로 신장(직렬-병렬 변환)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n개의 데이터선(114)마다 샘플링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스위치(151)(도 9 참조)에 있어서, 화상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샘플 홀드 시간 및 충방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신호 보정 회로(300)는 디지털의 화상 신호 DV를 처리하는 것으로 했지만,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계수 k1, k2를 각 기간에 있어서 공통으로 이용했지만, 세로 누화는 액정 용량(105)으로의 기입 극성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정극측의 기입과 부극측의 기입에 있어서, 계수 k1, k2를 다르게 해도 좋다. 실시예에서 말하면, 1 수평 주사 기간마다 다른 계수 k1, k2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정 용량(105)에 인가되는 전위차가 제로인 경우에 백색 표시를 행하는 표준 백색 모드로서 설명했지만, 흑색 표시를 행하는 정상 블랙 모드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위칭 소자로서 TFT를 이용했지만, 기판으로서 실리콘 기판 등을 이용함과 동시에, 여기에 각종 소자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동작이 용이해 진다. 기판이 투명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반사형으로서 이용할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액정으로서 TN형을 이용했지만, BTN(Bi-stable Twisted Nematic)형·강유전형 등의 메모리성을 갖는 쌍안정형이나 고분자 분산형, 더 나아가서는 분자의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에서 가시광의 흡수에 이방성을 갖는 염료(게스트)를 일정한 분자 배열의 액정(호스트)으로 용해하여, 염료분자를 액정 분자와 평행하게 배열시킨 GH(게스트 호스트)형 등의 액정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 분자가 양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배열되는 한편, 전압 인가시에는 액정 분자가 양 기판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 배열된다는 수직 배향(호메오트로픽 배향)의 구성으로 해도 좋고,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 분자가 양 기판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 배열되는 한편, 전압 인가시에는 액정 분자가 양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배열된다는 평행(수평) 배향(호모지니어스 배향)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액정이나 배향 방식으로서 여러 가지의 것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4 : 전자 기기>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몇가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4-1 : 프로젝터>
우선,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10)를 라이트 밸브로서 이용한 프로젝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이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000) 내부에는 할로겐 램프 등의 백색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램프 유닛(100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램프 유닛(1002)으로부터 사출된 투사광은 내부에 배치된 3매의 미러(1006) 및 2매의 다이크로익 미러(1008)에 의해서 RGB의 3원색으로 분리되어, 각 원색에 대응하는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로 각각 안내된다.
여기서,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0)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100)과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이다. 즉,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는 각각 RGB의 색마다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DV에 의해 구동되어, RGB의 각 원색 화상을 생성하는 광변조기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B의 광은 다른 R이나 G의 광과 비교하면 광로가 길기 때문에, 그 손실을 막기 위해서 입사 렌즈(1022), 릴레이 렌즈(1023) 및 출사 렌즈(1024)로 이루어지는 릴레이 렌즈계(1021)를 거쳐서 안내된다.
그런데,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에 의해서 각각 변조된 광은 다이크로익 프리즘(1012)에 3방향에서 입사한다. 그리고, 이 다이크로익 프리즘(1012)에 있어서 R 및 B의 광은 90도로 굴절되는 한편, G의 광은 직진한다. 이것에 의해, 각 원색 화상의 합성된 컬러 화상이 투사 렌즈(1014)를 거쳐서 스크린(1020)에 투사되게 된다.
또,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에는 다이크로익 미러(1008)에 의해서 RGB의 각 원색에 대응하는 광이 입사하기 때문에, 직시형 패널과 같이 컬러 필터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라이트 밸브(100R, 100B)의 투과상은 다이크로익 프리즘(1012)에 의해 반사된 후에 투사되는 데 반해, 라이트 밸브(100G)에 의한 G의 투과상은 그대로 투사된다. 이 때문에, 라이트 밸브(100R)에 의한 R의 투과상 및 라이트 밸브(100B)에 의한 B의 투과상은, 라이트 밸(100G)에 의한 G의 투과상에 대하여 좌우 반전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4-2: 퍼스널 컴퓨터>
다음에,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10)를 멀티미디어 대응의 퍼스널 컴퓨터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이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1100)의 본체(1110)에는, 표시부로서 이용되는 액정 패널(100)이나 광학디스크의 판독·기입 드라이브(1112), 자기 디스크의 판독·기입 드라이브(1114), 스테레오용 스피커(1116) 등이 구비된다. 또한, 키보드(1122)나 포인팅 디바이스(마우스)(1124)는 본체(1110)와는 적외선 등을 거쳐서 입력 신호·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액정 패널(100)은 직시형으로서 이용된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100)에서는 RGB의 3화소에 의해 1도트가 구성됨과 동시에, 각 화소에 따라 컬러 필터가 마련된다. 또한, 액정 패널(100)의 배면에는 암소(暗所)에서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도시생략)이 마련된다.
