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792B1 -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792B1
KR100475792B1 KR10-2003-0024774A KR20030024774A KR100475792B1 KR 100475792 B1 KR100475792 B1 KR 100475792B1 KR 20030024774 A KR20030024774 A KR 20030024774A KR 100475792 B1 KR100475792 B1 KR 10047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door
bus
hinge cover
vehicle body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811A (ko
Inventor
문보승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7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91Special type lid, e.g. for luggage compartment accessible at vehicl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탄성재질의 힌지커버를 적용함으로써 부품의 수 및 풍절음의 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의 측면에 위치하여 차체(500)로부터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플랩도어(100)와; 상기 차체(500)와 플랩도어(100)의 상단 사이에 마련되며, 변형하면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힌지커버(200)와; 상기 차체(500)와 힌지커버(200)의 상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상측클립(300)과; 상기 플랩도어(100)와 힌지커버(200)의 하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하측클립(400)으로 구성되어, 버스의 플랩도어가 탄성재질의 힌지커버를 통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방틈을 없애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풍절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Assembly structure of side flap door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탄성재질의 힌지커버를 적용함으로써 부품의 수 및 풍절음의 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방틈을 없애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풍절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스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승객실 저면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물 적재공간은 차체(50)의 측면에 힌지 체결되어 상하로 개방되는 플랩도어(10 ; flap door)를 개폐시킴으로써 사용 가능하다.
도 2는 종래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50)의 내부에는 화물 적재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재공간은 차체(50)에 힌지조립체(20)를 통하여 체결된 플랩도어(10)에 의하여 개방 가능하다.
이때, 상기 차체(50)와 플랩도어(10)의 상측을 연결시켜 주는 상기 힌지조립체(20)는 수힌지브라켓(21)과 암힌지브라켓(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힌지브라켓(21)은 차체(50)에 체결수단(40)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힌지브라켓(21)의 하부에는 암힌지브라켓(22)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힌지브라켓(22)의 하부에는 플랩도어(10)가 체결수단(40)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차체(50)의 외측에는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3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플랩도어(10)의 내측면에는 웨더스트립(60)이 마련되어 있어 차체(50)와의 접촉에 의하여 플랩도어(10)나 차체(50)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도어(10)가 닫혀져 적재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도어(10)를 잡아당기면 플랩도어(10)가 힌지조립체(20)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됨으로써 적재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는 차체와 커버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암힌지브라켓과 커버 사이에 개방틈이 형성되어 버스의 외관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풍절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플랩도어를 힌지조립체를 통하여 차체에 체결수단으로 조립 작업시, 작업자가 상방향을 보면서 작업해야 할 뿐 아니라, 다수개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이러한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늘어날 뿐 아니라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의 플랩도어가 탄성재질의 힌지커버를 통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방틈을 없애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풍절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의 측면에 위치하여 차체로부터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플랩도어와; 상기 차체와 플랩도어의 상단 사이에 마련되며, 변형하면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힌지커버와; 상기 차체와 힌지커버의 상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상측클립과; 상기 플랩도어와 힌지커버의 하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하측클립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측면에 위치하여 차체(500)로부터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플랩도어(100)와; 상기 차체(500)와 플랩도어(100)의 상단 사이에 마련되며, 변형하면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힌지커버(200)와; 상기 차체(500)와 힌지커버(200)의 상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상측클립(300)과; 상기 플랩도어(100)와 힌지커버(200)의 하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하측클립(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측클립(300) 및 하측클립(400)은 대략 'E'자로 성형되어 일측 삽입홈(310)(410)에는 각각 차체(500)와 플랩도어(100)의 플랜지(510)(110)가 삽입되며, 타측 삽입홈(310)(410)에는 상기 힌지커버(200)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커버(200)에는 그 내부에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심선(2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커버(200)는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절곡 가능한 커버날개부(220)와; 상기 상측클립(300)과 하측클립(400)에 체결되는 삽입단(230)과; 상기 커버날개부(220)와 삽입단(230) 사이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절입 형성된 절입홈(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500)의 내부에는 화물 적재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재공간은 차체(500)로부터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플랩도어(100)에 의하여 개방 가능하며, 상기 차체(500)와 플랩도어(100)의 상측을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상측클립(300) 및 하측클립(400)과 힌지커버(200)가 적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측클립(300)과 하측클립(400)은 그 단면이 대략 'E'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 각각 두 개씩의 삽입홈(310)(410)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측클립(300)과 하측클립(400)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삽입홈(310)(410)에는 본딩 실러를 충진시킨 후, 차체(5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510) 및 플랩도어(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0)와 힌지커버(200)의 삽입단(230)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차체(500)와 힌지클립(200), 그리고 힌지클립(200)과 플랩도어(100)를 용이하게 연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측클립(300)의 일측 삽입홈(310)에는 차체(5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510)가 삽입되며, 타측 삽입홈(510)에는 힌지커버(200)의 일측 삽입단(230)이 삽입됨으로써, 차체(500)에 힌지커버(200)가 우선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측클립(400)의 일측 삽입홈(410)에는 힌지커버(200)의 타측 삽입단(230)이 삽입되고, 타측 삽입홈(410)에는 플랩도어(100)의 플랜지(110)가 삽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플랩도어(100)의 개폐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커버(200)가 자체적으로 접혀지면서, 차체(500)에 플랩도어(100)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랩도어(1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힌지커버(200)에 의하여 차체(500)에 지지될 뿐 아니라, 상기 힌지커버(200)가 접혀지면서 차체(50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어 플랩도어(100)가 개폐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커버(200)의 내부에는 유리섬유 등과 같은 심선(210)이 박혀있어, 상기와 같이 플랩도어(100)의 개폐에 따라 반복적으로 힌지커버(200)가 접혀졌다가 펴졌다 하더라도 내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커버(200)는 외측에 커버날개부(220)가 일정한 굴곡으로 형성되어 있어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여 버스의 외관미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 내측에는 상기 상측클립(300)과 하측클립(400)의 삽입홈(310)(410)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하로 이분되어 삽입단(2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힌지커버(200)의 커버날개부와(220) 삽입단(230) 사이에는 오목하게 절입홈(240)이 형성되어 있어, 플랩도어(100)의 개폐에 따라 접혀지는 힌지커버(2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클립(300)이나 하측클립(400)과 간섭에 의하여 마모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도어(100)가 닫혀져 적재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도어(100)를 잡아당기면 플랩도어(100)가 힌지커버(200)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힌지커버(200)는 접혀지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500)로부터 플랩도어(100)가 개방됨으로써 적재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는 종래에 플랩도어를 힌지조립체를 통하여 다수개의 체결수단으로 차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개선하여, 별도로 적용된 상측클립(300) 및 하측클립(400)과 탄성재질의 힌지커버(200)를 이용하여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적은 조립공수로도 손쉽게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차나 개방틈이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풍절음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버스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버스의 플랩도어가 탄성재질의 힌지커버를 통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방틈을 없애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풍절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스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랩도어 110,510 : 플랜지
200 : 힌지커버 210 : 심선
220 : 커버날개부 230 : 삽입단
240 : 절입홈 300 : 상측클립
310, 410 : 삽입홈 400 : 하측클립
500 : 차체

