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400B1 -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 - Google Patents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400B1
KR100476400B1 KR10-1999-7004665A KR19997004665A KR100476400B1 KR 100476400 B1 KR100476400 B1 KR 100476400B1 KR 19997004665 A KR19997004665 A KR 19997004665A KR 100476400 B1 KR100476400 B1 KR 100476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hydrocarbon
refrigerator
refrigeran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7272A (ko
Inventor
나가오사토시
한다도요카주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609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76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609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514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neral or fatty oil
    • C10M101/02Petroleum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08Lubricant compositions compatible with refrige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2Aliphatic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7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two or more specified different alkylene oxides covered by groups C10M2209/104 - C10M2209/106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7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two or more specified different alkylene oxides covered by groups C10M2209/104 - C10M2209/106
    • C10M2209/107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two or more specified different alkylene oxides covered by groups C10M2209/104 - C10M2209/106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8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8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 C10M2209/108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9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st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9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sterified
    • C10M2209/109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sterified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7Refrigerants
    • C10N2020/103Containing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0Refrigerators lubricants or compressors lubri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2Wires, ropes or cables lubri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4Lubricating-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6Release agents or mold releas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8Conveyors or chain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0Generators or electric motors in oil or gas winning fiel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2Flashing oils or marking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4Super vacuum or supercrit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50Medical u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A)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 및 (B) 비방향족 불포화도가 10% 이하이고, 100℃에서의 동점도가 5mm2/s 이상인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고, 또한 3개의 특정한 수학식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식을 만족시키며, 100℃에서의 동점도가 5 내지 200mm2/s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로 형성된 기유로 이루어진 윤활유 조성물은,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를 사용한 압축식 냉동 사이클에서 효율적으로 윤활을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내마모성, 안정성, 윤활성능 및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학식 I
R1O-(PO)a-(EO)b-R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아실기이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PO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고,
a 및 b는 2 ≤ a+b ≤ 80을 만족시키는 0을 포함하는 정수이다.

Description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Refrigerators And Method For Lubrication With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윤활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 예컨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압축형 냉동기의 압축식 냉동 사이클은, 냉매와 기유(lubrication base oil)의 혼합액체가 이의 밀폐된 시스템내에서 순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압축형 냉동기에서는 냉매로서 종래에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R-12), 클로로디플루로오로메탄(R-22) 등이 많은 경우 사용되고, 또한 기유로서 각종 광유 및 합성유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R-12, R-22 등의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은 성층권내에 존재하는 오존층의 파괴와 같은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최근 세계적으로 이의 사용에 대한 규제가 보다 엄격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신규한 냉매로서 수소-함유 플루오로 화합물, 예컨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수소-함유 플루오로 화합물, 특히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a)으로 대표되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은 오존층을 파괴시키지 않지만, 대기중에 오래 잔존하여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연계 냉매로서 다양한 탄화수소, 특히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가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탄화수소를 냉매로서 사용한 압축형 냉동기에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광유 또는 알킬벤젠으로부터 제조된 기유를 사용하는 경우, 냉매는 기유내에 완전히 용해되어 기유의 점도를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윤활성능이 부족하여 내마모성이 불충분해지거나, 냉매의 순환 시스템에 사용된 밀봉재를 열화시켜 시스템의 밀봉성이 불량스럽게 되거나,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냉동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특히, 팽창밸브로서 모세관을 사용하는 경우, 밀봉성 감소의 정도가 점점 심해져 간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를 사용하는 압축식 냉동기용, 즉 냉동 사이클용의 윤활유로서 우수한 성능을 갖고, 그 결과 기기의 마모를 감소시키면서도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고, 냉동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성상 또는 조성을 갖는 탄화수소 화합물을 기유로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A)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 및 (B) 비방향족 불포화도가 10% 이하이고, 100℃에서의 동점도가 5mm2/s 이상인 탄화수소 화합물로 형성된 기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2) (A)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 및 (C)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고, 하기 수학식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된 식을 만족시키며, 100℃에서의 동점도가 5 내지 200mm2/s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유 조성물, 또는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냉동기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축형 냉동기의 윤활방법이다:
R1O-(PO)a-(EO)b-R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아실기이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PO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고,
a 및 b는 각각 0 이상의 정수이지만, 단 2 ≤ a+b ≤ 80을 만족시키고;
1)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2) R1 및 R2중 어느 하나만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키고,
3)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가 아닌 경우, 하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킨다:
1 ≤ 10X ≤ 8
1 ≤ 10X+Y/4 ≤ 9
3 ≤ 10X+Y ≤ 10
[상기 식에서,
X는 분자중의 PO의 몰 분율로서, a/(a+b)이고,
Y는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이다].