<4-3:휴대 전화>
또, 상술한 액정 패널(100)을 휴대 전화의 표시부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이 휴대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휴대 전화(1200)는 복수의 조작버튼(1202) 이외에, 수화구(1204), 송화구(1206)와 함께,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100)의 액정 패널(10)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이 액정 패널(100)의 배면에도 상술한 퍼스널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암소에서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도시 생략)이 마련된다.
<4-4:전자 기기의 정리>
또, 전자 기기로서는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 이외에도, 액정 텔레비전이나 뷰 파인더형·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디지털 스틸 카메라,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각종의 전자 기기에 대하여 실시예나 응용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가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차지에 의지하지 않고 세로 누화의 발생을 억제하여, 고품질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보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로 공급되는 화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4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로 공급되는 화상 신호와 패널의 화소 위치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화상 신호 보정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보정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일례인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일례인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은 세로 누화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 장치 100 : 액정 패널
200 : 제어 회로 300 : 화상 신호 보정 회로
312 : 필드 선택부 328 : 가산기
332 : 제 1 누산기 그룹 334 : 제 2 누산기 그룹
342, 444 : 선택기 352 : 카운터
400 : 처리 회로 402 : D/A 변환기
1000 : 프로젝터 1100 : 퍼스널 컴퓨터
1200 : 휴대 전화

Claims (9)

  1.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상기 행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화상 신호 보정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신호와, 기준이 되는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의 차를 구하고,
    해당 차를 열마다, 1 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한 값을 구하여,
    해당 누산한 값에 따른 값을,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에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보다 1수직 주사 기간분 이후에 기입되는 화상 신호에 가산하여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보정 방법.
  2.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상기 행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로서,
    상기 화상 신호와, 기준이 되는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의 차를 구하는 감산기와,
    해당 차를 열마다, 1 수직 주사 기간만큼 누산하는 누산기와,
    해당 누산기에 의한 누산값에 따른 값을,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에, 상기 감산기에 있어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보다 1수직 주사 기간분 이후에 기입되는 화상 신호에 가산하여 보정하는 가산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해당 누산기는
    2행분의 화소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어느 한쪽의 행에 대응하는 누산기 중 상기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소의 열의 누산기를 선택하여, 상기 차를 누산시키고, 또한, 다른 쪽 행에 속하는 누산기 중 상기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소의 열의 누산기를 선택하여 누산값을 판독하는 누산기 선택부와,
    1 수직 주사 기간마다, 한쪽 행에 속하는 누산기와, 다른 쪽 행에 속하는 누산기를 교체하는 교체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화소에 회색의 표시에 대응하는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기에 의한 차 혹은 상기 누산값에 따른 값에 대하여, 계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는 소정 주기로 소정 전위에 대한 극성이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반전되어 상기 화소에의 기입이 행해지고,
    상기 계수는 상기 화상 신호의 극성이 정극성 일 때의 기입과, 부극성일 때의 기입에서 상이한 계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보정 회로.
  8.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상기 행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와, 기준이 되는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의 차를 구하는 감산기와,
    해당 차를 열마다, 1 수직 주사 기간분 누산한 누산값을 구하는 누산기와,
    해당 누산기에 따른 값을,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에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보다 1수직 주사 기간분 이후에 기입되는 화상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는 전압 신호가 상기 수평 주사 및 수직 주사에 따라 인가되는 액정 용량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상기 행 방향의 수평 주사 및 상기 열 방향의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와, 기준이 되는 투과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기준 신호의 차를 구하는 감산기와,
    해당 차를 열마다, 1 수직 주사 기간분 누산한 누산값을 구하는 누산기와,
    해당 누산기에 따른 값을,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열의 화소에 상기 기준 신호와의 차를 구한 화상 신호보다 1 수직 주사 기간분 이후에 기입되는 화상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는 전압 신호가, 상기 수평 주사 및 수직 주사에 따라 인가되는 액정 용량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표시부에 이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1-0075182A 2000-12-01 2001-11-30 액정 표시 장치, 화상 신호 보정 회로, 화상 신호 보정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476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6966 2000-12-01
JP2000366966 2000-12-01
JPJP-P-2001-00332922 2001-10-30
JP2001332922A JP3458851B2 (ja) 2000-12-01 2001-10-30 液晶表示装置、画像信号補正回路、画像信号補正方法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169A KR20020043169A (ko) 2002-06-08
KR100476921B1 true KR100476921B1 (ko) 2005-03-17

Family

ID=2660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182A KR100476921B1 (ko) 2000-12-01 2001-11-30 액정 표시 장치, 화상 신호 보정 회로, 화상 신호 보정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64866B2 (ko)
JP (1) JP3458851B2 (ko)
KR (1) KR100476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2314B2 (en) 2001-11-20 2016-08-09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US9530363B2 (en) 2001-11-20 2016-12-27 E Ink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JP2003302648A (ja) * 2002-04-09 2003-10-2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316327A (ja) * 2002-04-23 2003-11-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254199B2 (ja) * 2002-10-29 2009-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4516280B2 (ja) * 2003-03-10 2010-08-0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10726798B2 (en) 2003-03-31 2020-07-28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operating electro-optic displays
EP1639574B1 (en) * 2003-06-30 2015-04-22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JP2005234218A (ja) * 2004-02-19 2005-09-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電圧供給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530999A (ja) * 2004-03-25 2007-11-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表示ユニット