Claims (4)

  1. 버스의 측면에 위치하여 차체로부터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플랩도어와;
    상기 차체와 플랩도어의 상단 사이에 마련되며, 변형하면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힌지커버와;
    상기 차체와 힌지커버의 상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상측클립과;
    상기 플랩도어와 힌지커버의 하측 단부에 동시에 체결된 하측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클립 및 하측클립은 대략 'E'자로 성형되어 일측 삽입홈에는 각각 차체와 플랩도어의 플랜지가 삽입되며, 타측 삽입홈에는 상기 힌지커버의 양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커버에는 그 내부에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심선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커버는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절곡 가능한 커버날개부와;
    상기 상측클립과 하측클립에 체결되는 삽입단과;
    상기 커버날개부와 삽입단 사이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절입 형성된 절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KR10-2003-0024774A 2003-04-18 2003-04-18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KR100475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74A KR100475792B1 (ko) 2003-04-18 2003-04-18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74A KR100475792B1 (ko) 2003-04-18 2003-04-18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811A KR20040090811A (ko) 2004-10-27
KR100475792B1 true KR100475792B1 (ko) 2005-03-10

Family

ID=3737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774A KR100475792B1 (ko) 2003-04-18 2003-04-18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19B1 (ko) 2007-11-29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랩도어 수밀구조
KR102276165B1 (ko) * 2020-09-01 2021-07-12 주식회사 다복특장 이동판매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811A (ko)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054B1 (ko)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JP200707662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2645051B1 (ko) 차량용 웨더스트립
KR100475792B1 (ko)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KR102630375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되는 차량의 웨더스트립 구조
JP2000232717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におけるガラスハッチへ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RU2404345C2 (ru) Эстетическое шарн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ер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00125004A (ko)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JP2603651Y2 (ja) 車両のドアパネルのグラスラン
KR200148407Y1 (ko) 자동차 백도어의 힌지구조
KR100370831B1 (ko) 리어 데크 플루어 블랭크 커버링장치
KR100346470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장착 구조
JP6912949B2 (ja) パーティングシール
KR20240080542A (ko) 트윈 스윙 게이트의 실링 어셈블리
JP2000247192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におけるガラスハッチへ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3224448B2 (ja) 自動車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構造
KR100534404B1 (ko) 차량의 정비용 커버
KR20030018599A (ko) 자동차용 리어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의 체결구조
JP3248612B2 (ja) 車両用インナウエザストリップ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200148153Y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부구조
KR200198171Y1 (ko) 화물차용 전면패널의 힌지구조
KR0128110Y1 (ko)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KR0118188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센터레일 은폐장치
KR19990002590A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