도 1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압축식 냉동 사이클의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부호 1은 압축기를, 부호 2는 응축기를, 부호 3은 팽창밸브를, 부호 4는 증발기를 나타낸다.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기술한다.
본원의 제 1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은 (A)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 및 (B) 비방향족 불포화도가 10% 이하이고, 100℃에서의 동점도가 5mm2/s 이상인 탄화수소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A) 냉매의 주성분인 탄화수소의 탄소수는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이다. 탄소수 9 이상의 탄화수소는 비점이 지나치게 높게 되어 냉매의 성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탄화수소의 예로는 메탄, 에탄, 에틸렌, 프로판, 사이클로프로판, 프로필렌,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및 이소펜탄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탄화수소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매는 전술한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함유지만, 통상적으로 7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 상기 탄화수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7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상기 탄화수소, 및 3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다른 냉매, 예컨대 R-134a 등의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또는 CO2와 같은 종래의 냉매를 혼합하여 냉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냉매"의 양이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지구의 온난화 등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기유(B)의 주성분인 탄화수소 화합물의 비방향족 불포화도는, 탄화수소 분자내의 전체 탄소-탄소 결합중에서 방향족 부위에서 유래하지 않은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의 비율이고, 하기 식으로부터 계산된다. 계산에 사용된 각 값은 NMR(핵자기 공명)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비방향족 불포화도(%) = [(분자내의 방향족기에서 유래하지 않은 불포화 결합수)/(분자내의 전체 탄소-탄소 결합수)] × 100
본 발명에서, 상기 불포화도의 값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불포화도가 10%를 초과하면 슬러지(sludge) 발생의 원인이 되고 모세관이 막히는 원인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유(B)의 100℃에서의 동점도는 5mm2/s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m2/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mm2/s이다. 상기 동점도가 5mm2/s 미만으로 사용되면, 냉동기의 밀봉성이 감소할 수 있거나 윤활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기유로서 각종의 기유를 사용할 수 있지만, 고도로 정제된 광유,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또는 폴리-α-올레핀을 사용하며, 상기의 비방향족 불포화도 및 동점도는 특정의 범위내의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로 정제된 광유의 예는 파라핀기계 원유, 중간기계 원유 또는 나프텐기계 원유를 상압증류하거나 상압증류의 잔사유를 감압증류하여 수득된 유출유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제함으로써 수득된 정제유; 정제한 후 추가로 심하게 탈납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수득된 심탈납유(深脫蠟油); 수소화처리에 의해 수득된 수소화처리유 등일 수 있다. 상기 정제 방법으로는 (a) 수소화처리, (b) 탈납처리(용매 탈납 및 수소화 탈납처리), (c) 용제추출처리, (d) 알칼리 증류 또는 황산 세정처리, (e) 백토(clay) 처리 등이 있다. 이들 정제 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적합하게 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동일한 처리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도 유효하다. 이의 예로는 1) 유출유를 수소화처리하는 방법, 2) 유출유를 수소화처리한 후 알칼리 증류 또는 황산 세정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3) 유출유를 수소화처리한 후, 탈납처리하는 방법, 4) 유출유를 용제추출처리한 후 수소화처리하는 방법, 5) 유출유를 2단계 혹은 3단계 수소화처리하거나, 상기 처리 후 알칼리 증류 또는 황산 세정처리하는 방법, 6) 상기 1) 내지 5)의 임의의 처리 후 추가의 탈납처리로 심하게 탈납처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탈납처리는 혹독한 조건하의 용제 탈납처리, 제올라이트 촉매를 사용하는 접촉 탈납처리 등이 있다. 상기의 방법중,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도로 정제된 광유로서는, 심탈납유가 저온 유동성, 저온시 납 석출의 부재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고도로 정제된 광유는 상기 종류중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혼합하는 경우, 각각의 고도로 정제된 광유의 동점도는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합 후의 고도로 정제된 광유의 동점도가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한다면, 이러한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알킬벤젠으로서는 종래에 냉동기유 등에 사용되고 있는 알킬벤젠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것보다 고점도의 알킬벤젠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점도의 알킬벤젠의 예로는 모노알킬벤젠, 디알킬벤젠 및 트리알킬벤젠과 같은, 1 또는 2개 이상의 알킬기가 치환된 알킬벤젠으로, 각각의 알킬기의 총 탄소수가 20 이상인 알킬벤젠이 있다. 