JP3792246B2 (ja) 2004-05-13 2006-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クロストーク解消回路、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0856161B1 (ko) * 2004-05-13 2008-09-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토크 해소 회로, 액정 표시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JP4842564B2 (ja) * 2005-05-18 2011-12-2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997623B2 (ja) * 2006-03-01 2012-08-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制御回路及び駆動方法
JP4678345B2 (ja) * 2006-08-07 2011-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表示データの処理回路、処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678344B2 (ja) * 2006-08-07 2011-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表示データの処理回路、処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TWI367475B (en) * 2007-09-27 2012-07-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Hod for reducing audio noise of display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2010039046A (ja) 2008-08-01 201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KR101690398B1 (ko) 2010-04-09 2016-12-27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광학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
JP5924478B2 (ja) * 2011-12-27 2016-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167573B2 (ja) * 2013-03-11 2017-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6182914B2 (ja) 2013-03-13 2017-08-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6111755B2 (ja) * 2013-03-13 2017-04-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制御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4317085B (zh) 2014-11-13 2017-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电压补偿方法、数据电压补偿装置和显示装置
CN110291574B (zh) * 2017-02-24 2022-07-12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81A (ja) * 1990-04-28 1992-01-16 Sharp Corp 単純マトリックス方式の液晶表示装置
JPH0772802A (ja) * 1993-09-06 1995-03-17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960024607A (ko) * 1994-12-28 1996-07-20 구자홍 액정표시장치의 공통전압 보상 구동장치 및 방법과 크로스토크 보상 구동장치
KR970075972A (ko) * 1996-05-09 1997-12-10 김광호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970076461A (ko) * 1996-05-08 1997-12-12 구자홍 액정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보상회로
JPH10153759A (ja) * 1996-11-26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9980071138A (ko) * 1997-02-07 1998-10-26 카나이쯔또무 전압보상기능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0330093A (ja) * 1999-05-19 2000-11-30 Denso Corp 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7788A (ja) 1989-01-13 1990-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H02187789A (ja) 1989-01-13 1990-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US5434588A (en) * 1993-12-21 1995-07-18 Motorola, Inc. Device for minimizing crosstalk in multiplexed addressing signals for an RMS-responding device
DE69529400T2 (de) 1994-11-24 2003-10-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Flüssigkristallanzeigegerät mit aktiver matrix und steurungsverfahren dafür zur kompensation von übersprechen
US5640173A (en) * 1995-03-21 1997-06-17 In Focus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dynamic crosstalk effects appearing in moving display pattern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81A (ja) * 1990-04-28 1992-01-16 Sharp Corp 単純マトリックス方式の液晶表示装置
JPH0772802A (ja) * 1993-09-06 1995-03-17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960024607A (ko) * 1994-12-28 1996-07-20 구자홍 액정표시장치의 공통전압 보상 구동장치 및 방법과 크로스토크 보상 구동장치
KR970076461A (ko) * 1996-05-08 1997-12-12 구자홍 액정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보상회로
KR970075972A (ko) * 1996-05-09 1997-12-10 김광호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JPH10153759A (ja) * 1996-11-26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9980071138A (ko) * 1997-02-07 1998-10-26 카나이쯔또무 전압보상기능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0330093A (ja) * 1999-05-19 2000-11-30 Denso Corp 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169A (ko) 2002-06-08
US6864866B2 (en) 2005-03-08
JP3458851B2 (ja) 2003-10-20
US20020067324A1 (en) 2002-06-06
JP2002229530A (ja) 200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921B1 (ko) 액정 표시 장치, 화상 신호 보정 회로, 화상 신호 보정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626133B1 (ko) 전기광학장치, 그 구동회로, 그 구동방법 및 전자기기
KR100433325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화상 신호 보정 회로, 그 보정 방법,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US8497831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71421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image data compensation circuit, image data compens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3685029B2 (ja) 液晶表示装置、画像信号補正回路、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画像信号補正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US7573449B2 (en) Method of correcting unevenness of brightness, correction circuit for correcting unevenness of brightness,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142028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信号処理回路、処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0758164B1 (ko) 화상 신호의 보정 방법, 보정 회로, 전기광학장치, 및전자기기
US7362290B2 (en) Image signal correcting circuit, image processing metho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50237291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513537B2 (ja) 画像信号供給方法、画像信号供給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55767B2 (ja) 画像信号補正回路、画像信号補正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873932B2 (ja) 液晶表示装置、画像信号補正回路、画像信号補正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400434B2 (ja) 画像信号供給方法、画像信号供給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50156841A1 (en) Image signal correction method, correction circuit,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2182623A (ja) 画像信号補正回路、その補正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76119A (ja) データ信号供給回路、供給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419727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補正量決定方法、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626735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