이들중에서도 2개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벤젠으로, 각각의 알킬기의 총 탄소수가 20 이상인 알킬벤젠이 열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알킬벤젠은 상기중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혼합하는 경우, 각각의 알킬벤젠의 동점도는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합 후의 알킬벤젠의 동점도가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이러한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알킬나프탈렌은 2 또는 3개의 알킬기가 나프탈렌 고리상에 치환된 알킬나프탈렌, 특히, 이의 알킬기의 총 탄소수가 20 이상인 알킬나프탈렌이 열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알킬나프탈렌은 상기중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이 혼합되면, 각각의 알킬나프탈렌의 동점도는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합 후의 알킬나프탈렌의 동점도가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이러한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α-올레핀은 열안정성, 냉동기의 밀봉특성, 윤활성능 등의 면에 볼 때 탄소수 8 내지 18의 α-올레핀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1-도데센, 1-데센, 또는 1-옥텐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α-올레핀으로서는 이의 수소화처리물이 열안정성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이 혼합되면, 각각의 폴리-α-올레핀의 동점도는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합 후의 폴리-α-올레핀의 동점도가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이러한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유는 전술한 고도로 정제된 광유,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및 폴리-α-올레핀중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혼합하는 경우, 각각의 성분의 동점도는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합 후의 기유의 동점도가 전술한 특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이러한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유중, 가격 및 정제도에 따라 불포화도가 조절될 수 있다는 면에 볼 때 고도로 정제된 광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의 제 1 발명은 (A) 성분의 냉매 대 (B) 성분의 기유의 비율, 즉 (A) 성분/(B) 성분의 중량비가 99/1 내지 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95/5 내지 30/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성분의 양이 10/90보다 적으면 냉동능력이 감소하며, 또한 99/1보다 많으면 윤활성능이 감소한다.
본원의 제 2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은 (A)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 및 (C) 100℃에서의 동점도가 5mm2/s 이상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A) 성분인 냉매는 본원의 제 1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본 발명에서, (C) 성분의 기유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고, 하기 수학식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는 식을 만족시키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사용된다:
화학식 I
R1O-(PO)a-(EO)b-R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아실기이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PO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고,
a 및 b는 각각 0 이상의 정수이지만, 단 2 ≤ a+b ≤ 80을 만족시키고;
1)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2) R1 및 R2중 어느 하나만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키고,
3)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가 아닌 경우, 하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킨다:
수학식 1
1 ≤ 10X ≤ 8
수학식 2
1 ≤ 10X+Y/4 ≤ 9
수학식 3
3 ≤ 10X+Y ≤ 10
[상기 식에서,
X는 분자중의 PO의 몰 분율로서, a/(a+b)이고,
Y는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이다].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및 R2로 표시되는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이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0을 초과하면, 기유와 냉매인 탄화수소의 상용성이 매우 높아져서 탄화수소가 임의의 비율로 완전히 용해된다. 상기 알킬기는 선형이거나 분지형이거나 환형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다양한 부틸기, 다양한 펜틸기, 다양한 헥실기, 다양한 헵틸기, 다양한 옥틸기, 다양한 노닐기, 다양한 데실기, 사이클로펜틸기 및 사이클로헥실기를 포함한다.
또한, R1 및 R2로 표시되는 아실기의 탄소수는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이다. 아실기의 탄소수가 10을 초과하면, 기유와 냉매인 탄화수소의 상용성이 매우 높아져서 탄화수소가 임의의 비율로 완전히 용해된다. 아실기의 알킬기 부분은 선형이거나 분지형이거나 환형일 수 있다. 상기 아실기의 알킬기 부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언급한 탄소수 1 내지 9의 다양한 알킬기를 동일하게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반복 단위, 즉 PO 및 EO는 블록체 또는 랜덤체일 수 있다.
본원의 제 2 발명의 기유는 전술한 수학식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는 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수학식 1에서 10X ≤ 8을, 수학식 2에서 10X + Y/4 ≤ 9를, 수학식 3에서 10X+Y ≤ 10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기유가 냉매인 탄화수소내에 완전하게 용해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수학식 1에서 1 ≤ 10X를, 수학식 2에서 1 ≤ 10X+Y/4를, 수학식 3에서 3 ≤ 10X+Y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기유와 냉매인 탄화수소의 상용성이 감소되어 상 분리를 발생시킨다. 기유와 냉매인 탄화수소의 상용성 면을 고려하면, 하기 수학식 4, 5 및 6으로부터 선택된 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1)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4를 만족시키고,
2) R1 및 R2중 어느 하나만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5를 만족시키고,
3)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가 아닌 경우, 하기 수학식 6을 만족시킨다.
4 ≤ 10X ≤ 7
4 ≤ 10X+Y/4 ≤ 8
5 ≤ 10X+Y ≤ 9
본 발명의 (C) 성분인 기유는 100℃에서의 동점도가 5 내지 200mm2/s,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00mm2/s이다. 상기 동점도가 5mm2/s 미만이면, 냉동기의 냉동 사이클 부분의 밀봉성이 감소하고, 추가로 윤활성능이 또한 감소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 200mm2/s를 초과하면, 저온시 점성 저항이 증가하고, 토크(torque)가 증가하여, 냉동기가 가동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기유로서, 전술한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제 2 발명에서, (A) 성분의 냉매 대 (C) 성분의 기유의 비율, 즉 (A) 성분/(C) 성분의 중량비는 99/1 내지 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95/5 내지 30/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성분의 양이 10/90보다 적으면 냉동능력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99/1보다 많으면 윤활성능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본원의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첨가제, 예컨대 인산 에스테르(예: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CP)) 및 아인산 에스테르(예: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와 같은 극압첨가제; 페놀계 또는 아민계 산화 방지제; 안정화제(예: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 및 에폭실화된 대두유); 구리 탈활성화제(예: 벤조트리아졸 및 이의 유도체); 및 소포제(예: 실리콘 오일 및 불소화된 실리콘 오일)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추가로, 내하중 첨가제, 염소 보조제, 청정 분산제, 점도지수 향상제, 유성제, 방청제, 부식 방지제, 유동점 강하제 등이 또한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0.5 내지 10중량%로 혼입된다.
본원의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형 냉동기의 윤활방법이다.
본원의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은 다양한 냉동기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압축형 냉동기의 압축식 냉동 사이클에 적합하고, 도 1에 도시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압축식 냉동 사이클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및 2]
(1)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몰비 1:1의 프로판-이소부탄 혼합물로 구성된 냉매 70중량% 및 표 1에 제시된 성상의 기유 30중량%를 각각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및 2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기 방법으로 실제 사용하는 장치를 시험하여 이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제시한다.
(2) 압축식 냉동 사이클의 방식
냉동기로서, 통상의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사용하였다. 이중에서, 팽창 밸브는 모세관 유형의 것을 사용하였다.
(3) 실제 사용하는 장치를 사용한 시험
출력 100W의 상기 냉동기에, 상기에서 제조된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충전하고, 하기 조건하에 1년 동안 계속적으로 냉동시험을 실행하였다.
(운행상황)
흡입 온도: 0℃
배출 온도: 100℃
응축기의 출구 온도: 10℃
(평가 방법)
운행상태에 기능 이상이 발생된 시점에서 운행을 정지하고, 각각의 부분을 관찰하여 이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2 및 비교예 3 내지 5
표 2에 제시된 성상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PO 및 EO의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각각 이하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n-펩탄 용해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n-펜탄 용해량(20℃)]
시료유 20g을 유리 비이커에 채취하고, 교반하면서 n-펩탄을 소량씩 첨가하고, 액체가 흐려지는 지점을 종점으로 하였다. 용해량은 하기 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용해량(중량%) = [n-펜탄(g)] / [오일(g) + n-펜탄(g)] × 100
본 발명에 의하면,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를 사용한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효율적으로 윤활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내압축식 냉동기내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밀봉성을 개선시키고, 장기간의 운전 안정성을 개선시키고, 냉동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A)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 및 (B) 비방향족 불포화도가 10% 이하이고, 100℃에서의 동점도가 5mm2/s 이상인 탄화수소 화합물로 형성된 기유(lubrication base oi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2. (A) 탄소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매, 및 (C)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고, 하기 수학식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된 식을 만족시키고, 100℃에서의 동점도가 5 내지 200mm2/s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화학식 I
    R1O-(PO)a-(EO)b-R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아실기이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PO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고,
    a 및 b는 각각 0 이상의 정수이지만, 단 2 ≤ a+b ≤ 80을 만족시키고;
    1)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2) R1 및 R2중 어느 하나만 수소 원자인 경우, 하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키고,
    3) R1 및 R2가 둘다 수소 원자가 아닌 경우, 하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킨다:
    수학식 1
    1 ≤ 10X ≤ 8
    수학식 2
    1 ≤ 10X+Y/4 ≤ 9
    수학식 3
    3 ≤ 10X+Y ≤ 10
    [상기 식에서,
    X는 분자중의 PO의 몰 분율로서, a/(a+b)이고,
    Y는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이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냉동기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형 냉동기의 윤활방법.
KR10-1999-7004665A 1996-11-27 1997-11-17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 KR100476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6094 1996-11-27
JP31609596A JP3347614B2 (ja) 1996-11-27 1996-11-27 冷凍機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JP96/316095 1996-11-27
JP31609496A JP3545143B2 (ja) 1996-11-27 1996-11-27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272A KR20000057272A (ko) 2000-09-15
KR100476400B1 true KR100476400B1 (ko) 2005-03-16

Family

ID=2656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665A KR100476400B1 (ko) 1996-11-27 1997-11-17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248256B1 (ko)
EP (2) EP0959121A1 (ko)
KR (1) KR100476400B1 (ko)
CN (1) CN1096496C (ko)
AU (1) AU730693B2 (ko)
HK (1) HK1025990A1 (ko)
ID (1) IDP000022813A (ko)
MY (1) MY117385A (ko)
TW (1) TW380160B (ko)
WO (1) WO1998023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71B1 (ko) 2007-05-17 2008-05-16 한국화학연구원 저급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980416T4 (da) * 1997-05-07 2009-10-12 Shell Int Research Polyalkylenglycoler som smöremidler til CO2-kuldemaskiner
GB9823455D0 (en) * 1998-10-28 1998-12-23 Ici Plc Lubricants
EP1092760B1 (en) * 1999-04-02 2005-02-09 Japan Energy Corporation Lubricant for vapor compression refrigerator using hydrocarbon coolant
CN1100857C (zh) * 1999-04-28 2003-02-05 中国科学院广州化学研究所 一种冷冻机润滑油及用途
JP2001192684A (ja) * 2000-01-12 2001-07-17 Japan Energy Corp アンモニア冷凍装置
JP2001200285A (ja) * 2000-01-21 2001-07-24 Japan Energy Corp アンモニア冷媒を使用する冷凍機用潤滑剤
JP4012441B2 (ja) * 2002-07-11 2007-11-21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冷媒圧縮式冷凍サイクル装置用潤滑油及び作動媒体
US6742357B1 (en) * 2003-03-18 2004-06-0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Integrated multiple-loop refrigeration process for gas liquefaction
JP4667761B2 (ja) * 2004-04-02 2011-04-13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
EP2423296A1 (en) 2006-07-06 2012-02-29 Nippon Oil Corporatio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machine tools
EP2128230A1 (en) * 2008-05-20 2009-12-02 Solvay Solexis S.p.A. Method for lubricating wind turbine gearbox
JP2012513527A (ja) 2008-12-23 2012-06-14 シュリーブ ケミカル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冷媒潤滑剤組成物
US20150252240A1 (en) * 2010-01-25 2015-09-10 Arkema Inc. Heat transfer composition of oxygenated lubricant with hydrofluoroolefin and hydrochlorofluoroolefin refigerants
JP5759696B2 (ja) * 2010-09-28 2015-08-05 出光興産株式会社 圧縮型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2012233091A (ja) * 2011-05-02 2012-11-29 Asahi Glass Co Ltd 炭化水素冷媒用の潤滑油基油
US8721916B2 (en) * 2011-05-12 2014-05-13 A.S. Trust & Holdings Inc. Refrigerant composition
CN103089570A (zh) * 2011-10-27 2013-05-08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
BR102013032982A2 (pt) * 2013-12-20 2015-09-08 Whirlpool Sa óleo, composição lubrificante com lubricidade melhorada e coeficiente de desempenho aumentado, usos e máquina de refrigeração
CN105916958A (zh) 2014-01-16 2016-08-31 瑞孚化工产品有限公司 干燥的合成制冷润滑剂组合物
CN115651740A (zh) * 2016-05-10 2023-01-31 特灵国际有限公司 减少制冷剂溶解度的润滑剂共混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2634A (en) * 1970-01-16 1972-02-15 Chevron Res Refrigeration lubricating oil
US4046533A (en) * 1972-12-21 1977-09-06 Chevron Research Company Refrigeration working fluid containing branched chain alkylbenzene lubricant
DE2345540A1 (de) * 1973-09-10 1975-04-24 Linde Ag Synthetische oele als schmiermittel
US4199461A (en) * 1977-02-14 1980-04-22 Chevron Research Company Refrigeration oil containing wear-inhibiting amounts of an aryl phosphate-fatty acid combination
JPS5876497A (ja) 1981-11-02 1983-05-09 Idemitsu Kosan Co Ltd 安定性にすぐれた冷凍機油
FR2563615B1 (fr) 1984-04-25 1987-02-13 Inst Francais Du Petrole Nouveau procede de production de froid et/ou de chaleur a absorption utilisant un melange de plusieurs constituants comme fluide de travail
DE9209459U1 (ko) 1992-07-15 1992-11-19 Dkk Scharfenstein Gmbh I.L., O-9366 Scharfenstein, De
AU666505B2 (en) * 1992-11-27 1996-02-15 Japan Energy Corporation Ammonia refrigerating machine, working fluid composition for use in refrigerating machine, and method for lubricating ammonia refrigerating machine.
JPH07173479A (ja) * 1993-11-05 1995-07-11 Japan Energy Corp 弗化炭化水素系冷媒圧縮機用潤滑油、同潤滑油を用いる弗化炭化水素系冷媒圧縮機潤滑方法及び弗化炭化水素系冷媒圧縮機用作動流体組成物
DE4404804A1 (de) * 1994-02-16 1995-08-17 Hoechst Ag Verwendung von Polyoxalkylenglykolen in NH¶3¶-Kälteanlagen
JPH08209163A (ja) 1994-10-28 1996-08-13 Asahi Chem Ind Co Ltd 炭化水素系冷媒組成物
JP2945844B2 (ja) 1994-12-16 1999-09-06 松下冷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4112645B2 (ja) 1996-02-05 2008-07-02 出光興産株式会社 圧縮型冷凍機用潤滑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71B1 (ko) 2007-05-17 2008-05-16 한국화학연구원 저급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48256B1 (en) 2001-06-19
CN1245523A (zh) 2000-02-23
EP0959121A1 (en) 1999-11-24
EP2284247A2 (en) 2011-02-16
EP0959121A4 (ko) 1999-12-01
WO1998023710A1 (fr) 1998-06-04
CN1096496C (zh) 2002-12-18
KR20000057272A (ko) 2000-09-15
TW380160B (en) 2000-01-21
AU4966397A (en) 1998-06-22
EP2284247A3 (en) 2011-03-23
AU730693B2 (en) 2001-03-15
US6495062B2 (en) 2002-12-17
US20010020695A1 (en) 2001-09-13
HK1025990A1 (en) 2000-12-01
MY117385A (en) 2004-06-30
IDP000022813A (id) 199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400B1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윤활방법
JP4112645B2 (ja) 圧縮型冷凍機用潤滑油
KR101145465B1 (ko) 냉동기 오일 조성물
KR960007698B1 (ko) 냉동기용 테트라플루오로에탄 조성물
KR100405447B1 (ko) 압축형 냉동기용 윤활유
KR0152537B1 (ko) 압축식 냉동 시스템의 윤활방법
US5154846A (en) Fluorinated butylene oxide based refrigerant lubricants
JPH06128578A (ja) 圧縮型冷凍機用潤滑油
KR20070052295A (ko) 냉동기유 조성물
KR20050053502A (ko)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JP5107666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JP3319499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KR20020068389A (ko) 자연계 냉매용 냉동기유 조성물
JP3347614B2 (ja) 冷凍機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JP2554737B2 (ja) フッ化アルカン冷媒用冷凍機油
JP2859253B2 (ja) フッ化アルカン冷媒用冷凍機油
JP3545143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JP4098263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US11535809B2 (en) Compressor lubricant composition
JPH05194968A (ja) 合成潤滑油
JP2710980B2 (ja) フッ化アルカン冷媒用冷凍機油
JPH03185093A (ja) 水素含有フロン冷媒用冷凍機油組成物
JP2651375B2 (ja) フッ化アルカン冷媒用冷凍機油
JP2000008062A (ja) 冷凍機用冷媒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